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209B1 -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209B1
KR102194209B1 KR1020190089999A KR20190089999A KR102194209B1 KR 102194209 B1 KR102194209 B1 KR 102194209B1 KR 1020190089999 A KR1020190089999 A KR 1020190089999A KR 20190089999 A KR20190089999 A KR 20190089999A KR 102194209 B1 KR102194209 B1 KR 102194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per blade
heating
controll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섭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9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3Wiper blades heated wiper blades
    • B60S1/3805Wiper blades heated wiper blades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03Intermittent control circuits
    • B60S1/0807Intermittent control circuits using electronic control means, e.g. tubes, semico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60S1/086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including additional sensors
    • B60S1/086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including additional sensors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설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안착되는 안착부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대시보드 전면의 일부분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착부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착부에 열원을 제공하는 발열부재; 상기 차량 대시보드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 내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재; 및 상기 발열부재 및 상기 온도 측정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발열부재 및 상기 온도 측정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ANTI-FREEZING DEVICE OF WIPER BLADE}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와이퍼의 블레이드가 고정되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열기를 가하여 결빙을 방지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면이나 후면에는 유리에 부착된 수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와이퍼가 설치된다. 와이퍼는 차량의 바깥 부분에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모터로 구동되는 와이퍼 암, 상기 와이퍼 암에서 교환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된 고무부재로서 유리의 수분을 제거하는 블레이드, 블레이드가 고정되어 와이퍼 암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잦은 사용으로 인해 유리 또는 유리에 부착된 이물질에 마찰되어 블레이드의 단부가 무뎌지면, 유리에서 수분을 제거하기가 어렵게 되기 때문에 쉽게 구매하여 교환하도록 단품으로 판매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고무 블레이드는 겨울철과 같이 영하의 날씨에서 수분의 응결로 인한 결빙이나 적설로 인해 유리에 자주 결빙된다. 또한, 차량의 적설로 와이퍼 자체가 차량의 전면부에 결빙되어 지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와이퍼가 차량의 유리에 결빙되면 운전자는 결빙을 제거하기 위해서, 온수를 와이퍼 블레이드에 공급하거나 차량의 열풍을 가동하여 내부에서 유리 측으로 온풍이 공급되도록 하여 유리를 가열함으로써 결빙을 제거한다.
이때, 운전자가 와이퍼 블레이드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온수를 준비하여야 하며, 온수를 공급할 수 없을 때는 열풍을 가동하여 유리의 내부에서 열을 가함으로써 서서히 결빙을 제거하여야 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부분이 녹을 때 까지, 차량을 운행하지 못하고 기다려야 한다.
또한, 최근에는 유리의 와이퍼 결빙을 제거하기 위해서 열선이 포함된 와이퍼 블레이드가 개발되고 있으나, 결빙의 제거속도가 느리고 가격이 비싸서 소비자가 사용하기에는 꺼려진다.
