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095B1 - 팝업식 촬영 모듈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팝업식 촬영 모듈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095B1
KR102194095B1 KR1020197028217A KR20197028217A KR102194095B1 KR 102194095 B1 KR102194095 B1 KR 102194095B1 KR 1020197028217 A KR1020197028217 A KR 1020197028217A KR 20197028217 A KR20197028217 A KR 20197028217A KR 102194095 B1 KR102194095 B1 KR 102194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casing
photographing
magne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838A (ko
Inventor
지에밍 양
홍지 진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2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팝업식 촬영 모듈 및 단말기를 게공하고, 이는 단말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은, 모듈 케이싱, 촬영 케이싱, n개의 코일,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을 포함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고, 모듈 케이싱에는 촬영 케이싱의 팝업 홀이 형성되고, 촬영 케이싱의 상방의 내부에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n개의 코일은 병렬로 구비되되 축방향으로 촬영 케이싱의 하방의 외벽을 감싸고, 제1 자석과 제2 자석은 모듈 케이싱 내에 구비되고, n개의 코일은 제1 자석과 제2 자석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팝업식 촬영 모듈은, 관련기술과 비교하였을 때, 모터, 기어 어셈블리, 스크류 등 기계장치에 의해 팝업 및 수축을 실현하는 것에 대하여, 팝업식 촬영 모듈 구조의 복잡도를 저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지되는 공간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팝업식 촬영 모듈 및 단말기
본 원은 2019년 4월 30일자로 제출한 중국 전리출원 201910363554.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하기 전문은 상기 중국 전리출원의 공개 내용을 인용하여 본 발명의 참고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팝업식 촬영 모듈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의 전방 카메라는 풍부한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진 찍기 기능, 촬영 기능, 게임 오락 기능, 잠금 해제, 지불 기능 등을 제공한다. 단말기(예를 들면 전체화면 휴대전화)의 화면 차지비율이 점점 높아지므로, 전방 카메라가 단말기의 전면 패널에 차지하는 공간이 좁아진다.
전체화면 휴대전화를 일예로, 관련기술에는 전체화면 휴대전화에 팝업식 촬영 모듈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을 젠체화면 휴대전화의 중간 프레임의 상부 가장자리에 구비한다. 촬영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팝업식 촬영 모듈은 수축상태이고 젠체화면 휴대전화의 내부에 은닉된다. 촬영 상태에서는, 팝업식 촬영 모듈은 팝업 상태이고 젠체화면 휴대전화의 중간 프레임의 상부에 노출된다.
관련기술에는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을 모터, 기어 어셈블리, 스크류 등 기계장치에 의해 실현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차지하는 공간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팝업식 촬영 모듈 및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팝업식 촬영 모듈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면에 따르면, 모듈 케이싱, 촬영 케이싱, n개의 코일,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n이 1보다 큰 정수인 팝업식 촬영 모듈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싱에는 상기 촬영 케이싱의 팝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촬영 케이싱의 상방의 내부에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n개의 코일은 병렬로 구비되되 축방향으로 상기 촬영 케이싱의 하방의 외벽을 감싸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모듈 케이싱 내에 구비되고, 상기 n개의 코일은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 사이에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은 영구자석이고, 극성이 서로 상대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촬영 케이싱의 팝업과정에서, 상기 n개의 코일은 제1 전자기장 조합을 발생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구동에 의해, 상기 촬영 케이싱을 푸시하여 상기 모듈 케이싱에서 팝업시키고,
상기 촬영 케이싱의 수축과정에서, 상기 n개의 코일은 제2 전자기장 조합을 발생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구동에 의해, 상기 촬영 케이싱을 이끌어 상기 모듈 케이싱에 수축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n개의 코일은 제1 코일 세트와 제2 코일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과정 또는 상기 수축과정에서, 상기 제1 코일 세트와 상기 제2 코일 세트는 각각 자성이 반대되는 전자기장을 발생하여, 상기 촬영 케이싱의 팝업 또는 수축을 구동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듈 케이싱에는 위치 제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촬영 케이싱에는 상기 위치 제한 홈에 대응되는 위치 제한부가 구비되고,
상기 팝업과정 또는 상기 수축과정에서, 상기 촬영 케이싱의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위치 제한 홈에서 슬라이딩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은 제1 레일 격판과 제2 레일 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 격판은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촬영 케이싱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레일 격판은 상기 제2 자석과 상기 촬영 케이싱 사이에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은 자기 차폐층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 차폐층은 상기 n개의 코일과 상기 촬영 케이싱 사이에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은 상기 n개의 코일과 결합하는 급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 회로는 유연한 회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면에 따르면, 단말기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는 바디 케이싱,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 및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에 대응되는 전류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제어 어셈블리는 급전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의 상기 n개의 코일과 각각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류 제어 어셈블리는,
카메라 팝업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 팝업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코일에 제1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n개의 코일이 상기 제1 전자기장 조합을 발생하도록 하고,
카메라 수축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 수축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코일에 제2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n개의 코일이 상기 제2 전자기장 조합을 발생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류 제어 어셈블리에는 전류변화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전류변화정보는 각 상기 코일이 상기 팝업과정 및 상기 수축과정 중에서 전류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의하면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팝업식 촬영 모듈은, 코일이 통전된 후 자석과 서로 작용하여, 팝업식 촬영 모듈의 팝업 및 수축을 실현할 수 있다. 관련기술과 비교하였을 때, 모터, 기어 어셈블리, 스크류 등 기계장치에 의해 팝업 및 수축을 실현하는 것에 대하여, 팝업식 촬영 모듈 구조의 복잡도를 저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지되는 공간도 절약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할 세부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팝업식 촬영 모듈의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2는 제1 자석과 제2 자석의 극성이 상대되는 예시도이다.
