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260B1 -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260B1
KR102195260B1 KR1020200101731A KR20200101731A KR102195260B1 KR 102195260 B1 KR102195260 B1 KR 102195260B1 KR 1020200101731 A KR1020200101731 A KR 1020200101731A KR 20200101731 A KR20200101731 A KR 20200101731A KR 102195260 B1 KR102195260 B1 KR 10219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construction
storage tank
pip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재
지현욱
송호면
유성수
강정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0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관을 통해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따라 이동하며, 모르타르를 투입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모르타르를 저장하고, 하부로 상기 모르타르를 토출하는 노즐이 배치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일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상기 모르타르가 주입되는 공급파이프, 상기 인버트 구조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가이드바퀴,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모르타르를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호퍼부를 포함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Finisher equipment for mortar input construction for site construction of complex sewer sections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bined section of sewer pipe using the same}
실시예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 복합단면을 시공하기 위해 인버트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의 현장 시공시 모르타르를 주입하기 위한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하수관거)라 함은 오수와 우수를 모아 하수처리장과 방류지역까지 운반하기 위한 배수관로를 지칭한다. 그 중, 합류식 하수도는 우수와 오수를 하나의 관으로 배제하는 방식의 하수관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합류식 하수관거의 유속 기준은, 계획우수량에 대하여 유속을 0.8m/s~3m/s로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준에 의거하여 합류식 하수관거를 설계하면, 우천시에는 적절한 유량과 유속이 발생하여 오수 흐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청천시에는 오수량이 매우 적음(예를 들어, 계획우수량에 비해 1/100 이상 적음)으로 인하여, 합류식 하수관거를 통과하는 오수의 유량과 유속이 매우 작아져 오수가 정상적으로 처리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하수관거를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이 느려지면, 하수관거의 내부에서 퇴적량이 증가함에 따라 악취가 발생하고, 황산이 생성되어 하수관의 부식이 가속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절하게 설계된 합류식 하수관 일지라도 우천시와 청천시 유량비율이 적게는 수백배에서 많게는 수천배까지 나타나고 있으며, 합류관의 설계기준이 우천시 유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청천시 실유속은 설계유속 및 고형물 침전 방지를 위한 최소유속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하수관을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퇴적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실시예는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할 수 없는 협소한 하수관거를 편리하게 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수관을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퇴적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는 시공 공정을 간소화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는 시공 비용을 절감하고,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조관을 통해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따라 이동하며, 모르타르를 투입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모르타르를 저장하고, 하부로 상기 모르타르를 토출하는 노즐이 배치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일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상기 모르타르가 주입되는 공급파이프; 상기 인버트 구조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가이드바퀴;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모르타르를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호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보조관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하수관의 상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급파이프에는 유량조절밸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량조절밸브에는 연결바를 통해 플로터가 연결되며, 상기 플로터는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모르타르 저장량에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플로터의 상승에 따라 상기 연결바의 동작으로 개도율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바퀴는 지지프레임을 통해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스프링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모르타르의 주입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의 일영역에 배치되는 진동기; 상기 진동기에 연결되며, 상기 진동기의 진동을 상기 인버트 구조체로 전달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부는 상기 보조관의 길이방향으로 접촉하도록 튜브형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하수관 내부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단계; 상기 하수관 내부에 복합단면을 형성하기 위한 뼈대형 인버트 구조체를 설치하는 설치단계; 제1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의 피니셔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뼈대형 인버트에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충진단계; 및 충진된 상기 모르타르 표면에 미장작업을 실시하는 미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진단계는 상기 하수관에 진동을 가하면서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진단계는 영상촬영부를 이용하여 상기 모르타르의 충진상태를 확인하면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관을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퇴적량을 저감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천시 하수관을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하수관내 퇴적량 및 악취 발생을 저감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 공정을 간소화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 비용을 절감하고, 하수관의 수명을 