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008B1 -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008B1
KR102199008B1 KR1020200079211A KR20200079211A KR102199008B1 KR 102199008 B1 KR102199008 B1 KR 102199008B1 KR 1020200079211 A KR1020200079211 A KR 1020200079211A KR 20200079211 A KR20200079211 A KR 20200079211A KR 102199008 B1 KR102199008 B1 KR 102199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box
foreign substances
granular material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 조
Original Assignee
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 filed Critical 조현
Priority to KR1020200079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2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electrical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어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배출부에서 선별 배출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유입함(10); 유입함(10)의 하단부와 연결관(201)으로 연결되어 유입함(10)에서 공급되는 이물질이 충진되며, 하단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202)가 형성된 배출함(20); 연결관(201)에 설치되어 유입함(10)에서 배출함(20)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을 단속하는 제1밸브(30); 배출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되는 이물질의 충진량을 감지하고, 사전 설정량의 이물질이 감지되면, 압축공기공급부(50)에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충진량감지부(40); 배출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충진량감지부(4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배출함(20)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배출함(20)의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이 배출구(202)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압축공기공급부(5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상물 선별기에서 선별 배출된 이물질이 충진되는 배출함을 구비하되, 배출함의 충진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배출함에 충진된 이물질이 압축공기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됨으로써 이물질의 배출 관리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이물질의 배출 적체를 방지하여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 기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Automatic discharging device for granularity sorter}
본 발명은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상물 선별기에서 선별 배출된 이물질이 충진되는 배출함을 구비하되, 배출함의 충진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배출함에 충진된 이물질이 압축공기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되게 한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상물 선별기는 쌀, 보리 등과 같은 곡물이나, 원두커피 등과 같은 각종 입상물에 혼입된 이물질을 선별 분리하는 장치로서 광학적으로 이물질을 선별하는 색채 선별기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인 입상물 선별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량의 입상물이 공급되는 공급부(2), 공급된 입상물을 일정한 궤적 또는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부(3), 이송부에서 낙하하는 입상물을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광학검출부(4), 광학검출부에서 불량으로 판독된 이물질을 정상 입상물과 별도로 배출하는 선별배출부(5)로 구성된다.
한편,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배출부에서 선별 배출되는 이물질은 정상적인 입상물과 다른 크기와 형태를 가진 것으로써 입상물 선별기에 구비된 별도의 수집함에 수집되는데, 종래에는 수집함에 수집되는 이물질의 수집량을 작업자가 일일이 확인한 후, 수집함을 작업자가 수시로 비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물질이 수집되는 수집함이 제대로 비워지지 않으면, 이물질이 배출되는 경로가 막히면서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7097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배출부에서 선별 배출된 이물질이 충진되는 배출함을 구비하되, 배출함의 충진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배출함에 충진된 이물질이 압축공기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되게 한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배출부에서 선별 배출된 이물질이 유입되는 유입함 일측에는 여과망을 설치하여 과대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게 한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입함의 일측에 투명창을 설치하여 유입함으로 유입된 이물질의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한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는,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어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배출부에서 선별 배출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유입함(10);
상기 유입함(10)의 하단부와 연결관(201)으로 연결되어 유입함(10)에서 공급되는 이물질이 충진되며, 하단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202)가 형성된 배출함(20);
상기 연결관(201)에 설치되어 유입함(10)에서 배출함(20)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을 단속하는 제1밸브(30);
상기 배출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되는 이물질의 충진량을 감지하고, 사전 설정량의 이물질이 감지되면, 압축공기공급부(50)에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충진량감지부(40);
상기 배출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충진량감지부(4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배출함(20)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배출함(20)의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이 배출구(202)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압축공기공급부(50);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유입함(10)의 외벽 일측에는 유입함(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101); 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유입함(10)의 상부에는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배출부에서 선별 배출되는 이물질에 혼입된 과대 이물질을 선별하는 여과수단(60); 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유입함(10)의 상부에는 유입함(10)으로 공급되는 이물질의 중량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계량부(70); 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함(20)의 일측에는 배출함(20)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배출함(20)의 내부의 압력에 따라 압축공기공급부(50)의 동작이 제어되게 하는 압력센서(80); 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함(20)의 일측에는 충진량감지부(4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90); 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높이조절수단(90)은,
