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219B1 - 차선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차선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219B1
KR102194219B1 KR1020190054134A KR20190054134A KR102194219B1 KR 102194219 B1 KR102194219 B1 KR 102194219B1 KR 1020190054134 A KR1020190054134 A KR 1020190054134A KR 20190054134 A KR20190054134 A KR 20190054134A KR 102194219 B1 KR102194219 B1 KR 102194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ain body
lane
remov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553A (ko
Inventor
하용국
구창완
김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스라인기계
Priority to KR102019005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21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5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power-driven tools, e.g. vibratory tools
    • E01C23/088Rotary tools, e.g. milling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차선제거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차선제거장치는, 바퀴 및 구동원을 구비하고 도로의 노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도로 노면의 차선을 긁어내는 상태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거구를 구비한 절삭 제거부와, 상기 절삭 제거부 측을 절삭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본체 하부 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이동 고정부, 및 상기 이동 고정부 측에 설치된 상기 절삭 제거부의 절삭 위치 조절과 부합하는 상태로 상기 본체 측의 구동원 동력을 상기 절삭 제거부 측에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선제거장치{LANE REMOVAL APPARATUS}
본 발명은 차선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노면에 시공된 차선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선 도료층이 변색되거나, 일부가 탈리(脫離)되면서 차선 고유의 기능성이 점차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특히, 노후 차선들은 노면 상에서 식별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심각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에 시공된 차선들은 주기적인 유지보수 처리가 요구되며, 차선의 유지보수 작업은 기존의 노후된 차선을 노면 상에서 제거한 다음, 다시 도료를 도포하여 차선을 재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차선 제거 작업에는 대부분 차선제거장치가 사용되며, 이러한 차선제거장치는 차선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도로 노면의 차선 도료층을 강제로 긁어서 제거할 수 있는 절삭 구조의 제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차선 제거 작업시 만족할 만한 작업 효율성을 확보하려면, 특히 다양한 노면 작업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능 및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0001) 특허등록 제10-1168555호_포장도로의 차선 제거기.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노면의 차선 제거 작업시 만족할 만한 작업 편의성 및 작업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선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바퀴 및 구동원을 구비하고, 도로의 노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도로 노면의 차선을 긁어내는 상태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거구를 구비한 절삭 제거부;
상기 절삭 제거부 측을 절삭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본체 하부 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이동 고정부; 및
상기 이동 고정부 측에 설치된 상기 절삭 제거부의 절삭 위치 조절과 부합하는 상태로 상기 본체 측의 구동원 동력을 상기 절삭 제거부 측에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동력 전달부;
를 포함하는 차선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로의 차선(車線) 제거를 위한 절삭 제거부 측이 본체의 하부 측에서 절삭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히 도로 상에서 예를 들어, 보도 블록이나 차선경계 블록과 같은 돌출 구조물들과 인접하여 형성된 차선들을 제거할 때 이와 부합하도록 본체 측에서 절삭 제거부의 절삭 위치를 조절한 상태로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제거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제거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제거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11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선제거장치는, 본체(10), 절삭 제거부(20), 이동 고정부(30) 및 동력전달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는 도로의 노면(R) 상에서 차선(L) 제거 작업과 부합하는 상태로 이동(주행)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체(10)는 도 1에서와 같은 복수 개의 바퀴(12)가 설치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퀴(12)들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태로 노면(R) 상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체(10) 측에는 구동원(14)이 배치되며, 이 구동원(14)은 후술하는 절삭 제거부(20)의 구동을 위한 동력(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서, 엔진이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체(1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구동원(14)의 동력을 통상의 방법으로 전달받아서 이동(주행)되거나, 이외에도 작업자가 직접 밀거나 당기는 방식에 의해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 측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좌석(16)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각종 조작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절삭 제거부(20)는 본체(10)의 하부 측에 배치되며, 노면(R)의 차선(L)을 강제로 긁어내는 절삭(切削)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절삭 제거부(2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하우징(22)과, 이 하우징(22)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거구(2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22)은 노면(R) 측을 향하는 하부 측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차선(L) 제거시 발생되는 분진이나 파편들이 불규칙하게 비산(飛散)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거구(24)는 둘레부 측에 절삭돌기(24a)들이 이격 돌출 형성된 로울러(드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거구(24)는 도 2에서와 같이 둘레부 측이 노면(R) 측에 맞닿은 상태로 구름 운동이 가능하게 지지축(26) 측에 설치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한조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축(26)은 하우징(22)의 상부 중앙부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끼워져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며, 하부 측에는 제거구(24)들이 고정 설치되고, 상부 측은 후술하는 동력전달부(40)에 의해 본체(10)의 구동원(14)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된다.
