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251B1 - 우담죽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담죽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251B1
KR102192251B1 KR1020200044426A KR20200044426A KR102192251B1 KR 102192251 B1 KR102192251 B1 KR 102192251B1 KR 1020200044426 A KR1020200044426 A KR 1020200044426A KR 20200044426 A KR20200044426 A KR 20200044426A KR 102192251 B1 KR102192251 B1 KR 102192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salt
bile
bamboo salt
g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식
Original Assignee
김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식 filed Critical 김동식
Priority to KR102020004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1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heating without chemical treatment, e.g. steam treatment,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담즙(소쓸개즙), 대나무 그리고 천일염을 이용하여 죽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생대나무를 한마디씩 자른 죽통에 곱게 간 천일염과 우답즙을 약 20:1의 비율로 섞은 것을 넣은 다음, 이를 죽염소성가마에 적재하여 200∼800℃에서 11시간 열처리를 한 다음에 800℃이상으로 10분이상 가열하여 다이옥신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제작하며, 이 작업을 20회 이상 반복하여 유익한 성분이 충분히 농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담죽염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우담죽염은, 황화수소성분을 통한 위염과 위궤양 예방 효과가 확인된 종래의 죽염에 한의학적으로 간경, 담경, 폐경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우담즙을 첨가하여 위장을 비롯한 소화기관 그리고 간과 신장에 대한 기능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우담죽염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BAMBOO SALT WITH BILE OF OX}
본 발명은 위출혈, 위염 및 위궤양 등의 위장병 관련에 대한 위 손상 예방의 효과를 가지는 종래의 죽염에, 간과 신장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데옥시콜린산(udca)이 함유된 우담즙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우담죽염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우담죽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체 제조 과정을 20회 이상 반복하여 유효성분이 농축된 우담죽염을 제조한다.
우담즙은 소를 도살하여 채취된 쓸개즙인데, 그 맛은 쓰고 찬 성질에 속하는 것이다. 우담즙은 한의학적으로 간경, 담경, 폐경에 작용하며, 열을 내리고 눈을 밝게 하며, 부은 것을 내리게 하고, 해독작용을 하며, 특히 풍열로 생긴 눈병, 황달, 변비, 소갈, 어린이 경풍, 치질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이, 우담즙의 효능은 웅담과 거의 비슷하고, 그 효과면에 있어서는 웅담의 80%~90% 정도에 이르나, 그 가격은 웅담에 비하여 매우 저렴하다.
간(liver)은 인체에 있어서 가장 큰 장기 중 하나로서 생활하는데 필수조직이며, 다른 조직의 기능들을 전체적 인 맥락에서 조화롭게 관리한다. 그리고 동원 가능한 에너지의 근원을 쉽게 저장, 제공하므로 영양소의 대사기 능, 해독기능, 순환 조절 기능에 관여하고 있으며, 간의 화학적 잠재력과 빠른 재생력 등의 이유로 '화학 공장', '저장고', '침묵의 장기'라고도 한다(이유진, et al., 2006).
간은 지방 성분이 포함된 음식이나 알코올의 과다 섭취, 바이러스의 감염, 각종 약품과 같은 유해물질, 영양 부족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급성 또는 만성의 장애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간은 우리 몸이 독성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독을 제거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독성 물질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간의 손상은 독성 물질을 제거하는 해독 기능에 장애를 나타내고, 면역체계에 이상을 가져와 지방간, 간염, 황달, 간경화, 간암 등을 야기 시킬 수 있다(Mansour H.H., et al., 2006; Jo W.S., et al., 2008).
최근에는 비만인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발생이 증가하는데(Chiang D.J., et al., 2011), 이것은 식생활과 생활습관의 서구화로 인한 비만 인구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알코올 섭취의 지속적인 증가, 비만 및 스트레스 등을 감안하면 지방간을 비롯한 간 질환의 발병이 급증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 질환의 치료 방법은 식 이 요법과 약물 요법이 있으며 약물 요법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우루소데옥시콜린산(ursodeoxycholic acid), 실리마린(silymarin), 비페닐 디메틸 디카복시레이트(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DDB), 글루타치온(glutathione), 글리시리진(glycyrrhizin) 등과 같은 간 세포 재생촉진제 및 간 기능 보조제, 아시클로바(acyclovir)와 같은 항바이러스 등의 약물이 사용되고 있다(Abdel-Hameid N.A., 2007; Korenaga M., et al.,2011; Raskoviae A., et al., 2011; Chem Y., et al., 2012).
