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229B1 -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229B1
KR102193229B1 KR1020200051022A KR20200051022A KR102193229B1 KR 102193229 B1 KR102193229 B1 KR 102193229B1 KR 1020200051022 A KR1020200051022 A KR 1020200051022A KR 20200051022 A KR20200051022 A KR 20200051022A KR 102193229 B1 KR102193229 B1 KR 102193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ing
stress
sensor module
fastening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숙
Original Assignee
이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숙 filed Critical 이진숙
Priority to KR102020005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을 측정하여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측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는, 수도관 파이프의 이탈방지 압륜에 대한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도관과 소켓을 상호 체결하여 상기 수도관과 소켓 간의 수밀성을 유지시키기 이한 압륜; 상기 압륜과 결합되며, 상기 수도관이 소켓으로 인입 고정되도록 상기 수도관을 안내하고 상기 압륜과의 체결을 유도하기 위한 클램프; 상기 소켓의 상단에서 상기 압륜과 체결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응력측정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륜의 설치 과정에서 압륜과 파이프 간의 응력을 측정하여 파이프와 압륜 간의 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응력 측정 결과치를 NFC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아 응력 측정장치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STRESS OF ROCK IN WATER SUPPLY PIPE CLAMP}
본 발명은 파이프의 이탈방지 압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륜본체와 파이프 소켓 사이에 안착되어 KP볼트에 의해 소켓과 압륜본체 간의 체결 시 응력의 분산 정도를 전기적 신호로 제공받아 체결의 안정성으로 인한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관 등에 사용되는 파이프는 표면에 피복을 입힌 것으로 사용할 때에는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한 후 연결부 고정장치를 결합 고정하여 양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즉, 도 1에서 인지되는 바와 같이, 주철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링형의 압륜바디(10)가 설치되고, 압륜바디(10)에 등간격으로 체결홀(21)이 형성된 체결돌기(20)가 구성되며, 체결돌기(20)에 결합되어 주철관에 걸려지도록 연결고정볼트가 설치된다.
그리고 체결돌기(20)의 사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의 스파이크 하우징(30)이 일정한 기울기로 형성되고, 스파이크 하우징(30)에는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스파이크 결합홀(31)이 형성된다. 스파이크 하우징(30)의 스파이크 결합홀(31)에는 주철관의 표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스파이크(40)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파이크(40)의 저부에는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스파이크날(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파이크(40) 상부에는 복수의 결합돌기(42)가 형성되며, 결합돌기(42)에는 제1나선(43)이 형성되고, 결합돌기(42)가 형성된 하방향으로 안착부(44)가 형성되며, 안착부(44)의 바닥에는 홈부(45)가 형성된다. 상기 스파이크 하우징(30)의 스파이크 결합홀(31)에는 스파이크(4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볼트(50)가 나사결합된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은 압륜바디(10)의 상측에 스파이크 하우징(30)이 별도로 돌출 형성된 구조이므로, 가압볼트(50)를 너무 강하게 조이거나, 상방에서 하방으로 강한 압력이 가해지면 스파이크(40)가 뒤로 밀려나면서 뒤집어 지는 경우가 발생하며, 상측에서 강한 압력이 전달되는 경우 압륜바디와 파이프의 결합력이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근래에는 홀더를 바디의 외주면 중앙부에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조임 볼트로 바디의 중심축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3중날 스파이크에 의해 파이프와의 접촉률을 향상시켜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이탈방지 압륜을 개시하고 있다.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홀더(123), 복수의 하우징(126)이 형성된 링 형상의 바디(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20)는 일측면에 평면부(121)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지지턱(122)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12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중심을 향하도록 4개의 홀더(123)가 형성되고, 상기 각 홀더(123)에는 각각 중심 방향으로 조임 볼트(124)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홀더(123)는 바디(120)의 외주면에 보강부를 형성하여 조임 볼트(124)의 체결에 따른 홀더(123)의 강도가 향상시킨다. 특히, 상기 홀더(123)는 조임 볼트(124)가 바디(120)의 중심축을 지지하면서 스파이크(125)를 파이프에 밀착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홀더(123)는 바디(120)의 외주면 중앙부에 방사상으로 일정간격마다 형성됨에 따라 바디(120)의 일 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하여 응력을 향상시킨다.
