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885B1 - 전기 외과용 기구 및 그러한 기구를 구비한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외과용 기구 및 그러한 기구를 구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885B1
KR102191885B1 KR1020160117766A KR20160117766A KR102191885B1 KR 102191885 B1 KR102191885 B1 KR 102191885B1 KR 1020160117766 A KR1020160117766 A KR 1020160117766A KR 20160117766 A KR20160117766 A KR 20160117766A KR 102191885 B1 KR102191885 B1 KR 102191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electrode
hand piece
slide
sliding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3078A (ko
Inventor
우도 키르스트젠
볼커 분트록
토비아스 알베르스테터
토르스텐 롬바흐
엘마르 아흘부르크
Original Assignee
에에르베에 엘렉트로메디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에르베에 엘렉트로메디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에르베에 엘렉트로메디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13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using additional gas becoming 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18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196Moving parts reciproc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6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using a threshold value
    • A61B2018/00678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using a threshold valu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22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by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treatment energy directly within the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4Types of switches or controllers
    • A61B2018/00952Types of switches or controllers rot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75Electrodes retractable in or deployable from a hou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를 위한 전기 외과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 전기 외과용 기구는 핸드 피스(10), 핸드 피스(10)에 연결된 전극(11), 전극(11)을 둘러싸고 핸드 피스(10)에 유지되는 샤프트(12), 및 핸드 피스(1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손잡이(14)를 구비하는 작동 메커니즘(13)을 포함하고, 샤프트(12)는 전극(11)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손잡이(14)를 조작함으로써 샤프트에 전단력이 가해질 수 있다. 핸드 피스(10)는 샤프트(12)에 제동력을 가하는 제동 장치를 가지며, 작동 메커니즘(13)은 전단력을 전달하기 위해 샤프트(12)에 연결된 변속 기어(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외과용 기구 및 그러한 기구를 구비한 장치{ELECTROSURGICAL INSTRUMENT AND APPARATUS HAVING SUCH AN INSTRUMENT}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특히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를 위한 전기 외과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기구는, 예컨대US 2009/0125023 A1 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기구를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처음에 언급한 유형의 전기 외과용 기구는 조직을 절단하거나 또는 고주파 교류 전류로 응고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는 HF 전류의 비접촉 전송이 이온화된 아르곤 가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전기 외과용 수술의 특별한 형태이다.
전극의 노출 길이가 변경되므로, 에너지 입력의 효과는 처음에 언급한 공지의 기구에 의해서 발생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단열 효과를 갖는 전극을 둘러싸고 필요에 따라 전극을 노출시키기 위해서 전극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샤프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기구를 위한 중요한 요구 사항은 한 손으로의 조작 가능성이다. 동시에, OP 영역 내의 기구의 위치는 가능하면 변경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은, 샤프트가 이동하더라도 기기를 조작할 때 가능한 한 그립 위치가 멀리 유지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기구에서, 이는 기구의 핸드 피스(handpiece)의 중앙에 배치되어 검지 손가락으로 조작될 수 있는 회전 손잡이(rotary knob)에 의해서 달성된다. 회전 손잡이는 결과적으로 전극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샤프트를 조작한다.
전기 외과용 기구에 대한 추가의 요구 사항은 전극을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투관침(trocar)과 관련된 그것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한다. 동시에, 투관침 내의 기구를 이동시키면서 마찰력이 샤프트와 투관침의 사이에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힘은 샤프트를 억제하고 의도하지 않게 전극을 노출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외과용 기구 및 그러한 기구를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에서 장치의 조작을 저해하지 않고 투관침과 관련하여 기구를 사용할 때 또는 준비 도중에도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취지의, 처음에 언급한 전기 외과용 기구를 개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그러한 기기를 구비한 장치를 명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전기 외과용 기구에 의해서 그리고 청구항 15의 특징을 갖는 장치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특히, 이 목적은 핸드 피스를 가지며 또한 이 핸드 피스에 연결된 전극을 갖는, 특히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를 위한, 전기 외과용 기구에 의해서 달성된다. 샤프트는 핸드 피스에 유지된 전극을 둘러싼다. 기구는 핸드 피스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손잡이를 갖는 작동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샤프트는 전극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회전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전단력이 샤프트에 가해질 수 있다. 핸드 피스는 샤프트에 제동력을 가하는 제동 장치를 갖는다. 작동 메커니즘은 전단력을 전달하기 위해 샤프트에 연결된 변속 기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다양한 이점들을 갖는다.
제동 장치는, 예컨대, 투관침과 함께 사용될 때 전극이 의도하지 않게 노출되지 않도록 기구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제동 장치가 샤프트에 가하는 제동력은 적용 중에, 예컨대, 투관침을 통한 삽입 중에 샤프트가 기단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동력은 샤프트의 자체 잠금으로 이어져서, 샤프트를 의도하지 않게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회전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조작력이 샤프트에 가해져서 전극의 노출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 힘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해진다. 기구를 조작할 때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회전 손잡이의 저항은 인체 공학적으로 편리하게 느껴지는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구는, 작동 메커니즘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고 또 전단력을 전달하기 위해 샤프트에 연결되는 변속 기어를 갖는다. 변속 기어는 일반적으로 회전 손잡이 또는 작동 메커니즘의 조작을 쉽게 하도록 제동 장치가 가하는 제동력을 보상한다.
