KR102201011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1011B1 KR102201011B1 KR1020187026261A KR20187026261A KR102201011B1 KR 102201011 B1 KR102201011 B1 KR 102201011B1 KR 1020187026261 A KR1020187026261 A KR 1020187026261A KR 20187026261 A KR20187026261 A KR 20187026261A KR 102201011 B1 KR102201011 B1 KR 1022010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aulic oil
- hydraulic
- oil tank
- frame
- eng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5—Lubricant storage reservoirs, e.g. reservoirs in addition to a gear sump for collecting lubricant in the upper part of a gear c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칼날 (15) 을 갖는 예취부 (3) 와, 급동 (21) 을 갖는 탈곡부 (9) 와, 주행부 (2) 및 엔진 (7) 을 형성하는 주행 기체 (1) 와, 주행부 (2) 를 구동하는 미션 케이스 (63) 및 유압 무단 변속기 (64) 를 구비하고, 예취부 (3) 로부터 탈곡부 (9) 에 곡간을 공급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주행 기체 (1) 를 상하 다단 구조로 형성하는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사이에, 미션 케이스 (63) 상부의 유압 무단 변속기 (64) 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작동유 탱크 (55) 를 장착한 것이다.
Description
본원 발명은, 포장 (圃場) 의 아직 베지 않은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예취 곡간의 곡립을 탈립하는 탈곡부를 탑재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곡물 헤더와 피더 하우스와 칼날을 갖는 예취부와, 급동 (扱胴) 을 갖는 탈곡부와, 주행부 및 엔진을 형성하는 주행 기체와, 곡립 배출 컨베이어를 통하여 탈곡부로부터 곡립을 취출하는 벼 수용부를 구비하고, 포장의 아직 베지 않은 곡간을 연속적으로 예취하여 탈곡하고, 벼 수용부의 벼 주머니에 탈곡부의 곡립을 충전하는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 ∼ 3 참조).
작은 면적의 포장에 있어서의 수확 작업에서는, 곡간의 예취 폭을 확보하면서 기체 전체를 컴팩트하게 구성 가능한 경량 구조의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주행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급동을 배치하는 구조에 비하여, 주행 기체의 좌우 방향으로 급동을 배치한 경우, 탈곡부의 전후 폭을 작게 할 수 있지만, 주행 기체의 평탄한 상면측에 엔진 또는 탈곡부 등을 병설하기 때문에, 콤바인 전체의 소형화를 간단하게 고려할 수 없는 등의 구조 상의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 특허문헌 3 에서는, 주행부를 구동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에 형성하는 유압 무단 변속기와, 유압 무단 변속기의 작동유를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와 냉각 팬을 구비하고 있지만, 특허문헌 1 ∼ 특허문헌 3 은 대출력의 엔진에 적합한 주행부 구동 구조이기 때문에, 소형 경량 구조의 콤바인에 탑재하는 소출력의 엔진에 적합한 주행부 구동 구조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없는 등의 구조 상의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탈곡부를 주행 기체 상면에 탑재하고, 탈곡부 후방에 엔진과 벼 수용부를 배치함과 함께, 주행 기체의 후부 중, 엔진 후측방의 좌우 후부에 벼 수용부와 조종 칼럼을 병설하여, 소형 경량 구조의 콤바인을 구성할 수 없는 등의 구조 상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들 현 상황을 검토하여 개선을 실시한 보통형 콤바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 에 관련된 발명의 콤바인은, 칼날을 갖는 예취부와, 급동을 갖는 탈곡부와, 주행부 및 엔진을 형성하는 주행 기체와, 상기 주행부를 구동하는 미션 케이스 및 유압 무단 변속기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부로부터 상기 탈곡부에 곡간을 공급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를 상하 다단 구조로 형성하는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부 기체 프레임 사이에, 상기 미션 케이스 상부의 유압 무단 변속기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작동유 탱크를 장착한 것이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상기 탈곡부를 주행 기체 상면에 탑재하고, 상기 탈곡부 후방에 엔진과 벼 수용부를 배치하는 구조로서, 상기 상부 기체 프레임의 상면에 상기 엔진을 탑재함과 함께, 상기 상부 기체 프레임 전단측보다 전방에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 전단측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의 전단측 상면에 상기 탈곡부를 재치시켜, 상기 탈곡부 후측과 엔진 전측 사이의 하방에 상기 작동유 탱크를 배치시킨 것이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 후부에 미션 케이스와 벼 수용부와 조종 칼럼을 병설하는 구조로서, 상기 미션 케이스 상부의 유압 무단 변속기와, 상기 주행 기체 전부의 작동유 탱크를 유압 접속하는 유압 배관을,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부 기체 프레임 사이에 연장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상기 탈곡부를 주행 기체 상면에 탑재하고, 상기 탈곡부 후방에 상기 작동유 탱크를 배치하고,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부 기체 프레임에 상기 작동유 탱크를 체결 고정시킴과 함께, 상기 작동유 탱크 내부에 오일 필터 등을 내장하고,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면에 주유 캡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유 탱크의 전면 하부에 드레인 캡을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 후부에 미션 케이스를 배치함과 함께,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상기 탈곡부를 주행 기체 상면에 탑재하고, 상기 탈곡부 후방에 엔진과 벼 수용부를 배치하고, 상기 엔진 후측방의 좌우 후부에 벼 수용부와 조종 칼럼을 병설하는 구조로서, 상기 엔진과 유압 무단 변속기 사이의 전달 직경로에 중간축을 형성하고,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의 작동유를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와 냉각 팬을 상기 중간축의 근방에 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탱크가,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기 상부 기체 프레임을 연결하는 세로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에 유압 접속되는 제 1 작동유 공급구와, 상기 예취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용 유압 실린더에 유압 접속되는 제 2 작동유 공급구가, 상기 작동유 탱크의 전후 측면에 나뉘어 배치되어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 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작동유 공급구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작동유 탱크의 측면에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플랜지 부재와, 상기 작동유 탱크 내에 배치되는 오일 필터를 구비한 1 쌍의 오일 필터 유닛이, 상기 작동유 탱크의 전후 측면에 나뉘어 장착되고, 또한 상기 작동유 탱크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일부 중복하여 병설되어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칼날을 갖는 예취부와, 급동을 갖는 탈곡부와, 주행부 및 엔진을 형성하는 주행 기체와, 상기 주행부를 구동하는 미션 케이스 및 유압 무단 변속기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부로부터 상기 탈곡부에 곡간을 공급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를 상하 다단 구조로 형성하는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부 기체 프레임 사이에, 상기 미션 케이스 상부의 유압 무단 변속기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작동유 탱크를 장착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작동유 탱크의 크기를 제한하지 않고, 상기 엔진보다 낮은 위치에서 냉각 효율이 양호한 작동유 탱크 설치 장소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소형 경량 구조의 콤바인에 탑재하는 소출력의 엔진에 적합한 주행부 구동 구조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상기 탈곡부를 주행 기체 상면에 탑재하고, 상기 탈곡부 후방에 엔진과 벼 수용부를 배치함과 함께, 상기 주행 기체의 후부 중, 상기 엔진 후측방의 좌우 후부에 벼 수용부와 조종 칼럼을 병설하여, 소형 경량 구조의 콤바인을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상기 탈곡부를 주행 기체 상면에 탑재하고, 상기 탈곡부 후방에 엔진과 벼 수용부를 배치하는 구조로서, 상기 상부 기체 프레임의 상면에 상기 엔진을 탑재함과 함께, 상기 상부 기체 프레임 전단측보다 전방에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 전단측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의 전단측 상면에 상기 탈곡부를 재치시키고, 상기 탈곡부 후측과 엔진 전측 사이의 하방에 상기 작동유 탱크를 배치시킨 것이기 때문에, 가로 배치 자세의 상기 탈곡부 후방에 엔진을 근접시켜 컴팩트하게 기체를 구성해도, 상기 탈곡부와 엔진 사이의 하방에, 큰 용량의 상기 작동유 탱크를 간단하게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행 기체 후부에 미션 케이스와 벼 수용부와 조종 칼럼을 병설하는 구조로서, 상기 미션 케이스 상부의 유압 무단 변속기와, 상기 주행 기체 전부의 작동유 탱크를 유압 접속하는 유압 배관을,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부 기체 프레임 사이에 연장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부 기체 프레임으로 유압 배관의 상하측을 둘러싸고, 상기 작동유 탱크로 유압 배관의 전측을 둘러싸, 상기 유압 배관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엔진보다 낮은 위치 (상부 기체 프레임 하면측) 에 상기 작동유 탱크와 유압 배관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엔진 전방의 작동유 탱크와, 상기 엔진 후방의 유압 무단 변속기를 접속시키는 유압 배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어, 상기 유압 배관의 설치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상기 탈곡부를 주행 기체 상면에 탑재하고, 상기 탈곡부 후방에 상기 작동유 탱크를 배치하고,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부 기체 프레임에 상기 작동유 탱크를 체결 고정시킴과 함께, 상기 작동유 탱크 내부에 오일 필터 등을 내장하고,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면에 주유 캡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유 탱크의 전면 하부에 드레인 캡을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탈곡부 후부와 엔진 전부 사이에, 상기 작동유 탱크에 관련한 작업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유 캡 또는 드레인 캡의 개폐 조작 등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 탱크의 착탈 작업 또는 유압 배관의 접속 작업 또는 상기 작동유 탱크로의 작동유의 보충 작업 등을 간략화할 수 있고, 오일 필터의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 등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행 기체 후부에 미션 케이스를 배치함과 함께,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상기 탈곡부를 주행 기체 상면에 탑재하고, 상기 탈곡부 후방에 엔진과 벼 수용부를 배치하고, 상기 엔진 후측방의 좌우 후부에 벼 수용부와 조종 칼럼을 병설하는 구조로서, 상기 엔진과 유압 무단 변속기 사이의 전달 직경로에 중간축을 형성하고,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의 작동유를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와 냉각 팬을 상기 중간축의 근방에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와 오일 쿨러와 냉각 팬을 구비하여, 고주행 성능의 주행부 구동 구조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서, 소형 경량 구조의 콤바인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작동유 탱크가,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기 상부 기체 프레임을 연결하는 세로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주행 기체를 구성하는 하부 기체 프레임 및 세로 기체 프레임에 작동유 탱크를 강고하게 지지 가능함과 함께, 상부 기체 프레임, 하부 기체 프레임 및 세로 기체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작동유 탱크를 배치할 수 있어, 작동유 탱크의 탈락이나 이물질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에 유압 접속되는 제 1 작동유 공급구와, 상기 예취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용 유압 실린더에 유압 접속되는 제 2 작동유 공급구가, 상기 작동유 탱크의 전후 측면에 나뉘어 배치되어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유압 무단 변속기에 접속되는 공급 유압 배관과 승강용 유압 실린더에 접속되는 공급 유압 배관을 작동유 탱크의 전후 측면에 나뉘어 작동유 탱크에 접속할 수 있어, 작동유 탱크의 전후로부터 2 개의 공급 유압 배관 중 어느 것에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 유압 배관의 장착 작업이나 분리 작업 등의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또는 제 2 작동유 공급구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작동유 탱크의 측면에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플랜지 부재와, 상기 작동유 탱크 내에 배치되는 오일 필터를 구비한 1 쌍의 오일 필터 유닛이, 상기 작동유 탱크의 전후 측면에 나뉘어 장착되어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작동유 탱크의 전후로부터 2 개의 오일 필터 유닛 중 어느 것에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오일 필터 유닛의 장착 및 분리 작업 등의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또한, 1 쌍의 상기 오일 필터 유닛은 상기 작동유 탱크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일부 중복하여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양오일 필터 유닛을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서, 평면에서 보아 양오일 필터 유닛의 배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고, 나아가 작동유 탱크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양오일 필터 유닛은, 주행부를 구성하는 크롤러 트랙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동유 탱크에 장착되어 있도록 하면, 오일 필터 유닛의 착탈 작업을 주행 기체의 측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보통형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동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동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7 은 좌측 후방으로부터 본 주행 기체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9 는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주행 기체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11 은 보통형 콤바인의 구동 계통도이다.
