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619B1 -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619B1
KR102191619B1 KR1020170109058A KR20170109058A KR102191619B1 KR 102191619 B1 KR102191619 B1 KR 102191619B1 KR 1020170109058 A KR1020170109058 A KR 1020170109058A KR 20170109058 A KR20170109058 A KR 20170109058A KR 102191619 B1 KR102191619 B1 KR 102191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width
cutting machine
product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371A (ko
Inventor
김은용
탁동훈
이규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09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61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28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unting the number of cuts or measuring cut len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9/00Cutting apparatus combined with punching or perforating apparatus or with dissimilar 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11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web rolls

Abstract

본 발명은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재단기의 종류, 해당 재단기에서 요구되는 최소 마진, 및 제품의 폭에 기초하여, 원단을 2개 이상의 스트립으로 재단 시, 면적 효율을 소정 값 이상으로 하는 재단기의 종류 및 스트립의 폭의 조합을 산출하는 면적 효율 산출단계를 포함하며, 면적효율 산출 시, 적어도 2개의 스트립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및 제2 재단기로 각각 재단되도록 조합되고, 제1 및 제2 재단기의 최소 마진은 서로 다른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utting product}
본 발명은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또는 시트) 상의 제품은 실제 사용될 제품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원단 형태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사용되는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과 같은 광학 부재 등이 그러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편광판 공급자(제조업자)는 제조공정의 효율성 측면과 제품에 대한 수요 변동 등의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편광판의 제조 시에 실제 사용될 제품보다 큰 크기의 길이와 폭을 가지는 원단으로 제조하고 있다.
또한, 원단은, 대부분의 경우 연속적인 공정을 통해 띠 형상으로 제조되며, 제조된 원단은 롤(roll)에 권취(winding)되어 보관된다. 이후, 롤에 권취된 원단은 인출된 다음, 소정 크기의 단위 제품으로 재단된다.
일반적으로, 원단을 재단함에 있어서는, 1회의 재단 공정으로 복수 개의 단위 제품(이하, '단품')이 동시에 얻어질 수 있도록 재단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커팅부가 마련된 재단 나이프를 이용한다. 이때, 재단을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하는가에 따라 재단된 단위 제품의 면적 효율이 달라진다. 낮은 재단 효율성은 재단 후 버려지는 스크랩(scrap), 즉 폐기물의 양을 증가시키며, 이는 궁극적으로 제품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 재단 공정에서 원단을 권취하기 위하여 원단의 양 측단부에 각각 소정 폭을 갖도록 스크랩을 남겨두게 된다. 이러한 스크랩은 권취 시 원단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성을 좋게 만드는 장점이 있으나, 스크랩은 재단 후 버려지게 되며, 원단의 면적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단품 조합으로 재단이 가능하고, 면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재단기의 종류, 해당 재단기에서 요구되는 최소 마진, 및 제품의 폭에 기초하여, 원단을 2개 이상의 스트립으로 재단 시, 면적 효율을 소정 값 이상으로 하는 재단기의 종류 및 스트립의 폭의 조합을 산출하는 면적 효율 산출단계를 포함하며, 면적효율 산출 시, 적어도 2개의 스트립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및 제2 재단기로 각각 재단되도록 조합되고, 제1 및 제2 재단기의 최소 마진은 서로 다른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스트립의 폭은 제품 폭 및 해당 재단기의 최소 마진의 합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품들의 폭, 제1 및 제2 재단기의 최소 마진의 합은 원단의 폭 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재단기는 톰슨(Thompson) 재단기이고, 제2 재단기는 RTS(Roll To Sheet) 레이저 재단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재단기의 최소 마진은 제2 재단기의 최소 마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면적 효율 산출단계에서, 면적 효율을 최대로 하는 재단기의 종류 및 스트립의 폭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스트립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은, 면적 효율 산출단계에서 결정된 스트립의 폭에 따라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슬리팅 재단하여 복수 개의 스트립을 얻는 1차 재단 단계 및 선택된 재단기를 통해 각각의 스트립을 복수 개의 단품으로 재단하는 2차 재단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재단제품의 생산방법에 따르면, 재단시 요구되는 최소마진이 상이한 서로 다른 종류의 재단기를 조합하여 재단 계획을 수립 및 실시하므로, 면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원단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원단의 평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를 설명하기 위한 원단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원단(10)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본 문서에서, 재단의 대상이 되는 '원단'은 필름(또는 시트) 상의 모재로서, 이는 재단 전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이면 여기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원단(10)의 종류나 적층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원단(10)은, 예를 들어 전기, 전자 제품 등에 적용되는 필름(또는 시트) 상의 광학 부재나 보호 부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원단(10)은,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TV나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적용되는 광학 부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원단(10)은 단층체 및/또는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원단(10)은 편광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 상에 형성된 편광자 보호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원단(10)은, 예를 들어 띠 형상으로서, 롤(roll)에 권취된 상태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원단(10)은 소정의 폭(X)과 길이(Y)를 가지며, 원단(10)의 폭(X)과 길이(Y)는 제한되지 않는다. 