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922B1 -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 및 비문인식방법 - Google Patents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 및 비문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922B1
KR100485922B1 KR10-2002-0041372A KR20020041372A KR100485922B1 KR 100485922 B1 KR100485922 B1 KR 100485922B1 KR 20020041372 A KR20020041372 A KR 20020041372A KR 100485922 B1 KR100485922 B1 KR 100485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scription
memory unit
recognition modu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8072A (ko
Inventor
김윤옥
장현철
Original Assignee
김윤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옥 filed Critical 김윤옥
Priority to KR10-2002-004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922B1/ko
Publication of KR2004000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Landscapes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의 비문을 스캔하여 그 데이터(생산, 성장, 도축, 가공, 소비 등 전 과정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 처리할 수 있는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에 촬영된 비문을 스캔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받아 상기 CPU에 인가하여 데이터의 특장점을 통한 비문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비문인식모듈;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따라 소의 생산, 성장, 도축, 가공, 소비 등 전 과정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소의 생산, 성장, 도축, 가공, 소비 등 전 과정을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 데이터의 연산, 출력을 하여 사용자가 가축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CPU; 다른 단말기, 컴퓨터에 연결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다운로딩 하거나 다른 단말기로부터 다른 소의 데이터를 다운로딩 시에 인터페이스 하는 확장 인터페이스부; 다른 단말기와 데이터 공유 시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확장 인터페이스부, 인식모듈, 메모리부, 터치스크린, CPU에서 사용되는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의 개체를 고유한 생물학적 데이터를 전산화하여 처리하므로 개체 관리의 표준화 및 신뢰성의 확보를 기할 수 있고, 비문인식모듈이 단말기에 일체화하여 내장되므로 개체의 이동 없이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각 개체에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관리가 가능하고, 변조가 불가능하므로 도난 시 추적에 활용할 수 있으며, 거래 시에도 소의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 및 비문인식방법{Potable inform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cattle individual}
본 발명은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우의 비문을 스캔하여 그 데이터(생산, 성장, 도축, 가공, 소비 등 전 과정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 처리할 수 있는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문은 개체에 고유하고 선천적인 것이며, 평생 변화하지 않으므로 인간의 지문과 같이 소의 개체식별에 쓰인다. 비문을 채취할 때는 먼저 헝겊으로 소의 비경(소의 비경(鼻鏡:鼻孔 둘레의 나출부)에 있는 요철(凹凸)이 나타내는 문양)면을 잘 닦은 다음에 롤러로 엷게 잉크를 칠하고 재빠르게 백지를 대고 찍어낸다. 이때 코뚜레를 무리하게 끌어올리면 문양이 뒤틀리므로 조심해야 한다. 또 윗입술[上脣]에 가까운 부분을 빠뜨리기 쉬운데 비문의 형을 분류할 때는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하므로 유의해야 한다.
비문의 형을 분류하면, 먼저 중앙에 홈[溝]이 있는 유구형(有溝型)과 홈이 없는 무구형(無溝型)으로 대별된다. 다시 유구형을 우맥상(羽脈狀)과 단우맥상(短羽脈狀)으로, 무구형은 방사상과 파상(波狀)으로 나눈다. 물론 이들 4형으로만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고 중간의 이행형(移行型)도 있다.
종래의 소 개체 관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검사관의 육안 검사 및 무게나 크기, 형태 등의 변화 가능성이 많은 요소들로 관리되어 왔다. 따라서 개체 관리의 표준화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비문을 이용한 개체의 관리를 위하여 생후 30일 이내에 비문을 탁본방식으로 채취하여 보관하나, 이러한 데이터(Data)의 보관 및 관리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최근에 들어서 RF방식의 고유 ID 발생장치를 각 개체에 장착하여 개체의 관리에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분실 및 변조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개체의 고유한 특성을 이용한 개체 관리와는 차이를 가진다.
