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240B1 -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240B1
KR102242240B1 KR1020200099236A KR20200099236A KR102242240B1 KR 102242240 B1 KR102242240 B1 KR 102242240B1 KR 1020200099236 A KR1020200099236 A KR 1020200099236A KR 20200099236 A KR20200099236 A KR 20200099236A KR 102242240 B1 KR102242240 B1 KR 102242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ering
vibration
trowel
sewage pip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재
지현욱
송호면
유성수
강정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99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6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흙손, 상기 본체부의 일영역에 연결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흙손은 상기 본체부의 전방과 후방에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Dressing equipment for site construction of complex sewer sections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bined section of sewer pipe using the same}
실시예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 복합단면을 시공하기 위해 인버트 구조체를 이용한 하수관의 현장 시공시 주입되는 모르타르의 미장을 실시하기 위한 원격조정이 가능한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하수관거)라 함은 오수와 우수를 모아 하수처리장과 방류지역까지 운반하기 위한 배수관로를 지칭한다. 그 중, 합류식 하수도는 우수와 오수를 하나의 관으로 배제하는 방식의 하수관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합류식 하수관거의 유속 기준은, 계획우수량에 대하여 유속을 0.8m/s~3m/s로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준에 의거하여 합류식 하수관거를 설계하면, 우천시에는 적절한 유량과 유속이 발생하여 오수 흐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청천시에는 오수량이 매우 적음(예를 들어, 계획우수량에 비해 1/100 이상 적음)으로 인하여, 합류식 하수관거를 통과하는 오수의 유량과 유속이 매우 작아져 오수가 정상적으로 처리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하수관거를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이 느려지면, 하수관거의 내부에서 퇴적량이 증가함에 따라 악취가 발생하고, 황산이 생성되어 하수관의 부식이 가속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절하게 설계된 합류식 하수관 일지라도 우천시와 청천시 유량비율이 적게는 수백배에서 많게는 수천배까지 나타나고 있으며, 합류관의 설계기준이 우천시 유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청천시 실유속은 설계유속 및 고형물 침전 방지를 위한 최소유속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하수관을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퇴적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실시예는 하수관을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퇴적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는 시공 공정을 간소화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는 시공 비용을 절감하고,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흙손; 상기 본체부의 일영역에 연결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흙손은 상기 본체부의 전방과 후방에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부는 주진동부와 보조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진동부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주진동부는 보조진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진동부는 상기 보조진동보다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에는 지지부가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흙손이 연결되되, 상기 흙손과 상기 지지부는 회동부를 통해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한 쌍, 후방에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부는 원격으로 진동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촬영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는 와이어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흙손의 양측단부는 곡면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흙손의 양측단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흙손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하수관 내부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단계; 상기 하수관 내부에 복합단면을 형성하기 위한 뼈대형 인버트 구조체를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뼈대형 인버트에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충진단계; 및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미장장비를 이용하여 미장작업을 실시하는 미장단계; 를 포함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장단계는 영상촬영부 이용하여 미장상태를 확인하면서 미장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장단계는 진동을 조절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관을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퇴적량을 저감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천시 하수관을 통과하는 오수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하수관내 퇴적량 및 악취 발생을 저감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 공정을 간소화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 비용을 절감하고, 하수관의 수명을 연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준설 비용을 저감시키고,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제공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할 수 없는 협소한 하수관거를 포함한 다양한 크기의 하수관 내부에서 무인으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와 시공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모르타르가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구성요소인 흙손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구성요소인 흙손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미장단계의 구체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모르타르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는 보조관(100), 지지기둥(200) 및 뼈대기둥(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관(100)은 상부 일측이 개방된 곡면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수관(10)의 