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261B1 -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261B1
KR102195261B1 KR1020200114701A KR20200114701A KR102195261B1 KR 102195261 B1 KR102195261 B1 KR 102195261B1 KR 1020200114701 A KR1020200114701 A KR 1020200114701A KR 20200114701 A KR20200114701 A KR 20200114701A KR 102195261 B1 KR102195261 B1 KR 102195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pipe
sewage
disposed
inv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재
지현욱
송호면
유성수
강정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1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저장하는 적재함, 상기 적재함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수관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파지하고, 하수관의 바닥에 배치하는 인양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하수관의 바닥에 배치되는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가압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Sewage pipe complex section structure field construction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실시예는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는 직경의 하수관 내 뼈대형 인버트 구조체를 이용하여 하수관 복합단면을 시공하기 위한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하수관거)라 함은 오수와 우수를 모아 하수처리장과 방류지역까지 운반하기 위한 배수관로를 지칭한다. 그 중, 합류식 하수도는 우수와 오수를 하나의 관으로 배제하는 방식의 하수관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합류식 하수관거의 유속 기준은, 계획우수량에 대하여 유속을 0.8m/s~3m/s로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준에 의거하여 합류식 하수관거를 설계하면, 우천시에는 적절한 유량과 유속이 발생하여 오수 흐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청천시에는 오수량이 매우 적음(예를 들어, 계획우수량에 비해 1/100 이상 적음)으로 인하여, 합류식 하수관거를 통과하는 오수의 유량과 유속이 매우 작아져 오수가 정상적으로 처리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하수관거를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이 느려지면, 하수관거의 내부에서 퇴적량이 증가함에 따라 악취가 발생하고, 황산이 생성되어 하수관의 부식이 가속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절하게 설계된 합류식 하수관 일지라도 우천시와 청천시 유량비율이 적게는 수백배에서 많게는 수천배까지 나타나고 있으며, 합류관의 설계기준이 우천시 유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청천시 실유속은 설계유속 및 고형물 침전 방지를 위한 최소유속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하수관을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퇴적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실시예는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할 수 없는 협소한 하수관거를 편리하게 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수관을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퇴적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는 시공 공정을 간소화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는 시공 비용을 절감하고,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저장하는 적재함; 상기 적재함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수관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파지하고, 하수관의 바닥에 배치하는 인양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하수관의 바닥에 배치되는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가압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중심라인에 배치되는 주행바퀴 및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보조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중심라인에 배치되는 진동바퀴 및 상기 진동바퀴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바퀴로 진동을 전달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양부는 상기 적재함의 양측에 배치되는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양부는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승강하는 하부 인양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길이방향에서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양부는 상기 하부 인양장치를 통해 파지된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상기 하수관의 바닥으로 하강시키는 상부 인양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양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설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바퀴는 주행모터와 연결되어 하수관 내부에서 전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관 내부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단계; 상기 하수관 초입영역에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 초기설치단계;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의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 장비 배치단계; 상기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 장비에 적재된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이송 및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 및 조립단계는 적재함에 적재된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파지하는 파지단계; 파지된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수평이송하는 제1 이송단계; 및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하수관의 바닥으로 수직이송하는 제2 이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에 배치된 상기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를 가압하는 가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단계는 상기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를 가압시 진동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 및 조립단계는 영상활영부를 이용하여 하수관 내부의 상황을 확인하면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관을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퇴적량을 저감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천시 하수관을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하수관내 퇴적량 및 악취 발생을 저감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 공정을 간소화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 비용을 절감하고, 하수관의 수명을 연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준설 비용을 저감시키고,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제공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할 수 없는 협소한 하수관거를 포함한 다양한 크기의 하수관 내부에서 무인으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와 시공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모르타르가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5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인버트 구조체 설치단계의 구체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모르타르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는 보조관(100), 지지기둥(200) 및 뼈대기둥(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관(100)은 상부 일측이 개방된 곡면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수관(10)의 중앙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관(100)은 청천시 하수의 흐름이 집중되도록 하여 오수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여 유속을 증가시키며 퇴적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보조관(100)은 