001)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6-0067643호 001)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특2003-007289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전면부의 와이퍼 블레이드 거치부 유리창의 안 쪽(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비나 눈으로부터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해 주는 와이퍼의 결빙을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기구들을 이용하여 방지하거나, 빠른 시간 내에 해빙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외부의 블레이드 접촉면의 온도를 체크하여 일정 온도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에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전열기구들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와이퍼의 결빙을 방지하거나 해빙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설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안착되는 안착부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대시보드 전면의 일부분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착부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착부에 열원을 제공하는 발열부재; 상기 차량 대시보드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 내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재;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를 향한 상기 대시보드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빙 방지 장치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설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안착되는 안착부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대시보드 전면의 일부분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착부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착부에 열원을 제공하는 발열부재; 상기 차량 대시보드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 내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재; 및 상기 발열부재 및 상기 온도 측정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발열부재 및 상기 온도 측정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차량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기 저항을 이용하여 열원을 생성하는 니크롬 소재의 열선이 구비된 발열재; 및 상기 발열재가 상면에 설치되고 하면에는 상기 대시보드에 부착을 위한 부착수단이 구비된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 측정부재로 측정한 온도가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온도의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열부재를 작동시켜서 발열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재는, 상기 차량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화시키는 탄소섬유 소재의 면상발열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차량 대시보드 전면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착부를 향하여 열풍을 분사하는 디프로스터; 및 상기 차량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디프로스터를 통해서 발산되는 열풍을 수용하고, 발산된 상기 열풍을 상기 차량의 레그 룸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디프로스터 측으로 흡입구가 배치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레그 룸 측으로는 배출구가 배치되어, 상기 디프로스터에서 발생된 열풍의 실외 배출을 유도하는 열기배출관; 및 상기 열기배출관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차량에 발생하는 열기를 상기 레그 룸으로 배출시키는 환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스마트키나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여 외부에서 원격으로 상기 발열부재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내부 대시보드의 전면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안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열선이나 면상발열체인 발열재를 설치하고, 전기를 통한 발열로 인하여 와이퍼 블레이드 안착부에 쌓이거나 결빙되는 눈이나 얼음의 생성을 방지하거나 해빙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내부 대시보드의 전면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안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디프로스터를 통해서 와이퍼 블레이드 안착부를 향하여 집중적으로 열풍을 분사하여 와이퍼 블레이드 안착부에 쌓이거나 결빙되는 눈이나 얼음의 생성을 방지하거나 해빙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의 일부분에 온도 측정부재를 설치하고 실시간으로 유리의 온도를 체크하여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컨트롤러는 실외 온도가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온도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 발열부재를 작동시켜서 와이퍼의 결빙이나 성에가 생기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에 구비된 무선통신모듈울 통해서 스마트키나 외부의 단말기와 연결하여 근거리에서 원격으로도 미리 발열부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상기 발열부재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 1제어 블럭도이다.
도 6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 2제어 블럭도이다.
도 7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 3제어 블럭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설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은 발열부재(100), 온도 측정부재(200) 및 작동 스위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재(100)는 (이하 도 2 내지 도 4 참조)와이퍼 블레이드(30)가 안착되는 안착부(50)에 대응하여 차량 대시보드(20) 전면의 일부분에서 와이퍼 블레이드(30)의 안착부(50)를 따라 설치되어 와이퍼 블레이드(30)의 안착부(50)에 열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온도 측정부재(200)는 차량 대시보드(2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외부와 연결되어 차량 내외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작동 스위치(400)는 차량의 운전자를 향한 상태로 대시보드(20)의 일부분(예, 에어콘 조절부 같은 스위치에 포함)에 설치되며 발열부재(100)에 연결되어 발열부재(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측정부재(200)로 측정한 온도가 설정된 온도의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또는, 운전자가 블레이드의 결빙상태를 파악한 후에 필요시, 차량에 별도로 구비된 작동 스위치(40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발열부재(100)를 작동시켜서 와이퍼 블레이드(30) 안착부(50)에 열원을 제공하여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상기 발열부재의 상세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 1제어 블럭도이며, 도 6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 2제어 블럭도이고, 도 7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 3제어 블럭도이다.
도 2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설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은 발열부재(100), 온도 측정부재(200) 및 컨트롤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재(100)는 와이퍼 블레이드(30)가 안착되는 안착부(50)에 대응하여 차량 대시보드(20) 전면의 일부분에서 와이퍼 블레이드(30)의 안착부(50)를 따라 설치되어 와이퍼 블레이드(30)의 안착부(50)에 열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발열부재(100)는 열선(116)을 이용하여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항을 유도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열부재(100)는 발열재(110) 및 단열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재(110)는 차량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기 저항을 이용하여 열원을 생성하는 니크롬 소재의 열선이 구비된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열재(110)는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는 전원선(112)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아 열선(116)에 연결된 도체(114)로 전류을 전송하고, 전류를 다시 도체(114)에 연결된 니크롬 소재의 열선(116)에 인가하면서 저항을 발생시켜서 발열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의 열선(116)은 니켈크롬, 철크롬, 구리, 니켈구리 등의 다양한 소재의 저항선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선(112)은 전원의 연결부이다. 즉, 각각 한쪽으로는 (+), 다른 한쪽으로는 (-)로 연결한다. 디자인에 따라서, 5v, 12v, 13v, 24v 등으로 결정이 가능하다. 도체(114)에는 전류가 흐르고, 열선(116)은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하는 발열부분이다.
