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608B1 - 코일 결속장치 및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코일 결속장치 및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608B1
KR102197608B1 KR1020180126181A KR20180126181A KR102197608B1 KR 102197608 B1 KR102197608 B1 KR 102197608B1 KR 1020180126181 A KR1020180126181 A KR 1020180126181A KR 20180126181 A KR20180126181 A KR 20180126181A KR 102197608 B1 KR102197608 B1 KR 102197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hute
carriage
band
diameter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301A (ko
Inventor
홍 이
곽훈이
조정익
권오정
최현윤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엠텍 filed Critical (주)포스코엠텍
Priority to KR102018012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608B1/ko
Priority to CN201911005827.0A priority patent/CN111071524B/zh
Publication of KR20200045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6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rolled-up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65B13/14Pairs of carriers or guides movable around opposite sid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코일의 결속장치 및 그 이용방법이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결속장치는 코일쉬프터상에 배치된 코일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을 향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코일의 내측으로 밴드를 제공하는 헤드캐리지, 상기 코일의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을 향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코일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밴드를 인출하여 상기 코일의 외측을 따라 상기 헤드캐리지로 이동시키는 슈트캐리지 및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 결속장치 및 그 이용방법{COIL BI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일 결속장치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박판 등이 권취된 코일을 밴드로 결속하는 코일 결속장치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박판 등은 평판 형태로 제조된 후 권취된 코일로서 취급될 수 있다. 코일은 운송 및 보관을 위해 권취된 금속박판 등이 다시 풀리지 않도록 밴드를 이용하여 결속될 수 있으며, 코일의 결속을 위해 코일을 밴딩하는 결속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코일은 중공 형태의 심에 권취될 수 있으며, 밴드는 코일의 내측을 관통하고 외측으로 연장되어 코일의 일측을 직경방향으로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코일 결속장치는 밴드를 코일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전송하여 밴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밴딩을 통한 코일의 결속과정에서는 코일은 코일 결속장치에 맞추어 코일리프터 등을 통해 공중에 권상될 수 있고, 코일 결속장치에 맞추어 권상된 코일은 상기 코일 결속장치에 의해 밴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코일리프터에 의해 권상되는 코일은 고중량체에 해당하므로 의도치 않은 낙하 등의 안전위험이 존재하며, 코일리프터는 고중량을 이루는 코일을 권상시키기 위해 동력소모가 심하고, 나아가 작업과정에서 차지하는 부피와 설치비용이 높다.
이에 따라, 코일을 결속하기 위한 작업과정에서 요구되는 설비를 간소화하고, 작업 공정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코일의 결속에 있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코일 결속과정에서의 설비를 간소화하고, 작업 소요시간을 단축하면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 안전성이 개선되는 코일 결속장치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장치는 코일쉬프터상에 배치된 코일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을 향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코일의 내측으로 밴드를 제공하는 헤드캐리지, 상기 코일의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을 향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코일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밴드를 인출하여 상기 코일의 외측을 따라 상기 헤드캐리지로 이동시키는 슈트캐리지 및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의 각 중앙 높이가 상기 코일의 중앙 높이와 일치되도록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슈트캐리지는, 상기 코일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코일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캐리지에서 제공되는 상기 밴드가 이동되는 내경빔, 상기 코일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경빔을 경유한 상기 밴드가 이동되는 외경빔 및 상기 내경빔 및 상기 외경빔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슈트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경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외경빔에는 상기 밴드가 지나가는 가이드라인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캐리지는, 상기 내경빔의 타단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경빔의 상기 타단부에 상기 밴드를 제공하는 밴드인출부 및 상기 외경빔의 타단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경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외경빔의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외경빔의 타단부로 인출되는 상기 밴드를 제공받는 밴드수용부 및 상기 밴드인출부 및 상기 밴드수용부가 배치되는 헤드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라인은 내부에 상기 밴드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을 바라보는 일면이 상기 이동공간에서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외경빔 및 상기 밴드수용부는 각각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코일의 외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기 내경빔은 복수로 마련되는 상기 외경빔 각각의 가이드라인과 연통하는 복수의 가이드라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베이스부 및 상기 슈트베이스부는 각각 상기 내경빔 및 밴드인출부에서 상기 축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슈트캐리지 및 상기 헤드캐리지는 상기 코일쉬프터의 이동경로가 되는 쉬프팅로드와 상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슈트베이스부 및 상기 헤드베이스부 각각의 하방에 상기 슈트베이스부 및 헤드베이스부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경빔은 상기 코일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내경빔과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슈트베이스부는, 상기 코일의 상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경빔의 상기 일단부가 결합되어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장치의 이용방법은 