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799A -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799A
KR20170099799A KR1020170035032A KR20170035032A KR20170099799A KR 20170099799 A KR20170099799 A KR 20170099799A KR 1020170035032 A KR1020170035032 A KR 1020170035032A KR 20170035032 A KR20170035032 A KR 20170035032A KR 20170099799 A KR20170099799 A KR 20170099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main body
bracket
sewer
obs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일규
김남수
홍기찬
정성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엔지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엔지아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엔지아이에스
Priority to KR1020170035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9799A/ko
Publication of KR2017009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Abstract

본 발명은 비굴착의 방법으로 수행하는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관 등 긴 관로 내부가 하자로 인하여 돌출되거나 퇴적물 쌓여서 발생하는 장애물을 제거할 시에, 땅을 굴착하지 않고 맨홀 등을 통해 장애물을 제거할 로봇 등을 투입하여 장애물을 제거하는 시스템과 관련한다.

Description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CLEANING SYSTEM FOR SEWERAGE}
본 발명은 비굴착의 방법으로 수행하는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 등 긴 관로 내부가 하자로 인하여 돌출되거나 퇴적물 쌓여서 발생하는 장애물을 제거할 시에, 땅을 굴착하지 않고 맨홀 등을 통해 장애물을 제거할 로봇 등을 투입하여 장애물을 제거하는 시스템과 관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941654호(2010.02.03.)가 개시되어 있는 바,
일측에 에어호스가 연결되는 에어주입구가 형성된 에어튜브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금속체와, 상기 에어튜브의 외측을 감싸게 설치된 보수제와, 상기 금속체의 일측에 고정된 견인로프와, 상기 금속체의 외측과 전자석에 의해 장착,탈착가능한 전자석와 카메라가 설치된 카메라로봇과, 상기 보수제를 감싸게 씌워 전자석에 일측을 고정하는 보호필름과, 상시 보호필름을 보수제에서 제거하고 상기 에어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보수제가 관로에 균열이나 누수지점에 밀착되게 부착하여 보수하는, 관로 비굴착 부분보수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111221호(2012.01.25.)가 개시되어 있는 바,
하수도관 내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동 차체와, 상기 이동 차체의 후방에 위치되어 신관이 하수도관 내부로 삽입되게 하수도관의 내벽을 절삭하여 보링하는 절삭보링 헤드와, 상기 이동 차체에 구비되어 상기 절삭보링 헤드를 회전시키는 절삭구동기구와, 상기 이동 차체에 고정되어 상기 절삭보링 헤드 및 절삭구동기구가 이동 차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직동 가이드기구와, 상기 이동 차체가 하수도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동시에 신관이 삽입되는 센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체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하수도관 갱생을 위한 절삭보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하여, 등록특허 제706616호(2007.04.05.)가 개시되어 있는 바 차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은,
퇴적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하수관 내부에서의 이동이 원활하며, 분쇄수단 전체를 교체하지 아니하고 커터날을 포함한 일부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분쇄수단이 회전을 하더라도 본체가 흔들리지 않는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은, 관 내부로 진입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진입방향 전단에 결합되는 분쇄수단과, 왕복운동을 통하여 상기 관 내벽에 밀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본체 및 상기 고정수단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 및 상기 고정수단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이송실린더, 본체의 롤링 및 피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의 상측 내벽에 밀착되도록 본체에 결합되는 현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에 따르면,
퇴적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하수관 내부에서의 이동이 원활하며, 분쇄수단 전체를 교체하지 아니하고 커터날을 포함한 일부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분쇄수단이 회전을 하더라도 본체가 흔들리지 않는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경과 관련하는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의 사시도 및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회전플레이트와 커터의 결합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2 A는 사시도; 도 2 B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현가수단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을 이용한 하수관 유지보수과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에 적용되는 분쇄수단의 사시도.
도 6은 분해사시도.
도 7은 측면도로서, 도 7 A는 어느 부분을 예시하고; 도 7 B는 전체를 예시한 것이다.
