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636B1 -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및 이를 운송하는 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및 이를 운송하는 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636B1
KR102192636B1 KR1020190048640A KR20190048640A KR102192636B1 KR 102192636 B1 KR102192636 B1 KR 102192636B1 KR 1020190048640 A KR1020190048640 A KR 1020190048640A KR 20190048640 A KR20190048640 A KR 20190048640A KR 102192636 B1 KR102192636 B1 KR 102192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shaft
seating
hole
suppor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022A (ko
Inventor
이정한
Original Assignee
옵티멀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멀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옵티멀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8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63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B23P19/12Alignment of parts for insertion into b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23P21/004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the units passing two or more work-stations whilst being comp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04Connecting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60Assembly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에 따르면, 블레이드가 탈 부착될 수 있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 중심 축인 샤프트를 구비하는 임펠러-샤프트 조립체;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조립체는, 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부, 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이격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로드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로드부, 상기 제1 로드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1 위치 이동 지지부 및 상기 제2 로드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의 타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2 위치 이동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및 이를 운송하는 운송 시스템{IMPELLER-SHAFT SUPPORT ASSEMBLY AND TRANSPORTATION SYSTEM FOR TRANS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및 이를 운송하는 운송하는 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임펠러-샤프트를 효과적으로 보관하는 지지 조립체를 효율적으로 운송할 수 있는 운송 시스템에 관대한 것이다.
발전소는 우리 생활에서 꼭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고 있어, 우리 사회에서 꼭 필요한 설비이다. 발전소는 복수의 발전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발전기도 많은 수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각 각의 부품 간의 상호 결합 적인 동작 과정으로 인해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다만. 발전기는 하나의 부품이라도 고장날 경우,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만큼 매우 정교한 설비이다.
이를 위해, 만일 발전기가 고장이 나서 발전기를 분해하는 경우, 평소에 고장이 잦거나, 고장 났을 것이라고 예측되는 부품을 수시로 정기 점검하고 있다. 여기서,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는 높은 압력의 노출로 인해 잦은 크랙이 발생되는 부품 중 하나로서, 수시로 파손 여부를 체크할 필요성이 있는 부품이다. 임펠러-샤프트 조립체의 파손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정밀 점검하는 공장으로 이동시켜야 했다.
다만, 기존에는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지지하는 조립체가 별도로 없었기 때문에,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의로 제작된 나무 토막에 의해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지지하여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이동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운송 중에 임펠러-샤프트 조립체가 이동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였으며, 운송 도중에 임펠러-샤프트 조립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만일,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소정의 높이로 위치 이동시키는 경우 체인과 크레인을 이용한 인양 조립체를 이용하였다. 다만,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존의 인양 조립체를 이용하여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운송하는 경우, 임펠러 샤프트 조립체의 무게 불 균일함으로 인해, 운송 과정에서의 임펠러-샤프트 조립체가 기울면서 낙하되는 사고가 발생되었다. 이로 인해, 임펠러-샤프트 조립체가 파손되거나 인명 피해가 나곤 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및 이를 운송하는 운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에 따르면, 블레이드가 탈 부착될 수 있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 중심 축인 샤프트를 구비하는 임펠러-샤프트 조립체;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조립체는, 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부, 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이격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로드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로드부, 상기 제1 로드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1 위치 이동 지지부 및 상기 제2 로드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의 타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2 위치 이동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 이동 지지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내면을 구비하여 상기 임펠러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인 제1 안착 영역을 제공하는 제1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로드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1 로드부 상에서 회전되기 위하여 외력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 이동 지지부는, 상기 제1 연장부에 연결되는 제1 고정 스트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임펠러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 측면에서부터 타 측면까지 관통되어 있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1 안착부 및 상기 제1-1 안착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안착 영역이 제공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2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1 안착부는, 상기 제1-1 안착부의 내면에서부터 상기 제1-1 안착부의 외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소정의 홀인 제1-1 안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 안착부는, 상기 제1-2 안착부의 내면에서부터 상기 제1-2 안착부의 외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소정의 홀인 제1-2 안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1 연장부 및 상기 제1-1 연장부와 대향되게 상기 제1 연결부토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는, 상기 샤프트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된 후, 상기 제1-1 연장부에 연결된 제1 고정 스트링이 상기 제1-1 안착홀,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2 안착홀을 통과한 뒤 상기 제1-2 연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안착부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 