코일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헤드캐리지 및 상기 코일의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슈트캐리지의 각 리프팅부를 조절하여 상기 코일 높이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의 높이를 조절하는 배치단계,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를 결합시키는 결합단계 및 상기 헤드캐리지에서 상기 코일의 내측으로 밴드를 인입하고, 상기 슈트캐리지에서 상기 밴드를 내측으로부터 인출한 뒤, 인출된 상기 밴드를 상기 코일의 외측을 따라 상기 헤드캐리지로 이동시키는 밴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슈트캐리지에서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경빔이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코일의 직경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밴딩단계는, 상기 슈트캐리지에서 내경빔 및 외경빔이 결합되는 슈트베이스부를 회전시켜 상기 코일에서 외주 방향으로 상기 밴드에 의해 밴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밴딩단계는, 상기 코일에서 밴딩되는 위치에 따른 상기 슈트베이스부의 회전각에서, 상기 외경빔이 상기 코일을 지지하는 코일쉬프터의 이동경로인 쉬프팅로드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황이면, 상기 외경빔의 위치를 상기 코일의 직경 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슈트베이스부의 중앙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코일 결속과정에서의 설비를 간소화하고, 작업 소요시간을 단축하면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코일 결속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코일 결속장치에서 헤드캐리지 및 슈트캐리지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코일 결속장치에서 슈트캐리지의 외경빔이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장치에서 슈트베이스부가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결속장치의 이용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2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장치는 코일쉬프터(20)상에 배치된 코일(10)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10)을 향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코일(10)의 내측으로 밴드를 제공하는 헤드캐리지(100), 상기 코일(10)의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10)을 향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코일(10)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밴드를 인출하여 상기 코일(10)의 외측을 따라 상기 헤드캐리지(100)로 이동시키는 슈트캐리지(200) 및 상기 헤드캐리지(100) 및 상기 슈트캐리지(200)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헤드캐리지(100) 및 상기 슈트캐리지(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팅부(190, 290)를 포함한다.
코일(COIL)은 중공 형태의 심에 금속박판 등이 권취된 형태일 수 있고, 코일쉬프터(COIL SHIFTER)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쉬프터(20)의 상부에 코일(10)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코일쉬프터(20)는 쉬프터로드(SHIFTER ROAD)를 따라 이동하여 코일(10)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장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에는 쉬프터로드(30)를 따라 코일 결속장치로 이동하는 코일쉬프터(20)가 도시되어 있다.
헤드캐리지(100)는 코일쉬프터(20)상에 배치된 코일(10)의 권심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다. 도 2에는 코일(10)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된 헤드캐리지(100)가 도시되어 있다.
헤드캐리지(100)는 바닥 또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거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기둥부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헤드캐리지(100)는 코일(10)의 축방향 일측에서 코일(10)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헤드캐리지(100)는 코일(1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헤드캐리지(100) 전체로서 이동하거나 후술할 헤드베이스부(110)가 코일(1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헤드캐리지(100)의 이동을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헤드캐리지(100)의 헤드베이스부(110)가 이동되는 경우, 헤드베이스는 래크기어와 피니언기어의 결합구조를 통해 코일(10)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은 작업자가 직접 제어콘솔을 조작하거나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캐리지(100)는 코일(10)의 내측으로 밴드를 제공한다. 밴드는 철재 또는 PET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코일(10)의 내면 및 외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헤드캐리지(100)에서 제공되는 밴드는 스트랩 형상으로 제공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일(10) 내측을 통해 슈트캐리지(200)에 제공되고, 다시 코일(10) 외측으로 돌아온 뒤 양단이 체결되어 코일(10)을 결속할 수 있다.
한편, 슈트캐리지(200)는 도 1 내지 2와 같이 코일(10)의 축방향 타측에 배치된다. 코일(10)의 일측 및 타측은 코일(10)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측에 해당되며, 슈트캐리지(200)는 코일(10)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슈트캐리지(200)는 바닥 또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거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기둥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슈트캐리지(200) 전체로서 이동하거나 후술할 슈트베이스부(210)가 코일(1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슈트캐리지(200)의 이동을 위한 구동모터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슈트베이스부(210)가 이동되는 경우, 슈트베이스는 래크기어와 피니언기어의 결합구조 또는 유압실린더 구조를 통해 코일(10)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은 작업자가 직접 제어콘솔을 조작하거나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슈트캐리지(200)에 의해 헤드캐리지(100)에서 제공되는 밴드는 선단이 코일(10) 내측에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타측에서 코일(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되며, 코일(10)의 외측에서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어 다시 헤드캐리지(100)에 제공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밴드는 코일(10)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코일(10)을 감싸게 되고, 상기 코일(10)은 밴딩 작업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도 2에는 코일(10)의 타측에 배치된 슈트캐리지(20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리프팅부(190, 290)는 헤드캐리지(100) 및 슈트캐리지(200)에 각각 마련된다. 리프팅부(190, 290)에 의해 헤드캐리지(100) 및 슈트캐리지(200)는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방향으로 길이가 변화하거나, 적어도 후술하는 헤드베이스부(110) 및 슈트베이스부(210)의 높이가 변화한다.
