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606B1 -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606B1
KR100414606B1 KR10-2001-0007116A KR20010007116A KR100414606B1 KR 100414606 B1 KR100414606 B1 KR 100414606B1 KR 20010007116 A KR20010007116 A KR 20010007116A KR 100414606 B1 KR100414606 B1 KR 100414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data
information
inscription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771A (ko
Inventor
박현종
Original Assignee
박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종 filed Critical 박현종
Priority to KR10-2001-000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606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 컴퓨터에서 복수의 동물병원 측과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 서비스에 관련된 제휴관계를 설정한 후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설치하고, 복수의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애견 신분증 발급을 위한 특정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애견 신분증을 발급하여 해당 개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개의 비문 데이터 또는 애견 신분증 번호에 따라 해당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동물병원 컴퓨터로 출력하며,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애견 등록된 개에 관한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접종 정보의 변경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유권 등의 각종 분쟁 처리, 매매, 보험 및 여권 등 선진국 수준의 다양한 혜택을 애견가들에게 제공하고, 애견 신분증에 기록된 접종 현황을 바로 파악하여 광견병 등의 관련 정책에도 많은 기여를 하며, 사치용 용품으로 치장된 애견보다 예방접종 기록과 정확한 신분이 표기된 애견 신분증을 소지한 애견을 더욱 가치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System for network-based identification of the dog using a nose pattern}
본 발명은 개(犬)의 비문(鼻紋)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의 비문, 신상 정보 및 접종내역이 기록된 애견 신분증을 발급함과 동시에 해당 내용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해당 개의 신원 확인이나 병력(病歷) 조회시 애견 신분증 또는 패턴인식을 통한 해당 개의 비문 비교를 통해 손쉽게 개의 신원이나 병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많은 가정에서는 생활의 윤택과 더불어 정서 함양이나 취미 생활을 위하여 개, 고양이 등의 애완 동물을 기르고 있다.
이러한 애완 동물 중에서는 예로부터 사람과 가장 친하다는 개가 가장 많이 길러지고 있는데, 현재 국내의 경우 기르고 있는 개의 신분을 증명하기 위해 애견관련 단체 등에서 발급하는 혈통서를 이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소수의 애견에서 통용되는 혈통서는 전체 애견의 1/20 수준도 되지 않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현재 국내 전체 애견에 대한 정확한 근거자료가 전혀 없기 때문에 애견사료 판매량 등의 자료로 추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혈통서마저도 애견 판매시 고가를 받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하여 신뢰성에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며, 외국의 경우에도 애견협회가 하나로 통합되어 있어 혈통서에 대한 신뢰도는 높지만 역시 신분증 역할을 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영국의 경우에는 애견여권, 대만의 경우에는 마이크로칩 이식 등을 추진중에 있으나, 애견 인구가 늘어나면서 애견을 둘러싼 소유권 분쟁이나 개를 찾는 광고도 많아지고 있으며, 이 부분에 대해서도 명쾌하게 애견의 주인을 가리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한국 등의 광견병 발생국가는 광견병에 대한 접종증명이 해외 여행시에 가장 중요한 검역조건이나 아직도 예방접종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하여 해외 여행시 애견 검역 문제로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도 많다.