단열재(120)는 발열재(110)가 상면에 설치되고 하면에는 대시보드(20)에 부착을 위한 부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착수단은 단열재(120)의 하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서 대시보드(20)에 부착하거나 또는, 단열재(120)의 하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기성품화하고, 손쉽게 구입하여 다양한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발열재(110)를 단열재(120)로 대시보드(20)에 부착함으로써 대시보드(20)에 직접 열이 가해지는 것이 아니어서 화재의 예방도 가능하고, 발열재(110)의 열손실을 방지하여 와이퍼 블레이드(30) 안착부(50)로의 열 발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본 발명 결빙 방지 장치(10)의 다른 실시예로, 발열재(110)는 차량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화시키는 탄소섬유 소재의 면상발열체일 수 있다. 즉, 단열재(120)의 상면에 열선(116) 대신에 면상발열체를 설치하여 보다 효과적인 발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면상발열체는 니켈-크롬선 히터나 카본 히터와 같은 선상 발열체와는 달리, 넓은 범위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점으로 여러 가지 용도로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면상발열체는 소정의 패턴으로 카본 등의 일정 저항을 갖고 있는 도전성물질을 절연체에 도포하여 형성하고 이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열시키는 방법과 카본선이나 니크롬선 등의 저항선을 섬유로 직조된 직물의 씨줄이나 날줄로 배치하고 이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열시키는 직물 발열판 방식이 있다.
본 발명 발열부재(100)의 설치모양은 도 2의 예시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즉, 상황에 따라서 발열부재(100)의 모양은 다양하게 변화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 결빙 방지 장치(10)의 또 다른 실시예로, 발열부재(100)는 디프로스터(130) 및 배출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프로스터(130)는 차량 대시보드(20) 전면에서 와이퍼 블레이드(30)의 안착부(5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30)의 안착부(50)를 향하여 열풍을 분사할 수 있다. 디프로스터(130)는 서리, 빙설(氷雪)을 제거하는 것으로, 차량에서는 운전석 전면 유리창(40)에 부착하여 서리나 빙설 등으로 시야가 흐리지 않게 이를 제거하는 장치를 말한다.
배출부재(140)는 차량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디프로스터(130)를 통해서 발산되는 열풍을 수용하고, 발산된 열풍을 차량의 레그 룸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부재(140)는 열기배출관(142) 및 환기팬(144)을 포함할 수 있다.
열기배출관(142)은 디프로스터(130) 측으로 흡입구가 배치되고 차량의 레그 룸 측으로는 배출구가 배치되어, 디프로스터(130)에서 발생된 열풍의 실외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기배출관(142)은 배출구가 차량의 하부 즉, 운전자나 승객의 다리나 엔진룸 쪽으로 연결되어 디프로스터(130)로부터 수용된 열풍을 차량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환기팬(144)은 열기배출관(142)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열기를 레그 룸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온도 측정부재(200)는 차량 대시보드(2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외부와 연결되어 차량 내외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300)는 발열부재(100) 및 온도 측정부재(200)에 각각 연결되며 발열부재(100) 및 온도 측정부재(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300)는 온도 측정부재(200)로 측정한 온도가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온도의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발열부재(100)를 작동시켜서 발열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측정부재(200)로 측정한 온도가 설정된 온도의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량에 별도로 구비된 컨트롤러(300)에 연결된 작동 스위치(40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발열부재(100)를 작동시켜서 와이퍼 블레이드(30) 안착부(50)에 열원을 제공하여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전면 유리창(4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즉, 영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영하의 온도가 설정된 시간, 즉, 서리가 끼거나 얼음이 어는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에 컨트롤러(300)가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발열부재(100)를 작동시켜서 와어퍼 블레이드(30)의 안착부(50)에 발열을 가하여 결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 결빙 방지 장치(10)의 컨트롤러(300)는 무선통신모듈(310)을 구비하여 스마트키나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여 외부에서 원격으로 발열부재(100)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발열부재(100)는 모바일 단말기 등과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트스 통신모듈 및 지그비 등의 무선통신모듈(310) 중에서 어느 하나로 연동된 컨트롤러(300)를 통해서 작동이 가능하다.