스트링은, 적어도 일부가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조립체는, 상기 제1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베이스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부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소정의 홀이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 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 고정부는, 상기 삽입홀의 저면 중 일부에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일단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샤프트함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의 상면의 둘레 길이 중 두 개의 둘레 길이인 제1 둘레 길이와 제2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조립체는, 상기 삽입홀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미리 정해지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가 접촉되는 경우 소정의 정보인 접촉 정보를 제공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접촉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소정의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시스템은, 블레이드가 탈 부착될 수 있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 중심 축인 샤프트를 구비하는 임펠러-샤프트 조립체 및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및 크레인과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를 위치 이동시키는 인양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조립체는, 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부, 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이격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로드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로드부, 상기 제1 로드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1 위치 이동 지지부 및 상기 제2 로드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의 타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2 위치 이동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 조립체는, 크레인에 연결되어, 블레이드가 탈 부착될 수 있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 중심 축인 샤프트를 구비하는 임펠러-샤프트 조립체 및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인양 조립체에 있어서, 인양 본체부; 상기 인양 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인양 연결부; 상기 인양 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인양 연결부; 상기 인양 본체부의 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3 인양 연결부; 상기 제3 인양 연결부와 상기 크레인을 서로 매개하는 매개부; 및 상기 제1 인양 연결부와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인양 연결부와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에 연결되어 상기 인양 본체부가 위치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를 위치 이동시키는 체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3 인양 연결부와 상기 크레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인양 연결부와 대향되게 상기 인양 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4 인양 연결부; 및 상기 인양 본체부가 일측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4 인양 연결부와 상기 크레인에 연결되는 균형 체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 본체부가 일측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균형 체인부에 연결되어 상기 균형 체인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체인블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시스템은, 블레이드가 탈 부착될 수 있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 중심 축인 샤프트를 구비하는 임펠러-샤프트 조립체와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및 크레인에 연결되어, 인양 본체부, 상기 인양 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인양 연결부, 상기 인양 본체부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인양 연결부, 상기 인양 본체부의 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3 인양 연결부, 상기 제3 인양 연결부와 상기 크레인을 서로 매개하는 매개부 및 상기 제1 인양 연결부와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인양 연결부와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에 연결되어 상기 인양 본체부가 위치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를 위치 이동시키는 체인부를 포함하는 인양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및 이를 운송하는 운송 시스템은 확실하게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중에 임펠러-샤프트 조립체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중에 임펠러-샤프트 조립체 위치 이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인명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운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에 임펠러-샤프트 조립체가 지지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 조립체가 포함되는 운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 조립체가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를 운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1000)는, 블레이드가 탈 부착될 수 있는 임펠러(1120) 및 상기 임펠러(1120)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1120)의 회전 중심 축인 샤프트(1110)를 구비하는 임펠러-샤프트 조립체(1100) 및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1100)를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120)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탈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120)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샤프트(1110)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120)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샤프트(1110)가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120)를 기준으로 상기 임펠러(1120) 양 측으로 상기 샤프트(1110)가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염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샤프트(1110)는 상기 임펠러(1120)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1110)의 일 측면에서부터 타 측면까지 관통되어 있는 제1 관통홀(h11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1110)는 상기 임펠러(1120)의 타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1110)의 일 측면에서부터 타 측면까지 관통되어 있는 제2 관통홀(h111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 조립체(1200)는 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부(1210), 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1210)와 이격되는 제2 베이스부(1220), 상기 제1 베이스부(12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로드부(1230), 상기 제2 베이스부(122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로드부(1240), 상기 제1 로드부(123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1120)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1110)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1 위치 이동 지지부(1250) 및 상기 제2 로드부(124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1120)의 타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1110)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2 