원형관이나 박스관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특히 보조관(100)의 역할은 집중되는 오수를 받아 이송시 오수의 유속증가 위한 보조관(100)으로서 본 명세서에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동일 목적으로 하는 모든 형상 포함하며, 하수관(10)의 종류, 구조 및 크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태의 보조관(100)에 기초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관(100)은 하구관내 동수반경을 높히기 위해서 배치되며, 하수관(10)내 동수반경이 증가하는 수로를 비굴착방식으로 간편하게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모두 PVC 재질로 구비되어 모르타르 충진재의 매립형 거푸집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도확보가 용이하며, 무게가 가벼워져 현장시공성이 증대되며, 오수와의 접촉부분이 모두 PVC로 형성되어 황화수소에 의한 부식을 차단하여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유속증가와 이물질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관(100)의 길이방향의 단부에는 돌출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보조관(100)은 이동 및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 복수가 결합되는 구조로 하수관(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10)는 이웃하는 보조관(100)과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보조관(100)의 길이방향 일측단부에는 돌출부(110)가 배치되며, 타측단부에는 돌출부(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0)는 복수의 보조관(100)이 겹쳐져서 시공되는 경우, 수용홈(120)에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나사가 필요하지 않으며, 내부에 모르타르가 연계되어 내구성과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보조관(100)의 외측면에 연결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보조관(100)이 설치되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일정 두께를 구비하는 판구조로 마련되어 하수관(10)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경우 하수관(10)과 직접접촉되도록 하여 고정력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관이나 통구조로 마련되는 인버트 구조체의 문제점인 만관시 부력에 의해 들뜸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의 상측단부는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의 상부에는 모르타르 타설 후 후속공정의 미장작업으로 마무리된다. 이때, 미장면는 지지기둥(200)의 경사를 따라 배치되어 하수가 보조관(100)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기둥(200)은 상호 이격되도록 보조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하수관(10)의 측면을 따라 이격배치되며, 지지기둥(200)에는 모르타르의 타설을 용이하게 하고 하수관(10)과 지지기둥(200)의 접착력을 증대하기 위해 복수의 연결통로(22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기둥(200)에 의해 하수관(10) 내부가 구획된다. 이때, 모르타르가 지지기둥(200)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타설되는 경우 일정한 균일도를 확보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지기둥(200)에 복수의 연결통로(220)를 형성하여 타설된 모르타르가 연결통로(2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지지기둥(200)으로 구획되는 영역에 고르게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연결통로(220)는 지지기둥(2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뼈대기둥(300)은 지지기둥(20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뼈대기둥(300)은 지지기둥(200)의 단부에 배치되어 지지기둥(200)을 연결하여, 강성을 보완함과 동시에 지지기둥(20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뼈대기둥(300)의 길이방향에는 가이드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20)는 계단식 구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후술할 충진장비(40)나 미장장비(50)가 이동하는 가이드레일로 기능할 수 있다.
뼈대기둥(300)의 하부에는 리브(310)가 배치될 수 있다. 리브(310)는 뼈대기둥(3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5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10)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1000)는 적재함(1100), 이동부(1200) 및 인양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함(1100)은 복수의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저장할 수 있다. 적재함(1100)은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적재함(1100)은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지지하기 위해 3면이 막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적재함(1100)의 구조는 제한이 없으며,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의 형태나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이용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동부(1200)는 적재함(1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수관(10)을 따라 이동하며, 하수관(10) 바닥에 배치되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가압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120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가압시 자중으로 가압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부(1200)는 주행바퀴(1210), 보조바퀴(1230) 및 진동바퀴(1220)를 포함할 수 잇다.
주행바퀴(121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중심라인에 배치되어 전체 장비가 이동하는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주행바퀴(121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보조관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주행바퀴(1210)의 상부에는 주행모터(1211)가 배치되며, 주행모터(1211)는 주행밸트(1212)를 통해 주행바퀴(1210)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주행바퀴(12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치의 이동을 위한 윈치 및 와이어로프가 필요없으며, 모터를 통해 전진과 후진을 할 수 있다.
또한, 주행바퀴(1210)는 하수관(10)의 보조관의 내부 중심에 안착되어 주행바퀴(1210)가 전진 및 후진으로 이동시 보조관이 이동의 가이드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주행바퀴(1210)는 외부표면에 미끌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트레드 홈으로 이뤄진 구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보조관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밀착력을 증대할 수 있다.
보조바퀴(1230)는 복수로 마련되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3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보조바퀴(1230)는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배치되며, 복수의 열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조바퀴(1230)는 이동부(1200)가 이동시 좌우 흠들림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설치시 중심선을 일치하도록 하여 시공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도울 수 있다.
진동바퀴(122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중심라인에 배치되며, 진동바퀴(1220)에 연결되는 바이브레이터(1221)를 통해 진동을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로 전달할 수 있다.
진동바퀴(122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보조관에 안착되어, 주행바퀴(1210)와 함께 현장시공 장비의 하중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가 하수관(10)의 하부에 배치된 후, 보조관의 내부를 따라 전진 이동하여 올라탄 후 바이브레이터(1221)가 동작하여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가 서로 밀착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일실시예로, 진동바퀴(1220)는 주행바퀴(1210)와 외형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주행바퀴(1210)와는 달리 진동을 견디기위해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인양부(1300)는 적재함(1100)에 저장된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파지하고 이를 하수관(10)의 바닥에 배치할 수 있다.