연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준설 비용을 저감시키고,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제공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할 수 없는 협소한 하수관거를 포함한 다양한 크기의 하수관 내부에서 무인으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와 시공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모르타르가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충진단계의 구체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모르타르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는 보조관(100), 지지기둥(200) 및 뼈대기둥(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관(100)은 상부 일측이 개방된 곡면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수관(10)의 중앙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관(100)은 청천시 하수의 흐름이 집중되도록 하여 오수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여 유속을 증가시키며 퇴적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보조관(100)은 원형관이나 박스관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특히 보조관(100)의 역할은 집중되는 오수를 받아 이송시 오수의 유속증가 위한 보조관(100)으로서 본 명세서에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동일 목적으로 하는 모든 형상 포함하며, 하수관(10)의 종류, 구조 및 크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태의 보조관(100)에 기초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관(100)은 하구관내 동수반경을 높히기 위해서 배치되며, 하수관(10)내 동수반경이 증가하는 수로를 비굴착방식으로 간편하게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모두 PVC 재질로 구비되어 모르타르 충진재의 매립형 거푸집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도확보가 용이하며, 무게가 가벼워져 현장시공성이 증대되며, 오수와의 접촉부분이 모두 PVC로 형성되어 황화수소에 의한 부식을 차단하여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유속증가와 이물질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관(100)의 길이방향의 단부에는 돌출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보조관(100)은 이동 및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 복수가 결합되는 구조로 하수관(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10)는 이웃하는 보조관(100)과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보조관(100)의 길이방향 일측단부에는 돌출부(110)가 배치되며, 타측단부에는 돌출부(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0)는 복수의 보조관(100)이 겹쳐져서 시공되는 경우, 수용홈(120)에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나사가 필요하지 않으며, 내부에 모르타르가 연계되어 내구성과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보조관(100)의 외측면에 연결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보조관(100)이 설치되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일정 두께를 구비하는 판구조로 마련되어 하수관(10)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경우 하수관(10)과 직접접촉되도록 하여 고정력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관이나 통구조로 마련되는 인버트 구조체의 문제점인 만관시 부력에 의해 들뜸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의 상측단부는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의 상부에는 모르타르 타설 후 후속공정의 미장작업으로 마무리된다. 이때, 미장면는 지지기둥(200)의 경사를 따라 배치되어 하수가 보조관(100)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기둥(200)은 상호 이격되도록 보조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하수관(10)의 측면을 따라 이격배치되며, 지지기둥(200)에는 모르타르의 타설을 용이하게 하고 하수관(10)과 지지기둥(200)의 접착력을 증대하기 위해 복수의 연결통로(22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기둥(200)에 의해 하수관(10) 내부가 구획된다. 이때, 모르타르가 지지기둥(200)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타설되는 경우 일정한 균일도를 확보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지기둥(200)에 복수의 연결통로(220)를 형성하여 타설된 모르타르가 연결통로(2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지지기둥(200)으로 구획되는 영역에 고르게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연결통로(220)는 지지기둥(2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뼈대기둥(300)은 지지기둥(20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뼈대기둥(300)은 지지기둥(200)의 단부에 배치되어 지지기둥(200)을 연결하여, 강성을 보완함과 동시에 지지기둥(20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뼈대기둥(300)의 길이방향에는 가이드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20)는 계단식 구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후술할 충진장비(40)나 미장장비(50)가 이동하는 가이드레일로 기능할 수 있다.
뼈대기둥(300)의 하부에는 리브(310)가 배치될 수 있다. 리브(310)는 뼈대기둥(3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1000)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1000)는 상기 언급된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모르타르를 주입할 수 있다. 이때,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는 보조관을 통해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획되며, 투입되는 모르타르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분배되어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1000)는 본체부(1100), 저장탱크(1200), 공급파이프(1300), 가이드바퀴(1400) 및 호퍼부(1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0)는 구성요소가 배치되기 위한 몸체로 사용되며, 복수의 프레임이나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저장탱크(1200)는 본체부(1100) 상부에 안착되며, 모르타르를 저장하고, 하부에는 모르타르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1210)이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저장탱크(1200)는 사각형의 탱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부(1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노즐(1210)은 저장탱크(1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모르타르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1210)은 도어(미도시)의 개폐를 통해 모르타르를 하부로 토출할 수 있으며, 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급파이프(1300)는 저장탱크(1200)의 일영역에 연결되어 저장탱크(1200)로 모르타르를 주입할 수 있다. 공급파이프(1300)는 모르타르 충진재 이송펌프와 연결되어 자동으로 모르타르를 공급받을 수 있다.