실례로 영국의 애견이 국내로 반입될 때에는 자유롭지만 국내의 개가 영국으로 갈 경우 검역 체류기간이 6개월 가량 소요되어 현실적으로 동반여행은 거의 불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 애견문화의 편협적인 발전 및 국제적인 후진성은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별다른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순종, 잡종에 상관없이 일반 가정에서 기르고 있는 모든 개의 등록을 수행함과 동시에 개의 비문, 신상 정보, 접종내역 등이 기록된 애견 신분증을 해당 사용자에게 발급하고, 해당 내용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개의 신원 확인이나 병력 조회가 있을 경우 사용자가 보유한 애견 신분증이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각 개의 비문 비교를 통해 손쉽게 해당 개의 신원이나 병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서버 컴퓨터에서 발급하는 애견 신분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각 서브루틴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도 6의 패턴인식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네트워크 통신망
200 : 동물병원 컴퓨터
300 : 서버 컴퓨터
400 : 사용자 컴퓨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은, 불특정 다수의 통신 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과; 애견 신분증 발급을 요청하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결정한 소정의 양식 데이터에 따라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데이터와 함께 수의사가 작성한 확인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여 애견 신분증 발급을 요청하고, 개의 신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채취한 비문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또는 애견 신분증 번호를 외부로 출력한 후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원확인 데이터를 통해 개의 신원을 확인하며, 애견 등록된 특정 개의 변경된 병력 정보 및 접종 정보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동물병원 컴퓨터와;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애견 신분증 발급 요청에 필요한 특정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해당 개의 애견 신분증을 만들어 소유자에게 발송하고,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개의 신분 확인 요청을 위한 비문 데이터가 입력되면 패턴인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개의 비문 데이터를 비교한 후 일치되는 비문 데이터를 가진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당 동물병원 컴퓨터로 출력하고,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개의 신분 확인 요청을 위한 애견 신분증 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당 동물병원 컴퓨터로 출력하며,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애견 등록된 개의 변경된 병력 정보 및 접종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저장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방법은, (1) 서버 컴퓨터에서 복수의 동물병원 측과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 서비스에 관련된 제휴관계를 설정하고,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설치하여 서비스를 시작하는 과정과; (2) 복수의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애견 신분증 발급을 위한 특정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애견 신분증을 발급하여 해당 개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3) 서버 컴퓨터에서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개의 비문 데이터 또는 애견 신분증 번호에 따라 해당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동물병원 컴퓨터로 출력하는 과정과; (4) 서버 컴퓨터에서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애견 등록된 개에 관한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접종 정보의 변경 데이터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통신망(100)은 유/무선 인터넷 등의 통신망으로서, 후술되는 복수의 동물병원 컴퓨터(200)와 서버 컴퓨터(300), 복수의 사용자 컴퓨터(400) 사이의 통신 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애견 신분증 발급, 신원확인 및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복수의 동물병원 컴퓨터(200)는 애견 신분증 발급을 요청하는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300)에서 결정하여 각 동물병원에 제공한 소정의 양식 데이터에 따라 개의 신상 정보(이름, 품종, 나이, 성별, 순/잡종 여부),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접종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데이터와 함께 수의사가 작성한 확인 데이터 및 해당 개의 비문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출력하여 애견 신분증 발급을 요청한다.
그리고, 애견 등록여부 확인 및 특정 개의 신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의사가 채취한 비문 데이터를 서버 컴퓨터(300)로 출력하거나 또는 애견 신분증 번호를 서버 컴퓨터(300)로 출력하고,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제공되는 신원확인 데이터를 통해 특정 개의 신원을 확인하며, 애견 등록된 특정 개의 변경된 병력 정보 및 접종 정보 데이터를 서버 컴퓨터(300)로 출력하여 해당 데이터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술한 동물병원 컴퓨터(200)에는, 애견 신분증 발급 대상이 되는 개의 비문을 채취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생체인식기기인 스캐닝 장비가 구비되어 있다.
서버 컴퓨터(300)는 복수의 동물병원 측과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 서비스에 관련된 제휴관계를 설정한 후,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설치하며,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애견 신분증 발급 요청에 필요한 특정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해당 개의 애견 신분증을 발급하여 개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발송한다.
