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998A -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제어방법, 장치, 단말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제어방법, 장치, 단말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998A
KR20200009998A KR1020187037507A KR20187037507A KR20200009998A KR 20200009998 A KR20200009998 A KR 20200009998A KR 1020187037507 A KR1020187037507 A KR 1020187037507A KR 20187037507 A KR20187037507 A KR 20187037507A KR 20200009998 A KR20200009998 A KR 20200009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agnet
electromagnet
preposition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596B1 (ko
Inventor
위원 왕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64Circuit arrangements for actuating electromagn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2Sliding-contact b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20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out arm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Abstract

본 발명은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 단말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며 컴퓨터 기술분야에 속한다.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제1자성체가 설치된 전치형 슬라이더와 제2자성체를 포함하며, 제2자성체는 전치형 슬라이더와 마주하고 슬라이드하는 패널에 설치되며, 전치형 슬라이더가 제1위치에 있을 경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의 위치가 대향하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제1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할 경우 전치형 슬라이더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제2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할 경우 전치형 슬라이더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고 제2방향과 제1방향이 서로 반대된다. 본 발명은 전치형 소자를 단말기의 전면패널에 설치할 필요 없이 전면패널의 표시 화면의 화면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제어방법, 장치, 단말기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2018년 7월 16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201810776244.7인 특허출원의 우선권 및 권익을 공유할 것을 주장하며, 인용 방식으로 그 전문을 본 출원문서에 편입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 단말기,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표시 화면과 전치형 소자 및 표시 화면을 포함할 경우 통상적으로 전치형 소자 및 표시 화면을 단말기의 전면패널에 설치한다. 전치형 소자는 전치형 카메라, 이어폰, 근접 광센서, 주변 광센서 등을 포함한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전치형 소자 및 표시 화면는 모두 전면패널에 설치되며, 현재 공정 및 기술로는 전치형 소자를 더 이상 작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전치형 소자는 전체 표시장치의 화면 점유율에 영향을 준다. 화면 점유율은 표시 화면과 전면패널 면적의 비율을 말하며 전체 표시장치는 화면 점유율이 100%에 근접하는 표시 화면을 말한다.
본 발명은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 단말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1측면은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제1자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전치형 슬라이더와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제1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의 위치는 대향하며,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제1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며,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제2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고 상기 제2방향과 상기 제1방향은 서로 반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2측면은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표시 화면이 설치되어 있는 전면패널, 메인보드가 설치되어 있는 후면패널과 제1측면의 어느 한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더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각각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위치를 말하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플런트 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위치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3측면은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제2측면에서 서술한 단말 장치에 사용되며, 상기 방법은,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게,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제1방향의 작용력을 제어하여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제2방향의 작용력을 제어하여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하고 상기 제2방향과 상기 제1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위치를 말하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위치를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4측면은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여 제2측면에서 서술한 단말기에 사용하며, 상기 장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도록 배치되는 수신모듈,
상기 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제1방향의 작용력을 제어하여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또한 상기 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제2방향의 작용력을 제어하여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고 상기 제2방향과 상기 제1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위치를 말하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위치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5측면은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여 제2측면에서 서술한 단말기에 쓰이며,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데 쓰이는 메모리,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제1방향의 작용력을 제어하여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제2방향의 작용력을 제어하여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상기 제2방향과 상기 제1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위치를 말하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 위치를 말하는 것
에 쓰인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6측면에 의하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 매체는 적어도 1개 명령, 적어도 1개 프로그램,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이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1개 명령, 상기 적어도 1개 프로그램, 상기 코드세트 또는 명령 집합은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어 상술한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적 방안은 하기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전치형 소자를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함으로써 전치형 슬라이더의 이동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전치형 소자가 처한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치형 소자를 사용해야 할 경우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전치형 소자의 정상적인 사용을 확보하며, 전치형 소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전치형 소자를 단말기의 전면패널에 고정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전면패널의 표시 화면의 화면 점유율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일반적인 서술과 하기의 세부적인 설명은 예시적인 부분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도면은 명세서에 편입되어 본 발명의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함과 동시에 명세서와 똑같이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는데 쓰인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의 부감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 구성도이다.
도 1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 구성도이다.
도 1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에 사용되는 장치의 구성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도시되었는데, 하기 설명에서 도면을 언급 시 별도의 해석이 없을 경우 서로 다른 도면의 같은 숫자는 동등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가리킨다. 아래 예시적 실시예에 기술된 실시방식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구조설명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제1자석(121)에 설치된 전치형 슬라이더(120)와 제2자성체(130)를 포함하며, 제2자성체(130)는 전치형 슬라이더(120)와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는 패널(110)에 설치되며, 전치형 슬라이더(120)가 제1위치에 있을 경우 제1자성체(121)와 제2자성체(130)의 위치가 대향하며,
제1자성체(121)와 제2자성체(130) 사이에 제1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할 경우, 전치형 슬라이더(120)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며,
제1자성체(121)와 제2자성체(130) 사이에 제2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할 경우, 전치형 슬라이더(120)는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며 제2방향과 제1방향이 서로 반대된다.
전치형 슬라이더(120)는 전치형 소자(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치형 소자(122)는 전치형 카메라, 이어폰, 근접 광센서, 주변광 센서 등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고 나아가 기타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에서는 전치형 슬라이더(120)에 3개 전치형 소자(122)를 포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제1위치는 전치형 소자(122)가 단말기의 외부에 있을 경우 전치형 슬라이더(120)가 처하는 위치일 수 있으며 이때 제2위치는 전치형 소자(122)가 단말기의 내부에 있을 때 전치형 슬라이더(120)가 위치하게 되는 위치이며 또는, 제1위치는 또 전치형 소자(122)가 단말기의 내부에 있을 경우 전치형 슬라이더(120)가 처하는 위치일 수도 있으며 이때 제2위치는 전치형 소자(122)가 단말기의 외부에 있을 때 슬라이더(120)가 위치하게 되는 위치이며, 본 실시예는 제1위치와 제2위치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제1위치가 상기 2개 위치 중 어느 위치이든지를 막론하고 전치형 슬라이더(120)는 제1위치에 있을 경우 모두 제2자성체 (130)와 마주하게 된다. 도 1에서 실선으로 그려진 전치형 슬라이더(120)가 제1위치에 있고 점선으로 그려진 전치형 슬라이더(120)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면 이때 제2자성체(130)는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1에서 점선으로 그려진 전치형 슬라이더(120)가 제1위치에 있고 실선으로 그려진 전치형 슬라이더(120)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면 이때 자성체(130)는 도시된 위치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도 1에서 미도시).
상술한 기재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는 전치형 소자를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함으로써 전치형 슬라이더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전치형 소자가 위치하게 되는 위치를 제어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치형 소자가 필요할 경우에는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전치형 소자를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토록 확보하며, 전치형 소자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전치형 소자가 단말기의 전면패널에 고정되지 않게 함으로써 전면패널의 표시 화면의 화면 점유율을 향상시킨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구조설명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제1자성체(221)가 설치된 전치형 슬라이더(220)와 제2자성체(230)를 포함하며, 제2자성체(230)는 전치형 슬라이더(220)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패널(210)에 설치되며,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제1위치에 있을 경우 제1자성체(221)와 제2자성체(230)의 위치는 서로 대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자성체(221)는 전자석이고 제2자성체(230)는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열된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며, 또는 제1자성체(221)는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열된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고 제2자성체(230)가 전자석이며, 미리 설정된 방향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이며, 제1자석과 제2자석 중 전자석과 상대적인 자극의 자성은 서로 반대된다.
전자석은 전류가 흐르게 하여 전자기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도 3을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연자성체(2211)와 연자성체 외부를 감고 있는 코일(2212)로 구성되며 코일(2212)에 전류가 흐르게 할 경우 연자성체(2211)는 자기화되어 자성을 띠게 된다. 전자석의 자극은 코일(2212)의 전류방향에 관계된다. 코일(2212)에 정방향의 전류가 흐를 경우 전자석의 한측 자극이 N극이며, 코일(2212)에 역방향의 전류가 흐를 경우 전자석의 동일한 측 자극은 S극을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석은 단말기의 메인보드와 서로 연결되고 메인보드를 통하여 전자석의 코일(2212)에 전력을 공급한다.