공급파이프(1300)의 일 영역에는 유량조절밸브(1310)가 배치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1310)는 저장탱크(1200) 내부로 공급되는 모르타르가 넘치지 않도록 모르타르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유량조절밸브(1310)는 볼밸브나 버터플라이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절밸브(1310)에는 연결바(1320)를 통해 플로터(1330)가 연결되며, 플로터(1330)는 저장탱크(1200) 내부에 배치되어 저장탱크(1200) 내부에 저장되는 모르타르의 저장량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플로터(1330)는 저장탱크(1200) 내부로 모르타르가 주입되는 경우 저장탱크(1200) 내부에 모르타르 저장량에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이때, 플로터(1330)의 승강에 따라 연결바(1320)가 회전하게되며, 이를 통해 유량조절밸브(1310)의 개도율이 조절되어 저장탱크(1200) 내부의 모르타르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연결바(1320)는 모르타르의 저장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플로터(1330)가 상하 동작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연결바(1320)는 플로터(1330)의 작은 힘과 변화에도 반응하기 위해 가벼운 소재의 알루미늄으로 제작될 수 있다.
플로터(1330)는 가벼운 소재로서 내구성이 강한 PVC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부력의 힘을 극대화하고 모르타르 충진재의 비산방지를 위해 모르타르와의 접촉면을 사각형의 평판형으로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바퀴(1400)는 인버트 구조체(1)에 형성되는 가이드부(320)를 따라 이동하도록 본체부(1100)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바퀴(1400)는 본체부(1100)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으며, 안전한 이동을 위해 복수로 열을 지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치가 가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가이드바퀴(1400)는 3열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 가이드바퀴(1400)는 모르타르 사면의 경사각과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0)의 하부에는 보조관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바퀴(1410)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바퀴(1410)는 본체부(1100)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보조관과 접촉한 상태로 전진 또는 후진을 할 수 있으며, 인버트 구조체(1)의 가이드부(320)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하여 가이드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본체부(11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부(1100)의 상부에는 상부바퀴(14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바퀴(1430)는 본체부(1100)의 상부를 향하도록 지지프레임(1431)을 통해 본체부(1100)와 연결되며, 지지프레임(1431)에는 스프링(1433)이 연결될 수 있다.
상부바퀴(1430)는 가이드바퀴(1400)가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시 이탈가능성에 대비하고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바퀴(1430)는 하수관의 상부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피니셔 장비(1000)가 전진 또는 후진시 흔들림을 잡아줌과 동시에 스프링(143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이드바퀴(1400)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힘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다.
본체부(1100)의 일영역에는 진동기(1700)가 배치되며, 진동기(1700)에 연결되어 진동기(1700)의 진동을 인버트 구조체(1)로 전달하는 진동부(1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1710)는 인버트 구조체(1)에 진동을 가하여,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주입되는 모르타르가 구석구석 미세공간까지 투입되도록 하며, 기포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모르타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일실시예로, 진동기(1700)는 고주파 진동기(1700)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진동부(1710)는 보조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접촉하도록 튜브형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튜브형 구조의 진동부(1710)는 보조관과의 접촉면적을 증대하여 진동이 전달되는 영역을 증대할 수 있으며, 피니셔 장비(1000)가 이동시 진동을 넓은 범위로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호퍼부(1800)는 저장탱크(1200) 하부에 배치되어 노즐(1210)을 통해 토출되는 모르타르를 보조관을 통해 구획되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영(A2)으로 나누어 이동시킬 수 있다.
호퍼부(1800)는 노즐(1210)의 중심에 배치되며, 중앙부가 돌출되어 경사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노즐(1210)을 통해 토출되는 모르타르를 분배할 수 있다.
