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517B1 - 버섯활용 약용식물 배양물을 이용한 저체중 개선용 분말 제품 - Google Patents

버섯활용 약용식물 배양물을 이용한 저체중 개선용 분말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517B1
KR102198517B1 KR1020190162768A KR20190162768A KR102198517B1 KR 102198517 B1 KR102198517 B1 KR 102198517B1 KR 1020190162768 A KR1020190162768 A KR 1020190162768A KR 20190162768 A KR20190162768 A KR 20190162768A KR 102198517 B1 KR102198517 B1 KR 102198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wangchil
grain
day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187A (ko
Inventor
김현준
김승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김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김현준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2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51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7Treatment of whole grai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활용 약용식물 배양물을 이용한 저체중 조절 분말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황칠나무를 추출한 후 추출액에 혼합 곡물을 침지시키고, 혼합 곡물과 상황버섯균을 함께 배양시켜 분말화시킨 저체중 개선용 곡물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분말은 섭취자의 체중을 증량시켜 영향의 균형을 맞춤으로써 체중 조절이 필요한 소비자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버섯활용 약용식물 배양물을 이용한 저체중 개선용 분말 제품{Cereal products for improving low weight with leafs from herb and mushroom}
본 발명은 버섯활용 약용식물 배양물을 이용한 저체중 개선용 곡물 분말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황칠나무를 추출한 후 추출액에 혼합 곡물을 침지시키고, 혼합 곡물과 상황버섯균을 함께 배양시켜 분말화시킨 저체중 개선용 곡물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건강기능식품은 의약품과 달리 질병상태의 치료가 목적이 아니라 생체기능의 활성화를 통해 질병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건강유지, 증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을 가지지 시작하였고, 최근 소득증가와 소비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건강식품에 대하여도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기능성 농작물 중, 쌀을 예로 들자면 궁중옥쌀, 인삼쌀, 버섯쌀, 녹차쌀 등 기능성을 갖는 천연물질 외에도 키토산, 미네랄, 칼슘 등의 영양소가 첨가된 쌀이 선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씻지 않아도 되는 새로운 기능성 쌀(씻어 나온 쌀)도 등장하고 있다. 또한 기타 바이오쌀(생체활성미), 홍버섯쌀, 살아있는 쌀(배아미)이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52058호(2003년06월26일)호에는 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쌀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은, 꽃송이버섯균을 배양하여 쌀에 꽃송이버섯 성분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상황버섯균을 이용하여 저체중을 개선시키려는 시도는 아직까지 없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87724호(2015년01월23일)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4757호(2004년03월22일)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52058호(2003년06월26일)
본 발명자들은 평소 식생활에 이용되는 현미, 찹쌀, 흑미, 귀리, 곡물 등의 곡물류를 포함하는 일상적인 식단을 통해 건강 증진을 위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황칠나무와 상황버섯의 유익한 성분들을 혼합 곡물에 흡수되게 함으로써 섭취자에게 증체 효과가 있음을 예기치 않게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a) 황칠나무를 추출하여 황칠 추출액을 얻는 단계;
b) 정제수에 엿기름을 첨가하여 당도를 brix 9 ~ 12로 조정한 액체 배지에서 상황버섯균(Phellinus linteus)을 실온에서 9 ~ 13일 동안 전배양하는 단계,
c) 깨끗이 세척한 귀리, 흑미 및 현미를 3~6:2~4:0.5~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곡물을 얻는 단계;
d) 상기 혼합 곡물을 상기 a) 단계의 황칠 추출액에 3~4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탈수처리하는 단계;
e) 상기 탈수처리된 곡물에 상기 b) 단계에서 액체 배양된 상황버섯균을 곡물과 상황버섯균의 부피를 기준으로 1∼10 부피%로 접종하는 단계,
f) 상기 접종물을 25∼28 ℃에서 20∼35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
g) 배양 과정에서 상황균사체가 곡물 표면에 전체적으로 자라기 시작하면 2 ~ 5 일에 한번씩 배양병을 흔들어 곡물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
h) 배양완료 후 곡물을 동결 건조 또는 75 ℃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및
i) 상기 단계에서 건조된 곡물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곡물 분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체중 개선용 곡물 분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상적인 식생활을 통해 상황버섯과 황칠나무의 유익한 성분들이 포함된 곡물을 손쉽게 섭취함으로써 인체에 다양한 에너지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저체중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분말은 섭취자의 체중을 증량시켜 영향의 균형을 맞춤으로써 체중 조절이 필요한 소비자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체중 개선용 곡물 분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 및 3은 마우스에서 증체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도 4는 마우스에서 시험한 평균 일일 증체량의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도 5는 평균 섭취량을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도 6은 일당 평균 섭취량을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도 7은 마우스에서 사료 섭취 효율을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도 8은 마우스의 전장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도 9는 마우스에서 전장 성장율을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도 10은 등지방 두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도 11은 마우스의 후지근육의 단백질 농도를 분석한 그래프도이다.