바디(120)의 선단에 형성된 지지턱(122)은 후술하는 패킹부재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디(120) 보다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우징(126)은 고정 볼트(127)를 체결하기 위한 구성이며 개방부(129)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6)에는 고정너트(128)가 안정적으로 안착 결합할 수 있도록 바디(120)의 평면부(121) 보다 낮은 높이로 너트안착부(1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낮은 높이의 너트안착부(126a)는 하우징(126) 내에관통 설치되는 고정 볼트(127)의 길이를 종래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바디(120)의 상측에는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여러 개의 바디(120)를 안정된 자세로 적층하여 운반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즉, 응력분산구조를 개선한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은 주철관, 피복 강관, 일반 강관 등의 파이프를 연결할 때 적용되며, 양 파이프(Pa)(Pb)의 연결부 외측에 압륜을 위치시키고 고정하면 연결 작업이 완료된다.본 발명에 의한 응력분산구조를 개선한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은 복수의 홀더(123), 복수의 하우징(126)이 형성된 링 형상의 바디(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20)는 일측면에 평면부(121)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지지턱(122)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12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중심을 향하도록 4개의 홀더(123)가 형성되고, 상기 각 홀더(123)에는 각각 중심 방향으로 조임 볼트(124)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홀더(123)는 바디(120)의 외주면에 보강부(도면부호 미표시)를 형성하여 조임 볼트(124)의 체결에 따른 홀더(123)의 강도가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홀더(123)는 조임 볼트(124)가 바디(120)의 중심축을 지지하면서 스파이크(125)를 파이프에 밀착시키는 구조이다.
바디(120)의 선단에 형성된 지지턱(122)은 후술하는 패킹부재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디(120) 보다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우징(126)은 고정 볼트(127)를 체결하기 위한 구성이며 개방부(129)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6)에는 고정너트(128)가 안정적으로 안착 결합할 수 있도록 바디(120)의 평면부(121) 보다 낮은 높이로 너트안착부(1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낮은 높이의 너트안착부(126a)는 하우징(126) 내에 관통 설치되는 고정 볼트(127)의 길이를 종래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바디(120)의 상측에는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여러 개의 바디(120)를 안정된 자세로 적층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따라서, 종래의 응력분산구조를 개선한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은 주철관, 피복 강관, 일반 강관 등의 파이프를 연결할 때 적용되며, 이는 양 파이프(Pa)(Pb)의 연결부 외측에 압륜을 위치시키고 고정하면 연결 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언급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은 3중날 스파이크에 의해 파이프와의 접촉률을 향상시켜 응력을 분산시키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작업하는 과정에서 압륜과 파이프 간의 KP볼트의 체결 과정에서 수밀성이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는 응력의 분산정도와 관계없이 KP볼트의 체결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에서 비롯된다.