상기 배출함(20)의 측벽에서 세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형성된 식별창(901);
상기 식별창(901)의 외측에 형성되되, 세로장공이 형성되어 충진량감지부(40)가 세로 방향으로 승강 가능케 안내하는 승강안내부(9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배출부에서 선별 배출된 이물질이 충진되는 배출함의 충진 여부가 자동으로 감지될 뿐만 아니라, 배출함에 이물질이 설정량만큼 채워지면 압축공기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됨으로써 이물질의 배출 관리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이물질의 배출 적체를 방지하여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 기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상물 선별기에서 선별 배출된 이물질이 유입되는 유입함 일측에는 여과망을 설치하여 과대 이물질을 사전에 선별함으로써 과대 이물질에 의한 배출함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입함의 일측에는 투명창을 설치함으로써 유입함으로 유입된 이물질의 상태 및 배출 적체 발생 여부를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함에 충진된 이물질을 압축공기로 자동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 충진량의 설정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입상물에 대한 선별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입상물 선별용 입상물 선별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 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는 입상물 선별기에서 선별 배출된 이물질이 충진되는 배출함(20)을 구비하되, 배출함(20)의 충진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배출함(20)에 충진된 이물질이 압축공기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유입함(10), 배출함(20), 제1밸브(30), 충진량감지부(40), 압축공기공급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함(10)은 상광하협의 호퍼형으로 되어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되,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배출부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선별배출부에서 선별 배출되는 이물질이 유입함(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배출부에서 유입함(10)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은 자유 낙하 방식으로 유입되거나, 압축공기 등을 이용한 강제 이송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배출함(20)은 상광하협의 호퍼형으로 되어 유입함(10)의 하부에서 유입함(10)의 하단부와 연결관(201)으로 연결됨으로써 유입함(10)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이 내부에 충진되며, 배출함(20)의 하단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202)가 형성된다.
이때, 배출구(202)는 배출함(20)의 하단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제1밸브(30)는 연결관(201)에 설치되어 유입함(10)에서 배출함(20)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을 단속한다.
이때 제1밸브(30)는 통상의 자동 개폐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밸브(30)는 압축공기공급부(50)와 연동하여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압축공기공급부(50)가 동작할 때에는 제1밸브(30)가 닫힘으로써 압축공기공급부(5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유입함(10)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게 하고, 압축공기공급부(50)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만 제1밸브(30)가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량감지부(40)는 배출함(20)의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배출함(20)의 측벽에 설치되어 배출함(20)의 내부에 충진되는 이물질의 충진량을 감지하고, 사전 설정량의 이물질이 감지되면 압축공기공급부(50)에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즉, 충진량감지부(40)는 배출함(20)의 측벽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배출함(20)의 내부에 이물질이 충진되어 충진된 이물질의 높이가 충진량감지부(40)에 도달하면, 충진량감지부(40)가 이를 감지하여 압축공기공급부(50)에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충진량감지부(40)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으며, 배출함(20)의 내부에 일정량의 이물질이 충진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접촉식, 비접촉식 등 어떠한 방식의 수단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충진량감지부(40)는 상하 소정 간격으로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하부에 위치하는 충진량감지부(40)에 의해 압축공기공급부(50)의 동작이 제어되게 하되, 하부에 위치하는 충진량감지부(40)의 고장에 대비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충진량감지부(40)를 상부에 하나 더 구비함으로써 충진량감지부(40)의 고장에 따른 이물질의 배출 적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부에 위치하는 충진량감지부(40)에 의해 배출함(20)의 내부의 이물질 충진이 감지되면, 하부에 위치하는 충진량감지부(40)의 고장이 발생한 것이므로 이때는 본체 일측에 구비된 경광등을 통해 작업자가 충진량감지부(40)의 이상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공기공급부(50)는 배출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충진량감지부(4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배출함(20)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배출함(20)의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구(202)를 통해 배출되게 한다.
이때 압축공기공급부(50)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컴프레서(501), 압축공기를 배출함(20)의 내부까지 공급하는 공급라인(502), 컴프레서에서 생성되어 공급라인을 통해 배출함(20)의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50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입상물 선별기에서 선별 배출된 이물질이 유입함(10)에 유입된 후, 제1밸브(30)의 개방에 따라 유입함(10)에 유입된 이물질이 배출함(20)으로 공급된다.