도 12는 마우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도 13은 마우스 혈청의 트리글리세리드 수치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a) 황칠나무를 추출하여 황칠 추출액을 얻는 단계;
b) 정제수에 엿기름을 첨가하여 당도를 brix 9 ~ 12로 조정한 액체 배지에서 상황버섯균(Phellinus linteus)을 실온에서 9 ~ 13일 동안 전배양하는 단계,
c) 깨끗이 세척한 귀리, 흑미, 및 현미를 3~6:2~4:0.5~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곡물을 얻는 단계;
d) 상기 혼합 곡물을 상기 a) 단계의 황칠 추출액에 3~4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탈수처리하는 단계;
e) 상기 탈수처리된 곡물에 상기 b) 단계에서 액체 배양된 상황버섯균을 곡물과 상황버섯균의 부피를 기준으로 1∼10 부피%로 접종하는 단계,
f) 상기 접종물을 25∼28 ℃에서 20∼35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
g) 배양과정에서 상황균사체가 곡물 표면에 전체적으로 자라기 시작하면 2 ~ 5 일에 한번씩 배양병을 흔들어 곡물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
h) 배양완료 후 곡물을 동결 건조 또는 75 ℃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및
i) 상기 단계에서 건조된 곡물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곡물 분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액을 얻는 단계는
황칠나무를 세척한 후, 60~90% 메탄올에 1:1~2의 중량비로 침지시킨 후 3일 내지 15일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추출액을 분리하거나,
채취한 황칠나무를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하여 세절한 후, 60~90% 에탄올에 1:1~3의 중량비로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1~3 주 동안 방치한 후 추출액을 분리하거나,
황칠나무를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하여 세절한 다음 이를 용기에 넣고 황칠나무와 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1:1~5중량비로 혼합하여 고압멸균솥에 넣고 95 ~ 125℃의 온도에서 2 ~ 5 시간 동안 추출하거나, 또는
황칠나무를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하여 세절한 다음 주정과 1:1~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25~ 30℃의 온도에서 일주일 동안 침출시켜 황칠나무 추출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체중 개선용 곡물 분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저체중 개선용 곡물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체중 개선용 곡물 분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먼저, a) 단계에서는 황칠나무를 추출하여 황칠 추출액을 얻는다.
황칠나무는 그 학명이 Dendropanax morbifera Lev.로서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천연보호림이며,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으로 겨울에도 낙엽이 지지 않으며, 세계적으로도 귀한 난지성 수목으로, 우리나라에는 1속 1종 밖에 없으며 서남해안 및 제주도, 진도, 장흥, 완도, 해남, 거제도 등 도서지역에 자생하고, 특히 전라남도가 전국 재배량의 99%를 차지하고 있으며, 10년생 이상의 수목들이 대량 재배되고 있는 상록활엽교목으로 예전부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수피에 상처를 주면 수지액이 흘러나오는데 이러한 수지액을 황칠이라 부른다. 그 수피에서 나오는 황칠은 찬란한 금빛을 띄어서 예전부터 황칠은 황제의 갑옷, 금속 장신구 등의 외간을 황금색으로 장식하는 진귀한 도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안식향을 함유하여 예로부터 약리효과가 탁월한 신비한 나무로 주목을 받아 왔다.