도 12 는 보통형 콤바인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13 은 엔진의 구동 전달부를 나타내는 우측 설명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15 는 탈곡부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16 은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17 은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평면도이다.
도 18 은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19 는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미션 케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20 은 도 12 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21 은 도 12 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22 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구동 계통도이다.
도 23 은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24 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엔진의 구동 전달부를 나타내는 좌측 설명도이다.
도 25 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좌측 후방으로부터 본 주행 기체의 사시도이다.
도 26 은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주행 기체의 사시도이다.
도 27 은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평면도이다.
도 28 은 도 27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29 는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30 은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평면도이다.
도 31 은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32 는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행 기체와 작동유 탱크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33 은 주행 기체와 작동유 탱크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34 는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좌측 후방으로부터 본 작동유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35 는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좌측 전방으로부터 본 작동유 탱크의 분해도이다.
도 2 는 동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동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7 은 좌측 후방으로부터 본 주행 기체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9 는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주행 기체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11 은 보통형 콤바인의 구동 계통도이다.
도 12 는 보통형 콤바인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13 은 엔진의 구동 전달부를 나타내는 우측 설명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15 는 탈곡부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16 은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17 은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평면도이다.
도 18 은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19 는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미션 케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20 은 도 12 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21 은 도 12 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22 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구동 계통도이다.
도 23 은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24 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엔진의 구동 전달부를 나타내는 좌측 설명도이다.
도 25 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좌측 후방으로부터 본 주행 기체의 사시도이다.
도 26 은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주행 기체의 사시도이다.
도 27 은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평면도이다.
도 28 은 도 27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29 는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30 은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평면도이다.
도 31 은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우측 전방으로부터 본 주행 기체와 미션 케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32 는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행 기체와 작동유 탱크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33 은 주행 기체와 작동유 탱크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34 는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좌측 후방으로부터 본 작동유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35 는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좌측 전방으로부터 본 작동유 탱크의 분해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보통형 콤바인에 적용한 도면 (도 1 ∼ 도 15)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 도 6 을 참조하면서, 보통형 콤바인의 개략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기체 (1) 의 전진 방향을 향하여 좌측을 간단히 좌측이라고 칭하고, 동일하게 전진 방향을 향하여 우측을 간단히 우측이라고 칭한다.
도 1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보통형 콤바인은, 주행부로서의 고무 크롤러제의 좌우 1 쌍의 크롤러 트랙 (2) 으로 지지된 주행 기체 (1) 를 구비한다. 주행 기체 (1) 의 전부에는, 벼 (또는 보리) 등의 아직 베지 않은 곡간을 예취하면서 취입하는 예취부 (3) 가 단동식의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로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주행 기체 (1) 의 전부 상면에는, 예취부 (3) 로부터 공급된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기 위한 탈곡부 (9) 를 탑재한다. 탈곡부 (9) 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곡간 탈립 로터로서의 급동 (21) 을 배치한다. 주행 기체 (1) 의 후부 우측에는, 오퍼레이터가 보행 이동하면서 조종하는 운전 조작부 (5) 를 탑재한다. 콤바인 각부의 동력원으로서의 엔진 (7) 을, 주행 기체 (1) 의 중앙부에 배치한다. 주행 기체 (1) 의 후부 좌측 (운전 조작부 (5) 의 좌측방) 에는, 탈곡부 (9) 로부터 곡립을 취출하는 벼 수용부 (6) 를 배치한다. 벼 수용부 (6) 를 향하여 탈곡부 (9) 내의 곡립을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로 반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저 (前低) 후고 (後高) 자세의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의 이송 종단부에, 탈곡물의 선별을 실시하는 곡립 선별부로서의 풍로 형성 덕트체 (10) 를 구비하고 있다.
예취부 (3) 는, 탈곡부 (9) 전부의 급구 공급부에 연통한 피더 하우스 (11) 와, 피더 하우스 (11) 의 전단에 연장 형성된 가로 길이 버킷상의 곡물 헤더 (12) 를 구비하고 있다. 곡물 헤더 (12) 내에 레이킹 오거 (13) (플랫 홈 오거) 를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한다. 레이킹 오거 (13) 의 전부 상방에 타인 바가 부착된 레이킹 릴 (14) 을 배치한다. 곡물 헤더 (12) 의 전부에 바리캉상 칼날 (15) 을 배치한다. 곡물 헤더 (12) 전부의 좌우 양측으로 좌우의 분초체 (16) 를 돌출 형성한다. 또한, 피더 하우스 (11) 에 공급 컨베이어 (17) 를 내장 형성한다. 또한, 피더 하우스 (11) 의 하면부와 주행 기체 (1) 의 전단부가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를 통하여 연결되고, 후술하는 예취 입력 축 (18)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축) 을 승강 지점으로 하여, 예취부 (3) 가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로 승강 이동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좌우의 분초체 (16) 사이의 아직 베지 않은 곡간의 칼날측이 레이킹 릴 (14) 로 레이킹되고, 아직 베지 않은 곡간이 칼날 (15) 로 예취되고, 레이킹 오거 (13) 의 회전 구동에 의해, 곡물 헤더 (12) 의 좌우 폭의 중앙부쪽의 피더 하우스 (11) 입구 부근에 예취 곡간이 수집된다. 곡물 헤더 (12) 의 예취 곡간의 전체량은, 피더 하우스 (11) 내의 공급 컨베이어 (17) 에 의해 반송되어, 탈곡부 (9) 좌측부에 형성된 급구 공급판 (9a) 으로부터 급실 (22) 내부에 투입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4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부 (9) 의 급실 (22) 내에 급동 (21) 을 회전 가능하게 형성한다. 주행 기체 (1) 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시킨 급동축 (20) 에 급동 (21) 을 축 지지한다. 급동 (21) 의 하방측에는, 곡립을 누하시키는 수망 (24) 을 부착 형성한다. 더하여, 공급 컨베이어 (17) 의 곡간 이송 종단측에 연통시키는 급구 공급판 (9a) 이, 급실 (22) 의 좌측 하부에 형성되는 한편, 급실 (22) 의 우측 하부에 배진구 (23) 가 형성되어 있다. 즉, 주행 기체 (1) 의 전부에 가로 배치 자세의 급동 (21) 을 좌우 방향으로 탑재함과 함께, 탈곡부 (9) 의 좌측 단부에 피더 하우스 (11) 를 배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장척의 피더 하우스 (11) 와 좌우 가로 배치 자세의 탈곡부 (9) 에 있어서의 예취 곡간의 이동 방향을 직교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공급 컨베이어 (17) 에 의해 급구 공급판 (9a) 으로부터 투입된 예취 곡간은, 급동 (21) 의 회전에 의해 주행 기체 (1) 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반송되면서, 급동 (21) 과 수망 (24) 사이 등에서 혼련되어 탈곡된다. 수망 (24) 의 망목보다 작은 곡립 등의 탈곡물은 수망 (24) 으로부터 누하한다. 수망 (24) 으로부터 누하하지 않는 짚 부스러기 등은, 급동 (21) 의 반송 작용에 의해, 급실 (22) 우측 하부의 배진구 (23) 로부터 우측 크롤러 트랙 (2) 의 상면측을 통하여 포장의 이미 베어진 면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4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물의 선별을 실시하는 곡립 선별부로서, 전저 후고 자세의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후단측의 이송 종단부에 배치된 풍로 형성 덕트체 (10) 와, 풍로 형성 덕트체 (10) 에 선별풍을 도입하여 흡배진 (吸排塵) 하는 흡인 팬 장치 (34) 를 구비한다. 수망 (24) 의 하방에 곡립 취출 컨베이어 (36) 를 횡가시키는 것으로, 급동 (21) 으로 탈곡되어 수망 (24) 으로부터 누하한 탈곡물은, 곡립 취출 컨베이어 (36) 와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를 통하여 풍로 형성 덕트체 (10) 내부에 반입됨과 함께, 풍로 형성 덕트체 (10) 내부에 반입된 탈곡물은, 흡인 팬 장치 (34) 의 바람 선별 작용에 의해, 무거운 곡립과, 가벼운 짚 부스러기 등으로 선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탈곡부 (9) 의 좌측부에 있어서, 탈곡부 (9) 와 벼 수용부 (6) 사이에 전저 후고 자세로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를 연장 형성시킨다. 곡립 취출 컨베이어 (36) 좌측 단부의 이송 종단측에,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전단부의 이송 시단측을 연결시킨다. 탈곡부 (9) 의 단면 V 자 형상의 곡립 취출 저부에 곡립 취출 컨베이어 (36) 를 내장 형성시킨다. 수망 (24) 으로부터 곡립 취출 컨베이어 (36) 에 누하한 곡립은, 곡립 취출 컨베이어 (36) 좌측 단부로부터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전단부로 이송되고,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후단측의 풍로 형성 덕트체 (10) 로부터 벼 수용부 (6) 에 이송되어, 벼 수용부 (6) 의 벼 주머니 (37) 에 수집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벼 수용부 (6) 에는, 주행 기체 (1) 좌측 후단부에 받침대 지지 프레임 (38a) 을 통하여 연결시키는 벼 수용대 (38) 와, 주행 기체 (1) 좌측 후단부에 지주 프레임체 (39) 를 통하여 장착하는 벼 수용 아암체 (39a) 를 형성한다. 또한, 지주 프레임체 (39) 의 상단측에 풍로 형성 덕트체 (10) 를 지지시키고, 풍로 형성 덕트체 (10) 의 곡립 출구에 충전 호퍼 (19) 를 형성하는 것으로, 벼 수용 아암체 (39a) 에 벼 주머니 (37) 를 매달아, 충전 호퍼 (19) 에 벼 주머니 (37) 의 개구부를 장착하고, 충전 호퍼 (19) 로부터 배출되는 곡립이 벼 주머니 (37) 내부에 충전된다.
