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852B1 -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852B1
KR102040852B1 KR1020180044456A KR20180044456A KR102040852B1 KR 102040852 B1 KR102040852 B1 KR 102040852B1 KR 1020180044456 A KR1020180044456 A KR 1020180044456A KR 20180044456 A KR20180044456 A KR 20180044456A KR 102040852 B1 KR102040852 B1 KR 102040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skid
drum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005A (ko
Inventor
강주완
김인곤
김현수
유정관
정창식
김태완
김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44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85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2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the ope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8Arrangements for positively securing end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5Movable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10Command input means
    • B65H2551/13Remote control devices, e.g. speech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와이어 연결 고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스키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드의 연장 방향과 상기 드럼의 연장 방향은 교차하는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APPARATUS FOR UNWINDING COVER MEMBRANE}
본 발명은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소의 야드 등에 쌓아놓은 원료 더미를 막으로 덮는데 사용되는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철광석, 코크스 등의 원료는 야드 등에 쌓아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원료 더미를 야드에 쌓아놓은 상태로 장시간 방치하게 되면, 원료가 바람에 의해 비산되어 손실됨은 물론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원료에 수분이 침투하여 품질이 저하되거나 후 공정으로의 운송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료 더미를 막으로 덮는 복포 작업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복포 작업의 대부분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원료 더미의 상부에서 작업하던 작업자가 실족하여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야드에 원료를 하역한 직후에는 붕괴 위험이 있어 작업자가 원료 더미에 올라갈 수 없고, 그로 인해 복포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원료 더미를 덮은 막은 원료 마대로 눌러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원료 마대의 제작 및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0023호(2013.09.24, 적재물 커버 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제철소의 야드 등에 쌓아놓은 원료 더미를 막으로 덮는데 사용되는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와이어 연결 고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스키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드의 연장 방향과 상기 드럼의 연장 방향은 교차하는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키드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지면과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키드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키드의 활강 방향은 상기 스키드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스키드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회전 반경을 가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모터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키드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형상의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상면과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는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이 V 형상인 제3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어 막이 결합되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리세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막의 제1 단을 원료 더미의 일측 베이스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와이어 연결 고리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크레인 붐을 이동시키면, 스키드가 원료 더미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드럼에 권취된 막이 풀리면서 원료 더미를 덮을 수 있다. 드럼에서 완전히 풀린 막의 제2 단은 드럼에서 분리하여 원료 더미의 타측 베이스에 고정시킴으로써 복포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를 드럼이 분리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드럼을 A - A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장치에 사용되는 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장치를 활용한 복포 작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결합 또는 연결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장치를 드럼이 분리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10)는 프레임(100), 드럼(200), 제1 구동부(300), 스키드(400), 제2 구동부(500) 및 한 쌍의 가이드 바(6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크레인의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 고리(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 연결 고리(110)는 프레임(10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프레임(10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드럼(200)은 프레임(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막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시에 다른 구성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200)은 프레임(100)의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드럼(200)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 구동부(30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구동부(300)는 제1 모터(310)를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모터(310)는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모터(310)의 제1 축(311)은 드럼(200)의 일단에 결합되어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프레임(100)은 고정 브래킷(120)과 이동 브래킷(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래킷(120)은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제1 모터(310)의 제1 축(3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동 브래킷(130)은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드럼(200)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동 브래킷(130)은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볼트(B)에 의해 드럼(200)을 지지한 상태로 구속될 수 있다. 작업자는 볼트(B)를 제거한 후에 이동 브래킷(130)을 고정 브래킷(1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드럼(200)을 분리할 수 있다.
이동 브래킷(130)의 단부는 프레임(100)의 후면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131)을 통해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동 브래킷(130)의 단부에는 바퀴(133)가 결합될 수 있다.
스키드(400)는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프레임(1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스키드(400)는 지면에 안착되어 프레임(100)을 지지할 수 있다.
