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684B1 -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684B1
KR102194684B1 KR1020190024207A KR20190024207A KR102194684B1 KR 102194684 B1 KR102194684 B1 KR 102194684B1 KR 1020190024207 A KR1020190024207 A KR 1020190024207A KR 20190024207 A KR20190024207 A KR 20190024207A KR 102194684 B1 KR102194684 B1 KR 102194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rance
anim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vidual identification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379A (ko
Inventor
심준원
Original Assignee
심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준원 filed Critical 심준원
Publication of KR2020004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을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대상 동물의 보험 청약을 위해 선택된 개체 식별 타입에 따른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동물 보험 청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동물에 대한 유전자 검사 결과를 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 및 상기 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동물의 보험 적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Animal Identification Method Combining Multiple Object Identification Technique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imal Insurance Servic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의 반려동물의 숫자는 조사기관마다 상의하지만 2017년 농림축산식품부 검역본부의 조사결과, 반려견은 662만 마리, 고양이는 약 232만 마리로 추정하고 있으며 소, 돼지, 말 등 산업동물은 1000만 마리, 실험동물은 약 300만 마리로 추정하고 있다.
전국 동물병원이 4,426개이며 관련수의사는 약 6,842명이다. 이중 소동물(반려동물) 병원수는 3,209개, 수의사는 5,165명이다. 또한 한해 매년 500명 이상의 수의과대학(6년제) 졸업생들이 사회에 진출하고 있어 기존 시장의 경쟁도 치열해지므로 동물의료시장의 확대와 보험도입의 필요성은 모두가 공감하고 있으나, 동물식별 문제로 보험사들은 상품출시 및 공격적인 영업활동을 꺼리고 있다.
(0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8-0094117호(2008.10.23)
본 발명은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1차 개체 식별을 통해 보험 청약이 가능하도록 하며, 청약 철회 기간 이내에 유전자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이를 검증하고 적부 여부를 통지하도록 할 수 있는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동물에 대한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분석하여 선택적 개체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대상 동물에 대한 유전자 검사 결과로 필수적 개체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수행 결과 및 상기 필수적 개체 식별 수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동물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식별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동물의 보험 청약을 위해 선택된 개체 식별 타입에 따른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동물 보험 청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동물에 대한 유전자 검사 결과를 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 및 상기 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동물의 보험 적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인식은, 상기 대상 동물의 비문, 홍채, 귀혈관 및 안면 인식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개체 식별 타입은 전자 태그, 비문, 홍채, 귀혈관, 안면,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이되,
상기 전자 태그, 비문, 홍채, 귀혈관, 안면, 및 음성에 따른 개체 식별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대상 동물에 대한 보험 사고 접수시, 개체 식별 타입에 따른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선택적 개체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보험 사고에 따른 보험금 지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험금 지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대상 동물에 대한 유전자 검사 결과를 이용한 필수적 개체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험금 지급 여부는 상기 필수적 개체 식별 수행 결과를 더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이를 이용한 보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 명령어들은, 대상 동물에 대한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분석하여 선택적 개체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 하고, 상기 대상 동물에 대한 유전자 검사 결과로 필수적 개체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수행 결과 및 상기 필수적 개체 식별 수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동물을 식별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 명령어들은, 대상 동물의 보험 청약을 위해 선택된 개체 식별 타입에 따른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동물 보험 청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동물에 대한 유전자 검사 결과를 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 및 상기 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동물의 보험 적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대상 동물에 대한 보험 사고 접수시, 개체 식별 타입에 따른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선택적 개체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보험 사고에 따른 보험금 지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1차 개체 식별을 통해 보험 청약이 가능하도록 하며, 낙부 통지 기간 이내에 유전자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검증하여 적부 여부를 통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신뢰도 있는 동물 식별이 가능함에 따라 동물 보험 가입에 따른 위험 요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물 보험 시장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에 기반한 동물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보험 가입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및 제1 서버(120) 및 제2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또는 보험 설계사가 소지한 장치로, 제1 서버(120) 및 제2 서버(130)와 각각 연동되어 동물 식별 서비스 및 보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장치이며,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서버(120)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서버(120)에 연동되어 대상 동물에 대한 개체 식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대상 동물에 대한 태그 정보,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서버(120)로 전송한 후 동물 식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서버(120)는 대상 동물에 대한 태그 정보,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등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버(120)는 대상 동물에 대한 유전자 검사 결과(예를 들어, DNA 검사 결과)를 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로서 등록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버(120)는 사용자가 대상 동물에 대한 보험 가입 또는 보험금 청구시 대상 동물 식별이 가능하도록 지원/관리할 수 있다.