위치 이동 지지부(126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조립체(1200)는 상기 제1 베이스부(12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베이스부(1220)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부(1210)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1110)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샤프트(111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소정의 홀이 삽입홀(h1272)이 형성되어 있는 가 고정부(1271, 127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조립체(1200)는 상기 삽입홀(h1272)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1110)가 상기 미리 정해지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1110)가 접촉되는 경우 소정의 정보인 접촉 정보를 제공하는 센싱부(1280) 및 상기 센싱부(1280)로부터 상기 접촉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소정의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부(12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210)와 제2 베이스부(1220)는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부(12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제1 베이스부(1210)의 설명으로 갈음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1210)는 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드부(1230)의 원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로드부(123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로드부(123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위치 이동 지지부(12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로드부(1230)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12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이동 지지부(1250)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내면을 구비하여 상기 임펠러(1120)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1110)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인 제1 안착 영역을 제공하는 제1 안착부(1251a, 1251b), 상기 제1 안착부(1251a, 1251b)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로드부(1230)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1252) 및 상기 제1 연결부(1252)가 상기 제1 로드부(1230) 상에서 회전되기 위하여 외력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부(1252)에 연결되는 제1 연장부(1253-1, 1253-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 이동 지지부(1250)는 상기 제1 연장부(1253-1, 1253-2)에 연결되는 제1 고정 스트링(1254a, 1254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1251a, 1251b)는 상기 제1 연결부(1252)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1 안착부(1251a) 및 상기 제1-1 안착부(1251a)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안착 영역이 제공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1252)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2 안착부(125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안착부(1251a)와 상기 제1-2 안착부(1251b)는 'U'형태의 내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상기 샤프트(1110)가 원 기둥 형상일 경우를 가정한 형상으로서 상기 제1-1 안착부(1251a)와 상기 제1-2 안착부(1251b)의 내면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1 안착부(1251a)는 상기 제1-1 안착부(1251a)의 내면에서부터 상기 제1-1 안착부(1251a)의 외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소정의 홀인 제1-1 안착홀(h1251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2 안착부(1251b)는 상기 제1-2 안착부(1251b)의 내면에서부터 상기 제1-2 안착부(1251b)의 외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소정의 홀인 제1-2 안착홀(h1251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1 안착홀(h1251a)과 상기 제1-2 안착홀(h1251b)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252)는 상기 제1-1 안착부(1251a)와 상기 제1-2 안착부(1251b)가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252)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안착부(1251a, 1251b)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1252)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로드부(123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결부(1252)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로드부(1230)의 일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드부(1230)의 상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1252)의 타단부의 외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1252)는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로드부(1230)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1253-1, 1253-2)는 상기 제1 연결부(1252)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1 연장부(1253-1) 및 상기 제1-1 연장부(1253-1)와 대향되게 상기 제1 연결부(1252)토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 연장부(125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연장부(1253-1)는 내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1 연장부(1253-1)의 일단부는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연장부(1253-2)는 내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2 연장부(1253-2)의 일단부는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 연장부(1253-1)의 내면에는 상기 제1 고정 스트링(1254a, 1254b)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연장부(1253-1)가 제공하는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고정 스트링(1254a, 1254b)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스트링(1254a, 1254b)은 적어도 일부가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스트링(1254a, 1254b)은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진 제1-1 고정 스트링(1254a) 및 비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진 제1-2 고정 스트링(1254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고정 스트링(1254a)의 일단부는 상기 제1-1 연장부(1253-1)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1 고정 스트링(1254a)의 타단부는 상기 제1-2 고정 스트링(1254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 연장부(1253-2)의 측면에는 상기 제1-1 고정 스트링(1254a)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홀인 지지 고정홀(h1253-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 고정홀(h1253-2)은 상기 제1-2 연장부(1253-2)에 복 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상기 제1 고정 스트링(1254a, 1254b)이 어느 지지 고정홀(h1253-2)에 삽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 스트링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 이동 지지부(1260)도 제2 안착부, 제2 연결부, 제2 연장부 및 제2 고정 스트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착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제1 안착부(1251a, 1251b)와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안착부도 제2-1 안착부 및 제2-2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잇다.