미리 설정된 방향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서 제1방향은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단말기 내부에서 단말기의 외부로 슬라이드하는 방향이며, 제2방향은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단말기 외부에서 단말기 내부로 슬라이드하는 방향이며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서로 반대된다.
단말기의 중심을 원점으로 3D좌표축을 구축하여 X축이 단말기의 밑변과 평형되고 Y축이 단말기의 측면과 평행되며 Z축이 단말기의 평면과 수직되게 하면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단말기의 정단에서 팝업 또는 철회할 경우 제1방향과 제2방향이 Y축의 방향으로 되며,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단말기의 측면에서 팝업 또는 철회할 경우 제1방향과 제2방향은 X축의 방향으로 된다.
제1자석과 제2자석은 영구자석일 수 있으며, 제1자석과 제2자석 중 전자석과 상대적인 자극의 자성은 서로 반대된다. 예를 들면 제1자석의 전자석과 상대적인 자극이 N극이면 제2자석의 전자석과 상대적인 자극은 S극이며 또는, 제1자석의 전자석과 상대적인 자극이 S극이면 제2자석의 전자석과 상대적인 자극은 N극이다. 도 3에 도시된 단말기의 측면도를 참조하면, 도 3은 우측에 위치한 전자석과 상대적인 제1자석의 자극은 N극이고 좌측의 전자석과 상대적인 제1자석의 자극은 S극이라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자성체(221)와 제2자성체(230) 사이에 제1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할 경우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며, 제1자성체(221)와 제2자성체(230) 사이에 제2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할 경우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슬라이드한다. 제1위치와 제2위치에 관한 해석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하며 여기에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1위치는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전치형 소자(222)가 패널 (210)에 의해 차폐된 위치이고, 제2위치는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전치형 소자(222)가 패널(210)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위치이며, 전치형 소자(222)는 단말기의 사용자와 서로 대향한다. 다시 말해, 제1자성체(221)와 제2자성체(230) 사이에 제1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할 경우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단말기 내부에서 단말기 외부로 슬라이드하며, 제1자성체(221)와 제2자성체(230) 사이에 제2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할 경우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단말기의 외부에서 단말기의 내부로 슬라이드한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도 2에 있어서, 실선으로 그려진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제1위치에 있고 점선으로 그려진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하기에서 제1자성체(221)와 제2자성체(230) 사이의 작용력의 발생과정을 소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석이 제3방향의 전류에 의해 자기화될 경우 전자석과 제1자석 사이에 제1방향의 흡인력이 존재하고 전자석과 제2자석 사이에는 제1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며 이때 흡인력과 배척력이 바로 제1방향의 작용력이며, 전자석이 제4방향의 전류에 의해 자기화될 경우 전자석과 제1자석 사이에는 제2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고 전자석과 제2자석 사이에는 제2방향의 흡인력이 존재하며 제4방향과 제3방향은 서로 반대되고 이때의 흡인력과 배척력은 바로 제2방향의 작용력으로 작용한다
전류는 단말기가 환경에 따라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화 수신할 경우 단말기는 사용자가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이어폰을 사용할 것이라고 결정하고 제3방향의 전류를 생성하여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슬라이드를 제어하며 이어폰을 노출시켜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한다. 또 예를 들면, 사용자가 셀카 사용 시 단말기는 사용자가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전치형 카메라를 사용한다고 결정하고 제3방향의 전류를 생성하여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슬라이드를 제어하며 전치형 카메라를 노출시켜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한다. 또는, 전류는 단말기가 명령 수신 후 생성된 것일 수도 있는바, 예를 들면 단말기가 음성 또는 손동작 또는 문자 등 명령 수신 후 명령에 따라 전치형 슬라이드(220)의 슬라이드를 제어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가 전류를 생성하는 트리거링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제2위치로 슬라이드할 경우 전자석과 제1자석이 서로 맞물려 제3방향의 전류를 끊게 하며,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제1위치로 슬라이드할 경우 전자석과 제2자석이 서로 맞물려 제4방향의 전류를 끊는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단말기의 측면도를 참조하면, 도 4의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제2위치에 있고 도 5의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제1위치에 있다.
전자석과 제1자석이 서로 맞물릴 경우 전자석의 센터위치(2213)와 제1자석의 센터위치(2213)가 서로 마주하면 제1자석이 전자석에 생성된 배척력은 Z축 방향을 따르게 되어 전자석이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는 과정에서 제2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없게 하며, 나아가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제2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전자석의 센터위치(2213)와 제1자석의 센터위치(231) 사이에 제2 미리 설정된 거리(d1)만큼 엇갈리게 하여 제1자석과 전자석 사이에 제1방향에 따른 흡인력과 제2방향에 따른 배척력을 생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미리 설정된 거리 (d1)는 미리 설정된 공식에 따라 계산해 낼수도 있고 경험치에 따라 얻어낼 수도 있는바 본 실시예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제2 미리 설정된 거리(d1)는 0.3mm 내지 0.5mm로 한다.
같은 원리로, 전자석의 센터위치(2213)와 제2자석의 센터위치(232) 사이에 제1미리 설정된 거리(d2)만큼 엇갈리게 하여 제2자석과 전자석 사이에 제1방향에 따른 배척력과 제2방향에 따른 흡인력을 생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미리 설정된 거리 (d2)는 미리 설정된 공식에 따라 계산해 낼수도 있고 경험치에 따라 얻어낼 수도 있는바 본 실시예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제1미리 설정된 거리(d2)는 0.3mm 내지 0.5mm로 한다. 제1미리 설정된 거리(d2)는 제2 미리 설정된 거리(d1)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다시말해서, 전치형 슬라이더(220)가1위치에 있을 경우 전자석과 제2자석이 서로 맞물리면 전자석의 센터위치와 제2자석의 센터위치 사이에 제1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엇갈리며,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제2위치에 있을 경우 전자석과 제1자석이 서로 밀착되고 전자석의 센터위치와 제1자석의 센터위치가 제2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엇갈린다.
본 실시예에서 제1자석의 센터위치(231)와 제2자석의 센터위치(32) 사이의 거리는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작다. 여기서 제1역치는 미리 설정된 공식에 의해 계산해낼 수도 있고 경험치에 따라 얻어낼 수도 있는바 본 실시예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미리 설정된 역치는 0.8mm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적어도 1개 제1자성체(221)를 포함하며, 전치성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적어도 1개 제2자성체(230)를 포함한다.
제1자성체(221)와 제2자성체(230)의 수량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제1자성체(221)와 제2자성체(230)의 수량이 같으면 제1자성체(221)는 각각 1개의 제2자성체(230)와 대응하여 1개 제1자성체(221)와 1개 제2자성체(230)가 한 그룹의 자성체를 구성한다.
