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6037A -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6037A
KR20060016037A KR1020040064458A KR20040064458A KR20060016037A KR 20060016037 A KR20060016037 A KR 20060016037A KR 1020040064458 A KR1020040064458 A KR 1020040064458A KR 20040064458 A KR20040064458 A KR 20040064458A KR 20060016037 A KR20060016037 A KR 20060016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nit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6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6037A/ko
Publication of KR2006001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슬라이드와 하슬라이드로 이루어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하슬라이드에 구비되어 있고, 폴딩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위치 감지부, 상기 카메라 모듈 위치 감지부가 출력한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표시화면의 상하반전이 되므로, 사용자의 부가적인 키조작을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카메라, 모듈, 회동, 구동부, 위치, 감지부, 홀, 센서, 슬라이드,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2a 와 도 2b는 종래 카메라 모듈과 이에 따른 액정화면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카메라 모듈을 젖혀 올렸을 때의 모습과 이에 따른 액정화면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하슬라이드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메모리 140: 제어부
150: 무선회로부 160: 아날로그 음성처리부
170: 카메라 모듈 180: 카메라 모듈 위치감지부
190: 카메라 모듈 회동구동부 410: 홀 센서
420, 430: 영구자석 440: 전자석
450: 사이드 키 470: 하슬라이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올리고 내릴 수 있는 구조로 된 폴딩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점차 보급되어감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 바형 이동통신 단말기,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발전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본체 상에서 덮개가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형태의 슬라이드형 단말기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최근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를 올리고 내릴 수 있는 폴딩형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도 2a 와 도 2b는 종래 폴딩형 카메라 모듈과 이에 따른 액정화면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카메라 모듈을 자유롭게 올리고 내리면서 촬영을 할 수 있다. 도 2a는 일반적인 촬영시의 카메라 상태이다. 이때의 화면예는 도 2b에 도시된 바 와 같다.
그러나, 자기 자신을 찍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을 위로 올렸을 때 카메라에 입력되는 영상이 액정화면에 거꾸로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종래 카메라 모듈을 젖혀 올렸을 때의 모습과 이에 따른 액정화면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하반전을 위한 키를 눌러줘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잦은 사용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이 헐거워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슬라이드와 하슬라이드로 이루어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위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폴더가 회전하는 스윙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폴더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상폴더 위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스윙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슬라이드와 하슬라이드로 이 루어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하슬라이드에 구비되어 있고, 폴딩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위치 감지부, 상기 카메라 모듈 위치 감지부가 출력한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 위치 감지부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값을 출력하는 홀(Hall)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 위치 감지부로부터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이 일정 각도 이상 위로 올려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하를 반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회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모듈 회동 구동부가 추가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 회동 구동부는 상기 영구자석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하슬라이드의 측면에 구비된 사이드키의 눌림에 따라 극성이 바뀌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폴더가 회전하는 스윙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하폴 더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상기 상폴더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상폴더 위치 감지부, 상기 상폴더 위치 감지부가 출력한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상폴더 위치 감지부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값을 출력하는 홀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폴더 위치 감지부로부터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상폴더가 하폴더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 이상 위로 올려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하를 반전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무선회로부(150),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60), 카메라 모듈(170), 카메라 모듈 위치감지부(180), 카메라 모듈 회동구동부(190)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표시부(120)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표시부(120)는 카메라에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메모리(1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또한 무선회로부(15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의 처리를 위한 기저대역신호처리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카메라 모듈 위치감지부(180)가 출력한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상폴더 위치 감지부가 출력한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무선회로부(15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로이다.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송하는 호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 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60)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 모듈(170)은 하슬라이드에 구비되어 있고, 위로 올리고, 아래로 내리는 폴딩이 가능하다.