제2 연결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1 연결부(1252)와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1 연장부(1253-1, 1253-2)와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도 제2-1 연장부와 제2-2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고정 스트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1 고정 스트링(1254a, 1254b)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고정 스트링도 제2-1 고정 스트링과 제2-2 고정 스트링을 구비할 수 있다.
가 고정부(1271, 1272)는 상기 제1 베이스부(1210)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12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베이스부(1220)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지면에 안착되는 제1 가 고정부(1271) 및 상기 제1 가 고정부(1271)에 직립되어 상기 제1 가 고정부(1271)에 연결되는 제2 가 고정부(1272)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가 고정부(1272)는 상기 제1 가 고정부(1271)와 직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가 고정부(1271)와 상기 제2 가 고정부(1272)가 이루는 각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가 고정부(1272)의 내면에는 상기 샤프트(1110)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홀인 삽입홀(h1272)이 형성될 수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h1272)은 상기 제2 가 고정부(1272)의 내면에서부터 외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 가 고정부(1272)의 내면에서부터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 고정부(1271, 1272)는 상기 삽입홀(h1272)의 저면 중 일부에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R127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R1272)는 상기 돌출부(R1272)의 길이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선(A10)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R1272)의 상면의 둘레 길이 중 두 개의 둘레 길이인 제1 둘레 길이(L10)와 제2 둘레 길이(L20)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돌출부(R1272)의 상면은 원형이 아니고, 상기 돌출부(R1272)의 상면을 이루는 둘레 변들은 적어도 하나 다른 길이의 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110)부는 상기 샤프트(1110)부의 일단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상기 돌출부(R1272)가 삽입되는 샤프트함입부(P11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삽입홀(h1272)과 돌출부(R1272)는 상기 샤프트함입부(P1110)에 상기 돌출부(R1272)가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1110)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위치 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290)는 상기 가 고정부(1271, 1272)에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1100)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도달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알림부(1290)는 상기 센싱부(1280)로부터 소정의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소정의 알림(소리, 발광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지지 조립체(1200)에 임펠러-샤프트 조립체(1100)가 결합되는 과정을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에 임펠러-샤프트 조립체가 지지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안착부(1251a, 1251b)의 내면과 상기 제2 안착부의 내면에 상기 샤프트(1110)가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샤프트(1110)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홀(h1272)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1100)를 위치 이동시켜, 상기 샤프트함입부(P1110)에 상기 돌출부(R127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1110)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홀(h1272)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1 안착홀(h1251a)과 상기 제1 관통홀(h1111)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관통홀(h1111)과 상기 제1-2 안착홀(h1251b)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 때의 상기 샤프트(1110)의 위치를 상기 샤프트(1110)의 미리 정해진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샤프트(1110)의 일단이 상기 센싱부(1280)에 접촉되어 상기 센싱부(1280)는 상기 알림부(1290)로 접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알림부(1290)는 소정의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샤프트(1110)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1 연장부(1253-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제1-2 고정 스트링(1254b)은 상기 제1-1 연장부(1253-1)의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제1-1 안착홀(h1251a), 상기 제1 관통홀(h1111) 및 상기 제1-2 안착홀(h1251b)을 통과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제1-2 안착홀(h1251b)을 통과한 상기 제1-2 고정 스트링(1254b)은 상기 지지 고정홀(h1253-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2 고정 스트링(1254b)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1 고정 스트링(1254a)의 일부도 상기 제1-1 안착홀(h1251a), 상기 제1 관통홀(h1111) 및 상기 제1-2 안착홀(h1251b)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1 고정 스트링(1254a)은 탄성적인 재질로서, 상기 샤프트(1110)가 상기 안착부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111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1100)는 상기 샤프트(1110)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된 후, 상기 