즉, 파이프 간에 압륜본체를 체결할 때, 지면 방향의 하단부에 위치한 압륜본체의 KP볼트는 체결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의 환경에 따라 체결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볼트체결은 수작업에 의한 공정과 공압에 의한 체결 공정을 갖는데, 이 모두 작업자의 경험치에 의존함에 따라 압륜본체의 체결 응력은 KP볼트 위치별로 상이할 수밖에 없다. 이는 파이프의 매립 후 수밀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매립된 압륜을 다시 해체 및 재공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막대한 비용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79791, 등록일자 2015년 12월 17일, 발명의 명칭 : 응력분산구조를 개선한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륜의 설치 과정에서 압륜과 파이프 간의 응력을 측정하여 파이프와 압륜 간의 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응력 측정 결과치를 NFC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아 응력 측정장치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는, 수도관 파이프의 이탈방지 압륜에 대한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도관과 소켓을 상호 체결하여 상기 수도관과 소켓 간의 수밀성을 유지시키기 이한 압륜; 상기 압륜과 결합되며, 상기 수도관이 소켓으로 인입 고정되도록 상기 수도관을 안내하고 상기 압륜과의 체결을 유도하기 위한 클램프; 상기 소켓의 상단에서 상기 압륜과 체결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응력측정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압륜은, 상기 소켓을 수용하기 위한 환형 구조의 압륜바디와, 상기 압륜바디의 외주면 상으로 균일하게 배치된 다수 개의 나사 홈을 형성하며, 상기 나사홈으로 유입되어 상기 소켓과 압륜바디 간의 체결을 도모하는 KP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다수 개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압륜바디의 후방으로 체결되어 상기 수도관를 고정시켜 상기 압륜과의 체결을 유도하도록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클램프 바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응력측정 장치는, 금속 재질의 환형 구조를 갖는 프레임의 상단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모듈이 균일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저면으로는 각 센서모듈의 중심 위치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균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측면으로 각 센서모듈의 검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통신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센서모듈은, 금속재질의 프레임 상으로 부착되며, 상기 KP볼트의 가압에 의한 응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KP볼트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변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로드셀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단자는, 상기 각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결과값을 수신장치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하며, 상기 결과값은 상기 센서모듈의 휨 정도에 대응하는 저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단자는, 상기 각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결과값을 수신장치로 무선으로 제공하고, 상기 결과값은 상기 센서모듈의 휨 정도에 대응하는 저항값이며; 상기 수신장치는 NFC 리더기이고, 상기 통신단자는 NFC 안테나가 탑재되며, 상기 센서모듈의 측정된 데이터로서 각 센서모듈의 고유코드 및 상기 저항값을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는, 압륜의 설치 과정에서 압륜과 파이프 간의 응력을 측정하여 파이프와 압륜 간의 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응력 측정 결과치를 NFC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아 응력 측정장치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문제점을 해결한 종래의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력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측정 장치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력측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력측정장치에서 검출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관(240)과 소켓(220)을 상호 체결하여 상기 수도관(240)과 소켓(220) 간의 수밀성을 유지시키기 이한 압륜(210)과, 상기 압륜(210)과 결합되며, 상기 수도관(240)이 소켓(220)으로 인입 고정되도록 상기 수도관(240)을 안내하고 상기 압륜(210)과의 체결을 유도하기 위한 클램프(230)와, 상기 소켓(220)의 상단에서 상기 압륜(210)과 체결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응력측정 장치(250)로 구성된다.
상기 압륜(210)은 상기 소켓(220)을 수용하기 위한 환형 구조의 압륜바디(211)와, 상기 압륜바디(211)의 외주면 상으로 균일하게 배치된 다수 개의 나사 홈을 형성하며, 상기 나사홈으로 유입되어 상기 소켓(220)과 압륜바디(211) 간의 체결을 도모하는 KP볼트(213) 및 너트(215)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230)는 다수 개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압륜바디(211)의 후방으로 체결되어 상기 수도관(240)를 고정시켜 상기 압륜(210)과의 체결을 유도하도록 체결볼트(233)를 포함하는 클램프 바디(2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응력측정 장치(250)는 상기 소켓(220)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압륜(210)의 KP 볼트(213) 체결 시 소켓(220)과 더불어 가압되도록 환형구조를 갖고, 표면으로 응력 측정을 위한 다수 개의 센서모듈이 장착되는 구조이다. 즉, 도 4에서 인지되는 바와 같이, 금속 재질의 환형 구조를 갖는 프레임(301)의 상단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모듈(303)이 균일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301)의 저면으로는 각 센서모듈(303)의 중심 위치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균형돌기(307)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301)의 측면으로 각 센서모듈(303)의 검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통신단자(305)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모듈(303)은 금속재질의 프레임(301) 상으로 부착되며, 상기 KP볼트(213)의 가압에 의한 응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KP볼트(213)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센서모듈(303)은 응력 즉, 변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로드셀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통신단자(305)는 각 센서모듈(303)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별도의 수신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로드셀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측정되는 저항값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한다. 무선 송출의 경우에는 NFC 모듈을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수신장치로부터 발신된 주파수를 이용한 전원공급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측정 장치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은 수도관(240)과 소켓(220)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기 압륜(210)의 일단에 마련된 턱의 외주면 상으로 클램프(230)가 체결볼트(233)에 의해 결합된 후, 상기 수도관(240)을 클램프(230)의 내경을 따라 압륜(210)을 관통하여 상기 소켓(220)의 내부로 인입되며, 이때 고무링(401)에 의한 수밀성을 확보한다.
