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798B1 -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798B1
KR101977798B1 KR1020150006042A KR20150006042A KR101977798B1 KR 101977798 B1 KR101977798 B1 KR 101977798B1 KR 1020150006042 A KR1020150006042 A KR 1020150006042A KR 20150006042 A KR20150006042 A KR 20150006042A KR 101977798 B1 KR101977798 B1 KR 101977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duct
products
cutting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195A (ko
Inventor
이규황
이호경
김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0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7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단을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및 제2 단위제품으로 재단하는 재단 제품의 생산 방법으로서, 원단 상에 면적 수율을 최대로 하는 제1 및 제2 단위제품의 개수, 원단 상의 각각의 단위 제품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한 가상 재단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단 제품의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Manufacturing method for cut-out product and cutting system}
본 발명은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필름(또는 시트) 상의 제품은 실제 사용될 제품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원단 형태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강화 유리, 터치 센서,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 등이 그러하다. 예를 들어, 소정 크기의 터치 센서의 경우, 길이와 폭이 유사한 유리 기판(원단)을 복수 개의 단위 제품으로 재단하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원단을 재단함에 있어서는, 적은 횟수의 재단 공정으로 복수 개의 단위 제품이 동시에 얻어질 수 있도록 재단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커터가 장착된 재단 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재단을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하는가에 따라 재단된 단위 제품의 수율이 달라진다. 낮은 재단 효율성은 재단 후 버려지는 스크랩(scrap), 즉 폐기물의 양을 증가시키며, 이는 궁극적으로 제품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일 방향으로 길게 재단하는 슬리팅(slitting) 재단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원단의 특성에 따라 이러한 슬리팅 재단이 재단 공정의 횟수를 줄이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으나, 원단의 면적 수율을 증가시키는 측면에서 불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면적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단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단위 제품들의 복합 재단을 통해 면적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단을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및 제2 단위제품으로 재단하는 재단 제품의 생산 방법으로서, 원단 상에 면적 수율을 최대로 하는 제1 및 제2 단위제품의 개수, 원단 상의 각각의 단위 제품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한 가상 재단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단 제품의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단의 크기와 제1 및 제2 단위 제품의 크기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위 제품으로만 재단한 경우의 면적 수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각각의 단위 제품으로만 재단한 경우의 면적 수율 보다 큰 면적 수율을 갖도록 제1 및 제2 단위제품의 개수, 원단 상의 각각의 단위 제품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한 가상 재단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단 제품의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단을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및 제2 단위제품으로 복합 재단하기 위하여, 각각의 단위 제품으로만 단일 재단한 경우의 면적 수율 보다 큰 면적 수율을 갖도록 제1 및 제2 단위제품의 개수, 원단 상의 각각의 단위 제품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한 가상 재단선을 결정하는 모드를 포함하는 재단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단위 제품들의 복합 재단을 통해 면적 수율을 최적화 및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 재단을 통해 단일 재단의 경우보다 면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유 재단 방식으로 슬리팅 재단 방식보다 높은 면적 효율로 생산이 가능하다. 특히,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단위 제품들의 수량을 조절함으로써 최적 복합 생산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원단 및 가상 재단선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재단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원단(10) 및 가상 재단선(20)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본 문서에서, 재단의 대상이 되는 "원단"은 유리 또는 필름(또는 시트) 상의 모재로서, 이는 재단 전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이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원단(10)의 종류나 적층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원단(10)은, 예를 들어 전기, 전자 제품 등에 적용되는 유리 또는 필름(또는 시트) 상의 광학 부재나 보호 부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재단이 완료된 재단 제품을 “단위 제품”이라 지칭할 수 있다.
원단(10)의 폭(X)과 길이(Y)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원단(10)은 그 폭(X)과 길이(Y)가 서로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원단(10)은 길이(Y)와 폭(X)의 차이가 소정 값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본 문서에서, "재단"은 "슬리팅 재단" 및 "자유 재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상기 "슬리팅 재단"은 원단(10)을 길이(Y) 방향으로 길게 재단하여 띠 형상의 반제품으로 재단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자유 재단"은 원단(10)을 길이(Y) 방향 및 폭(X) 방향으로 각각 재단하여 단위 제품으로 재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슬리팅 재단과 자유 재단은 가상 재단선(20) 상의 단위 제품의 배열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슬리팅 재단의 경우, 1차적으로 원단(10)의 길이(Y) 방향으로 길게 재단될 수 있도록 단위 제품이 원단의 길이(Y)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어야 한다. 이와는 다르게, 자유 재단의 경우 슬리팅 재단에 비하여 가상 재단성 상의 단위 제품의 배열이 자유롭다.