인양부(1300)는 파지부(1310), 하부 인양장치(1320), 상부 인양장치(1330) 및 이동레일(134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31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길이방향으로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1310)는 양측단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고정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인양장치(1320)는 파지부(1310)가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파지하기 위한 승강장치에 해당되며, 한쌍으로 마련되어 적재함(11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인양장치(1330)는 하부 인양장치(1320)를 통해 파지된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하수관(10) 바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동레일(1340)은 인양부(13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레일(1340)의 일측에는 인양부(1300)가 이동레일(134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이동모터(1341)가 배치될 수 있다.
우선 파지부(1310)가 적재함(1100)으로 이동하여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파지하기 위한 위치에 정지되며, 하부 인양장치(1320)가 하강하게 된다. 이후 파지부(1310)가 이동하여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파지하게 된다.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파지한 파지부(1310)는 이동레일(1340)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정해진 위치에 도달시 상부 인양장치(1330)를 통해 이동하여 하수관(10) 바닥에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직 이송거리를 확보하고, 시공의 편이성 및 정확성을 향상하기 위해 하부 인양장치(1320) 및 상부 인양장치(1330)를 이용하여 2단의 승강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인양장치(1320)와 상부 인양장치(1330)는 전동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협소한 하수관(10) 내부의 시공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영상촬영부(1400)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촬영부(140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설치상황을 촬영하여 하수관(10)의 외부의 작업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하수관(10) 외부에서 이를 확인하면서 하수관(10) 내부의 현장상황을 제어할 수 있다.
작업자는 영상촬영부(1400)를 통해 전송되는 현장의 설치상황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원격으로 장비를 제어하여 시공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10)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10)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10) 복합단면 시공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인버트 구조체 설치단계의 구체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10)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방법은 하수관(10) 차단단계(S100), 초기 설치단계(S200), 장비 배치단계(S300) 및 이송 및 조립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시공전에 하수관(10) 내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하수관(10)이 사용가능한 상태인지 현재 유속은 어느정도인지를 조사하게 된다. 만약 하수관(10)이 너무 노후화되고, 파손 및 변형이 심한 경우 굴착교체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파악되는 하수관(10) 정보를 이용하여 하수관(10)의 소류력을 계산하고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설치하는 경우 소류력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시공을 결정할 수 있다.
하수관(10) 차단단계(S100)에서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시공하기로 판단되는 경우, 하수관(10)을 준설하고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CCTV와 같은 영상촬영장치를 이용하여 하수관(10) 내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보조관을 설치하기 전 하수관(10)을 흐르는 물이 공사지점을 우회하도록 할 수 있다. 물돌리기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설치하기 전에 공사 지점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하수를 공사지점의 하류로 돌려보내는 작업을 의미한다. 물돌리기 방법은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공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설치전에 하수관(10)의 상태를 판단하고, 공사지점으로 흐르는 하수를 차단하여 공사를 준비할 수 있다.
초기 설치단계(S200)는 하수관(10) 초입영역에 하수관(10)용 복합단면 구조체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하수관(10)에 최초시공시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수관(10)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최초공사가 시작되는 하수관(10)로 초입에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설치하여 장비의 이동을 위한 기초를 배치할 수 있다.
장비 배치단계(S300)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10) 복합단면 현장시공 장비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초기 설치단계를 통해 하수관(10)로 초입에 설치되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에 하수관(10) 복합단면 현장시공 장비의 이동부(1200) 구성을 배치할 수 있다.
하수관(10) 복합단면 현장시공 장비의 주행바퀴(1210)와 진동바퀴(122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보조관에 안착시키고, 복수의 보조바퀴(123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32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송 및 조립단계(S400)는 하수관(10) 복합단면 현장 시공 장비에 적재된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이송하고 조립하는 단계이다.
이송 및 조립단계(S400)는 파지단계(S410), 제1 이송단계(S420), 제2 이송단계(S340) 및 가압단계(S44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단계(S410)는 적재함(1100)에 적재된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파지하는 단계이다. 파지단계는 파지부(1310)의 이동을 통해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파지할 수 있다.