즉, 제거구(24)들은 하우징(22)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축(26)의 회전시 노면(R) 측과 맞닿은 상태로 구름 운동되면서 차선(L)의 도료층을 강제로 긁어내는 상태로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본체(10)의 후방 측에는 별도의 집진장치(16)가 연결 설치될 수 있고, 이 집진장치(16)는 절삭 제거부(20)의 하우징(22) 측과 관체(18)로 연결되어 차선(L) 제거시 하우징(22) 내부에 발생되는 분진이나 파편들을 관체(18)를 통해 공급받아서 집진 처리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이동 고정부(30)는 본체(10)의 하부 측에서 절삭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절삭 제거부(20) 측을 지지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이동 고정부(30)는 절삭 제거부(20) 측을 본체(10)의 하부 측에서 레일 방식으로 절삭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잡아줄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동 고정부(3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가이드 레일(32)과, 레일 블록(3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 레일(32)은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의 환봉(또는 각봉) 타입의 레일이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2)은 본체(10)의 하부 측에서 레일 길이방향 양쪽 단부 측이 본체(10) 측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본체(10)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레일 구간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레일 블록(34)은 가이드 레일(32) 측에 끼워져서 레일 구간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셋팅되며, 블록 하부 측에는 절삭 제거부(20)의 하우징(22) 상부 측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이동 고정부(30)는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절삭 제거부(20) 측이 본체(10)의 하부 측에서 가이드 레일(32) 측에 이동 방향이 가이드되면서 본체(10)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삭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절삭 위치 조절을 위한 이동 조작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실린더와 같은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가이드 레일(32) 구간을 따라 절삭 제거부(20) 측을 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동력 전달부(40)는 절삭 제거부(20) 측이 본체(10) 측에 설치된 구동원(14)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노면(R)의 차선(L) 제거가 가능하게 구동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동력 전달부(40)는 절삭 제거부(20)의 절삭 위치 조절을 위한 이동 동작과 부합하는 상태로 절삭 제거부(20) 측에 구동원(14)의 동력(회전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동력 전달부(40)는 동력 전달 요소로서 체인 및 스프라켓 연결 방식으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동력 전달부(40)는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두 개의 지지 스프라켓(42)과, 이 두 개의 지지 스프라켓(42)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용 체인(44)과, 이 접속용 체인(44) 측에 치합 가능한 상태로 구동원(14)의 구동축(14a) 및 절삭 제거부(20)의 지지축(26) 측에 각각 설치되는 접속용 스프라켓(4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지지 스프라켓(42)은 도 6에서와 같이 이동 고정부(30)의 가이드 레일(32)의 연장방향 양쪽 단부 측과 대응하도록 이격 배치된 상태로 본체(10)의 하부 측에 각각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접속용 체인(44)은 두 개의 지지 스프라켓(42) 사이를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접속용 체인(44)은 두 개의 지지 스프라켓(42) 측에 치합되면서 무한궤도 타입으로 회전될 수 있는 연결 상태를 이루도록 셋팅된다.
두 개의 접속용 스프라켓(46)은 구동원(14)의 구동축(14a)과 절삭 제거부(20)의 지지축(26) 측에 각각 설치되되, 접속용 체인(44) 측과 서로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치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셋팅된다.
두 개의 접속용 스프라켓(46)은 도 6을 기준으로 할 때, 접속용 체인(44)의 연결 구간 중앙 지점에서 체인 측과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치합되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그러면, 구동원(14)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14a)의 접속용 스프라켓(46)이 회전될 때 접속용 체인(44)이 지지 스프라켓(42)들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고, 이로 인하여 절삭 제거부(20)의 지지축(26) 측의 접속용 스프라켓(46)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동력 전달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구동축(14a) 측의 접속용 스프라켓(46)은 일종의 구동(驅動) 스프라켓 역할을 하고, 지지축(26) 측의 접속용 스프라켓(46)은 일종의 피동(被動) 스프라켓 역할을 하는 상태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동력 전달 구조는 도 7에서와 같이 이동 고정부(30)의 가이드 레일(32)을 따라 절삭 제거부(20) 측이 절삭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되더라도 구동원(14) 측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절삭 제거부(20) 측이 본체(10)의 하부 측에서 이동 고정부(30)의 가이드 레일(32)의 레일 구간 일단 또는 타단 측으로 옮겨지더라도 접속용 스프라켓(46)들은 접속용 체인(44)의 연장 구간 내에서 지속적으로 치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그러므로, 절삭 제거부(20)는 이동 고정부(30)의 레일 구간 내의 어느 지점에 위치되더라도 항상 구동원(14)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하여 노면(R)의 차선(L) 제거가 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고정부(30) 및 동력 전달부(40)의 구조에 의하면, 절삭 제거부(20)가 본체(10)의 하부 측에 일체로 고정되지 않고 이동 고정부(30)의 레일 구간 내에서 절삭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고, 위치가 조절된 상태로 차선(L) 제거가 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제거장치는 도로 노면(R)의 차선(L)을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장 환경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상태로 절삭 제거부(20)의 절삭 위치가 조절된 상태로 제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노면(R) 상에 형성된 차선(L)과 인접한 지점에 돌출 구조물(S, 예: 차선 경계 블록, 보도 블록)이 형성된 작업 환경에서는 본체(10)의 둘레부 측이 블록 측에 접촉 간섭되지 않도록 간격을 띄운 다음, 차선(L) 위치와 부합하도록 절삭 제거부(20)의 절삭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절삭 제거부(20)의 위치를 조절 및 셋팅한 상태에서 차선(L) 연장 방향을 따라 본체(10)를 이동시킴으로서, 돌출 구조물(S) 측과 인접하여 형성된 차선(L)들의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 측은 절삭 제거부(20)의 절삭 위치 조절에 의해 돌출 구조물(S) 측과 서로 접촉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되므로 차선(L) 제거 작업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체(10)의 하부 측에 한 개의 절삭 제거부(20)가 절삭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절삭 제거부(20)는 도 9에서와 같이 본체(10)의 하부 측에서 이동 고정부(30)의 레일 구간을 따라 절삭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두 개가 한 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두 개의 절삭 제거부(20)는 간격 조절구(28)에 의해 간격 유지 및 조절이 가능하게 셋팅될 수 있다.