황칠나무는 인간의 질병의 치유 및 예방에 유용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최근 들어 다양한 기능성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어 전문적인 제품화기술 및 마케팅 지원을 통하여 충분히 건강기능식품 및 웰빙 식품으로 고부가가치화 제품을 개발할 수 있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황칠나무의 유익한 성분을 식품 조성물로서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황칠 추출액은 황칠나무를 세척한 후, 60~90% 메탄올에 1:1~2의 중량비로 침지시킨 후 3일 내지 15일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추출액을 분리하거나, 채취한 황칠나무를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하여 세절한 후, 60~90% 에탄올에 1:1~3의 중량비로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1~3 주 동안 방치한 후 추출액을 분리하거나, 황칠나무를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하여 세절한 다음 이를 용기에 넣고 황칠나무와 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1:1~5중량비로 혼합하여 고압멸균솥에 넣고 95 ~ 125℃의 온도에서 2 ~ 5 시간 동안 추출하거나, 또는 황칠나무를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하여 세절한 다음 주정과 1:1~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25~ 30℃의 온도에서 일주일 동안 침출시켜 황칠나무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b) 상황버섯균을 전배양하는 단계는 정제수에 엿기름을 첨가하여 당도를 brix 9 ~ 12로 조정한 액체 배지에서 상황버섯균(Phellinus linteus)을 실온에서 9 ~ 13일 동안 배양시켜 수행한다.
상황버섯은 고산지대에 서식하고 있는 산뽕나무, 참나무, 밤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고목에서 자생하는 번식이 잘되지 않는 매우 희귀한 담자균류의 다년생 버섯으로 학명으로는 Phellinus linteus(페리누스 린테우스)라고 한다. 상황버섯은 수십년 자란 고사목에서 주로 기생하며 「본초강목」이나 「동의보감」 같은 한의학(韓醫學) 古書에 '상이 (桑耳)' '상목이(桑木耳)' '상신(桑臣)' 침열제(針裂蹄) 등의 이름으로 기록에 남아 있다. 상황버섯의 모양은, 초기에는 진흙덩어리가 뭉쳐진 것 같은 형태로 유지되다가 다 자란 후 모습은 나무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혓바닥 같은 형태의 윗부분은 진흙 같은 색깔을 나타내기도 하고 감나무의 표피와 같이 검게 갈라진 모습 등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아랫부분은 노란 융단 같은 형태로, 윗부분은 검은색 또는 진흙 색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버섯을 달였을 때는 노랗거나 담황색으로 맑게 나타나며, 맛과 향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맛이 순하고 담백하여 먹기에도 좋고, 먹으면 소화가 잘되어 대체의학의 한 부분으로 크게 자리 잡아가고 있다. 상황버섯 자실체는 처음에는 진흙덩어리 형태로 자라다가 겨울이 되면 성장을 멈추고 노란 부분이 진흙색으로 변하며 다시 봄이 되면 노랗게 덧자라는 다년생 버섯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버섯균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상황 버섯균이 가장 바람직하다. 버섯균은 전체의 용적을 기준으로 5∼10%의 함량으로 접종하는 것이 적합하다. 배양은 진탕 배양보다는 정치 배양이 적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상황버섯균(Phellinus linteus)을 엿기름 액체 배지에 순수배양하는 것이 좋다. 엿기름 액체 배지는 정제수 1ℓ에 엿기름 100~500g을 넣어 40~70 ℃에서 8시간 ~10시간 정도 보온 방치한 후 90~120 ℃에서 5-10분 정도 끓이고, 이를 여과하여 엿기름 추출액의 당도를 brix 9 ~ 12로 조정하여 배지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깨끗이 세척한 귀리, 흑미 및 현미를 3~6:2~4:0.5~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곡물을 상기 a) 단계의 황칠 추출액에 3~4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탈수한다. 상기 곡물의 혼합비는 5:3:2의 중량비가 더욱 바람직할 수 있고, 이 범위를 벗어나면 증체 효과가 바람직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어서, e) 상기 탈수처리된 곡물에 상기 b) 단계에서 액체 배양된 상황버섯균을 곡물과 상황버섯균의 부피를 기준으로 1∼10 부피%로 접종한 후, 상기 접종물을 25∼28 ℃에서 20∼35일 동안 배양한다.