제1-1 연장부(1253-1)에 연결된 제1 고정 스트링(1254a, 1254b)이 상기 제1-1 안착홀(h1251a), 상기 제1 관통홀(h1111) 및 상기 제1-2 안착홀(h1251b)을 통과한 뒤 상기 제1-2 연장부(1253-2)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안착부(1251a, 1251b)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스트링에 의해 상기 임펠러의 타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2 안착부에 밀착되는 과정의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 조립체가 포함되는 운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시스템(10)은 블레이드가 탈 부착될 수 있는 임펠러(1120) 및 상기 임펠러(1120)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1120)의 회전 중심 축인 샤프트(1110)를 구비하는 임펠러-샤프트 조립체(1100)와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1100)를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1200)를 포함하는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1000) 및 크레인과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1000)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1000)를 위치 이동시키는 인양 조립체(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조립체(1200)는 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부(1210, 도 2 참조), 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1210)와 이격되는 제2 베이스부(1220, 도 2 참조), 상기 제1 베이스부(12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로드부(1230, 도 2 참조), 상기 제2 베이스부(122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로드부(1240, 도 2 참조), 상기 제1 로드부(123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1120)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1110)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1 위치 이동 지지부(1250, 도 2 참조) 및 상기 제2 로드부(124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1120)의 타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1110)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2 위치 이동 지지부(1260, 도 2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 조립체(2000)는 인양 본체부(2100), 상기 인양 본체부(210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인양 연결부(2200), 상기 인양 본체부(2100)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인양 연결부(2300), 상기 인양 본체부(2100)의 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3 인양 연결부(2400), 상기 제3 인양 연결부(2400)와 상기 크레인을 서로 매개하는 매개부(2500) 및 상기 제1 인양 연결부(2200)와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100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인양 연결부(2300)와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1000)에 연결되어 상기 인양 본체부(2100)가 위치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1000)를 위치 이동시키는 체인부(2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양 본체부(2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인양 연결부(2200)는 상기 인양 본체부(2100)의 일단부의 하면으로 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인양 연결부(2200)에는 상기 체인부(2600)가 걸릴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인양 연결부(2300)는 상기 인양 본체부(2100)의 타단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인양 연결부(2300)에는 상기 체인부(2600)가 걸릴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 인양 연결부(2400)는 상기 인양 본체부(2100)의 중단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인양 연결부(2400)에는 상기 매개부(2500)가 걸릴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매개부(250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3 인양 연결부(2400)와 상기 크레인에 연결되어, 상기 제3 인양 연결부(2400)와 상기 크레인을 서로 매개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2500)를 이용하는 이유는, 다양한 크레인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인양 조립체(2000)를 활용하기 위함일 수 있다.
상기 인양 조립체(2000)는 상기 제1 인양 연결부(2200)와 대향되게 상기 인양 본체부(210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4 인양 연결부(2700) 및 상기 인양 본체부(2100)가 일측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4 인양 연결부(2700)와 상기 크레인에 연결되는 균형 체인부(2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 조립체(2000)는 상기 인양 본체부(2100)가 일측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균형 체인부(2800)에 연결되어 상기 균형 체인부(2800)의 길이를 조절하는 체인블럭부(2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인양 연결부(2700)는 상기 인양 본체부(2100)의 타단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4 인양 연결부(2700)에는 상기 균형 체인부(2800)가 연결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균형 체인부(2800)의 일단부는 상기 크레인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균형 체인부(2800)의 타단부는 상기 제4 인양 연결부(27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인양 조립체(2000)가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1000)를 운송하는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 조립체가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를 운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하나의 체인부(2600)를 상기 제1 인양 연결부(2200)와 상기 임펠러(1120)의 타측에 배치되는 샤프트(1110)에 연결할 수 있다.