제1자성체(221)와 제2자성체(230)의 수량이 다르면 1개 제1자성체(221)는 적어도 2개의 제2자성체(230)와 대응하거나 또는 1개 제2자성체(230)가 적어도 2개의 제1자성체(221)와 대응하며 1개 제1자성체(221)와 적어도 2개의 제2자성체(230)를 한 그룹의 자성체로 부르거나 또는 1개 제2자성체(230)와 적어도 2개의 제1자성체(221)를 한 그룹의 자성체로 부른다.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적어도 한 그룹의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가 한 그룹의 자성체를 포함할 경우 한 그룹의 자성체는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센터 위치에 있을 수도 있고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밑부분에 있을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가 적어도 2조의 자성체를 포함할 경우 적어도 2조의 자성체는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에 균형적으로 분포되어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또 비자성 심(240)을 포함하며 비자성 심(240)은 자력선을 집중시키는데 쓰이고 제1자성체(221)와 제2자성체(230) 사이에 위치한다. 비자성 심(240)이 분산된 자력선을 집중시키는 역할을 하고 자력선이 모일 수록 작용력이 커지기 때문에 비자성 심(240) 설정을 통하여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의 작용력을 증가함으로써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슬라이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슬라이드 레일어셈블리(250)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우선적으로,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50)를 더 포함하고 슬라이드 레일어셈블리(250)는 서로 연결된 슬라이드 플레이트(251)와 슬라이드 레일(252)을 포함하며 슬라이드 플레이트(251)는 슬라이드 레일(252)에 대하여 슬라이드한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51)에 위치하며 슬라이드 레일(252)은 패널(210)에 설치한다.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슬라이드 레일(252)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51)를 통하여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할 수 있으며,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슬라이드 레일(252)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51)를 통하여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슬라이드한다.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51)에 위치할 경우,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어셈블리(250)가 슬라이드할 때 전자석, 제1자석 및 제2자석 사이의 위치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전류를 생성하여 전치형 슬라이더(220)를 가동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치형 슬라이더(2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 두가지 제어방식을 소개한다.
제1제어방식에서 사용자는 완전히 수동으로 전치형 슬라이더(220)를 제어하여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한다. 즉, 전치형 슬라이더9220)의 전체 슬라이드 과정에 작용력은 모두 사용자가 제공하며 단말기는 전류를 생성하지 않는다. 이때 단말기에 전류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전자석이 자기화되지 않고 따라서 제1자성체(221)와 제2자성체(230) 사이의 작용력이 소실된다. 제1방향에 있는 사용자가 전치형 슬라이더(220)에 작용력 추가시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며, 제2방향에 있는 사용자가 전치형 슬라이더(220)에 작용력 추가 시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슬라이드한다.
제2제어방식에서 우선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치형 슬라이더(220)를 일정거리만큼 움직이도록 제어하고, 단말기가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이동과정에 생성된 전류를 감지하여 그 전류를 통하여 전자석을 자기화하며 전자석과 제1자석 및 제2자석 사이의 작용력을 통하여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계속 슬라이드하여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도착하도록 조력한다 즉,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초기 작용력을 사용자가 제공하고 후속 작용력을 단말기에서 제공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먼저 전치형 슬라이더(220)에 작은 작용력을 가해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슬라이드하도록 하면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작용력을 통하여 계속 슬라이드한다.
이때,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는 홀소자(260)를 포함한다. 홀소자(260)는 홀센서(261)와 제3자석(262)을 더 포함하며, 홀 센서(261)는 전치형 슬라이더(220)에 설치되고 제3자석(262)은 패널(210)에 설치되며, 또는 홀 센서(261)가 패널(210)에 설치되고, 제3자석(262)이 전치형 슬라이더(220)에 설치되는바 본 실시예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홀 센서(261)가 전치형 슬라이더(220)에 설치되고 제3자석(262)이 패널(210)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홀 센서(261)는 제3자석(262)에 따라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패널(210)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슬라이드방향이 제1방향일 경우 제3방향으로의 전류를 생성하고 슬라이드방향이 제2방향일 경우 제4방향의 전류를 생성한다.
사용자가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운동을 제어할 경우 제3자석(262)의 자력선을 절단하여 홀 센서(261)가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슬라이드를 감지하며 홀 센서(261)에서 단말기에 제1트리거링신호를 송신한다. 단말기가 제1트리거링신호에 따라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슬라이드방향이 제1방향이라고 결정할 경우 제3방향의 전류가 생성되고 제3방향의 전류를 전자석에 출력하여 제1자성체(221)와 제2자성체(230) 사이에 제1방향으로의 작용력을 생성하며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계속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위치에 도착후 정지하도록 한다. 단말기가 제1트리거링신호에 따라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슬라이드방향이 제2방향이라고 결정할 경우 제4방향으로의 전류를 생성하며 제4방향의 전류를 전자석에 출력하여 제1자성체(221)와 제2자성체(230) 사이에 제2방향으로의 작용력을 생성하며 전치형 슬라이더 (220)이 계속 제2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제1위치에 도착후 정지하도록 한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본 실시예는 전자석과 영구자석으로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슬라이드를 작동하는 것을 예시로 하고 스프링과 같은 기계구조를 통하여 전치형 슬라이더(220)를 가동하지 않으며 구현과정에 하기 여려개 장점을 포함한다. 1) 스프링의 체적이 크고 스프링 본체의 두께가 적어도 0.6mm에 달해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50)의 두께가 적어도 1.8mm에 달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50)가 비교적 두껍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전자석과 영구자석은 보다 얇기 때문에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50)의 두께가 약 1.2mm로서 보다 얇은 슬라이드 레일어셈블리(250)를 구현한다. 2) 스프링의 기계구조를 구현할 경우 후면패널을 파내고 스프링을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후면패널의 강도가 작아지고 따라서 후면패널의 저항력이 약해져 본체가 얇은 단말기의 신뢰성을 저감시킨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후면패널을 파낼 필요가 없어 단말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3) 스프링의 피로 신뢰성이 약해 생명주기 내 사용시간이 길어질 수록 스프링의 탄력에 변화가 발생하고 사용자의 사용감촉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사용시간의 연장에 인해 자성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감촉을 확보할 수 있다. 4) 스프링의 탄력 불균형 시 단말기의 외관에 틈새가 발생하지만 본 실시예는 자성에 의해 생성된 흡인력과 배척력이 균형적이기때문에 단말기의 외관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5) 스프링을 통하여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슬라이드를 제어할 경우 트리거링이 필요해 자동적인 슬라이드가 불가능하지만 본 실시예는 전류를 제어하여 자동적인 슬라이드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기재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는 전치형 소자를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함으로써 전치형 소자를 사용해야 할 경우 전치형 소자를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제2위치에 위치하게 하여 전치형 소자의 정상적인 사용을 확보하며, 전치형 소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치형 소자를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전치형 소자를 단말기의 전면패널에 고정함으로써 전면패널의 표시 화면의 화면 점유율을 향상시킨다.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비자성 심을 설정하면 분산된 자력선을 한데 모을수 있고 또 자력선이 모일 수록 생성되는 작용력이 더욱 커지므로 비자성 심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에 따른 작용력을 증가하여 전치형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에 적어도 2조의 자성체를 설치하고 이 적어도 2조의 자성체를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에 균형적으로 분포시킴으로써 전치형 슬라이더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홀 센서를 통하여 제3자석에 따라 전치형 슬라이더가 패널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방향을 결정하며 슬라이드방향이 제1방향일 경우 제3방향으로의 전류를 생성하고 슬라이드방향이 제2방향일 경우 제4방향으로의 전류를 생성하며 전류를 재적용하여 전자석을 자기화하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작용력이 생성되고 전치형 슬라이더가 계속 슬라이드하여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도착 후 정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사용자가 먼저 전치형 슬라이더에 작은 작용력을 가해 전치형 슬라이더가 이동하면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작용력에 의해 전치형 슬라이더가 계속 슬라이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소모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는 단말기를 제공하며, 표시 화면(711)이 설치되어 있는 전면패널(710), 메인보드(721)가 설치되어 있는 백패널(720) 및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730)를 포함하며,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730)는 전면패널(710) 및 후면패널(720)과 각각 서로 연결되며, 제1위치는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710)에 의해 차폐된 위치이며, 제2위치는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710)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위치이다.
제1구현방식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710) 및 후면패널(720)은 U형조를 형성하고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U형조에 설치되며, 전치형 슬라이더(220)와 메인보드(721)가 서로 연결되고 제2자성체(230)(도 7에 미도시)가 전치형 슬라이더(220)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전면패널(710)에 설치된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도 7은 실선으로 그려진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처한 위치는 제1위치이고 점선으로 그려진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처한 위치는 제2위치이며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제2구현방식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710) 및 후면패널(720)은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고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메인보드(721)에 설치되며, 제2자성체(230)(도 8에 미도시)가 전치형 슬라이더(220)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전면패널(710)에 설치된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도 8은 실선으로 그려진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처한 위치가 제1위치이고 점선으로 그려진 전치형 슬라이더(220)의 위치가 제2위치이며 전치형 슬라이더 (220)이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하기에서 상기 2가지 단말기의 구조에 대해 소개한다.