리프팅부(190, 290)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캐리지(100) 및 슈트캐리지(200)의 기둥부 하부에 배치되거나 기둥부와 헤드캐리지(100) 또는 슈트캐리지(200)의 결합부위에 마련될 수도 있다.
리프팅부(190, 290)는 래크기어와 피니언기어의 결합구조를 가지거나 유압실린더 타입으로 마련되어 헤드캐리지(100) 및 슈트캐리지(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팅부(190, 290)에 의해 헤드캐리지(100) 및 슈트캐리지(200)는 코일(10)과의 상대적 높이가 조절된다.
코일(10)의 내경 및 외경을 둘러싸는 밴드에 의해 코일(10)의 결속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밴딩을 위한 헤드캐리지(100) 및 슈트캐리지(200)와 코일(10)이 동일 높이에 배치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코일리프터를 이용하여 코일(10)을 들어올려 헤드캐리지(100) 및 슈트캐리지(200)와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코일(10)을 들어올리기 위한 코일리프터가 설치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코일(10)의 결속 작업을 위한 설비가 증가되며, 코일(10)의 리프팅 과정 등 작업 공정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코일(10)이 공중에 권상되므로 의도치 않은 이유로 코일(10)이 추락하여 안전상의 위험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코일(10)을 권상시키는 대신 밴드를 제공하는 헤드캐리지(100) 및 밴드를 이동시키는 슈트캐리지(200)에 리프팅부(190, 290)를 구비함으로써, 헤드캐리지(100) 및 슈트캐리지(200)의 높이를 코일(10)에 맞추어 효율적인 결속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코일(10)의 권상을 위한 코일리프터 등을 생략하여 작업설비를 간소화하고, 작업 공정을 단축하며, 결속 작업에 소요되는 동력 등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의도치 않은 사고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리프팅부(190, 290)에 의해 헤드캐리지(100) 및 슈트캐리지(200)의 중앙 높이가 코일(10)의 중앙 높이와 일치되고, 헤드캐리지(100) 및 슈트캐리지(200)가 서로 코일(10)을 향해 이동되어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팅부(190, 290)는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캐리지(100) 및 상기 슈트캐리지(200)의 각 중앙 높이가 상기 코일(10)의 중앙 높이와 일치되도록 상기 헤드캐리지(100) 및 상기 슈트캐리지(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코일(10)의 중앙 높이는 지면에 대한 권심축의 높이이며, 헤드캐리지(100) 및 슈트캐리지(200)의 중앙 높이는 후술하는 내용과 같이 내경빔(220) 및 밴드인출부(120)의 높이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슈트캐리지(200)는, 상기 코일(10)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코일(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캐리지(100)에서 제공되는 상기 밴드가 이동되는 내경빔(220), 상기 코일(1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코일(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경빔(220)을 경유한 상기 밴드가 이동되는 외경빔(230) 및 상기 내경빔(220) 및 상기 외경빔(23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슈트베이스부(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경빔(220), 상기 슈트베이스부(210) 및 상기 외경빔(230)에는 상기 밴드가 지나가는 가이드라인(212, 222, 232)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슈트캐리지(200)에는 코일(10)을 마주보는 슈트베이스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슈트베이스부(210)에는 내경빔(220) 및 외경빔(2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내경빔(220) 및 외경빔(230)은 각각의 일단부가 슈트베이스부(210)에 결합되고 코일(10)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내경빔(220)은 코일(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내경빔(220)은 슈트베이스부(210)에서 대략 중앙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헤드캐리지(100)에서 제공되는 밴드가 내경빔(220)을 따라 코일(10)의 내측을 관통할 수 있다.