스키드(400)의 연장 방향과 드럼(200)의 연장 방향은 교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이 크레인의 와이어에 연결되어 스키드(400) 없이 공중에 뜬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쉽게 회전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드럼(200)에서 인출되는 막이 꼬이거나 겹쳐져서 연료 더미를 고르게 덮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프레임(100)에는 한 쌍의 스키드(400)가 결합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개 또는 3개 이상의 스키드(40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스키드(400)는 제1 플레이트부재(410), 제2 플레이트부재(420) 및 제3 플레이트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재(410)는 프레임(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재(410)는 프레임(100)에 지면과 수직인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회전축(140)은 지면에 접촉하는 제1 플레이트부재(410)의 하면과 수직일 수 있다. 한편, 회전축(140)은 프레임(10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될 수 있고, 제1 회전축(140)의 하단과 제1 플레이트부재(410) 사이에는 슬립 링(150)이 개재될 수 있다. 슬립 링(150)은 제1 플레이트부재(410)가 회전축(140)에 구속되되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은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재(420)는 제1 플레이트부재(410)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재(420)는 프레임(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재(420)의 상면은 제1 플레이트부재(410)의 상면과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재(420)는 스키드(400)가 원료 더미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때에 원료 더미 속으로 파고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부재(430)는 제1 플레이트부재(4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부재(430)는 제1 플레이트부재(41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이 V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부재(430)는 스키드(400)가 원료 더미의 경사면을 따라 활강할 때에 활강 방향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재(410)의 하면과 제3 플레이트부재(430) 사이에는 양단이 개방된 터널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동부(500)는 스키드(400)를 회전시켜 스키드(400)의 활강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2 구동부(500)는 제2 모터(510), 피니언 기어(520), 랙 기어(530) 및 리모트 컨트롤러(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510)는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520)는 제2 모터(510)의 제2 축(511)에 결합될 수 있다.
랙 기어(530)는 스키드(400),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부재(4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랙 기어(530)는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동일한 회전 반경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스키드(400)가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피니언 기어(520)는 랙 기어(530)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540)는 작업자가 입력하는 신호를 기초로 제2 모터(510)를 원격 제어할 수 있고, 그 결과 스키드(400)의 회전 각도 내지 활강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바(600)는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드럼(200)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바(600)는 드럼(200)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되는 막을 한 쌍의 가이드 바(600)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막이 접힌 상태로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바(600)의 일단은 고정 브래킷(120)에 결합 내지 고정될 수 있고, 타단은 이동 브래킷(130)에 결합된 슬리브(135)에 삽입되어 이동 브래킷(1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드럼을 A - A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복수의 후크(210)가 드럼(20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후크(220)에는 드럼(200)에 와인딩 되는 막이 결합될 수 있다.
드럼(200)의 외주면에는 함몰된 형상의 복수의 리세스(220)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리세스(220) 내에는 후크(21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후크(210)를 리세스(220) 내에 배치한 이유는 후크(220)가 드럼(20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면 후크(220)에 의해 막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도 1의 장치에 사용되는 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막(20)의 제1 단과 제2 단에는 복수의 제1 로프(21)가 결합될 수 있다.
막(20)의 일면에는 복수의 서브 막(25)이 결합될 수 있다.
서브 막(25)은 막(20)과 협력하여 양단이 개방되고 막(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서브 막(25)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에는 제2 로프(23)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로프(23)의 양단은 채널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제2 로프(23)의 길이는 채널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막(20)의 제2 단에는 복수의 후크 연결 고리(27)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후크 연결 고리(27)는 드럼(200)의 복수의 후크(21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후크 연결 고리(27)는 복수의 후크(210)와 동일한 개수와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막(20)은 수분이 통과할 수 없는 방수막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장치를 활용한 복포 작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10)는 막(20)이 드럼(200)에 와인딩, 즉 권취되고 막(20)의 제1 단에 배치된 제1 로프(21)가 원료 더미(30)의 일측 베이스에 설치된 제1 고정 고리(31)에 결박된 상태에서 크레인(40)에 의해 원료 더미(30)의 일측 경사면을 따라 상향 이동할 수 있다.
장치(10)가 이동함에 따라 드럼(200)에 권취된 막(20)이 풀리면서 원료 더미(30)를 덮을 수 있다.
와이어(W)는 크레인(40)과 와이어 연결 고리(110)를 연결할 수 있고, 스키드(400)는 장치(10)가 이동하는 동안에 원료 더미(30)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치(10)는 원료 더미(30)의 정상을 지난 후에 자중에 의해 원료 더미(30)의 타측 경사면을 따라 활강할 수 있다.