샤프트가 말단으로 및 기단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 손잡이가 두 방향(시계 방향/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요약하면, 샤프트가 제동 장치에 의해서 의도하지 않게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기구의 안전성을 높인다. 동시에, 작동 메커니즘이 사용자가 가하는 손가락의 힘을 샤프트에 작용하는 전단력으로 변환하는 변속 기어를 형성하므로, 기구의 원활한 동작이 유지된다. 이 경우에, 변속 기어는 손가락의 힘에 비해서 전단력을 증가시키는 레버 장치(lever arrangement)처럼 작용한다.
회전 손잡이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에 토크 저항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종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 기어는 전단력을 전달하기 위해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다. 종동 기어의 직경은 구동 기어의 직경보다 작다. 이로써, 샤프트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필요한 변속비가 쉽게 달성된다. 이 실시예의 추가의 이점은 이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저렴하고 안전한 설계이다.
작동 메커니즘은 전단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드는 한편으로는 샤프트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변속 기어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가하는 구동력을 샤프트에 안전하게 전달하는 강력하고 간단한 구조가 만들어 진다.
슬라이드는, 전단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종동 기어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톱니형 랙(toothed rack)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설계는 회전 손잡이의 회전 운동을 쉽고 안전하게 샤프트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힘의 개선된 전송을 위해서, 슬라이드는 제1 톱니형 랙에 평행한 제2 톱니형 랙을 구비할 수도 있고, 구동 기어는 2개의 톱니형 랙들 사이에 배치되고 추가의 종동 기어에 토크 저항식으로 연결된다. 추가의 종동 기어는 제2 톱니형 랙과 맞물려 있다.
핸드 피스는 바람직하게는 리니어 가이드를 갖는 유지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슬라이드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리니어 가이드는, 슬라이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특히 두개의 평행 개구들을 가지고 있다. 유지 플레이트는 슬라이드의 저장을 위한 더 작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제동 메커니즘은 클램핑 요소, 특히 클램핑 링을 가질 수도 있고, 이 클램핑 요소는 핸드 피스에 유지되어 샤프트에 제동력을 가한다. 클램핑 요소는, 기구의 용이하고 저렴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수동적 제동 수단을 구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 메커니즘은, 샤프트를 적어도 하나의 위치, 특히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잠금 장치를 가지고 있다. 잠금 장치는 밸브 플랩을 갖는 재사용 가능한 투관침과 같은 기구 삽입시에 특히 높은 저항을 형성하는 투관침에 특히 적합하다. 샤프트가 전극에 대해서 이동되지 않고 더 높은 축 방향의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잠금 장치는 제동 메커니즘 이외에 샤프트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 잠금 장치는 슬라이드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래칭 수단(latching means)을 포함 할 수 있다. 제2래칭 수단은 핸드 피스에, 특히 장착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래칭 수단은 샤프트를 고정하기 위해서 제1 래칭 수단과 조합 가능하다. 2개의 래칭 수단들은, 예를 들면 사출 성형법을 이용하여 제조하기가 용이한 동시에 샤프트의 안전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극과 샤프트는 핸드 피스에 대해서 그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전극은 슬라이딩 슬리브를 통해서 안내되고, 이 슬라이딩 슬리브는 샤프트와 전극을 토크 저항식으로 그리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 실시예는, 예를 들면, 주걱 전극(spatula electrode) 등의 비 회전식 대칭 전극에 적합하다. 따라서, 전극은 원주 방향으로 쉽게 정렬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기구가 투관침에 배치될 때 전극의 회전도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슬리브를 통해서 전극에 토크 저항식으로 연결된 샤프트에 의해서 회전 운동이 도입된다. 슬라이딩 슬리브는 또한 샤프트와 전극 사이의 상대 이동을 설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슬라이딩 슬리브는 샤프트와 전극 사이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토크 저항 연결부를 형성한다. 샤프트가 핸드 피스의 외부로 돌출하므로, 전극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추가 구성 요소가 필요하지 않다. 사용자는 단순히 샤프트를 파지하여 전극과 함께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슬라이딩 슬리브는 내주상의 적어도 섹션에서 프로파일링(profiling)을 가질 수도 있는데, 이 프로파일은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적어도 섹션에서 대응하는 프로파일의 전극과 양의 잠금(positive-locking) 방식으로 체결된다. 적절한 프로파일의 슬라이딩 슬리브를 제조하기 쉽고 또 양의 끼워맞춤(positive fit)에 의해서 안전한 토크 전달이 달성되므로, 그러한 설계는 저렴하고 안전하다.