마찬가지고, 작업자는 다른 하나의 체인부(2600)를 상기 제2 인양 연결부(2300)와 상기 임펠러(1120)의 일측에 배치되는 샤프트(1110)에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체인부(2600)는 팽팽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상기 인양 조립체(2000)를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10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양 본체부(2100)와 상기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1000)는 일 방향으로 기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 고정부(1271, 1272)에 의한 무게로 인해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1000)가 기운 것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1000)의 구조적 변화에 따라 다른 원인에 의해 상기 인양 본체부(2100)가 일 측으로 기울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샤프트(1110)에는 상기 체인부(2600)가 상기 샤프트(1110) 상에서 슬립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균형 체인부(2800)는 팽팽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균형 체인부(2800)의 장력이 상기 인양 본체부(2100)의 일단부에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상기 체인블럭부(2900)를 동작시켜 상기 균형 체인부(2800)를 감을 수 있다. (상기 체인블럭부(2900) 내부로 상기 균형 체인부(2800)가 감길 수 있다.)
상기 균형 체인부(2800)의 장력이 상기 인양 본체부(2100)의 일단부에 작용되어 상기 인양 본체부(2100)가 수평에 될 때까지, 상기 체인블럭부(2900)는 상기 균형 체인부(2800)를 감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작업자는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1000)를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 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00 : 임펠러-샤프트 조립체 1200 : 지지 조립체
h1111 : 제1 관통홀 h1112 : 제2 관통홀

Claims (8)

  1. 블레이드가 탈 부착될 수 있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 중심 축인 샤프트를 구비하는 임펠러-샤프트 조립체; 및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조립체는,
    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부, 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이격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로드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로드부, 상기 제1 로드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1 위치 이동 지지부 및 상기 제2 로드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의 타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2 위치 이동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위치 이동 지지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내면을 구비하여 상기 임펠러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인 제1 안착 영역을 제공하는 제1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로드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1 로드부 상에서 회전되기 위하여 외력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위치 이동 지지부는,
    상기 제1 연장부에 연결되는 제1 고정 스트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임펠러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 측면에서부터 타 측면까지 관통되어 있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1 안착부 및 상기 제1-1 안착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안착 영역이 제공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2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1 안착부는,
    상기 제1-1 안착부의 내면에서부터 상기 제1-1 안착부의 외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소정의 홀인 제1-1 안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 안착부는,
    상기 제1-2 안착부의 내면에서부터 상기 제1-2 안착부의 외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소정의 홀인 제1-2 안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1 연장부 및 상기 제1-1 연장부와 대향되게 상기 제1 연결부토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는,
    상기 샤프트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된 후, 상기 제1-1 연장부에 연결된 제1 고정 스트링이 상기 제1-1 안착홀,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2 안착홀을 통과한 뒤 상기 제1-2 연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안착부에 밀착되는,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스트링은,
    적어도 일부가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진,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조립체는,
    상기 제1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베이스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부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소정의 홀이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 고정부는,
    상기 삽입홀의 저면 중 일부에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일단면의 일부가 함입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샤프트함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의 상면의 둘레 길이 중 두 개의 둘레 길이인 제1 둘레 길이와 제2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조립체는,
    상기 삽입홀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미리 정해지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가 접촉되는 경우 소정의 정보인 접촉 정보를 제공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접촉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소정의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구비하는,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8. 블레이드가 탈 부착될 수 있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 중심 축인 샤프트를 구비하는 임펠러-샤프트 조립체 및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및
    크레인과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에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를 위치 이동시키는 인양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조립체는,
    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부, 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이격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로드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로드부, 상기 제1 로드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1 위치 이동 지지부 및 상기 제2 로드부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의 타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2 위치 이동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위치 이동 지지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내면을 구비하여 상기 임펠러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인 제1 안착 영역을 제공하는 제1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로드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1 로드부 상에서 회전되기 위하여 외력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위치 이동 지지부는,
    상기 제1 연장부에 연결되는 제1 고정 스트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임펠러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샤프트의 일 측면에서부터 타 측면까지 관통되어 있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1 안착부 및 상기 제1-1 안착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안착 영역이 제공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2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1 안착부는,
    상기 제1-1 안착부의 내면에서부터 상기 제1-1 안착부의 외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소정의 홀인 제1-1 안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 안착부는,
    상기 제1-2 안착부의 내면에서부터 상기 제1-2 안착부의 외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소정의 홀인 제1-2 안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1 연장부 및 상기 제1-1 연장부와 대향되게 상기 제1 연결부토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샤프트 조립체는,
    상기 샤프트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된 후, 상기 제1-1 연장부에 연결된 제1 고정 스트링이 상기 제1-1 안착홀,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2 안착홀을 통과한 뒤 상기 제1-2 연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안착부에 밀착되는,
    운송 시스템.