제1 이송단계(S420)는 파지된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수평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파지부(1310)를 통해 파지된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는 이동레일(1340)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이송단계(S430)는 이동레일(1340)을 따라 이동한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하수관(10)의 바닥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에서 인양부(1300)는 상부 인양장치(1330)와 하부 인양장치(1320)를 이용하여 수직이동시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가압단계(S440)는 하수관(10)로 바닥에 배치된 하수관(10) 복합단면 구조체를 가압하는 단계이다. 가압단계는 하수관(10) 복합단면 현장시공 장비가 이동시 자중을 통해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가압하여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가압단계(S440)에서는 바이브레이터(1221)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생된 진동은 진동바퀴(1220)를 통해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을 통해 보조관의 연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및 조립단계(S400)는 영상촬영부(1400)를 통해 하수관(10) 내부의 상황을 확인하면서 진행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 10 : 하수관
100 : 보조관
110 : 돌출부 200 : 지지기둥
220 : 연결통로 300 : 뼈대기둥
310 : 리브 320 : 가이드부
1000 :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1100 : 적재함
1200 : 이동부
1210 : 주행바퀴
1211 : 주행모터
1212 : 주행밸트
1220 : 진동바퀴
1221 ; 바이브레이터
1230 : 보조바퀴
1300 : 인양부
1310 : 파지부
1320 : 하부 인양장치
1330 : 상부 인양장치
1340 : 이동레일
1341 : 이동모터
1400 : 영상촬영부

Claims (14)

  1. 복수의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저장하는 적재함;
    상기 적재함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수관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파지하고, 하수관의 바닥에 배치하는 인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하수관의 바닥에 배치되는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가압하면서 이동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중심라인에 배치되는 주행바퀴 및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보조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중심라인에 배치되는 진동바퀴 및 상기 진동바퀴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바퀴로 진동을 전달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는 상기 적재함의 양측에 배치되는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는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승강하는 하부 인양장치
    를 더 포함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길이방향에서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는
    상기 하부 인양장치를 통해 파지된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상기 하수관의 바닥으로 하강시키는 상부 인양장치를 더 포함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설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바퀴는 주행모터와 연결되어 하수관 내부에서 전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10. 하수관 내부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단계;
    상기 하수관의 초입영역에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 초기설치단계;
    제1 항, 제4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의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 장비 배치단계;
    상기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 장비에 적재된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이송 및 조립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및 조립단계는
    적재함에 적재된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파지하는 파지단계;
    파지된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수평이송하는 제1 이송단계;
    상기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를 하수관의 바닥으로 수직이송하는 제2 이송단계;및
    상기 바닥에 배치된 상기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를 가압하는 가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단계는 상기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를 가압시 진동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및 조립단계는 영상활영부를 이용하여 하수관 내부의 상황을 확인하면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방법.
KR1020200114701A 2020-09-08 2020-09-08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102195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701A KR102195261B1 (ko) 2020-09-08 2020-09-08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701A KR102195261B1 (ko) 2020-09-08 2020-09-08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261B1 true KR102195261B1 (ko) 2020-12-24

Family

ID=7408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701A KR102195261B1 (ko) 2020-09-08 2020-09-08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2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9767B2 (ja) * 2003-09-10 2006-01-25 クボタシーアイ株式会社 水路構成工法で使用するモルタル等の打設装置及び均し装置
JP2006057395A (ja) * 2004-08-23 2006-03-02 Sekisui Chem Co Ltd 管路内の水路構築工法
CN211202005U (zh) * 2019-12-10 2020-08-07 中国铁建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仰拱块拼装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9767B2 (ja) * 2003-09-10 2006-01-25 クボタシーアイ株式会社 水路構成工法で使用するモルタル等の打設装置及び均し装置
JP2006057395A (ja) * 2004-08-23 2006-03-02 Sekisui Chem Co Ltd 管路内の水路構築工法
CN211202005U (zh) * 2019-12-10 2020-08-07 中国铁建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仰拱块拼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67050B (zh) 一种地铁车站的施工方法
KR100665680B1 (ko) 일괄 압출가설을 통한 교량시공방법
US11280055B1 (en) Construction device and method for lateral bracing in ultra-deep foundation pit with silt
CN105088957B (zh) 斜拉桥混凝土压重箱梁现浇支架水中钢混组合桩施工方法
CN109487814A (zh) 现浇管廊整体式移动模板台车施工方法
CN109629439B (zh) 一种独塔斜拉桥施工方法
CN111828730B (zh) 一种顶管内安装内套钢管的施工工艺
CN109610509A (zh) 一种综合管廊自控断面的可调模架系统和施工方法
CN101363224A (zh) 移动式基坑支撑系统及施工方法
KR102195261B1 (ko)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CN111877166A (zh) 具有坡度的桥梁钢箱梁的顶推施工方法
KR102195260B1 (ko)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KR102242240B1 (ko)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KR102191938B1 (ko)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조립을 위한 상부 덮개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KR102160179B1 (ko) 조립식 강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5060392B2 (ja) 管体および既設管の更生方法
KR102218484B1 (ko)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18483B1 (ko)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002227283A (ja) 管路内における水路構成工法及び水路構成部材
CN206015517U (zh) 低摩阻力三防无螺栓梳形板桥梁伸缩装置
KR102168450B1 (ko) 하수도 보조관 현장 타설 설치 공법
CN106013234B (zh) 地下综合管廊的施工方法
CN210562286U (zh) 一种全复合装配式地铁车站地下墙与预制中板节点结构
CN112523097A (zh) 大跨度架桥龙门吊及其施工方法
KR100706052B1 (ko) 교량 가설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