간격 조절구(28)는 예를 들어, 길이방향 양쪽 단부 측에 조임 및 풀림 방향이 서로 다른 왼나사부 및 오른나사부를 구비하고, 이 나사부들이 절삭 제거부(20) 측에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 정,역 회전 조작시 왼나사부 및 오른나사부에 의해 두 개의 절삭 제거부(20)의 간격이 서로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상태로 조절 및 셋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하부 측에 절삭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두 개의 절삭 제거부(20)가 이격 배치되면, 차선(L) 제거 작업시 다양한 작업장 환경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제거장치는, 절삭 제거부(20) 측과 대응하는 밀폐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밀폐부(50)는 절삭 제거부(20)의 하우징(22) 내에서 제거구(24)로 노면(R)의 차선(L)을 긁어내는 상태로 제거할 때 하우징(22) 내부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밀폐부(50)는 절삭 제거부(20)의 작동과 연계하여 하우징(22) 측의 밀폐가 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밀폐부(50)는 도 10에서와 같이 밀폐 포켓(52)과, 이 밀폐 포켓(52)의 포켓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팬(5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밀폐 포켓(52)은 주입구(52a)와 주름부(52b)를 구비하고, 도 10에서와 같이 주름부(52b) 측이 아래쪽을 향하는 상태로 하우징(22)의 둘레부 하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형성된다.
주입구(52a) 측은 후술하는 공급팬(54) 측과 대응하도록 밀폐 포켓 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주름부(52b)는 주입구(52a) 측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포켓 내부로 공급되면 내부 공기 압력에 의해 아래쪽을 향하여 포켓 부피가 탄력적으로 확장(팽창)될 수 있는 주름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밀폐 포켓(52)은 내구성, 내마모성은 물론이거니와, 기밀성이 우수한 원단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포켓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공급팬(54)은 회전에 의해 주입구(52a) 측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 주입할 수 있는 송풍팬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 10에서와 같이 절삭 제거부(20)의 지지축(26) 측에 설치되어 이 지지축(26)의 회전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주입구(52a) 측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로 불어넣을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러한 밀폐부(50)는 절삭 제거부(20)의 지지축(26)이 회전될 때, 공급팬(52)에 의해 밀폐 포켓(52) 내부로 외부 공기가 공급되고, 이로 인하여 도 11에서와 같이 밀폐 포켓(52)의 주름부(52b) 측이 아래쪽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부피가 확장(팽창)되는 상태로 작동된다.