도3은 제1 자석과 제2 자석의 극성이 상대되는 예시도이다.
도4는 모듈 케이싱의 위치 제한 홈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5는 촬영 케이싱의 위치 제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말기의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7은 촬영 케이싱이 팝업 상태인 단말기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8은 촬영 케이싱이 팝업 상태인 단말기 형태의 좌측면도이다.
도9는 촬영 케이싱이 팝업 상태인 단말기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10은 촬영 케이싱이 팝업 상태인 단말기 형태의 우측면도이다.
도11은 촬영 케이싱이 팝업 상태인 단말기 형태의 후면도이다.
도12는 촬영 케이싱이 팝업 상태인 단말기 형태의 저면도이다.
도13은 촬영 케이싱이 팝업 상태인 부분적인 정면도이다.
도14는 촬영 케이싱이 팝업 상태인 부분적인 후면도이다.
도15는 촬영 케이싱이 수축상태인 단말기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16은 촬영 케이싱이 수축상태인 단말기 형태의 좌측면도이다.
도17은 촬영 케이싱이 수축상태인 단말기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18은 촬영 케이싱이 수축상태인 단말기 형태의 우측면도이다.
도19는 촬영 케이싱이 수축상태인 단말기 형태의 후면도이다.
도20은 촬영 케이싱이 수축상태인 단말기 형태의 저면도이다.
도21은 단말기 내부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22는 촬영 케이싱의 팝업과정 및 수축과정의 흐름도이다.
도23은 전류변화곡선의 예시도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실예는 도면에 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 도면에 관한 설명에 대하여 별도의 표시가 없을 경우 서로 다른 도면에서 나타나는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표시한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실시방식은 본 발명과 일치하는 모든 실시방식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되는 청구 범위에 기재되는 본 발명의 일 방면과 일치하는 장치 및 방법의 일예일 뿐이다.
도1을 참고해 보면,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팝업식 촬영 모듈의 구조 예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은, 모듈 케이싱(10), 촬영 케이싱(21), n개의 코일(22), 제1 자석(23) 및 제2 자석(24)을 포함하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전방 카메라일 수 있고, 후방 카메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팝업식 촬영 모듈 중의 촬영 케이싱(21)은 팝업(Pop-up) 상태이고, 단말기 외부에 노출되고,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팝업식 촬영 모듈의 촬영 케이싱(21)은 수축상태이고, 단말기 내부에 은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종류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는 시뮬레이션 카메라일 수 있고, 디지털 카메라일 수도 있다. 카메라가 시뮬레이션 카메라일 경우, 보다 더 높은 화소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팝업식 촬영 모듈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카메라는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모듈 케이싱(10)에는 촬영 케이싱(21)의 팝업 홀이 형성되고, 촬영 케이싱(21) 상방의 내부에는 카메라(미도시)가 구비된다. 촬영 케이싱(21)이 팝업 홀을 지나 단말기 외부에 노출될 경우, 촬영 케이싱(21) 내의 카메라는 촬영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듈 케이싱(10)은 입방체 형상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촬영 케이싱(21)의 카메라의 렌즈와 상대되는 일면에는 렌즈 시트가 구비되어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싱(10)은 단말기에 고정되어 팝업식 촬영 모듈 전체를 지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팝업식 촬영 모듈과 단말기 내부의 기타 부재를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밀봉, 먼지방지 및 방수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코일(22)은 병렬되게 구비되며 축방향으로 촬영 케이싱(21) 하방의 외벽을 감쌀 수 있다. 상기 n개의 코일(22)은 코일 어레이(Coil array)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n개의 코일(22)의 분포 방향은 촬영 케이싱(21)의 팝업 및 수축 방향과 일치하다.
제1 자석(23) 및 제2 자석(24)은 모듈 케이싱(10) 내에 구비되고, n개의 코일(22)은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 사이에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은 영구자석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은 전자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의 극성은 상대될 수 있다. 즉, 제1 자석(23)의 촬영 케이싱(21)의 일단과 가까운 극성은 제2 자석(24)의 촬영 케이싱(21)의 일단과 가까운 극성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2를 참조하면, 제1 자석(23)의 촬영 케이싱(21)의 일단과 가까운 부분은 N극이고, 제2 자석(24)의 촬영 케이싱(21)의 일단과 가까운 부분도 N극이다. 또 예를 들면, 도3을 참조하면, 제1 자석(23)의 촬영 케이싱(21)의 일단과 가까운 부분은 S극이고, 제2 자석(24)의 촬영 케이싱(21)의 일단과 가까운 부분도 S극이다.