도 8은 어는 부분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로서, 도 8 A는 작동 전의 상태를 예시하고; 도 8 B는 작동 중 또는 작동 후의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9 A는 부분분해 사시도이고, 도 9 B 어느 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의 실시예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먼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배경이 되는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의 한 경우를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은, 하수관 내부로 진입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진입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구동바퀴(110)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하수관 외부에서 하수관 내부의 작업상황을 볼 수 있도록 촬영방향이 진입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카메라(120)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진입방향 전단에 결합되어 하수관 내부의 퇴적물을 분쇄하는 분쇄수단(200)과; 왕복운동을 통하여 관 내벽에 밀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고정수단(300)과; 양 끝단이 본체(100) 및 고정수단(300)에 각각 결합되어 본체(100)와 고정수단(300)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이송실린더(400)와; 하수관 외부에서 각 부의 동작 제어를 위해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박스(500)와; 본체(100)의 롤링 및 피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수관의 상측 내벽에 밀착되도록 본체(100)에 결합되는 현가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는 이송실린더(400)의 동작방향과 평행하도록 이송실린더(400)에 연결되는 한 쌍의 가이드피스톤(130)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가이드피스톤(130)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구조가 아니라 본체(100)의 이송경로를 가이드 하는 장치로서, 하수관의 중심선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본체(100)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체(100)는 이송실린더(400)의 구동에 의해 이송될 때 떨림이나 진동 없이 가이드피스톤(130)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분쇄수단(200)은, 회전축(미도시)이 본체(100)의 진입방향을 향하도록 본체(100)에 결합되는 모터(210)와, 본체(100)의 진입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중심부 일측면이 모터(21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220)와, 모터(210)와 결합되는 반대편의 회전플레이트(220) 측면에 회전플레이트(2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다수의 커터(230)와, 각 커터(230)의 끝단에 결합되는 커터날(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회전플레이트(220)는 링 형상의 외륜(222)과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림(224)으로 구성되어, 커터(230) 및 커터날(240)에 의하여 분쇄된 퇴적물은 림(224)과 림(224)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본체(100) 후방으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림(224)은 외륜(222) 중심측의 끝단이 높고 외륜(222) 바깥쪽의 끝단이 낮게 형성되며, 커터(230)는 림(224)의 외측 끝단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따라서, 분쇄수단(200)은, 전체적인 형상이 외측 중심부가 돌출되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퇴적물을 분쇄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수단(300)은, 상향 및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고정피스톤로드(312)를 구비하는 고정실린더(310)와, 관 내벽에 밀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고정피스톤로드(312)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밀착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송실린더(400)는 본체(100)의 진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피스톤로드(410)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이송피스톤로드(410)가 이송실린더(400)의 내외부로 인입 및 인출됨에 따라 본체(100)와 고정수단(300) 간의 거리가 조절된다.
도 2의 도 2 A 및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플레이트(220) 후면에는 모터(210)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회전축결합구(226)가 형성되며, 림(224)은 커터(230)가 안착되는 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구(228)가 구비되고, 커터(230)는 체결구(226)와 대응되는 부위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구(2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터(230)는 관통구(232)를 관통하여 체결구(226)에 결합되는 결합볼트(236)에 의하여 회전플레이트(220)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이때, 관통구(232)와 체결구(226)는 결합볼트(236)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커터날(240)의 결합위치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커터(230)가 회전플레이트(22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면, 사용 횟수 증가로 인하여 커터날(240)이 마모되는 경우 종래의 하수관 굴착 및 보링장치와 같이 분쇄수단(200)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커터(230)만을 교체시킬 수 있으므로 비용을 낮출 수 있다.
하수관 굴착 및 보링작업시에, 분쇄수단이 회전함에 따라 본체(100)가 앞뒤로 흔들리는 피칭(Pitching) 현상이나 좌우로 흔들리는 롤링(Rolling) 현상으로로, 하수관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분쇄수단이 하수관을 파손시키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수단(700)은, 본체(100)의 상면에 상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바퀴틀(710)과, 본체(100)의 진입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바퀴틀(710)에 회전축이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현가바퀴(720)와, 현가바퀴(720)가 관의 상측 내벽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바퀴틀(7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현가스프링(7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의 상면에는, 바퀴틀(710) 내부로 삽입되도록 수직 상향으로 돌출되며, 상측 끝단에 수평머리(142)가 형성되는 수직봉(140)이 구비되는 바, 상기 바퀴틀(710)이 상기 수직봉(140)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한 구조를 취하여 본체(100)에 결합되며, 현가스프링(730)은 본체(100)와 바퀴틀(710) 사이에 결합되어 바퀴틀(710)을 상향으로 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현가수단(700)이 추가로 구비되면, 양측의 구동바퀴(110)와 상측의 현가바퀴(720)에 의하여 하수관 내부에서 좌우 및 상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분쇄수단(200)이 회전을 하더라도 본체(100)가 피칭 및 롤링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한다. 또한, 구동바퀴(110)가 하수관 내부의 이물질을 밟고 지날 때, 현가바퀴(720)와 본체(100)간의 거리가 본체(100)가 상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만큼 탄성을 가지며 줄어들게 되므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도 4의 예시와 함께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을 이용한 장애물 제거 방법을 살펴보면,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을 하수관(P) 내부로 진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의 분쇄수단(200)을 이용하여 하수관(P) 내벽에 적층된 퇴적물을 분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하수관(P) 내부에 쌓여있는 퇴적물을 분쇄하기 위하여 하수관(P) 내부에 도 1에 도시된 분쇄용 하수관유지보수장치(1000)를 진입시킨다. 진입된 제1실시예(1000)의 분쇄수단(200)을 작동시키고 분쇄용 하수관유지보수장치(1000)를 하수관(P)을 따라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진행시키면, 상기 분쇄수단(200)에 의해 하수관(P) 내부의 퇴적물은 제거된다.