중앙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관(100)은 청천시 하수의 흐름이 집중되도록 하여 오수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여 유속을 증가시키며 퇴적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보조관(100)은 원형관이나 박스관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특히 보조관(100)의 역할은 집중되는 오수를 받아 이송시 오수의 유속증가 위한 보조관(100)으로서 본 명세서에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동일 목적으로 하는 모든 형상 포함하며, 하수관(10)의 종류, 구조 및 크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태의 보조관(100)에 기초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관(100)은 하구관내 동수반경을 높히기 위해서 배치되며, 하수관(10)내 동수반경이 증가하는 수로를 비굴착방식으로 간편하게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모두 PVC 재질로 구비되어 모르타르 충진재의 매립형 거푸집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도확보가 용이하며, 무게가 가벼워져 현장시공성이 증대되며, 오수와의 접촉부분이 모두 PVC로 형성되어 황화수소에 의한 부식을 차단하여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유속증가와 이물질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관(100)의 길이방향의 단부에는 돌출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보조관(100)은 이동 및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 복수가 결합되는 구조로 하수관(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10)는 이웃하는 보조관(100)과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보조관(100)의 길이방향 일측단부에는 돌출부(110)가 배치되며, 타측단부에는 돌출부(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0)는 복수의 보조관(100)이 겹쳐져서 시공되는 경우, 수용홈(120)에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나사가 필요하지 않으며, 내부에 모르타르가 연계되어 내구성과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보조관(100)의 외측면에 연결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보조관(100)이 설치되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일정 두께를 구비하는 판구조로 마련되어 하수관(10)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경우 하수관(10)과 직접접촉되도록 하여 고정력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관이나 통구조로 마련되는 인버트 구조체의 문제점인 만관시 부력에 의해 들뜸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의 상측단부는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의 상부에는 모르타르 타설 후 후속공정의 미장작업으로 마무리된다. 이때, 미장면는 지지기둥(200)의 경사를 따라 배치되어 하수가 보조관(100)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기둥(200)은 상호 이격되도록 보조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기둥(200)은 하수관(10)의 측면을 따라 이격배치되며, 지지기둥(200)에는 모르타르의 타설을 용이하게 하고 하수관(10)과 지지기둥(200)의 접착력을 증대하기 위해 복수의 연결통로(22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기둥(200)에 의해 하수관(10) 내부가 구획된다. 이때, 모르타르가 지지기둥(200)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타설되는 경우 일정한 균일도를 확보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지기둥(200)에 복수의 연결통로(220)를 형성하여 타설된 모르타르가 연결통로(2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지지기둥(200)으로 구획되는 영역에 고르게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연결통로(220)는 지지기둥(2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뼈대기둥(300)은 지지기둥(20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뼈대기둥(300)은 지지기둥(200)의 단부에 배치되어 지지기둥(200)을 연결하여, 강성을 보완함과 동시에 지지기둥(20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뼈대기둥(300)의 길이방향에는 가이드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20)는 계단식 구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후술할 충진장비(40)나 미장장비(50)가 이동하는 가이드레일로 기능할 수 있다.
뼈대기둥(300)의 하부에는 리브(310)가 배치될 수 있다. 리브(310)는 뼈대기둥(3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구성요소인 흙손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구성요소인 흙손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10)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1000)는 본체부(1100), 흙손(1200) 및 진동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0)는 흙손(1200)과 진동부(1300)가 배치되기 위한 몸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본체부(11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수관(10) 내부의 모르타르 영역의 경사에 따라 폭방향으로 양측단부가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기둥이 결합되거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흙손(1200)은 본체부(1100)의 하부에 연결되며, 복수가 배치될 수 있다. 흙손(1200)은 본 발명에서 미장장비(1000)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반복적인 미장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본체부(1100)의 전방 및 후방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흙손(1200)은 스프링강의 강판으로 두께는 1mm이하로 설계될 수 있으며, 탄력을 이용하여 모르타르 충진재의 굴곡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진동부(13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모르타르 충진재에 전달과 완충의 역할을 수행하여 일정한 평탄면의 시공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 흙손(1200)은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한 쌍이 배치되어 보조관(100)의 양측면에 타설되는 모르타르의 표면을 미장할 수 있다.
본체부(1100)에 하부에는 복수의 지지부(11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부(1110) 단부에는 흙손(1200)이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110)는 전방에 한 쌍과 후방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일측단부는 본체부(1100)에 연결되며, 타측단부는 흙손(12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10)와 흙손(1200)은 회동부(113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회동부(1130)는 모르타르 미장면의 경사에 밀착하기 위해 흙손(1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체부(1100)의 자중은 4개의 지지부(1110)를 통해 흙손(1200)으로 분산되어지며, 본체부(1100)의 자중에 의해 흙손(1200)의 바닥면이 미장면에 밀착될 수 있다.