촬영 케이싱(21)의 팝업과정에서, n개의 코일(22)은 제1 전자기장 조합을 생성하고,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의 구동에 의해, 촬영 케이싱(21)을 푸시하여 모듈 케이싱(10)에서 팝업시킨다.
코일에 전류가 통과된 후 전자기장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장은 자석의 자기장과 서로 흡인 또는 서로 배척할 수 있다. 코일의 전자기장과 자석의 자기장 사이에서 서로 흡인할 경우, 코일과 자석은 서로 가까워지고, 반대로, 코일의 전자기장과 자석의 자기장 사이에서 서로 배척할 경우, 코일과 자석은 서로 멀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자석이 모듈 케이싱(10) 내에 구비되고 모듈 케이싱(10)이 단말기에 고정되므로, 자석은 이동할 수 없고, 코일은 자석에 가까워지거나 멀리할 수 있도록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n개의 코일은 제1 코일 세트 및 제2 코일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일 세트는 모듈 케이싱(10)의 팝업 홀에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하고, 제2 코일 세트는 모듈 케이싱(10)의 팝업 홀과 멀리한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한다.
팝업과정 또는 수축과정에서, 제1 코일 세트와 제2 코일 세트는 각각 극성이 반대되는 전자기장을 발생하여 촬영 케이싱의 팝업 또는 수축을 구동시킬 수 있다.
촬영 케이싱(21)의 팝업과정에서, 상기 제1 전자기장 조합은, 제1 코일 세트가 발생하는 제1 전자기장과 제2 코일 세트가 발생하는 제2 전자기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자기장은 제1 자석(23) 및 제2 자석(24)과 서로 흡인하는 전자기장이고, 제2 전자기장은 제1 자석(23) 및 제2 자석(24)과 서로 배척하는 전자기장이다.
제1 전자기장이 제1 자석(23) 및 제2 자석(24)과 서로 흡인하는 전자기장일 경우,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은 제1 코일 세트에 대하여 흡인력을 가지므로 제1 코일 세트를 이끌어 모듈 케이싱(10)의 팝업 홀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 전자기장이 제1 자석(23) 및 제2 자석(24)과 서로 배척하는 전자기장일 경우,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은 제2 코일 세트에 대하여 배척력을 가지므로, 제2 코일 세트를 푸시(push)하여 모듈 케이싱(10)의 팝업 홀에 가까운 방향으로 시동시킨다. 이로써, n개의 코일(22)은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의 구동에 의해, 촬영 케이싱(21)을 푸시하여 모듈 케이싱(10)에서 팝업시킨다.
촬영 케이싱(21)의 수축과정에서, n개의 코일(22)은 제2 전자기장 조합을 발생하며,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의 구동에 의해, 촬영 케이싱(21)을 모듈 케이싱에 수축시킨다.
제1 코일 세트와 제2 코일 세트에 대하여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촬영 케이싱(21)의 수축과정에서, 제2 전자기장 조합은, 제1 코일 세트에서 발생하는 제3 전자기장과 제2 코일 세트에서 발생하는 제4 전자기장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전자기장은 제1 자석(23) 및 제2 자석(24)과 서로 배척하는 전자기장이고, 제4 전자기장은 제1 자석(23) 및 제2 자석(24)과 서로 흡인하는 전자기장이다.
제3 전자기장이 제1 자석(23) 및 제2 자석(24)과 서로 배척하는 전자기장일 경우,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은 제1 코일 세트에 대하여 배척력을 가지므로, 제1 코일 세트를 푸시하여 모듈 케이싱(10)의 팝업 홀과 멀리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4 전자기장이 제1 자석(23) 및 제2 자석(24)과 서로 흡인하는 전자기장일 경우,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은 제2 코일 세트에 대하여 흡인력을 가지므로, 제2 코일 세트를 이끌어 모듈 케이싱(10)의 팝업 홀과 멀리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n개의 코일(22)이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의 구동에 의해, 촬영 케이싱(21)을 모듈 케이싱(10)에 수축시킨다.
선택적으로, 도4를 참조하면, 모듈 케이싱(10)에는 위치 제한 홈(11)이 구비된다. 도5를 참조하면, 촬영 케이싱(21)에는 위치 제한 홈(11)과 대응되는 위치 제한부(12)가 구비된다. 팝업과정 또는 수축과정에서, 촬영 케이싱(21)의 위치 제한부(12)는 위치 제한 홈(11)에서 슬라이딩한다.