외경빔(230)은 코일(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경빔(220)을 경유하여 코일(10)의 내측을 관통한 밴드는 외경빔(230)을 따라 코일(10)의 외측을 가로지르며 이동될 수 있다. 즉, 헤드캐리지(100)에서 제공되어 내경빔(220) 및 외경빔(230)을 경유하는 밴드는 헤드캐리지(100)로 다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내경빔(220), 외경빔(230) 및 슈트베이스부(210)에는 밴드가 이동되는 가이드라인(212, 222, 2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내경빔(220), 외경빔(230) 및 슈트베이스부(210)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라인(212, 222, 232) 서로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라인(212, 222, 232)은 내경빔(220), 외경빔(230) 및 슈트베이스부(210)에서 밴드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며, 밴드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밴딩이 구현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가이드라인(212, 222, 232)은 밴드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홈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밴드가 지나가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터널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헤드캐리지(100)에서 인출된 밴드의 선단은 내경빔(220)에 마련된 가이드라인(222)의 개방구로 인입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라인(222)에서 내경빔(220), 슈트베이스부(210) 및 외경빔(230)으로 따라 이동되어 다시 헤드캐리지(100)로 안정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장치에서 상기 헤드캐리지(100)는, 상기 내경빔(220)의 타단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경빔(220)의 상기 타단부에 상기 밴드를 제공하는 밴드인출부(120) 및 상기 외경빔(230)의 타단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경빔(220),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외경빔(230)의 상기 가이드라인(212, 222, 232)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외경빔(230)의 타단부로 인출되는 상기 밴드를 제공받는 밴드수용부(130) 및 상기 밴드인출부(120) 및 상기 밴드수용부(130)가 배치되는 헤드베이스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캐리지(100)는 코일(10)을 바라보는 일측에 헤드베이스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헤드베이스부(110)는 원판 형상 또는 막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도 2 및 3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측에 밴드인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밴드인출부(120)는 내경빔(220)의 타단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밴드가 인출되는 인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인출구에서 인출된 밴드는 내경빔(220)의 가이드라인(222)으로 인입될 수 있다. 또한, 밴드인출부(120)는 내경빔(220)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헤드베이스부(110)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밴드수용부(130)는 슈트캐리지(200)를 거쳐 돌아온 밴드를 수용할 수 있다. 밴드수용부(130)에 수용된 밴드는 밴드인출부(120)측과 결합되어 코일(10)을 결속할 수 있다. 밴드수용부(130)는 외경빔(230)의 타단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데, 반드시 결합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3에는 헤드베이스부(110), 밴드인출부(120) 및 밴드수용부(130)가 포함되는 헤드캐리지(10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장치에서 상기 가이드라인(212, 222, 232)은 내부에 상기 밴드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10)을 바라보는 일면(223)이 상기 이동공간에서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이드라인(212, 222, 232)은 내부에 밴드가 이동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터널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라인(212, 222, 232)에서 코일(10)을 향하는 일면(223), 예컨대 도 3에서 내경빔(220)의 가이드라인(222)은 상면이, 슈트베이스부(210)의 가이드라인(212)은 우측면이, 외경빔(230)의 가이드라인(232)은 하면이, 각각 이동공간에서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터널 형태의 가이드라인(212, 222, 232)을 따라 코일(10)의 일측을 감싸며 헤드캐리지(100)로 복귀되는 밴드는 코일(10)의 결속을 위해 가이드라인(212, 222, 232)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이드라인(212, 222, 232)에서 코일(10)을 바라보는 일면(223)이 내부의 가압력에 의해 개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밴드의 선단이 가이드라인(212, 222, 232)을 따라 헤드캐리지(100)로 복귀한 경우, 밴드의 선단을 고정한 채 슈트캐리지(200)를 다시 코일(1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면, 밴드에 의해 가이드라인(212, 222, 232)의 일면(223)이 가압되어 개방되고, 개방된 일면(223)을 통해 밴드는 가이드라인(212, 222, 232)으로부터 분리되어 코일(10)을 밴딩하게 된다.
가이드라인(212, 222, 232)에서 개방되는 일면(223)은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타면과 연결되는 모서리가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에 복원스프링이 개재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장치는 상기 외경빔(230) 및 상기 밴드수용부(130)가 각각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코일(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기 내경빔(220)은 복수로 마련되는 상기 외경빔(230) 각각의 가이드라인(232)과 연통하는 복수의 가이드라인(222)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경빔(230)이 복수개로 마련되어 1회의 작업에서 복수의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2개의 외경빔(230)이 구비된 슈트캐리지(200)가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라 1회의 밴딩 작업에서 코일(10)은 2개의 밴딩 부위를 가지게 된다.
내경빔(220)은 복수로 마련되는 외경빔(230) 각각의 가이드라인(232)과 연통하는 복수의 가이드라인(222)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내경빔(220)은 외주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라인(222)이 배치될 수 있다.
