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057B1 -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 Google Patents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057B1
KR102200057B1 KR1020200082082A KR20200082082A KR102200057B1 KR 102200057 B1 KR102200057 B1 KR 102200057B1 KR 1020200082082 A KR1020200082082 A KR 1020200082082A KR 20200082082 A KR20200082082 A KR 20200082082A KR 102200057 B1 KR102200057 B1 KR 102200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ainer
cooking
motor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옥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주)피스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스월드 filed Critical (주)피스월드
Priority to KR102020008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057B1/ko
Priority to CN202080002863.6A priority patent/CN114222613A/zh
Priority to JP2020566265A priority patent/JP7282400B2/ja
Priority to CA3100528A priority patent/CA3100528C/en
Priority to EP20807254.6A priority patent/EP4176778A1/en
Priority to PCT/KR2020/009025 priority patent/WO2022004928A1/ko
Priority to US17/117,092 priority patent/US1187737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내측 공간에 인덕션 가열을 위한 히팅코일부와,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로드가 형성되는 본체; 지면과 제1각도만큼 경사지게 상기 본체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회전로드에 의해 상기 본체 내에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회동 가능하고, 측면에서 전달되는 인덕션 가열로 인해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 대상이 조리되는 전용용기; 및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레시피모드를 저장하는 레시피메모리부와 상기 히팅코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히팅코일동작부와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 HAVING FUNCTION FOR AUTOMATIC DOUBLE SIDE ROASTING}
본 발명은 인덕션 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음식물 중 양면구이에 의한 조리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에 관한 것이다.
음식의 조리를 위한 가열 장치로서, 전자 렌지, 가스 렌지, 오븐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실내 공기의 오염 문제, 실내 온도의 상승 문제 등의 이유로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의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인덕션 렌지는 유도 가열 방식을 채택한 가열 조리 기구로서, 높은 에너지 효율과 안정성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갖는다.
인덕션 렌지는 산소의 소모가 없고, 폐가스의 배출이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인덕션 렌지는 고주파 전류를 흘리면 발생되는 자기력선이 인덕션 렌지의 상판 위에 놓인 전용 용기의 바닥을 통과할 때, 저항 성분에 의해 생성되는 와류 전류를 이용하여 전용 용기 자체만을 발열시킨다.
그러나, 종래 인덕션 렌지는 전용 용기를 상판 위에 올려놓고 그 내부 음식물을 주로 가열하는 용도로 개발되어, 이런 제품의 경우 조리 과정에서 사용자가 음식물을 일일이 뒤집거나 섞는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가정에서 흔히 조리해서 먹는 고기류, 생선류 등의 음식물은 양면이 타거나 덜 익지 않고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적절하게 익혀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인덕션 렌지는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관련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유효한 해결 수단을 제시한 문헌이 거의 없었다.
유럽특허공보 EP1629698 (등록일자: 2006.12.2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덕션 기술을 이용하되, 다양한 음식물에 대한 자동 조리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식물을 뒤집거나 섞는 등의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특히, 생선 등 윗면과 아랫면을 골고루 익혀야 하는 양면구이에 적합한 인덕션 렌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미관상 깔끔하면서도 세척 편의성, 사용 및 조작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별 구성요소를 모듈 단위로 생산하여,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극대화 함과 동시에 유지/관리의 비용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또한, 개별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일부 고장 등이 있더라도 쉽게 교환, 교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시스템의 품질, 성능 등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여 총체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내측 공간에 인덕션 가열을 위한 히팅코일부와,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로드가 형성되는 본체; 지면과 제1각도만큼 경사지게 상기 본체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회전로드에 의해 상기 본체 내에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회동 가능하고, 측면에서 전달되는 인덕션 가열로 인해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 대상이 조리되는 전용용기; 및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레시피모드를 저장하는 레시피메모리부와 상기 히팅코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히팅코일동작부와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를 제공한다.