전단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슬라이딩 슬리브와 슬라이드가 회전 가능하고 견고하게 슬라이딩 슬리브의 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이 바람직하게 달성된다. 슬라이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 둘레에서 슬라이딩 슬리브를 둘러싸는 유지 링을 가지고 있다.
독립 청구항 13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작동 메커니즘이 샤프트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전기 외과용 기구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변속 기어에 한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비 변속 기어로 작동된다. 이 기구에서, 안전의 양태는, 강한 저항력의 경우에도 샤프트가 의도하지 않게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독립 청구항 14는, 전극과 샤프트가 각각 핸드 피스에 대해서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전극은 샤프트와 전극을 토크 저항식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딩 슬리브를 통해서 안내되는,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가지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핸드 피스로부터 돌출된 샤프트가 단순히 전극을 정렬하기 위해 수동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변속 기어에 관계없이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사항들과 함께 관련 개략도들을 참조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하우징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회전 손잡이가 생략된 도 1에 따른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중심축을 따른 도 1에 따른 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1내지 3에 따른 실시예는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전기 외과용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용 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을 활성화하고 및/또는 축을 이동시켜서 제어하는 전기 외과 분야의 기구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극(11)은, 예를 들면, 가스 공급 (APC 전극)용 채널을 갖는 중공 전극일 수도 있다. 다른 전극들도 가능하다. 전극(11)은 핸드 피스(10)에 지지되어 있다. 핸드 피스(10)는, 전극(11)으로의 전력 공급 및 필요한 경우 가스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전극용 접속부 또는 공급 도체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작동 수단, 예컨대, 푸시 버튼(27)이 핸드 피스에 추가로 제공되어 있다. 전극(11)은, 핸드 피스를 지나 말단으로 돌출되어 핸드 피스(10)의 하우징(26) 내에 유지된 가동 샤프트(12) 내에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샤프트(12)는 절연 재료로 제조되고 적어도 핸드 피스(10)의 외부 영역에서 전극(11)을 둘러싸고 있다.
샤프트(12)의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서 전극(11)의 말단(미 도시)이 다양한 위치에서 특히 무한 가변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샤프트(12)가 전극(11)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다. 그 결과, 기구를 사용할 때 조직과 접촉할 수 있는 전극의 영역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말단 위치에서, 전극(11)과 동축상에 배치된 샤프트(12)가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전극과 겹쳐진다.
기구는, 샤프트(12)에 영구적으로 제동력을 가하고 이동에 대항하여 고정하도록 작용하는 제동 장치를 갖추고 있다. 샤프트(12)의 제동력 또는 심지어 자동 잠금(self-locking)은 투관침 내로의 기구의 삽입시에 직면하는 저항에 대항하고 샤프트(12)가 의도하지 않게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동에 대항하여 샤프트(12)를 고정하는 장점 또한 다른 상황, 예컨대, 절개 중에 견디는 것을 가능케 한다.
구체적으로, 제동 장치는, 예컨대, 클램핑 링(33)(도 3)의 형태로 된 마찰 잠금 작용을 갖는 클램핑 요소를 가지고 있다. 클램핑 링(33)은 O 링일 수도 있다. 투관침의 저항에 대항하는 다른 수동적 제동 수단이 가능하다. 클램핑 링(33)은 적어도 간접적으로 샤프트(12)에 연결되고, 샤프트(12) 내에 도입된 축 방향의 힘을 핸드 피스(10)에, 특히 핸드 피스(10)의 하우징(26) 내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서, 샤프트(12)는 슬라이딩 슬리브(25)에 연결된다. 슬라이딩 슬리브(25) 및 샤프트(12)는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슬리브(25)는 핸드 피스(10) 내로의 샤프트(12)의 축 방향 연장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클램핑 링(33)이 슬라이딩 슬리브(25)의 외주를 지나 돌출하도록, 클램핑 링(33)은 슬라이딩 슬리브(25)의 말단의 적절한 홈 내에 배치된다. 클램핑 링(33)은 핸드 피스(10) 내에 유지되고, 샤프트(12)에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예를 들면, 투관침의 저항에 대항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슬리브(25)는, 특히 유지 플레이트(21)에 의해서 하우징(26)에 견고하게 연결된 내부 슬리브(29)에 동축상으로 배치된다. 클램핑 링(33)은 내부 슬리브(29)의 내주를 압박함으로써,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동시에, 내부 슬리브(29)는 슬라이딩 슬리브(25)의 축 방향의 가이드를 형성하고 있다.