한편, 도 4 ∼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조작부 (5) 에는, 조종 칼럼 (41) 을 배치한다. 조종 칼럼 (41) 에는, 주행 기체 (1) 의 진로를 변경하는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레버 (43, 44) 와, 주행 기체 (1) 의 이동 속도를 전환하는 주행 변속 레버 (45) 와, 예취부 (3) 또는 탈곡부 (9) 를 구동 또는 정지 조작하는 작업 클러치 레버 (46) 와, 예취부 (3) 를 승강 조작하는 예취 승강 레버 (47) 와, 주차 브레이크 레버 (48) 를 배치한다. 또한, 조종 칼럼 (41) 의 후면측에 보행용 핸들 (49) 을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시키고, 보행용 핸들 (49) 의 좌측 손잡이부에 액셀 레버 (40) 를 장착한다. 조종 칼럼 (41) 상면측에, 좌우 사이드 클러치 레버 (43, 44) 와, 예취 승강 레버 (47) 와, 주행 변속 레버 (45) 를, 우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좌우 방향으로 병렬 배치하고, 기체 내측방의 주행 변속 레버 (45) 의 조작 위치를 다른 레버 (43, 44, 46, 47) 의 조작 위치보다 높게 형성하고, 대략 일정 속도로 포장을 이동하는 수확 작업 중에 조작 빈도가 낮아지는 주행 변속 레버 (45) 를 기체 내측방으로 지지하고, 동일하게 수확 작업 중에 조작 빈도가 높은 사이드 클러치 레버 (43, 44) 와 예취 승강 레버 (47) 를 기체 외측방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종 칼럼 (41) 의 후방에는, 오퍼레이터가 좌승하는 운전 좌석 (42) 을 착탈 가능하게 배치한다. 주행 기체 (1) 의 우측 후단부에 운전석 브래킷체 (111) 를 형성하고, 운전석 브래킷체 (111) 에 운전석 프레임 (112) 의 전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한다. 또한, 상부 기체 프레임 (1b) 의 우측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운전석 프레임 (112) 의 후단측을 대략 수평으로 연장 형성하고, 운전석 프레임 (112) 의 후단부에 운전 좌석 (42) 을 장착하고, 운전석 프레임 (112) 을 개재하여 운전 조작부 (5) 후방에 운전 좌석 (42) 을 배치하여, 운전 좌석 (42) 에 좌승한 오퍼레이터가, 운전 조작부 (5) 의 각 레버 (43, 44, 45, 46, 47, 48) 등을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좌석 (42) 에 좌승하는 오퍼레이터의 발 밑과 오른쪽의 크롤러 트랙 (2) 후단부 사이에 배치하는 발 밑 가드체 (114) 를 구비한다. 운전석 브래킷체 (111) 의 하면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가드체 지지 프레임 (115) 을 연장 형성하고, 가드체 지지 프레임 (115) 에 발 밑 가드체 (114) 를 고착시키고, 오퍼레이터의 발 밑이 오른쪽의 크롤러 트랙 (2) 에 접촉하는 것을 발 밑 가드체 (114) 로 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하여, 운전석 프레임 (112) 의 전후 중간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다리 올림 프레임 (112a) 을 연장 형성하고, 다리 올림 프레임 (112a) 의 하단부에 다리 올림대 (113) 를 고착시켜, 운전 좌석 (42) 에 좌승한 오퍼레이터의 다리를 다리 올림대 (113) 에 올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7 ∼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 (1) 의 하면측에 좌우의 전지각체 (32) 및 후지각체 (33) 를 하향으로 돌출 형성시켜, 주행 기체 (1) 하면측에 좌우의 각 지각체 (32, 33) 를 통하여 좌우의 트랙 프레임 (50) 을 배치하고 있다. 트랙 프레임 (50) 에는, 크롤러 트랙 (2) 에 엔진 (7) 의 동력을 전하는 구동 스프로킷 (51) 과, 크롤러 트랙 (2) 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기구 (53) 를 개재하여 지지하는 텐션 롤러 (52) 와, 크롤러 트랙 (2) 의 접지측을 접지 상태로 유지하는 복수의 트랙 롤러 (54) 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텐션 롤러 (52) 에 의해 크롤러 트랙 (2) 의 전측을 지지시키고, 구동 스프로킷 (51) 에 의해 크롤러 트랙 (2) 의 후측을 지지시키고, 트랙 롤러 (54) 에 의해 크롤러 트랙 (2) 의 접지측을 수평 자세로 지지시키고, 크롤러 트랙 (2) 의 비접지측을 전저 후고 자세로 지지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7 ∼ 도 14 를 참조하여 콤바인의 구동 구조를 설명한다. 도 11,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유압 펌프 (30) 및 주행 유압 모터 (31) 가 내장된 주행 변속용의 유압 무단 변속기 (64) 를 미션 케이스 (63) 에 형성한다. 주행 기체 (1) 의 중앙 상면에 엔진 (7) 을 탑재하고, 엔진 (7) 후방의 주행 기체 (1) 후부에 미션 케이스 (63) 를 배치한다. 또한, 엔진 (7) 으로부터 좌측방으로 돌출시킨 엔진 출력 축 (65) 상의 주행 구동 풀리 (69) 와, 미션 케이스 (63) 로부터 좌측방으로 돌출시킨 변속 입력 축 (66) 상의 변속 입력 풀리 (70) 를, 전측 주행 출력 벨트 (67a) 와 후측 주행 출력 벨트 (67b) 를 통하여 연결한다.
또한, 텐션 롤러형의 주행 클러치 (68) 로 전측 주행 출력 벨트 (67a) 를 긴장시키고, 엔진 (7) 으로부터 미션 케이스 (63) 에 동력을 전달하여, 좌우의 크롤러 트랙 (2) 을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8,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속 입력 풀리 (70) 좌측의 기외 측면에 입력 풀리 팬 (70a) 을 고착시키고, 입력 풀리 팬 (70a) 으로 유압 무단 변속기 (64) 를 공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하여, 도 10, 도 13,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 (1) 상에 중간 프레임 (131) 을 뒤로 경사진 자세로 세워 형성시키고, 중간 프레임 (131) 의 상단측에 중간축 (132) 을 개재하여 좌측 중간 풀리 (133) 와 우측 중간 풀리 (134) 를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고, 주행 구동 풀리 (69) 와 좌측 중간 풀리 (133) 사이에 주행 클러치 (68) 를 통하여 전측 주행 출력 벨트 (67a) 를 걸어 돌림과 함께, 우측 중간 풀리 (134) 와 변속 입력 풀리 (70) 사이에 후측 주행 출력 벨트 (67b) 를 걸어 돌리고 있다. 엔진 (7) 후측의 미션 케이스 (63) 를 기체 전후 중심선에 대하여 기체 우측쪽으로 배치하고, 주행 구동 풀리 (69) 의 장착 위치에 대하여 변속 입력 풀리 (70) 의 장착 위치를 주행 기체 (1) 의 중앙쪽으로 형성한다.
후측 주행 출력 벨트 (67b) 후단측의 변속 입력 풀리 (70) 에 지지된 입력 풀리 팬 (70a) 은, 전측 주행 출력 벨트 (67a) 의 후측방에 배치된다. 엔진 (7) 의 후방에서 좌우 크롤러 트랙 (2) 사이에, 미션 케이스 (63) 상부에 유압 무단 변속기 (64) 를 일체적으로 상재 고정시킬 수 있고, 중량 부품인 엔진 (7) 과 미션 케이스 (63) 를 기체 좌우 폭 중앙부 (기체 전후 중심선 부근) 에 지지하여, 기체의 좌우 방향의 중량 밸런스를 양호하게 형성하고 있다.
도 7 ∼ 도 11, 도 13,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예취부 (3) 와 급동 (21) 을 구동하기 위한 카운터축 (72) 을 구비한다. 좌측 베어링체 (71a) 와 우측 베어링체 (71b) 를 통하여 주행 기체 (1) (상부 기체 프레임 (1b)) 상면측에 카운터축 (72) 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엔진 (7) 으로부터 좌측방으로 돌출시킨 출력 축 (65) 상의 탈곡 구동 풀리 (57) 와, 카운터축 (72) 좌측 단부의 카운터 축 풀리 (58) 를, 탈곡 구동 벨트 (59) 를 통하여 연결한다. 텐션 롤러형의 작업 클러치 (60) 로 탈곡 구동 벨트 (59) 를 긴장시켜, 엔진 (7) 으로부터 카운터축 (72) 에 동력을 전달시킨다.
또한, 카운터축 (72) 우측 단부에 카운터축 스프로킷 (73) 을 축 지지한다. 카운터축 스프로킷 (73) 과, 급동축 (20) 우측 단부의 급동축 입력 스프로킷 (74) 을, 탈곡 구동 체인 (75) 으로 연결하고, 카운터축 (72) 을 통하여 급동 (21) 을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급동축 (20) 우측 단부에 곡립 송출 스프로킷 (76) 을 축 지지한다. 곡립 송출 스프로킷 (76) 과, 곡립 취출 컨베이어 (36) 우측 단부의 송출 입력 스프로킷 (77) 을, 송출 구동 체인 (78) 으로 연결하고, 카운터축 (72) 을 통하여 곡립 취출 컨베이어 (36) 를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하여, 곡립 취출 컨베이어 (36) 좌측 단부에 곡립 배출 스프로킷 (79) 을 통하여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의 이송 시단측을 연결한다.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는, 무단 띠상의 곡립 배출 체인 (8a) 과, 곡립 배출 체인 (8a) 에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복수의 곡립 배출판체 (8b) 를 갖는다. 곡립 배출 스프로킷 (79) 에 곡립 배출 체인 (8a) 을 걸어 돌리고, 곡립 취출 컨베이어 (36) 와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를 연동하여 구동하고, 곡립 취출 컨베이어 (36) 좌측 단부에 취출된 곡립을, 복수의 곡립 배출판체 (8b) 로 풍로 형성 덕트체 (10) 를 향하여 반송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카운터축 (72) 좌측 단부의 팬 구동 풀리 (82) 와, 흡인 팬 장치 (34) 의 팬축 (34a) 상의 송풍 팬 풀리 (83) 를, 팬 구동 벨트 (84) 로 연결하고, 급동 (21) 과 흡인 팬 장치 (34) 의 흡배진 팬 (34b) 을 연동하여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조종 칼럼 (41) 의 좌측부에 배치한 작업 클러치 레버 (46) 의 작업 클러치 (60) 가 들어간 조작으로, 탈곡부 (9) 의 각부 (급동 (21), 각 컨베이어 (8, 36), 흡배진 팬 (34b)) 를 정속 회전수로 구동하고 있다.
이어서, 도 1 ∼ 도 3, 도 7, 도 8, 도 11 을 참조하여 예취부 (3) 의 구동 구조를 설명한다. 급동축 (20) 좌측 단부에 형성하는 급동축 출력 스프로킷 (85) 과, 예취부 (3) 의 승강 지점인 예취 입력 축 (18) 좌측 단부에 형성하는 예취 입력 스프로킷 (86) 을, 예취 입력 체인 (87) 으로 연결한다. 예취부 (3) 전체를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예취 입력 축 (18) 을 통하여, 급동 (21) 과 공급 컨베이어 (17) 를 연동하여 구동한다. 또한, 예취부 (3) 의 곡물 헤더 (12) 좌측부의 후면측에 1 쌍의 헤더 구동 베어링체 (141) 를 통하여 헤더 구동축 (91) 을 형성한다. 헤더 구동축 (91) 의 우측 단부에, 헤더 구동 스프로킷 (88, 89) 및 헤더 구동 체인 (90) 을 통하여 예취 입력 축 (18) 의 좌측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곡물 헤더 (12) 에 레이킹 오거 (13) 를 축 지지하는 레이킹 축 (93) 을 구비하고 있다. 레이킹 축 (93) 의 좌측 단부에, 레이킹 구동 체인 (92) 및 레이킹 구동 스프로킷 (94, 95) 을 통하여 헤더 구동축 (91) 의 좌측 단부를 연결한다. 예취 입력 축 (18) 과 헤더 구동축 (91) 을 통하여 레이킹 오거 (13) 를 구동한다.
또한,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물 헤더 (12) 상면에 릴 지지 프레임 (151) 기단부를 고착시킨다. 또한, 레이킹 릴 (14) 을 축 지지하는 릴 축 (96) 을 구비하고, 좌우의 릴 지지 프레임 (151) 선단부에 릴 축 (96) 의 좌우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한다. 곡물 헤더 (12) 의 상면측에 좌우의 릴 지지 프레임 (151) 을 통하여 레이킹 릴 (14) 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곡물 헤더 (12) 의 좌우 측면에 좌우의 릴 지지 프레임 (151) 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릴 지지 아암 (155) 을 구비한다.
또한, 곡물 헤더 (12) 의 우측면부에 릴 구동축 (153) 을 형성하고, 릴 구동축 (153) 에 릴 구동 스프로킷 (98) 과 릴 구동 풀리 (161) 를 유전 축 지지함과 함께, 릴 구동 스프로킷 (98) 과 릴 구동 풀리 (161) 를 일체적으로 고착하고 있다. 레이킹 축 (93) 의 우측 단부에 형성한 릴 입력 스프로킷 (99) 과 릴 구동 스프로킷 (98) 에 릴 구동 체인 (97) 을 걸어 돌린다. 릴축 (96) 의 우측 단부에 형성한 릴 종동 풀리 (163) 와 릴 구동 풀리 (161) 에 릴 구동 벨트 (164) 를 걸어 돌린다.