상기 전용용기의 바닥부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위치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용용기의 바닥부와 인접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위치표시부에 대한 접촉 방식으로 상기 전용용기의 회전각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검출부를 통해 상기 전용용기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위치검출부의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전용용기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표시부는 서로 다른 접촉 면적을 갖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위치표시부 및 제2위치표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검출부는 접촉 면적에 따른 접촉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전용용기를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구동부는 레시피모드에 따라 상기 위치검출부에 의한 접촉을 기준으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전용용기를 180도씩 간헐적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용용기는 바닥부에서 입구 개구면 방향으로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이며, 상기 전용용기의 내측면에는 180도 간격으로 한 쌍이 대향 배치되어 상기 모터구동부의 제어에 따라 조리 대상의 가열면을 180도씩 전환시키는 제1뒤집기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뒤집기부재는 일측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걸림면부; 타측이 상기 걸림면부의 단부와 교차하며 내측으로 오목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곡면부; 상기 제1곡면부에서 연장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조리 대상이 180씩 전환되는 동작을 어시스트하는 도움면부; 및 상기 도움면부에서 상기 전용용기의 내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용용기의 바닥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모터구동부의 제어에 따라 조리 대상의 가열면을 전환시키는 제2뒤집기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용용기의 측면에는 상기 전용용기의 바닥부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레시피모드에 따라 조리 시퀀스 과정에서 조리 상태에 관한 각 종 알림메세지를 생성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전용용기 내부의 조리 상황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는 인덕션 기술을 이용하되, 다양한 음식물에 대한 자동 조리 기능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인덕션 렌지는 음식물을 뒤집거나 섞는 등의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특히, 생선 등 윗면과 아랫면을 골고루 익혀야 하는 양면구이에 적합하다.
또한, 미관상 깔끔하면서도 세척 편의성, 사용 및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별 구성요소를 모듈 단위로 생산하여,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극대화 함과 동시에 유지/관리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개별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일부 고장 등이 있더라도 쉽게 교환, 교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는 품질, 성능 등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여 총체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서, 본체의 일부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도 1의 슬리브모듈에 대한 사시도.
도 3b는 도 1의 슬리브모듈에 대한 측면도.
도 4a은 도 1의 전용용기에 대한 사시도.
도 4b는 도 1의 전용용기에 대한 저면 사시도.
도 4c는 도 1의 전용용기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대한 블록도.
도 6은 도 1의 전용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제2레시피모드에서 생선구이에 대한 조리 과정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용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제2레시피모드에서 생선구이에 대한 조리 과정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1의 인덕션 렌지를 사용하는 조리방법에 대한 개략적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서, 본체의 일부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a는 도 1의 슬리브모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의 슬리브모듈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4a은 도 1의 전용용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1의 전용용기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1의 전용용기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도 1의 전용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제2레시피모드에서 생선구이에 대한 조리 과정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는 본체(100), 전용용기(200), 제어부(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100)에는 슬리브모듈(110), 히팅코일부(112), 회전로드(113), 롤러부재(114), 위치검출부(115), 온도센서(미도시), 무게센서(미도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통신모듈(400), 카메라모듈(5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합성수지 사출물로 형성되는 케이싱에 의해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본체(100)는 삽입 장착되는 전용용기(200)의 회동을 안내하는 슬리브부재(111)를 갖는다. 한편, 슬리브모듈(110)은 슬리브부재(111)에 히팅코일부(112), 회전로드(113), 롤러부재(114), 위치검출부(115) 등이 결합되어 단일 부품 단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모듈은 고장 등 상황에서 수리, 교체 등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생산 비용 등을 절감시킬 수 있다.
히팅코일부(112)는 본체(100) 내측 공간 예를 들어, 슬리브부재(111)의 하측 외주연에 설치될 수 있다. 히팅코일부(112)는 슬리브부재(111)의 외주연 중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히팅코일부(112)는 슬리브부재(111)에 직접 고정 설치되지 않고, 본체(100) 내측 공간 중 어느 일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히팅코일부(112)는 인덕션 가열을 위한 용도를 갖는다.
이런, 히팅코일부(112)는 평판 플레이트 형상의 사출물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히팅코일부(112)는 슬리브부재(1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슬리브부재(111)의 외주연으로부터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히팅코일부(112)는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전용용기(200)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회전로드(113)는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하여 전용용기(200)를 회동시킨다. 예를 들어, 회전로드(113)는 모터의 회동 축과 직결되어 있고, 일정 모양의 단면을 갖는 로드에 의해 이와 결합되는 전용용기(200)를 미리 설정되는 조건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롤러부재(114)는 전용용기(200)를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삽입 장착되는 전용용기(200)의 입구 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에 따라, 회전로드(113)에 가해지는 전용용기(200)에 의한 하중을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롤러부재(114)는 회전로드(113)에 의한 전용용기(200)의 회동에 의해 롤링하게 된다. 롤러부재(114)는 슬리브부재(111)에 별도 마련되는 장착부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본체(100)의 하측에는 조리하는 동안 전용용기(200)에서 배출되는 기름 등의 내부 유체 수용할 수 있는 수납부(미도시)가 배치된다. 수납부는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폐유의 분리 처분을 용이하게 하고, 수납부의 세척을 원활 간편하게 한다.