태그 정보는 전자 태그(예를 들어, NFC/RFID 태그)에 저장된 등록정보로, 동물등록번호, 소유주 이름, 연락처, 주소, 동물명, 품종, 성별, 모색, 생년월일, 중성화 정보, 관할 기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버(120)는 대상 동물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동물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동물 영상 정보는 대상 동물에 대한 비문, 홍채, 귀혈관 및 안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비문, 홍채 귀혈관 및 안면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한 동물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대상 동물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식별 정보로 등록/활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서버(120)는 대상 동물의 음성 정보를 더 수신한 후, 음성 분석을 통해 음성 특징 정보를 추출한 후 식별 정보로 등록/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타입에 따라 대상 동물의 태그, 영상 및 음성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이를 기반으로 개체 식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타입은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태그, 비문, 홍채, 귀혈관, 안면 및 음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현 방법에 따라 타입은 복수개 선택될 수도 있다.
제1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과 연동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타입이 영상인 경우, 선택된 타입에 적합한 영상을 사용자가 촬영할 수 있도록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된 타입이 비문, 홍채, 귀혈관, 안면 등인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제1 서버(120)와 연동되어 상하좌우, 근접, 원접과 같이 복수의 영상을 촬영하여 제1 서버(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대상 동물에 상응하는 개체 식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서버(120)가 제2 서버(130)과 분리된 별도의 장치로 도시되어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제1 서버(120)는 제2 서버(130)의 일 구성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서버(120)는 선택적 개체 식별 및 필수적 개체 식별에 기초한 동물 식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플랫폼일 수도 있다.
제2 서버(130)는 보험사 서버로,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대상 동물에 대한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제2 서버(130)는 제1 서버(120)와 연동되어 대상 동물에 대한 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대상 동물에 대한 보험 가입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제1 서버(120)에서 제공되는 동물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보험 적부 여부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대상 동물에 대한 보험금 지급이 요청되는 경우, 제1 서버(120)에 의해 확인된 대상 동물의 개체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보험금 지금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에 기반한 동물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서버(120)는 선택적 개체 식별 및 필수적 개체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개체 식별은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은 각각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태그 인식은 NFC 또는 RFID 태그/칩 인식에 따른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개체 식별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태그 인식에 기반한 개체 식별 서비스는 정확도가 높은 편이나, 모든 동물에 NFC 또는 RFID 칩이 부착되어 있지는 않으므로,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과 같은 추가적인 인식을 통해 동물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획득하여 선택적 개체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에 기반한 개체 식별은 동물의 비문, 홍채, 귀혈관 및 안면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개체 식별 정보로 활용하는 것으로, 촬영 각도에 따라 영상 특성이 달라지며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인식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과 연동되어 영상 인식을 위한 가이드 라인을 별도로 제공하며, 해당 가이드 라인에 따라 동물 영상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또한 동물의 음성 분석을 통해 음성 특징을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개체 식별에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선택적 개체 식별은 간편하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으며, 100% 정확한 개체 식별이 가능하지는 않으므로, 동물 보험 청약시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청약이 가능하도록 한 후 일정 기간 이내(예를 들어, 30일)에 유전자 검사 결과에 따른 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검증함으로써 보험 적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보험 가입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3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대상 동물 보험 청약(신청)을 위해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대상 동물 보험 청약(신청)을 위해 개체 식별 타입을 선택하여 제1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해 개체 식별 타입이 선택되면, 제1 서버(120)에 의해 선택된 개체 식별 타입에 따른 정보 획득을 위해 필요한 기능이 실행된다.
사용자 단말(110)은 실행된 기능에 의해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는 태그 정보,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즉, 선택된 개체 식별 타입이 태그 인식이면, 사용자 단말(110)은 동물에 부착된 전자 태그를 판독하여 태그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여기서, 태그 정보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동물등록번호, 소유주 이름, 연락처, 주소, 동물명, 품종, 성별, 모색, 생년월일, 중성화 정보, 관할 기관 중 적어도 하나가 등록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다.
영상 정보는 비문, 홍채, 귀혈관, 안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가이드라인에 따라 대상 동물에 대한 비문, 홍채, 귀혈관, 안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복수회 촬영하여 동물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비문, 홍채, 귀혈관, 안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동물 영상을 촬영시, 상하좌우, 근접, 원접 등 일정한 각도와 거리를 조절하여 동물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구현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이 보험 설계사가 소지한 단말이거나, 보험 청약을 위해 동물 병원 등에서 별도로 신체 검사가 수행되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카메라와 연동되어 동시에 상하좌우 방향에 따른 동물 안면을 촬영하여 동물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음성 정보는 일정 시간 동안의 동물 음성을 녹음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단계 315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획득된 정보를 포함하여 1차 개체 식별 요청을 제1 서버(120)로 전송한다.