배양과정에서, 상황균사체가 곡물 표면에 전체적으로 자라기 시작하면 2 ~ 5 일에 한 번씩 배양병을 흔들어 곡물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배양완료 후 곡물을 동결 건조 또는 75 ℃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마지막으로, i) 상기 단계에서 건조된 곡물을 통상적인 방식으로 분말화하여 목적하는 식품으로 사용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황칠나무의 잎 추출물의 제조
황칠나무의 건조된 잎 3 kg을 70% 메탄올 3 ℓ에 침지하여 1주일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추출액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2: 황칠나무의 잎 추출물의 제조
채취한 황칠나무의 잎을 세척 후 건조하여 3kg을 세절한 후, 90% 에탄올 5 리터에 넣고 실온에서 2 주 동안 침출시키고 이를 여과하고 추출액을 얻었다.
실시예 3: 황칠나무의 잎 추출물의 제조
황칠나무의 잎을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하여 세절한 다음 주정과 1: 3의 비율로 배합하여 25 ~ 30℃의 온도에서 일주일 동안 침출시켜 황칠나무 추출액을 얻었다.
실시예 4: 곡물 분말의 제조
깨끗이 세척한 귀리, 흑미 및 현미를 각각 5:3:1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혼합 곡물을 실시예 1에서 얻은 황칠 추출액에 3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탈수하였다. 별도로, 정제수 1ℓ에 엿기름 200g을 넣어 50 ℃에서 9 시간 동안 보온 방치한 후 100 ℃에서 5 분 동안 끓인 후 이를 여과하여 엿기름 추출액의 당도를 brix 11로 조정하여 엿기름 추출 액체 배지를 준비하여 상황버섯균(Phellinus linteus)을 5% 부피로 접종한 후 실온에서 9 ~ 13일 동안 예비 배양하였다. 이어서, 상기 탈수처리된 곡물에 상기액체 배양된 상황버섯균을 5 부피%로 접종한 후 상기 접종물을 25∼26 ℃에서 30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중 상황균사체가 곡물 표면에 전체적으로 자라기 시작하면 2 ~ 5 일에 한번씩 배양병을 흔들어 곡물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였다. 배양완료 후 곡물을 75 ℃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분말화하였다. 분말화된 형태의 시료 S를 후속 시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체중 증량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4의 분말화된 형태의 시료 S(귀리-흑미-현미 배양분말)를 사용하여 체중 증량 효과를 시험하였다. 시료는 매일 200 mg/kg/day 15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8주령 male ICR mouse를 사용하고 대조군 및 실험군의 체장 및 체중은 하루에 한번 측정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실험군은 Group 1(음성대조군): 시료 대신 생리식염수 급여, Group 2(실험군): 200 mg/kg/day 농도의 시료 S 경구투여한 경우로 분류하였다.
시료 S의 체중증량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분말화된 형태를 매일 200 mg/kg/day의 농도로 15일 동안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군 설계를 통해 2개의 그룹으로 실험을 수행하였고 실험군은 시료 S를 경구투여 하였다. 비교분석을 위해 대조군은 시료 대신 일반사료 및 생리식염수를 급여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측정은 동물 사육실에서 적응기간 7일 후 15일 동안 시료투여 기간 동안 15번 수행되었다. 그 결과를 도 2 및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3은 마우스에서 증체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일반사료 및 생리식염수만 급여한 대조군은 처음 평균체중 39.4±1.14 g에서 15일 후 평균체중 39.8±1.64 g으로 평균 약 0.4 g의 체중변화를 보였다. 시료 S를 급여한 그룹은 평균체중 40.75±0.5 g에서 15일 후 평균체중 41.25±2.5 g으로 약 0.5 g 증량되었다. 일반사료 및 시료 급여 후 대조군과 각 실험군의 평균체중을 통해 대조군의 체중증가율이 1.02 %, S의 체중증가율이 1.23 %로 분석되었다(도 3).
