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392B1 - 횡편기 - Google Patents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392B1
KR102191392B1 KR1020190036516A KR20190036516A KR102191392B1 KR 102191392 B1 KR102191392 B1 KR 102191392B1 KR 1020190036516 A KR1020190036516 A KR 1020190036516A KR 20190036516 A KR20190036516 A KR 20190036516A KR 102191392 B1 KR102191392 B1 KR 102191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machine
primary coil
flat knitting
rail
mo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875A (ko
Inventor
히로미 후지모토
야스오 시모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9011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8Electrica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4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one set of needles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횡편기에 구비되는 이동체에 비접촉에 의하여 급전하는 횡편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복수의 편침이 배열되는 니들베드와, 레일(1R)을 따라 주행함으로써 편성포의 편성에 관계되는 이동체(2)를 구비하는 횡편기이다. 이 횡편기는, 레일(1R)의 축과 병렬되는 축선을 갖고 횡편기의 전원에 연결되는 1차코일(31)과, 이동체(2)에 설치되고 1차코일(31)이 삽입되어 통과되는 통모양 부재(34)와, 통모양 부재(34)의 외주에 감기고 1차코일(31)로부터 전자유도에 의하여 급전되는 2차코일(32)과, 이동체(2)에 설치되고 2차코일(32)에 연결되는 제어회로(20)와, 이동체(2)에 설치되고 제어회로(20)에 의하여 제어되어 동작하는 적어도 1개의 전기기기(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편침(編針)이 배열되는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에는, 레일(rail)에 부착되어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편성포의 편성에 관계되는 복수의 이동체(移動體)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동체로서는,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編絲)를 급사(給絲)하는 얀피더(yarn feeder)(이하, YF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1에는, YF를 리니어 모터(linear motor)에 의하여 구동시키거나 YF에 구동모터 등을 부착하여, YF를 자주(自走)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YF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그 제어장치에는, 레일에 설치되는 콘택트 스트립(contact strip)을 통하여 접촉급전(接觸給電)에 의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특허문헌2에는, YF가 부착되는 레일 위를 주행하고, YF에 전환핀(轉換pin)을 꽂아서 YF를 연행(連行)하는 이동체(특허문헌2의 부호 300)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서는, 레일에 설치된 도전시트(導電sheet)와 이동체에 설치된 카본 브러시(carbon brush)의 접촉에 의하여 이동체에 급전하여, 전환핀의 출납을 하고 있다.
: 독일국 특허출원공개 제4308251호 명세서 : 중국 특허출원공개 제101139777호 명세서
선행기술은 모두 접촉급전에 의하여 이동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오일이나 티끌이 어지럽게 날아다니는 편성환경에 있어서는, 접촉장소에 오일이나 티끌이 파고 들어가서 급전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접촉급전을 하는 구성에서는, 접촉장소가 마모됨으로써 급전이 저해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횡편기에 구비되는 이동체에 비접촉에 의하여 급전하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횡편기는,
복수의 편침이 배열되는 니들베드와, 레일을 따라 주행함으로써 편성포의 편성에 관계되는 이동체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축과 병렬되는 축선을 갖고, 횡편기의 전원에 연결되는 1차코일과,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고, 상기 1차코일이 삽입되어 통과되는 통모양 부재와,
상기 통모양 부재의 외주에 감기고, 상기 1차코일로부터 전자유도에 의하여 급전되는 2차코일과,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고, 상기 2차코일에 연결되는 제어회로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에 의하여 제어되어 동작하는 적어도 1개의 전기기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편침에 편사를 급사하는 얀피더인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1차코일은, 상기 레일의 하방측의 빈 스페이스에 배치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1차코일의 축선을, 상기 레일과 평행하게 되도록 교정하는 교정수단을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교정수단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1차코일을 지지하고, 횡편기의 부동의 부재에 연결되는 연속적이고 길이가 긴 홀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재에 의하여 상기 1차코일이 교정되어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교정수단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1차코일에 인장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상기 1차코일의 양 단부가 횡편기의 부동의 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1차코일이 교정되어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이동체에 대하여, 상기 통모양 부재를 적어도 연직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동지지기구를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2차코일은, 상기 1차코일의 연신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분할코일을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편침에 편사를 급사하는 얀피더이고,
상기 전기기기는, 상기 편사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인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횡편기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레일 위에 복수의 상기 이동체가 배치되고,
상기 전기기기는 광무선 송수신기이고,
상기 레일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상기 이동체를 중계시켜서 광무선통신을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횡편기에 의하면, 횡편기에 구비되는 이동체에 비접촉에 의하여 급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급전에 의하여 생기는 접촉불량의 문제를 없앨 수 있다. 또한 2차코일을 지지하는 통모양 부재의 내부에 1차코일을 삽입시켜서 통과시킴으로써, 1차코일과 2차코일로 구성되는 비접촉 급전기구를 컴팩트하게 정리할 수 있다.