위치검출부(115)는 전용용기(200)의 바닥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위치검출부(115)는 전용용기(200)에 형성되는 위치표시부(210)에 대한 접촉 방식으로 전용용기(200)의 회전각 위치를 검출한다. 위치검출부(115)는 위치표시부(210)에 대한 물리적 접촉을 통해 위치를 검출하는 일종의 스위치(마이크로 스위치) 일 수 있다. 이는, 전용용기(200)의 회전각 위치를 제어함에 있어, 모터구동부(330)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의 한계 또는 발생 오차를 제거시킬 수 있다. 즉, 모터구동부(3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의 구동 조건은 다양하게 변하는데, 특히, 회전 속도, 회전 시간, 회전 토크 등의 조건 변경에 따라 모터구동부(330)를 통해 모터를 제어하는 방식은 전용용기(200)의 회전각 위치의 정밀도를 저하시킨다.
한편, 위치검출부(115)는 접촉 면적에 따른 접촉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용용기(200)를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표시부(210)는 서로 다른 접촉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위치검출부(115)는 예를 들어, 회전로드(113)가 배치되는 슬리브부재(111)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검출부(115)는 회전로드(113) 부근에 돌출 형성되어 위치표시부(210)에 접촉될 수 있다.
온도센서(미도시)는 본체(100) 내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는 회동하는 전용용기(200)의 온도를 실시간 측정하여 온도입력부(350)에 전달한다. 즉, 제어부(300)는 온도입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조리 대상이 레시피모드에 부합하는 조리 온도에서 조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는 본체(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어 사용자는 이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온도입력부(350)에 입력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히팅코일부(112)의 동작 즉, 가열 세기와 가열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무게센서(미도시)는 전용용기(200)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 대상 즉, 음식물의 중량을 측정한다. 한편, 제어부(300)는 무게정보입력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정보입력부(360)에는 무게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조리 대상의 중량에 관한 신호가 입력된다. 한편, 제어부(300)는 무게정보입력부(360)에 입력되는 중량에 기초하여 히팅코일동작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게정보입력부(360)에 입력된 중량 정보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본체(1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용용기(200)는 위치표시부(210), 제1뒤집기부재(220), 제2뒤집기부재(230), 배출공(240), 배출유도부(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용용기(200)는 지면과 제1각도(a1)만큼 경사지게 본체(100)에 삽입 장착되며, 회전로드(113)에 의해 본체(100) 내에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회동 가능하고, 측면에서 전달되는 인덕션 가열로 인해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 대상이 조리되도록 한다. 전용용기(200)는 전용용기(200)를 개폐하는 리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드는 적어도 일부가 유리 등의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전용용기(200) 내부의 조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리드에는 전용용기(200)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전용용기(200)는 바닥부에서 입구 개구면 방향으로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전용용기(200)는 인덕션 가열이 가능한 재질, 예를 들어 무쇠, 철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용용기(200)는 용사 코팅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용사 코팅은 전용용기(200)의 측면에 한정하여 이루어진다. 그 결과, 전용용기(200)의 바닥면은 히팅코일부(112)에 의해 가열되지 않는 바, 조리 종료 시점 바로 이후 유리 등의 테이블 위에 전용용기(200)를 올려 놓더라도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전용용기(200)의 바닥면 외측에는 표면에서 돌출되는 거치돌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거치돌부(260) 역시 히팅코일부(112)에 의해 가열되지 않는 바, 조리 종료 이후 유리 등 테이블 위에 고온의 전용용기(200)를 올려 놓더라도 유리에 금이 가거나 깨질 염려가 없다.