클램핑 링(33) 또는 일반적인 제동 장치는 슬라이딩 슬리브(25)의 상이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클램핑 링(33), 예를 들면, 2 개의 클램핑 링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동 장치가 기구의 조작을 어렵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작동 메커니즘(13)은 전단력을 전달하기 위해 샤프트(12)에 연결되어 있는 변속 기어(15)를 형성한다.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위해 회전 손잡이(14)의 부분적인 원주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작동 메커니즘(13)은 핸드 피스(10)의 하우징(26)의 외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 손잡이(14)를 가진다. 회전 손잡이(14)의 회전 운동은 샤프트(12)의 축 방향의 이동을 발생시킨다. 회전 손잡이(14)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샤프트가 말단 방향으로 전진되거나 또는 기단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즉, 샤프트(12)는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변속 기어(15)의 기능은, 증대된 전단력이 샤프트에 인가되도록 회전 손잡이(14)에 도입된 토크를 변환하는 것이다. 변속 기어(15)는 회전 손잡이(14)를 조작하는 손가락 힘이 샤프트(12)의 자동 잠금보다 작도록 적응되어 있다.
변속 기어(15)는, 구동 기어(16) 및 이 구동 기어(16)에 토크 저항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종동 기어(17)를 차례로 갖는 회전 손잡이(14)를 포함한다(도 1). 종동 기어(17)는 구동 기어(16)에 동축으로 연결된 기어 휠로서 설계되어 있다. 구동 기어(16)는 안전한 이동을 위해 외주에, 예컨대, 주름의 형태로 된 유지 수단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 구동 기어(16)가 손가락으로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회전 손잡이(14)가 단차 휠(step wheel)로서 설계될 수도 있고, 구동 기어(16) 및 종동 기어(17)는 일체로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안으로, 구동 기어(16) 및 종동 기어(17)는 기계적으로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기어(16)의 직경은 종동 기어(17)의 직경보다 크다. 특히, 구동 기어(16)의 직경은 종동 기어(17)의 직경보다 약 2.8 배 더 크다. 그 결과, 약 레버 비는 약 1:2.8이다. 따라서, 필요한 손가락의 힘은 샤프트(12)의 자동 잠금보다 2.8 배 낮다. 레버 비의 범위는 1:2.6 내지 3.0일 수도 있고, 특히 1:2.7 내지 2.9일 수도 있다.
변속 기어의 추가의 장점은, 구동 기어(16)의 외경에서 주행하는 주행 경로 또는 아크 치수도 샤프트(12)의 이동 경로의 2.8 배 또는 배수인 것이다. 그 결과, 샤프트 위치 및 그에 따른 전극(11)의 노출 정도의 특히 정확한 설정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기어(16)의 외경은 약 12.5 mm이다. 가동 샤프트(12)의 자동 잠금에 필요한 제동력 또는 체결력은 약 4 뉴턴이다.
회전 손잡이(14)에 의해 인가되는 토크의 샤프트(12)의 병진 운동으로의 변환은, 기단 및 말단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18)에 의해서 달성된다. 슬라이드(18)는 샤프트(12)와 변속 기어(15)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서, 슬라이드(18)는 샤프트(12)의 전단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 톱니형 랙(19)을 갖는다. 제1 톱니형 랙(19)은 종동 기어(17)와 맞물린다.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변환하는 다른 설계도 가능하다. 도 1에 따른 예에서, 톱니형 랙(19)은 외부에 배치되어있다. 대안으로, 전극(11)의 중심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길이방향 슬롯 내에 구성된 내부 톱니형 랙이 제공될 수도 있다. 그 후에, 종동 기어(17)가 길이방향 슬롯 내에 배치된다.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18)는 제 1 톱니형 랙(19)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톱니형 랙(20)을 갖는다. 구동 기어(16)는 두 개의 톱니형 랙(19, 20) 사이에 배치되고, 추가의 종동 기어(17)에 토크 저항식으로 연결된다. 추가의 종동 기어(17)(미 도시)는 제2 톱니형 랙(20)과 맞물린다. 작동 메커니즘(13)의 대칭 구조에 의해서, 힘의 균일한 전달 및 기구의 안전성 향상이 달성된다.
2개의 톱니형 랙(19, 20)은 전극(11)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2 개의 아암을 형성한다. 2 개의 톱니형 랙(19, 20)은 유지 플레이트(21)에 의해 형성된 리니어 가이드에 배치된다. 유지 플레이트(21)는 하우징(26)에 견고하게 안착되고, 슬라이드(18)를 위한 2개의 평행한 개구(22)를 가지고 있다 (도 2). 톱니형 랙(19, 20)은 슬라이드(18)의 안전한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개구(22)를 통해서 안내된다. 회전 손잡이(14)는 유지 플레이트(21)의 전면에서 2 개의 톱니형 랙(19, 20) 사이에 배치되어, 그 결과, 핸드 피스(10)의 컴팩트한 구조가 달성된다.
안전성의 추가의 향상은 슬라이드(18)상의 잠금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전극(11)이 샤프트(12)에 의해 가능한 한 완전히 겹쳐지도록 샤프트(12)를 지정된 위치, 특히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 결과, 기구가 마찰력 또는 체결력이 핸드 피스(10)의 제동력보다 큰 투관침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위치에 슬라이드(18)를 고정하는 잠금 장치와는 달리, 제동 장치는 샤프트(12)의 무한 가변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18)의 임의의 위치에서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잠금 장치는 제1 및 제2 톱니형 랙(19, 20)의 각각의 기단에 배치된 제1 래칭 수단(latching means)(23)을 갖는다. 제1 래칭 수단(23)은 핸드 피스(10)에 형성된 제2래칭 수단(24)과 잠금 상태로 협력한다. 구체적으로, 제2 래칭 수단(24)은 래치 리세스(latch recess)의 형태로 유지 플레이트(21)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래칭 수단(23)은 2개의 2톱니형 랙(19, 20)에 측방향으로 배치된 적절한 구성의 록킹 캐치(locking catch)일 수도 있다.