회동부(1130)는 볼조인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볼조인트가 사용되는 회동부(1130)는 변형된 하수관(10)의 굴곡과 모르타르 충진재의 표면이 불균일하더라도 일정한 경사면의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표면에 대응할 수 있다.
진동부(1300)는 본체부(1100)의 일영역에 연결되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로, 진동부(1300)는 본체부(1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진동부(13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본체부(1100), 지지부(1110), 흙손(1200)을 거쳐 미장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진동부(1300)는 주진동부(1310)와 보조진동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조진동부(1330)는 본체부(1100)의 길이방향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주진동부(1310)는 보조진동부(13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주진동부(1310)는 본체부(1100)의 상부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진동을 발생시켜 흙손(1200)으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미장되는 모르타르 충진재의 미장면에 강한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흙손(1200)으로 전달되는 진동으로 흙손(1200)에 모르타르 충진재가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여 미장면이 거칠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흙손(120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통해 모르타르 충진재의 모래알갱이는 충진재 아래로 가라앉고 반대로 모르타르 충진재 속에 함유된 수분과 미세 모르타르는 표면으로 상승하게 되어 흙손(1200)에 달라붇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미장면이 매끄럽게 미장되어 조도확보가 가능해진다.
흙손(1200)의 양측단부는 곡면부(12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함입된 가이드홈(1220)이 구비될 수 있다.
곡면부(1210)는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모르타르 충진재가 하부로 향할 수 있도록 하며, 가이드홈(1220)은 하부를 향하는 모르타르가 미장장업시 양옆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흙손(1200) 안쪽으로 모이도록 하여 미장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흙손(120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1240)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1240)는 얇은 두께의 흙손(1200)의 강성을 보안하며, 미장장치의 하중이 흙손(1200) 바닥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여 미장의 평탄화작업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주진동부(1310)는 보조진동부(1330)보다 강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조진동부(1330)는 주진동부(1310)가 배치되는 본체부(1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보조진동부(1330)는 지지부(1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미세진동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체부(1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촬영부(1140)가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영상촬영부(1140)는 본체부(1100)의 전후방에 각각 하나가 배치될 수 있으며, 미장상황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하수관(10)에 복합단면을 설치하는 경우, 사람이 들어가 작업 또는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 영상촬영부(114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미장작업 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며, 이를 작업자가 맨홀 외부에서 확인하면서 미장상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영상촬영부(1140)를 통해 하수관(10) 내의 상황을 확인하고, 진동부(1300)의 진동세기를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체부(1100)의 중앙에는 와이어연결부(1150)가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연결부(1150)는 와이어를 연결하여 미장장비(1000)가 하수관(10)의 복합단면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미장장비(1000)는 가이드부(3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흙손(1200)의 측면이 가이드부(320)에 접촉하여 이동하게되며, 와이어연결부(1150)에 연결된 와이어는 하수관(10)을 따라 미장장비(10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10) 복합단면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10)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100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10) 복합단면 시공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미장단계의 구체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하수관(10)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1000)를 이용하는 하수관(10) 복합단면 시공방법은 하수관(10) 차단단계(S100), 설치단계(S200), 충진단계(S300), 미장단계(S400) 및 마감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시공전에 하수관(10) 내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하수관(10)이 사용가능한 상태인지 현재 유속은 어느정도인지를 조사하게 된다. 만약 하수관(10)이 너무 노후화되고, 파손 및 변형이 심한 경우 굴착교체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파악되는 하수관(10) 정보를 이용하여 하수관(10)의 소류력을 계산하고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설치하는 경우 소류력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시공을 결정할 수 있다.
하수관(10) 차단단계(S100)에서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시공하기로 판단되는 경우, 하수관(10)을 준설하고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CCTV와 같은 영상촬영장치를 이용하여 하수관(10) 내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보조관을 설치하기 전 하수관(10)을 흐르는 물이 공사지점을 우회하도록 할 수 있다. 물돌리기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설치하기 전에 공사 지점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하수를 공사지점의 하류로 돌려보내는 작업을 의미한다. 물돌리기 방법은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공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수관(10) 차단단계(S10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의 설치전에 하수관(10)의 상태를 판단하고, 공사지점으로 흐르는 하수를 차단하여 공사를 준비할 수 있다.