또한, 모든 개체에 RF칩(Chip)을 장착하여 하므로 이로 인한 비용도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고, 상기 RF칩을 사용하면 한우 또는 젖소의 움직임(벽, 나무 등에 RF칩이 있는 부위를 문지르는 행위)에 의해 칩이 손상되고, 그로 인하여 그 칩을 인식하지 못하므로 그 칩이 설치되어 있는 소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개체인식 모듈(Module) 및 그 처리소프트웨어를 장착한 휴대형 정보 단말기를 제공하여 각 개체의 고유 데이터를 이용한 개체 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데이터를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의 비문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가축의 비문을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소의 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객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비문 영상을 스캔하여 이미지화시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비문의 형태 분류 및 특장점을 찾아 이들 정보를 기초로 비문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문인식모듈; 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비문인식모듈에서 생성된 비문 데이터 및 소의 생산, 성장, 도축, 가공, 소비 등 전 과정에 따른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력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키는 터치스크린; 상기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시키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확인시키는 CPU;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비문 영상을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타 단말기 및 컴퓨터에 상기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확장 인터페이스부; 상기 컴퓨터에 상기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PC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타 단말기와 상기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여기에서, 상기 비문인식모듈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가되는 비문의 영상을 받아 이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인식모듈; 상기 인식모듈에서 변환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문의 형태 분류 및 특장점을 추출하여 상기 비문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복수의 비문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 비문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비교분석모듈; 상기 비교분석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비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복수의 비문 데이터중 비문 형태별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비교분석모듈의 데이터 검색시 빠른 시간 내에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분석/분류모듈;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모듈; 및 상기 인식 모듈의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변환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의 비문을 촬영하여 소의 객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의 비문을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여 촬영된 소의 비문을 스캔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문의 형태 분류 및 특장점을 찾아 이들 정보를 기초로 비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비문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 임시 저장된 상기 비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비문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문 데이터가 검출되면 해당 비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확인시키는 단계; 비교 결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문 데이터가 미검출되면 사용자가 새로운 비문 데이터에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소정의 포맷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입력한 추가 정보를 새로운 비문 데이터에 포함시켜 비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비문 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도록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비문인식 모듈이 내장된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문인식 모듈이 내장된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문인식 모듈이 내장된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100)는 전원부(180)와, 비문인식모듈(160)과, 메모리부(120)와, 터치스크린(130)과, CPU(110)와, 확장 인터페이스부(140)와, PC 인터페이스부(150)와, 송수신부(170)로 구성된다.
전원부(180)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인가한다.메모리부(120)는 CPU(110)의 제어에 따라 비문인식모듈(160)에서 생성된 비문 데이터 및 소의 생산, 성장, 도축, 가공, 소비 등 전 과정에 따른 이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램(121)과 플래시메모리(122)로 구성된다.터치스크린(130)은 CPU(110)의 제어에 따라 이력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킨다. CPU(110)는 비문인식모듈(160)의 요청에 따라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메모리부(120)에 저장시키고, 비문인식모듈(160)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터치스크린(130)을 통해 확인시킨다. 확장 인터페이스부(140)는 카메라(190)에서 촬영된 비문 영상을 전송받거나 또는 타 단말기 및 컴퓨터에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한다. PC 인터페이스부(150)는 컴퓨터에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한다.송수신부(170)는 타 단말기와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한다.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PDA폰, 셀룰러폰, PCS폰, GSM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단말기(100)에는 컴퓨터에 데이터를 다운로딩 할 수 있도록 PC 인터페이스부(150)가 더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100)는 PDA폰, 셀룰러폰, PCS폰, GSM폰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비문인식모듈(160)은 카메라(190)를 통해 인가되는 비문의 영상을 받아 이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인식모듈(164)과, 인식모듈(164)에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문의 형태 분류 및 특장점을 추출하여 비문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메모리부(120)에 기저장된 복수의 비문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 비문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비교분석모듈(162)과, 비교분석모듈(162)에서 생성된 비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모리부(120)에 기저장된 복수의 비문 데이터중 비문 형태별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문 데이터를 취합하여 비교분석모듈(162)의 데이터 검색시 빠른 시간 내에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분석/분류모듈(163)과,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모듈(161)과, 인식 모듈(164)의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변환모듈(165)로 구성된다.