잠금 장치는 도 1 내지 3에 따른 기기의 전반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면, 밸브 플랩을 갖는 재사용 가능한 투관침의 경우와 같이 기구가 오직 매우 높은 저항을 갖는 투관침과 함께 사용되면, 변속 기어 및 제동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잠금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잠금 장치는 독립 청구항 13에 기재되어있는 바와 같이, 또한 제동 장치 및 변속 기어와는 독립적으로 개시되고 청구된다.
도 1 내지 3의 기구의 추가의 장점은, 샤프트(1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관침에 삽입된 경우에도, 전극(11)이 원주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극(11)과 샤프트(12)는 핸드 피스(10)에 대해서 그들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어 있다. 즉, 전극(11) 및 샤프트(12)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전극(11)이 전송되는 슬라이딩 슬리브(25)가 제공된다. 슬라이딩 슬리브(25)는 샤프트(12)와 전극(11)을 연결한다. 이것은 토크 저항 및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이다. 따라서, 슬라이딩 슬리브(25)는 토크가 샤프트(12)로부터 전극(11)에 전송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슬라이딩 슬리브(25) 및 따라서 이 슬라이딩 슬리브와 동축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수평으로 정렬된 샤프트(12)가 전극(11)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의 기능(토크 전달 및 축방향의 이동성)이, 슬라이딩 슬리브(25)가 내주상의 적어도 섹션에 프로파일링(profiling)(37)을 갖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전극(11)은 프로파일링(37)의 영역에서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가지며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서 슬라이딩 슬리브(25)와 양의 잠금(positive-locking) 방식으로 결합되어있다. 양의 잠금 연결은 슬라이딩 슬리브(25)가 전극(11)을 따라 말단측과 기단측 양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슬리브(25)는 적어도 세개의 섹션들, 즉 말단 슬리브 섹션(30), 중간 슬리브 섹션(31) 및 기단 슬리브 섹션(32)을 갖는다. 프로파일링(37)은 기단 슬리브 섹션(32)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제동 장치, 구체적으로는, 클램핑 링(33)은 기단 슬리브 섹션(32)의 기단에 배치되어 있다. 프로파일링(37)은 2개의 톱니형 랙(19, 20)의 길이와 대략 대응하는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이것에 의해서, 샤프트(12)의 각각의 위치에 관계없이 회전 기능이 달성되도록 전극(11)과 프로파일링(37)간의 양의 잠금 연결이 슬라이딩 슬리브(25)의 임의의 상대적인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링(37)은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splined shaft profile)의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응하는 프로파일의 전극(11)이 본질적으로는 그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슬라이딩 슬리브 내로 밀어 넣어질 수 있으므로, 이것은 조립의 용이성을 증대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1)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 섹션(38)을 가지고 있다. 전극(11)의 프로파일 섹션(38)의 기단 및 말단은 각각의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된다, 프로파일 섹션(38)으로부터 말단측 및 기단측으로, 전극은 종래의 방법으로 본질적으로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전극의 말단에서, 단면이 비 회전의 대칭 단면으로 병합될 수도 있다. 전극은, 예를 들면, 주걱 전극(spatula electrode)일 수도 있다.
중간 슬리브 섹션(31)은 각 경우에 말단 및 기단측에 쇼울더(42)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1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유지 영역(43)이 두 개의 쇼울더(4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유지 링(43)은 2개의 쇼울더(42) 사이에 리세스를 형성하고 있다. 슬라이드(18)의 유지 링(28)이 리세스 내에 배치되어 있다. 유지 링(28)은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원주 둘레에서 부분적으로만 슬라이딩 슬리브를 둘러싸고 있어서, 유지 링(28)이 슬라이딩 슬리브(25) 상으로 용이하게 클립 고정될 수 있다. 유지 링(28)은 2개의 쇼울더(42)에 충돌하여, 샤프트(12)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기단 방향 및 말단 방향으로의 축방향 힘 또는 전단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의 안전부로서, 중간 슬리브 섹션(31)은 유지 링(28)의 탭(36)이 배치되는 환상 홈(35)을 갖는다. 탭(36) 및 환상 홈(35)은 슬리브(25)가 유지 링(28)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다. 또한, 탭(36)은 양 축방향으로 전단력을 전달한다.