즉, 운전자는 결빙 방지 장치(10)를 블루투스 통신모듈, 와이파이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인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나 상기의 방식에만 국한하지 않고 최선의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 결빙 방지 장치에 적용되는 발열부재(100)인 발열재(110), 면상발열체, 디프로스터(130)는 각각이 독립적으로 따로 설치되거나 상황에 따라 2~3 개 서로 동시에 조합되면서 설치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30)의 결빙 방지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퍼 결빙 방지 장치(10)를 작동시키는 한 방법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방법과 자동 작동 방법이 있다. 운전자에 의한 조작은, 흔히 차량 내부의 온도 조절을 위해, 운전자가 냉풍 또는 열풍을 차량 내부에 내보낼 때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결빙 방지 장치(10)는 컨트롤러(300)에 연결되며 발열부재(100)를 작동시키는 작동 스위치를 구비하여, 운전자가 와이퍼 블레이드(30)의 해빙을 위해 작동 스위치(400)를 켜서 발열부재(100)를 가동할 수 있다.
다른 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와이퍼 블레이드(30) 안착부(50)의 유리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재(200)와 발열부재(100)에 연결되어 발열부재(100) 및 온도 측정부재(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0)에 의해, 온도 측정부재(200)를 통해서 측정된 차량의 외부 온도가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온도 이하로의 하강을 인지하는 경우 발열부재(100)의 발열을 유도하여 와이퍼 블레이드(30) 안착부(50)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30) 안착부(50)에 대응하는 대시보드(20) 부분에 설치되는 온도 측정부재(200)로 실시간으로 온도를 체크하여 컨트롤러(300)로 전송하고 컨트롤러(300)는 실외 온도가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온도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 발열부재(100)들을 각각 또는 동시에 같이 작동시켜서 와이퍼 블레이드(30)의 결빙이나 성에가 생성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는, 빠른 시간 내에 결빙을 해빙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00)에 구비된 무선통신모듈(310)을 통해서 스마트키나 외부의 단말기 등과 무선으로 연결하여 근거리에서 원격으로도 미리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결빙 방지 장치
20 : 대시보드
30 : 와이퍼 블레이드
40 : 전면 유리
50 : 안착부
100 : 발열부재
110 : 발열재
112 : 전원선
114 : 도체
116 : 열선
120 : 단열재
130 : 디프로스터
140 : 배출부재
142 : 열기배출관
144 : 환기팬
200 : 온도 측정부재
300 : 컨트롤러
310 : 무선통신모듈
400 : 작동 스위치

Claims (8)

  1. 삭제
  2.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설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안착되는 안착부에 대응하여 차량 대시보드 전면의 일부분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착부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착부에 열원을 제공하는 발열부재;
    상기 차량 대시보드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 내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재; 및
    상기 발열부재 및 상기 온도 측정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발열부재 및 상기 온도 측정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차량 대시보드 전면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착부를 향하여 열풍을 분사하는 디프로스터; 및
    상기 차량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디프로스터를 통해서 발산되는 열풍을 수용하고, 발산된 상기 열풍을 상기 차량의 레그 룸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디프로스터 측으로 흡입구가 배치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레그 룸 측으로는 배출구가 배치되어, 상기 디프로스터에서 발생된 열풍의 실외 배출을 유도하는 열기배출관; 및
    상기 열기배출관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차량에 발생하는 열기를 상기 레그 룸으로 배출시키는 환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차량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기 저항을 이용하여 열원을 생성하는 니크롬 소재의 열선이 구비된 발열재; 및
    상기 발열재가 상면에 설치되고 하면에는 상기 대시보드에 부착을 위한 부착수단이 구비된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 측정부재로 측정한 온도가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온도의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열부재를 작동시켜서 발열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열재는,