콩팥(kidney, 신장)은 아래쪽 배의 등 쪽에 쌍으로 위치하는 장기로, 대사산물 [0005] 및 노폐물을 걸러서 소변으로 배출하는 배설 기능, 체내 수분량과 전해질, 산성도 등을 좁은 범위 안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생체 항상성 유지(김종규, 1998), 혈압 유지, 빈혈 교정 및 칼슘과 인 대사에 중요한 여러 가지 호르몬을 생산하고 활성화시키는 내분비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김완희, et al., 1993). 이러한 콩팥의 기능이 심하게 저하되거나 소실되면 생명을 유지하기 어렵다.
우담(牛膽)은 소의 쓸개(bovine gall)로 그 맛은 쓰고 찬 성질에 속한다. 한의학적으로 간경, 담경, 폐경에 작용하며, 간열을 내리고 눈을 밝게 하며 담즙이 잘 나오게 하고, 부은 것을 내리게 하고 해독작용을 하며, 특히 풍열로 생긴 눈병, 황달, 변비, 당뇨, 어린이 경풍, 치질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2001). 또한 우담즙의 담즙산은 건위, 소화 작용, 담즙 분비 작용, 물질대사 촉진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위염(gastritis)과 위궤양(gastric ulcer)은 내외부의 다양한 공격인자들에 노출되어 있어 위점막이 손상을 입어 발생하는 위장질환으로, 세계적으로 발생 빈도가 높은 질환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위장질환은 심리적 스트레스, 위산 과다분비, 위장 운동 증가, 그리고 헬리코박터균(Helicobacter pylori)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그 증세는 일반적인 통증 이외에도 출혈, 염증, 궤양, 그리고 점막손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위궤양은 헬리코박터균의 감염과 관련성이 높으며 선진국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가에서 성인의 90% 이상이 이 균주에 감염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아스피린(aspirin)과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소염제들(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은 국소혈행을 원활하게 해 주는 cyclooxygenase-2의 선택적 생성 저해를 통해 위점막에 직접적인 자극을 주어 출혈, 염증, 그리고 궤양 등의 위 손상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위궤양 등의 위 손상을 치료하기 위해 위벽세포로부터의 산 분비를 차단하는 수소이온 펌프억제제, 제산제, 산분비를 촉진시키는 히스타민의 수용체 차단제, 위점막 층 강화제인 프로스타그란딘 (prostaglandin, PG)과 그 유도체, 그리고 헬리코박터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항생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다양한 위 손상 치료 혹은 예방제들은 장기 복용할 경우 부작용이 있고 그리고 내성이 생기는 문제점들 이 있다. 이로 인해 식품소재를 포함한 천연물질로부터 보다 위 손상 효과가 우수한 예방 혹은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섭취하더라도 부작용이 없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내성이나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어지지 않는 위 손상 예방 효과를 갖는 천연소재의 발굴 및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일상 생활에서 식품의 맛을 내는 조미료로 사용되는 소금은 주로 염화나트륨(NaCl)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염화나트륨은 사람에게 생리적으로 필수 불가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염화나트륨은 체내에서 체액의 삼투압을 조정하고, 완충물질로서 체액의 산염기 평행을 유지하고, 쓸개즙, 이자액 또는 장액 등의 알칼리성 소화액을 구성하고, 염화나트륨의 또 다른 구성성분인 염소는 위액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동물의 생리활성 및 생명유지와 밀접하게 관련된 작용을 하므로, 소금섭취가 결핍되면 단기적인 경우에는 소화액의 분비가 부족하게 되어 식욕감퇴가 일어나고, 장기적인 경우에는 전신 무력, 권태, 피로, 정신불안 등이 일어나며, 체내에서 급격한 염분의 손실이 일어나게 되면 현기증, 무욕, 의식혼탁 등의 뚜렷한 육체적 및 정신적 기능상실이 일어난다.