더하여, 릴 구동 텐션 아암 (165) 선단부에 릴 구동 텐션 풀리 (166) 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시킨다. 릴 구동 체인 (97) 과 릴 구동 벨트 (164) 를 통하여, 헤더 구동축 (91) 에 릴 축 (96) 을 연동 연결하고 있다. 또한, 릴 구동축 (153) 에 릴 구동 텐션 아암 (165) 기단부를 지지시키고, 릴 구동 벨트 (164) 에 릴 구동 텐션 풀리 (166) 를 릴 구동 텐션 스프링력으로 탄압시키고, 릴 구동 텐션 풀리 (166) 로 릴 구동 벨트 (164) 를 긴장 지지하고 있다. 또한, 예취부 (3) 좌측의 체인 커버체 (169) 에 레이킹 구동 체인 (92) 을 내장 형성함과 함께, 예취부 (3) 우측의 벨트 커버체 (170) 에 릴 구동 벨트 (164) 를 내장 형성한다.
또한, 레이킹 축 (93) 의 우측 단부에는, 칼날 구동 크랭크 기구 (100) 를 통하여 칼날 (15) 이 연결되어 있다. 작업 클러치 레버 (46) 의 작업 클러치 (60) 가 들어간 조작으로, 예취부 (3) 의 각부 (공급 컨베이어 (17) 와, 레이킹 오거 (13) 와, 레이킹 릴 (14) 과, 칼날 (15)) 가 구동되어, 포장의 아직 베지 않은 곡간의 칼날측을 연속적으로 예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예취부 (3) 우측의 칼날 구동 커버체 (171) 에 칼날 구동 크랭크 기구 (100) 를 내장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2 를 참조하여 콤바인의 유압 회로 구조를 설명한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변속용의 유압 무단 변속기 (64) 의 주행 유압 펌프 (30) 및 주행 유압 모터 (31) 를 폐루프 유압 회로 (211) 로 접속함과 함께, 폐루프 유압 회로 (211) 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차지 펌프 (212) 를 형성한다. 또한, 승강 밸브 (213) 를 갖는 승강 유압 회로 (216) 를 구비하고, 예취 승강 레버 (47) 조작으로 승강 밸브 (213) 를 전환함과 함께,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를 상승 이동시키는 작업 펌프 (215) 를 형성한다. 변속 입력 축 (66) 을 통하여 차지 펌프 (212) 와 작업 펌프 (215) 를 주행 유압 펌프 (30) 와 연동하여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작동유 탱크 (55) 의 작동유가, 차지 펌프 (212) 와 작업 펌프 (215) 로, 유압 무단 변속기 (64) 또는 승강 유압 회로 (216) 에 압송되는 것으로, 주행 유압 펌프 (30) 로 주행 유압 모터 (31) 를 작동시켜 무단 변속 출력하는 한편, 작업 펌프 (215) 로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를 상승 이동시켜, 예취부 (3) 를 승강 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하여, 유압 무단 변속기 (64) 또는 승강 유압 회로 (216) 로부터 오일 쿨러 (217) 를 통하여 작동유 탱크 (55) 에 작동유가 되돌가오도록 구성하고 있다. 오일 쿨러 (217) 는, 중간축 (132) 에 형성한 냉각 쿨러 팬 (218) 으로 공냉하고, 작동유 탱크 (55) 의 작동유를 소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도 7 ∼ 도 10, 도 13, 도 14 를 참조하여, 주행 기체 (1) 의 구조를 설명한다.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과 지주 프레임 (1c) 으로 주행 기체 (1) 를 상하 다단의 노 (櫓) 구조로 구성하고 있다. 전지각체 (32) 와 후지각체 (33) 를 통하여 하부 기체 프레임 (1a) 의 하면측에 좌우의 트랙 프레임 (50) 을 고착시키고, 좌우의 트랙 프레임 (50) 을 통하여 좌우의 크롤러 트랙 (2) 을 부착 형성시킨다. 또한, 상부 기체 프레임 (1b) 상면의 탑재부에 엔진 (7) 하면을 연결하고, 상부 기체 프레임 (1b) 에 엔진 (7) 을 탑재하는 것으로, 엔진 (7) 은, 운전 조작부 (5) 와 벼 수용부 (6) 사이의 주행 기체 (1) 중앙부에 배치된다.
즉, 주행 기체 (1) 의 좌우 폭 중앙부에 엔진 (7) 이 배치됨과 함께, 엔진 (7) 을 중심으로, 엔진 (7) 우측방의 상부 기체 프레임 (1b) 후부 (주행 기체 (1) 의 후방 우측) 에 운전 조작부 (5) 가 배치되고, 엔진 (7) 좌측방의 상부 기체 프레임 (1b) 후부 (주행 기체 (1) 의 후방 좌측) 에 벼 수용부 (6) 가 배치되는 것으로, 엔진 (7) 이 탑재된 상부 기체 프레임 (1b) 의 우측 상면에 배터리 (56) 를 배치하고, 엔진 (7) 의 시동 전원 등으로 배터리 (56) 를 이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부 기체 프레임 (1b) 전단측보다 전방에 하부 기체 프레임 (1a) 전단측을 연장 형성하고, 하부 기체 프레임 (1a) 의 전단측 상면에 탈곡부 (9) 저부를 재치한다. 탈곡부 (9) 후방측의 상부 기체 프레임 (1b) 상면에 엔진 (7) 을 설치하고, 탈곡부 (9) 상면 높이와 엔진 (7) 상면 높이를 일치시켜 대략 동일 높이로 형성하는 것으로, 엔진 (7) 의 설치면 (상부 기체 프레임 (1b) 상면) 보다 탈곡부 (9) 의 설치면 (하부 기체 프레임 (1a) 상면) 을 낮게 형성한다. 탈곡부 (9) 좌측 전부의 낮은 위치에 급구 공급판 (9a) 을 배치하고, 주행 기체 (1) 의 낮은 위치에 탈곡부 (9) 의 급구 (9b) (예취 곡간 입구) 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부 기체 프레임 (1a) 의 전단부에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를 장착함과 함께, 상부 기체 프레임 (1b) 전단부 (탈곡부 (9) 후면) 와 하부 기체 프레임 (1a) 사이에 작동유 탱크 (55) 를 배치하고,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등의 작동유를 작동유 탱크 (55) 에 저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른 한편, 좌우의 트랙 프레임 (50) 후단에 하부 기체 프레임 (1a) 의 후단을 좌우의 후지각체 (33) 로 연결하고, 좌우의 후지각체 (33) 의 상단측을 하부 기체 프레임 (1a) 의 후방 상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시키고, 좌우의 후지각체 (33) 의 상단측에 미션 케이스 (63) 양측의 좌우 차축 케이스 (63a) 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하부 기체 프레임 (1a) 의 후단측보다 후방에 상부 기체 프레임 (1b) 의 후단측을 연장 형성하고, 상부 기체 프레임 (1b) 의 후단측에 상부 연결체 (62) 를 통하여 미션 케이스 (63) 의 상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후지각체 (33) 의 상단측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의 후단측에 미션 케이스 (63) 를 뒤로 경사진 자세로 배치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 (63) 하단측의 좌우 차축 케이스 (63a) 에 좌우 구동 스프로킷 (51) 을 통하여 좌우 크롤러 트랙 (2) 의 후단부를 부착 형성시키고 있다. 즉, 후지각체 (33) 의 상단측에 좌우 차축 케이스 (63a) 를 통하여 구동 스프로킷 (51) 을 지지하고, 트랙 프레임 (50) 전단부의 텐션 롤러 (52) 와 후지각체 (33) 상단측의 구동 스프로킷 (51) 사이에 크롤러 트랙 (2) 의 비접지측을 부착 형성하고, 크롤러 트랙 (2) 의 비접지측을 앞이 내려가도록 경사시킨 전저 후고 자세로 지지하고 있다.
한편, 상부 기체 프레임 (1b) 의 우측 후단부와 좌측의 차축 케이스 (63a) 에 양단측을 볼트 체결시키는 미션 보호 프레임 (116) 을 구비하고, 미션 케이스 (63) 의 후측을 미션 보호 프레임 (116) 으로 둘러쌈과 함께, 미션 보호 프레임 (116) 에 미션 보호 커버 (117) 를 장착하고, 미션 케이스 (63) 상부의 유압 무단 변속기 (64) 의 상방측 및 후방측을 미션 보호 커버 (117) 로 덮도록 구성하고 있다.
주행 기체 (1) 전부의 상부 기체 프레임 (1b) 의 상방에 카운터축 (72) 을 수평 자세로 가교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부 기체 프레임 (1b) 의 좌측 상면에 측판 지지 프레임 (145) 과 엔진측 판체 (146) 를 세워 형성시키고, 측판 지지 프레임 (145) 과 엔진측 판체 (146) 를 연결 고정시키고, 측판 지지 프레임 (145) 에 탈곡 텐션 아암 (147) 기단측을 장착하고, 전방으로 연장 형성한 탈곡 텐션 아암 (147) 선단측에 작업 클러치 (60) 를 배치하고, 작업 클러치 (60) 를 통하여 탈곡 구동 벨트 (59) 를 부착 형성하고, 엔진 (7) 의 출력 축 (65) 에 카운터축 (72) 을 연결시키고 있다.
지주 프레임체 (39) 에 흡인 팬 장치 (34) 의 팬 케이스 (29) 를 고착시키고, 엔진측 판체 (146) 좌측의 기외 측면에 흡인 팬 장치 (34) 를 배치하고, 엔진 (7) 의 좌측방에 엔진측 판체 (146) 를 통하여 흡인 팬 장치 (34) 를 배치 형성하고 있다. 엔진측 판체 (146) 를 통하여 흡인 팬 장치 (34) 에 엔진 (7) 주변의 난기를 빨아들이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주행 클러치 (68) 가 지지된 주행 텐션 아암 (149) 을 중간 프레임 (131) 에 지지시킴과 함께, 탈곡 구동 벨트 (59) 와, 전측 주행 출력 벨트 (67a) 와, 후측 주행 출력 벨트 (67b) 와, 팬 구동 벨트 (84) 가 배치된 엔진 (7) 의 좌측에 벨트 커버체 (183) 를 부착 형성시키고 있다. 상기 각 벨트 (59, 67a, 67b, 84) 의 상면측을 따라 벨트 커버체 (183) 의 상면 벽부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키고 있다.
측판 지지 프레임 (145) 의 전측에 엔진측 판체 (146) 를 세워 형성함과 함께, 엔진 (7) 의 좌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키는 탈곡 구동 벨트 (59) 와, 전측 주행 출력 벨트 (67a) 와, 후측 주행 출력 벨트 (67b) 와, 팬 구동 벨트 (84) 의 각각의 상면측과 좌측면측이, 엔진측 판체 (146) 와 벨트 커버체 (183) 의 좌측 벽부 및 상면 벽부로 폐색되고, 엔진측 판체 (146) 와 벨트 커버체 (183) 로 덮인 상기 각 벨트 (59, 67a, 67b, 84) 설치 공간의 외기가 냉각 쿨러 팬 (218) 을 통하여 오일 쿨러 (217) 에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엔진측 판체 (146) 와 벨트 커버체 (183) 의 하면측 개구부 (상부 기체 프레임 (1b) 설치부 또는 엔진 (7) 재치부의 부근) 에 있어서의 짚 부스러기가 비교적 적은 장소로부터, 엔진측 판체 (146) 와 벨트 커버체 (183) 로 덮인 공간 내부에 외기가 빨려들어가, 그 공간 내부의 외기를 냉각 쿨러 팬 (218) 으로 오일 쿨러 (217) 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짚 부스러기 등의 분진이 비교적 적은 공기를 냉각풍으로서 오일 쿨러 (217) 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4 ∼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크롤러 트랙 (2) 의 후부에 벼 수용대 (38) 를 배치시키고, 충전 호퍼 (19) 의 벼 투입구 (19a) 를 벼 수용대 (38) 상방에 배치하고, 벼 투입구 (19a) 에 벼 주머니 (37) 를 장착하고, 벼 주머니 (37) 에 벼를 충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벼가 충전된 벼 주머니 (37) 를 포장에 낙하시키고, 벼 투입구 (19a) 에 빈 벼 주머니 (37) 를 순차적으로 장착하여, 곡립 배출 컨베이어 (8) 로부터 풍로 형성 덕트체 (10) 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반출되는 벼 (곡립) 를, 복수의 벼 주머니 (37) 에 충전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 도 7, 도 13, 도 1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 (21) 은, 동일 원주 상에 배치하는 4 개의 환파이프제의 동체 프레임 (21a) 과, 동체 프레임 (21a) 에 등간격으로 외향의 자세로 세워 형성시키는 다수 개의 V 자 형상의 급치 (扱齒) (21b) 와, 배진구 (23) 에 대향하는 동체 프레임 (21a) 우측 단부의 외주면에 세워 형성시키는 배진 날개판체 (21c) 를 갖는다. 급동 (21) 의 원판 형상의 좌우 측판체 (21d) 의 외주에 각 동체 프레임 (21a) 의 양단부를 고착시킴과 함께, 급치 (21b) 의 V 자 형상의 양단부를 동체 프레임 (21a) 에 용접 고정시키고 있다.