내경빔(220)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라인(222)은 각각 어느 하나의 외경빔(230)에 구비되는 가이드라인(232)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 및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가이드라인(222)이 구비되는 내경빔(220)이 도시되어 있으며, 내경빔(220)에 구비되는 2개의 가이드라인(222)은 각각 상방 및 하방에 위치되는 2개의 외경빔(230)의 가이드라인(232)에 연통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4에는 코일(10)을 향해 외경빔(230)이 이동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회전된 상태의 슈트베이스부(2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헤드베이스부(110) 및 상기 슈트베이스부(210)는 각각 상기 내경빔(220) 및 밴드인출부(120)에서 상기 축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헤드베이스부(110) 및 슈트베이스부(210)는 바닥에 고정된 기둥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결합 부위에는 회전을 위한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코일(10)의 안정적인 결속을 위해서는 코일(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밴딩이 이루어짐이 유리하며, 코일(10)에 미리 정해진 밴딩부(15)의 수만큼 외경빔(230)이나 밴드수용부(130)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치 않을 수 있다. 밴딩부(15)는 코일(10)에서 밴드에 의해 결속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코일(10)상에 복수의 밴딩부(15)가 설정되고, 헤드베이스부(110) 및 슈트베이스부(210)에서 외경빔(230) 및 밴드수용부(130)가 상기 밴딩부(15)에 위치될 수 있도록 헤드베이스부(110) 및 슈트베이스부(210)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에 따라, 외경빔(230)의 수보다 코일(10)에 요구되는 밴딩부(15)의 수가 많더라도 슈트베이스부(210) 및 헤드베이스부(110)를 회전시켜 복수의 밴딩부(15)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밴딩부(15) 위치에 맞추어 슈트베이스부(210)가 회전되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 내지 5에는 코일쉬프터(20)의 이동경로가 되는 쉬프링로드의 하부측에 슈트베이스부(210) 및 헤드베이스부(11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3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슈트캐리지(200) 및 상기 헤드캐리지(100)는 상기 코일쉬프터(20)의 이동경로가 되는 쉬프팅로드와 상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슈트베이스부(210) 및 상기 헤드베이스부(110) 각각의 하방에 상기 슈트베이스부(210) 및 헤드베이스부(110)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3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코일(10)의 권상을 배제하고 슈트캐리지(200) 및 헤드캐리지(100)를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코일(10)의 밴딩 작업을 진행하는데, 코일(10)은 권취된 금속박판 등의 권취량에 따라 그 직경 방향으로의 두께가 상이해진다.
따라서, 코일(10)의 두께가 일정수준 이하가 되면, 리프팅부(190, 290)에 의해 슈트캐리지(200) 및 헤드캐리지(100)의 높이가 코일(10)의 중앙 높이에 맞추어지면, 회전되는 슈트베이스부(210) 및 헤드베이스부(110)의 하단측이 코일쉬프터(20)가 위치되는 쉬프팅로드보다 하방에 위치되어야 하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쉬프팅로드보다 낮은 높이에 슈트베이스부(210) 및 헤드베이스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도록, 슈트베이스부(210) 및 헤드베이스부(110)의 하방에 빈 공간에 해당하는 수용공간(310)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공간(310)의 형성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슈트캐리지(200) 및 헤드캐리지(100)의 최하단 부위가 쉬프팅로드보다 더 낮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고 슈트캐리지(200) 및 헤드캐리지(100)를 쉬프팅로드와 이격 배치함으로써 수용공간(310)을 형성할 수도 있고, 쉬프팅로드를 슈트캐리지(200) 및 헤드캐리지(100)의 최하단 부위가 위치되는 지면보다 더 높게 배치하고 상호 이격 배치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슈트베이스부(210)의 적어도 일부, 즉 슈트베이스부(210)의 하단이 쉬프터로드(30)의 하부에 위치되는 수용공간(310)에 수용되도록 슈트베이스부(210)가 회전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 3의 외경빔(230)이 내경빔(220)을 향해 이동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경빔(230)은 상기 코일(10)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내경빔(220)과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슈트베이스부(210)는 코일(10)측에서 바라볼 때 원판 형상 또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외경빔(230)은 슈트베이스부(210)상에서 코일(10)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외경빔(230)은 내경빔(220)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코일(10)은 금속박판의 권취량에 따라 직경 방향으로의 두께, 즉 직경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코일(10)마다 외경빔(230)과의 이격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코일(10)에 밴드를 감는 과정에서 외경빔(230)이 코일(10)의 외측면과 지나치게 이격되면 코일(10)의 권취된 장력이 낮아지면서 금속박판이 풀어지거나 