그리고,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개의 신분 확인 요청을 위한 비문 데이터가 입력되면 패턴인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개의 비문 데이터를 비교한 후 일치되는 비문 데이터를 가진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당 동물병원 컴퓨터(200)로 출력하고,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개의 신분 확인 요청을 위한 애견 신분증 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당 동물병원 컴퓨터(200)로 출력하며,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애견 등록된 개의 변경된 병력 정보 및 접종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서버 컴퓨터(3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애견 신분증 발급과 신원확인 데이터의 관리 이외에, 애견 신분증을 발급받은 사용자가 잃어버린 개를 찾기 위해 해당 개의 애견 신분증 번호, 분실 시간이나 지역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등록하면, 해당 개의 비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잃어버린 개의 비문 데이터를 복수의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되는 각개의 비문 데이터와 패턴인식을 통해 비교하여 해당 개를 찾아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 컴퓨터(400)는 애견 신분증을 발급받은 사용자가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통신 접속을 진행한 후 해당 개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하는 애견 신분증 번호를 서버 컴퓨터(300)로 출력하며,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애견 신분증 번호에 따라 서버 컴퓨터(300)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로 된 신원확인 데이터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서버 컴퓨터(300)에서는 애견 신분증 발급과 개의 신원확인을 수행할 때 개의 비문 데이터를 주요한 수단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각 개의 비문 형태가 사람의 지문과 같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즉, 개를 해부학적으로 살펴보면, 주둥이의 피부는 아래쪽 턱으로 내려와 입술이 되며, 앞쪽 끝에는 털이 나지 않은 비 평면(nasal plane)이다. 이때, 개의 코끝이 검은 것은 이 비 평면에 털이 없고 멜라닌 색소가 많이 침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비 평면은 인중(philtrum)에 의해 좌우 한쌍을 이루며, 상피 세포가 융기되어 있고 돌기 모양을 하고 있는데, 모든 개체마다 특별하고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개의 비문을 사람의 지문에서 처럼 개체를 인식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서버 컴퓨터(300)에서 발급하는 애견 신분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애견 등록 후 발급되는 애견 신분증의 앞면에는 애견 정보(사진, 이름, 나이, 품종, 성별 등), 보호자 정보(보호자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 확인 수의사의 면허번호, 그리고 애견 신분증 번호가 기록된다.
그리고, 애견 신분증의 뒷면에는 사람의 지문과 같은 역할을 하는 비문 데이터가 명시되어 애견에게 주민등록증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며, 이와 함께 접종 표시란이 있어 접종 현황을 사용자 또는 수의사들이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애견 신분증은 개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소정의 발급 비용을 지불한 후 서버 컴퓨터(300)와 제휴되어 있는 전국 각지에 소재한 동물병원에서 접수할 수 있으며, 애견 등록 접수시 해당 사용자가 제시하는 주소지에서 애견 신분증을 발송받을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서버 컴퓨터(300)에서는 복수의 동물병원 측과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 서비스에 관련된 제휴관계를 설정하고,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설치하여 서비스를 시작한다(S10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버 컴퓨터(300)에서는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 서비스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구축하고, 복수의 동물병원 측에 애견신분증 발급 및 관리 서비스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여 제휴관계 설정을 요청한다(S110).
이후, 서버 컴퓨터(300)는 제휴관계 설정을 요청하는 복수의 동물병원 측과 제휴관계를 설정하고, 해당 동물병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S120).
그리고, 제휴관계를 설정한 동물 병원 측에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설치하고(S130), 서비스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설치한 이후,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 서비스를 시작한다(S140).
이처럼 상술한 과정(S100)을 통해 복수의 동물병원 측과 제휴관계를 설정하고 서비스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설치한 이후, 서버 컴퓨터(300)는 복수의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애견 신분증 발급을 위한 특정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애견 신분증을 발급하여 해당 개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20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애견 신분증을 발급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특정 동물병원에서 제공하는 신청서에 따라 애견 신분증 발급에 필요한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접종 정보를 작성한다(S210).
해당 사용자가 신청서에 따라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접종 정보를 입력하면, 동물병원 측에서는 생체인식기기를 사용하여 해당 개의 비문 데이터를 채취하고(S220), 사용자가 작성한 데이터와 비문 데이터를 수의사가 최종 확인한 후 동물병원 컴퓨터(200)에 해당 데이터를 입력한다(S230).
이후, 동물병원 컴퓨터(200) 측에서는 특정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와 함께 애견 신분증 발급 요청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출력한다(S240).
그러면, 서버 컴퓨터(300)에서는 해당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애견 신분증 발급에 충분한지를 판단한다(S250). 즉, 애견 신분증 발급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가 특정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판단 결과,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된 모든 데이터가 애견 신분증 발급에 충분한 경우, 서버 컴퓨터(300)는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된 특정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60).
그리고, 특정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가 기록된 애견 신분증을 만들어 해당 개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발송한다(S270).