즉, 상기 고무링(401)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소켓(220)의 내경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고무링(401)의 내경으로 상기 수도관(240)이 인입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압륜(210)이 KP볼트(213)에 의해 상호 밀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소켓(220)과 수도관(240)의 수밀성을 높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230)는 다수 개의 체결볼트(233)를 이용하여 수도관(240)과 압륜(210)을 가압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응력측정장치(250)는 소켓(220)이 압륜(210)으로 설치된 이후에 소켓(220)의 외주면 상으로 안착되며, 다수 개의 KP 볼트(213)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KP 볼트(213)에 의한 체결은 소켓(2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압륜(210)과 응력측정장치(25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KP볼트(213)의 조립은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자에 의한 초기 체결이 이루어진 후, 공압 장비를 이용한 견고한 체결 과정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과정이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작업자의 숙련도 또는 작업 환경에 따라 각 KP 볼트(213)의 체결상태가 상이할 수밖에 없게 된다.
예컨대, 수도관(240)을 매립 또는 교체하기 위한 터파기 공사가 이루어진 후, 압륜(210)을 이용한 수도관(240) 설치 또는 교체가 이루어지는데, 작업자는 압륜(210)의 하단부 작업 공간이 충분하지 못함에 따라 공압 장비의 이용에 불편이 야기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로인해, 다수 개의 KP 볼트(213) 중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KP 볼트(213)의 조립이 적절하지 못하게 되며, 추후 해당 부위의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KP 볼트(213)의 조립이 균일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상기 응력측정 장치(250)는 압륜(210)과 소켓(220) 간의 균일한 조립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즉, 인지된 바와 같이, 상기 환형 구조를 갖는 금속재질의 프레임(301)의 상단으로 균일하게 배열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모듈(303) 사이로 KP 볼트(213)가 가압하게 되며, 임의 센서모듈(303) 양단에서 가압력이 상이할 때, 해당 센서모듈(303)에서 변형되는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KP 볼트(213)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력측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력측정장치에서 검출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01) 하단에 마련된 균형돌기(307)를 중심으로 양단에 상기 KP 볼트(213)에 의한 체결압력이 발생하며, 작업 환경에 따라 체결압력이 상이하게 발생한다.
이는 도 6의 (가)에서와 같이 균형돌기(307)를 중심으로 양단에 걸리는 체결압력이 균일할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301) 상단에 부착된 센서모듈(303)의 휨 정도가 양단으로 균일하게 발생한다. 반면, 도 6의 (나)와 같이 균형돌기(307)를 중심으로 양단에 걸리는 체결압력이 균일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센서모듈(303)의 휨 정도가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가)의 경우와 (나)의 경우는 센서모듈(303)의 휨 정도에 대응하는 각각의 저항값을 달리하게 된다.
예컨대, 다수 개의 KP 볼트(213) 중 어느 하나의 KP 볼트(213) 조립이 적절하지 못할 경우에는, 해당 KP 볼트(213)를 중심으로 설치된 양 단의 센서모듈의 검출 값은 다른 센서모듈의 검출 값과 상이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검출 값은 전술된 바와 같이, 로드셀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값으로 상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항값은 KP 볼트(213)의 체결상태에 따라 높거나 낮을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서 인지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응력측정장치(250)의 각 센서모듈(303)에서 측정되는 결과값은 상기 통신단자(305)에 의해 제공되며, 별도로 마련된 수신장치(601)에 의해 각 센서모듈(303)의 측정 결과값을 수신하게 된다. 상기 수신장치(601)는 통신단자(305)와 유선으로 접속되어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는 저항 측정기기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통신단자(305) 및 수신장치(601)로 각각의 송수신용 NFC 모듈을 탑재함으로써, 각각의 센서모듈(303)에서 측정된 저항값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수신장치(601)가 유선 구조인 경우에는 각 센서모듈(303)로부터 제공되는 측정값을 각 통신단자(305)를 통해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작업자는 각각의 통신단자(305)를 개별적으로 측정함으로써, 각 위치별 체결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수신장치(601)가 NFC를 이용한 무선기기인 경우에는, 상기 통신단자(305) 또한 NFC 안테나가 탑재되고 상기 센서모듈(303)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래밍이 선행된다. 이는 각 통신단자별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센서모듈(303)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NFC 모듈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작업자가 압륜(210)의 설치 작업을 완료한 후 상기 수신장치(601)를 기동함으로써, 각 센서모듈(303)의 측정정보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장치(601)를 이용하여 압륜(210)의 체결상태를 인지하고, 인지결과에 따라 작업의 보정이 이루어진 후 해당 관로를 매립함으로써 작업 공정을 종료하게 된다.