또한, 주행 기체 (1) 의 전부 상면측에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게 가교 형성시키는 단면의 끝면이 역 V 자 형상 (∧ 형) 인 전부 프레임체 (121) 와 단면의 끝면이 L 형인 후부 프레임체 (122) 를 구비한다. 하부 기체 프레임 (1a) (주행 기체 (1)) 의 전단부에 단면의 끝면이 역 V 자 형상 (∧ 형) 인 전부 프레임체 (121) 를 용접 고정시킴과 함께, 상부 기체 프레임 (1b) 전단부가 일체적으로 연결된 지주 프레임 (1c) (주행 기체 (1)) 의 상단부에 단면의 끝면이 L 자 형상인 후부 프레임체 (122) 를 용접 고정시킨다.
하부 기체 프레임 (1a) 전단부에 좌우의 탈곡 장착대 (128) 의 하단측을 용접 고정시키고, 좌우의 탈곡 장착대 (128) 의 상단부에 전부 프레임체 (121) 하면을 용접 고정시킴과 함께, 왼쪽의 탈곡 장착대 (128) 에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를 장착하고 있다. 지주 프레임 (1c) 보다 탈곡 장착대 (128) 를 단척으로 형성하고, 전부 프레임체 (121) 의 지지 높이보다 후부 프레임체 (122) 의 지지 높이를 높게 형성하고 있다.
단면의 끝면이 역 V 자 형상 (∧ 형) 인 전부 프레임체 (121) 에, 단면의 끝면이 역 V 자 형상 (∧ 형) 인 전부 동살 프레임체 (123) 를 상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합체시켜, 전부 프레임체 (121) 에 전부 동살 프레임체 (123) 를 착탈 가능하게 볼트 (125) 체결함과 함께, 단면의 끝면이 L 자 형상인 후부 프레임체 (122) 에, 단면의 끝면이 L 자 형상인 후부 동살 프레임체 (124) 를 상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합체시켜, 후부 프레임체 (122) 에 후부 동살 프레임체 (124) 를 볼트 (126) 체결한다.
단면의 끝면이 역 V 자 형상인 전부 프레임체 (121) 에 상기 탈곡부 (9) 의 역 V 자 형상 저면부 (전부 동살 프레임체 (123)) 를 고정시킴과 함께, 단면의 끝면이 L 자 형상인 후부 프레임체 (122) 에 상기 탈곡부 (9) 후부의 L 자 형상 후부 (후부 동살 프레임체 (124)) 를 고정시키고, 전부 프레임체 (121) 와 후부 프레임체 (122) 에 탈곡부 (9) 저면측을 상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합체시키는 것으로, 탈곡부 (9) 저부의 곡립 취출통 (25) 에 곡립 취출 컨베이어 (36) 를 배치 형성하고, 곡립 취출통 (25) 의 외측면에 전부 동살 프레임체 (123) 를 개재하여 전부 프레임체 (121) 를 접합시켜 지지하고 있다.
이어서, 도 12, 도 16 ∼ 도 19 를 참조하여, 작동유 탱크 (55), 미션 케이스 (63), 오일 쿨러 (217) 가 배치된 유압 회로 구조를 설명한다.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주 프레임체 (39) 의 기내 측면에 케이스 브래킷체 (411) 를 통하여 쿨러 케이스체 (412) 를 고착시키고, 오일 쿨러 (217) 와 냉각 쿨러 팬 (218) 을 쿨러 케이스체 (412) 에 내장 형성하고 있다. 벼 수용부 (6) 의 벼 수용 지주로서의 지주 프레임체 (39) 에 오일 쿨러 (217) 를 장착하고, 지주 프레임체 (39) 를 통하여 엔진 (7) 의 후측방에, 오일 쿨러 (217) 와 냉각 쿨러 팬 (218) 을 배치하여, 오일 쿨러 (217) 의 지지 부재를 특별히 설치하지 않고, 지주 프레임체 (39) 를 이용하여 오일 쿨러 (217) 를 고강성으로 지지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더하여, 엔진 (7) 과 유압 무단 변속기 (64) 사이의 전달 직경로에 중간축 (132) 을 형성하고, 유압 무단 변속기 (64) 의 작동유를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 (217) 와 냉각 쿨러 팬 (218) 을 중간축 (132) 의 근방에 설치하고 있다. 주행 기체 (1) 의 좌우 방향으로 중간축을 연장 형성시켜, 중간축 (132) 의 좌측 단부 (기외 측단부) 에 냉각 쿨러 팬 (218) 을 장착하고, 중간축 (132) 의 장착 위치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선정하고, 오일 쿨러 (217) 또는 냉각 쿨러 팬 (218) 에 대응시켜 각 장착 위치를 결정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한편, 주행 기체 (1) (상부 기체 프레임 (1b)) 의 좌우 폭 중앙부에 미션 브래킷체 (413) 를 개재하여 미션 케이스 (63) 전면을 고착시키고, 주행 기체 (1) 후부에 미션 케이스 (63) 를 배치한다. 중간축 (132) 의 기외 측단부에 냉각 쿨러 팬 (218) 을 형성하고, 냉각 쿨러 팬 (218) 의 기외 측방에 오일 쿨러 (217) 를 배치하고, 미션 케이스 (63) 상부 좌측의 유압 무단 변속기 (64) 에 오일 쿨러 (217) 를 근접시켜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탈곡부 (9) 를 주행 기체 (1) 상면에 탑재하고, 탈곡부 (9) 후방에 엔진 (7) 과 벼 수용부 (6) 를 배치하고, 엔진 (7) 후측방의 좌우 후부에 벼 수용부 (6) 와 조종 칼럼 (41) 을 병설함과 함께, 미션 케이스 (63) 상부에 유압 무단 변속기 (64) 와 밸브 블록체 (214) 를 병설하고, 미션 케이스 (63) 상부 우측의 밸브 블록체 (214) 에 승강 밸브 (213) 등을 내장 형성한다. 미션 케이스 (63) 를 사이에 두고 조종 칼럼 (41) 과 반대측에 냉각 쿨러 팬 (218) 을 배치하고, 유압 무단 변속기 (64) 와 오일 쿨러 (217) 와 냉각 쿨러 팬 (218) 이 배치 구비된 고주행 성능의 주행부 구동 구조를 구성한다.
또한,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기체 프레임 (1a) 에 탱크 장착대 (421) 를 일체적으로 고정시키고, 탱크 장착대 (421) 에 탱크 브래킷체 (422) 를 통하여 작동유 탱크 (55) 하부를 고착시킴과 함께, 상부 기체 프레임 (1b) 에 기립 브래킷체 (423) 를 통하여 작동유 탱크 (55) 상부를 고착시키고 있다.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에 작동유 탱크 (55) 를 체결 고정시키는 것으로, 주행 기체 (1) 를 상하 다단 구조로 형성하는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사이에, 미션 케이스 (63) 상부의 유압 무단 변속기 (64) 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작동유 탱크 (55) 를 장착하고, 작동유 탱크 (55) 의 크기를 제한하지 않고, 엔진 (7) 보다 낮은 위치에서 냉각 효율이 양호한 장소에 작동유 탱크 (55) 를 설치하고 있다.
즉,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탈곡부 (9) 를 주행 기체 (1) 상면에 탑재하고, 탈곡부 (9) 후방에 엔진 (7) 과 벼 수용부 (6) 를 배치하고, 상부 기체 프레임 (1b) 의 상면에 엔진 (7) 을 탑재함과 함께, 상부 기체 프레임 (1b) 전단측보다 전방에 하부 기체 프레임 (1a) 전단측을 연장 형성하고, 하부 기체 프레임 (1a) 의 전단측 상면에 전부 프레임체 (121) 를 통하여 탈곡부 (9) 를 재치시키고, 탈곡부 (9) 후측과 엔진 (7) 전측 사이의 하방에 작동유 탱크 (55) 를 배치시키고, 가로 배치 자세의 탈곡부 (9) 후방에 엔진 (7) 을 근접시켜 컴팩트하게 콤바인 기체를 구성하고, 탈곡부 (9) 와 엔진 (7) 사이의 하방에 대용량의 작동유 탱크 (55) 를 지지시키고 있다.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 (55) 의 상면에 주유 캡 (424) 을 형성하고, 작동유 탱크 (55) 의 전면 하부에 드레인 캡 (425) 을 형성한다. 탈곡부 (9) 와 엔진 (7) 사이에 작동유 탱크 (55) 의 메인터넌스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탈곡부 (9) 와 엔진 (7) 사이로부터 주유 캡 (424) 또는 드레인 캡 (425) 의 개폐 조작 등을 실행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작동유 탱크 (55) 의 착탈 작업 또는 작동유 탱크 (55) 로의 작동유의 보충 작업 또는 작동유 탱크 (55) 내의 작동유의 교환 작업 등을 간략화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 12,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 (55) 내부에 오일 필터 (431, 432) 등을 내장한다. 또한, 미션 케이스 (63) 상부의 유압 무단 변속기 (64) 또는 밸브 블록체 (214) 또는 오일 쿨러 (217) 와, 주행 기체 (1) 전부의 작동유 탱크 (55) 를 유압 접속하는 공급 유압 배관 (433, 434) 및 복귀 유압 배관 (435, 436, 437) 을,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사이에 연장 형성하고 있다.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으로 각 유압 배관 (433 ∼ 437) 의 상하측을 둘러싸고, 작동유 탱크 (55) 로 각 유압 배관 (433 ∼ 436) 의 전측을 둘러싸, 각 유압 배관 (433 ∼ 437) 을 보호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 (55) 내부의 오일 필터 (431) 에 공급 유압 배관 (433) 을 통하여 차지 펌프 (212) 를 접속시키고, 작동유 탱크 (55) 내부의 오일 필터 (432) 에 공급 유압 배관 (434) 을 통하여 작업 펌프 (215) 를 접속시키고 있다. 유압 무단 변속기 (64) 에 작동유 탱크 (55) 를 복귀 유압 배관 (435) 으로 접속시킴과 함께, 밸브 블록체 (214) 에 오일 쿨러 (217) 를 복귀 유압 배관 (436) 으로 접속시키고, 오일 쿨러 (217) 에 작동유 탱크 (55) 를 복귀 유압 배관 (437) 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작동유 탱크 (55) 내부의 작동유가 오일 쿨러 (217) 에 순환 이동하여 냉각되는 한편, 탈곡부 (9) 와 엔진 (7) 사이에 작동유 탱크 (55) 의 메인터넌스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각 유압 배관 (433 ∼ 437) 의 접속 작업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함과 함께, 오일 필터 (431, 432) 의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 등도 용이하게 실행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밸브 블록체 (214) 에 승강 유압 배관 (438) 을 통하여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를 접속시키고, 승강 밸브 (213) 의 전환 조작으로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 도 7 ∼ 도 12,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날 (15) 을 갖는 예취부 (3) 와, 급동 (21) 을 갖는 탈곡부 (9) 와, 주행부로서의 크롤러 트랙 (2) 및 엔진 (7) 을 형성하는 주행 기체 (1) 와, 복수의 조작 레버 (43 ∼ 48) 를 배치하는 조종 칼럼 (41) 을 구비하고, 크롤러 트랙 (2) 을 구동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 (63) 에 유압 무단 변속기 (64) 를 형성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유압 무단 변속기 (64) 의 작동유를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 (217) 와 냉각 쿨러 팬 (218) 을 구비하는 구조로서, 엔진 (7) 과 유압 무단 변속기 (64) 사이의 전달 직경로에 중간축 (132) 을 형성하고, 주행 기체 (1) 의 좌우 방향으로 중간축 (132) 을 연장 형성시키고, 중간축 (132) 에 냉각 쿨러 팬 (218) 을 장착하고 있다. 따라서, 중간축 (132) 의 장착 위치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오일 쿨러 (217) 에 대응시켜 냉각 쿨러 팬 (218) 의 장착 위치를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고, 소형 경량 구조의 콤바인에 탑재하는 소출력의 엔진 (7) 에 적합한 크롤러 트랙 (2) 구동 구조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탈곡부 (9) 를 주행 기체 (1) 상면에 탑재하고, 탈곡부 (9) 후방에 엔진 (7) 과 벼 수용부 (6) 를 배치함과 함께, 주행 기체 (1) 의 후부 중, 엔진 (7) 후측방의 좌우 후부에 벼 수용부 (6) 와 조종 칼럼 (41) 을 병설하여, 소형 경량 구조의 콤바인을 구성할 수 있다.