본 문서에서 단일 재단이라 함은 원단(10)을 한 종류의 단위 제품으로 재단하는 것을 의미하고, 복합 재단이라 함은 원단(10)을 두 종류 이상의 단위 제품으로 재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단위 제품의 종류라 함은 단위 제품의 크기(예를 들어, 7인치, 8인치 등)를 기초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재단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재단은, 예를 들어 금속 나이프, 제트 워터 나이프 및/또는 광원 등을 통해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은 레이저 빔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면적 수율"은 재단 후에 얻어지는 재단 제품의 총면적을 재단 전 원단(10)의 총면적으로 나누어 산출된 것을 의미한다. 면적 수율은, 통상과 같이 백분율(%)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크기"는 원단(10)이나 단위 제품의 폭, 길이, 면적, 및 대각선 길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크기"는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특별히 한정하여 언급하지 않는 한 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길이를 나타내는 "인치(inch)"는, 주지된 바와 같이 대각선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인치는, 예를 들어 단위 제품이 사각형 단품인 경우에 대각선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은 원단을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및 제2 단위제품으로 재단하는 재단 제품의 생산 방법으로서, 특히 복합 재단 방법과 관련된다.
상기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은 원단(10) 상에 면적 수율을 최대로 하는 제1 및 제2 단위제품(31, 32)의 개수, 원단(10) 상의 각각의 단위 제품(31, 32)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한 가상 재단선(20)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치 위치라 함은 원단 상에 각각의 단위 제품이 배치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배치 방향이라 함은 단위 제품이 원단 상에 배치된 방향으로서, 단위 제품의 길이방향이 원단의 길이방향에 나란히 배치된 경우(예를 들어, 제1 방향)와 단위 제품의 폭 방향이 원단의 길이방향에 나란히 배치된 경우(예를 들어, 제2 방향)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단위 제품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쪽을 길이방향이라 지칭하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쪽을 폭 방향이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원단(10)은 글라스(유리)일 수 있고, 제1 단위 제품의 크기는 제2 단위 제품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단위 제품의 크기는 7인치이고, 제2 단위 제품의 크기는 8인치일 수 있다.
이때, 가상 재단선(20)은 제1 및 제2 단위 제품(31, 32)으로 원단을 복합 재단하는 경우의 면적 수율이 제1 단위 제품(31) 또는 제2 단위 제품(32)만으로 원단을 재단하는 경우의 면적 수율보다 크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원단(10)을 제1 단위 제품(31)으로만 단일 재단하는 경우, 제1 단위 제품(31)의 수량은 28개이고, 이때의 면적 수율(효율)은 86.3%일 수 있다. 또한, 원단(10)을 제2 단위 제품(31)으로만 단일 재단하는 경우, 제2 단위 제품(32)의 수량은 20개이고, 이때의 면적 수율(효율)은 84.9%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1 및 제2 단위 제품(31, 32)으로 복합 재단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으며, 또한, 제1 단위 제품(31)과 제2 단위 제품(32)의 수량 조합에 따른 최적화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복합 재단 방식의 경우, 제1 단위 제품(31)의 수량은 26개일 수 있고, 제2 단위 제품의 수량은 2개일 수 있다. 이때의 면적 수율(효율)은 88.6%일 수 있다. 즉, 단일 재단 방식보다 복합 재단 방식의 경우 면적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합 재단 방식의 경우, 제1 단위 제품(31)의 수량은 25개일 수 있고, 제2 단위 제품의 수량은 3개일 수 있다. 이때의 면적 수율(효율)은 89.8%일 수 있다. 즉, 단일 재단 방식보다 복합 재단 방식의 경우 면적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및 제2 단위 제품(31, 32)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가상 재단선(20)에서 각각의 단위 제품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가상 재단선(20)에서 복수 개의 제1 단위 제품(31)은 원단의 길이(Y)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복수 개의 제2 단위 제품(32)은 원단의 폭 방향(X)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가상 재단선(20)에서 적어도 2개의 제1 단위 제품(31)의 배열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도면 부호 30과 40을 참조). 