다음은 관련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전개한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분쇄수단(200)은 림(224)과 커터(230)가 관통구(232) 및 체결구(226)에 결합되는 결합볼트(236)에 의하여 탈착식으로 체결된다. 그런데 커터(230) 하나를 교체하기 위하여 다수의 결합볼트(236)를 모두 해체하여야 하는 불편과, 낱낱이 분해된 결합볼트(236)의 분실방지가 어렵고, 차량통행 재개를 위해 시간이 없는 작업현장에서 신속한 조치를 취하기 어렵다.
또한 퇴적물(a3)에 강하게 충돌하는 커터(230)가 결합볼트(236)의 체결 구조에 지속적인 진동 및 충격을 인가하여서 장시간 작업이 진행되면 결합볼트(236)의 조임력이 헐거워지기 시작하므로 진동 더욱 증대 되거나 새로운 형태의 진동이 발생한다. 특히, 커터(230)를 고정하는 부착력 및 지지력이 약해지고 유격이 발생하여 커터(230)의 회전력이 퇴적물(a3)에 원활하게 전달되지 못하며 강한 충격을 가하지 못하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진다.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 5 이하에 첨부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에 적용되는 분쇄수단(200)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결합볼트에 의한 체결구조를 채택하지 않고, 결합브라킷(260)을 통한 체결구조를 채택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착탈식 교체가 가능하고, 보다 강력한 커터(230)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에서, 상기 결합브라킷(260)은 처음부터 림(224)으로부터 연장(돌출)되어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에 상기 림(224)에 용접 또는 리벳팅 등으로 영구히 강력하게 부착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방법으로 제공된다.
상기 결합브라킷(260)은 그 횡단면이 바닥벽 및 양 지지벽으로 둘러쌓인 U 형상을 취한다. 상기 바닥벽 즉, 브라킷저벽(262)은 상기 커터(230)의 저면 즉, 커터저면(233)에 긴밀하게 대응된 형상을 취하여서 접촉하고, 상기 림(224)과는 일체가 된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지지벽 즉, 브라킷측벽(260a)은 그 양 측의 각 내면이 상기 커터(230)의 양 측면 즉, 커터측면(230a)에 각각 긴밀히 대응되게 형성되어 접촉한다.
상기 결합브라킷(260)은 상술한 형태를 취하여서, 상기 브라킷저벽(262)은 상기 커터저면(233)을 받침(지지)하여 안착시키고, 상기 브라킷측벽(260a)은 상기 커터측면(230a)의 아래부분을 지지하여 안착시킨다.
커터(230)가 결합브라킷(260)에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지면, 그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체결유지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유지수단은 상기 결합브라킷(260)의 양 브라킷측벽(260a)의 각 내측면에 상기 결합브라킷(260)의 길이를 따라 일직선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61)을 형성하고, 양 커터측면(230a)에는 각각 커터(230)의 길이를 따라 일직선으로 홈이 패여 형성되는 가이드요홈(231)을 형성하여 제공된다. 한편, 구성되는 위치를 바꾸어서, 가이드레일(261)은 커터(230)에 구비시키고 가이드요홈(231)은 브라킷에 구비시킬 수 있다.