안정적인 밴딩을 위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밴드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코일(10)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외경빔(230)과 코일(10)의 외측면간 이격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밴딩과정에서 코일(10)을 가압하여 금속박판이 풀어지지 않게 하고 효율적인 밴드 활용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슈트베이스부(210)의 일부가 수용공간(310)으로 수용되는 회전 상황에서, 코일(10)의 외측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외경빔(230)은 슈트베이스부(210)의 회전각이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쉬프터로드(30)의 상면에 접하게 되고, 슈트베이스부(210)의 회전은 제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코일(10)의 벤딩과정에서 슈트베이스부(210)의 회전각에 따라 외경빔(230)의 위치를 조절하여 해당 회전각으로의 슈트베이스부(210) 회전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소정의 회전각에서 슈트베이스부(210)의 소정 위치에 있는 외경빔(230)이 쉬프터로드(30)에 접촉되는 경우, 외경빔(230)을 내경빔(220)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소정의 회전각에서도 외경빔(230)이 쉬프터로드(30)에 접촉되지 않는다. 즉, 외경빔(230)이 내경빔(220)에 가까울수록 슈트베이스부(210)에 허용되는 회전각의 크기는 증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0)의 안정적인 결속을 위해 설정된 밴딩부(15)에 대응하도록 슈트베이스부(210)가 회전되는 경우, 해당 회전각에서 외경빔(230)이 쉬프터로드(30)에 접촉되어 슈트베이스부(210)의 회전이 제한되지 않도록 외경빔(2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슈트베이스부(210)는, 상기 코일(10)의 상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경빔(230)의 상기 일단부가 결합되어 이동되는 이동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막대 형상의 슈트베이스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슈트베이스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이 상기 슈트베이스부(210)에 형성되며, 외경빔(230)의 일단부가 결합된 이동부(218)가 상기 홈을 따라 이동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동부(218)는 모터 등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이동될 수 있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부(218)는 코일(10)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218)가 슈트베이스부(210)에서 이동됨에 따라 외경빔(230)은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며 내경빔(220)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장치의 이용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코일 결속장치의 이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전술한 코일 결속장치와 중복되는 내용은 가급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장치의 이용방법은 코일(10)의 축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헤드캐리지(100) 및 상기 코일(10)의 축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슈트캐리지(200)의 각 리프팅부(190, 290)를 조절하여 상기 코일(10) 높이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캐리지(100) 및 상기 슈트캐리지(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배치단계(S100), 상기 헤드캐리지(100) 및 상기 슈트캐리지(200)를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코일(1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캐리지(100) 및 상기 슈트캐리지(200)를 결합시키는 결합단계(S200),
상기 헤드캐리지(100)에서 상기 코일(10)의 내측으로 밴드를 인입하고, 상기 슈트캐리지(200)에서 상기 밴드를 내측으로부터 인출한 뒤, 인출된 상기 밴드를 상기 코일(10)의 외측을 따라 상기 헤드캐리지(100)로 이동시키는 밴딩단계(S300)를 포함한다.
배치단계(S100)에서는 헤드캐리지(100) 및 슈트캐리지(200)의 리프팅부(190, 290)를 조절하여 코일(10)의 중앙 높이에 헤드캐리지(100) 및 슈트캐리지(200)의 중앙 높이가 위치되도록 조절한다. 헤드캐리지(100) 및 슈트캐리지(200)의 중앙 높이는 헤드베이스부(110) 및 슈트베이스부(210)의 회전축이 위치된 높이와 동일할 수 있고, 내경빔(220) 및 밴드인출부(12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결합단계(S200)에서는 헤드캐리지(100)와 슈트캐리지(200)를 상호 결합시킨다. 도 3과 같이 헤드캐리지(100)의 밴드인출부(120)가 슈트캐리지(200)의 내경빔(220)과 결합되고, 헤드캐리지(100)의 밴드수용부(130)가 슈트캐리지(200)의 외경빔(230)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코일(10)은 내측의 중공이 내경빔(220)에 의해 관통되고, 복수의 외경빔(230)이 마련된 경우 코일(10)은 상기 복수의 외경빔(230)에 의해 둘러싸이며, 슈트베이스부(210) 및 헤드베이스부(11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밴딩단계(S300)에서는 헤드캐리지(100)에서 인출되는 밴드가 슈트캐리지(200)를 통래 코일(10)의 내주면을 지나서 외주면을 따라 다시 헤드캐리지(100)로 복귀하게 된다. 