또한, 가상 재단선(20)에서 복수 개의 제1 단위 제품(31)은 원단(10)의 길이(Y)방향 및 폭(X) 방향을 따라 각각 배열되고, 복수 개의 제2 단위 제품(32)은 원단의 길이(Y)방향 또는 폭(X) 방향을 따라 띠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재단선(20)에서 복수 개의 제1 단위 제품(31) 중 일부(40)는 그 길이방향이 원단이 길이(Y)방향과 나란하도록 인접하여 배열되고, 나머지(50)는 그 폭 방향이 원단이 길이(Y)방향과 나란하도록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가상 재단선(20)에서 복수 개의 제1 단위 제품(31)의 일부(40)와 나머지(50)는 원단의 길이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제1 단위 제품(31)의 크기는 제2 단위 제품(32)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으며, 가상 재단선(20)에서 제1 단위 제품의 개수는 제2 단위 제품의 개수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단(10)의 크기와 제1 및 제2 단위 제품(31, 32)의 크기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위 제품으로만 단일 재단한 경우의 면적 수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각각의 단위 제품으로만 재단한 경우의 면적 수율 보다 큰 면적 수율을 갖도록 제1 및 제2 단위제품(31, 32)의 개수, 원단(10) 상의 각각의 단위 제품(31, 32)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한 가상 재단선(20)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단 제품의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단일 재단한 경우보다 높은 면적 수율을 갖는 경우의 가상 재단선(2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위 제품(31)과 제2 단위 제품(32)의 수량의 조합에 따라 복수 개의 가상 재단선(20)이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재단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재단 시스템(100)은 원단을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및 제2 단위제품으로 복합 재단하기 위하여, 각각의 단위 제품으로만 단일 재단한 경우의 면적 수율 보다 큰 면적 수율을 갖도록 제1 및 제2 단위제품의 개수, 원단 상의 각각의 단위 제품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한 가상 재단선을 결정하는 모드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재단 시스템(100)은 수율 산출부(200)와 재단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단 시스템(100)은 원단의 크기 및 각각의 단위 제품의 크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단 시스템(100)은 제품 정보 입력부(110)와 원단 정보 입력부(120) 및 수요량 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객 수요량을 기초로 제1 및 제2 단위 제품의 수량 조합이 가능하며, 이러한 조합을 통해 면적 수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상기 제품 정보 입력부(110)에는 단위 제품의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된다. 이때, 단위 제품의 정보는 각 제품의 크기를 포함한다.
원단 정보 입력부(120)에는 원단(10)에 대한 원단 정보가 입력된다. 원단 정보 입력부(120)에는 원단 정보로서, 예를 들어 원단(10)의 크기가 입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단 정보 입력부(120)에는 당해 원단(10)의 폭(X) 및 길이(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입력될 수 있다.
면적 수율 산출부(200)는 면적 수율을 최대로 하는 제1 및 제2 단위제품의 개수, 원단 상의 각각의 단위 제품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재단 시스템(100)은 원단(10) 상에 가상 재단선(20)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4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400)를 통해 제1 및 제2 단위 제품의 개수들의 조합에 따른 2개 이상의 가상 재단선(도 1 및 도 2 참조) 및 해당 면적 수율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재단부(300)는 가상 재단선(20)을 따라 원단(10)을 재단할 수 있다. 상기 재단부(300)는 적어도 재단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재단 장치는, 예를 들어 통상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단 장치는, 예를 들어 원단(10)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과, 원단(10)을 재단하는 재단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수단은, 예를 들어 이송 컨베이어, 롤(roll), 및 지지 플레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단 수단은, 예를 들어 금속 나이프, 제트 워터 나이프 및 광원(레이저 빔 조사기 등)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원단
20: 가상 재단선
31: 제1 단위제품
32: 제2 단위 제품
100: 재단 시스템
110: 제품 정보 입력부
120: 원단 정보 입력부
130: 수요량 입력부
200: 수율 산출부
300: 재단부
400: 출력부

Claims (15)

  1. 원단을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및 제2 단위제품으로 재단하는 재단 제품의 생산 방법으로서,
    원단 상에 면적 수율을 최대로 하는 제1 및 제2 단위제품의 개수, 원단 상의 각각의 단위 제품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한 가상 재단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가상 재단선은 제1 및 제2 단위 제품으로 원단을 복합 재단하는 경우의 면적 수율이 제1 단위 제품 또는 제2 단위 제품만으로 원단을 재단하는 경우의 면적 수율보다 크도록 결정되고,
    가상 재단선에서 복수 개의 제1 단위 제품 중 일부는 그 길이방향이 원단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인접하여 배열되고, 나머지는 그 폭 방향이 원단이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인접하여 배열되며,
    가상 재단선에서 복수 개의 제1 단위 제품의 일부와 나머지는 원단의 길이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재단 제품의 생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단위 제품의 크기는 제2 단위 제품의 크기보다 작고,