상기 위치 제한 홈(11)은 모듈 케이싱(10)의 내벽에 구비된다. 위치 제한 홈(11)은 직사각형 홈 또는 U형 홈 또는 T형 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위치 제한부(12)는 촬영 케이싱(21)의 모듈 케이싱(10)의 팝업 홀과 멀리한 일측에 구비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한부(12)는 촬영 케이싱(21)에 구비되는 위치 제한 스크류 또는 위치 제한 볼트일 수 있다. 상기 위치 제한 스크류 또는 위치 제한 볼트는 위치 제한 홈(11)에 대응된다. 다른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한부(12)는 촬영 케이싱(21)에 일체로 형성된 보스부일 수 있고, 상기 보스부는 위치 제한 홈(11)에 대응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제한 홈(11)의 수량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고, 하나 또는 복수개 일 수 있고, 이와 대응되게, 위치 제한부(12)도 하나 또는 복수개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제한 홈과 위치 제한부는 서로 대응된다. 일 방면에 있어서, 촬영 케이싱은 팝업과정 또는 수축과정에서, 위치 제한부가 위치 제한 홈 내에서 슬라이딩하고, 다른 일 방면에 있어서, 위치 제한 홈의 길이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촬영 케이싱의 최대 이동거리에 대하여 제한하므로, 촬영 케이싱이 모듈 케이싱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1을 참조하면, 팝업식 촬영 모듈은, 제1 레일 격판(25)과 제2 레일 격판(26)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레일 격판(25)은 제1 자석(23)과 촬영 케이싱(21) 사이에 구비되고, 제2 레일 격판(26)은 제2 자석(24)과 촬영 케이싱(2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1 레일 격판(25)과 제2 레일 격판(26)은 모듈 케이싱(10) 내부의 양측에 대칭되게 구비되고, 제1 레일 격판(25)이 제1 자석(23)과 촬영 케이싱(21)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자석(23)과 촬영 케이싱(21)을 격리시키고, 제2 레일 격판(26)이 제2 자석(24)과 촬영 케이싱(21) 사이에 구비되어 제2 자석(24)과 촬영 케이싱(21)을 격리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레일 격판에 의해 자석과 촬영 케이싱이 격리되므로, 촬영 케이싱이 팝업과정 및 수축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이 자석에 대하여 손상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촬영 케이싱의 팝업과 수축에 대하여 좋은 윤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5를 참고하면, 코일의 단면에 따라 절개한 후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팝업식 촬영 모듈은 자기 차폐층(27)을 더 포함한다. 자기 차폐층(27)은 n개의 코일(22)과 촬영 케이싱(21) 사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의 내부 환(環)에 자기 차폐층을 구비하므로써, 코일이 통전된 후 발생되는 전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카메라 동작의 간섭을 저하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1을 참조하면, 팝업식 촬영 모듈은 n개의 코일과 결합하는 급전 회로(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전 회로(28)는 유연한 회로일 수 있다. 상기 급전 회로(28)는 n개의 코일에 급전한다. 한편, 상기 급전 회로(28)는 카메라에 급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팝업식 촬영 모듈은, 코일이 통전된 후 자석과 서로 작용함으로써, 팝업식 촬영 모듈의 팝업 및 수축을 실현할 수 있다. 관련기술과 비교하였을 때, 모터, 기어 어셈블리, 스크류 등 기계장치에 의해 팝업 및 수축을 실현하는 것에 대하여, 팝업식 촬영 모듈의 구조의 복잡도를 저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지되는 공간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제한 홈과 위치 제한부가 서로 대응되므로써, 촬영 케이싱이 팝업과정 또는 수축과정에서, 위치 제한부가 위치 제한 홈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고, 한편, 위치 제한 홈의 길이가 제한됨으로써, 촬영 케이싱의 최대 이동거리에 대하여 제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촬영 케이싱이 모듈 케이싱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레일 격판이 자석과 촬영 케이싱을 격리시킴으로써, 촬영 케이싱이 팝업과정 및 수축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이 자석에 대하여 손상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촬영 케이싱의 팝업 및 수축에 대하여 좋은 윤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의 내부 환에 자기 차폐층을 구비함으로, 코일이 통전된 후 발생되는 전자기장의 자기장 강도를 향상시키고, 카메라 동작에 대한 간섭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말기의 구조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 폰, 태블릿, 전자책 리더기, 게임기, 웨어러블 기기, 의료장치 등일 수 있다.