전용용기(200)에는 그립부(27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270)는 전용용기(200)의 운반, 본체(100)에 전용용기(200)의 탈장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용용기(200)의 바닥부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위치표시부(210)가 형성된다. 위치표시부(210)는 위치검출부(115)에 의해 접촉 방식으로 검출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표시부(210)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위치표시부(211) 및 제2위치표시부(2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표시부(210)는 전용용기(200)가 180도 간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회전각 체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위치표시부(210)는 서로 다른 접촉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위치표시부(210)의 윗면은 평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용용기(200)의 바닥면 외측에는 회전로드(113)가 체결되는 체결홈(280)이 형성된다. 이런, 체결홈(280)은 예를 들어, 전용용기(200)의 바닥면에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체결홈(280)은 전용용기(200)의 체적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양의 조리 대상을 투입할 수 있으며, 조리 이후 세척 등을 편리하게 한다. 한편, 회전로드(113)가 짧은 길이로 형성되더라도 슬리브모듈(110)에 배치되는 롤러부재(114) 및 슬리브부재(111)를 통해 전용용기(200)는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전용용기(200)의 내측면에는 180도 간격으로 한 쌍이 대향 배치되어 모터구동부(330)의 제어에 따라 조리 대상의 가열면을 180도씩 전환시키는 제1뒤집기부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뒤집기부재(220)는 조리 대상의 가열면이 특히 윗면과 아랫면으로 구분되는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뒤집기부재(220)는 조리 대상을 윗면->아랫면->윗면->아랫면 등의 순서로 반복해서 뒤집어 줄 때 상당히 유용하다. 이를 위해, 뒤집기 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 즉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제1뒤집기부재(220)는 전용용기(200)의 내측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뒤집기부재(220)는 일측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걸림면부(221)와, 타측이 걸림면부(221)의 단부와 교차하며 내측으로 오목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곡면부(222)와, 제1곡면부(222)에서 연장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조리 대상이 180씩 전환되는 동작을 어시스트하는 도움면부(223) 및 도움면부(223)에서 전용용기(200)의 내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곡면부(2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면부(221)는 전용용기(200)의 내측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걸림면부(221)는 전용용기(200)가 180도 회전하는 과정에서, 걸림면부(221)에 걸쳐 있는 조리 대상이 전용용기(200)의 내측면에 보다 오랫동안 밀착 유지되다가 뒤집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걸림면부(221)는 일정 면적을 갖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움면부(223)는 조리 대상이 뒤집어지는 과정에서 다시 뒤집히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도움면부(223)에서, 볼록하게 형성되는 면은 뒤집어진 상태에서 낙하하는 조리 대상이 전용용기(200)의 내측면과 부딪히기 이전에 먼저 접촉하게 되면, 조리 대상에 가해지는 충격을 부분적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뒤집기연장부재(228)는 제1뒤집기부재(220)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 제1뒤집기부재(220)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뒤집기연장부재(228)는 일측과 타측이 모두 곡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일측과 타측이 만나는 부분에는 교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뒤집기연장부재(228)는 제1뒤집기부재(220)의 기능과 역할을 보조한다.
또한, 전용용기(200)의 바닥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모터구동부(330)의 제어에 따라 조리 대상의 가열면을 전환시키는 제2뒤집기부재(2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뒤집기부재(230)는 위에서 전용용기(200)를 내려 보았을 때, 활꼴 모양일 수 있다. 이 때, 제2뒤집기부재(230)는 서로 대향 배치되어 전용용기(200)의 바닥부에 위치하는 작은 크기의 조리 대상에 전용용기(200)의 회전에 따른 타격을 가하면서 이를 혼합하거나 뒤집어준다. 제2뒤집기부재(230)는 전용용기(200)의 회전 방향으로 오픈되어 조리 대상이 그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제2뒤집기부재(230)에 의해 전용용기(200)의 바닥부에 보다 오랫동안 밀착 유지되다가 뒤집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조리 대상의 가열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제2뒤집기부재(230)는 전용용기(200)의 회전에 따라 작은 크기의 조리 대상을 혼합하거나 뒤집어줘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다.
전용용기(200)의 측면에는 전용용기(200)의 바닥부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하는 배출공(24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240)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2개)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4c를 참조하면, 배출공(240)은 제1뒤집기부재(220)의 걸림면부(221) 바로 인근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6을 참조하면, 가열제1위치에서, 배출공(240)이 생선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한다.
가열제1위치에서, 전용용기(200)는 일정 시간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생선은 히팅코일부(112)를 통해 가열되면서 익혀진다. 그 과정에서, 전용용기(200) 내부 공간에는 생선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냄새를 일으키는 증기 등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이 때, 배출공(240)은 가열제1위치에서 증기 등을 전용용기(200)의 내부 공간에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배출공(240)은 가열제1위치에서, 사용자가 조리 시작 이전에 전용용기(200)에 주입한 오일류, 조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생선 기름 등을 전용용기(200)의 내부 공간 특히, 생선이 위치하는 지점에 잔류하도록(고여 있도록) 한다.