    가상 재단선에서 제1 단위 제품의 개수는 제2 단위 제품의 개수보다 크게 설정되는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원단은 글라스인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11. 원단의 크기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단위 제품의 크기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위 제품으로만 재단한 경우의 면적 수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각각의 단위 제품으로만 재단한 경우의 면적 수율 보다 큰 면적 수율을 갖도록 제1 및 제2 단위제품의 개수, 원단 상의 각각의 단위 제품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한 가상 재단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가상 재단선은 제1 및 제2 단위 제품으로 원단을 복합 재단하는 경우의 면적 수율이 제1 단위 제품 또는 제2 단위 제품만으로 원단을 재단하는 경우의 면적 수율보다 크도록 결정되고,
    가상 재단선에서 복수 개의 제1 단위 제품 중 일부는 그 길이방향이 원단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인접하여 배열되고, 나머지는 그 폭 방향이 원단이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인접하여 배열되며,
    가상 재단선에서 복수 개의 제1 단위 제품의 일부와 나머지는 원단의 길이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재단 제품의 생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1 단위 제품의 크기는 제2 단위 제품의 크기보다 작고,
    가상 재단선에서 제1 단위 제품의 개수는 제2 단위 제품의 개수보다 크게 설정되는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006042A 2015-01-13 2015-01-13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 KR101977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042A KR101977798B1 (ko) 2015-01-13 2015-01-13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042A KR101977798B1 (ko) 2015-01-13 2015-01-13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195A KR20160087195A (ko) 2016-07-21
KR101977798B1 true KR101977798B1 (ko) 2019-05-13

Family

ID=5668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042A KR101977798B1 (ko) 2015-01-13 2015-01-13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940B1 (ko) * 2019-09-05 2020-01-17 이준희 재단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재단 제품 제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610B1 (ko) * 2003-09-24 2010-1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패널의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KR101179071B1 (ko) * 2009-03-10 2012-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사각형 단위체의 제조방법
KR20130010995A (ko) * 2011-07-20 2013-01-30 김진황 판형 재료의 재단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522167B1 (ko) * 2013-02-20 2015-05-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높은 재단 효율성으로 직사각형 단위체들을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195A (ko)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6583B2 (ja) 四角形ユニット片の製造方法
TWI694975B (zh) 貼合基板之分斷裝置
TWI537112B (zh) 以高切割效率製造長方形物件之方法
CN107884948A (zh) 一种多层透明彩色液晶屏立体模型显示器及方法
KR101977798B1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
TW200734688A (en) Optical sheet for display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88737B1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생산 시스템
US10526235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glass sheets of complex shape
KR101717857B1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생산 시스템
TW201707905A (zh) 切出產品的製造方法及切出產品的製造計畫系統
KR101746294B1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생산 시스템
JP2008176280A (ja) 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CN109656419B (zh) 触控面板的滚压制作方法
KR101768739B1 (ko) 편광판의 개발 원가 계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01234850B (zh) 玻璃基板的激光切割方法
KR101717846B1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
KR20160084601A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및 재단 시스템
CN102875016A (zh) 一种偏光片的切割方法
KR20160037448A (ko) 재단 제품의 생산 방법 및 시스템
KR102006380B1 (ko) 재단 제품의 생산 시스템
CN106239589A (zh) 一种纸板分切机排单控制方法
KR20190023371A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KR20180040779A (ko) 재단 제품의 생산방법
CN114531780A (zh) Pcb锣板方法
KR20140043606A (ko) 선박 제조용 강재 절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