카메라 모듈 위치감지부(180)는 카메라 모듈(170)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 모듈 회동구동부(190)는 카메라 모듈(170)을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 모듈(170)과 하슬라이드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70)과 하슬라이드(470)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카메라 모듈(17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170)에는 영구자석(420)이 구비되고, 하슬라이드(470)에는 홀(Hall) 센서(410)가 구비된다. 홀 센서(410)는 카메라 모듈 위치 감지부(180)에 포함된다. 홀 센서(410)는 영구자석(420)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값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70)이 위로 올려졌을 때, 홀 센서(410)는 영구자석(420)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 하여 이에 따른 값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40)는 카메라 모듈 위치 감지부(180)로부터의 출력값에 따라 카메라 모듈(170)이 일정 각도 이상 위로 올려졌다고 판단되면,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하를 반전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모듈(170)을 회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모듈 회동구동부(190)가 추가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70)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170)에는 영구자석(430)이 구비되고, 카메라 모듈 회동구동부(190)는 영구자석(430)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하슬라이드(470)의 측면에 구비된 사이드키(450)의 눌림에 따라 극성이 바뀌는 전자석(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전자석(440)은 평상시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극성을 유지한다. 그러나, 사이드 키(450)의 눌림이 있으면, N극과 S극의 극성이 뒤바뀌게 된다. 따라서, 같은 극끼리는 밀어내는 자기력에 의하여 영구자석(430)을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비교적 용이하게 카메라 모듈(170)을 위로 젖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폴더가 회전하는 스윙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예와는 달리, 카메라 모듈(170)은 하폴더에 구비된다. 상폴더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상폴더 위치 감지부가 있고, 제어부(140)는 상폴더 위치 감지부가 출력한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카메라 모듈(170)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폴더 위치 감지부는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값을 출력하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폴더 위치 감지부로부터의 출력값에 따라 상폴더가 하폴더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 이상 위로 올려졌다고 판단되면,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하를 반전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표시화면의 상하반전이 되므로, 사용자의 부가적인 키조작을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드 키를 이용하여 더욱 용이하게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상슬라이드와 하슬라이드로 이루어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하슬라이드에 구비되어 있고, 폴딩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위치감지부;
    상기 카메라 모듈 위치 감지부가 출력한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 위치 감지부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값을 출력하는 홀(Hall)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 위치 감지부로부터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이 일정 각도 이상 위로 올려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회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모듈 회동구동부가 추가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 회동 구동부는 상기 영구자석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하슬라이드의 측면에 구비된 사이드키의 눌림에 따라 극성이 바뀌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6. 상폴더가 회전하는 스윙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하폴더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상기 상폴더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상폴더 위치 감지부;
    상기 상폴더 위치 감지부가 출력한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상폴더 위치 감지부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값을 출력하는 홀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폴더 위치 감지부로부터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상폴더가 하폴더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 이상 위로 올려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64458A 2004-08-16 2004-08-16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16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458A KR20060016037A (ko) 2004-08-16 2004-08-16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458A KR20060016037A (ko) 2004-08-16 2004-08-16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037A true KR20060016037A (ko) 2006-02-21

Family

ID=3712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458A KR20060016037A (ko) 2004-08-16 2004-08-16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60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164B1 (ko) * 2012-07-30 2014-02-27 (주)아이콘 카메라 모듈용 폴딩장치
KR20200009998A (ko) * 2018-07-16 2020-01-30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제어방법, 장치, 단말기 및 저장 매체
KR20200127838A (ko) * 2019-04-30 2020-11-11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팝업식 촬영 모듈 및 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164B1 (ko) * 2012-07-30 2014-02-27 (주)아이콘 카메라 모듈용 폴딩장치
KR20200009998A (ko) * 2018-07-16 2020-01-30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제어방법, 장치, 단말기 및 저장 매체
US10861628B2 (en) 2018-07-16 2020-12-0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Front assembly sliding structure, controlling device thereof, and terminal having same
KR20200127838A (ko) * 2019-04-30 2020-11-11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팝업식 촬영 모듈 및 단말기
US11019188B2 (en) 2019-04-30 2021-05-2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op-out camera module and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77452A (ja) 携帯型電子機器及びその表示切り替え方法
ES2466643T3 (es) Aparato electrónico
JP2004228767A (ja) 重ね型携帯端末装置
CA2691671C (en) Using gravity to direct a rotatable camera in a mobile device
JP2005198062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JP5109378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4309091B2 (ja)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状態報知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20060039750A (ko) 임의의 각도로 슬라이드 개폐되는 커버부를 갖는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JP4666927B2 (ja) 携帯情報端末
JP4359717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016037A (ko)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9105817A (ja) 携帯通信端末
JP2005150936A (ja) 通信装置
JP2007180853A (ja) 電子機器及び携帯電話機
JP4019750B2 (ja)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応答保留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09086793A (ja) 携帯端末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2004214988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0604584B1 (ko) 자동으로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9813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100007624A (ko) 휴대 단말기
KR200411080Y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6723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4070644B2 (ja) 撮像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JP2004135118A (ja) 携帯通信端末
KR20070066642A (ko) 움직임 감지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