설치단계(S200)는 곡면의 형상을 구비하는 보조관(100), 상기 보조관(100)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기둥(200), 상기 지지기둥(200)의 단부에 배치되는 뼈대기둥(300)을 포함하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상기 하수관(10)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설치단계(S200)는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에서 모르타르가 충진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1)를 배치하기 위해 맨홀의 외부와 내부에 도르레(20)를 설치하고, 도르레(20)에 와이어(30)를 설치하여 충진장비나 미장장비(10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충진단계(S300)는 설치단계(S200)에서 설치된 와이어(30)를 이용하여 보조관(100)을 따라 이동하는 충진장비를 이용하여 지지기둥(200)의 사이공간을 모르타르로 충진하는 단계이다.
충진장비는 영상장치가 구비되어 하수관(10)을 이동시 각각 구역에서 모르타르의 충진상태를 확인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충진이 덜된 영역이 확인되는 경우 충진속도를 조절하면서 충진장비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충진장비는 뼈대기둥(300)에 배치되는 가이드부(3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충진장비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충진장비의 이동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진장비는 하수관(10)을 따라 이동시 보조관(1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르타르가 충진시 빈공간이 없이 충진되도록 할 수 있다.
진동이 가해지는 모르타르는 지지기둥에 형성되는 연결통로를 통해 빈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고르게 충진될 수 있다.
미장단계(S400)는 충진이 끝난 모르타르의 상부를 미장장비(1000)를 이용하여 미장하는 단계이다.
미장단계(S400)는 미장장비(1000)를 가이드부(320)에 안착시키고, 미장장비(1000)는 가이드부(320)를 따라 전진하면서 모르타르의 미장을 수행하게 된다.
미장장비(1000)는 협소한 하수관(10)의 공간에서 편리한 시공을 위해 하수관(10)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미장장비(1000)에는 영상촬영부(1140)가 구비되어 미장상태를 확인하면서 진행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미장장비(1000)에는 진동부(1300)가 구비되어 미장면에 진동을 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미장단계는 영상촬영부(1140)를 통해 모르타르의 충진상태나 미장상태를 확인하면서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르타르면의 평탄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조도확보가 가능해진다.
마감단계(S500)는 조립이 완공된 후, 통수하여 하수관(10) 내부에 물이 흐르로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 10 : 하수관
20 : 도르레 30 : 와이어
40 : 충진장비 100 : 보조관
110 : 돌출부 200 : 지지기둥
220 : 연결통로 300 : 뼈대기둥
310 : 리브 320 : 가이드부
1000 : 미장장비 1100 ; 본체부
1110 : 지지부 1130 : 회동부
1140 : 영상촬영부 1150 : 와이어연결부
1200 : 흙손 1210 : 곡면부
1220 : 가이드홈 1240 : 보강부
1300 : 진동부 1310 : 주진동부
1330 : 보조진동부

Claims (14)

  1. 하수관 내부에서 무인으로 작업이 가능하도록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흙손;
    상기 본체부의 일영역에 연결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흙손은 상기 본체부의 전방과 후방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진동부는
    주진동부와 보조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진동부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주진동부는 보조진동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주진동부는 상기 흙손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흙손에 모르타르 충진재가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며,
    상기 주진동부는 상기 보조진동보다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진동부는 원격으로 진동이 조절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지지부가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흙손이 연결되며, 상기 흙손과 상기 지지부는 회동부를 통해 결합을 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촬영부가 배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하수관 내의 상황을 확인하고 상기 진동부의 진동세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한 쌍, 후방에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는 와이어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흙손의 양측단부는 곡면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흙손의 양측단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흙손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12. 하수관 내부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단계;
    상기 하수관 내부에 복합단면을 형성하기 위한 뼈대형 인버트 구조체를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뼈대형 인버트에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충진단계; 및