그러나 매일 섭취하고 있는 소금을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혈압을 상승시키고 인슐린 신호전달에 영향을 주어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소금의 주성분인 염화나트륨이 고혈압 및 당뇨병을 유발시키는 직접적인 원인물질로 밝혀져 있다. 이로 인해 WHO/ISH에서는 성인의 소금 일일 섭취량을 5g이하로, 2000년 일본 고혈압학회(Japanese Society of Hypertension)에서는 7g이하로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우리가 섭취하고 있는 소금은 암염, 정제염, 재제염, 그리고 천일염 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소금의 종류에 따라 미네랄 함량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전 세계 대부분 사람이 주로 섭취하고 있는 암염과 정제염은 염화나트륨 함량이 99%이상인 반면 K, Ca, Mg과 같은 미네랄 성분이 거의 없으나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갯벌 천일염은 염화나트륨 함량이 85%정도인 반면 K, Ca, Mg과 같은 미네랄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이강덕 등. 2008 한국식품과학회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p. 282, 한국식품과학회, 광주 2008. 6. 18-20).
Figure 112020037877019-pat00001
※ 갯벌천일염과 일반소금(암염)의 미네랄 함량
특히 K, Ca, Mg 등의 미네랄 성분들은 혈압 상승을 억제시키고 인슐린 신호 전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K는 NO의 생성을 증가시켜 내피혈관을 이완시키며 Ca은 근육 및 혈관의 수축이완에 영향을 주며 고혈압환자의 경우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춘다고 하였다(Franzoni F 등, 2005.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59, p. 25-29, 2005; Wu X 등, Cardiovascular Research, 40, 364-374, 1998). 또한, Mg은 NO 생성 증가와 함게 혈관구조 등 에 변화를 일으켜 혈압에 영향을 준다(Sontia B 등, Arichives of Biochemistry & Biophysics, 458, p. 33-39, 2007). Ogihara 등(Life Sciences, 73, p. 509-523, 2003; Hypertension, 40, p. 83-88, 2002)은 NaCl만을 섭취시킨 염민감 쥐에서는 glucose transporter-4 (GLUT4)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인슐린 신호전달을 저해하였으나 고농도의 K을 보충 섭취시킨 염민감 쥐에서는 인슐린 신호 전달 인자의 작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보고하였다.
최근 갯벌천일염은 미네랄이 거의 없는 소금에 비해 혈압상승을 억제하고 인슐린 신호전달에서 네거티브 조절인자인 인슐린 리셉터 물질-1 세린 인산화 (insulin receptor substrate-1 serine phosphorylation) 효소의 발현을 저해함은 물론 지방 혹은 근육조직에서 포도당 이용률(glucose uptake)을 높여 줌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을 더 줄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Ekkapon L 등, 2008 14th World Congress of Food Science & Technology, TS25-37, Shanghai, China, 2008.10.19-23; Lee KD 등, 2008 14th World Congress of Food Science & Technology, TS25-83, Shanghai, China, 2008.10.19-23). 따라서 소금은 섭취량뿐만 아니라 소금의 종류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으로 시사되었다. 갯벌천일염은 미네랄 함량을 다량 함유되어 건강에 좋은 소금이라고 판단되었다.
열처리소금(죽염 등)은 갯벌천일염을 대나무와 함께 태우거나 용융시켜 제조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만 유일하게 생산되고 있다. 예로부터 항염증, 항당뇨 등의 치료 목적으로 널리 이용하여 왔으며 최근 과학자들에 의해 항산화, 항염증, 항바이러스, 그리고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밝혀지고 있다(Gao TC 등, 9th International Symposium, pp. 1345-1347, Beijing, China, 2009; Shin HY 등, immunophamacol immunotoxicol, 25, p. 377-384, 2003; 양지선 등, 응용약물학회지, 7, 178-184, 1999).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6527호에는 쓴맛 소금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소금의 섭취량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소금에 쓴맛이 나는 물질(고삼, 익모초, 쓸개, 등)을 첨가하여 용해 한 후 재결정 한 것으로 같은 농도의 소금에 적정량의 쓴맛이 섞이면 상당히 더 짜게 느껴지는 미각의 대비현상을 이용 한 것으로 식생활에서 소금을 적게 사용해도 알맞은 짠맛을 낼 수 있게 하며 소금을 많이 넣게 되면 음식이 쓴맛이 나도록 하여 소금의 사용량을 줄일 수밖에 없는 견제기능을 갖는 쓴맛을 내는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은 통상의 소금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련되며, 본 발명과 같이 죽염에 응용하는 기술과는 상이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선행기술과 같이 단순히 쓸개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담즙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농축을 위하여 반복 제조시 이전의 결과물을 이용한다는 점에서도 선행기술과의 차이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6527호(2009.07.13.)