또한, 배출공(240)은 전용용기(200)가 가열제1위치에서 180도 회전하여 가열제2위치로 위치 변경하는 과정에서 전용용기(200) 내부에 잔류하는 생선 기름 등의 유체를 일부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전용용기(200)에는 전용용기(200)가 제1각도(a1) 경사진 상태에서 내부 유체를 배출공(240)으로 안내하는 배출유도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도부(250)는 전용용기(200)의 바닥부와 배출공(240) 사이를 연결하는 라운드면일 수 있다. 즉, 전용용기(200)는 배출공(240)을 통해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에서 내부 유체를 일부 배출시킬 수 있다. 대신, 배출공(240)은 전용용기(200)가 지면에 연직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내부 유체를 전용용기(200) 외부 공간으로 전혀 배출시키지 않는다.
제어부(300)는 레시피메모리부(310), 히팅코일동작부(320), 모터구동부(330), 위치입력부(340), 온도입력부(350), 무게정보입력부(360), 알람부(3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레시피메모리부(310)는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레시피모드를 저장한다. 레시피메모리부(310)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저장된 레시피모드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각 레시피모드에는 조리 대상에 대한 조리 조건 및 조리 시퀀스가 저장된다. 레시피모드는 제1레시피모드 및 제2레시피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레시피모드는 조리 과정에서 자주 섞거나 뒤집어 주어야 하는 조리 대상에 적합하다.
반면, 제2레시피모드는 조리 과정에서 빈번하게 뒤집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는 조리 대상에 적합하다. 제2레시피모드에는 예를 들어, 생선구이에 대한 조리법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2레시피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300)는 레시피메모리부(310)의 제2레시피모드를 실행시켜 제2레시피모드에 저장된 조리 조건 및 조리 시퀀스에 따라 본 인덕션 렌지를 구동시킨다.
생선구이의 경우, 어느 정도 익기 전에 전용용기(200)를 회전시켜 생선을 뒤집어주면 생선의 형상이 부서질 수 있다. 따라서, 전용용기(200)는 가열제1위치에서 일정 시간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생선은 히팅코일부(112)를 통해 가열되어 익혀진다. 그 다음, 전용용기(200)는 모터구동부(330)에 의한 모터의 제어를 통해 180도 회전하게 되면서 생선이 뒤집어지도록 한다. 즉, 가열제2위치에서, 모터의 구동은 모터구동부(330)에 의해 정지되고 전용용기(200) 역시 다시 일정 시간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뒤집허진 생선은 반대면이 히팅코일부(112)를 통해 가열되어 익혀진다. 다시 위 과정을 반복하여 생선구이를 완성시킬 수 있다.
히팅코일동작부(320)는 히팅코일부(112)의 동작을 제어한다. 히팅코일동작부(320)는 히팅코일부(112)에 전원을 입력하거나 히팅코일부(112)의 가열 세기 및 가열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모터구동부(330)는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모터구동부(330)는 회전로드(113)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인 모터의 회전을 제어한다. 모터구동부(330)는 모터의 회전 속도, 회전 시간, 회전 주기, 회전 간격, 회전 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모터구동부(330)는 위치검출부(115)의 신호를 기준으로 모터를 제어하여 전용용기(200)의 회전각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모터구동부(330)는 모터의 제어를 통해 전용용기(200)가 본체 내에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구동부(330)는 레시피모드에 따라 위치검출부(115)에 의한 접촉을 기준으로 모터를 제어하여 전용용기(200)를 180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위치입력부(340)는 위치검출부(115)를 통해 전용용기(200)의 정렬 여부를 판단한다. 위치입력부(340)는 위치검출부(115)를 통해 전용용기(200)의 정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위치입력부(340)를 통해 전용용기(200)가 미리 설정된 정지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정지하면 제어부(300)는 모터구동부(330)에 의한 제어를 통해 모터를 구동시켜 전용용기(200)가 정지 위치에 도달할 때가지 전용용기(200)를 회전시킨다. 즉, 레시피모드에 따른 조리 종료 시점에서 전용용기(200)는 전술한 종료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한 후 정지될 수 있다.
종료 위치에서 전용용기(200)는 배출공(240)의 연통 방향이 중력 방향과 일치하지 않고, 동시에 기름 등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없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온도입력부(350)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조리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조건에 부합하도록 히팅코일동작부(320)를 제어하여 가열 세기 및/또는 가열 시간을 조절하거나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 무게정보입력부(360)는 무게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조리 대상의 중량 정보를 수신하여 히팅코일동작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레시피모드에 따라 조리 시퀀스 과정에서 조리 상태에 관한 각 종 알림메세지를 생성하는 알람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370)는 예를 들어, 조리가 완성된 경우, '조리 종료' 등의 알림메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370)는 조리 종료 5초 내지 60초 전에 알림메세지 예를 들어, '조리 종료 10초 전'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370)는 '조리 종료 후 5분 경과' 등 다양한 종류의 알림메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알림메세지는 예를 들어, 통신모듈(400)을 통해 사용자 단말(T)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조리 과정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조리에 관한 리마인더 정보의 제공을 통해 편의성을 누릴 수 있다.