1. 제1자성체(221)는 전자석이고 제2자성체(230)는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열된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며 또는, 제1자성체(221)가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열된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고 제2자성체(230)가 전자석이며, 전자석과 메인보드(721)가 서로 연결되고 미리 설정된 방향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이며 제1자석과 제2자석 중 전자석과 상대적인 자극의 자성이 서로 반대되며, 전자석이 메인보드(721)가 생성한 제3방향의 전류에 의해 자기화될 경우 전자석과 제1자석 사이에 제1방향의 흡인력이 존재하고 전자석과 제2자석 사이에 제1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며, 전자석이 메인보드(721)가 생성한 제4방향의 전류에 의해 자기화될 경우 전자석과 제1자석 사이에 제2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고 전자석과 제2자석 사이에 제2방향의 흡인력이 존재하며 제4방향과 제3방향이 서로 반대된다.
전자석, 제1자석, 제2자석 및 3자 사이의 상호 관계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본 실시예에서 전자석과 메인보드(721)가 서로 연결되고 메인보드(721)에서 제3방향의 전류를 생성하여 전자석에 출력하며 또는, 메인보드(721)에서 제4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전류를 전자석에 출력한다.
2.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250)는 서로 연결된 슬라이드 플레이트(251)와 슬라이드 레일(252)을 포함하며, 슬라이드 레일(252)은 전면패널(710)에 설치되고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51)에 설치되며, 슬라이드 플레이트(251)는 메인보드(721)에 설치 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51)와 메인보드(721)가 서로 연결되며,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슬라이드 레일(252)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51)를 통하여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며, 전치형 슬라이더(220)는 슬라이드 레일(252)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51)를 통하여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슬라이드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51), 슬라이드 레일(252) 및 양자 사이의 상호 관계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51)에 설치될 경우 슬라이드 플레이트(251)를 메인보드(721)에 설치 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51)와 메인보드(721)가 서로 연결되게 설치하여 전치형 슬라이더(220)를 메인보드(721)에 설치할 수 있다.
3. 단말기는 홀소자(260)를 더 포함하며, 홀소자(260)는 홀 센서(261)와 제3자석(262)을 포함하며, 홀 센서(261)는 전치형 슬라이더(220)에 설치되고 제3자석(262)은 전면패널(710)에 설치되며 또는 홀 센서(261)가 전면패널(710)에 설치되고 제3자석(262)이 전치형 슬라이더(220)에 설치되며 홀 센서(261)는 제3자석(262)에 따라 사용자의 작용 하에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전면패널(710)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고 있다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에 제1트리거링신호를 메인보드(721)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슬라이드 방향이 제1방향일 경우 메인보드(721)는 제1트리거링신호가 생성한 제3방향의 전류에 따라 전류를 전자석에 출력하기 위한 것이며, 슬라이드 방향이 제2방향일 경우 메인보드는 제1트리거링신호가 생성한 제4방향의 전류에 따라 전류를 전자석에 출력하는데 쓰인다.
홀 센서(261), 제3자석(262) 및 양자 사이의 상호 관계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홀 센서(261)가 전치형 슬라이더(220)에 설치될 경우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메인보드(721)에 설치 또는 전치형 슬라이더 (220)와 메인보드(721)가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홀 센서(261)와 메인보드(721)는 서로 연결된다. 홀 센서(261)가 전면패널(710)에 연결될 경우 홀 센서(261)는 메인보드(721)와 서로 연결해야 한다.
4. 단말기는 홀소자(260)를 더 포함하며, 홀소자(260)는 홀 센서(261)와 제3자석(262)을 포함하며, 홀 센서(261)는 전치형 슬라이더(220)에 설치되고 제3자석(262)은 전면패널(710)에 설치되며 또는 홀 센서(261)가 전면패널(710)에 설치되고 제3자석(262)이 전치형 슬라이더(220)에 설치되며 홀 센서(261)는 제3자석(262)에 따라 사용자의 작용 하에 전치형 슬라이더(220)와 전면패널(710)이 서로 마주하고 슬라이드하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에 제2트리거링 신호를 메인보드(721)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메인보드(721)가 제1앱을 작동하고 있을 경우 메인보드(721)는 제1앱과 제2트리거링신호에 따라 전치형 소자의 제2앱 전용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표시 화면(711) 분할하여 획득한 제1구역에서 제1앱을 디스플레이이하고 제2구역에서 제2앱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는 또 홀소자(260)를 상대로 기타 제어기능을 개발 가능하며, 이중화면 제어를 예로 들면 홀 센서(261)는 전치형 슬라이더(220)가 슬라이드할 경우 제2트리거링신호를 생성하여 메인보드(721)에 송신가능하며 메인보드(721)가 제1앱 작동 중에 제2앱 가동 요구 수신할 경우 가동 요구에 따라 제2앱을 가동하며 제2트리거링신호에 따라 제2앱이 전치형 소자(222)를 전용토록 승인하여 표시 화면(711) 분할하여 제1구역에서 제1앱을 표시하고 제2구역에서 제2앱을 디스플레이 한다.
제1앱은 전치형 소자(222)를 전용할 필요가 없고, 제2앱은 전치형 소자(222)를 전용하는바 예를 들면 제2앱은 전치형 카메라와 이어폰의 영상통화 앱 등을 전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메인보드(721)는 가동 요구에 따라 제2앱 가동 후 제2트리거링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전치형 슬라이더(220)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된 경우 생성한 신호이고 제1앱이 전치형 소자(222)를 전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2앱의 전치형 소자(222)를 승인하며 이때 메인보드(721)는 제1앱을 작동하기에, 제1앱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표시 화면(711) 분할하여 표시 화면(711)을 2개 디스플레이 구역으로 분할하여 제1구역에서 제1앱을 표시하고 제2구역에서 제2앱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이중화면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실현한다.
홀 센서(261)가 제2트리거링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제1트리거링신호 생성과정과 동등하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제1앱이 열독 장르의 앱이고 제2앱이 영상통화 앱인 경우를 예로 들면, 단말기는 표시 화면(210)의 제1구역에서 서책 폐이지를 표시하고 제2구역에서 상대측의 통화 영상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총괄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단말기는 전치형 소자를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함으로써 전치형 소자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전치형 소자의 정상적인 사용을 확보하며 전치형 소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전치형 소자가 단말기의 전면패널에 고정되지 않게 함으로써 전면패널의 표시 화면의 화면 점유율을 향상시킨다.
도 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로서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을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901에서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단계902에서 제어명령에 따라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제1방향의 작용력을 제어하여 전치형 슬라이더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한다.
제1위치는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위치이고 제2위치는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위치이다.
단계 903에서 제어명령에 따라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제2방향의 작용력을 제어하여 전치형 슬라이더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한다.
제2방향과 제1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것이다.
상술한 기재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은 전치형 소자를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함으로써 전치형 소자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전치형 소자의 정상적인 사용을 확보하며 전치형 소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전치형 소자가 단말기의 전면패널에 고정되지 않게 함으로써 전면패널의 표시 화면의 화면 점유율을 향상시킨다.
도 10은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로서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을 단말기에 적용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01에서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제어명령은 단말기가 환경에 따라 생성하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화 수신할 경우 단말기는 사용자가 전치형 슬라이더의 이어폰을 사용할 것이라고 결정하고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전치형 슬라이더를 제어함으로써 이어폰을 노출시켜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하며, 또 예를 들면 사용자가 셀카를 원할 경우 단말기는 사용자가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카메라를 사용할 것이라고 결정하고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전치형 슬라이더를 제어함으로써 전치형 카메라를 노출시켜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하며, 또는 제어명령은 단말기가 수신한 것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단말기가 음성 또는 손동작 또는 문자 등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일 수 있는바 본 실시예는 제어명령의 취득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1002에서 제1자성체는 전자석이고 제2자성체는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며, 또는, 제1자성체가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고 제2자성체가 전자석일 경우 제어명령에 따라 제3방향의 전류를 생성하여 전자석을 자기화하며 자기화된 전자석과 제1자석 사이에 제1방향으로의 흡인력이 존재하고 전자석과 제2자석 사이에 제1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여 전치형 슬라이더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한다.