YF는 편성장소와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YF에 급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편성상태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YF에 장력센서를 설치하여 편사의 장력에 관한 정보를 얻는 것이나, YF에 위치센서를 설치하여 YF의 정확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얻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YF에 복수의 전기기기를 설치하고, 각 전기기기로부터 복수의 정보를 얻거나, 복수의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1차코일을 레일의 하방측의 빈 스페이스에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되는 이동체 이외의 기구에 설계변경을 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인접하는 레일의 간격을 넓히는 등, 횡편기의 각 장치구성을 대형화하지 않고, 컴팩트하게 비접촉 급전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1차코일의 휘어짐이나 변형을 교정하는 교정수단에 의하여 1차코일의 축의 구부러짐을 억제함으로써, 1차코일의 외부에 배치되는 통모양 부재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교정수단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떤 교정부재든지 사용하는 수단과, 교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수단이 있다.
교정부재로서 홀딩부재를 이용함으로써, 1차코일의 휘어짐이나 변형에 따른 1차코일의 축의 구부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1차코일에 인장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1차코일을 횡편기의 부동의 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교정수단을 강구함으로써 1차코일의 축의 구부러짐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1차코일을 교정하는 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가동지지기구를 통하여 이동체에 통모양 부재를 지지시킴으로써, 1차코일의 축방향의 중앙이 휘어져 있더라도, 2차코일을 지지하는 통모양 부재가 1차코일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2차코일을 복수의 분할코일로 나눔으로써, 각 분할코일을 지지하는 통모양 부재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통모양 부재를 1차코일의 휘어짐에 추종시키기 쉽다. 또한 각 분할코일이 짧기 때문에, 2차코일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다. 그 때문에, 이동체의 주행루트의 근방에 있는 부재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2차코일을 배치할 수 있다.
YF에 장력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편성장소와 가까운 위치에서 편사의 장력을 측정할 수 있고, 그 측정결과에 따라 신속한 대응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YF 위 혹은 YF 외의 급사경로 위에 설치된 장력조정장치에 의하여 편사의 장력을 조정하거나 편사의 송출량을 조정함으로써, 편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동체에 광무선 송수신기를 설치함으로써, 횡편기의 컴퓨터와 이동체의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체가 YF이면, 상기 정보로서 YF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들 수 있다.
도1은, 실시형태에 관한 횡편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2는, 레일의 일면측에서 본 얀피더의 개략도이다.
도3은, 도2의 반대측에서 본 얀피더의 개략도이다.
도4는, 1차코일과 2차코일을 구비하는 비접촉 급전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5는, 얀피더를 중계시키는 광무선통신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실시형태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횡편기(橫編機)(1)를 도1∼도5에 의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횡편기(1)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면(紙面)의 후방의 방향으로 대향(對向)하여 배치되는 1쌍의 니들베드(needle bed)(1B)와, 양 니들베드(1B)의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에 편사(編絲)(9)를 급사(給絲)하는 얀피더(yarn feeder)(이하, YF)(2A∼2D)를 구비한다. 니들베드(1B)에는 복수의 편침(編針)이 병렬로 설치되어 있고, 그들의 편침은 니들베드(1B) 위를 왕복하는 캐리지(carriage)(1C)에 탑재되는 캠 시스템(cam system)(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구동된다. 한편 YF(2A∼2D)는 레일(1R)을 따라 주행한다. 레일(1R)은, 횡편기(1)의 양단측(兩端側)에 세워서 설치되고 횡편기(1)와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부동(不動)의 부재인 1쌍의 프레임(1FR, 1FL)의 사이를 가로지른다. 레일(1R)은, 지면의 후방의 방향으로 복수 병렬되어 있고, 모든 레일(1R)은 니들베드(1B)의 상방에서 니들베드(1B)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하, YF(2A∼2D)에 대하여 공통적인 설명을 할 때에는, 각 YF(2A∼2D)를 구별하지 않고 YF(2)라고 표기한다.