한편, 본체(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400)은 RF 모듈, 블루투스 모듈, QR 코드 등일 수 있다. 본 인덕션 렌지는 통신모듈(400)을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T)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T)은 통신모듈(400)을 통해 본 인덕션 렌지와 페어링된 이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인덕션 렌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T)에는 전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T)에서 특정 유형의 음식에 대한 조리 또는 레시피 요청이 선택되면, 제어부(300)는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T)의 요청을 전달받고, 그에 의해 본 인덕션 렌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400)은 알람부(370)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알림신호 예를 들어, '조리 종료', '조리 종료 10분 전', '조리 종료 후 5분 경과' 등을 사용자 단말(T)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전용용기(200) 내부의 조리 상황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500)은 본체의 외부면 중 어느 일 개소에 설치되어 음식물의 조리 상태에 관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모듈(500)은 전술한 리드를 통해 전용용기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런, 카메라모듈(500)은 조리 시퀀스에 의해 조시 시작 시점부터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500)은 통신모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카메라모듈(500)을 통한 이미지 또는 영상은 사용자 단말(T)로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용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제2레시피모드에서 생선구이에 대한 조리 과정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용용기(200)의 내측면에는 120도 간격으로 일정하게 이격 배치되어, 모터구동부(330)의 제어에 따라 조리 대상의 가열면을 180도씩 전환시키는 제1뒤집기부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위치표시부(210) 역시 120도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모터구동부(330)는 레시피모드에 따라 위치검출부(115)에 대한 접촉을 기준으로 모터를 제어하여 전용용기(200)를 120도씩 간헐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뒤집기부재(220), 위치표시부(210), 모터구동부(330), 위치검출부(115) 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 이하 구체적 기재는 생략한다.
또한, 본 인덕션 렌지를 이용한 조리 방법으로 상술한다. 도 8은 도 1의 인덕션 렌지를 사용하는 조리방법에 대한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단계(s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조리 대상에 따라 제1레시피모드 및 제2레시피모드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되는 단계이다. 이 때, 제1레시피모드와 제2레시피모드에 대한 구분은 조리 과정에서 모터의 연속적 동작을 필요로 하는지 아니면 간헐적 동작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로 결정된다.
이 때, 제1레시피모드에 따른 모터의 회전 시간, 회전 속도, 회전 주기 등의 조건과 히팅코일부(112)의 가열 세기, 가열 시간 등의 조건은 레시피메모리부(3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2레시피모드에 따른 모터의 회전 시간, 회전 속도, 회전 주기 등의 조건과 히팅코일부(112)의 가열 세기, 가열 시간 등의 조건은 레시피메모리부(310)에 저장될 수 있다.
그 다음, 제2단계(s20)는 전용용기(200)를 시작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전술한 것처럼, 위치검출부(115)는 위치표시부(210)의 접촉 면적에 따른 접촉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용용기(200)를 시작 위치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구동부(330)는 모터의 제어를 통해 전용용기(200)의 회전각 위치를 조절하여 시작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레시피모드는 모터의 간헐적 동작을 필요로 한다. 제3단계(s30)는 제2레시피모드가 수신되면 모터구동부(330)를 통해 모터의 회전을 미리 설정된 제a시간 동안 정지시키고, 히팅코일동작부(320)를 통해 전용용기(200)를 가열하는 단계이다.