그리하여 배출함(20)에 이물질이 일정량 충진되어 충진량감지부(40)에 의해 이물질이 설정량만큼 충진되었음이 감지되면 제1밸브(30)를 닫고, 압축공기공급부(50)에서 배출함(2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공급됨으로써, 배출함(20)의 내부에 일정량 저장된 이물질이 배출함(20)의 배출구(202)를 통해 배출된 후, 처리탱크(T) 등에 모여 최종 처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상물 선별기와 연동하여 입상물 선별기에서 선별 배출된 이물질이 연속적으로 자동 저장될 뿐만 아니라, 일정량의 이물질이 충진되면 이를 자동 배출함(20)으로써 이물질의 배출 처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물질의 처리에 따른 번거로움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배출 적체를 방지하여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 기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입함(10)의 외벽 일측에는 유입함(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10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창(101)을 통해 유입함(10)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입상물 선별기에서 선별 배출된 이물질이 유입함(10)에 정상적으로 유입되는지 여부를 통해 입상물 선별기의 정상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입함(10)에서 배출함(20)으로 이물질이 정상 배출되는지 여부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함(10)의 상부에는 과대 이물질을 선별하는 여과수단(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여과수단(60)은 유입함(10)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배출부에서 선별 배출되어 유입함(10)으로 유입되는 이물질 중에서 잔가지나 돌 등 일반적인 이물질에 비해 크기가 과도하게 큰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과도하게 큰 이물질이 유입함(10)으로 공급된 후 배출함(20)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과대 이물질에 의한 연결관(201)의 막힘이나, 배출함(20)에 형성된 배출구(202)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함(10)의 상부에는 유입함(10)으로 공급되는 이물질의 중량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계량부(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계량부(70)는 유입함(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입함(10)으로 공급되는 이물질의 중량을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상부개폐부(701), 하부개폐부(702), 중량측정부(70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개폐부(701)는 계량부(70)의 상측에 형성되어 선택적인 개폐를 통해 입상물 선별기에서 선별 배출되어 유입함(10)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계량부(70) 내부로 공급되게 한다.
상기 하부개폐부(702)는 계량부(70)의 하측에 형성되어 선택적인 개폐를 통해 입상물 선별기에서 선별 배출되어 유입함(10)으로 공급되는 이물질이 계량부(70) 내부에 적재되게 한다.
상기 중량측정부(703)는 개량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계량부(70) 내부에 적재된 이물질의 중량을 자동으로 측정한다.
한편, 중량측정부(703)에서 측정된 이물질의 중량은 미곡처리시설 등에서 사용되는 수율관리시스템으로 제공됨으로써 입상물 선별기에 공급된 입상물의 총 공급량 대비 이물질의 전체 중량 측정을 통해 입상물, 예를 들어 쌀과 같은 곡물의 수율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출함(20)의 일측에는 배출함(20)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압축공기공급부(50)의 동작이 제어되게 하는 압력센서(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센서(80)는 배출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출함(20)의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게 되는데, 충진량감지부(40)에 의해 배출함(20)의 내부에 일정량의 이물질이 충진되었음이 감지되어 압축공기공급부(50)에서 배출함(2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배출함(20)의 내부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후, 배출함(20)의 내부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배출함(20)의 내부에 충진되었던 이물질이 배출부를 통해 모두 배출되면, 배출함(20)의 내부의 압력은 다시 낮아지게 되는데, 그러한 압력 변화를 압력센서(80)가 감지하여 압력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였다가 다시 낮아진 후 더 이상 낮아지지 않으면, 배출함(20)의 내부에 이물질이 모두 배출된 것이므로 압축공기공급부(50)의 동작이 정지하도록 감지 신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압축공기공급부(50)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공기공급부(50)의 동작 정지 후 다시 배출함(20)으로 이물질이 충진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출함(20)의 일측에는 충진량감지부(4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90)은 충진량감지부(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식별창(901), 승강안내부(902)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창(901)은 배출함(20)의 측벽에서 세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형성된다.
상기 승강안내부(902)는 식별창(901)의 외측에 형성되되, 세로장공(902a)이 형성되어 충진량감지부(40)가 세로 방향으로 승강 가능케 안내한다.