실시예 6: 일당 평균 증체량, 일당 평균섭취량, 식이효율, 및 등지방 두께 분석
일당 평균증체량은 하루에 한번 15일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내어 일당 평균증체량을 계산하고, 일당 평균섭취량은 하루에 한번 15일 동안 실험동물이 섭취한 사료양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내어 일당 평균섭취량을 계산하였다. 식이효율은 평균증체량을 평균섭취량으로 나누어 계산하고, 등지방 두께 분석은 Mouse로부터 적출한 등지방을 증류수로 세척 후 두께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도 4는 마우스에서 시험한 평균 일일 증체량의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고, 도 5는 평균 섭취량을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며, 도 6은 일당 평균 섭취량을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6-1. 일당 평균 증체량, 평균 섭취량 및 일당 평균 섭취량 분석
일반사료 및 생리식염수만 급여한 대조군의 일당 평균 증체량은 0.147 g으로 측정되었다. 시료 S를 15일 동안 섭취한 실험군의 일당 평균 증체량은 0.157g으로 분석되었다(도 4). 실험동물의 일반사료 섭취량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대조군의 평균 섭취량은 1일차부터 15일차까지 순서대로, 6g, 6.2g, 6g, 6.2g, 6.2g, 6g, 5.6g, 5.8g, 6g, 5.8g, 5.6g, 6g, 6g, 4.6g으로 측정되었고 시료 S는 6g, 6g, 5.2g, 5.4g, 5.4g, 5.6g, 5.4g, 5.8g, 5.6g, 5.6g, 5.2g, 5.6g, 5.6g, 5.4g으로 측정되었다(도 5). 또한, 일당 평균 섭취량(ADFI)은 대조군이 5.86±0.41g, 실험군이 5.56±0.25g으로 확인되었다(도 6).
6-2. 식이효율 분석
실험동물의 체중 및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여 평균 증체량, 평균 섭취량을 측정하여 식이효율을 분석하였다. 대조군과 각 실험군의 평균 증체량과 평균 섭취량을 통해 식이효율을 산출하였다. 식이효율(G/F) = 평균 증체량(Gain)/평균 섭취량(Feed)의 식을 사용하였다. 도 7은 마우스에서 사료 섭취 효율을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대조군의 식이효율은 0.00501로 나타났고 S인 실험군은 0.00564으로 분석되었다(도 7).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실험군에서 비교적 높은 식이효율을 보였다.
6-3. 전장 측정 및 전장 성장률 분석
전장 성장률과 체중 증가율은 각 평균전장 및 평균체중을 이용하여 아래의 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 전장 성장률 = [(종료시 평균전장 - 개시시 평균전장)/개시시 평균전장] X 100- 체중 증가율 = [(종료시 평균체중 - 개시시 평균체중/개시시 평균체중] X 100
실험동물의 전장 길이를 실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에 측정하여 전장 성장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8 및 9에 나타내었다. 도 8은 마우스의 전장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도 9는 마우스에서 전장 성장율을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대조군의 실험 시작시점의 전장 평균은 21.0±0.01 cm로 측정되었고 실험 종료시점의 전장 평균은 21.46±0.15 cm로 측정되어 약 0.46 cm의 전장 성장을 보였다. S를 섭취한 실험군은 실험 시작시점의 전장 평균이 20.6±0.55 cm로 측정되었고 실험 종료시점의 전장 평균은 21.48±0.36 cm로 측정되어 약 0.88 cm의 전장 성장을 보였다(도 8).
평균 전장 결과를 통해, 대조군 및 각 실험군의 전장 성장률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의 전장 성장률은 2.19 %, 시료 S는 4.27%로 나타났다(도 9).