단말기(200)는 바디 케이싱(210), 팝업식 촬영 모듈(220), 및 팝업식 촬영 모듈(220)에 대응되는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케이싱(210)은 단말기(200)의 본체 프레임이다. 바디 케이싱(210)은 일반적으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육면체의 일부분의 가장자리 또는 각은 원호형 모따기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 케이싱(210)의 정면은 일반적으로 원각 사각형 또는 직각 사각형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바디 케이싱(210)은 중간 프레임(211)일 수 있다. 중간 프레임(211)은 바디 케이싱(210) 주변의 프레임이다.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220)은, 모듈 케이싱(10), 카메라, 촬영 케이싱(21), n개의 코일(22), 제1 자석(23) 및 제2 자석(24)을 포함한다.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특히 전방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팝업식 촬영 모듈(220) 중의 촬영 케이싱(21)은 팝업 상태이고 단말기 외부에 노출되므로, 촬영 케이싱(21) 내의 카메라는 촬영할 수 있다. 도7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촬영 케이싱이 팝업 상태인 단말기 형태의 육면 도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순서대로, 평면도, 좌측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후면도 및 저면도이다. 한편,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촬영 케이싱(21)이 팝업 상태인 부분적인 정면도 및 후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전방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촬영 케이싱(21)은 수축상태이고 단말기 내부에 은닉되므로, 촬영 케이싱(21) 내의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다. 도15 내지 도20을 참조하면, 촬영 케이싱이 수축상태인 단말기 형태의 육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순서대로, 평면도, 좌측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후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21을 참조하면, 단말기 내부 구조의 예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팝업식 촬영 모듈(220)의 모듈 케이싱(10)이 바디 케이싱(210)에 고정 결합되어, 바디 케이싱(210)과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고, 촬영 케이싱(21)이 수용 캐비티 내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모듈 케이싱(10)은 스크류 연결, 용접, 접착 등 방식에 의해 바디 케이싱(2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팝업식 촬영 모듈(220)에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는 급전 회로에 의해 팝업식 촬영 모듈(220)의 n개의 코일(22) 각각과 결합하여, 각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전자기장 조합을 발생시킬 수 있고, 자석의 자기장과 서로 작용하여 촬영 케이싱(21)의 팝업 및 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6을 참조하면,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2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화상 및 색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40)는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터치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기능외에, 사용자의 터치조작(예를 들면, 클릭, 슬라이딩, 누름 등 조작)의 기능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240)는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스크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200)는 처리 어셈블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어셈블리(250)는 단말기(200) 전체의 중앙 제어 시스템일 수 있고, 논리부분의 제어 센터일 수 있다. 처리 어셈블리(250)는 메모리 내의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고 메모리내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어셈블리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MCU(Micro Control Unit, 마이크로 처리장치)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는 상기 처리 어셈블리(250)에 집성될 수 있고, 또는, 처리 어셈블리(250)와 별도로 구비되어 처리 어셈블리(250)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200)는 전원(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260)은 단말기(200)의 전체 부재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260)은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 및 처리 어셈블리(250)와 각각 결합되어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 및 처리 어셈블리(2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는 팝업식 촬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은 전류 제어 어셈블리의 제어에 의해, 촬영 케이싱의 팝업 및 수축을 실현할 수 있다. 관련기술과 비교하였을 때, 모터, 기어 어셈블리, 스크류 등 기계장치에 의해 팝업 및 수축을 실현하는 것에 대하여, 팝업식 촬영 모듈 구조의 복잡도를 저하시켰을 뿐만 아니라 차지되는 공간도 절약할 수 있다.
이하, 단말기(200)의 팝업식 촬영 모듈(220)의 촬영 케이싱(21)의 팝업과정 및 수축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와 처리 어셈블리(250)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말기(200)에 구비된다.
도22를 참조하면, 촬영 케이싱(21)의 팝업과정 및 수축과정의 흐름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단말기(200)의 처리 어셈블리(250)는 사용자가 단말기(200)에 대하여 조작하여 트리거 된 명령을 수신한다. 상기 명령은 카메라 팝업명령 또는 카메라 수축명령일 수 있다. 처리 어셈블리(250)는 상기 명령을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에 발송한다.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는 급전 회로에 의해 촬영 케이싱의 n개의 코일(22) 중 각 코일의 전류를 제어하여, 촬영 케이싱(21)의 팝업 또는 수축을 제어한다. 여기서, 전원(260)은 상기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 및 처리 어셈블리(250)에 전원을 공급한다.
다음,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가 촬영 케이싱(21)의 팝업을 제어하는 과정 및 수축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촬영 케이싱(21)의 팝업과정에서,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는 카메라 팝업명령을 수신하고, 카메라 팝업명령에 근거하여 n개의 코일(22)에 제1 전류를 공급하도록 급전 회로를 제어하여, n개의 코일(22)에 제1 전자기장 조합을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 팝업명령은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가 n개의 코일(22)에 제1 전류를 공급하도록 하는 명령이다. 카메라 팝업명령은 촬영 응용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트리거될 수 있다. 단말기는 상기 촬영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응용 프로그램은 운영 체제 자체가 갖고 있는 촬영 응용 프로그램일 수 있고, 제3자가 제공하는 촬영 응용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3자가 제공하는 촬영 응용 프로그램은 운영 체제의 최초에 설치되거나, 사용자가 다운하여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설치된 촬영 응용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단말기에서 상기 촬영 응용 프로그램을 운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성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 응용 프로그램을 운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카메라 기동"의 응성을 녹음하고, 대응되게, 단말기가 상기 음성을 수집한 후 상기 촬영 응용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단말기는 상기 촬영 응용 프로그램을 운영한 후, 상기 촬영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에 실체 또는 터치제어 버튼을 설치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음성, 손자세 트리거 등에 의해 촬영 응용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상기 카메라 팝업명령을 트리거 할 수 있다.