유지 링(28)은 2개의 톱니형 랙(19, 20)의 말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톱니형 랙(19, 20)의 말단을 연결하는 크로스바(41)가 제공된다. 크로스바(41)는 차례로 유지 링(28)에 견고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크로스바(41) 및 유지 링(28)은 하부에 유지 턱(retaining jaw)이 배치된 크로스바로 보여질 수도 있고, 유지 턱은 부분적으로 원주 둘레에서 슬라이딩 슬리브(25)을 둘러싼다.
슬라이드(18)가 회전 손잡이(14)와 충돌하지 않고 회전 손잡이(14)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크로스바(41)와 유지 플레이(21)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제공되어 있다.
슬라이딩 슬리브(25)는 말단 슬리브 섹션(30)을 더 포함한다. 말단 슬리브 섹션(30)은 샤프트(12)에 토크 저항식으로 연결된다. 연결부는, 예컨대, 샤프트(12) 내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슬리브(25)와 함께 샤프트(12)의 기단에 압착된(crimped) 고정 슬리브(34)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조임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말단 슬리브 섹션(30)은 하우징(26)과 함께 샤프트(12)의 최대 인출 위치를 결정하는 축방향 리미트 스톱(axial limit stop)을 형성한다.
슬라이드(18)의 리니어 가이드를 지지하기 위해서, 핸드 피스는 유지 플레이트(21)에 견고하게 연결된 전술한 내부 슬리브(29)를 갖는다. 도 1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슬리브(29)는 전극(11)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유지 플레이트(21)로부터 말단 및 기단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지 플레이트(21)의 말단측에서, 내부 슬리브(29)는 이 내부 슬리브(29)의 중심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2개의 가이드 바(40)를 갖는 슬리브 섹션(39)을 형성한다. 가이드 바(40)는 2개의 톱니형 랙(19, 20)을 위한 지지면을 형성함으로써, 리니어 가이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끝의 조작을 위해 필요한 원주 세그먼트와는 별도로, 내부 슬리브(29)와 충돌하지 않고 하우징(26)에 배치된 회전 손잡이(14)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내부 슬리브(29)의 원주 벽의 일부가 회전 손잡이(14)의 영역에서 제거된다. 이것은 핸드 피스의 컴팩트한 설계에 기여한다.
핸드 피스의 회전 기능은 핸드 피스를 주걱 전극 등의 비 회전 대칭 전극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함으로써, 핸드 피스가 특히 안전하고 저렴할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들에서 사용될 수도 있도록 한다. 회전 기능은 제동 장치와 변속 기어가 없는 다른 핸드 피스에서도 작용한다. 따라서, 회전 기능은 또한 제동 장치 및 변속 기어와 관계없이 청구항 14의 일부로서 개시되고 청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구는 특히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를 위한 전기 외과 장치와 관련하여 추가로 개시되고 청구되어 있다.
10 핸드 피스
11 전극
12 샤프트
13 작동 메커니즘
14 회전 손잡이
15 변속 기어
16 구동 기어
17 종동 기어
18 슬라이드
19 제1 톱니형 랙
20 제2 톱니형 랙
21 유지 플레이트
22 개구
23 제1 래칭 수단
24 제2 래칭 수단
25 슬라이딩 슬리브
26 하우징
27 푸시 버튼
28 유지 링
29 내부 슬리브
30 말단 슬리브 섹션
31 중간 슬리브 섹션
32 기단 슬리브 섹션
33 클램핑 링
34 고정 슬리브
35 환상 홈
36 탭
37 프로파일링
38 프로파일 섹션
39 슬리브 섹션
40 가이드 바
41 크로스바
42 쇼울더
43 유지 영역

Claims (15)

  1.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를 위한 전기 외과용 기구로서,
    핸드 피스(10);
    상기 핸드 피스(10)에 접속된 전극(11);
    상기 전극(11)을 둘러싸고 상기 핸드 피스(10)에 유지되는 샤프트(12); 및
    상기 핸드 피스(1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손잡이(14)를 포함하는 작동 메커니즘(13)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12)는 상기 전극(11)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회전 손잡이(14)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샤프트에 전단력이 가해질 수 있고,
    상기 핸드 피스(10)는 상기 샤프트(12)가 기단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영구적인 제동력을 상기 샤프트(12)에 가하는 제동 장치를 가지며,
    상기 작동 메커니즘(13)은 전단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12)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12)의 이동을 위해 제동력을 극복하도록 적용된 변속 기어(15)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 메커니즘(13)은 전단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18)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는 한편으로는 상기 샤프트(12)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변속 기어(15)에 연결되며,
    상기 전극(11)과 상기 샤프트(12)는 상기 핸드 피스(10)에 대해서 그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전극(11)은 슬라이딩 슬리브(25)를 통해서 안내되며,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25)는 상기 샤프트(12)와 상기 전극(11)을 토크 저항식으로 그리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외과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손잡이(14)는, 구동 기어(16)와, 상기 구동 기어(16)에 토크 저항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종동 기어(17)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 기어는 전단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1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종동 기어(17)의 직경이 상기 구동 기어(16)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외과용 기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18)는, 전단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종동 기어(17)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톱니형 랙(toothed rack)(1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외과용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18)는 상기 제1 톱니형 랙(19)에 평행한 제2 톱니형 랙(20)을 가지며, 구동 기어(16)는 2개의 톱니형 랙들(19, 20)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2 톱니형 랙(20)과 맞물리는 추가의 종동 기어(17)에 토크 저항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외과용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피스(10)는 상기 슬라이드(18)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니어 가이드를 갖는 유지 플레이트(21)를 구비하며, 상기 리니어 가이드는, 상기 슬라이드(18)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외과용 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클램핑 요소를 가지며, 상기 클램핑 요소는 상기 핸드 피스(10)에 유지되어 상기 샤프트(12)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외과용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메커니즘(13)은 상기 샤프트(12)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잠금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외과용 기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18)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래칭 수단(latching means)(23)과, 상기 핸드 피스(10)에 배치되는 제2 래칭 수단(2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래칭 수단(24)은 상기 샤프트(12)를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래칭 수단(23)과 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외과용 기구.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25)는 내주상의 적어도 섹션들에 프로파일링(profiling)을 가지며, 상기 프로파일링은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적어도 섹션들에서 대응하는 프로파일의 전극(11)과 양의 잠금(positive-locking)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외과용 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전단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25)와 상기 슬라이드(18)가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25)의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1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 둘레에서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25)를 둘러싸는 유지 링(2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외과용 기구.