도 6의 예시와 함께 상기 커터(230)를 상기 브라킷에 결합하는 방법을 알아보면, 가이드요홈(231)에 그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261)을 끼워 삽입시켜서(인입시켜서) 양 자가 서로 밀착하여 결합되도록 하면 간단하고 신속하게 체결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결합브라킷(260)의 길이방향 어느 한 단부에 상기 커터(230)의 일단(a)을 인입시킬(끼울) 때 동시에, 상기 결합브라킷(260)의 가이드레일(261)에 커터(230)의 일단(a) 측 가이드요홈(231)을 함께 인입시킨 다음에, 상기 커터(230)를 상기 브라킷의 다른 단부 쪽으로 밀어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순서로 완전히 밀착 삽입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결합되면 바닥의 브라킷저벽(262)은 물론, 좌우 양 브라킷측벽(260a)이 긴밀하게 커터(230)를 지탱하므로 매우 강력하게 지지하여서 장시간 진동. 충격에 노출되어도 헐거워짐 없이 유격 발생이 최소화 된다. 체결나사가 풀리는 문제는 애초에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커터(230)가 결합브라킷(260)에 삽입 장착된 후에, 상기 커터(230)가 다시 결합브라킷(260)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하여서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시건장치(270)가 추가된다.
상기 시건장치(270)는 상기 결합브라킷(260)의 어느 단부(일단 또는 타단)에 구비되어서 상기 커터(230)의 일단(a) 또는 타단(b)을 고정한다. 도 5의 예시에는 회전플레이트(220)의 가운데 측 즉, 체결구(226) 측에 위치하는 결합브라킷(260)의 단부(일단)에 시건장치(2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시건장치(270)는 일측에 형성되는 브라킷고정부(271) 및 타측에 형성되는 커터고정부(272)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의 예시에서, 상기 결합브라킷(260)의 일단에 상기 시건장치의 브라킷고정부(271)가 힌지결합이 되고, 상기 커터(230) 일단이 상기 결합브라킷(260) 일단의 근방에 도달하여 위치되면, 상기 시건장치의 커터고정부(272)를 상기 커터(230) 일단(a)에 힌지결합으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상기 결합브라킷(260)의 일단에는 구멍이 천공된 브라킷-시건장치 고정홈(263)이 형성되고, 상기 커터(230)의 일단에도 구멍이 천공된 커터-시건장치 고정홈(263)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시건장치(270)는 C 클립의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상기 C 형태를 취하지 않고 다른 형태 예컨대 일자 형태로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건장치의 브라킷고정부(271) 및 커터고정부(272)는 각각 볼트 형태의 고정돌기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브라킷고정부(271)의 고정돌기는 상기 브라킷-시건장치 고정홈(263)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커터고정부(272)의 고정돌기는 상기 커터-시건장치 고정홈(232)에 끼워져 고정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다 진보된 구성의 분쇄수단(200)을 살펴본다.
도 7을 중심으로 보면, 도 7 A에서 상기 브라킷저벽(262)은 소정의 기울기(a1)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킷측벽(260a)도 상기 기울기(a1)를 따라 경사지게 되어 있어서 결합브라킷(260) 전체가 기울기를 갖고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7 B에서 상기 결합브라킷(260)에 삽입 고정되는 커터(230)도 당연하게 상기 기울기를 가지고 좌우 어느 한 쪽으로 경사지게 분쇄수단(200)에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울기(a1)는 분쇄수단(200)의 회전방향(a2) 쪽으로 기울어진 것이다. 즉, 분쇄할 퇴적물(a3) 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성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커터(230)의 커터날(240)이 회전하여 퇴적물(a3)과 충돌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커터(230)의 커터저면(233)은, 수직선상에 있지 않고, 오프셋이 되어 뒷 쪽에 위치하는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즉, 커터저면(233)은 회전방향의 뒷 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퇴적물(a3)과 충돌시에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보통은 전적으로 브라킷측벽(260a)으로만 작용할 것에서, 브라킷저벽(262)으로 분산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므로 퇴적물(a3)과 충격시에 보다 강력히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며, 브라킷측벽(260a)의 지지부담을 줄여주어서 내구력을 증강시키고, 이에 따른 진동도 줄이게 된다.
도 8에서 상기 시건장치(270)는 탄성력을 갖는 부재로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탄성력을 갖는 C 클립 형태 외에도 코일스프링으로 대체될 수 있다.