헤드캐리지(100)에 밴드의 선단이 복귀하면, 밴드 선단은 아직 코일(10)의 내주면에 진입하지 않은 밴드의 일측과 결합되면서 코일(10)을 결속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결속장치의 이용방법에서 상기 결합단계(S200)는, 상기 슈트캐리지(200)에서 상기 코일(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경빔(230)이 상기 코일(1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코일(10)의 직경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외경빔(230)의 위치 조절을 통해 코일(10)에 감겨진 금속박판이 풀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슈트베이스부(210)의 회전이 제한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딩단계(S300)는, 상기 슈트캐리지(200)에서 내경빔(220) 및 외경빔(230)이 결합되는 슈트베이스부(210)를 회전시켜 상기 코일(10)에서 외주 방향으로 상기 밴드에 의해 밴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코일(10)에는 복수의 밴딩부(15)가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슈트베이스부(210) 및 헤드베이스부(110)가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의 밴딩부(15)에 대응하도록 밴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밴딩단계(S300)는, 상기 코일(10)에서 밴딩되는 위치에 따른 상기 슈트베이스부(210)의 회전각에서, 상기 외경빔(230)이 상기 코일(10)을 지지하는 코일쉬프터(20)의 이동경로인 쉬프팅로드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황이면, 상기 외경빔(230)의 위치를 상기 코일(10)의 직경 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슈트베이스부(210)의 중앙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외경빔(230)이 내경빔(220)측으로 이동할수록 쉬프터로드(30)에 의해 회전각 제한이 감소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슈트베이스부(210)의 회전각에 따라 외경빔(2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밴딩부(15)에 대응하는 슈트베이스부(210)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코일 15 : 밴딩부
20 : 코일쉬프터 30 : 쉬프터로드
100 : 헤드캐리지 110 : 헤드베이스부
120 : 밴드인출부 130 : 밴드수용부
190, 290 : 리프팅부 200 : 슈트캐리지
210 : 슈트베이스부 212, 222, 232 : 가이드라인
218 : 이동부 220 : 내경빔
230 : 외경빔 310 : 수용공간
S100 : 배치단계 S200 : 결합단계
S300 : 밴딩단계

Claims (14)

  1. 코일의 축방향 일측에 위치하며 회전 가능한 헤드베이스부와, 상기 헤드베이스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코일의 내측으로 밴드를 제공하는 밴드인출부와, 상기 헤드베이스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코일의 외측을 돌아나온 밴드를 제공받는 밴드수용부를 포함하는 헤드캐리지;
    상기 코일의 축방향 타측에 위치하며 회전 가능한 슈트베이스부와, 상기 슈트베이스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코일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인출부로부터 밴드를 제공받는 내경빔과, 상기 슈트베이스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코일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경빔과 상기 슈트베이스부를 경유한 밴드를 상기 밴드수용부로 제공하는 외경빔을 포함하며, 상기 내경빔과 상기 슈트베이스부 및 상기 외경빔 각각에 밴드가 지나가는 가이드라인이 제공되는 슈트캐리지; 및
    상기 헤드베이스부와 상기 슈트베이스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캐리지와 상기 슈트캐리지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을 지지하는 코일쉬프터의 이동경로인 쉬프팅로드의 양측에 오목한 수용공간이 위치하고, 상기 리프팅부의 하단은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쉬프팅로드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슈트베이스부와 상기 헤드베이스부의 회전 시 상기 슈트베이스부와 상기 헤드베이스부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코일 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의 각 중앙 높이가 상기 코일의 중앙 높이와 일치되도록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의 높이를 조절하는 코일 결속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은 내부에 상기 밴드가 이동하는 이동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을 바라보는 일면이 상기 이동공간에서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코일 결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빔 및 상기 밴드수용부는 각각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코일의 외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기 내경빔은 복수로 마련되는 상기 외경빔 각각의 가이드라인과 연통하는 복수의 가이드라인이 구비되는 코일 결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베이스부는 상기 밴드인출부와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슈트베이스부는 상기 내경빔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코일 결속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빔은 상기 코일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내경빔과의 거리가 조절 가능한 코일 결속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베이스부는, 상기 코일의 상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경빔의 일단부가 결합되어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코일 결속장치.