그러면, 밀폐 포켓(52)의 주름부(52b) 측의 부피 확장에 의해 절삭 제거부(20)의 하우징(22) 둘레부 하부 끝단과, 노면(R) 간의 틈새를 최대한 차단하여 하우징(22) 내부의 밀폐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차선(L) 제거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이나 파편이 하우징(22) 외부로 비산되는 현상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밀폐부(50)는 밀폐를 위하여 포켓을 팽창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원(예: 컴프레서)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절삭 제거부(20)의 작동과 연계하여 동력을 전달받아서 작동되는 특징적인 밀폐 구동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로의 노면(R) 상에서 이동되는 상태로 차선(L)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절삭 제거부(20)의 절삭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차선(L) 제거 작업시 한층 향상된 작업 편의성 및 작업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10: 본체 20: 절삭 제거부 30: 이동 고정부
40: 동력 전달부 R: 노면 L: 차선

Claims (6)

  1. 바퀴 및 구동원을 구비하고, 도로의 노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도로 노면의 차선을 긁어내는 상태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거구를 구비한 절삭 제거부;
    상기 절삭 제거부 측을 절삭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본체 하부 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이동 고정부; 및
    상기 이동 고정부 측에 설치된 상기 절삭 제거부의 절삭 위치 조절과 부합하는 상태로 상기 본체 측의 구동원 동력을 상기 절삭 제거부 측에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동력 전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이동 고정부의 가이드 레일의 레일 구간과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본체의 하부 측에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지지 스프라켓과, 이 두 개의 지지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접속용 체인, 및 이 접촉용 체인 측과 서로 치합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두 개의 접속용 스프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접속용 스프라켓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접속용 스프라켓은 상기 본체의 구동원 측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접속용 스프라켓은 상기 절삭 제거부 측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삭 제거부는,
    상기 본체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지지축을 구비하고, 이 지지축 의 회전시 상기 제거구 측이 노면 측의 차선을 긁어내는 상태로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차선제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 측에서 이 본체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레일 구간을 이루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 레일 측에 상기 절삭 제거부 측이 레일 구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 고정 설치되는 차선제거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선제거장치는, 상기 절삭 제거부 측과 대응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폐부는,
    상기 절삭 제거부의 하우징 측에 설치되는 밀폐 포켓과, 상기 절삭 제거부의 작동과 연계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밀폐 포켓의 부피 확장이 가능하게 외부 공기를 포켓 내측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급팬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선제거장치.
KR1020190054134A 2019-05-09 2019-05-09 차선제거장치 KR102194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134A KR102194219B1 (ko) 2019-05-09 2019-05-09 차선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134A KR102194219B1 (ko) 2019-05-09 2019-05-09 차선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553A KR20200129553A (ko) 2020-11-18
KR102194219B1 true KR102194219B1 (ko) 2020-12-23

Family

ID=7369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134A KR102194219B1 (ko) 2019-05-09 2019-05-09 차선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2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5599B (zh) * 2020-12-25 2022-05-20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施工的基层整形检测装置
KR20240012890A (ko) 2022-07-21 2024-01-30 신상현 차선 제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9480A1 (en) * 2012-10-17 2014-04-24 WATSON, Diane Lee Vehicle for line mark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208B1 (ko) * 2001-09-20 2004-07-03 모악개발 주식회사 관로 비굴착에 의한 주입 성형식 지수/보강장치 및 그공법
KR101192245B1 (ko) * 2010-01-21 2012-10-17 (주)보다엔시스 노면 표시선 제거장치
KR101168555B1 (ko) 2011-09-30 2012-07-27 윤선병 포장도로의 차선 제거기
KR20160057113A (ko) * 2014-11-13 2016-05-23 주식회사 시명 차선 페인트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9480A1 (en) * 2012-10-17 2014-04-24 WATSON, Diane Lee Vehicle for line mar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553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219B1 (ko) 차선제거장치
KR101075578B1 (ko) 자기력을 이용한 강구조물 표면 이동 장치
US8146196B2 (en) Device with rotatable and adjustable cleaning members for cleaning the interior of pipes
KR100864261B1 (ko) 교량 난간용 다목적 청소기
KR101338970B1 (ko) 대차 및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관로 내부 녹, 코팅 제거 시스템
KR101469016B1 (ko) 가변센터링모듈 및 가변지지모듈을 동시에 구비하여 이중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노후관로 갱생용 주행로봇
KR101469019B1 (ko) 배관 내부의 다양한 주행환경에 적용이 가능한 자율주행용 휠 트랙장치 및 이를 장착한 노후관로 갱생용 주행로봇
KR20190091113A (ko) 걸레자국 방지 걸레 로봇 청소기
KR101711484B1 (ko) 파이프 청소장치
PL377024A1 (pl) Urządzenie obrotowe do usuwania chwastów z połączeń na brukowanym obszarze
KR20170099799A (ko) 하수관 장애물 제거시스템
JP2005226320A (ja) 清掃装置及び方法
JPH05214762A (ja) 管路清掃装置
KR20000030750A (ko) 터널 청소장치
KR100654986B1 (ko) 중공원통체내의 고착이물질 제거장치
KR20180116587A (ko) 차선도포기
JP2006159966A (ja) 走行装置および作業機械
CN207929615U (zh) 钢丝绳保养装置
CN105846360A (zh) 一种电缆敷设用履带式行驶车
US20140263736A1 (en) Orbital spray bar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0730638B1 (ko) 브러시가 구비된 자동세륜기
US7690068B2 (en) Protective structure for brushes of sweeping machines
KR101123286B1 (ko) 강구조물 표면의 갱생 공법
JP2002363916A (ja) 路面(床版)上のライン消去機
JP7345386B2 (ja) 製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