도 7 ∼ 도 12,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무단 변속기 (64) 에 엔진 (7) 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 (133, 134) 와 벨트 (67a, 67b) 를 구비하는 구조로서, 풀리 (133, 134) 가 축 지지되는 중간축 (132) 의 기외 측단부에 냉각 쿨러 팬 (218) 을 형성하고, 냉각 쿨러 팬 (218) 의 기외 측방으로 오일 쿨러 (217) 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미션 케이스 (63) 상부의 유압 무단 변속기 (64) 에 오일 쿨러 (217) 를 근접시켜 컴팩트하게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엔진 (7) 후방의 먼지가 적은 공기를 냉각풍으로서 오일 쿨러 (217) 에 공급할 수 있다.
도 7 ∼ 도 12,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7) 후방의 주행 기체 (1) 에 미션 케이스 (63) 를 배치시키고, 엔진 (7) 과 미션 케이스 (63) 의 유압 무단 변속기 (64) 사이의 전달 직경로에 중간축 (132) 을 형성하고, 주행 기체 (1) 의 좌우 방향으로 중간축 (132) 을 연장 형성시키고, 중간축 (132) 에 냉각 쿨러 팬 (218) 을 장착함과 함께, 미션 케이스 (63) 를 사이에 두고 조종 칼럼 (41) 과 반대측에 냉각 쿨러 팬 (218) 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유압 무단 변속기 (64) 와 오일 쿨러 (217) 와 냉각 쿨러 팬 (218) 을 구비하여, 고주행 성능의 주행부 (크롤러 트랙 (2)) 구동 구조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서, 소형 경량 구조의 콤바인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탈곡부 (9) 를 주행 기체 (1) 상면에 탑재하고, 탈곡부 (9) 후방에 엔진 (7) 과 벼 수용부 (6) 를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엔진 (7) 후측방의 좌우 후부에 벼 수용부 (6) 와 조종 칼럼 (41) 을 병설할 수 있다.
도 7 ∼ 도 12,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탈곡부 (9) 를 주행 기체 (1) 상면에 탑재하고, 탈곡부 (9) 후방에 엔진 (7) 과 벼 수용부 (6) 를 배치함과 함께, 주행 기체 (1) 의 후부 중, 엔진 (7) 후측방의 좌우 후부에 벼 수용부 (6) 와 조종 칼럼 (41) 을 병설하는 구조로서, 벼 수용부 (6) 의 벼 수용 지주로서의 지주 프레임체 (39) 에 오일 쿨러 (217) 를 장착하고, 지주 프레임체 (39) 를 통하여 엔진 (7) 의 후측방에, 오일 쿨러 (217) 와 냉각 쿨러 팬 (218) 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오일 쿨러 (217) 의 지지 부재를 특별히 설치하지 않고, 지주 프레임체 (39) 를 이용하여 오일 쿨러 (217) 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고, 오일 쿨러 (217) 장착 부품수를 삭감하여,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0 ∼ 도 21 은, 도 12,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유압 회로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유압 회로 구조에서는, 밸브 블록체 (214) 의 복귀 유압 배관 (436) 을 통하여, 작동유 탱크 (55) 내부의 작동유가 오일 쿨러 (217) 에 순환 이동하여 냉각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도 20 에 나타내는 유압 회로 구조는, 유압 무단 변속기 (64) 의 복귀 유압 배관 (435) 을 통하여, 작동유 탱크 (55) 내부의 작동유가 오일 쿨러 (217) 에 순환 이동하여 냉각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21 에 나타내는 유압 회로 구조는, 유압 무단 변속기 (64) 의 복귀 유압 배관 (435) 과, 밸브 블록체 (214) 의 복귀 유압 배관 (436) 의 양방을 통하여, 작동유 탱크 (55) 내부의 작동유가 오일 쿨러 (217) 에 순환 이동하여 냉각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 ∼ 도 12,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날 (15) 을 갖는 예취부 (3) 와, 급동 (21) 을 갖는 탈곡부 (9) 와, 주행부로서의 크롤러 트랙 (2) 및 엔진 (7) 을 형성하는 주행 기체 (1) 와, 크롤러 트랙 (2) 을 구동하는 미션 케이스 (63) 및 유압 무단 변속기 (64) 를 구비하고, 예취부 (3) 로부터 탈곡부 (9) 에 곡간을 공급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주행 기체 (1) 를 상하 다단 구조로 형성하는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사이에, 미션 케이스 (63) 상부의 유압 무단 변속기 (64) 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작동유 탱크 (55) 를 장착하고 있다. 따라서, 작동유 탱크 (55) 의 크기를 제한하지 않고, 엔진 (7) 보다 낮은 위치에서 냉각 효율이 양호한 작동유 탱크 (55) 설치 장소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소형 경량 구조의 콤바인에 탑재하는 소출력의 엔진 (7) 에 적합한 주행부 (크롤러 트랙 (2)) 구동 구조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탈곡부 (9) 를 주행 기체 (1) 상면에 탑재하고, 탈곡부 (9) 후방에 엔진 (7) 과 벼 수용부 (6) 를 배치함과 함께, 주행 기체 (1) 의 후부 중, 엔진 (7) 후측방의 좌우 후부에 벼 수용부 (6) 와 조종 칼럼 (41) 을 병설하여, 소형 경량 구조의 콤바인을 구성할 수 있다.
도 4 ∼ 도 12,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탈곡부 (9) 를 주행 기체 (1) 상면에 탑재하고, 탈곡부 (9) 후방에 엔진 (7) 과 벼 수용부 (6) 를 배치하는 구조로서, 상부 기체 프레임 (1b) 의 상면에 엔진 (7) 을 탑재함과 함께, 상부 기체 프레임 (1b) 전단측보다 전방에 하부 기체 프레임 (1a) 전단측을 연장 형성하고, 하부 기체 프레임 (1a) 의 전단측 상면에 탈곡부 (9) 를 재치시키고, 탈곡부 (9) 후측과 엔진 (7) 전측 사이의 하방에 작동유 탱크 (55) 를 배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가로 배치 자세의 탈곡부 (9) 후방에 엔진 (7) 을 근접시켜 컴팩트하게 기체를 구성해도, 탈곡부 (9) 와 엔진 (7) 사이의 하방에, 큰 용량의 상기 작동유 탱크 (55) 를 간단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4 ∼ 도 12,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 (1) 후부에 미션 케이스 (63) 와 벼 수용부 (6) 와 조종 칼럼 (41) 을 병설하는 구조로서, 미션 케이스 (63) 상부의 유압 무단 변속기 (64) 와, 주행 기체 (1) 전부의 작동유 탱크 (55) 를 유압 접속하는 유압 배관 (433 ∼ 437) 을,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사이에 연장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으로 유압 배관 (433 ∼ 437) 의 상하측을 둘러싸고, 작동유 탱크 (55) 로 유압 배관 (433 ∼ 437) 의 전측을 둘러싸, 유압 배관 (433 ∼ 437) 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엔진 (7) 보다 낮은 위치 (상부 기체 프레임 (1b) 하면측) 에 작동유 탱크 (55) 와 유압 배관 (433 ∼ 437) 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엔진 (7) 전방의 작동유 탱크 (55) 와, 엔진 (7) 후방의 유압 무단 변속기 (64) 를 접속시키는 유압 배관 (433 ∼ 437)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어, 유압 배관 (433 ∼ 437) 의 설치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 도 12,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탈곡부 (9) 를 주행 기체 (1) 상면에 탑재하고, 탈곡부 (9) 후방에 작동유 탱크 (55) 를 배치하고,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에 작동유 탱크 (55) 를 체결 고정시킴과 함께, 작동유 탱크 (55) 내부에 오일 필터 (431, 432) 등을 내장하고, 작동유 탱크 (55) 의 상면에 주유 캡 (424) 을 형성하고, 작동유 탱크 (55) 의 전면 하부에 드레인 캡 (425) 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탈곡부 (9) 후부와 엔진 (7) 전부 사이에, 작동유 탱크 (55) 에 관련한 작업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유 캡 (424) 또는 드레인 캡 (425) 의 개폐 조작 등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작동유 탱크 (55) 의 착탈 작업 또는 유압 배관 (433 ∼ 437) 의 접속 작업 또는 작동유 탱크 (55) 로의 작동유의 보충 작업 등을 간략화할 수 있고, 오일 필터 (431, 432) 의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 등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4 ∼ 도 12,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 (1) 후부에 미션 케이스 (63) 를 배치함과 함께,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탈곡부 (9) 를 주행 기체 (1) 상면에 탑재하고, 탈곡부 (9) 후방에 엔진 (7) 과 벼 수용부 (6) 를 배치하고, 엔진 (7) 후측방의 좌우 후부에 벼 수용부 (6) 와 조종 칼럼 (41) 을 병설하는 구조로서, 엔진 (7) 과 유압 무단 변속기 (64) 사이의 전달 직경로에 중간축 (132) 을 형성하고, 유압 무단 변속기 (64) 의 작동유를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 (217) 와 냉각 쿨러 팬 (218) 을 상기 중간축 (132) 의 근방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유압 무단 변속기 (64) 와 오일 쿨러 (217) 와 냉각 쿨러 팬 (218) 을 구비하여, 고주행 성능의 주행부 (크롤러 트랙 (2)) 구동 구조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서, 소형 경량 구조의 콤바인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2 ∼ 도 28 은, 도 7 ∼ 도 14 에 나타내는 주행 구동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 ∼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7) 과 유압 무단 변속기 (64) 사이의 전달 직경로에 역전 케이스 (441) 를 형성하고, 중간 프레임 (131) 을 개재하여 주행 기체 (1) 에 역전 케이스 (441) 를 세워 형성시킨다. 주행 기체 (1) 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키는 중간 축으로서의 역전 입력 축 (132a) 과 역전 출력 축 (132b) 을 역전 케이스 (441) 에 형성한다. 역전 입력 축 (132a) 과 역전 출력 축 (132b) 은 역전 기어군 (442) 을 통하여 연동시키고 있다. 기외 측방으로 돌출시키는 역전 출력 축 (132b) 의 좌측 단부에 냉각 쿨러 팬 (218) 을 장착하여, 오일 쿨러 (217) 에 순환 이동시키는 작동유를 냉각 쿨러 팬 (218) 으로 냉각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엔진 (7) 과 미션 케이스 (63) 사이의 전달 직경로를 전측 주행 출력 벨트 (67a) 와 후측 주행 출력 벨트 (67b) 로 형성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키는 전측 주행 출력 벨트 (67a) 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키는 후측 주행 출력 벨트 (67b) 를 기체 중앙쪽으로 편이 (偏移) 시킴과 함께, 전측 주행 출력 벨트 (67a) 의 후단부를 지지시키는 좌측 중간 풀리 (133) 와, 후측 주행 출력 벨트 (67b) 의 전단부를 지지시키는 우측 중간 풀리 (134) 를, 주행 기체 (1) 에 세워 형성시키는 역전 케이스 (441) 에 배치한다. 역전 케이스 (441) 의 장착 위치의 조절 등에 의해, 각 중간 풀리 (133, 134) 의 장착 위치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선정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 22 ∼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7) 과 유압 무단 변속기 (64) 사이의 전달 직경로에 역전 케이스 (441) 를 형성하고, 주행 기체 (1) 에 역전 케이스 (441) 를 세워 형성시킴과 함께, 주행 기체 (1) 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키는 중간 축으로서의 역전 입력 축 (132a) 과 역전 출력 축 (132b) 을 역전 케이스 (441) 에 형성하고, 역전 출력 축 (132b) 에 냉각 쿨러 팬 (218) 을 장착한 것이기 때문에, 유압 무단 변속기 (64) 의 사양에 따라 역전 케이스 (441) 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엔진 (7) 또는 미션 케이스 (63) 등을 공용할 수 있어, 사양이 상이한 유압 무단 변속기 (64) 를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다. 