전류 제어 어셈블리는 상기 카메라 팝업명령을 수신한 후, 현재 촬영 케이싱(21)의 팝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전류 제어 어셈블리는 급전 회로를 제어하여 n개의 코일(22)에 제1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제1 전류는 n개의 코일(22)에서 제1 전자기장 조합이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전자기장 조합은 제1 코일 세트가 발생하는 제1 전자기장과 제2 코일 세트가 발생하는 제2 전자기장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자기장은 제1 자석 및 제2 자석과 서로 흡인하는 전자기장이고, 제2 전자기장은 제1 자석 및 제2 자석과 서로 배척하는 전자기장이므로, 촬영 케이싱의 팝업을 구동할 수 있다.
2. 촬영 케이싱(21)의 수축과정에서,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는 카메라 수축명령을 수신한다. 카메라 수축명령에 근거하여 n개의 코일(22)에 제2 전류를 공급하도록 급전 회로를 제어하여, n개의 코일이 제2 전자기장 조합을 발생하도록 한다.
촬영 케이싱(21)의 팝업과정과 대응되게, 상기 카메라 수축명령은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가 n개의 코일(22)에 제2 전류를 제공하도록 하는 명령이다. 카메라 수축명령은 촬영 응용 프로그램을 오프(Off)함으로써 트리거 될 수 있다.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는 상기 카메라 수축명령을 수신한 후, 현재 촬영 케이싱(21)을 수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고, 전류 제어 어셈블리는 급전 회로를 제어하여 n개의 코일(22)에 제2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제2 전류는 n개의 코일(22)에서 제2 전자기장 조합을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제2 전자기장 조합은 제1 코일 세트가 발생하는 제3 전자기장과 제2 코일 세트가 발생하는 제4 전자기장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전자기장는 제1 자석(23) 및 제2 자석(24)과 서로 배척하는 전자기장이고, 제4 전자기장는 제1 자석(23) 및 제2 자석(24)과 서로 흡인하는 전자기장이므로, 촬영 케이싱(21)의 수축을 구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에는 전류변화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전류변화정보는 각 코일이 팝업과정 및 수축과정 중의 전류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상기 전류변화정보는 전류 제어 어셈블리(2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촬영 케이싱(21)의 팝업과정 또는 수축과정에서, 상기 전류변화정보를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류변화정보는 하나의 주기(촬영 케이싱(21)의 팝업과정 및 수축과정을 포함) 중 전류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곡선일 수 있다.
도23을 참조하면, 전류변화곡선의 예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전류변화곡선은 팝업과정의 전류변화곡선과 수축과정의 전류변화곡선을 포함한다.
여기서, 곡선in는 제 n개의 코일 중의 전류변화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곡선i1는 첫번째 코일 중의 전류변화를 나타내고, 곡선i2는 두번째 코일 중의 전류변화를 나타내고, 곡선i3는 세번째 코일 중의 전류변화 등을 나타낸다. Imax는 전체 주기 중 전류의 최대값을 나타내고, -Imax는 전체 주기중 역 전류의 최대값을 나타내고, t는 시간을 나타낸다.
도2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전류변화곡선은 사인 곡선과 유사하다. 이는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의 극성이 상대적이므로,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 사이에는 자기장 강도가 가장 약한 위치가 나타내고, 상기 위치 양측의 마그네틱 라인은 서로 반대이다. 따라서, 제1 자석(23)과 제2 자석(24)의 자석 양단(즉, 자기장 강도가 가장 큰)위치에서만 전류를 최대로 인가하여, 코일의 추진효율을 향상시키고, 발열을 감소시키고, 전기 소모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류 제어 어셈블리에는 n개의 코일 중 각 코일의 전류변화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전류 제어 어셈블리는 상기 전류변화정보를 직접 사용하여 n개의 코일중의 전류를 제어하여, 촬영 케이싱의 팝업 및 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 관련기술과 비교하였을 때, 모터, 기어 어셈블리, 스크류 등 기계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촬영 케이싱의 팝업 및 수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팝업 및 수축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문에 기재되는 "복수개"는 2개 또는 2개 이상을 가리킨다. "및/또는"은 관련대상의 관련관계를 설명하며, 이는 3가지 관계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적으로 존재하거나,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B가 단독적으로 존재하는 3가지 상황을 나타낼 수 있고, 부호"/"는 전후의 관련대상이 "또는"의 관계를 가리킨다.