본체부(1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모르타르의 주입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촬영부(1500)가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영상촬영부(1500)는 본체부(1100)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피시셔 장비가 전진 또는 후진시 모르타르 주입상태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영상촬영부(15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하수관의 직경이 작아 사람이 직접들어갈 수 없는 공간의 모르타르 충진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외부에서 영상을 통해 확인하면서 모르타르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와이어 연결부(160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 연결부(1600)는 피니셔 장비(1000)가 하수관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으며, 전후방 각각에 배치되어 피니셔 장비(1000)가 전진 및 후진을 할 수 있도록 각각에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10) 복합단면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100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충진단계의 구체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1000)를 이용하는 하수관(10) 복합단면 시공방법은 하수관 차단단계(S100), 설치단계(S200), 충진단계(S300), 미장단계(S400) 및 마감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시공전에 하수관(10) 내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하수관(10)이 사용가능한 상태인지 현재 유속은 어느정도인지를 조사하게 된다. 만약 하수관(10)이 너무 노후화되고, 파손 및 변형이 심한 경우 굴착교체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파악되는 하수관(10) 정보를 이용하여 하수관(10)의 소류력을 계산하고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설치하는 경우 소류력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시공을 결정할 수 있다.
하수관(10) 차단단계(S100)에서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시공하기로 판단되는 경우, 하수관(10)을 준설하고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CCTV와 같은 영상촬영장치를 이용하여 하수관(10) 내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보조관을 설치하기 전 하수관(10)을 흐르는 물이 공사지점을 우회하도록 할 수 있다. 물돌리기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설치하기 전에 공사 지점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하수를 공사지점의 하류로 돌려보내는 작업을 의미한다. 물돌리기 방법은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공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설치전에 하수관(10)의 상태를 판단하고, 공사지점으로 흐르는 하수를 차단하여 공사를 준비할 수 있다.
설치단계(S200)는 곡면의 형상을 구비하는 보조관(100), 상기 보조관(100)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기둥(200), 상기 지지기둥(200)의 단부에 배치되는 뼈대기둥(300)을 포함하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상기 하수관(10)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설치단계(S20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에서 모르타르가 충진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배치하기 위해 맨홀의 외부와 내부에 도르레(20)를 설치하고, 도르레(20)에 와이어(30)를 설치하여 충진장비나 미장장비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충진단계(S300)는 설치단계(S200)에서 설치된 와이어(30)를 이용하여 보조관(100)을 따라 이동하는 피니셔 장비(1000)를 이용하여 지지기둥(200)의 사이공간을 모르타르로 충진하는 단계이다.
충진장비는 영상촬영부(1500)가 구비되어 하수관(10)을 이동시 각각 구역에서 모르타르의 충진상태를 확인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충진이 덜된 영역이 확인되는 경우 충진속도를 조절하면서 피니셔 장비(10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충진장비는 뼈대기둥(300)에 배치되는 가이드부(3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충진장비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충진장비의 이동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진장비는 하수관(10)을 따라 이동시 진동부(1710)를 이용하여 보조관(10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르타르가 충진시 빈공간이 없이 충진되도록 할 수 있다.
진동이 가해지는 모르타르는 지지기둥에 형성되는 연결통로를 통해 빈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고르게 충진될 수 있다.
미장단계(S400)는 충진이 끝난 모르타르의 상부를 미장장비를 이용하여 미장하는 단계이다.
미장단계(S400)는 미장장비를 가이드부(320)에 안착시키고, 미장장비는 가이드부(320)를 따라 전진하면서 모르타르의 미장을 수행하게 된다.