본 예에서는, 1개의 레일(1R)에 복수의 YF(2)가 부착되어 있다. YF(2A, 2B)는 레일(1R)에 있어서 지면의 전방측의 면에 부착되어 있고, YF(2C, 2D)는 레일(1R)에 있어서 지면의 후방측의 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 YF(2)는, 레일(1R)의 상방에 덮어 씌워지는 실렉터(selector)(1S)에 선택·연행(選擇·連行)됨으로써 레일(1R)을 따라 주행한다. 실렉터(1S)에 설치되는 출몰식(出沒式)의 전환핀(轉換pin)이 YF(2)에 맞물림으로써 YF(2)가 선택된다. 실렉터(1S)는, 캐리지(1C)에 연결되어 캐리지(1C)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실렉터(1S)가, 편성에 사용되는 YF(2)를 선택·연행함으로써 YF(2)로부터 공급되는 편사(9)에 의하여 편성이 실시된다. 또 YF(2)를 주행시키는 구성은, 본 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YF(2)가 자주(自走)하는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캐리지(1C)나 실렉터(1S)의 동작은, 횡편기(1)에 구비되는 컴퓨터(10)에 의하여 제어된다.
YF(2)에는, 횡편기(1)의 상방 등에 배치된 콘(cone) 등의 편사공급원(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으로부터, 텐션장치(tension裝置)(90), 횡편기(1)의 측방(側方)의 사이드 텐션장치(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통하여 풀린 편사(9)가 공급된다. 즉 본 예의 YF(2)는, 그 측방으로부터 편사(9)의 급사를 받는 구성이다. 본 예와는 달리, YF(2)의 상방으로부터 편사(9)의 급사를 받는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본 예의 횡편기(1)에서는, 제어회로와 그 제어회로에 의하여 제어되어 동작하는 적어도 1개의 전기기기를 YF(2)에 설치함과 아울러, 이들 제어회로와 전기기기에 급전(給電)하는 비접촉 급전기구(非接觸 給電機構)(3)를 설치하고 있다. 우선 본 예의 YF(2A)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2, 도3에 의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비접촉 급전기구(3)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마지막에, 비접촉 급전기구(3)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동작하는 제어회로와 전기기기에 대하여 언급한다.
≪얀피더≫
도2는 레일(1R)에 부착되는 YF(2A)를 도1의 지면의 전방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3은 상기 YF(2A)를 도1의 지면의 후방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2, 도3에서는, 레일(1R)의 측면에 설치되고, YF(2A)가 슬라이딩 접촉(sliding contact)되는 리지(ridge)(1b)만을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 편의상, 도2의 측을 YF(2A)의 표면, 도3의 측을 YF(2A)의 이면이라고 한다. 도2, 도3에 나타내는 본 예의 YF(2A)는, 본체부(2M)와 하방 탑재부(2L)와 상방 탑재부(2U)와 연결부(2J)를 구비한다. 물론 도2, 도3에 나타내는 YF(2A)의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도2, 도3에서는, 편사(9)의 경로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편사(9)를 강조하여 나타내고 있다.
본체부(2M)는, 레일(1R)의 리지(1b)를 상하에 끼우는 주행롤러(走行roller)(2r)를 구비하고, 레일(1R)의 위치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장척(長尺)의 판재(板材)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체부(2M)는, 주행롤러(2r)가 설치되는 캐리어부(carrier部)(2a)와, 캐리어부(2a)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늘어지도록 연장되는 수하부(垂下部)(2b)로 나누어진다. 강도를 확보한다는 점에서 본체부(2M)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부(2a)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도1의 실렉터(1S)의 전환핀이 삽발(揷拔)되는 핀홈(2h)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하부(2b)의 하단(下端)에는 편사(9)를 니들베드갭으로 인도하는 급사구(給絲口)(2f)가 설치되고, 중간부에도 약간 상측 근처에는 편사(9)를 급사구(2f)측으로 인도하는 롤러 모양의 도입 가이드(導入 guide)(2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예의 도입 가이드(21)는, 본체부(2M)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갖는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도입 가이드(21)는, 레일(1R)의 연신방향(延伸方向)으로 연장되어 수하부(2b)에 고정되는 소편(小片) 중에서 수하부(2b)로부터 튀어 나오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 도입 가이드(21)는 롤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편사(9)를 삽입하여 통과시킬 수 있는 통모양 부재이더라도 좋다.