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비문인식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비문인식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100)에 일체로 설치된 비문인식모듈(160)을 통해 카메라(190)에 의해 촬영된 소의 비문을 비문인식모듈(160)의 인식모듈(164)에서 스캔하여 스캔된 비문 이미지를 전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S1, S2)와, 비교분석모듈(162)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문의 형태 분류 및 특장점을 찾아 이들 정보를 기초로 비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와, CPU(11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비문 데이터를 단말기(100)의 메모리부(120)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S4)와, 비교분석모듈(162)에서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비문이미지 데이터와 기 저장된 비문이미지 데이터 비교하는 단계(S5)와, 비교분석모듈(162)에서 비교 결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문 데이터가 검출되면 CPU(11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터치스크린(130)에서 해당 비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확인시키는 단계(S6)와, 비교분석모듈(162)에서 비교 결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문 데이터가 미검출되면 CPU(11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터치스크린(130)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비문 데이터에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소정의 포맷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7)와, 어플리케이션모듈(161)에서 CPU(11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추가 정보를 새로운 비문 데이터에 포함시켜 비문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고, 메모리부(120)에 생성된 비문 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도록 저장하는 단계(S8)를 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체의 관리를 위하여 초기의 비문 등록 시에 카메라(190)에 의해 소의 비문을 촬영하고, 촬영된 비문을 비문인식모듈(160)의 인식모듈(164)에서 촬영된 영상을 스캔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190)는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광학용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되도록 이면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와 같이 비문이미지를 비문인식모듈(160)의 인식모듈(164)을 통해 스캔하여 이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고, 비교분석모듈(162)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문의 형태 분류 및 특장점을 찾아 이들 정보를 기초로 비문 데이터를 생성한 후 비문 데이터가 메모리부(120)에 저장되도록 CPU(11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비교분석모듈(162)에서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비문 데이터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인지 아니면 새로운 데이터인지를 비교, 판단하고, 만약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일 경우에는 CPU(10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새로운 데이터(즉, 생산, 생산, 성장, 도축에 대한 정보 등을 새로이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가 오픈(사용자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분석/분류모듈(162)은 비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모리부(120)에 기저장된 복수의 비문 데이터중 비문 형태별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문 데이터를 취합하여 비교분석모듈(162)로 제공한다. 그리고, 비교분석모듈(162)은 비문 데이터가 기존에 저장된 비문 데이터와 상이할 경우에는 새로운 개체를 저장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CPU(10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터치스크린(13)에 한우의 이력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소정의 양식화된 포맷(미도시)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데이터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인지 아니면 새로운 데이터인지를 CPU(100)를 통해 비교, 판단하고, 만약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일 경우에는 CPU(100)에서는 새로운 데이터 즉, 생산, 생산, 성장, 도축에 대한 정보 등을 새로이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그 데이터의 오픈(사용자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에 표시)한다.
그러면, 터치스크린(13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문 이미지와, 그리고 개체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모든 상태를 한번에 파악할 수 있는 심사관이 심사한 심사서를 포함하는 이력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므로 소를 사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인증서와 같아 소의 상태를 믿을 수 있게 되고, 파는 사람은 심사서가 첨부되므로 좋은 가격에 소를 팔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 판단한 후에 동일성을 판단하여 상기와 같이 데이터를 입력 또는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후 사용자가 그 데이터를 공유하고 할 경우에는 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타 단말기 및 컴퓨터에 전송할 수 있다.
타 단말기와 컴퓨터에 유선을 통한 전송은 먼저, 컴퓨터에 전송할 시에는 단말기(100)에 설치된 PC 인터페이스부(150)에 별도의 케이블(미도시)을 연결하여 단말기(100)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소정의 프로그램을 통해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타 단말기에 전송할 시에는 상기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확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전송하는데, 이때 전송은 상기 컴퓨터에 전송하는 것과 동일하게 행한다.