희망하는 주행 성능에 적합한 주행부 (크롤러 트랙 (2)) 구동 구조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22 ∼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7) 과 미션 케이스 (63) 사이의 전달 직경로를 전측 주행 출력 벨트 (67a) 와 후측 주행 출력 벨트 (67b) 로 형성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키는 전측 주행 출력 벨트 (67a) 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키는 후측 주행 출력 벨트 (67b) 를 기체 중앙쪽으로 편이시킴과 함께, 전측 주행 출력 벨트 (67a) 의 후단부를 지지시키는 좌측 중간 풀리 (133) 와, 후측 주행 출력 벨트 (67b) 의 전단부를 지지시키는 우측 중간 풀리 (134) 를, 주행 기체 (1) 에 세워 형성시키는 역전 케이스 (441) 에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각 중간 풀리 (133, 134) 의 장착 위치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기체 (1) 의 높은 중앙 위치에 엔진 (7) 을 배치할 수 있는 한편, 주행 기체 (1) 의 낮은 오른쪽 근처 위치에 미션 케이스 (63) 를 배치할 수 있어, 엔진 (7) 및 미션 케이스 (63) 설치부의 전후 폭 또는 좌우 폭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콤바인 각 부의 구동 구조를 간략화하여, 콤바인 전체의 소형화를 간단하게 달성할 수 있고, 곡간의 예취 폭을 확보하면서 기체 전체를 컴팩트하게 구성 가능한 경량 구조의 소형 콤바인을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9 ∼ 도 35 는, 도 16 ∼ 도 19 에 나타내는 작동유 탱크의 구성 및 지지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9 ∼ 도 35 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29 ∼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기체 프레임 (1b) 전단부 (탈곡부 (9) 후면) 와 하부 기체 프레임 (1a) 사이에 작동유 탱크 (555) 가 배치되어 있다. 하부 기체 프레임 (1a) 에 탱크 장착대 (421) 가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탱크 장착대 (421) 에 하부 탱크 브래킷체 (556) 를 개재하여 작동유 탱크 (555) 하부가 고정되어 있다.
하부 기체 프레임 (1a) 앞쪽 부위와 상부 기체 프레임 (1b) 전단부를 연결하는 좌우 1 쌍의 지주 프레임 (세로 기체 프레임) (1c, 1c) 의 중도부끼리를 연결하는 상부 탱크 장착대 (557) 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탱크 장착대 (557) 는 단면의 끝면이 대략 C 자형이다. 상부 탱크 장착대 (557) 의 양단부는,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사이의 상부 기체 프레임 (1b) 쪽의 위치에서, 좌우 1 쌍의 지주 프레임 (1c, 1c) 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 탱크 장착대 (557) 에 상부 탱크 브래킷체 (558) 를 개재하여 작동유 탱크 (555) 전면 상부가 고정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 (555) 는,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지주 프레임 (1c) 에 체결 고정되고, 주행 기체 (1) 를 상하 다단 구조로 형성하는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과 지주 프레임 (1c)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 (555) 의 상면에 주유 캡 (424) 이 형성되고, 작동유 탱크 (555) 의 하면 중앙부에 드레인 캡 (425)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작동유 탱크 (555) 는, 도 16 ∼ 도 19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작동유 탱크 (55) 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는, 작동유 탱크 (555) 의 배치에 관해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동유 탱크 (55) 의 배치에 관한 작용 및 효과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도 32 ∼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 (555) 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 (64) 에 유압 접속되는 제 1 작동유 공급구 (559) 와, 예취부 (3) 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에 유압 접속되는 제 2 작동유 공급구 (560) 가 작동유 탱크 (555) 의 전후 측면에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도 12, 도 20 및 도 21 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 작동유 공급구 (559) 는, 공급 유압 배관 (433) 을 통하여 유압 무단 변속기 (64) 의 차지 펌프 (212) 에 유압 접속된다. 제 2 작동유 공급구 (560) 는, 공급 유압 배관 (434), 작업 펌프 (215), 승강 밸브 (213) 및 승강 유압 배관 (438) 을 통하여,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에 유압 접속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회로 구성은, 도 20 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지만, 도 12 또는 도 21 과 동일한 구성으로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작동유 탱크 (555) 보다 후방측에 배치되는 유압 무단 변속기 (64) 에 유압 접속되는 제 1 작동유 공급구 (559) 는 작동유 탱크 (555) 의 후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작동유 탱크 (555) 보다 전방측에 배치되는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에 유압 접속되는 제 2 작동유 공급구 (560) 는 작동유 탱크 (555) 의 전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작동유 탱크 (555) 의 측면 중, 제 1 작동유 공급구 (559) 는 유압 접속 대상인 유압 무단 변속기 (64) 에 대향하는 후측면에 형성되고, 제 2 작동유 공급구 (560) 는 유압 접속 대상인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에 대향하는 전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동유 공급구 (559, 560) 의 배치는, 공급 유압 배관 (433, 434) 을 작동유 공급구 (559, 560) 의 어느 것에 접속하는지를 식별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어, 작동유 공급구 (559, 560) 로의 공급 유압 배관 (433, 434) 의 잘못된 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9 ∼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 (555) 에는, 1 쌍의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이 작동유 탱크 (555) 의 전후 측면에 나뉘어 장착되어 있다.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은, 작동유 공급구 (559 또는 560) 가 배치되고 또한 작동유 탱크 (555) 의 측면에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플랜지 부재 (563) 와, 작동유 탱크 (555) 내에 배치되는 오일 필터 (431 또는 432)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작동유 공급구 (559 또는 560) 가 배치되는 플랜지 부재 (563) 에 오일 필터 (431 또는 432) 가 필터 고정 부재 (564, 565, 566) 및 스프링 부재 (567) 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플랜지 부재 (563) 는 중앙부에 관통공을 갖는 대략 원반 형상을 갖고, 그 관통공에 작동유 공급구 (559 또는 560) 가 고착되어 있다. 작동유 공급구 (559, 560) 는 플랜지 부재 (563) 의 1 표면에 돌출 형성 배치되어 있다. 필터 고정 부재 (564, 565) 는, 단면의 끝면이 대략 C 자형이고, 플랜지 부재 (563) 의 작동유 공급구 (559 또는 560) 의 배치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일단이 고착되어 돌출 형성 배치되어 있다. 필터 고정 부재 (564, 565) 는, 서로 오목부가 마주보도록 플랜지 부재 (563)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에 있어서, 대략 원통형의 오일 필터 (431, 432) 는 양필터 고정 부재 (564, 565)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 고정 부재 (566) 는, 단면의 끝면이 볼록형이고, 내면 오목부를 플랜지 부재 (563) 측을 향하여, 필터 고정 부재 (564, 565) 의 선단부에 2 개의 필터 고정용 볼트 (568) 에 의해 고정된다. 필터 고정 부재 (566) 와 오일 필터 (431, 432)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 (567) 가 배치되어 있다. 오일 필터 (431, 432) 는 스프링 부재 (567) 의 복원력에 의해 플랜지 부재 (563) 에 가압되어 있다.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은, 각각 3 개의 오일 필터 유닛 고정용 볼트 (569) 에 의해, 작동유 탱크 (555) 의 후측면 또는 전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오일 필터 (431, 432) 의 교환시에는, 작동유 탱크 (555) 로부터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을 분리하는 작업이 실시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은, 주행부를 구성하는 크롤러 트랙 (2) 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동유 탱크 (555)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주행 기체 (1) 의 측방으로부터 크롤러 트랙 (2) 의 상방을 개재하여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에 액세스할 수 있는 등,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의 착탈 작업을 주행 기체 (1) 의 측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도 32 ∼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필터 유닛 (561) 은 작동유 탱크 (555) 의 후측면의 하부 오른쪽 근처 부위에 장착된다. 또한, 오일 필터 유닛 (562) 은 작동유 탱크 (555) 의 전측면의 하부 왼쪽 근처 부위에 장착된다. 작동유 탱크 (555) 내에 있어서,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은, 단면 볼록형의 양필터 고정 부재 (566, 566) 의 단차부 (566a, 566a) (도 33 참조) 가 서로 끼워맞춤되도록 배치되고,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일부 중복하여 작동유 탱크 (555) 저부 근방에 병설되어 있다. 또한,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의 양플랜지 부재 (563, 563) 는, 전후 방향으로 일부 중복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동유 탱크 (555) 에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이 컴팩트하게 배치되어 있고, 작동유 탱크 (555) 내에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2 개의 오일 필터 (431, 432) 가 배치되는 구성이면서 작동유 탱크 (555) 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9 ∼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 (555) 의 후측면의 상부쪽의 부위에는, 작동유 복귀구 (570, 571) 가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좌우에 병설되어 있다. 작동유 복귀구 (570) 에는 복귀 유압 배관 (437) 의 일단이 접속되고, 작동유 복귀구 (570) 는 복귀 유압 배관 (437), 오일 쿨러 (217) 및 복귀 유압 배관 (435) 을 통하여 유압 무단 변속기 (64) 에 유압 접속된다. 작동유 복귀구 (571) 에는 복귀 유압 배관 (436) 의 일단이 접속되고, 작동유 복귀구 (571) 는 복귀 유압 배관 (436) 을 통하여 밸브 블록체 (214) 에 유압 접속된다.
도 32 ∼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 (555) 내부에는, 작동유 튀어오름 방지판 (572, 573) 및 작동유 확산판 (574) 이 배치되어 있다. 작동유 튀어오름 방지판 (572) 은, 작동유 탱크 (555) 의 후측면 내벽으로부터 전측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작동유 튀어오름 방지판 (573) 및 작동유 확산판 (574) 은 작동유 탱크 (555) 의 전측면 내벽으로부터 후측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작동유 튀어오름 방지판 (572, 573) 은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고, 작동유 복귀구 (570, 571) 보다 높은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작동유 확산판 (574) 은 작동유 복귀구 (570, 571) 보다 낮은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작동유 탱크 (555) 의 후측면의 상부쪽 부위에는, 작동유 튀어오름 방지판 (572, 573) 보다 높은 높이 위치에, 작동유 탱크 (555) 내의 유면을 확인하기 위한 유면 확인용 캡 (575) 이 배치되어 있다.