  11. 제1항의 코일 결속장치의 이용 방법으로서,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에 결합된 상기 리프팅부를 조절하여 작동시켜 상기 코일 높이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의 높이를 조절하는 배치단계;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를 상기 코일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코일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캐리지 및 상기 슈트캐리지를 결합시키는 결합단계; 및
    상기 헤드캐리지에서 상기 코일의 내측으로 밴드를 인입하고, 상기 슈트캐리지에서 상기 밴드를 내측으로부터 인출한 뒤, 인출된 상기 밴드를 상기 코일의 외측을 따라 상기 헤드캐리지로 이동시키는 밴딩단계;를 포함하는 코일 결속장치의 이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슈트캐리지에서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외경빔이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코일의 직경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는 코일 결속장치의 이용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단계는,
    상기 슈트캐리지에서 상기 슈트베이스부를 회전시켜 상기 코일에서 외주 방향으로 상기 밴드에 의해 밴딩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코일 결속장치의 이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단계는,
    상기 코일에서 밴딩되는 위치에 따른 상기 슈트베이스부의 회전각에서, 상기 외경빔이 상기 코일을 지지하는 코일쉬프터의 이동경로인 쉬프팅로드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황이면, 상기 외경빔의 위치를 상기 코일의 직경 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슈트베이스부의 중앙측으로 이동시키는 코일 결속장치의 이용 방법.
KR1020180126181A 2018-10-22 2018-10-22 코일 결속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102197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81A KR102197608B1 (ko) 2018-10-22 2018-10-22 코일 결속장치 및 그 이용방법
CN201911005827.0A CN111071524B (zh) 2018-10-22 2019-10-22 卷板捆扎装置及其利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81A KR102197608B1 (ko) 2018-10-22 2018-10-22 코일 결속장치 및 그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301A KR20200045301A (ko) 2020-05-04
KR102197608B1 true KR102197608B1 (ko) 2020-12-31

Family

ID=7031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181A KR102197608B1 (ko) 2018-10-22 2018-10-22 코일 결속장치 및 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7608B1 (ko)
CN (1) CN1110715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9892A (zh) * 2020-11-03 2021-02-05 泸州韶光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捆扎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103B1 (ko) * 2011-08-24 2013-04-22 (주)포스코엠텍 포장방법
KR101713206B1 (ko) * 2016-12-12 2017-03-09 주식회사 한진테크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9513A (ja) * 1992-06-26 1995-04-04 Heisei Polymer Co Ltd 中空物品の包装装置及びその包装方法
KR100530080B1 (ko) * 2001-12-26 2005-11-2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KR101803422B1 (ko) * 2016-01-20 2017-12-01 (주)신우기전 코일 바인딩장치
CN206813376U (zh) * 2017-06-23 2017-12-29 佛山市德力泰科技有限公司 一种平移式高效捆扎机
CN207107004U (zh) * 2017-07-12 2018-03-16 鸿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打钉装置
CN207417224U (zh) * 2017-11-14 2018-05-29 张家港市华鸿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胶管钢丝缠绕捆扎包装一体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103B1 (ko) * 2011-08-24 2013-04-22 (주)포스코엠텍 포장방법
KR101713206B1 (ko) * 2016-12-12 2017-03-09 주식회사 한진테크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71524A (zh) 2020-04-28
KR20200045301A (ko) 2020-05-04
CN111071524B (zh)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8598B2 (ja) 荷重巻上げワイヤーロープ用のドラム張力印加方法及び装置
RU252100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защитных сеток на стены тоннелей или потолки тоннелей
US2724520A (en) Industrial truck
KR102197608B1 (ko) 코일 결속장치 및 그 이용방법
CN104812691A (zh) 用于操纵用于风能设备的塔区段的加强笼的夹持设备
CN103827015A (zh) 剪刀式升降台
US2629564A (en) Wire-laying machine
US2961102A (en) Hydraulic swinging boom-type hoist
EP3318530B1 (en) Method of upgrading a knuckle-boom crane and a heave-compensating crane
DE4425079A1 (de) Einrichtung zum Laden von Spulen in eine Verpackungsmaschine
NO155660B (no) Automatisk kabeloppkveilingsmaskin.
CN106429838A (zh) 钢丝绳张紧装置、张紧方法及工程机械
EP2591926B1 (en) Connecting apparatus for towing vehicles
JP5454308B2 (ja) クレーン
CN208666810U (zh) 一种电缆收放装置
KR102020792B1 (ko) 중량감응식 적재조절장치
CN101905818B (zh) 用于纤维幅材卷绕机的卷绕轴支架
KR102040852B1 (ko)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CN212093782U (zh) 自动拉丝机收线机构
JP5316202B2 (ja) コイルの結束方法およびコイルの結束システム
JP2647592B2 (ja) 車両搭載用クレーンの操作レバー装置
EP3388283B1 (en) Lifting system, as well as vehicle provided with the lifting system
JP7189510B2 (ja) 作業機械の支援装置および作業機械のワイヤーロープ配設方法
JP7055027B6 (ja) 草刈作業機
EP3760029B1 (en) Agricultural round ba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