작업자는 원료 더미(30)의 타측 베이스에 위치하여 장치(10)의 활강 방향을 확인할 수 있고,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막(20)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리모트 컨트롤러(540)를 통해 스키드(400)의 회전 각도 내지 장치(10)의 활강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리모트 컨트롤러(540)를 소지할 수 있고, 리모트 컨트롤러(540)는 작업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드럼(200)에 권취된 막(20)이 완전히 풀리면 후크 연결 고리(27)를 후크(210)로부터 분리한 후에 막(20)의 제2 단에 배치된 제1 로프(21)를 원료 더미(30)의 타측 베이스에 설치된 제2 고정 고리(33)에 결박함으로써 복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20: 막
21: 제1 로프 23: 제2 로프
25: 서브 막 27: 후크 연결 고리
30: 원료 더미 31: 제1 고정 고리
33: 제2 고정 고리 40: 크레인
100: 프레임 110: 와이어 연결 고리
120: 고정 브래킷 130: 이동 브래킷
131: 가이드 슬롯 133: 바퀴
135: 슬리브 140: 회전축
150: 슬립 링 200: 드럼
210: 후크 220: 리세스
300: 제1 구동부 310: 제1 모터
311: 제1 축 400: 스키드
410: 제1 플레이트부재 420: 제2 플레이트부재
430: 제3 플레이트부재 500: 제2 구동부
510: 제2 모터 511: 제2 축
520: 피니언 기어 530: 랙 기어
540: 리모트 컨트롤러 600: 가이드 바

Claims (9)

  1. 와이어 연결 고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스키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드의 연장 방향과 상기 드럼의 연장 방향은 교차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어 커버 막이 결합되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에 권취된 상기 커버 막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언와인딩 되는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지면과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키드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의 활강 방향은 상기 스키드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변경되는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스키드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회전 반경을 가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하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모터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커버 막 언와이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형상의 제1 플레이트부재;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상면과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는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이 V 형상인 제3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는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는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KR1020180044456A 2018-04-17 2018-04-17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KR102040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456A KR102040852B1 (ko) 2018-04-17 2018-04-17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456A KR102040852B1 (ko) 2018-04-17 2018-04-17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05A KR20190121005A (ko) 2019-10-25
KR102040852B1 true KR102040852B1 (ko) 2019-11-05

Family

ID=6842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456A KR102040852B1 (ko) 2018-04-17 2018-04-17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4814A (zh) * 2020-07-06 2020-10-27 南通大学 一种可根据布卷实时大小动态调整布卷位置的供布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6936B2 (ja) * 1993-12-28 2003-04-1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野積バラ物等のシート掛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0344A (ja) * 1998-01-16 1999-07-27 Toa Harbor Works Co Ltd シートの水底敷設方法
KR101310023B1 (ko) 2011-04-20 2013-09-24 주식회사 포스코 적재물 커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6936B2 (ja) * 1993-12-28 2003-04-1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野積バラ物等のシート掛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05A (ko)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262B1 (en) Apparatus for covering semitrailer payloads
KR20170134410A (ko) 운송장치
CN101472828A (zh) 收集缆绳的方法和装置
CN101896374A (zh) 绳紧固装置
CN112374409A (zh) 一种建筑工地施工用物料升降用卷扬机
WO2020085314A1 (ja) クレーン装置、掛数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40852B1 (ko) 커버 막 언와인딩 장치
KR100237227B1 (ko) 호스 릴링장치
JP5794924B2 (ja) クレーン
KR101579685B1 (ko) 화물차량용 윙바디
KR102032642B1 (ko) 주행휠 고임장치
EP3066012B1 (en) Forestry winch with improved guiding, coiling and decoiling of a towing cable
KR100711431B1 (ko) 로프가 내장된 코일 리프터
KR101471867B1 (ko) 굴삭기를 이용한 집재장치
JP5416177B2 (ja) バケットローダの安全装置
KR20100097863A (ko)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US1777476A (en) Industrial truck
JP3203908U (ja) ワイヤーロープ巻取装置
JPH0657592B2 (ja) 架設集材搬送装置
CN218984631U (zh) 履带展卷设备和履带式机械生产线
US1909668A (en) Sheet conveyer
KR102255738B1 (ko) 크레인 장치
CN116081495B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桥式起重机
KR101207760B1 (ko) 적치원료 덮개장치
KR101310023B1 (ko) 적재물 커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