전자석은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자석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연자성체와 연자성체 외부를 감고 있는 코일로 구성되며, 코일에 전류가 흐를 경우 연자성체가 자기화되고 자기화된 연자성체에 자성을 띠며, 전자석의 자극과 코일의 전류방향이 서로 관계되며, 코일에 정방향의 전류가 흐를 경우 전자석의 한측 자극이 N극이며, 코일에 역방향의 전류가 흐를 경우 전자석의 동일 측 자극이 S극을 가르킨다.
제1방향은 전치형 슬라이더가 단말기 내부에서 단말기 외부로 슬라이드하는 방향이며, 단말기의 중심을 원점으로 3D좌표축을 구축하여 X축이 단말기의 밑변과 평형되고 Y축이 단말기의 측면과 평행되며 Z축이 단말기의 평면과 수직되게 하면 전치형 슬라이더가 단말기의 정단에서 팝업 또는 철회할 경우 제1방향이 Y축 방향으로 되며, 전치형 슬라이더가 단말기의 측면에서 팝업 또는 철회할 경우 제1방향은 X축의 방향으로 된다.
제1위치는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위치이고 제2위치는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위치이다.
단계 1003에서 제어명령에 따라 제4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제4방향의 전류로 전자석을 자기화하며 자기화된 전자석과 제1자석 사이에 제2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고 전자석과 제2자석 사이에 제2방향의 흡인력이 존재하여 전치형 슬라이더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슬라이드한다.
제4방향과 제3방향이 서로 반대되어 제3방향이 정방향일 경우 제4방향이 역방향이고 제3방향이 역방향일 경우 제4방향이 정방향이다.
제2방향이 전치형 슬라이더가 단말기 외부에서 단말기 내부로 슬라이드하는 방향이고 제1방향이 제2방향과 반대되며 여전히 상술한 3D좌표축을 예로 들면 전치형 슬라이더가 단말기의 정단에서 팝업 또는 철회할 경우 제2방향이 Y축 방향이고 전치형 슬라이더가 단말기의 측면에서 팝업 또는 철회할 경우 제2방향이 X축방향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말기는 자동으로 전류를 생성하여 전치형 슬라이더의 슬라이드를 작동하는 것을 제외하고 먼저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치형 슬라이더를 가동시키고 단말기가 전치형 슬라이더의 이동 감지 시 전류를 생성하여 전치형 슬라이더의 슬라이드를 조력한다.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가 홀소자를 더 포함할 경우 제어방법은, 홀 센서에 의해 송신된 제1트리거링신호를 수신하며 제1트리거링신호는 홀 센서가 제3자석에 따라 전치형 슬라이더가 사용자의 작용하에 전면패널에 대하여 슬라이드한다는 것을 결정할 때 생성하는 단계, 제1트리거링신호에 따라 슬라이드 방향이 제1방향이라고 결정할 때 제3방향의 전류가 생성되고 전류를 전자석에 출력하는 단계, 및
제1트리거링신호에 따라 슬라이드 방향이 제2방향이라고 결정할 때 제4방향의 전류가 생성되고 전류를 전자석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홀 소자는 홀 센서와 제3자석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전치형 슬라이더의 운동을 제어할 경우 제3자석의 자력선을 절단하여 홀 센서가 전치형 슬라이더의 슬라이드를 감지하도록 하며 홀 센서에서 단말기에 제1트리거링신호를 송신한다. 단말기가 제1트리거링신호에 따라 전치형 슬라이더의 슬라이드방향이 제1방향이라고 결정할 경우 제3방향의 전류가 생성되며 제3방향의 전류를 전자석에 출력하여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제1방향으로의 작용력을 생성하며 전치형 슬라이더가 계속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위치에 도착후 정지하도록 한다. 단말기가 제1트리거링신호에 따라 전치형 슬라이더의 슬라이드방향이 제2방향이라고 결정할 경우 제4방향으로의 전류를 생성하며 제4방향의 전류를 전자석에 출력하여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제2방향으로의 작용력을 생성하며 전치형 슬라이더가 계속 제2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제1위치에 도착후 정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또 홀소자를 상대로 기타 제어기능을 개발 가능하며, 이중화면 제어를 예로 들면 본 방법은 또 홀 센서에서 송신한 제2트리거링신호를 수신하고 제2트리거링신호는 홀 센서가 제3자석에 따라, 사용자의 작용 하에 전치형 슬라이더가 전면패널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고 있다는 것을 결정할 때 생성되며, 제1앱 작동 중에 제2앱 가동 요구를 수신할 경우 가동 요구에 따라 제2앱을 가동하며 제2트리거링신호에 따라 제2앱의 전치형 소자 전용을 승인하여 표시 화면을 분할하여 획득한 제1구역에서 제1앱을 표시하고 제2구역에서 제2앱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앱은 전치형 소자를 전용할 필요가 없고 제2앱은 전치형 소자를 전용하는바, 예를 들면 제2앱은 전치형 카메라와 이어폰의 영상통화 앱 등을 전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기는 가동 요구에 따라 제2앱 가동 후 제2트리거링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전치형 슬라이더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할 경우 생성한 신호이고 제1앱이 전치형 소자를 전용하기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2앱의 전치형 소자를 승인하며 이때 단말기는 제2앱의 전치형 소자를 승인한다. 단말기가 제1앱 작동 중이기 때문에 제1앱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단말기는 표시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 화면을 2개 디스플레이 구역으로 분할하여 제1구역에서 제1앱을 표시하고 제2구역에서 제2앱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이중화면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실현한다.
홀 센서(261)가 제2트리거링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제1트리거링신호 생성과정과 동등하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제1앱이 열독 장르의 앱이고 제2앱이 영상통화 앱인 경우를 예로 들면, 단말기는 표시 화면의 제1구역에서 서책 폐이지를 표시하고 제2구역에서 상대측의 통화 영상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총괄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단말기는 전치형 소자를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함으로써 전치형 소자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전치형 소자의 정상적인 사용을 확보하며 전치형 소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전치형 소자가 단말기의 전면패널에 고정되지 않게 함으로써 전면패널의 표시 화면의 화면 점유율을 향상시킨다.
홀 센서를 통하여 제3자석에 따라 전치형 슬라이더가 패널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방향을 결정하며 슬라이드방향이 제1방향일 경우 제3방향으로의 전류를 생성하고 슬라이드방향이 제2방향일 경우 제4방향으로의 전류를 생성하며 전류를 재활용하여 전자석을 자기화하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작용력이 생성되고 전치형 슬라이더가 계속 슬라이드하여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도착 후 정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사용자가 먼저 전치형 슬라이더에 작은 작용력을 가해 전치형 슬라이더가 이동하면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작용력에 의해 전치형 슬라이더가 계속 슬라이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소모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 구성도로서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단말기에 사용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모듈(1110)과 제어모듈(1120)을 포함한다.
수신모듈(1110)은 제어명령을 수신하도록 배치된다.
제어모듈(1120)은 수신모듈(1110)에 의해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제1방향의 작용력을 제어하여 전치형 슬라이더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배치된다.
제어모듈(1120)은 또한 수신모듈(1110)에 의해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제2방향의 작용력을 제어하여 전치형 슬라이더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배치되며, 제2방향과 제1방향이 서로 반대되게 한다.
제1위치는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위치이며, 제2위치는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위치이다.
상술한 기재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는 전치형 소자를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함으로써 전치형 소자를 사용해야 할 경우 전치형 소자를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제2위치에 위치하게 하여 전치형 소자의 정상적인 사용을 확보하며, 전치형 소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치형 소자를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전치형 소자를 단말기의 전면패널에 고정하지 않음으로써 전면패널의 표시 화면의 화면 점유율을 향상시킨다.