단계 320에서 제1 서버(120)는 1차 개체 식별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태그 정보인 경우 태그 정보에 포함된 동물등록번호, 소유주 이름, 연락처, 주소, 동물명, 품종, 성별, 모색, 생년월일, 중성화 정보, 관할 기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로서 등록한다.
그러나 만일 포함된 정보가 동물 비문 영상인 경우, 제1 서버(120)는 복수의 동물 비문 영상을 분석하여 비문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어, 제1 서버(120)는 대상 동물에 대한 비문 특징 정보를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서버(120)는 포함된 정보가 동물 홍채 영상이라고 가정하면, 동물 홍채 영상을 분석하여 홍채 특징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서버(120)는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상 동물에 대한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서버(120)는 대상 동물에 대한 신체 검사나 건강 검진 결과를 더 이용하여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고, 다른 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 받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계 325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청약 설계 요청을 제2 서버(130)로 전송한다.
청약 설계 요청에 따라 제2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연동되어 동물 보험에 대한 청약을 설계할 수 있다. 청약 설계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제2 서버(130)와 연동되어 대상 동물의 소유주 개인 정보를 입력하며, 보험 담보를 설정하고, 다른 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받을 수도 있다. 일반적인 보험 청약 설계 과정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청약 설계 이후, 단계 330에서 제2 서버(130)는 보험 계약을 심사한다. 이때, 제2 서버(130)는 제1 서버(120)로부터 유전자 검사 결과를 포함하는 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335에서 제2 서버(130)는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 및 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보험 적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340에서 제2 서버(130)는 결정된 적부 통지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대상 동물에 대한 보험 청약시,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보험 청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보험 청약 이후 일정 기간 이내에 상대적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는 유전자 검사 결과(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를 제공받은 후 보험 적부를 최종 통지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개체 식별 및 필수적 개체 식별 기술을 이용하여 동물을 정확하게 식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대상 동물에 대한 전자 태그, 비문, 홍채, 귀혈관, 안면, 음성 및 유전자 검사 결과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두가지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이로부터 대상 동물을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문과 귀혈관(2가지), 비문과 안면(2가지), 또는 홍채와 음성과 유전자 검사 결과(3가지) 등과 같이 2가지 이상의 정보를 획득하여 이들 정보를 통해 대상 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제1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대상 동물 보험 사고에 따른 선택적 개체 식별 서비스를 요청받는다.
여기서, 개체 식별 서비스 요청은 개체 식별 타입에 따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개체 식별 타입은,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영상 인식은 비문, 홍채, 귀혈관, 안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계 415에서 제1 서버(120)는 개체 식별 타입에 따른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적 개체 식별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서버(13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단계 420에서 제2 서버(130)는 선택적 개체 식별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보험금 지급 여부를 결정한다.
물론, 제2 서버(130)는 제1 서버(120)로 선별적으로 필수적 개체 식별 수행 결과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 서버(130)는 필수적 개체 식별 수행 결과를 더 이용하여 보험금 지급 여부를 최종 결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서버(120) 또는 제2 서버(130)는 통신부(510), 메모리(515) 및 프로세서(52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510)는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메모리(515)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520)는 제1 서버(120) 또는 제2 서버(130)의 내부 구성을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520)는 메모리(515)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들은 도 2 내지 도 4에 의해 설명된 각각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이미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20: 제1 서버
130: 제2 서버

Claims (11)

  1. 삭제
  2. 대상 동물의 보험 청약을 위해 선택된 개체 식별 타입에 따른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동물 보험 청약 설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보험 청약 설계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보험 청약을 심사하는 단계;
    상기 보험 청약의 철회 기간 이내에 상기 대상 동물에 대한 유전자 검사 결과를 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 및 상기 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동물의 보험 적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동물에 대한 보험 사고 접수시,
    상기 개체 식별 타입에 따른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보험 사고에 따른 보험금 지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험금 지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대상 동물에 대한 유전자 검사 결과를 이용한 상기 필수적 개체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험금 지급 여부는 상기 필수적 개체 식별 수행 결과를 더 이용하는,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은,
    상기 대상 동물의 비문, 홍채, 귀혈관 및 안면 인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 식별 타입은 전자 태그, 비문, 홍채, 귀혈관, 안면,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태그, 비문, 홍채, 귀혈관, 안면 및 음성에 따른 개체 식별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 명령어들은,
    대상 동물의 보험 청약을 위해 선택된 개체 식별 타입에 따른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동물 보험 청약 설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보험 청약 설계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보험 청약을 심사하는 단계;
    상기 보험 청약의 철회 기간 이내에 상기 대상 동물에 대한 유전자 검사 결과를 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정보 및 상기 필수적 개체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동물의 보험 적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대상 동물에 대한 보험 사고 접수시,