하방 탑재부(2L)는, 도입 가이드(21)보다 하방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하방 탑재부(2L)는 판모양 부재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판자 조각이나 골재 등을 조합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이 하방 탑재부(2L)는, 도3에 나타내는 장력센서(tension sensor)(4)나 장력조정장치(5) 등의 전기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하방 탑재부(2L)의 일부는, 레일(1R)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YF(2A)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본체부(2M)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부분의 이면측(도3의 측)에 장력센서(4)나 장력조정장치(5)가 설치된다.
상방 탑재부(2U)는, 캐리어부(2a)의 표면측(도2의 측)에 설치되는 판모양 부재이다. 상방 탑재부(2U)는, 후술하는 제어회로(20) 등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캐리어부(2a)의 표면측을 상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캐리어부(2a)의 내부에 상방 탑재부(2U)를 수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캐리어부(2a)에 뚜껑을 설치하면, 제어회로(20)를 먼지나 오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연결부(2J)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세로 조각(j1, j2, j3)과, 그들 세로 조각(j1∼j3)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2개의 가로 조각(j4, j5)과,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암부(arm部)(24a, 24a)로 구성된다. 연결부(2J)는, 후술하는 비접촉 급전기구(3)의 제2부착 어셈블리(3B)를 YF(2A)에 부착하는 부재로서, 본 예에서는 상방 탑재부(2U)에 연결되어 있다.
≪비접촉 급전기구≫
비접촉 급전기구(3)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2, 도3에 추가하여 YF(2A)에 있어서의 비접촉 급전기구(3)의 근방의 부분 확대도인 도4를 함께 참조한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접촉 급전기구(3)는, 횡편기(1)의 전원에 연결되는 1차코일(31)과 YF(2A)측에 설치되는 2차코일(32)을 구비한다. 1차코일(31)과 2차코일(32)이 비접촉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면, 1차코일(31)에 교류가 통전(通電)되었을 때에 전자유도에 의하여 2차코일(32)에 전류가 흐른다. 본 예에서는 2개의 분할코일(32a, 32b)을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2차코일(32)이 형성되어 있고, 이 2차코일(32)의 양 단부는, 후술하는 제어회로(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2차코일(32)은, 전자유도에 의하여 1차코일(31)로부터 얻어진 전력을 제어회로(20)에 공급하는 급전부(給電部)로서 기능한다.
1차코일(31)은, 레일(1R)의 축과 병렬하는 축선(軸線)을 갖고, YF(2A)의 이동범위에 대응한 길이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1차코일(31)은 레일(1R)과 동등한 길이를 갖는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1차코일(31)의 내부에는 페라이트(ferrite) 등의 자성부재(磁性部材)로 구성되는 코어(31c)가 배치되어 있다. 1차코일(31)은, 그 하방으로부터 홈통 모양의 홀딩부재(holding部材)(교정부재)(33)에 의하여 지지되고, 레일(1R)과 평행하게 되도록 교정되어 있다. 본 예의 홀딩부재(33)는, 횡편기(1)의 프레임(1FL, 1FR)에 연결되는 연속적이고 길이가 긴 부재로서, 홀딩부재(33)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상방에 개구부를 갖는 네모난 C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 홀딩부재(33)의 개구부로부터 1차코일(31)의 일부가 홀딩부재(33)의 내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1차코일(31)이 배치·지지된 제1부착 어셈블리(第1附着 assembly)(3A)가 형성된다. 홀딩부재(33)는, 그 내부에 1차코일(31)이 포함되는 크기로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여기에서 홀딩부재(33)는, 1차코일(31)이 하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형상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2차코일(32)은 통모양 부재(34)의 외주에 감겨 있다. 통모양 부재(34)의 내부에는, 1차코일(31)이 홀딩부재(33)와 함께 삽입되어 통과되어 있고, 그 때문에 1차코일(31)의 축방향을 따라 2차코일(32)이 감기는 통모양 부재(34)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차코일(31)과 2차코일(32)은 통모양 부재(34)에 의하여 비접촉상태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1차코일(31)에 교류를 통전시키면, 전자유도에 의하여 2차코일(32)에 유도전류가 흐른다. 