제4단계(s40)는 제a시간 경과 후 모터를 구동시켜 전용용기(200)를 180도(반 바퀴) 회동시키고, 전용용기(200)가 180도 회동하면, 다시 모터구동부(330)를 통해 모터의 회전을 미리 설정된 제b시간 동안 정지시키며, 히팅코일동작부(320)를 통해 전용용기(200)를 가열하는 단계이다. 이와 달리, 제4단계(s40)는 제a시간 경과 후 모터를 구동시켜 전용용기(200)를 120도(1/3 바퀴) 회동시키고, 전용용기(200)가 120도 회동하면, 다시 모터구동부(330)를 통해 모터의 회전을 미리 설정된 제b시간 동안 정지시키며, 히팅코일동작부(320)를 통해 전용용기(200)를 가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5단계(s50)는 제b시간 경과 후 모터를 구동시켜 전용용기(200)를 다시 180도(반 바퀴) 회동시키고, 전용용기(200)가 180도 회동하면, 다시 모터구동부(330)를 통해 모터의 회전을 미리 설정된 제b시간 또는 제b시간과 다른 제c시간 동안 정지시키며, 히팅코일동작부(320)를 통해 전용용기(200)를 가열하는 단계이다. 이와 달리, 제5단계(s50)는 제b시간 경과 후 모터를 구동시켜 전용용기(200)를 다시 120도(1/3 바퀴) 회동시키고, 전용용기(200)가 120도 회동하면, 다시 모터구동부(330)를 통해 모터의 회전을 미리 설정된 제b시간 또는 제b시간과 다른 제c시간 동안 정지시키며, 히팅코일동작부(320)를 통해 전용용기(200)를 가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2레시피모드에 포함되는 조리 시퀀스 및 조리 조건에 따라 제4단계와 제5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제6단계(s60)는 전용용기(200)를 종료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위치검출부(115)는 위치표시부(210)의 접촉 면적에 따른 접촉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용용기(200)를 종료 위치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구동부(330)는 모터의 제어를 통해 전용용기(200)의 회전각 위치를 조절하여 종료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1단계에서 제2레시피모드가 아닌 제1레시피모드가 수신되면 모터구동부(330)를 통해 모터의 회전을 연속적으로 유지하면서, 히팅코일동작부(320)를 통해 전용용기(200)를 가열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본체 200: 전용용기
300: 제어부
110: 슬리브모듈 111: 슬리브부재
112: 히팅코일부 113: 회전로드
114: 롤러부재 115: 위치검출부
210: 위치표시부 211: 제1위치표시부
212: 제2위치표시부 220: 제1뒤집기부재
221: 걸림면부 222: 제1곡면부
223: 도움면부 224: 제2곡면부
230: 제2뒤집기부재 240: 배출공
250: 배출유도부 260: 거치돌부
270: 그립부 280: 체결홈
310: 레시피메모리부 320: 히팅코일동작부
330: 모터구동부 340: 위치입력부
350: 온도입력부 360: 무게정보입력부
370: 알람부
a1: 제1각도
400: 통신모듈 500: 카메라모듈
T: 사용자 단말

Claims (11)

  1. 내측 공간에 인덕션 가열을 위한 히팅코일부와,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로드가 형성되는 본체;
    지면과 제1각도만큼 경사지게 상기 본체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회전로드에 의해 상기 본체 내에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회동 가능하고, 측면에서 전달되는 인덕션 가열로 인해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 대상이 조리되는 전용용기; 및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레시피모드를 저장하는 레시피메모리부와 상기 히팅코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히팅코일동작부와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용기의 바닥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모터구동부의 제어에 따라 조리 대상에 타격을 가하여 조리 대상을 혼합하거나 뒤집어주는 제2뒤집기부재가 형성되는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용기의 바닥부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위치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용용기의 바닥부와 인접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위치표시부에 대한 접촉 방식으로 상기 전용용기의 회전각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가 형성되는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검출부를 통해 상기 전용용기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위치검출부의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전용용기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부는 서로 다른 접촉 면적을 갖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위치표시부 및 제2위치표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검출부는 접촉 면적에 따른 접촉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전용용기를 시작 위치 또는 종료 위치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부는 레시피모드에 따라 상기 위치검출부에 의한 접촉을 기준으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전용용기를 180도씩 간헐적으로 회동시키는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용기는 바닥부에서 입구 개구면 방향으로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이며,
    상기 전용용기의 내측면에는 180도 간격으로 한 쌍이 대향 배치되어 상기 모터구동부의 제어에 따라 조리 대상의 가열면을 180도씩 전환시키는 제1뒤집기부재가 형성되는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뒤집기부재는
    일측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걸림면부;
    타측이 상기 걸림면부의 단부와 교차하며 내측으로 오목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곡면부;
    상기 제1곡면부에서 연장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조리 대상이 180씩 전환되는 동작을 어시스트하는 도움면부; 및