이상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정신 및 원칙 내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어떠한 수정, 동등한 교체 및 개진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모듈 케이싱, 촬영 케이싱, n개의 코일,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n이 1보다 큰 정수인 팝업식 촬영 모듈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싱에는 상기 촬영 케이싱의 팝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촬영 케이싱의 상방의 내부에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n개의 코일은 병렬로 구비되되 축방향으로 상기 촬영 케이싱의 하방의 외벽을 감싸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모듈 케이싱 내에 구비되고, 상기 n개의 코일은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식 촬영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은 영구자석이고, 극성이 서로 상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식 촬영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케이싱의 팝업과정에서, 상기 n개의 코일은 제1 전자기장 조합을 발생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구동에 의해, 상기 촬영 케이싱을 푸시하여 상기 모듈 케이싱에서 팝업시키고,
    상기 촬영 케이싱의 수축과정에서, 상기 n개의 코일은 제2 전자기장 조합을 발생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구동에 의해, 상기 촬영 케이싱을 이끌어 상기 모듈 케이싱에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식 촬영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코일은 제1 코일 세트와 제2 코일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과정 또는 상기 수축과정에서, 상기 제1 코일 세트와 상기 제2 코일 세트는 각각 자성이 반대되는 전자기장을 발생하여, 상기 촬영 케이싱의 팝업 또는 수축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식 촬영 모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싱에는 위치 제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촬영 케이싱에는 상기 위치 제한 홈에 대응되는 위치 제한부가 구비되고,
    상기 팝업과정 또는 상기 수축과정에서, 상기 촬영 케이싱의 상기 위치 제한부는 상기 위치 제한 홈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식 촬영 모듈.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은 제1 레일 격판과 제2 레일 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 격판은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촬영 케이싱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레일 격판은 상기 제2 자석과 상기 촬영 케이싱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식 촬영 모듈.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은 자기 차폐층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 차폐층은 상기 n개의 코일과 상기 촬영 케이싱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식 촬영 모듈.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은 상기 n개의 코일과 결합하는 급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 회로는 유연한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식 촬영 모듈.
  9. 바디 케이싱,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팝업식 촬영 모듈, 및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에 대응되는 전류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제어 어셈블리는 급전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팝업식 촬영 모듈의 상기 n개의 코일과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 어셈블리는,
    카메라 팝업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 팝업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코일에 제1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n개의 코일이 상기 제1 전자기장 조합을 발생하도록 하고,
    카메라 수축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 수축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코일에 제2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급전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n개의 코일이 상기 제2 전자기장 조합을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 어셈블리에는 전류변화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전류변화정보는 각 상기 코일이 상기 팝업과정 및 상기 수축과정 중에서 전류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97028217A 2019-04-30 2019-07-29 팝업식 촬영 모듈 및 단말기 KR102194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363554.0A CN111866237B (zh) 2019-04-30 2019-04-30 弹出式摄像模组和终端
CN201910363554.0 2019-04-30
PCT/CN2019/098198 WO2020220490A1 (zh) 2019-04-30 2019-07-29 弹出式摄像模组和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838A KR20200127838A (ko) 2020-11-11
KR102194095B1 true KR102194095B1 (ko) 2020-12-22

Family

ID=6915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217A KR102194095B1 (ko) 2019-04-30 2019-07-29 팝업식 촬영 모듈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19188B2 (ko)
EP (1) EP3734402B1 (ko)
JP (1) JP7431580B2 (ko)
KR (1) KR102194095B1 (ko)
CN (1) CN111866237B (ko)
RU (1) RU2729056C1 (ko)
WO (1) WO2020220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2175B (zh) * 2018-11-13 2022-02-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N112104807B (zh) * 2019-06-17 2023-07-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前置摄像头的控制方法、系统及装置
CN112558695A (zh) * 2020-12-22 2021-03-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和状态检测方法
WO2022190049A2 (en) * 2021-03-11 2022-09-15 Corephotonics Ltd. Systems for pop-out camera
WO2023070360A1 (en) * 2021-10-27 2023-05-0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WO2023070363A1 (en) * 2021-10-27 2023-05-0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assembly and electrical device
WO2023171123A1 (ja) * 2022-03-07 2023-09-1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CN115037848B (zh) * 2022-08-11 2023-01-20 荣耀终端有限公司 天线功率调节方法及电子设备
CN117555396A (zh) * 2024-01-11 2024-02-13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相机模组的存取方法、相机模组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536Y1 (ko) 2006-02-09 2006-04-2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슬라이드 힌지 구조
KR100819814B1 (ko) 2006-12-26 2008-04-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WO2015122740A1 (ko) 2014-02-17 2015-08-20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70237884A1 (en) 2015-10-30 2017-08-17 Essential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of a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9334A (ja) * 1991-11-28 1993-06-15 Toyo Shiyafuto Kk スライドレールユニツト