탄성력을 갖는 상기 시건장치(270)는 처음에는, 도 8 A처럼 하중이 인가되지 않을 때 시건장치(270) 원래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가 다음에, 분쇄수단(200)의 회전으로 원심력이 작용하여서 외륜(222)에 방사형으로 구성된 림(224) 상에서 상기 가이드레일(261)/가이드요홈(231)의 안내를 따라 도 8 B처럼 상기 커터(230)가 회전중심으로부터 바깥측을 향하는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될 때 이를 탄력적으로 허용하여서 분쇄수단(200)의 반경이 커지는 반경 확장(a6)의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분쇄수단(200)의 반경 확장(a6)에 의하여, 하수관이 분쇄수단(200)의 직경보다 조금 크거나 작은 경우에도 탄력적으로 잘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터(230), 커터(230)날이 원심력으로 퇴적물(a3)에 보다 잘 밀착되고 강력한 하중을 가압하여서 퇴적물(a3)을 효율적으로 분쇄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이때, 상기 시건장치(270)의 탄성부재의 강약 정도를 미리 선택하여 상기 원심력에 의한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반경 확장(a6)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분쇄수단(200)의 회전이 정지하면, 탄성부재로 제공되는 상기 시건장치(270)의 탄성복원력을 통하여 상기 커터(230)가 원래위치로 복귀되어, 반경이 수축하게 되어서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의 분쇄수단(200)이 장애물에 걸림이 없이 보다 잘 하수관 내부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상기 분쇄수단(200)이, 모르타르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수단으로 전환되어 두 기능이 겸용될 수 있는 예시를 보인 것이다. 커터(230)의 일측에는 모르타르를 도포할 미장판(250)이 직접 형성되거나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어 구비된다.
사용에 있어서는 먼저, 상기 커터(230)를 상기 결합브라킷(260)으로부터 빼어내어 분리한 후 반대 방향으로 돌려서 다음, 상기 커터(230)를 다시 상기 결합브라킷(260)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의 예시는, 상기 커터(230)의 타단(b)부터 상기 결합브라킷(260)의 타단에 끼워넣어 상기 지지대(230)의 타단(b)이 상기 결합브라킷(260)의 일단의 근방에 위치하게 한 후 상기 시건장치(270)로 다시 잠금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도 9 A처럼 상기 커터(230)는 삼각 형상의 높은 곳이 상기 외륜(222)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삼각 형상의 낮은 곳이 상기 외륜(222)의 중심측에 위치되게 되어서 결국, 상기 미장판(250)이 상기 외륜(222)의 외측으로 배치되게 된다.
미리 하수관 내벽에 전용기구를 이용하여 모르타르가 도포되면 그 후에, 도포수단으로 전환된 상기 분쇄수단(20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미장판(250)이 따라 회전하여 사전에 분사되어 하수관 내벽에 거칠게 도포되어 있는 모르타르를 고르게 도포하야 미장작업을 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미장판(250)은 상기 하수관 벽의 미리 거칠게 도포된 모르타르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게 되는 데, 탄성력을 갖는 상기 시건장치(270)에 의하여 작동되는 바 이미 전술된 바를 참조한다. 이때, 상기 커터-시건장치 고정홈(232)은 상기 커터(230)의 일단 및 타단 모두에 각각 고정홈(232a)(232b)이 천공된다.
특히, 도 9 B의 예시와 같이 각 단부의 상기 고정홈(232a)(232b)이 2개 이상 (도면 예시는 3개) 복수의 것으로 형성되면, 상기 시건장치(270)의 상기 커터고정부(272) 고정돌기를 끼워 고정하는 위치 선택에 따라, 도포수단으로 전환된 커터(230)의 외부 돌출정도가 미리 설정되므로, 상기 시건장치의 탄성력에 의한 탄성범위와 함께 미장판이 모르타르를 가압하는 압력의 세기 범위의 한도가 정해져서 미장판(250)이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두께를 설정할 수 있다.