따라서, 배출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출함(20)의 내부에 충진되는 이물질의 충진량을 감지하는 충진량감지부(40)의 설치 높이를 승강안내부(902)를 이용해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충진량감지부(40)가 압축공기공급부(50)의 동작 제어를 위한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배출함(20)에 충진되는 이물질의 종류나 형태, 크기, 양에 따라 압축공기공급부(50)가 동작 되어야 할 최적의 시점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유입함 101: 투명창
20: 배출함 201: 연결관
202: 배출구 30: 제1밸브
40: 충진량감지부 50: 압축공기공급부
60: 여과수단 70: 계량부
701: 상부개폐부 702: 하부개폐부
703: 중량측정부 80: 압력센서
90: 높이조절수단 901: 식별창
902: 승강안내부

Claims (5)

  1.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어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배출부에서 선별 배출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유입함(10);
    상기 유입함(10)의 하단부와 연결관(201)으로 연결되어 유입함(10)에서 공급되는 이물질이 충진되며, 하단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202)가 형성된 배출함(20);
    상기 연결관(201)에 설치되어 유입함(10)에서 배출함(20)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을 단속하는 제1밸브(30);
    상기 배출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진되는 이물질의 충진량을 감지하고, 사전 설정량의 이물질이 감지되면, 압축공기공급부(50)에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충진량감지부(40);
    상기 배출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충진량감지부(4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배출함(20)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배출함(20)의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이 배출구(202)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압축공기공급부(50); 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함(20)의 일측에는 배출함(20)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배출함(20)의 내부의 압력에 따라 압축공기공급부(50)의 동작이 제어되게 하는 압력센서(80); 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함(10)의 상부에는
    입상물 선별기의 선별배출부에서 선별 배출되는 이물질에 혼입된 과대 이물질을 선별하는 여과수단(60); 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함(10)의 상부에는 유입함(10)으로 공급되는 이물질의 중량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계량부(70); 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함(20)의 일측에는 충진량감지부(4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90); 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
KR1020200079211A 2020-06-29 2020-06-29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 KR102199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211A KR102199008B1 (ko) 2020-06-29 2020-06-29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211A KR102199008B1 (ko) 2020-06-29 2020-06-29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008B1 true KR102199008B1 (ko) 2021-01-06

Family

ID=7412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211A KR102199008B1 (ko) 2020-06-29 2020-06-29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0304A (zh) * 2021-05-26 2021-09-10 杭州电子科技大学 脱细胞骨再生修复材料锯-冲一体化制备装置与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106U (ko) * 1997-05-29 1997-08-12 최병준 미곡의 중량계량과 수분측정용 호퍼 스케일
JPH09308367A (ja) * 1996-05-24 1997-12-02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籾センサ取り付け構造
KR200177097Y1 (ko) 1998-05-18 2000-05-01 신석호 곡물의 색채 선별장치
JP2007143530A (ja) * 2005-11-30 2007-06-14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排出装置
KR100821986B1 (ko) * 2007-05-31 2008-04-15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입상체 진공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8367A (ja) * 1996-05-24 1997-12-02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籾センサ取り付け構造
KR970050106U (ko) * 1997-05-29 1997-08-12 최병준 미곡의 중량계량과 수분측정용 호퍼 스케일
KR200177097Y1 (ko) 1998-05-18 2000-05-01 신석호 곡물의 색채 선별장치
JP2007143530A (ja) * 2005-11-30 2007-06-14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排出装置
KR100821986B1 (ko) * 2007-05-31 2008-04-15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입상체 진공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0304A (zh) * 2021-05-26 2021-09-10 杭州电子科技大学 脱细胞骨再生修复材料锯-冲一体化制备装置与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008B1 (ko) 입상물 선별기용 이물질 자동 배출장치
US20100081552A1 (en) Continuous self-cleaning centrifuge assembly
CN208297178U (zh) 一种谷物含水率在线监测取样检测机构
CN218133403U (zh) 一种散料智能排除装置
KR101175545B1 (ko)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CN208297456U (zh) 一种谷物含水率在线监测试验台
CN110174163A (zh) 一种散粮计量称重系统
EP3256383A1 (en) Automated vacuum actuated control
WO2013175870A1 (ja) 色彩選別機
CN211470087U (zh) 一种酿酒厂米仓自动化控制系统
CN208758088U (zh) 一种纱棒初步分类装置
CN112441438A (zh) 一种检测物料种类的卸料装置
FI69255C (fi) Matnings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en tryckkammarkvarn
CN215234955U (zh) 一种新型粉碎机粉碎细度监测装置
CN218393893U (zh) 一种碾米机卸料装置
CN210148674U (zh) 一种塑料薄膜的上料装置
US20230152144A1 (en) Weighing and trans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detecting mass flow rates of bulk materials
CN108685156B (zh) 一种风选梗丝分离装置
CN212932383U (zh) 牛饲料原料质量安全检测系统
JPS62295833A (ja) 穀粒の計量搬送装置
CN220559841U (zh) 一种分类设备
CN219780942U (zh) 一种含杂和破碎检测系统及收获机
CN221017483U (zh) 多谷物转接模块结构
CN218036240U (zh) 一种颗粒物料在线容重检测装置
CN115201429B (zh) 数字质检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