그러나, 상술한 단계(S250)의 판단 결과 애견 신분증 발급에 부족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 서버 컴퓨터(300)는 발급 불가에 대한 메시지와 해당 데이터의 추가 입력 요청 데이터를 동물병원 컴퓨터(200)로 출력한다(S280).
이제, 상술한 과정(S200)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애견 신분증을 발급한 이후, 서버 컴퓨터(300)는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개의 비문 데이터 또는 애견 신분증 번호에 따라 해당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당 동물병원 컴퓨터(200)로 출력한다(S30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버 컴퓨터(300)는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통신 접속을 진행한 특정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특정 개의 신원확인 요청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310).
그리고,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특정 개의 신원확인 요청 데이터가 입력되면, 동물병원 컴퓨터(200)에서 입력된 특정 개의 신원확인 요청 데이터가 애견 신분증 번호인지 아니면 비문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S320).
판단 결과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특정 개의 애견 신분증 번호가 입력되면, 서버 컴퓨터(300)는 해당 애견 신분증 번호에 해당하는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해당 동물병원 컴퓨터(200)로 출력한다(S330).
그러나, 상술한 단계(S320)의 판단 결과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특정 개의 비문 데이터가 입력되면, 서버 컴퓨터(300)에서는 패턴인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개의 비문 데이터와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된 해당 비문 데이터를 비교한 후 일치되는 비문 데이터가 있는지를 확인한다(S340).
그리고,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된 비문 데이터와 일치되는 비문 데이터를 가진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해당 동물병원 컴퓨터(200)로 출력한다(S350).
이때, 상술한 단계(S340)의 패턴인식 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서버 컴퓨터(300)에서는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된 특정 개의 비문 데이터를 N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S341), N개로 분할된 각 블록마다 소정의 번호를 부여하여 부영역을 형성한다(S342).
그리고, 상술한 단계(S342)에서 형성된 N개의 부영역마다 규정된 기준에 따른 특징점을 계산한 후(S343), N개의 부영역별 특징점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각 개의 비문 데이터의 대응하는 부영역별 특징점을 비교하여 일치도를 점검한다(S344).
이후, 서버 컴퓨터(300)는 특정 비문 데이터의 N개의 부영역별 특징점에 따른 일치도 점검이 종료되는지를 판단하고(S345), 일치도 점검이 종료되면 특정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된 비문 데이터와 일치되는 비문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346).
판단 결과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된 비문 데이터와 일치되는 비문 데이터가 있으면 상술한 단계(S350)를 수행하고(S347), 일치되는 비문 데이터가 없으면 동물병원 컴퓨터(200)로 특정 개의 신원확인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고 패턴인식을 종료한다(S348).
한편, 상술한 과정(S300)에서와 같이 애견 신분증을 소지한 사용자가 동물병원을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해당 사용자가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300)로 직접 통신 접속을 수행한 후 자신이 보유한 애견 신분증 번호를 입력하면, 서버 컴퓨터(300)에서는 사용자가 요청한 애견 신분증 번호에 따라 해당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사용자 컴퓨터(400)로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과정(S300)을 통해 동물병원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개의 비문 데이터 또는 애견 신분증 번호에 따라 해당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출력하는 서비스를 제공한 이후, 서버 컴퓨터(300)는 동물병원 컴퓨터(200) 또는 사용자 컴퓨터(400)로부터 입력되는 애견 등록된 개에 관한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접종 정보의 변경 데이터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저장한다(S40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버 컴퓨터(300)는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을 진행한 특정 동물병원 컴퓨터(200) 또는 사용자 컴퓨터(400)로부터 애견으로 등록된 특정 개에 관한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접종 정보의 변경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410).
판단 결과, 애견으로 등록된 특정 개의 변경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서버 컴퓨터(300)는 해당 개의 신원정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S420),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해당 개의 신원정보 데이터와 특정 동물병원 컴퓨터(200) 또는 사용자 컴퓨터(400)로부터 입력된 변경 데이터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누적하여 저장한다(S430).