본체(100); 구동바퀴(110); 카메라(120); 가이드피스톤(130);
수직봉(140); 분쇄수단(200); 모터(210); 회전플레이트(220);
커터(230); 커터날(240); 고정수단(300); 고정실린더(310);
현가수단(700); 바퀴틀(710); 현가바퀴(720); 현가스프링(730);

Claims (1)

  1.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에 있어서,
    관 내부로 진입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진입방향 전단에 결합되는 분쇄수단과, 왕복운동을 통하여 상기 관 내벽에 밀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본체 및 상기 고정수단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 및 상기 고정수단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이송실린더, 본체의 롤링 및 피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의 상측 내벽에 밀착되도록 본체에 결합되는 현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
KR1020170035032A 2017-03-21 2017-03-21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 KR20170099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32A KR20170099799A (ko) 2017-03-21 2017-03-21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32A KR20170099799A (ko) 2017-03-21 2017-03-21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799A true KR20170099799A (ko) 2017-09-01

Family

ID=5992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032A KR20170099799A (ko) 2017-03-21 2017-03-21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97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260B1 (ko) * 2020-08-13 2020-12-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KR102262000B1 (ko) * 2021-03-03 2021-06-08 주식회사 모던비앤씨 지하구조물 및 암거 보수용 몰탈 타설기
CN116575565A (zh) * 2023-07-13 2023-08-11 山西八建集团有限公司 管道清淤机器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16B1 (ko) * 2004-06-29 2007-04-16 영진준설기계주식회사 하수관 유지보수장치 및 공법
KR20080091040A (ko) * 2007-04-06 2008-10-09 김관태 지하 매설관 내 자주식 전단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100941654B1 (ko) * 2007-06-11 2010-02-11 (주)우암건설 관로 비굴착 부분보수기 및 보수공법
KR20110021647A (ko) * 2009-08-26 2011-03-04 김관태 자주식 전단면 굴착 및 보수장치
KR20110136157A (ko) * 2010-06-14 2011-12-21 최인환 원형관로의 준설 및 보수장치
KR101111221B1 (ko) * 2009-01-22 2012-02-16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하수도관 갱생을 위한 절삭보링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16B1 (ko) * 2004-06-29 2007-04-16 영진준설기계주식회사 하수관 유지보수장치 및 공법
KR20080091040A (ko) * 2007-04-06 2008-10-09 김관태 지하 매설관 내 자주식 전단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100991297B1 (ko) * 2007-04-06 2010-11-01 김관태 지하 매설관 내 자주식 전단면 굴착장치
KR100941654B1 (ko) * 2007-06-11 2010-02-11 (주)우암건설 관로 비굴착 부분보수기 및 보수공법
KR101111221B1 (ko) * 2009-01-22 2012-02-16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하수도관 갱생을 위한 절삭보링장치
KR20110021647A (ko) * 2009-08-26 2011-03-04 김관태 자주식 전단면 굴착 및 보수장치
KR20110136157A (ko) * 2010-06-14 2011-12-21 최인환 원형관로의 준설 및 보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260B1 (ko) * 2020-08-13 2020-12-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KR102262000B1 (ko) * 2021-03-03 2021-06-08 주식회사 모던비앤씨 지하구조물 및 암거 보수용 몰탈 타설기
CN116575565A (zh) * 2023-07-13 2023-08-11 山西八建集团有限公司 管道清淤机器人
CN116575565B (zh) * 2023-07-13 2023-09-15 山西八建集团有限公司 管道清淤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01661B (zh) 一种管道自动清污清洗设备及管道自动处理方法
KR20170099799A (ko)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
JP4781304B2 (ja) 建設機械用のミリングドラム、建設機械、ならびにミリングドラム用の変速機ユニット
KR101075578B1 (ko) 자기력을 이용한 강구조물 표면 이동 장치
KR101131472B1 (ko) 노후관로 내면 연마장치
KR101084062B1 (ko) 노후관 갱생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후관 갱생 장비
KR101854183B1 (ko) 노후 관로의 도막 제거에 사용되는 로터리 커터 장치
CN103031802B (zh) 土壤处理用铣刨设备的辊子外壳、铣刨设备及辊子外壳的清洁方法
KR101469017B1 (ko) 곡관 적응 작업이 가능한 구동 플랫폼을 구비한 노후관로 갱생용 주행로봇
KR102127528B1 (ko) 로봇 투입 하수관로 보수방법
KR101881566B1 (ko) 노후 관로의 도막 제거에 사용되는 에어 가스켓 스크레이퍼 장치
KR101935138B1 (ko) 하수도 비굴착 로봇 부분보수 공법
JP6382152B2 (ja) ハンドガイドローラ
KR101997105B1 (ko) 하수도 보수공법
JP7382283B2 (ja) 転圧機械
KR1005947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수직벽 면처리 공법
KR100199070B1 (ko) 국부적 페인트 연속 제거장치
US6022422A (en) Cleaning shoe for pipe
KR100762481B1 (ko) 대형 부싱형 베어링의 내외경 사상장치
KR101949012B1 (ko) 하수도 비굴착 로봇 전체보수 공법
KR102654015B1 (ko) 관로의 스케일 및 불순물 제거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세척 공법
JP5723203B2 (ja) トラクタ
KR102124648B1 (ko) 로봇을 이용한 하수도 보수공법
KR20190011300A (ko) 장애물제거로봇을 투입하여 하수도를 보수하는 방법
JPH09140202A (ja) 畦塗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