KR1020190048640A 2019-04-25 2019-04-25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및 이를 운송하는 운송 시스템 KR102192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640A KR102192636B1 (ko) 2019-04-25 2019-04-25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및 이를 운송하는 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640A KR102192636B1 (ko) 2019-04-25 2019-04-25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및 이를 운송하는 운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022A KR20200125022A (ko) 2020-11-04
KR102192636B1 true KR102192636B1 (ko) 2020-12-17

Family

ID=7357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640A KR102192636B1 (ko) 2019-04-25 2019-04-25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및 이를 운송하는 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6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586B1 (ko) * 2015-10-22 2016-06-22 한국플랜트서비스주식회사 블레이드링 얼라이먼트 조정용 지지대
KR101632180B1 (ko) * 2016-02-03 2016-06-22 (주)원프랜트 발전설비용 안전 작업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586B1 (ko) * 2015-10-22 2016-06-22 한국플랜트서비스주식회사 블레이드링 얼라이먼트 조정용 지지대
KR101632180B1 (ko) * 2016-02-03 2016-06-22 (주)원프랜트 발전설비용 안전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022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662B1 (ko) 고정자 지지 장치
FR2477198A1 (fr) Dispositif pour l'ancrage de structures autoporteuses de grande hauteur telles que des mats
KR102192636B1 (ko) 임펠러-샤프트 지지 조립체 및 이를 운송하는 운송 시스템
ES2671220T3 (es) Elemento de conexión y estructura de armadura radial
CN109690074B (zh) 风力涡轮机部件的可调整保持固定装置
KR102221349B1 (ko) Bfp-tbn 로터 인양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
US20140308875A1 (en) Toy and module therefor
US8540204B2 (en) Method for servicing a turbine engine cover plate assembly
KR101176606B1 (ko)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해저 지반조사장치
US6618950B2 (en) Projection apparatus for demarcation
KR20160007711A (ko) 타워 고정용 기초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RU2361988C2 (ru) Копер
CN204624892U (zh) 电梯装置
ES2639372B1 (es) Estructura soporte de turbina eólica marina
JP2016008621A (ja) 鉛直方向免震構造
JP7225514B2 (ja) 屋根構造
KR20190009359A (ko) 타워에 대한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밍 장치 및 타워의 제조 방법
KR101484121B1 (ko)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KR20120134739A (ko) 케이블 보호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CN108528643A (zh) 可快拆的船用木材防护可倒立柱连接装置
SE523742C2 (sv) Anordning för att variera en trimmers klipphöjd
US20170122297A1 (en) An equipment compartment frame of a power control module of a wind power turbine and methods related thereto
CN208423448U (zh) 光纤激光器
JP7375379B2 (ja) 補助シーブ装置
JP2021017312A (ja) カウンタウェイ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