통모양 부재(34)의 내부 형상은, 제1부착 어셈블리(3A)의 외형을 따르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횡편기(1)에서는, 복수의 레일(1R)이 횡편기(1)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각 레일(1R)의 사이에 1차코일(31)을 배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본 예의 횡편기(1)에서는, 레일(1R)의 상방을 실렉터(selector)(1S)가 주행하기 때문에, 레일(1R)의 상방에 1차코일(31)을 배치하는 데에는, 실렉터(1S)를 현재의 상태보다 상방으로 퇴피(退避)시키지 않으면 안 되어, 횡편기(1)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부가하여 레일(1R)의 상방에 1차코일(31)을 배치하는 경우에, YF(2A)에 설치되는 2차코일(32)도 YF(2A)의 상방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 되어, YF(2A)가 대형화된다. 이에 대하여 본 예의 구성에서는, 레일(1R)의 하방측의 빈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부착 어셈블리(3A)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YF(2A) 이외의 구성으로 설계변경을 하지 않고, 컴팩트하게 비접촉 급전기구(3)를 구축할 수 있다. 또 YF(2A)가 자주식(自走式)인 경우에 실렉터(1S)가 필요없기 때문에, 레일(1R)의 상방에 1차코일(31)을 배치할 수도 있다.
본 예의 2차코일(32)은, 1차코일(31)의 연신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분할코일(32a, 32b)을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진다. 각 분할코일(32a, 32b)은 서로 독립된 통모양 부재(34, 34)의 외주에 감겨 있다. 분할코일(32a)과 통모양 부재(34)로 구성되는 제2부착 어셈블리(3B)와, 분할코일(32b)과 통모양 부재(34)로 구성되는 또 하나의 제2부착 어셈블리(3B)는 각각, 레일(1R)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YF(2A)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YF(2A)의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분할코일(32a, 32b)을 지지하는 통모양 부재(34)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통모양 부재(34)(제2부착 어셈블리(3B))가 1차코일(31)(제1부착 어셈블리(3A))의 휘어짐이나 변형 등에 추종하기 쉬워서, 통모양 부재(34)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YF(2A)의 좌우의 위치에 제2부착 어셈블리(3B)를 배치하면, 제2부착 어셈블리(3B)를 YF(2A)의 주행루트의 근방에 있는 다른 부재에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분할코일(32a, 32b)은 2개이지만 3개 이상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도 제2부착 어셈블리(3B)를 YF(2A)의 주행루트의 근방에 있는 다른 부재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한다.
제2부착 어셈블리(3B)는, 가동지지기구(可動支持機構)(24)를 통하여 YF(2A)의 연결부(2J)에 부착되어 있다(특히 도4를 참조). 가동지지기구(24)는, YF(2A)에 대하여 통모양 부재(34)를 적어도 연직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으면, 그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예의 가동지지기구(24)는, 연결부(2J)로부터 연장되는 암부(24a)와, 제2부착 어셈블리(3B)에 연결되고 암부(24a)의 선단을 수납하는 하우징(24h)을 구비한다. 하우징(24h)의 상부 내주면으로부터는 지지축(24b)이 연장되어, 암부(24a)의 선단에 있는 관통구멍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고, 그 지지축(24b)의 외주에는 압축 스프링 등의 탄성체(24s)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탄성체(24s)에 의하여 가압된 하우징(24h)과 일체로 된 제2부착 어셈블리(3B)가 지지축(24b)을 따라 연직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지지축(24b)의 선단이 암부(24a)의 관통구멍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그 선단을 기준으로 하여, 하우징(24h)이 소정의 입체각의 범위에서 변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예에서는 YF(2A)에 대하여 제2부착 어셈블리(3B)가 연직방향 이외로도 변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가동지지기구(24)는 도4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연결부(2J)와 제2부착 어셈블리(3B)를 단지 압축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하여 연결한 가동지지기구(24) 등을 들 수 있다.