    제1항, 제5항,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미장장비를 이용하여 미장작업을 실시하는 미장단계;
    를 포함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장단계는 영상촬영부 이용하여 미장상태를 확인하면서 미장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장단계는 진동을 조절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KR1020200099236A 2020-08-07 2020-08-07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KR102242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236A KR102242240B1 (ko) 2020-08-07 2020-08-07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236A KR102242240B1 (ko) 2020-08-07 2020-08-07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240B1 true KR102242240B1 (ko) 2021-04-20

Family

ID=7574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236A KR102242240B1 (ko) 2020-08-07 2020-08-07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072A (ko) 2022-03-29 2023-10-06 유정식 단차부 및 평탄부 겸용 견인식 균등 미장장치와 금속성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관로 보수보강공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386A (ko) * 2000-03-03 2000-07-05 이종관 몰타르의 기포 제거 진동기용 엔진의 보조출력축
KR20010079022A (ko) * 2001-06-05 2001-08-22 김한덕 자동미장 장치
JP2005083120A (ja) * 2003-09-10 2005-03-31 Kubota Corp 水路構成工法で使用するモルタル等の打設装置及び均し装置
US7144193B1 (en) * 2004-10-16 2006-12-05 Samuel Hall Bousfield Finishing trowel
KR101077773B1 (ko) * 2008-12-11 2011-10-28 류재송 테라조 성형용 모르터 다짐 및 탈기장치
KR102094983B1 (ko) * 2019-11-28 2020-05-15 노딕기술 주식회사 가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하수박스 보수 보강시스템 및 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386A (ko) * 2000-03-03 2000-07-05 이종관 몰타르의 기포 제거 진동기용 엔진의 보조출력축
KR20010079022A (ko) * 2001-06-05 2001-08-22 김한덕 자동미장 장치
JP2005083120A (ja) * 2003-09-10 2005-03-31 Kubota Corp 水路構成工法で使用するモルタル等の打設装置及び均し装置
US7144193B1 (en) * 2004-10-16 2006-12-05 Samuel Hall Bousfield Finishing trowel
KR101077773B1 (ko) * 2008-12-11 2011-10-28 류재송 테라조 성형용 모르터 다짐 및 탈기장치
KR102094983B1 (ko) * 2019-11-28 2020-05-15 노딕기술 주식회사 가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하수박스 보수 보강시스템 및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072A (ko) 2022-03-29 2023-10-06 유정식 단차부 및 평탄부 겸용 견인식 균등 미장장치와 금속성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관로 보수보강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240B1 (ko)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미장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US7882856B2 (en) Separated sanitary and storm sewer system
WO2023082543A1 (zh) 一种岩溶隧道穿越高水位暗河施工方法及导水结构
KR102195260B1 (ko) 하수관 복합단면 현장시공을 위한 모르타르 투입 시공을 위한 피니셔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CN110685234B (zh) 一种波纹钢管涵的施工方法
KR102168450B1 (ko) 하수도 보조관 현장 타설 설치 공법
KR102218484B1 (ko)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18483B1 (ko) 하수관용 인버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95261B1 (ko)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현장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CN214006283U (zh) 一种用于雨水自流跨越屋面变形缝的排水结构
KR102191938B1 (ko) 하수관 복합단면 구조체 조립을 위한 상부 덮개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관 복합단면 시공방법
JP2019127683A (ja) 下水道トン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2227283A (ja) 管路内における水路構成工法及び水路構成部材
CN210194813U (zh) 一种市政雨水管道组装模块
CN209194326U (zh) 一种装配式多向变位桥梁伸缩装置
CN209636932U (zh) 加固地下排水方沟的预制管片结构
CN113700936A (zh) 一种用于地下排水管道铺设的施工方法
KR102191937B1 (ko) 하수관용 보조관 현장타설을 위한 미장기기
CN110486074A (zh) 一种长大隧道施工通风的布管设计方法和施工方法
KR20060109377A (ko) 현장제관 관로 설치공법
Respondek The problems of maintenance of drainage devices within municipal and district roads
JP2005090014A (ja) 水路の補修・補強工法および水路の構造
KR200462219Y1 (ko) 유속 변환구조를 갖는 매립용 흄관의 시공 구조물
KR102234355B1 (ko) 높, 낮이 가변형 루프 드레인 및 이의 하부바디 설치방법
CN218345845U (zh) 一种新型半装配式l型排水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