210 : 압륜 211 : 압륜바디
213 : KP 소켓 215 : 너트
220 : 소켓 230 : 클램프
231 : 클램프 바디 233 : 체결볼트
240 : 수도관 250 : 응력측정장치
301 : 프레임 303 : 센서모듈
305 : 통신단자 307 : 균형돌기
401 : 고무링 601 : 수신장치

Claims (7)

  1. 수도관 파이프의 이탈방지 압륜에 대한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도관(240)과 소켓(220)을 상호 체결하여 상기 수도관(240)과 소켓(220) 간의 수밀성을 유지시키기 이한 압륜(210);
    상기 압륜(210)과 결합되며, 상기 수도관(240)이 소켓(220)으로 인입 고정되도록 상기 수도관(240)을 안내하고 상기 압륜(210)과의 체결을 유도하기 위한 클램프(230);
    상기 소켓(220)의 상단에서 상기 압륜(210)과 체결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응력측정 장치(2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륜(210)은 상기 소켓(220)을 수용하기 위한 환형 구조의 압륜바디(211)와, 상기 압륜바디(211)의 외주면 상으로 균일하게 배치된 다수 개의 나사 홈을 형성하며, 상기 나사홈으로 유입되어 상기 소켓(220)과 압륜바디(211) 간의 체결을 도모하는 KP볼트(213) 및 너트(215)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230)는 다수 개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압륜바디(211)의 후방으로 체결되어 상기 수도관(240)를 고정시켜 상기 압륜(210)과의 체결을 유도하도록 체결볼트(233)를 포함하는 클램프 바디(2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력측정 장치(250)는 금속 재질의 환형 구조를 갖는 프레임(301)의 상단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모듈(303)이 균일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301)의 저면으로는 각 센서모듈(303)의 중심 위치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균형돌기(307)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301)의 측면으로 각 센서모듈(303)의 검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통신단자(305)로 이루어지고,
    상기 균형돌기(307)를 중심으로 양단에 걸리는 상기 KP볼트(213)의 체결압력이 균일할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301) 상단에 부착된 센서모듈(303)의 휨 정도가 양단으로 균일하게 발생하고, 상기 균형돌기(307)를 중심으로 양단에 걸리는 상기 KP볼트(213)의 체결압력이 균일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센서모듈(303)의 휨 정도가 상이하게 발생하여 센서모듈(303)의 휨 정도에 대응하는 각각의 저항값을 달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303)은 금속재질의 프레임(301) 상으로 부착되며, 상기 KP볼트(213)의 가압에 의한 응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KP볼트(213)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303)은 상기 프레임(301)의 변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로드셀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자(305)는 상기 각 센서모듈(303)로부터 측정된 결과값을 수신장치(601)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하며, 상기 결과값은 상기 센서모듈(303)의 휨 정도에 대응하는 저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자(305)는 상기 각 센서모듈(303)로부터 측정된 결과값을 수신장치(601)로 무선으로 제공하고, 상기 결과값은 상기 센서모듈(303)의 휨 정도에 대응하는 저항값이며;
    상기 수신장치(601)는 NFC 리더기이고, 상기 통신단자(305)는 NFC 안테나가 탑재되며, 상기 센서모듈(303)의 측정된 데이터로서 각 센서모듈(303)의 고유코드 및 상기 저항값을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
KR1020200051022A 2020-04-27 2020-04-27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 KR102193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022A KR102193229B1 (ko) 2020-04-27 2020-04-27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022A KR102193229B1 (ko) 2020-04-27 2020-04-27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229B1 true KR102193229B1 (ko) 2020-12-18

Family