≪전기기기와 제어회로≫
제어회로(20)는, 상방 탑재부(2U)의 표면측에 설치되고, 2차코일(32)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동작한다. 제어회로(20)는, YF(2A)에 탑재되는 각 전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예의 YF(2A)에는, 전기기기로서 장력센서(4), 장력조정장치(5), 광무선 송수신기(6) 및 위치측정장치(7)가 탑재되어 있다. 이들 전기기기의 제어부로서, 장력센서(4)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장력조정장치(5)를 제어하는 장력제어부나, 위치측정장치(7)의 측정정보 등을 송신하는 광무선 송수신기(6)의 통신제어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YF(2A)에 설치되는 각 제어부는, 횡편기(1)의 컴퓨터(10)에 구비되는 통합제어부에 의하여 연계하여 제어된다.
장력센서(4)는, 편사(9)의 장력에 상관되는 물리량을 취득하고, 그 물리량을 전기신호로서 제어회로(20)에 출력한다. 취득하는 물리량은, 편사(9)의 장력의 변화에 상관하여 변화되는 물리량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본 예의 장력센서(4)는, 편사(9)에 접촉하여 편사(9)로부터 받는 응력에 따른 물리량을 취득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예의 장력센서(4)는, YF(2A)의 하방 탑재부(2L)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41, 42)와, 가이드 롤러(41, 42) 사이의 위치에 경사지는 모양으로 부착된 가이드축부(40)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41, 42)의 사이를 지나는 편사(9)의 장력을 가이드축부(40)에서 측정한다. 가이드축부(40)는, 지면의 좌우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변위량에 따른 변형량을 상기 물리량으로서 취득한다. 가이드축부(40)에 작용하는 편사(9)의 장력이 높으면, 가이드축부(40)의 변위량이 커지게 되어, 검지(檢知)하는 변형량도 커지게 된다. 가이드축부(40)에 작용하는 편사(9)의 장력이 낮으면, 가이드축부(40)의 변위량이 작아지게 되어, 검지하는 변형량도 작아지게 된다. YF(2A)에 장력센서(4)를 설치함으로써, 편사(9)의 이완이나 긴장을 종래보다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장력센서(4)에서 취득한 물리량은 전기신호로서 제어회로(20)에 입력된다. 제어회로(20)의 장력제어부는, 그 물리량과 편사(9)의 장력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참조하여 편사(9)의 장력을 구한다. 제어회로(20)는, 구한 편사(9)의 장력과 미리 정하여 둔 설정장력을 비교하여, 편사(9)의 장력이 설정장력에 근접하도록 장력조정장치(5)를 제어한다.
장력조정장치(5)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사(9)에 있어서의 도입 가이드(21)와 장력센서(4)의 사이를 지나는 부분에 작용하여 편사(9)의 장력을 조정한다. 종래의 장력조정장치(5)는, 도1의 횡편기(1)의 사이드 텐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본 예의 장력조정장치(5)와 같이 니들베드갭에 가까운 위치에서 편사(9)를 조정하는 것이, 신속하게 편사(9)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예의 장력조정장치(5)는, 하방 탑재부(2L)에 고정되는 부동(不動)의 고정편(固定片)과, 고정편에 대하여 근접·이반하는 방향으로 직선모양으로 움직이는 가동편(可動片)의 사이에 편사(9)를 끼움으로써, 편사(9)의 장력을 조정한다. 가동편은 솔레노이드(solenoid) 등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에 대한 통전량(通電量)을 변화시킴으로써, 고정편과 가동편에 편사(9)를 끼우는 힘을 변화시킬 수 있다. 편사(9)를 끼우는 힘이 강하면 편사(9)가 움직이기 어렵게 되어, 장력조정장치(5)보다 하류측의 편사(9)의 장력이 높아지게 된다. 반대로, 편사(9)를 끼우는 힘이 약하면 편사(9)가 움직이기 쉽게 되어, 장력조정장치(5)보다 하류측의 편사(9)의 장력이 낮아지게 된다.