도 1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 구성도로서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단말기에 사용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모듈(1210)과 제어모듈(1220)을 포함한다.
수신모듈(1210)은 제어명령을 수신하도록 배치된다.
제어모듈(1220)은 수신(1210)에 의해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제1방향의 작용력을 제어하여 전치형 슬라이더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배치된다.
당해 제어모듈(1220)은 또한 수신모듈(1210)에 의해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제2방향의 작용력을 제어하여 전치형 슬라이더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배치되며, 제2방향과 제1방향이 서로 반대되게 한다.
제1위치는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위치이고 제2위치는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위치이다.
선택적으로, 제1자성체는 전자석이고 제2자성체는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며, 또는 제1자성체가 제2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고 제2자성체가 전자석일 경우 제어모듈(1220)은 또한,
제어명령에 따라 제3방향의 전류를 생성하여 전자석을 자기화하며 자기화된 전자석과 제1자석 사이에 제1방향으로의 흡인력이 존재하고 전자석과 제2자석 사이에 제1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제어모듈(1220)은 또한,
제어명령에 따라 제4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제4방향의 전류로 전자석을 자기화하며 자기화된 전자석과 제1자석 사이에 제2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고 전자석과 제2자석 사이에 제2방향의 흡인력이 존재하며 제4방향과 제3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가 홀 소자를 더 포함할 경우,
수신(1210)은 또한 홀 센서에 의해 송신된 제1트리거링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되며, 제1트리거링신호는 홀 센서가 제3자석에 따라 전치형 슬라이더가 사용자의 작용하에 전면패널에 대하여 슬라이드한다는 것을 결정할 때 생성하는데 쓰인다.
장치는 제1트리거링신호에 따라 슬라이드 방향이 제1방향이라고 결정될 때 제3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전류를 전자석에 출력하며, 제1트리거링신호에 따라 슬라이드 방향이 제2방향이라고 결정될 때 제4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전류를 전자석에 출력하도록 설치된 생성모듈(1230)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가 홀 소자를 더 포함할 경우,
수신(1210)은 또한 홀 센서에 의해 송신된 제2트리거링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되며, 제2트리거링신호는 홀 센서가 제3자석에 따라 전치형 슬라이더가 사용자의 작용하에 전면패널에 대하여 슬라이드한다는 것을 결정할 때 생성하는데 쓰인다.
장치는 또 제1앱 작동과정에 제2앱 가동 요구 수신할 경우 가동 요구에 따라 제2앱을 가동하며 제2트리거링신호에 따라 제2앱의 전치형 소자 전용을 승인하여 표시 화면을 분할하여 제1구역에서 제1앱을 표시하고 제2구역에서 제2앱을 디스플레이 하는 분할 모듈(1240)을 포함한다.
상술한 기재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는 전치형 소자를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함으로써 전치형 소자를 사용해야 할 경우 전치형 소자를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제2위치에 위치하게 하여 전치형 소자의 정상적인 사용을 확보하며, 전치형 소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치형 소자를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전치형 소자를 단말기의 전면패널에 고정하지 않음으로써 전면패널의 표시 화면의 화면 점유율을 향상시킨다.
홀 센서를 통하여 제3자석에 따라 전치형 슬라이더가 패널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방향을 결정하며 슬라이드방향이 제1방향일 경우 제3방향으로의 전류를 생성하고 슬라이드방향이 제2방향일 경우 제4방향으로의 전류를 생성하며 전류를 재활용하여 전자석을 자기화하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작용력이 생성되고 전치형 슬라이더가 계속 슬라이드하여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도착 후 정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사용자가 먼저 전치형 슬라이더에 작은 작용력을 가해 전치형 슬라이더가 이동하면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작용력에 의해 전치형 슬라이더가 계속 슬라이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소모력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장치에 관한 각 모듈 실행 동작의 세부방식은 이미 해당 방법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여기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는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고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을 구현하며,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는 프로세서, 기억 프로세서의 명령 실행에 쓰이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며,
제어명령에 따라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제1방향의 작용력을 제어하여 전치형 슬라이더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며,
제어명령에 따라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에 존재하는 제2방향의 작용력을 제어하여 전치형 슬라이더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며 제2방향과 제1방향이 서로 반대되게 설치되며,
제1위치는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위치이고 제2위치는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위치이다.
도 1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에 사용되는 제어장치(1300)의 구성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1300)는 모바일,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정보 송수신 설비, 게임 콘솔, 테블릿, 의료설비, PDA 등 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장치(1300)는 프로세서 어셈블리(1302), 메모리(1304), 전원 어셈블리(13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8), 오디오 어셈블리(1310), 입력/출력 (I/O) 인터페이스(1312), 센서 어셈블리(1314) 및 통신 어셈블리(1316) 중 1개 또는 복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어셈블리(1302)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전화 호출, 디지털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 오퍼레이션과 관련된 장치(13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 어셈블리(1302)는 1개 또는 복수 프로세서(1320)의 명령 실행을 포함하여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분 단계를 수행한다. 그외 프로세서 어셈블리(1302)는 1개 또는 복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어 프로세서 어셈블리(1302)와 기타 부품사이의 대화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어셈블리(1302)는 멀티미디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8)와 프로세서 어셈블리(1302)사이의 대화에 편리하다.
메모리(1304)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장치(1300)의 동작을 후원하는데 쓰인다. 이런 데이터의 예시는 장치(1300) 동작에 쓰이는 모든 응용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명령, 관계자 데이터, 전화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영상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304)는 SRAM, EEPROM, EPROM, PROM, 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와 같은 모든 유형의 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그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전력어셈블리(1306)는 장치(1300)의 각종 부품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어셈블리(1306)는 전원관리 시스템, 1개 또는 복수 전원, 기타 장치(1300)의 생성 관리 및 전력배분과 관련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308)는 상기 장치(1300)와 사용자 사이에서 1개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표시 화면(LCD)과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을 터치화면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출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패널은 1개 또는 복수 터치센서를 포함해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패널에서의 손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과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1308)는 1개 전치형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하며, 전치형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전치형 소자로서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할 수 있다. 장치(1300)가 촬영모드 또는 영상모드와 같은 동작모드일 경우 전치형 카메라 및/ 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전치형 카메라 및 리어 카메라는 1개 고정된 광학렌즈 시스템이거나 또는 Focus 및 광학 주밍 기능을 갖출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310)는 음성신호의 출력 및/또는 입력에 쓰인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1310)는 마이크(MIC)를 포함하며, 장치(1300)가 호출모드, 메모모드 및 음성식별 모드와 같은 동작모드일 경우 MIC는 외부 음성신호를 수신하는데 쓰인다. 음성 신호는 메모리(1304)에 저장 또는 통신어셈블리(1316)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어셈블리(1300)는 또 스피커를 포함해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데 쓰인다.
I/O 인터페이스(1312)는 프로세서 어셈블리(1302) 및 외부 인터페이스 어셈블리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어셈블리는 키보드 클릭윌,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런 버튼은 홈페이지 버튼, 음량 버튼, 가동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314)는 1개 또는 복수 센서를 포함하며, 장치(1300)에 각 분야의 상태 평가를 제공하는데 쓰인다. 예를 들면, 센서부품(1314)은 장치(1300)의 ON/OFF 상태, 부품의 상대적인 포지션을 검측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부품이 장치(1300)의 표시 화면 및 키보드일 경우 센서부품(1314)은 또 장치(1300) 또는 장치(1300)의 한 부품의 위치변화를 검측 가능하며 사용자와 장치(1300)의 접촉 유무, 장치(1300)의 방향 및 위치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1300)의 온도변화를 검측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300)는 근접센서를 포함하여 아무런 물리적 접촉이 없을 경우 주변 물체의 존재를 검측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314)는 또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센서를 포함하여 이미지 앱 사용에 쓰일 수 있다. 근접 센서와 광센서는 전치형 소자로 전치형 슬라이더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 어셈블리(1314)는 또 가속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센서, 압력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어셈블리(1316)는 장치(1300) 와 기타 디바이스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에 편리하게 쓰인다. 장치(1300)는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 조합과 같이 통신표준을 바탕으로 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통신어셈블리(13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관리 시스템에서 송신한 라디오 신호 또는 라디오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어셈블리(1316)는 또 NFC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어셈블리는 RFID기술, IrDA기술, UWB기술, BT기술 및 기타 기술을 토대로 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장치(1300)는 1개 또는 복수 ASIC, DSP, DSPD, PLD, FPGA,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데 쓰인다.