US20050014527A1 (en) * 2003-07-18 2005-01-20 Agere Systems Incorporated Retractable rotatable camera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0543794B1 (ko) * 2003-08-22 2006-01-20 텔슨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및 슬라이드 방법
EP1698925A1 (en) * 2004-04-13 2006-09-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es Co., Ltd. Camera module
KR20060016037A (ko) * 2004-08-16 2006-02-21 주식회사 팬택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955832B (zh) * 2005-10-28 2010-05-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码相机模组
TWI293130B (en) * 2006-01-19 2008-02-01 Asustek Comp Inc Camera module and electric device using the same
JP5169361B2 (ja) * 2008-03-21 2013-03-27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9237193A (ja) 2008-03-27 2009-10-15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CN101527490A (zh) * 2009-04-17 2009-09-09 惠州市百宏微动技术工业有限公司 一种超小型音圈电机
JP5149334B2 (ja) 2010-05-31 2013-02-20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主制御基板、周辺基板、遊技機の認証方法及び認証プログラム
JP2012032778A (ja) * 2010-07-02 2012-02-16 Sharp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
CN105048760B (zh) * 2010-07-06 2018-02-09 Lg伊诺特有限公司 音圈电机、线圈组件及其制造方法
JP5674618B2 (ja) * 2011-09-29 2015-0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
KR102054493B1 (ko) * 2012-11-07 2020-01-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513879B1 (ko) 2013-12-30 2015-04-21 (주)서울정기 자기 렌즈형 엑츄에이터
CN105430120A (zh) * 2014-09-16 2016-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塞子弹出系统、手机及手机塞子弹出方法
CN204408431U (zh) * 2015-02-25 2015-06-17 胡伟 手机
CN105141815B (zh) * 2015-09-02 2018-07-3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摄像头自动弹出装置和终端
CN205510137U (zh) * 2016-02-26 2016-08-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08024068B (zh) * 2016-11-03 202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双摄像头设备和终端设备
CN106850896B (zh) * 2017-03-07 2019-12-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
CN207118136U (zh) * 2017-07-27 2018-03-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207354463U (zh) * 2017-11-03 2018-05-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组件及移动终端
ES2816098T3 (es) * 2017-11-03 2021-03-3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ámara de teléfono móvil deslizable por fuerza electromagnética
CN108111729B (zh) * 2017-12-25 2019-11-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模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14785926B (zh) * 2018-02-13 2023-10-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208128327U (zh) 2018-05-04 2018-11-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208445590U (zh) * 2018-05-07 2019-01-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8965508B (zh) * 2018-06-06 2020-02-14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8834354B (zh) * 2018-07-10 2020-10-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功能组件、功能组件的控制方法和终端
CN208580354U (zh) * 2018-07-16 2019-03-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前置组件滑动结构及终端
CN208797996U (zh) * 2018-09-07 2019-04-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9379468B (zh) * 2018-12-15 2020-05-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US11245827B2 (en) * 2019-06-14 2022-02-0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module with rotatable reflection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536Y1 (ko) 2006-02-09 2006-04-2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슬라이드 힌지 구조
KR100819814B1 (ko) 2006-12-26 2008-04-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WO2015122740A1 (ko) 2014-02-17 2015-08-20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70237884A1 (en) 2015-10-30 2017-08-17 Essential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of a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24923A (ja) 2021-09-16
KR20200127838A (ko) 2020-11-11
CN111866237A (zh) 2020-10-30
JP7431580B2 (ja) 2024-02-15
CN111866237B (zh) 2022-06-03
US20200351395A1 (en) 2020-11-05
US11019188B2 (en) 2021-05-25
EP3734402A1 (en) 2020-11-04
RU2729056C1 (ru) 2020-08-04
WO2020220490A1 (zh) 2020-11-05
EP3734402B1 (en)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095B1 (ko) 팝업식 촬영 모듈 및 단말기
US20150316744A1 (en) Voice coil motor array module
JP6602344B2 (ja) 手ぶれ補正装置
JP201851039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に使用されるフィルタ切り替え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を含むモバイル機器
US20160018720A1 (en) Magnetic shielding between voice coil motors in a dual-aperture camera
CN209928110U (zh) 光学组件驱动机构及光学组件驱动系统
CN107911591A (zh) 一种摄像头模组、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673296B (zh) 摄像单元、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CN209134470U (zh) 电子装置
CN104267559A (zh) 具有自动对焦调整的多镜头成像装置及方法
US11333951B2 (en) Actuator for camera
JP2008170000A (ja) 携帯型電子機器用の摺動構造体
CN103576418A (zh) 具有自动对焦调整的可互换变焦透镜致动器
US11966097B2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WO2023078248A1 (zh) 光圈组件、摄像模组及电子设备
JP2007310242A (ja) レンズ駆動装置
TWI317202B (en) Actuator
US20220247330A1 (en) Electronic device
KR20160103680A (ko) 듀얼 렌즈용 싱글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01871A (ko) 보이스 코일 모터, 카메라 모듈, 및 전자 디바이스
US8462452B2 (en) Electromagnetic driving device
KR101270656B1 (ko) 카메라 모듈용 af 엑츄에이터
US8727647B2 (en) Actuator
CN110998492B (zh) 信息输出装置
CN213602678U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