원단(10)은, 예를 들어 40 ㎜ 내지 2,500 ㎜의 폭(X)과, 1,000 ㎝ 내지 3,000 m의 길이(Y)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원단(10)은 폭(X)에 비하여 길이(Y)가 상대적으로 긴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문서에서, '재단'은 '슬리팅 재단' 및 '단위 재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슬리팅(slitting) 재단'은 원단(10)을 길이(Y) 방향으로 길게 재단하여 띠 형상의 반제품으로 재단하는 것을 의미하여, 상기 "단위 재단"은 원단(10)을 길이(Y) 방향 및 폭(X) 방향으로 각각 재단하여 단위 제품으로 재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리팅 재단을 통해 얻어진 띠 형상의 반제품을 '스트립(strip)'이라 하고, 상기 단위 재단을 통해 얻어진 재단 제품을 '단품' 또는 '제품'이라 한다. 또한, 본 문서에서 단품 또는 제품으로 재단되는 '원단'이라 함은 상기 스트립(반제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품은 원단(10)보다 작은 길이와 폭을 가지는 낱장의 최종 제품으로서, 이는 예를 들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면적 효율'은 재단 후에 얻어지는 재단 제품의 총면적을 재단 전 원단(10)의 총면적으로 나누어 산출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면적 효율은 원단(10)의 면적에 대한 재단될 복수 개의 단품(재단 제품)들의 면적의 비율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면적 효율은, 통상과 같이 백분율(%)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단 제품의 총면적'은 재단 제품 1개의 면적 x 생산된 재단 제품의 개수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면적 효율을 최대로 한다는 의미는, 원단(10)에서 재단 후에 버려지는 부분이 최소화됨을 의미한다. 또한, 면적 효율은 원단의 결점 정보를 반영하지 않은 수치로서, 재단 후에 얻어지는 재단 제품의 총면적을 재단 전 원단(10)의 총면적으로 나누어 산출할 때, 재단 제품은 양품 및 불량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양품화율'이란 결점의 분포를 반영하여 산출된 재단 수율로서, 예를 들어 생산된 재단 제품의 개수에 대한 양품의 개수의 비율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원단을 재단하기 위하여, 원단 상에 동일한 면적 효율을 갖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가상 재단선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원단의 결점 정보를 각각의 가상 재단선에 반영하는 경우, 가상 재단선의 위치에 따라 양품화율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양품이란 재단 후 결점이 포함되지 않은 제품을 의미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양품은 소정 개수 이하의 결점을 갖는 제품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양품은 불량품의 반대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원단을 동일한 가상 재단선으로 재단한 경우에도, '면적 효율'과 '양품화율'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크기'는 원단(10)이나 재단 제품(단품 및/또는 스트립)의 폭, 길이, 면적, 및 대각선 길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폭(X)을 가지는 원단(10)에 대해서는 슬리팅 재단(1차 재단)과 재단기를 이용한 단위 재단(2차 재단)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단위 재단만을 진행하는 경우보다 공정 상에서 유리할 수 있다. 즉, 단위 재단에 앞서 원단(10)을 길이(Y) 방향으로 슬리팅 재단하여, 원단(10)의 폭(X)보다 작은 크기의 폭을 가지는 복수의 스트립(11)(12)(13)(21)(22)(23)으로 분할하는 것이 좋다. 이후, 각 스트립(11)(12)(13)(21)(22)(23)을 단위 재단으로 통해 단품으로 재단한다. 또한, 상기 분할된 각 스트립(11)(12)(13)(21)(22)(23)은 롤에 권취된 후에, 수요자의 요청에 따라 단품으로 재단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스트립(21)(22)(23)의 폭은 최종 제품, 즉 단품의 크기(폭 및/또는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스트립으로 재단하는 경우에도, 스트립의 폭에 따라 원단에서 버려지는 스크랩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A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모두 동일한 폭(Wa)을 갖는 스트립으로 슬리팅 재단하는 경우 버려지는 스크랩의 폭(Z1)과, A제품과 B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다른 폭(Wa, Wb)을 갖는 스트립으로 슬리팅 재단하는 경우 버려지는 스크랩의 폭(Z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전술한 면적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원단의 평면도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은, 재단기의 종류, 해당 재단기에서 요구되는 최소 마진(r, t), 및 제품의 폭(a, b)에 기초하여, 원단을 2개 이상의 스트립으로 재단 시, 면적 효율을 소정 값 이상으로 하는 재단기의 종류 및 스트립의 폭의 조합을 산출하는 면적 효율 산출단계를 포함한다.
면적효율 산출 시, 적어도 2개의 스트립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및 제2 재단기로 각각 재단되도록 조합된다.
또한, 제1 및 제2 재단기의 최소 마진(t, r)은 서로 다르다.
또한, 각각의 스트립의 폭은 제품 폭(a, b) 및 해당 재단기의 최소 마진(t, r)의 합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품들의 폭(a, b), 제1 및 제2 재단기의 최소 마진(r, t)의 합은 원단의 폭(W) 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재단기는 톰슨(Thompson) 재단기이고, 제2 재단기는 RTS(Roll To Sheet) 레이저 재단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재단기의 최소 마진(t)은 제2 재단기의 최소 마진(r)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면적 효율 산출단계에서, 면적 효율을 최대로 하는 재단기의 종류 및 스트립의 폭을 산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스트립의 폭은 제품 폭(a)과 최소 마진(t)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고, 제1 재단기로 재단될 수 있다. 제2 스트립의 폭은 제품 폭(b)과 최소 마진(r)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고 제2 재단기로 재단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4를 참조하면, 제1 스트립의 폭은 제품 폭(a)과 최소 마진(r)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고, 제2 재단기로 재단될 수 있다. 제2 스트립의 폭은 제품 폭(b)과 최소 마진(t)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고 제1 재단기로 재단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스트립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은, 면적 효율 산출단계에서 결정된 스트립의 폭에 따라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슬리팅 재단하여 복수 개의 스트립을 얻는 1차 재단 단계 및 선택된 재단기를 통해 각각의 스트립을 복수 개의 단품으로 재단하는 2차 재단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를 설명하기 위한 원단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제1 스트립과 제2 스트립을 모두 제1 재단기로 재단할 경우, 제품들의 폭(a, b), 제1 및 제2 재단기의 최소 마진(r, t)의 합은 원단의 폭(W) 보다 커져, 이러한 조합으로는 재단이 이루어질 수 없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원단
11, 12, 13, 21, 22, 23: 스트립