예시적 실시예는 또 명령을 포함한 비임시적 저장매개체를 제공하며, 예를 들면, 명령을 포함한 메모리(1304)로서 상기 명령은 장치(1300)의 프로세서(1320)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임시적 저장 매체는 ROM, 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및 광디지털 메모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비임시적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저장 매체의 명령이 모바일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모바일에서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 매체는 적어도 1개 명령, 적어도 1개 프로그램,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이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1개 명령, 상기 적어도 1개 프로그램, 상기 코드세트 또는 명령 집합은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어 상술한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을 구현한다.
당업자들은 명세서 및 본 발명의 실천을 고려하고 나서 본 발명의 기타 실시방안을 생각해 낼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 이런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가 본 발명의 통상의 원리에 따라 본 발명에서 미공개한 기술 분야의 상식 또는 관용기술 방법을 포함시키고자 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은 특허요구범위에 의해 한정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각종 수정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요구범위에서만 제한된다.

Claims (28)

  1.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에 있어서
    제1자성체가 설치된 전치형 슬라이더와 제2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자성체가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제1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의 위치가 대향하며,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제1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며,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제2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고, 상기 제2방향과 상기 제1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체가 전자석이고, 상기 제2자성체가 미리 설정된 방향에 따라 병렬로 배열된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제1자성체가 미리 설정된 방향에 따라 병렬로 배열된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자성체가 전자석이며, 상기 미리 설정된 방향이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이며,
    상기 제2자석과 상기 제2자석의 상기 전자석과 대향한 자극의 자성이 서로 반대되며,
    상기 전자석이 제3방향의 전류에 의해 자기화될 경우,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1자석 사이에 상기 제1방향의 흡인력이 존재하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2자석 사이에 상기 제1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며,
    상기 전자석이 제4방향의 전류에 의해 자기화될 경우,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1자석 사이에 제2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2자석 사이에 상기 제2방향의 흡인력이 존재하며, 상기 제4방향과 상기 제3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2자석이 서로 밀착되고, 상기 전자석의 센터 위치와 상기 제2자석의 센터위치 사이에 제1의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엇갈리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1자석이 서로 밀착되고, 상기 전자석의 센터위치와 상기 제1자석의 센터위치 사이에 제2의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엇갈리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의 센터위치와 상기 제2자석의 센터위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작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적어도 1개의 상기 제1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적어도 1개의 상기 제2자성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형 어셈블리 슬라이드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자력선을 집중시키는 비자성 심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자성 심은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는 서로 연결된 슬라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에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며,
    상기 제2방향에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홀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 소자는 홀 센서와 제3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되고, 상기 제3자석은 상기 패널에 설치되며, 또는, 상기 홀 센서는 상기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제3자석은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되며,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제3자석에 따라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패널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슬라이드 방향이 상기 제1방향일 경우, 상기 제3방향의 전류를 생성하도록 트리거링하며,
    상기 슬라이드 방향이 상기 제2방향일 경우, 상기 제4방향의 전류를 생성하도록 트리거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10. 단말기에 있어서,
    표시 화면이 설치되어 있는 전면패널,
    메인보드가 설치되어 있는 후면패널, 및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를 포함하며,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는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과 각각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중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위치이며,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위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이 U형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U형 홈에 설치되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와 상기 메인보드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자성체가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상기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이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메인보드에 설치되고, 상기 제2자성체가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상기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체는 전자석이고, 상기 제2자성체는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열된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제1자성체는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열된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자성체는 전자석이며,
    상기 전자석과 상기 메인보드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방향이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이며,
    상기 제1자석과 상기 제2자석의 상기 전자석과 대향하는 자극의 자성이 서로 반대되며,
    상기 전자석이 상기 메인보드에 의해 생성된 제3방향의 전류에 의해 자기화될 경우,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1자석 사이에 상기 제1방향의 흡인력이 존재하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2자석 사이에 상기 제1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며,
    상기 전자석이 상기 메인보드에 의해 생성된 제4방향의 전류에 의해 자기화될 경우,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1자석 사이에 상기 제2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2자석 사이에 상기 제2방향의 흡인력이 존재하며, 상기 제4방향과 상기 제3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 어셈블리는 서로 연결된 슬라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전면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보드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보드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며,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홀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 소자는 홀 센서와 제3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되고, 상기 제3자석은 상기 전면패널에 설치되며, 또는,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전면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제3자석은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되며, 상기 홀 센서와 상기 메인보드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제3자석에 따라 사용자의 작용 하에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전면패널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고 있다는 것을 결정했을 때, 제1 트리거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보드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방향이 상기 제1방향일 경우,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제1 트리거링 신호에 따라 상기 제3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를 상기 전자석에 출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방향이 상기 제2방향일 경우,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제1 트리거링 신호에 따라 상기 제4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를 상기 전자석에 출력하기 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홀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 소자는 홀 센서와 제3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되고, 상기 제3자석은 상기 전면패널에 설치되며, 또는,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전면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제3자석은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에 설치되며,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제3자석에 따라 사용자의 작용 하에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전면패널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고 있다는 것을 결정했을 때, 제2 트리거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보드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메인보드는 제1앱 작동 중에 제2앱의 가동 요구가 수신될 경우, 상기 가동 요구에 따라 상기 제2앱을 가동하고, 상기 제2 트리거링 신호에 따라 상기 제2앱이 상기 전치형 소자를 호출하도록 허용하여, 상기 표시 화면을 분할하여 획득한 제1구역에 상기 제1앱을 표시하고, 분할하여 획득한 제2구역에 상기 제2앱을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7.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단말기에 사용되며, 상기 방법은,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상기 제1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상기 제2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하며, 상기 제2방향과 상기 제1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위치이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위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체가 전자석이고, 상기 제2자성체가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제1자성체가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자성체가 전자석일 경우,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상기 제1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3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제3방향의 전류는 상기 전자석을 자기화하기 위한 것이며, 자기화된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1자석 사이에 상기 제1방향의 흡인력이 존재하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2자석 사이에 상기 제1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상기 제2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4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제4방향의 전류는 상기 전자석을 자기화하기 위한 것며, 자기화된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1자석 사이에 상기 제2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2자석 사이에 상기 제2방향의 흡인력이 존재하며, 상기 제4방향과 상기 제3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가 홀 소자를 더 포함할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홀 센서에 의해 송신된 제1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트리거링 신호는 상기 홀 센서가 상기 제3자석에 따라 사용자의 작용 하에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전면패널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고 있다고 결정했을 때 생성되는 단계,
    상기 제1 트리거링 신호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방향이 상기 제1방향이라고 결정될 경우, 상기 제3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를 상기 전자석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트리거링 신호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방향이 상기 제2방향이라고 결정될 경우, 상기 제4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를 상기 전자석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가 홀 소자를 더 포함할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홀 센서에 의해 송신된 제2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트리거링 신호는 상기 홀 센서가 상기 제3자석에 따라 사용자의 작용 하에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전면패널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고 있다고 결정했을 때 생성되는 단계, 및