    상기 개체 식별 타입에 따른 태그 인식,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적 개체 식별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보험 사고에 따른 보험금 지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험금 지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대상 동물에 대한 유전자 검사 결과를 이용한 상기 필수적 개체 식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험금 지급 여부는 상기 필수적 개체 식별 수행 결과를 더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24207A 2018-10-15 2019-02-28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194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22849 2018-10-15
KR1020180122849 2018-10-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271A Division KR20200143334A (ko) 2020-12-16 2020-12-16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379A KR20200042379A (ko) 2020-04-23
KR102194684B1 true KR102194684B1 (ko) 2020-12-23

Family

ID=7047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207A KR102194684B1 (ko) 2018-10-15 2019-02-28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6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886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마이퍼피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방법
KR20230046883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마이퍼피 펫샵을 통한 반려동물 정보 수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수집 방법
KR20230046888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마이퍼피 펫샵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펫샵보험 서비스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553A (ko) * 2020-04-27 2021-11-04 김병양 보험금 청구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2132026A (zh) * 2020-09-22 2020-12-25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动物识别方法及装置
KR102325259B1 (ko) * 2021-05-11 2021-11-11 (주) 아지랑랑이랑 반려동물 생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5250B1 (ko) * 2021-05-11 2021-11-11 (주) 아지랑랑이랑 반려동물 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469717B (zh) * 2021-07-26 2024-03-19 北京电信规划设计院有限公司 基于区块链和虹膜识别的动物身份谱系溯源系统及方法
IL287303A (en) * 2021-10-15 2023-05-01 Scr Eng Ltd A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the identity of anima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918A (ja) * 2000-10-26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ペット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903377B1 (ko) * 2017-09-26 2018-10-02 (주)인투씨엔에스 동물보험 관련 동물개체 정보의 통합 관리와 개체인식수단을 이용한 진료 개체 특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606B1 (ko) * 2001-02-13 2004-01-07 박현종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KR20080094117A (ko) 2007-04-06 2008-10-23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918A (ja) * 2000-10-26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ペット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903377B1 (ko) * 2017-09-26 2018-10-02 (주)인투씨엔에스 동물보험 관련 동물개체 정보의 통합 관리와 개체인식수단을 이용한 진료 개체 특정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886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마이퍼피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방법
KR20230046883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마이퍼피 펫샵을 통한 반려동물 정보 수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수집 방법
KR20230046888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마이퍼피 펫샵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펫샵보험 서비스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379A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684B1 (ko)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6081607A (en) Animal body identifying device and body identifying system
KR101903377B1 (ko) 동물보험 관련 동물개체 정보의 통합 관리와 개체인식수단을 이용한 진료 개체 특정 시스템
WO2020038245A1 (zh) 病理显微镜、显示模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TWI353563B (en) Tagging and path re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u
Guzhva et al. Now you see m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ed tracker for dairy cows
Luby-Phelps et al. Visualization of identified GFP-expressing cells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US20070127781A1 (en) Animal eye biometrics
JP2014504759A (ja) 入力された画像中に含まれるオブジェクトの収集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方法、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JP2001161199A (ja) 動物の映像管理方法および映像記録方法
US20230186659A1 (en) Machine learning models for cell localization and classification learned using repel coding
JP6885385B2 (ja) 販売促進装置、販売促進システム、店舗システム、システム、販売促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86650A (ja) 乗客探知システム
CN113677409A (zh) 寻宝游戏引导技术
Ahmad et al. A survey on animal identification techniques past and present
Jenvey et al. Autofluorescence and nonspecific immunofluorescent labeling in frozen bovine intestinal tissue sections: solutions for multicolor immunofluorescence experiments
KR20200143334A (ko)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07449907B (zh) 一种加密的侧向流层析检测卡及检测方法
Eckhard et al. Mechanical compression of coverslipped tissue sections during heat-induced antigen retrieval prevents section detachment and preserves tissue morphology
KR102341749B1 (ko) 반려동물 비문을 이용한 등록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88996B1 (ko) 동물 의료 정보 관리 방법
CN113132632B (zh) 一种针对宠物的辅助拍摄方法和装置
US20230237862A1 (en) Passage permit device,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JP7362234B2 (ja) 支援システム
WO2017164272A1 (ja) 動線判定装置、動線判定システム、動線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