Claims (8)

  1. 재단기의 종류, 해당 재단기에서 요구되는 최소 마진, 및 제품의 폭에 기초하여, 원단을 2개 이상의 스트립으로 재단 시, 면적 효율을 소정 값 이상으로 하는 재단기의 종류 및 스트립의 폭의 조합을 산출하는 면적 효율 산출단계를 포함하며,
    면적효율 산출 시, 적어도 2개의 스트립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및 제2 재단기로 각각 재단되도록 조합되고,
    제1 및 제2 재단기의 최소 마진은 서로 다르며,
    면적 효율 산출단계에서, 면적 효율을 최대로 하는 재단기의 종류 및 스트립의 폭을 산출하며,
    면적 효율 산출단계에서 결정된 스트립의 폭에 따라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슬리팅 재단하여 복수 개의 스트립을 얻는 1차 재단 단계; 및 선택된 재단기를 통해 각각의 스트립을 복수 개의 단품으로 재단하는 2차 재단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재단기는 톰슨(Thompson) 재단기이고, 제2 재단기는 RTS(Roll To Sheet) 레이저 재단기를 포함하며,
    제1 재단기의 최소 마진은 제2 재단기의 최소 마진보다 크고,
    적어도 2개의 스트립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며,
    각각의 스트립의 폭은 제품 폭 및 해당 재단기의 최소 마진의 합 이상으로 결정되고,
    제1 스트립은 제1 재단기로 재단되되, 제1 스트립의 폭은 제품 폭과 제1 재단기의 최소 마진의 합으로 결정되고,
    제2 스트립은 제2 재단기로 재단되되, 제2 스트립의 폭은 제품 폭과 제2 재단기의 최소 마진의 합으로 결정되는,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제품들의 폭, 제1 및 제2 재단기의 최소 마진의 합은 원단의 폭 이하로 결정되는,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09058A 2017-08-29 2017-08-29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KR102191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058A KR102191619B1 (ko) 2017-08-29 2017-08-29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058A KR102191619B1 (ko) 2017-08-29 2017-08-29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371A KR20190023371A (ko) 2019-03-08
KR102191619B1 true KR102191619B1 (ko) 2020-12-15

Family

ID=6580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058A KR102191619B1 (ko) 2017-08-29 2017-08-29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6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737B1 (ko) * 2014-07-11 2016-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생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657A (ko) *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제품의 생산 계획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737B1 (ko) * 2014-07-11 2016-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생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371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6583B2 (ja) 四角形ユニット片の製造方法
JP5691462B2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積層鉄心製造システム
KR102191619B1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JP6961070B2 (ja) ディスプレイ溝加工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
KR101717857B1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생산 시스템
KR102056594B1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JP6256966B2 (ja) 積層型ワイヤグリ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88737B1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생산 시스템
KR101746294B1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생산 시스템
JP2007156121A (ja) 光学フィルム巻回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広帯域λ/4板巻回体の製法および広帯域円偏光板巻回体の製法
TW201707905A (zh) 切出產品的製造方法及切出產品的製造計畫系統
KR101977798B1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
KR20160084601A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
KR101717846B1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
CN106239589B (zh) 一种纸板分切机排单控制方法
KR102006380B1 (ko) 재단 제품의 생산 시스템
CN102938302A (zh) 铁心下轭拼片工艺
CN218642098U (zh) 除皱碾压设备
JP2007319941A (ja) スリッター装置
CN107643557A (zh) 一种光栅结构、立体显示装置及光栅结构的制作方法
KR100996960B1 (ko) 낮은 재단 손실율의 커팅 프레임
JPH0295656A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巻取方法
KR101225459B1 (ko) 광학 필름 적층 칩의 제조 방법
EP20241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lastic film
KR20140043606A (ko) 선박 제조용 강재 절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