6-4. 등지방 두께 분석
실험동물의 등지방 두께를 실험 종료시점에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도 10은 등지방 두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실험 종료시점에 대조군의 평균 등지방 두께는 1.20±0.19 mm (100 %)로 측정되었고, S를 섭취한 실험군의 평균 등지방 두께는 1.26±0.16 mm (105.0 %)로 측정되었다(도 10). S의 섭취에 의해 등지방 두께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다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후지근육의 근단백질 분석
채혈 후 Mouse로부터 적출한 대퇴부 및 근육조직을 파쇄하고 lysis buffer를 첨가하여 lysis 시킨 후 BCA kit로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실험동물 후지근육의 근단백질의 농도를 실험 종료시점에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도 11은 마우스의 후지근육의 단백질 농도를 분석한 그래프도이다. 실험 종료시점에 대조군의 평균 후지근육의 근단백질 농도는 1.17±0.02 μg/mg 로 측정되었고, S는 1.20±0.014 μg/mg으로 측정되었다(도 11). S의 섭취 후 후지근육의 근단백질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 시 후지근육 근단백질의 농도를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혈청 내 생화학적 분석
실험동물은 시료급여가 완료된 시점에 12시간 금식시킨 후 마취하지 않고 마우스 고정틀 안에 마우스를 삽입한 다음 꼬리로부터 공복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3,000 rpm (4 ℃)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하여 혈청을 분리하며, 혈청의 생화학적 분석 전까지 -70 ℃에 보관하였다. Mouse의 혈청 내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은 혈액분석기기를 사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동물 혈청 내 생화학적 분석을 실험 종료시점에 수행하여 분석한 결과를 도 12 및 13에 나타내었다. 도 12는 마우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고, 도 13은 마우스 혈청의 트리글리세리드 수치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면, 대조군에서 116.0 mg/dL, S에서 118.9 mg/dL로 나타났다(도 12). 대조군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와 비교했을 때, 제품의 시료에서 다소 증가된 결과를 보였지만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혈청 내 중성지방(triglyceride)의 경우 대조군에서 81.5 mg/dL, S에서는 104.9 mg/dL로 나타났다(도 13). S를 섭취한 실험군에서 중성지방의 수치는 대조군과 비교시 증가되었다.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해 S의 섭취가 실험동물의 체중을 증가시키고 전장을 성장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혈액 내 지질의 생화학적 분석을 통해 중성지방을 다소 증가시키지만, 총 콜레스테롤의 수치는 정상범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S의 체중증량 효과가 저체중을 개선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

  1. 저체중 개선용 곡물 분말로서, 상기 곡물 분말은
    a) 황칠나무의 잎을 추출하여 황칠 추출액을 얻는 단계;
    b) 정제수에 엿기름을 첨가하여 당도를 brix 9 ~ 12로 조정한 엿기름 액체 배지에서 상황버섯균(Phellinus linteus)을 전체의 용적을 기준으로 5∼10%의 함량으로 접종하여 실온에서 9 ~ 13일 동안 정치 배양시켜 전배양하는 단계;
    c) 깨끗이 세척한 귀리, 흑미 및 현미를 5:3: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곡물을 얻는 단계;
    d) 상기 혼합 곡물을 상기 a) 단계의 황칠 추출액에 3~4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탈수처리하는 단계;
    e) 상기 탈수처리된 곡물에 상기 b) 단계에서 액체 배양된 상황버섯균을 곡물과 상황버섯균의 부피를 기준으로 1∼10 부피%를 접종하는 단계;
    f) 상기 접종물을 배양 병에 넣고 25∼28 ℃에서 20∼35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
    g) 배양 과정에서 상황균사체가 곡물 표면에 전체적으로 자라기 시작하면 2 ~ 5 일에 한번씩 배양병을 흔들어 곡물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
    h) 배양완료 후 곡물을 동결 건조 또는 75 ℃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및
    i) 상기 단계에서 건조된 곡물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황칠 추출액을 얻는 단계는 황칠나무의 잎을 세척한 후, 60~90% 메탄올에 1:1~2의 중량비로 침지시킨 후 3일 내지 15일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추출액을 분리하거나, 채취한 황칠나무의 잎을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하여 세절한 후, 60~90% 에탄올에 1:1~3의 중량비로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1~3 주 동안 방치한 후 추출액을 분리하거나, 또는 황칠나무의 잎을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하여 세절한 다음 주정과 1:1~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25 ~ 30℃의 온도에서 일주일 동안 침출시켜 황칠나무 추출액을 얻고,
    상기 엿기름 액체 배지는 정제수 1ℓ에 엿기름 100~500g을 넣어 40~70 ℃에서 8~10 시간 동안 보온 방치한 후 90~120℃에서 5~10분 동안 끓이고, 이를 여과하여 엿기름 추출액의 당도를 brix 9 ~ 12로 조정한 것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체중 개선용 곡물 분말.