그리고 무선으로 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송수신부(170)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을 거쳐 타 단말기(100)의 송수신부(170)로 전송하면, 상기 송수신부(170)는 이를 입력받아 메모리부(120)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유선, 무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사용자 누구나가 쉽게 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소의 비문을 스캔한 후 이를 기저장된 비문 데이터와 비교하여검색된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통해 소의 이력을 사용자가 알 수 있으므로 그 소가 현재 병이 있는지 아니면 출산을 어느 정도 했는지, 현재 나이가 몇 살인지를 소의 상태를 점검하지 않아도 이를 사용자가 바로 알 수 있으므로 소의 관리를 한층 더 편리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를 키우는 사람은 그 소의 이력을 단말기(100)를 통해 직접 입력할 수 있으므로 소가 성장하면서 어느 해에 어떤 병에 걸렸는지를 파악하여 미리 그 병에 대한 예방을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효율적으로 소를 키울 수 있고, 병에 대한 예방을 미리 함으로 소를 비육상태를 최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 및 비문인식방법의 효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소의 개체를 고유한 생물학적 데이터를 전산화하여 처리하므로 개체 관리의 표준화 및 신뢰성의 확보를 기할 수 있고, 비문인식모듈이 단말기에 일체화하여 내장되므로 개체의 이동 없이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개체에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관리가 가능하고, 변조가 불가능하므로 도난 시 추적에 활용할 수 있으며, 거래 시에도 소의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비문인식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3은 도 1의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개체의 데이터 표시창을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말기 110 : CPU
120 : 메모리부 121 : 램
122 : 플래시메모리 130 : 터치스크린
140 : 확장 인터페이스부 150 : PC 인터페이스
160 : 비문인식모듈 161 : 어플리케이션모듈
162 : 비교분석모듈 163 : 분석/분류모듈
164 : 인식모듈 165 : 변환모듈
170 : 송수신부 180 : 전원부

Claims (7)

  1. 삭제
  2. 소의 비문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가축의 비문을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소의 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객체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비문 영상을 스캔하여 이미지화시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비문의 형태 분류 및 특장점을 찾아 이들 정보를 기초로 비문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문인식모듈;
    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비문인식모듈에서 생성된 비문 데이터 및 소의 생산, 성장, 도축, 가공, 소비 등 전 과정에 따른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력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키는 터치스크린;
    상기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시키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확인시키는 CPU;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비문 영상을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타 단말기 및 컴퓨터에 상기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확장 인터페이스부;
    상기 컴퓨터에 상기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PC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타 단말기와 상기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우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문인식모듈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가되는 비문의 영상을 받아 이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인식모듈;
    상기 인식모듈에서 변환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문의 형태 분류 및 특장점을 추출하여 상기 비문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복수의 비문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 비문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비교분석모듈;
    상기 비교분석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비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복수의 비문 데이터중 비문 형태별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비교분석모듈의 데이터 검색시 빠른 시간 내에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분석/분류모듈;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비문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모듈; 및
    상기 인식 모듈의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변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
  7.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의 비문을 촬영하여 소의 객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의 비문을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여 촬영된 소의 비문을 스캔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문의 형태 분류 및 특장점을 찾아 이들 정보를 기초로 비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비문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
    임시 저장된 상기 비문 데이터와 기저장된 비문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문 데이터가 검출되면 해당 비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확인시키는 단계;
    비교 결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문 데이터가 미검출되면 사용자가 새로운 비문 데이터에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소정의 포맷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입력한 추가 정보를 새로운 비문 데이터에 포함시켜 비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비문 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도록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비문인식방법.