본 발명의 목적은, 위출혈, 위염 및 위궤양 등의 위장병 관련에 대한 위 손상 예방의 효과를 가지는 종래의 죽염에, 간과 신장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데옥시콜린산(udca)이 함유된 우담즙을 첨가하여 제조하되, 특히 전체 제조 과정을 20회 이상(바람직하게는 21회) 반복하여 유효성분이 농축된 우담죽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원료인 소금은 다양한 미네랄(Minerals)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해수를 염전에서 자연 증발하여 생산되는 천일염을 사용한다.
우담즙은 식용을 목적으로 도축된 소의 담낭으로부터 분리한 우담즙을 사용한다.
그리고 대나무는 대나무의 성숙 정도가 3년생 이하는 덜 성숙한 것이나 5년생 이상은 너무 노쇠한 것은 좋은 죽염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3∼4년생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또한, 베어낸 지 오래지 않아 수액이 마르지 않은 대나무를 사용한다.
최초 1회 죽염 제작 시, 굵은 소금 결정을 곱게 갈아내어 우담즙을 소금의 무게 중량비 100중량부을 기준으로 우담즙 5중량부 만큼 섞은 후, 생대나무를 한마디씩 자른 죽통에 충전한다. 이후 죽통의 입구를 한지에 쌀풀을 묻혀 봉한다.
위와 같이 충전된 죽통을 죽염소성가마 내부에 쌓아, 200∼800℃에서 11시간 열처리를 하며, 마지막에 800℃이상으로 10분 이상 가열하여 다이옥신을 제거하는 한다.
이후, 상온의 온도로 냉각된 죽염 기둥의 표면에 남아 있는 불순물 혹은 불완전연소된 숯을 깨끗이 제거한다. 1차 파쇄기와 2차 분쇄기를 사용하여, 죽염을 고운 가루로 분쇄한다.
위 작업을 20회 이상(바람직하게는 21회) 반복하여 유익한 성분이 충분히 농축되도록 한다.
n번째 반복 수행 시, n-1번째의 결과물인 죽염을 사용(1<n≤21, n은 자연수)하여 우담즙을 위와 마찬가지로 이전 결과물인 죽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중량부 만큼 섞어 한마디씩 자른 죽통에 충전하여 구워낸다. 즉, 2회 반복부터는 21회 제작까지 이전 제작 결과물인 죽염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담죽염의 제조방법은 황화수소성분을 통한 위염과 위궤양 예방 효과가 확인된 종래의 죽염에 한의학적으로 간경, 담경, 폐경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우담즙을 첨가하여 위장을 비롯한 소화기관 그리고 간과 신장에 대한 기능성을 가진 죽염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담죽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위출혈, 위염 및 위궤양 등의 위장병 관련에 대한 위 손상 예방의 효과를 가지는 종래의 죽염에, 간과 신장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데옥시콜린산(udca)이 함유된 우담즙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우담죽염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우담죽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체 제조 과정을 20회 이상 반복하여 유효성분이 농축된 우담죽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의 소금은 다양한 미네랄(Minerals)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해수를 염전에서 자연 증발하여 생산되는 전일염을 사용한다.
또한, 우담즙은 식용을 목적으로 도출된 소의 담낭으로부터 분리한 우담즙을 사용한다.
또한, 대나무는 대나무의 성숙정도가 3년생 이하는 미성숙한 것이고 5년생 이상은 너무 노쇠한 것이므로, 좋은 죽염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3~4년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베어낸지 오래되지 않아서 수액이 마르지 않은 대나무만 사용하도록 한다.