즉, 애견으로 등록된 개의 병력 정보나 접종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제휴관계가 설정된 동물병원 컴퓨터(200)를 통해 해당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며, 마찬가지로 개의 신상 정보나 보호자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로부터 변경된 데이터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함으로써, 애견으로 등록된 개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에 따르면, 신상, 병력, 접종 정보를 포함한 각종 애견 정보, 보호자 주민번호, 확인 수의사의 면허번호, 그리고 사람의 지문과 같은 역할을 하는 비문이 기록된 애견 신분증을 이용하여 혈통서를 지닌 개 뿐만 아니라 그동안 혈통이 없어 관련협회 등에 등록하지 못했던 대다수의 개들에 대한 신분 등록을 수행함으로써, 소유권 등의 각종 분쟁 처리, 매매, 보험 및 여권 등 선진국 수준의 다양한 혜택을 애견가들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견 신분증에 기록된 접종 현황을 통해 개의 현재 상태를 바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광견병 등의 관련 정책에도 많은 기여를 하며, 앞으로 사치용 용품으로 치장된 애견보다 예방접종 기록과 정확한 신분이 표기된 애견 신분증을 소지한 애견을 더욱 가치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불특정 다수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
    애견 신분증 발급을 요청하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결정한 소정의 양식 데이터에 따라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데이터와 함께 수의사가 작성한 확인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여 애견 신분증 발급을 요청하고, 개의 신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채취한 비문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또는 애견 신분증 번호를 외부로 출력한 후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원확인 데이터를 통해 개의 신원을 확인하며, 애견 등록된 특정 개의 변경된 병력 정보 및 접종 정보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동물병원 컴퓨터; 및
    상기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애견 신분증 발급 요청에 필요한 특정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해당 개의 애견 신분증을 만들어 소유자에게 발송하고, 상기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개의 신분 확인 요청을 위한 비문 데이터가 입력되면 패턴인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개의 비문 데이터를 비교한 후 일치되는 비문 데이터를 가진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당 동물병원 컴퓨터로 출력하고, 상기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개의 신분 확인 요청을 위한 애견 신분증 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개의 신원확인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당 동물병원 컴퓨터로 출력하며, 상기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애견 등록된 개의 변경된 병력 정보 및 접종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저장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애견 신분증을 발급받은 사용자가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통신 접속을 진행한 후 해당 개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하는 애견 신분증 번호를 서버 컴퓨터로 출력하며,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애견 신분증 번호에 따라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현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로 된 신원확인 데이터를 입력받는 복수의 사용자 컴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병원 컴퓨터에는,
    애견 신분증 발급 대상이 되는 개의 비문을 채취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생체인식기기가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애견 신분증을 발급받은 사용자가 잃어버린 개를 찾기 위해 서버 컴퓨터에 등록을 수행하면, 해당 개의 비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잃어버린 개의 비문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각 개의 비문 데이터와 패턴인식을 통해 비교하여 해당 개를 찾아주는 서비스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5. (1) 서버 컴퓨터에서 복수의 동물병원 측과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 서비스에 관련된 제휴관계를 설정하고,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설치하여 서비스를 시작하는 과정;
    (2) 복수의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애견 신분증 발급을 위한 특정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애견 신분증을 발급하여 해당 개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
    (3) 서버 컴퓨터에서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개의 비문 데이터 또는 애견 신분증 번호에 따라 해당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동물병원 컴퓨터로 출력하는 과정; 및
    (4) 서버 컴퓨터에서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애견 등록된 개에 관한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접종 정보의 변경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1)은,
    (1-1) 서버 컴퓨터에서 복수의 동물병원 측에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휴관계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
    (1-2) 제휴관계 설정을 요청하는 동물병원 측과 제휴관계를 설정하고, 해당 동물병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1-3) 제휴관계를 설정한 동물 병원 측에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설치하는 단계; 및