  13.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를 위한 전기 외과용 기구로서,
    핸드 피스(10);
    상기 핸드 피스(10)에 접속된 전극(11);
    상기 전극(11)을 둘러싸고 상기 핸드 피스(10)에 유지되는 샤프트(12); 및
    상기 핸드 피스(1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 손잡이(14)를 포함하는 작동 메커니즘(13)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12)는 상기 전극(11)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회전 손잡이(14)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샤프트에 전단력이 가해질 수 있고,
    상기 샤프트(12)는 상기 샤프트(12)의 말단 위치에서 상기 핸드 피스(10)의 외부 영역에서 상기 전극(1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기 전극(11)과 겹쳐지도록 상기 전극(11)과 동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11)과 상기 샤프트(12)가 각각 상기 핸드 피스(10)에 대해서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극(11)은 상기 샤프트(12) 및 상기 전극(11)을 토크 저항식으로 그리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딩 슬리브(25)를 통해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외과용 기구.
  14. 제1항 또는 제13항에 따른 기구를 갖는,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를 위한 전기 외과용 장치.
  15. 삭제
KR1020160117766A 2014-02-05 2016-09-13 전기 외과용 기구 및 그러한 기구를 구비한 장치 KR102191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53938.7 2014-02-05
EP14153938.7A EP2904983B1 (de) 2014-02-05 2014-02-05 Elektrochirurgisches Instrument mit einem Drehrad als Betätigungselement und mit einer Brems- oder Arretiereinrichtu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481A Division KR20150092711A (ko) 2014-02-05 2015-02-03 전기 외과용 기구 및 그러한 기구를 구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078A KR20160113078A (ko) 2016-09-28
KR102191885B1 true KR102191885B1 (ko) 2020-12-17

Family

ID=501016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481A KR20150092711A (ko) 2014-02-05 2015-02-03 전기 외과용 기구 및 그러한 기구를 구비한 장치
KR1020160117766A KR102191885B1 (ko) 2014-02-05 2016-09-13 전기 외과용 기구 및 그러한 기구를 구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481A KR20150092711A (ko) 2014-02-05 2015-02-03 전기 외과용 기구 및 그러한 기구를 구비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194974B2 (ko)
EP (1) EP2904983B1 (ko)
JP (1) JP6317268B2 (ko)
KR (2) KR20150092711A (ko)
CN (1) CN104814787B (ko)
BR (1) BR102015002443B1 (ko)
PL (1) PL2904983T3 (ko)
RU (1) RU261173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56102A1 (en) 2015-08-27 2017-03-0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resecting device and methods
KR102596028B1 (ko) 2017-06-13 2023-10-31 콘메드 코포레이션 후퇴 가능한 블레이드 또는 훅을 갖는 연조직 절단 기구
KR102106776B1 (ko) * 2018-09-04 2020-05-06 (주)펨토사이언스 휴대형 플라즈마 발생장치
KR20210061403A (ko) 2018-10-03 2021-05-27 콘메드 코포레이션 스스로 잠김, 다중-위치, 및 슬라이드 버튼에 의해 선형으로 작동되는 집어넣을 수 있는 블래이드 또는 후크를 갖는 부드러운 조직 절단 도구
EP4000542A4 (en) * 2019-07-18 2023-04-12 Gryshchuk, Bogdan Yaroslavovych PROCEDURE FOR HIGH FREQUENCY RESECTION OF THE MENISCUS AND ARTHROSCOPIC INSTRUMENT FOR PERFORMING THE PROCEDURE (VARIATIONS)
CN113273989B (zh) * 2021-04-07 2022-10-14 广东工业大学 一种生物电阻抗测量装置与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0016A1 (en) * 2003-09-12 2005-03-17 Wu Patrick P. Delivery system for medical devices
US20070010801A1 (en) 2005-06-22 2007-01-11 Anna Chen Medical device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49690B2 (en) 1981-06-29 1986-02-06 Sherwood Services Ag Pin prick device to pierce skin
JPS62501473A (ja) 1985-01-04 1987-06-18 ハルコフスキ ナウチノ−イススレドバテルスキ インステイテユト オブスチエイ イ ネオトロジノイ ヒルルギイ 電気外科器具
US6770071B2 (en) 1995-06-07 2004-08-03 Arthrocare Corporation Bladed electrosurgical probe
US5258006A (en) * 1992-08-21 1993-11-02 Everest Medical Corporation Bipolar electrosurgical forceps
US5626587A (en) * 1992-10-09 1997-05-06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 for operating a surgical instrument
US5295614A (en) * 1992-12-22 1994-03-22 Chang Peter J Y Double reduction gear for dispensing gun