실시예 1. 우담죽염의 제조방법
1. 대나무통 준비 단계
대나무통 준비 단계는 위와 같은 대나무를 한마디씩 잘라내어 준비한다(S1).
2. 담즙 준비 단계
담즙 준비 단계는, 식용을 목적으로 도살된 소의 담낭으로부터 담즙만을 분리한다(S2).
3. 천일염과 우담즙 반죽 단계
천일염과 우담즙 반죽 단계는, 상기 담즙 준비 단계를 통해 준비된 담즙에 천일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이다(S3).
이때, 천일염은 곱게 갈아서 사용하고, 상기 천일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우담즙 5중량부의 비율로 섞어 반죽한다.
또한, 상기 천일염은 2년 이상 간수를 뺀 천일염을 사용하도록 한다.
4. 반죽물 충진 단계
반죽물 충진 단계는, 상기 천일염과 우담즙 반죽 단계에서 획득한 반죽물을 상기 대나무통 준비 단계에서 준비된 대나무통에 충진시켜 채우는 단계이다(S4).
이렇게 반죽물이 충진된 대나무통은, 입구를 한지에 쌀풀을 묻혀 밀봉하도록 한다.
5. 죽염 제조 단계
죽염 제조 단계는, 상기 반죽물 충진 단계를 통해 준비된 밀봉된 대나무통을 죽염소성용 가마에 넣어 고온으로 소성하도록 한다(S5).
이때, 죽염소성용 가마에 넣어지는 대나무통은 종래 죽염의 제조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 쌓도록 하고, 200~800℃에서 11시간 동안 열처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11시간이 경과하면 800℃ 이상으로 10분 이상 가열하여 다이옥신을 제거하도록 한다.
6. 냉각 및 후처리 단계
냉각 및 후처리 단계는, 상기 죽염 제조 단계 후, 대나무통을 죽염소성용 가마로부터 빼내어 상온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죽염 기둥의 표면에 남아 있는 불순물과 불완전연소된 숯을 완전히 제거한다(S6).
7. 분쇄 단계
분쇄 단계는, 상기 냉각 및 후처리 단계 후, 1차 파쇄기 및 2차 분쇄기를 이용하여 총 2회를 걸친 분쇄작업을 걸쳐 죽염을 고운가루로 분쇄하도록 한다(S7).
8. 20회 이상 반복 단계
20회 이상 반복 단계는, 상기 분쇄 단계까지 종료되면, 상기 천일염과 우담즙 반죽 단계에서부터 상기 분쇄 단계까지 총 20회 이상 반복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천일염과 우담즙 반죽 단계에서 우담즙과 혼합되는 소금은 최초 1회는 천일염으로 하고, 2회부터는 이전 단계에서 획득된 결과물인 죽염을 사용하도록 한다.
즉, 본 단계는 S3 내지 S7의 단계를 20회 이상(바람직하게는 21회) 반복하여 유익한 성분이 충분히 농축되도록 하되,
n번째 반복 수행 시, n-1번째의 결과물인 죽염을 사용(1<n≤21, n은 자연수)하여 우담즙을 위와 마찬가지로 이전 결과물인 죽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중량부 만큼 섞어 한마디씩 자른 죽통에 충전하여 구워낸다. 즉, 2회 반복부터는 21회 제작까지 이전 제작 결과물인 죽염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반복을 통해 최종적으로 우담죽염을 획득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7)

  1. 천일염에 식용 소의 담낭으로부터 분리된 담즙을 혼합하여 죽염으로 제조하되, 제조 과정을 20회 이상 반복하여 우담의 유효성분인 데옥시콜린산(UDCA)이 농축되도록 하여 제조된 우담죽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대나무통을 준비하는 단계;
    (b) 담즙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담즙과 천일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반죽물을 상기 (a)단계에서 준비된 대나무통에 충진하고, 충진된 대나무통의 입구를 한지에 쌀풀을 묻혀 밀봉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밀봉된 대나무통을 죽염소성용 가마에 넣어 소성시켜 죽염을 제조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소성된 대나무통을 상온에서 냉각시키고, 죽염 기둥의 표면에 남아 있는 불순물과 숯을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 및
    (g) 상기 (f)단계까지 완료되면, 죽염을 파쇄 및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g)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c)단계 내지 (g)단계를 총 20회 이상 반복하고,
    상기 20회 이상 반복은 21회 반복이되, 2회 이상의 반복에서는, 이전의 (g)단계까지 수행됨으로써 획득된 담즙이 포함된 죽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담즙을 5중량부 만큼 섞어 한마디씩 자른 대나무통에 충전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담죽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천일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담즙을 5중량부 만큼 혼합하여 반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담죽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사용되는 천일염은 2년 이상 감수를 뺀 천일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담죽염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200~800℃에서 11시간 동안 열처리 한 후, 11시간이 경과되면 800℃ 이상의 온도에서 10분 이상 가열하여 다이옥신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담죽염의 제조방법.