    (1-4) 복수의 동물 병원측에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설치한 이후, 애견 신분증 발급 및 관리 서비스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2)은,
    (2-1) 애견 신분증을 발급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특정 동물병원에서 제공하는 신청서에 따라 애견 신분증 발급에 필요한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접종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
    (2-2) 해당 사용자가 신청서에 따라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접종 정보를 입력하면, 생체인식기기를 사용하여 해당 개의 비문 데이터를 채취하는 단계;
    (2-3) 해당 사용자가 작성한 데이터와 비문 데이터를 수의사가 최종 확인한 후 동물병원 컴퓨터에 해당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2-4) 동물병원 컴퓨터에서 특정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와 함께 애견 신분증 발급 요청 데이터를 서버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
    (2-5) 서버 컴퓨터에서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애견 신분증 발급에 충분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2-6)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특정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2-7) 특정 개의 신상 정보, 보호자 정보, 비문 데이터, 병력 정보, 접종 정보 및 수의사 확인 데이터가 기록된 애견 신분증을 만들어 해당 개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발송하는 단계; 및
    (2-8) 상기 단계(2-5)의 판단 결과 애견 신분증 발급에 부족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 발급 불가에 대한 메시지와 해당 데이터의 추가 입력 요청 데이터를 동물병원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은,
    (3-1)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통신 접속을 진행한 특정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특정 개의 신원확인 요청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3-2) 동물병원 컴퓨터에서 입력되는 특정 개의 신원확인 요청 데이터가 애견 신분증 번호인지 아니면 비문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3-3)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특정 개의 애견 신분증 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애견 신분증 번호에 해당하는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동물병원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
    (3-4) 상기 단계(3-2)의 판단 결과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특정 개의 비문 데이터가 입력되면, 패턴인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개의 비문 데이터와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해당 비문 데이터를 비교한 후 일치되는 비문 데이터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3-5)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비문 데이터와 일치되는 비문 데이터를 가진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동물병원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3-4)는,
    (3-4-1)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특정 개의 비문 데이터를 N개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
    (3-4-2) N개로 분할된 각 블록마다 소정의 번호를 부여하여 부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3-4-3) 상기 단계(3-4-2)에서 형성된 N개의 부영역마다 규정된 기준에 따른 특징점을 계산하는 단계;
    (3-4-4) 상기 단계(3-4-3)에서 계산된 N개의 부영역별 특징점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각 개의 비문 데이터의 대응하는 부영역별 특징점을 비교하여 일치도를 점검하는 단계;
    (3-4-5) 특정 비문 데이터의 N개의 부영역별 특징점에 따른 일치도 점검이 종료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3-4-6) 일치도 점검이 종료되면,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비문 데이터와 일치되는 비문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3-4-7) 판단 결과 동물병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비문 데이터와 일치되는 비문 데이터가 있으면 상기 단계(3-5)를 수행하고, 일치되는 비문 데이터가 없으면 동물병원 컴퓨터로 특정 개의 신원확인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고 패턴인식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4)은,
    (4-1)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통신 접속을 진행한 특정 동물병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애견으로 등록된 특정 개에 관한 신상정보, 보호자 정보, 병력 정보, 접종 정보의 변경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2) 애견으로 등록된 특정 개의 변경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서버 컴퓨터에서 해당 개의 신원정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4-3)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해당 개의 신원정보 데이터와 특정 동물병원 컴퓨터 또는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변경 데이터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에서,
    애견 신분증을 소지한 사용자가 동물병원을 통하지 않고 상기 서버 컴퓨터로 직접 통신 접속을 수행한 후 자신이 보유한 애견 신분증 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애견 신분증 번호에 해당하는 개의 신원확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해당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방법.