미장장비는 협소한 하수관(10)의 공간에서 편리한 시공을 위해 하수관(10)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마감단계(S500)는 조립이 완공된 후, 통수하여 하수관(10) 내부에 물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 10 : 하수관
20 : 도르레 30 : 와이어
40 : 충진장비 100 : 보조관
110 : 돌출부 200 : 지지기둥
220 : 연결통로 300 : 뼈대기둥
310 : 리브 320 : 가이드부
1000 : 피니셔 장비 1100 : 본체부
1200 : 저장탱크 1210 : 노즐
1300 : 공급파이프
1310 : 유량조절밸브 1320 : 연결바
1330 : 플로터 1400 : 가이드바퀴
1410 : 하부바퀴 1430 : 상부바퀴
1431 : 지지프레임 1433 : 스프링
1500 : 영상촬영부 1600 : 와이어 연결부
1700 : 진동기 1710 : 진동부
1800 : 호퍼부

Claims (14)

  1. 보조관을 통해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따라 이동하며, 모르타르를 투입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모르타르를 저장하고, 하부로 상기 모르타르를 토출하는 노즐이 배치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일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상기 모르타르가 주입되는 공급파이프;
    상기 인버트 구조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가이드바퀴;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모르타르를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호퍼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파이프에는 유량조절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에는 연결바를 통해 플로터가 연결되며,
    상기 플로터는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모르타르 저장량에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보조관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바퀴;를 더 포함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하수관의 상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바퀴를 더 포함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플로터의 상승에 따라 상기 연결바의 동작으로 개도율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퀴는 지지프레임을 통해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스프링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모르타르의 주입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10. 보조관을 통해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따라 이동하며, 모르타르를 투입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모르타르를 저장하고, 하부로 상기 모르타르를 토출하는 노즐이 배치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일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로 상기 모르타르가 주입되는 공급파이프;
    상기 인버트 구조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가이드바퀴;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모르타르를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호퍼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일영역에 배치되는 진동기;
    상기 진동기에 연결되며, 상기 진동기의 진동을 상기 인버트 구조체로 전달하는 진동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보조관의 길이방향으로 접촉하도록 튜브형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101731A 2020-08-13 2020-08-13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KR10219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31A KR102195260B1 (ko) 2020-08-13 2020-08-13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31A KR102195260B1 (ko) 2020-08-13 2020-08-13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260B1 true KR102195260B1 (ko) 2020-12-24

Family

ID=7408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731A KR102195260B1 (ko) 2020-08-13 2020-08-13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00B1 (ko) * 2021-03-03 2021-06-08 주식회사 모던비앤씨 지하구조물 및 암거 보수용 몰탈 타설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473A (ko) * 2004-09-20 2004-11-16 건양씨앤이 주식회사 노후 하수도관 연속식 부분 보수 공법 및 그 장치
JP2005083120A (ja) * 2003-09-10 2005-03-31 Kubota Corp 水路構成工法で使用するモルタル等の打設装置及び均し装置
KR20170099799A (ko) * 2017-03-21 2017-09-01 주식회사 아이엔지아이에스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3120A (ja) * 2003-09-10 2005-03-31 Kubota Corp 水路構成工法で使用するモルタル等の打設装置及び均し装置
KR20040096473A (ko) * 2004-09-20 2004-11-16 건양씨앤이 주식회사 노후 하수도관 연속식 부분 보수 공법 및 그 장치
KR20170099799A (ko) * 2017-03-21 2017-09-01 주식회사 아이엔지아이에스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00B1 (ko) * 2021-03-03 2021-06-08 주식회사 모던비앤씨 지하구조물 및 암거 보수용 몰탈 타설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8776B (zh) 基于仰拱与仰拱填充层替代钢混组合结构的隧道施工方法
KR102195260B1 (ko)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CN109811633A (zh) 一种波纹钢与混凝土组合双曲拱桥及其制作方法
KR101074449B1 (ko)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213390485U (zh) 一体化截流井
KR102242240B1 (ko)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CN114017040B (zh) 一种岩溶隧道穿越高水位暗河施工方法及导水结构
RU2671684C1 (ru) Аварийная ливневая канализация
CN111254980B (zh) 一种水下悬浮隧道的浮重比调节系统
KR102218484B1 (ko)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95261B1 (ko)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101043896B1 (ko) 전류공이 필요 없는 댐의 축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축조된 댐
KR102191938B1 (ko)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조립을 위한 상부 덮개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JP5060392B2 (ja) 管体および既設管の更生方法
CN110629667A (zh) 一种桥面横向排水结构及其排水系统
JP2022514562A (ja) 浅深度部への応用のための地下流体管理用のモジュール及びアセンブリ
KR101301345B1 (ko) 조립식 우수 저류조
KR102218483B1 (ko)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68450B1 (ko) 하수도 보조관 현장 타설 설치 공법
JP2002227283A (ja) 管路内における水路構成工法及び水路構成部材
CN208185601U (zh) 一种管道吊装、沟槽回填一体化设备
CN112523097A (zh) 大跨度架桥龙门吊及其施工方法
CN217782060U (zh) 人工挖孔灌注桩的混凝土灌注装置
JP6080298B2 (ja) 貯水池死水域への効率的な堆積土砂等移動システム
CN215928627U (zh) 一种用于结构工程的加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