    상기 도움면부에서 상기 전용용기의 내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곡면부;를 포함하는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용기의 측면에는 상기 전용용기의 바닥부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레시피모드에 따라 조리 시퀀스 과정에서 조리 상태에 관한 각 종 알림메세지를 생성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용용기 내부의 조리 상황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는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KR1020200082082A 2020-07-03 2020-07-03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KR102200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082A KR102200057B1 (ko) 2020-07-03 2020-07-03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CN202080002863.6A CN114222613A (zh) 2020-07-03 2020-07-09 具有自动双面烘烤功能的感应炉灶
JP2020566265A JP7282400B2 (ja) 2020-07-03 2020-07-09 自動両面焼き機能を有する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
CA3100528A CA3100528C (en) 2020-07-03 2020-07-09 Induction range having automatic double side roasting function
EP20807254.6A EP4176778A1 (en) 2020-07-03 2020-07-09 Induction range having automatic double-side roasting function
PCT/KR2020/009025 WO2022004928A1 (ko) 2020-07-03 2020-07-09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US17/117,092 US11877371B2 (en) 2020-07-03 2020-12-09 Induction range having automatic double side roast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082A KR102200057B1 (ko) 2020-07-03 2020-07-03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057B1 true KR102200057B1 (ko) 2021-01-08

Family

ID=7412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082A KR102200057B1 (ko) 2020-07-03 2020-07-03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0057B1 (ko)
WO (1) WO202200492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552Y1 (ko) * 2000-02-15 2000-07-15 여혜옥 가스오븐렌지의 조리그릇 자동 이동장치
JP2004267519A (ja) * 2003-03-10 2004-09-3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回転式電磁誘導加熱装置
EP1629698A1 (en) 2003-05-28 2006-03-01 Tubitak-Bilten ( Turkiye Bilimsel Ve Teknik Arastirma Kurumu-Bilgi Teknolojileri Ve Elektronik Arastirma Enstitusu) Induction cooktop
KR200422431Y1 (ko) * 2006-05-01 2006-07-26 김진균 참나무를 이용한 회전식 구이장치
KR20150003498U (ko) * 2014-03-13 2015-09-23 정순경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US20170368554A1 (en) * 2016-04-25 2017-12-28 William Nichols Integrated grinding and storage system for optimizing and enhancing plant performance of plant-based medical therapies and related cannabis usag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552Y1 (ko) * 2000-02-15 2000-07-15 여혜옥 가스오븐렌지의 조리그릇 자동 이동장치
JP2004267519A (ja) * 2003-03-10 2004-09-3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回転式電磁誘導加熱装置
EP1629698A1 (en) 2003-05-28 2006-03-01 Tubitak-Bilten ( Turkiye Bilimsel Ve Teknik Arastirma Kurumu-Bilgi Teknolojileri Ve Elektronik Arastirma Enstitusu) Induction cooktop
KR200422431Y1 (ko) * 2006-05-01 2006-07-26 김진균 참나무를 이용한 회전식 구이장치
KR20150003498U (ko) * 2014-03-13 2015-09-23 정순경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US20170368554A1 (en) * 2016-04-25 2017-12-28 William Nichols Integrated grinding and storage system for optimizing and enhancing plant performance of plant-based medical therapies and related cannabis us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04928A1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650B1 (ko) 통신방식의 인덕션 쿡탑 및 상기 쿡탑 상에서 통신하는 조리용품을 검색하고 추적하는 방법
CN101406372B (zh) 烹饪辅助机器人及烹饪辅助方法
US9901214B2 (en) Kitchen appliance comprising positioning device
US20090099691A1 (en) Cooking assistance robot and cooking assistance method
CN104414517A (zh) 食品加工设备及采用它加工食品的方法
KR102200057B1 (ko) 자동 양면구이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ES2212108T3 (es) Dispositivo controlador para proporcionar la temperatura de coccion instantanea.
KR20140046461A (ko) 재충전 가능한 탈부착 가능 손잡이
KR102375345B1 (ko) 회전형 조리 장치
CN201806573U (zh) 搅拌机的改进结构
US20160309546A1 (en) Cooking apparatus
JP6195744B2 (ja) 液体ディスペンサ、及びそれを構成するコック操作部材、電力制御装置、液体ディスペンサ制御システム
JP7282400B2 (ja) 自動両面焼き機能を有する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
US7013657B2 (en) Ice maker
JP2013070859A (ja) 自動調理システム
JP4654740B2 (ja) 加熱調理器
KR102200066B1 (ko) 인덕션 가열 조리장치
KR102320243B1 (ko) 회전형 조리 장치
JP2001319770A (ja) 加熱調理器
JP2013059559A (ja) 製パン機及び製パン機の運転方法
JP2004219010A (ja) 高周波加熱調理器
JPH11243890A (ja) 麺類等の茹で装置
KR0133442B1 (ko) 마이크로웨이브오븐
TWM572322U (zh) Slope turning device and vehicle changing platform
JP4434087B2 (ja) 電気貯湯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