    제1앱 작동 중에 제2앱의 가동 요구가 수신될 경우, 상기 가동 요구에 따라 상기 제2앱을 가동하며, 상기 제2 트리거링 신호에 따라 상기 제2앱이 상기 전치형 소자를 호출하도록 허용하며, 상기 표시 화면을 분할하여 획득한 제1구역에 상기 제1앱을 표시하고, 분할하여 획득된 제2구역에 상기 제2앱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단말기에 사용되며,
    상기 장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상기 제1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또한 상기 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상기 제2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하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 서로 반대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위치이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위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체가 전자석이고, 상기 제2자성체가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제1자성체가 제1자석과 제2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자성체가 전자석일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3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제3방향의 전류는 상기 전자석을 자기화하고, 자기화된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1자석 사이에 상기 제1방향의 흡인력이 존재하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2자석 사이에 상기 제1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4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제4방향의 전류는 상기 전자석을 자기화하고, 자기화된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1자석 사이에 상기 제2방향의 배척력이 존재하고, 상기 전자석과 상기 제2자석 사이에 상기 제2방향의 흡인력이 존재하며, 상기 제4방향과 상기 제3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가 홀 소자를 더 포함할 경우,
    상기 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홀 센서에 의해 송신된 제1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트리거링 신호는 상기 홀 센서가 상기 제3자석에 따라 사용자의 작용 하에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전면패널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고 있다고 결정했을 때 생성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모듈은 상기 제1 트리거링 신호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되는 상기 슬라이드 방향이 제1방향이라고 결정될 때, 상기 제3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를 상기 전자석에 출력하며, 상기 제1 트리거링 신호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되는 상기 슬라이드 방향이 상기 제2방향이라고 결정될 때, 상기 제4방향의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를 상기 전자석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가 홀 소자를 더 포함할 경우,
    상기 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홀 센서에 의해 송신된 제2 트리거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트리거링 신호는 상기 홀 센서가 상기 제3자석에 따라 사용자의 작용 하에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전면패널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고 있다고 결정했을 때 생성된 것이며,
    상기 장치는 화면 분할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 분할 어셈블리는 제1앱 작동 중에 제2앱의 가동 요구가 수신될 경우, 상기 가동 요구에 따라 상기 제2앱을 가동하고, 상기 제2 트리거링 신호에 따라 상기 제2앱이 상기 전치형 소자를 호출하도록 허용하며, 상기 표시 화면을 분할하여 획득한 제1구역에 상기 제1앱을 표시하고, 분할하여 획득한 제2구역에 상기 제2앱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단말기에 사용되며,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상기 제1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상기 제2방향의 작용력이 존재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슬라이드하도록 하며, 상기 제2방향과 상기 제1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 위치이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전치형 슬라이더의 전치형 소자가 상기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위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장치.
  28.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명령, 적어도 1개의 프로그램,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이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1개의 명령, 상기 적어도 1개의 프로그램, 상기 코드세트 또는 명령 집합은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되며,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의 제어방법을 구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

KR1020187037507A 2018-07-16 2018-10-11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제어방법, 장치, 단말기 및 저장 매체 KR102148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776244.7A CN110727312A (zh) 2018-07-16 2018-07-16 前置组件滑动结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201810776244.7 2018-07-16
PCT/CN2018/109762 WO2020015209A1 (zh) 2018-07-16 2018-10-11 前置组件滑动结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998A true KR20200009998A (ko) 2020-01-30
KR102148596B1 KR102148596B1 (ko) 2020-08-27

Family

ID=65529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507A KR102148596B1 (ko) 2018-07-16 2018-10-11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제어방법, 장치, 단말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61628B2 (ko)
EP (1) EP3598724B1 (ko)
JP (1) JP6853835B2 (ko)
KR (1) KR102148596B1 (ko)
CN (1) CN110727312A (ko)
RU (1) RU2701456C9 (ko)
WO (1) WO202001520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792A1 (ko) * 2020-08-06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 동작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3058887A1 (ko) * 2021-10-08 2023-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564A (ko) * 2019-08-16 202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갖는 슬라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58022B1 (ko) 2020-09-01 2021-05-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상대 위치 결정을 위한 센서 장치와 그 센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313A (ko) * 2003-08-22 2005-03-04 텔슨전자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슬라이딩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16037A (ko) * 2004-08-16 2006-02-21 주식회사 팬택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14536Y1 (ko) * 2006-02-09 2006-04-2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슬라이드 힌지 구조
KR100819814B1 (ko) * 2006-12-26 2008-04-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US20080174392A1 (en) * 2007-01-18 2008-07-24 Samsung Techwin Co., Ltd. Magnetic levitation sliding structure
KR20170000738A (ko) * 2015-06-24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70237884A1 (en) * 2015-10-30 2017-08-17 Essential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of a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4110A (ja) * 2003-07-22 2005-02-17 Fujitsu Ltd 携帯端末および開閉検出装置
KR101161907B1 (ko) * 2007-04-18 2012-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KR101470543B1 (ko) * 2008-02-15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07787B1 (ko) * 2008-03-31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방법
JP2009267869A (ja) * 2008-04-25 2009-11-12 Kyocera Corp 携帯端末
KR20100027686A (ko) *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1114609A (ja) * 2009-11-27 2011-06-09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
JP2011250393A (ja) * 2010-04-26 2011-12-08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
CN103717023B (zh) * 2012-09-29 2017-10-27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机构及具有该滑动机构的电子装置
US8944209B1 (en) * 2012-12-18 2015-02-03 Ty Fields Smart device sound amplifier
KR20160083948A (ko) * 2013-11-13 2016-07-12 나노포트 테크놀로지 인크. 자기 커넥터들
JP6130886B2 (ja) * 2015-09-16 2017-05-17 株式会社東芝 磁気素子及び記憶装置
KR102391777B1 (ko) * 2015-12-08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5808469B (zh) * 2016-03-21 2018-12-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终端及智能设备
CN206671977U (zh) * 2017-03-30 2017-11-24 联想(北京)有限公司 机箱和电子设备
CN107819988A (zh) * 2017-11-07 2018-03-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8012000A (zh) * 2017-11-30 2018-05-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通讯终端
CN108234700A (zh) * 2018-01-08 2018-06-29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US10976358B2 (en) * 2018-11-07 2021-04-13 The Boeing Company Surface charging systems and method for charging a non-planar surfa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313A (ko) * 2003-08-22 2005-03-04 텔슨전자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슬라이딩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16037A (ko) * 2004-08-16 2006-02-21 주식회사 팬택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14536Y1 (ko) * 2006-02-09 2006-04-2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슬라이드 힌지 구조
KR100819814B1 (ko) * 2006-12-26 2008-04-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US20080174392A1 (en) * 2007-01-18 2008-07-24 Samsung Techwin Co., Ltd. Magnetic levitation sliding structure
KR20170000738A (ko) * 2015-06-24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70237884A1 (en) * 2015-10-30 2017-08-17 Essential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of a mobil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792A1 (ko) * 2020-08-06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 동작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886242B2 (en) 2020-08-06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liding operation
WO2023058887A1 (ko) * 2021-10-08 2023-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01456C9 (ru) 2020-01-15
US20200020470A1 (en) 2020-01-16
WO2020015209A1 (zh) 2020-01-23
US10861628B2 (en) 2020-12-08
KR102148596B1 (ko) 2020-08-27
CN110727312A (zh) 2020-01-24
EP3598724A1 (en) 2020-01-22
RU2701456C1 (ru) 2019-09-26
JP6853835B2 (ja) 2021-03-31
JP2020530642A (ja) 2020-10-22
EP3598724B1 (en)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8447B2 (en) Functional component,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al component, and terminal
KR20200009998A (ko) 전치형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구조, 제어방법, 장치, 단말기 및 저장 매체
KR1019900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5171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5912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208580354U (zh) 前置组件滑动结构及终端
KR20140132239A (ko) 단말기 케이스,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와 단말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CN111131556B (zh) 滑盖式终端、滑盖状态检测方法、装置及制造方法
CN111131559B (zh) 滑盖式终端、滑盖状态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300911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2000147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23285B1 (ko) 타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9062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12134992B (zh) 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21411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후면 입력부 운용방법
KR2013007534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685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920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70141033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5784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705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55127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6551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3008861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8197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