US5643292A (en) 1995-01-10 1997-07-01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Percutaneous suturing device
US6837888B2 (en) 1995-06-07 2005-01-04 Arthrocare Corporation Electrosurgical probe with movable return electrode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5722990A (en) * 1995-11-08 1998-03-03 Sugar Surgical Technologies, Inc. Tissue grasping device
US6190360B1 (en) * 1999-04-09 2001-02-20 Endotex Interventional System Stent delivery handle
MXPA01011647A (es) 1999-05-21 2002-07-30 Arthrocare Corp Sistemas y metodos de tratamiento electroquirurgico de discos intervertebrales.
US7967829B2 (en) 2003-10-09 2011-06-2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delivery system
DE102004033975B4 (de) 2004-06-11 2009-07-02 Erbe Elektromedizin Gmbh Einrichtung für die Argon-Plasma-Koagulation (APC)
US8535306B2 (en) * 2007-11-05 2013-09-17 Angiodynamics, Inc. Abl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90125023A1 (en) 2007-11-13 2009-05-14 Cytyc Corporation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8092515B2 (en) * 2008-03-27 2012-01-10 Tyco Healthcare Group Lp Energized st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RU2373871C1 (ru) 2008-05-27 2009-11-27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ронеж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 Н.Н. Бурденко Федерального агентства по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ю и социальному развитию" Способ гипотензионного апоневротического шва
US8574231B2 (en) * 2009-10-09 2013-11-05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for transmitting energy to tissue comprising a movable electrode or insulator
US9877720B2 (en) * 2010-09-24 2018-01-30 Ethicon Llc Control features for articulating surgical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0016A1 (en) * 2003-09-12 2005-03-17 Wu Patrick P. Delivery system for medical devices
US20070010801A1 (en) 2005-06-22 2007-01-11 Anna Chen Medical device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5103664A (ru) 2016-08-20
JP2015147044A (ja) 2015-08-20
BR102015002443B1 (pt) 2022-01-25
EP2904983A1 (de) 2015-08-12
RU2611732C2 (ru) 2017-02-28
KR20150092711A (ko) 2015-08-13
CN104814787B (zh) 2017-10-13
BR102015002443A2 (pt) 2016-02-02
KR20160113078A (ko) 2016-09-28
US10194974B2 (en) 2019-02-05
US11234752B2 (en) 2022-02-01
US20150216585A1 (en) 2015-08-06
PL2904983T3 (pl) 2019-09-30
CN104814787A (zh) 2015-08-05
EP2904983B1 (de) 2019-05-15
JP6317268B2 (ja) 2018-04-25
US20190117292A1 (en)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885B1 (ko) 전기 외과용 기구 및 그러한 기구를 구비한 장치
GB2567318B (en) Latching mechanism for surgical instrument
JP6684148B2 (ja) 電気手術器具及びその器具を備える装置
EP2628459B1 (en) Knife deployment mechanisms for surgical forceps
JP4898987B2 (ja) 医療装置用の調整可能ハンドル
AU2017203282A1 (en) Surgical instrument having a bipolar end effector assembly and a deployable monopolar assembly
CA2288187A1 (en) Surgical instrument with multiple rotatably mounted offset end effector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6141127B2 (ja) レゼクトスコープ
JP7184807B2 (ja) 伸縮可能シャフト用ロック機構
EP3020351A1 (en) Deployment mechanisms for surgical instruments
EP3020353B1 (en) Deployment mechanisms for multi-function surgical instruments
US20180110560A1 (en) Minimally invasive surgical devices
US11992261B2 (en) Locking mechanism and sliding conductor for extendable shaft
US10758295B2 (en) Microsurgical instrument, handle and engine block for a microsurgical instrument
WO1999005976A1 (en) Surgical instrument with multiple spreadable end effectors mounted for arcuate movement
GB2546268A (en) Electrosurgical device
CA2858365C (en) Gaugeless actuable tip for attachment to handpi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