KR10-2001-0007116A 2001-02-13 2001-02-13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KR10041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116A KR100414606B1 (ko) 2001-02-13 2001-02-13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116A KR100414606B1 (ko) 2001-02-13 2001-02-13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771A KR20020066771A (ko) 2002-08-21
KR100414606B1 true KR100414606B1 (ko) 2004-01-07

Family

ID=2769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116A KR100414606B1 (ko) 2001-02-13 2001-02-13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6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8880B2 (en) 2013-05-22 2019-04-23 Iscilab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imal's identity by using animal nose prints
KR20230064372A (ko)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파이리코 반려 동물 건강 인증을 위한 생체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922B1 (ko) * 2002-07-15 2005-04-29 김윤옥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 및 비문인식방법
WO2019074160A1 (ko) * 2017-10-13 2019-04-18 주식회사 후스독 반려동물의 비문을 이용한 신원 등록 및 신원 확인 방법
KR101982686B1 (ko) * 2017-10-13 2019-05-27 주식회사 테오아 반려동물의 비문을 이용한 신원등록 및 확인방법
KR102117860B1 (ko) * 2018-10-11 2020-06-02 주식회사 핏펫 동물의 안면 및 비문 이미지에 기초하여 동물의 개체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단말기
KR102194684B1 (ko) * 2018-10-15 2020-12-23 심준원 복수의 개체 식별 기술을 조합한 동물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동물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042A (ja) * 1998-09-25 2000-04-04 Fujihira Kogyo Kk 牛の個体識別方法
KR20000047650A (ko) * 1998-12-16 2000-07-25 포만 제프리 엘 사용자 요청을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와 프로그램 제품 코드
KR20010008205A (ko) * 2000-11-15 2001-02-05 유성림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JP2001148957A (ja) * 1999-11-25 2001-06-05 Nec Yonezawa Ltd 鼻紋認証装置による家畜管理システム
KR20020055546A (ko) * 2000-12-28 2002-07-09 박정시 애완동식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042A (ja) * 1998-09-25 2000-04-04 Fujihira Kogyo Kk 牛の個体識別方法
KR20000047650A (ko) * 1998-12-16 2000-07-25 포만 제프리 엘 사용자 요청을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와 프로그램 제품 코드
JP2001148957A (ja) * 1999-11-25 2001-06-05 Nec Yonezawa Ltd 鼻紋認証装置による家畜管理システム
KR20010008205A (ko) * 2000-11-15 2001-02-05 유성림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020055546A (ko) * 2000-12-28 2002-07-09 박정시 애완동식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8880B2 (en) 2013-05-22 2019-04-23 Iscilab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imal's identity by using animal nose prints
US10552673B2 (en) 2013-05-22 2020-02-04 Iscilab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imal's identity by using animal nose prints
US10565440B2 (en) 2013-05-22 2020-02-18 Iscilab Corporation Device for recognizing animal's identity by using animal nose prints
KR20230064372A (ko)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파이리코 반려 동물 건강 인증을 위한 생체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771A (ko)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1912B1 (en) Animal body identifying system
JP5109141B2 (ja) 保険証確認システム、及び保険証確認方法
US2008004015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or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companion animals
JP2007135501A (ja) 鼻特徴情報生成装置及び鼻特徴情報生成プログラム
CN108461130B (zh) 就诊任务智能调度方法及系统
US20060143302A1 (en) Pet registration, search, and retrieval system
KR100414606B1 (ko)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KR102085294B1 (ko) 애완동물 건강관리 및 상조 서비스 시스템
JP2007524924A (ja) 分配チェーンにおける情報対象物を追跡および認証するための共通事項オーサリングシステム
US20220392001A1 (en) Guardian information-based animal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animal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thereof
CN111326239A (zh) 医疗环境下用户信息管理、身份识别方法及装置
JP2008269188A (ja) ペット用保険の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248721A (ja) ユーザの生体情報を用いてユーザ又はユーザ以外の第三者に利益を供与するシステム
JP2019159985A (ja) 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装置、自動改札機、生体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17753A (ko) 반려동물 등록/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동물건강보험 적용 인증지원 시스템
CN110570942A (zh) 一种智能就医方法及相应的装置
CN113436711A (zh) 一种基于大数据平台的西医问诊系统
KR102341749B1 (ko) 반려동물 비문을 이용한 등록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7360496B2 (ja) 判定システム
KR102347545B1 (ko) 애완동물 인식 서비스 시스템
JP2002073802A (ja) 保険又は共済システム、保険又は共済システム用サーバーコンピュータ、保険又は共済システム用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タ、及びペット用保険又は共済証
KR102088996B1 (ko) 동물 의료 정보 관리 방법
JP7294729B1 (ja) 動物情報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587896B (zh) 一种犬只医保数据处理方法、装置及设备
KR20030032088A (ko) 인터넷을 이용한 애완동물의 건강 및 체력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