    상기 차량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화시키는 탄소섬유 소재의 면상발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스마트키나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여 외부에서 원격으로 상기 발열부재의 작동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
KR1020190089999A 2019-07-25 2019-07-25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 KR102194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999A KR102194209B1 (ko) 2019-07-25 2019-07-25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999A KR102194209B1 (ko) 2019-07-25 2019-07-25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209B1 true KR102194209B1 (ko) 2020-12-22

Family

ID=7408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999A KR102194209B1 (ko) 2019-07-25 2019-07-25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2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2403A (ja) * 1996-04-09 1997-10-21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ワイパディアイサ装置
KR20030072894A (ko) 2002-03-07 2003-09-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 결빙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67643A (ko) 2004-12-15 2006-06-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와이퍼 해빙장치
JP2007008227A (ja) * 2005-06-28 2007-01-1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20120039370A (ko) * 2010-10-15 2012-04-25 오토커넥터주식회사 탄소섬유 면상발열체를 적용한 발열패드
KR20140014486A (ko) * 2012-07-24 2014-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와이퍼의 해빙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2403A (ja) * 1996-04-09 1997-10-21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ワイパディアイサ装置
KR20030072894A (ko) 2002-03-07 2003-09-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 결빙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67643A (ko) 2004-12-15 2006-06-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와이퍼 해빙장치
JP2007008227A (ja) * 2005-06-28 2007-01-1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20120039370A (ko) * 2010-10-15 2012-04-25 오토커넥터주식회사 탄소섬유 면상발열체를 적용한 발열패드
KR20140014486A (ko) * 2012-07-24 2014-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와이퍼의 해빙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1695B2 (en) Vehicle surfaces cleaning and de-icing system and method
RU2468940C1 (ru) Узел бескаркасного подогреваемого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и система, в которой он используется
US7568256B1 (en) Heated Windshield Wiper Apparatus
CN202171375U (zh) 底盘防结冰结构及空调器
US5749118A (en) Heated wiper blade
US20080163445A1 (en) Wiper blade assembly with timer
CN205022545U (zh) 车载电加热除雾除霜装置及具有其的车辆
CA2657052C (en) Vehicle de-icing apparatus
CN105620425A (zh) 用于机动车辆的擦拭器装置
KR102194209B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빙 방지 장치
CN202229355U (zh) 一种汽车空调控制器
CN109159761A (zh) 汽车雨刷器及具有该汽车雨刷器的汽车
CN106427906A (zh) 车辆挡风玻璃除霜除污系统
CN210591791U (zh) 车辆及其风窗加热装置
CA3044215C (en) Cladd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CN204978560U (zh) 一种汽车前风窗玻璃加热控制装置
CN201390233Y (zh) 新型除霜器
CN106696901A (zh) 风窗除霜控制系统、方法及汽车
CN104890640A (zh) 一种车用除霜器
CN209795415U (zh) 一种新型可除霜的雨刮器结构
CN216943000U (zh) 除霜系统及具有其的车辆
CN204736823U (zh) 一种车用除霜器
CN203005373U (zh) 一种高效除霜、除冰车用热风机
CN206569050U (zh) 一种车载除霜器
RU13699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льда и снега с щеток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