ID=7404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022A KR102193229B1 (ko) 2020-04-27 2020-04-27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39788A (zh) * 2022-12-22 2023-03-24 南通恒联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应力测量的馈线卡具的固定状态检测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9281A (ja) * 1996-06-07 1997-12-22 Toshiba Corp フランジ締結監視装置
KR200444734Y1 (ko) * 2009-02-13 2009-06-01 주식회사 서일탑스코 합성수지관용 이탈방지 조인트
JP4699935B2 (ja) * 2006-04-26 2011-06-15 株式会社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アンド・サービス フランジ締結監視装置
KR101579791B1 (ko) 2015-09-08 2015-12-23 주식회사 동광주철 응력분산구조를 개선한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
KR101882614B1 (ko) * 2017-05-25 2018-07-26 이문승 배관 연결 조립체
JP6396241B2 (ja) * 2015-03-17 2018-09-26 株式会社東芝 面圧計測システム
JP6639838B2 (ja) * 2015-09-04 2020-02-05 Ntn株式会社 ホイール締結状態判定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9281A (ja) * 1996-06-07 1997-12-22 Toshiba Corp フランジ締結監視装置
JP4699935B2 (ja) * 2006-04-26 2011-06-15 株式会社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アンド・サービス フランジ締結監視装置
KR200444734Y1 (ko) * 2009-02-13 2009-06-01 주식회사 서일탑스코 합성수지관용 이탈방지 조인트
JP6396241B2 (ja) * 2015-03-17 2018-09-26 株式会社東芝 面圧計測システム
JP6639838B2 (ja) * 2015-09-04 2020-02-05 Ntn株式会社 ホイール締結状態判定装置
KR101579791B1 (ko) 2015-09-08 2015-12-23 주식회사 동광주철 응력분산구조를 개선한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
KR101882614B1 (ko) * 2017-05-25 2018-07-26 이문승 배관 연결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39788A (zh) * 2022-12-22 2023-03-24 南通恒联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应力测量的馈线卡具的固定状态检测系统
CN115839788B (zh) * 2022-12-22 2024-02-27 南通恒联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应力测量的馈线卡具的固定状态检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229B1 (ko) 파이프 이탈방지 압륜의 응력 측정장치
US20140341646A1 (en) Anchoring device for filament body made of fiber reinforced plastic
US10294687B2 (en) System for coupling together segments of a utility pole, and a utility pol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10181568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내진 장치
KR20170021267A (ko) 파일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체결방법
CN101743668B (zh) 线缆连接器的动力挤压工具
CN110274678B (zh) 间隔件和包括该间隔件的传感器模块
US20160363144A1 (en) Clamp and Method of Use
US6609688B1 (en) Support blocks
CN213867805U (zh) 一种用于可回收锚杆的自解锁锚具
US20060207210A1 (en) Support column collet assembly
CN210704363U (zh) 一种用于钢衬po管材生产线的管材固定系统
KR20110055164A (ko) 와이어 연결 어셈블리
JP6793399B2 (ja) トルク測定装置
KR20220086854A (ko) 유압 압착기의 압축력 측정용 지그
KR20030049392A (ko) 구조용 케이블의 인장력 측정장치
CN219827367U (zh) 一种u型抱箍
KR101639263B1 (ko) 수도관 연결장치
CN115872053B (zh) 一种微纳尺度下的弱刚度连接件转运工装
KR20140005690U (ko) 램 지지대
US998538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30400139A1 (en) Sleeve clamp assembly with improved chain having an integral jack cap
US6452104B1 (en) Electric cable
CN213144747U (zh) 一种固定装置及压缩机
KR20190051132A (ko) 가동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