KR1020190162768A 2019-12-09 2019-12-09 버섯활용 약용식물 배양물을 이용한 저체중 개선용 분말 제품 KR102198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768A KR102198517B1 (ko) 2019-12-09 2019-12-09 버섯활용 약용식물 배양물을 이용한 저체중 개선용 분말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768A KR102198517B1 (ko) 2019-12-09 2019-12-09 버섯활용 약용식물 배양물을 이용한 저체중 개선용 분말 제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876A Division KR20190079848A (ko) 2017-12-28 2017-12-28 버섯활용 약용식물 배양물을 이용한 저체중 조절 분말제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187A KR20190139187A (ko) 2019-12-17
KR102198517B1 true KR102198517B1 (ko) 2021-01-05

Family

ID=6905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768A KR102198517B1 (ko) 2019-12-09 2019-12-09 버섯활용 약용식물 배양물을 이용한 저체중 개선용 분말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1502A1 (en) 2018-09-20 2020-03-26 The Better Meat Company Enhanced aerobic fermentation methods for producing edible fungal mycelium blended meats and meat analogue composi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75B1 (ko) 2004-12-01 2009-04-20 김승 상황버섯을 이용한 유기셀레늄 함유 쌀의 제조 방법
KR101150476B1 (ko) * 2012-02-06 2012-05-31 궁전인테리어(주) 기능성 모시 잎 송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058A (ko) 2001-12-20 2003-06-26 문동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쌀 및그 기능성 쌀 성분을 함유하는 식용 조성물
KR20040024757A (ko) 2002-09-16 2004-03-22 이영무 곡물을 이용한 상황버섯 균사체의 속성배양 방법
KR101027964B1 (ko) * 2008-05-07 2011-04-13 재단법인 장흥군버섯연구소 약용버섯으로 배양된 고아미 쌀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
KR101487724B1 (ko) 2014-06-11 2015-02-06 주식회사 알비알 발효 미강 추출물을 이용한 가공 현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75B1 (ko) 2004-12-01 2009-04-20 김승 상황버섯을 이용한 유기셀레늄 함유 쌀의 제조 방법
KR101150476B1 (ko) * 2012-02-06 2012-05-31 궁전인테리어(주) 기능성 모시 잎 송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187A (ko)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655B1 (ko) 버섯농축액과 배양액을 이용한 패티 제조 방법
CN101797014B (zh) 一种低胆固醇营养禽蛋的生产方法及其产品
CN102242070A (zh) 一种蝉拟青霉人工培养的方法及其培养产物的应用
US20220226418A1 (en) Fine bamboo powd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KR20190062995A (ko) 비지박을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CN107343574A (zh) 一种保健鸭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281151B1 (ko) 동아를 이용한 막걸리 및 이의 제조방법
WO1999021961A1 (en) Process for making and uses of cordyceps fermentation products
CN107156027A (zh) 一种养鸡方法
CN107156382A (zh) 一种豆腐柴发酵酵素茶及其加工方法
KR102198517B1 (ko) 버섯활용 약용식물 배양물을 이용한 저체중 개선용 분말 제품
KR101663379B1 (ko) 효모 및 천연효소를 이용한 발효삼채 제조 및 혼합음료 제조방법
KR20190079848A (ko) 버섯활용 약용식물 배양물을 이용한 저체중 조절 분말제품의 제조방법
KR20130100406A (ko) 홍삼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KR100924969B1 (ko) 산양삼 추출물 첨가 건멸치 및 그 제조방법
CN105124260A (zh) 一种诱食肉牛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076701A (zh) 一种多效肉牛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483160B (zh) 一种牛樟芝培养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82126B1 (ko) 굼벵이 먹이용 발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굼벵이 사육방법
KR20100127950A (ko) 차가버섯이 함유된 생수를 이용한 된장 및 간장 제조방법
CN111296598B (zh) 一种复合黑菊芋运动茶饮料及其制备方法
KR20070078345A (ko) 표고버섯청국장, 및 청국장가루, 청국장 환 그 제조방법
KR20200008104A (ko) 버섯활용 약용식물 배양물을 이용한 저체중 개선용 분말 제품
CN104837336B (zh) 突变型番茄及其用于预防体重增加和/或治疗肥胖相关疾病的用途
KR101111288B1 (ko)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