  7. 청구항 3, 5 및 6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우담죽염.
KR1020200044426A 2020-04-13 2020-04-13 우담죽염의 제조방법 KR102192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426A KR102192251B1 (ko) 2020-04-13 2020-04-13 우담죽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426A KR102192251B1 (ko) 2020-04-13 2020-04-13 우담죽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251B1 true KR102192251B1 (ko) 2020-12-16

Family

ID=7404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426A KR102192251B1 (ko) 2020-04-13 2020-04-13 우담죽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2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924A (ko) * 1992-11-03 1994-06-20 우영근 청죽염의 제법 및 그 제품
KR970004034A (ko) * 1995-06-20 1997-01-29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701471B1 (ko) * 2005-10-10 2007-03-29 영 길 이 죽염의 제조 방법
KR20090076527A (ko) 2008-01-09 2009-07-13 백관석 쓴맛 소금
KR20110085229A (ko) * 2010-01-19 2011-07-27 홍한희 우담, 액즙 또는 용해된 기능성 소금물을 이용한 식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924A (ko) * 1992-11-03 1994-06-20 우영근 청죽염의 제법 및 그 제품
KR970004034A (ko) * 1995-06-20 1997-01-29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701471B1 (ko) * 2005-10-10 2007-03-29 영 길 이 죽염의 제조 방법
KR20090076527A (ko) 2008-01-09 2009-07-13 백관석 쓴맛 소금
KR20110085229A (ko) * 2010-01-19 2011-07-27 홍한희 우담, 액즙 또는 용해된 기능성 소금물을 이용한 식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83705A (zh) 一种润肠通便改善便秘的功能性食品
CN103734548B (zh) 用于治疗猪消化不良的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295211A (zh) 一种治疗糖尿病的药食同源食品组方及其制备方法
CN104855994A (zh) 肾病非全营养配方食品
CN107198246A (zh) 一种保健组合物与一种保健制剂
CN105918387A (zh) 一种适用中老年保健食品及制备方法
CN103431260A (zh) 供胃肠道吸收障碍、胰腺炎患者食用的五谷杂粮全营养配方食品
KR102192251B1 (ko) 우담죽염의 제조방법
CN100574786C (zh) 一种甲鱼制剂的生产工艺
KR102265866B1 (ko)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유황오리 엑기스의 제조방법
CN107375825A (zh) 一种治疗糖尿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871940A (zh) 龟斛胶
CN105249475A (zh) 一种保健海藻凉粉及其制备方法
KR20200107331A (ko) 우담죽염
CN101284115A (zh) 补肾强体丹及其生产工艺
CN107594526A (zh) 一种海藻胶为囊材的助消化软胶囊制剂的制备方法
KR100425832B1 (ko) 건조 가물치와 건조 해산물을 이용한 건강강화식품의제조방법
CN113662068A (zh) 一种桂杞姜甘茶配方及其制备方法
CN105410926A (zh) 一种长茎葡萄蕨藻减肥胶囊及其制备方法
CN112294925A (zh) 一种用于治疗痛风、胃病、便秘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20040081933A (ko) 바이오 수삼(인삼) 침출차(당뇨 환자용) 제조방법
CN104116999A (zh) 改善肠道微生物环境的制剂及其制备方法
CN1179328A (zh) 一种治疗糖尿病的药剂、食品及制作方法
CN106138968A (zh) 肠胃修复及保护肠胃黏膜的药食同源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50117608A (ko) 바이오 홍삼(당뇨환자용) 침출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