작동유 튀어오름 방지판 (572) 은 단면의 끝면이 L 자형인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작동유 튀어오름 방지판 (573) 및 작동유 확산판 (574) 은 단면의 끝면이 대략 U 자형인 1 개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작동유 튀어오름 방지판 (572, 573) 은, 작동유 복귀구 (570, 571) 로부터 작동유 탱크 (555) 내로 되돌려지는 작동유가 작동유 탱크 (555) 에서 작동유 탱크 (555) 의 상면측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작동유 확산판 (574) 은, 작동유 복귀구 (570, 571) 로부터 작동유 탱크 (555) 내로 되돌려지는 작동유를 좌우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도 29 ∼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유압 배관 (433, 434) 및 복귀 유압 배관 (436, 437) 은,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과 지주 프레임 (1c)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있다. 하부 기체 프레임 (1a), 상부 기체 프레임 (1b) 및 지주 프레임 (1c) 으로 각 유압 배관 (433, 434, 436, 437) 의 상하 좌우를 둘러싸고, 이들 유압 배관을 보호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공급 유압 배관 (434) 은, 후방측으로부터 작동유 탱크 (555) 의 상방을 통과하여 작동유 탱크 (555) 전측면의 제 2 작동유 공급구 (560) 에 접속되어 있지만, 지주 프레임 (1c) 보다 낮은 높이 위치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지주 프레임 (1c) 이나 엔진 (7), 탈곡부 (9) 등 (도 1 ∼ 도 6 등 참조) 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는, 도 29 ∼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 (555) 가,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하부 기체 프레임 (1a) 과 상부 기체 프레임 (1b) 을 연결하는 지주 프레임 (1c) (세로 기체 프레임) 에 지지되어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주행 기체 (1) 를 구성하는 하부 기체 프레임 (1a) 및 지주 프레임 (1c) 에 작동유 탱크 (555) 를 강고하게 지지 가능함과 함께, 하부 기체 프레임 (1a), 상부 기체 프레임 (1b) 및 지주 프레임 (1c) 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작동유 탱크 (555) 를 배치할 수 있고, 작동유 탱크 (555) 의 탈락이나 이물질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는, 유압 무단 변속기 (64) 에 유압 접속되는 제 1 작동유 공급구 (559) 와, 예취부 (3) 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에 유압 접속되는 제 2 작동유 공급구 (560) 가, 작동유 탱크 (555) 의 전후 측면에 나뉘어 배치되어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유압 무단 변속기 (64) 에 접속되는 공급 유압 배관 (433) 과 승강용 유압 실린더 (4) 에 접속되는 공급 유압 배관 (434) 을 작동유 탱크 (555) 의 전후 측면에 나뉘어 작동유 탱크 (555) 에 접속할 수 있고, 작동유 탱크 (555) 의 전후로부터 2 개의 공급 유압 배관 (433, 434) 중 어느 것에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 유압 배관 (433, 434) 의 장착 작업이나 분리 작업 등의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는, 작동유 공급구 (559 또는 560) 가 배치되고 또한 작동유 탱크 (555) 의 측면에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플랜지 부재 (563) 와, 작동유 탱크 (555) 내에 배치되는 오일 필터 (431 또는 432) 를 구비한 1 쌍의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이, 작동유 탱크 (555) 의 전후 측면에 나뉘어 장착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작동유 탱크 (555) 의 전후로부터 2 개의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중 어느 것에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의 장착 및 분리 작업 등의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또한, 1 쌍의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은 작동유 탱크 (555)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일부 중복하여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양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을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서, 평면에서 보아 양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의 배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고, 나아가 작동유 탱크 (555) 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양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은, 주행부를 구성하는 크롤러 트랙 (2) 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동유 탱크 (555) 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 필터 유닛 (561, 562) 의 착탈 작업을 주행 기체 (1) 의 측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1 주행기
1a 하부 기체 프레임
1b 상부 기체 프레임
1c 지주 프레임 (세로 기체 프레임)
2 크롤러 트랙 (주행부)
3 예취부
6 벼 수용부
7 엔진
9 탈곡부
15 칼날
21 급동
41 조종 칼럼
55 작동유 탱크
63 미션 케이스
64 유압 무단 변속기
132 중간축
217 오일 쿨러
218 냉각 쿨러 팬
424 주유 캡
425 드레인 캡
431 오일 필터
432 오일 필터
433 공급 유압 배관
434 공급 유압 배관
435 복귀 유압 배관
436 복귀 유압 배관
437 복귀 유압 배관
555 작동유 탱크
559 제 1 작동유 공급구
560 제 2 작동유 공급구
561 오일 필터 유닛
562 오일 필터 유닛
563 플랜지 부재
1a 하부 기체 프레임
1b 상부 기체 프레임
1c 지주 프레임 (세로 기체 프레임)
2 크롤러 트랙 (주행부)
3 예취부
6 벼 수용부
7 엔진
9 탈곡부
15 칼날
21 급동
41 조종 칼럼
55 작동유 탱크
63 미션 케이스
64 유압 무단 변속기
132 중간축
217 오일 쿨러
218 냉각 쿨러 팬
424 주유 캡
425 드레인 캡
431 오일 필터
432 오일 필터
433 공급 유압 배관
434 공급 유압 배관
435 복귀 유압 배관
436 복귀 유압 배관
437 복귀 유압 배관
555 작동유 탱크
559 제 1 작동유 공급구
560 제 2 작동유 공급구
561 오일 필터 유닛
562 오일 필터 유닛
563 플랜지 부재
Claims (8)
- 칼날을 갖는 예취부와, 급동을 갖는 탈곡부와, 주행부 및 엔진을 형성하는 주행 기체와, 상기 주행부를 구동하는 미션 케이스 및 유압 무단 변속기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부로부터 상기 탈곡부에 곡간을 공급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를 상하 다단 구조로 형성하는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부 기체 프레임 사이에,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작동유 탱크를 장착함과 함께,
좌우 방향을 향한 가로 배치 자세로 상기 탈곡부를 주행 기체 상면에 탑재하고, 상기 탈곡부 후방에 엔진과 벼 수용부를 배치하는 구조로서, 상기 상부 기체 프레임의 상면에 상기 엔진을 탑재함과 함께, 상기 상부 기체 프레임 전단측보다 전방에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 전단측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의 전단측 상면에 상기 탈곡부를 재치시키고, 상기 탈곡부 후측이고, 또한 엔진 전측의 하방에 상기 작동유 탱크를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 후부에 미션 케이스와 벼 수용부와 조종 칼럼을 병설하는 구조로서,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와, 상기 주행 기체 전부의 작동유 탱크를 유압 접속하는 유압 배관을,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부 기체 프레임 사이에 연장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부 후방에 상기 작동유 탱크를 배치하고,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부 기체 프레임에 상기 작동유 탱크를 체결 고정시킴과 함께, 상기 작동유 탱크 내부에 오일 필터 등을 내장하고,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면에 주유 캡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유 탱크의 전면 하부에 드레인 캡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 후부에 미션 케이스를 배치함과 함께, 상기 엔진 후측방의 좌우 후부에 벼 수용부와 조종 칼럼을 병설하는 구조로서, 상기 엔진과 유압 무단 변속기 사이의 전달 직경로에 중간축을 형성하고,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의 작동유를 냉각시키는 오일 쿨러와 냉각 팬을 상기 중간축의 근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탱크는,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기 하부 기체 프레임과 상기 상부 기체 프레임을 연결하는 세로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에 유압 접속되는 제 1 작동유 공급구와, 상기 예취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용 유압 실린더에 유압 접속되는 제 2 작동유 공급구가, 상기 작동유 탱크의 전후 측면에 나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작동유 공급구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작동유 탱크의 측면에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플랜지 부재와, 상기 작동유 탱크 내에 배치되는 오일 필터를 구비한 1 쌍의 오일 필터 유닛이, 상기 작동유 탱크의 전후 측면에 나뉘어 장착되고, 또한 상기 작동유 탱크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일부 중복하여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050249 | 2016-03-14 | ||
JP2016050249 | 2016-03-14 | ||
JP2016147819A JP6718571B2 (ja) | 2016-03-14 | 2016-07-27 | コンバイン |
JPJP-P-2016-147819 | 2016-07-27 | ||
PCT/JP2017/009586 WO2017159547A1 (ja) | 2016-03-14 | 2017-03-09 | コンバイン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0108A KR20180110108A (ko) | 2018-10-08 |
KR102201011B1 true KR102201011B1 (ko) | 2021-01-08 |
Family
ID=5990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6261A KR102201011B1 (ko) | 2016-03-14 | 2017-03-09 | 콤바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718571B2 (ko) |
KR (1) | KR10220101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04735B2 (ja) * | 2017-10-25 | 2022-01-21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83914Y2 (ja) * | 1992-02-29 | 1998-10-27 | 三菱農機株式会社 | 歩行型コンバインのマフラ取り付け構造 |
JP2003088225A (ja) * | 2001-09-17 | 2003-03-25 | Seirei Ind Co Ltd | 移動農機の走行台車 |
JP2009039112A (ja) * | 2007-07-18 | 2009-02-26 | Kubota Corp | 作業車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4144A (en) | 1978-06-27 | 1980-01-12 | Oki Electric Ind Co Ltd | Common-use system for line link network terminal |
JPH0928173A (ja) | 1995-07-20 | 1997-02-04 | Iseki & Co Ltd | コンバイン |
JP3769899B2 (ja) | 1997-10-08 | 2006-04-26 | 井関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JP3481145B2 (ja) * | 1998-09-25 | 2003-12-22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KR101848915B1 (ko) * | 2010-03-31 | 2018-04-13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콤바인 |
-
2016
- 2016-07-27 JP JP2016147819A patent/JP671857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
- 2017-03-09 KR KR1020187026261A patent/KR1022010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83914Y2 (ja) * | 1992-02-29 | 1998-10-27 | 三菱農機株式会社 | 歩行型コンバインのマフラ取り付け構造 |
JP2003088225A (ja) * | 2001-09-17 | 2003-03-25 | Seirei Ind Co Ltd | 移動農機の走行台車 |
JP2009039112A (ja) * | 2007-07-18 | 2009-02-26 | Kubota Corp | 作業車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0108A (ko) | 2018-10-08 |
JP6718571B2 (ja) | 2020-07-08 |
JP2017163964A (ja) | 2017-09-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2165702A (ja) | 普通型コンバイン | |
WO2012111233A1 (ja) | 普通型コンバイン | |
WO2018016321A1 (ja) | コンバイン | |
KR102201011B1 (ko) | 콤바인 | |
WO2017038641A1 (ja) | コンバイン | |
JP5837760B2 (ja) | コンバイン | |
JP6555821B2 (ja) | コンバイン | |
WO2017155062A1 (ja) | コンバイン | |
JP5788169B2 (ja) | 作業車両 | |
JP6484184B2 (ja) | コンバイン | |
WO2012077496A1 (ja) | コンバイン | |
JP6534954B2 (ja) | コンバイン | |
WO2018016322A1 (ja) | コンバイン | |
WO2017159547A1 (ja) | コンバイン | |
JP6542145B2 (ja) | コンバイン | |
JP6625499B2 (ja) | コンバイン | |
JP6594814B2 (ja) | コンバイン | |
WO2017082281A1 (ja) | コンバイン | |
JP6692662B2 (ja) | コンバイン | |
JP6487356B2 (ja) | コンバイン | |
JP6594830B2 (ja) | コンバイン | |
JP2011250752A (ja) | 普通型コンバイン | |
JP6470192B2 (ja) | コンバイン | |
JP2017046622A (ja) | コンバイン | |
JP2017046624A (ja) | コンバイ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