KR10-2002-0041372A 2002-07-15 2002-07-15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 및 비문인식방법 KR100485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372A KR100485922B1 (ko) 2002-07-15 2002-07-15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 및 비문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372A KR100485922B1 (ko) 2002-07-15 2002-07-15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 및 비문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072A KR20040008072A (ko) 2004-01-28
KR100485922B1 true KR100485922B1 (ko) 2005-04-29

Family

ID=3731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372A KR100485922B1 (ko) 2002-07-15 2002-07-15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 및 비문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9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8880B2 (en) 2013-05-22 2019-04-23 Iscilab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imal's identity by using animal nose prints
WO2020036368A1 (ko) * 2018-08-13 2020-02-20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의 비문 이미지 획득 방법
KR20230071813A (ko) 2021-11-15 2023-05-24 주토스주식회사 한우의 성장검사 자료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233B1 (ko) * 2020-12-18 2024-02-27 라온피플 주식회사 가축의 음식섭취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식 개체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042A (ja) * 1998-09-25 2000-04-04 Fujihira Kogyo Kk 牛の個体識別方法
KR20000047650A (ko) * 1998-12-16 2000-07-25 포만 제프리 엘 사용자 요청을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와 프로그램 제품 코드
JP2001148957A (ja) * 1999-11-25 2001-06-05 Nec Yonezawa Ltd 鼻紋認証装置による家畜管理システム
KR20020055546A (ko) * 2000-12-28 2002-07-09 박정시 애완동식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020066771A (ko) * 2001-02-13 2002-08-21 박현종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042A (ja) * 1998-09-25 2000-04-04 Fujihira Kogyo Kk 牛の個体識別方法
KR20000047650A (ko) * 1998-12-16 2000-07-25 포만 제프리 엘 사용자 요청을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와 프로그램 제품 코드
JP2001148957A (ja) * 1999-11-25 2001-06-05 Nec Yonezawa Ltd 鼻紋認証装置による家畜管理システム
KR20020055546A (ko) * 2000-12-28 2002-07-09 박정시 애완동식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020066771A (ko) * 2001-02-13 2002-08-21 박현종 네트워크 기반의 개의 비문 정보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8880B2 (en) 2013-05-22 2019-04-23 Iscilab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imal's identity by using animal nose prints
US10552673B2 (en) 2013-05-22 2020-02-04 Iscilab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imal's identity by using animal nose prints
US10565440B2 (en) 2013-05-22 2020-02-18 Iscilab Corporation Device for recognizing animal's identity by using animal nose prints
WO2020036368A1 (ko) * 2018-08-13 2020-02-20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의 비문 이미지 획득 방법
KR20230071813A (ko) 2021-11-15 2023-05-24 주토스주식회사 한우의 성장검사 자료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072A (ko) 200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66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 individual in a digital image using location meta-tags
US108536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ttaching a metatag to a digital image
US83695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agging an image of an individual in a plurality of photos
US20130163823A1 (en) Image Capture and Recognition System Having Real-Time Secure Communication
IL135251A (en) Independent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CN106127130A (zh) 被管理的基于生物特征识别的通知系统和方法
CN107580132B (zh) 信息发送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0485922B1 (ko) 소 개체관리 휴대형 정보 단말기 및 비문인식방법
CN109545392B (zh) 基于物联网的远程监控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210257071A1 (en) Health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Print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90205699A1 (en) Method and device of getting information
KR20180027839A (ko) 증강현실영상 기반의 가축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8154567A (zh) 一种基于生物识别技术的考勤系统
KR100479937B1 (ko) 인터넷 망과 cdma 네트워크 망을 통한 소 개체 관리방법
NL2020658B1 (en) Improved Die Cutting System and Too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erefore
CN11345468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信息处理系统
US20220335725A1 (en) Monitoring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using local region matching
CN113780173B (zh) 一种面部识别系统及识别方法
JP2004151820A (ja) 迷子検索・監視システム
WO2021107307A1 (ko) 챗봇 기반의 낚시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27994A (ko) 증강현실영상 기반의 가축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l-Baker et al. A GPRS-based remote human face identification system for handheld devices
KR100661587B1 (ko) 알에프아이디와 이미지 태그를 이용한 대상물 식별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920465B1 (ko) 실외환경에서의 피사체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8199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명함 교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