광무선 송수신기(6)는, 광무선방식의 YF측 수신기(6r) 및 YF측 송신기(6t)와, 이들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예의 광무선방식은 적외선을 사용한 것이지만, 가시광을 사용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본 예의 YF측 수신기(6r) 및 YF측 송신기(6t)는 제어회로(20)에 실장되어 있고, 통신제어부에는 제어회로(20)의 IC칩이 이용된다. 본 예의 횡편기(1)에서는, 이 광무선 송수신기(6)를 사용하여, 횡편기(1)의 컴퓨터(10)와 YF(2A)의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한다. 이 정보를 교환하는 광무선 시스템의 일례를 도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1개의 레일(1R) 위에 2개의 YF(2A, 2B)가 부착되어 있다. 본 예의 광무선 시스템은, 횡편기(1)의 컴퓨터(10)에 연결되는 본체측 송신기(1t) 및 본체측 수신기(1r)와, 각 YF(2A, 2B)에 설치되는 광무선 송수신기(6)를 구비한다. 본체측 송신기(1t)는, 컴퓨터(10)로부터의 편성에 관한 정보를 광무선방식으로 YF(2A, 2B)에 발신하는 장치로서, 레일(1R)의 일단측(예를 들면 도1의 프레임(1FL) 등)에 배치된다. 본체측 송신기(1t)의 투광축(投光軸)은, 본체측 송신기(1t)의 근처에 있는 YF(2A)의 YF측 수신기(6r)와 정면으로 마주 보고 있다. 한편 본체측 수신기(1r)는, YF(2B)로부터 광무선방식으로 발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레일(1R)의 타단측(예를 들면 도1의 프레임(1FR) 등)에 배치된다. 본체측 수신기(1r)의 수광축(受光軸)은, 본체측 수신기(1r) 근처에 있는 YF(2B)의 YF측 송신기(6t)와 정면으로 마주 보고 있다. 또한 YF(2A)의 YF측 송신기(6t)의 광축은, YF(2B)의 YF측 수신기(6r)와 정면으로 마주 보고 있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광무선 시스템에 의하면, 테두리 안을 비워둔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측 송신기(1t)로부터 본체측 수신기(1r)를 향하여 각 YF(2A, 2B)를 중계시켜서 광무선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본체측 송신기(1t)로부터는 각 YF(2A, 2B)에 대한 개별의 지령을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그 정보를 최초로 수취한 YF(2A)의 제어회로(20)는, 자신에 대한 지령을 추출하고, 그 지령을 실행에 옮긴다. 또한 YF(2A)의 제어회로(20)는, 본체측 송신기(1t)로부터 수취한 정보에, 자신이 취득한 정보(예를 들면 편사의 장력에 관한 정보나 위치정보 등)를 추가한 정보를 다음의 YF(2B)로 송신한다. YF(2B)도, YF(2A)와 마찬가지로 자신에 대한 지령의 추출, 추출한 지령의 실행 및 본체측 수신기(1r)로의 정보(YF(2B)에 의한 취득정보를 포함한다)를 송신한다. 각 YF(2A, 2B)가 취득한 정보는 컴퓨터(10)로 피드백되어 편성조건의 최적화 등에 이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정보의 이용과 송신의 순서는, YF의 수가 3개 이상이 되더라도 동일하다.
도3에 나타내는 위치측정장치(7)는, 레일(1R)에 있어서의 YF(2A)의 위치를 측정한다. 예를 들면 위치측정장치(7)로서, 레일(1R)에 형성되는 눈금을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광학기기나, 레일(1R)을 따라 설치된 리니어 스케일(linear scale)을 검지하는 홀소자 등을 들 수 있다. YF(2A)의 위치는, 광무선 송수신기(6)(도2, 도5)를 통하여 횡편기(1)의 컴퓨터(10)로 송신된다. 컴퓨터(10)는, YF(2A)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최적의 YF(2A)의 이동을 실현한다. 예를 들면 YF(2A)에 브레이크 기구 등을 탑재시키면,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YF(2A)의 정지위치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YF(2A)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YF(2A)가 소정의 위치에 왔을 때에 어떠한 전기기기를 동작시키는 제어도 가능하다.
그 외에, YF(2A)에 탑재되는 전기기기로서 카메라나 YF(2A)를 자주시키기 위한 구동기구 등을 들 수 있다. 니들베드갭의 근방에는 YF(2A) 이외에도 프레서 장치 등이 배치되기 때문에, 니들베드갭 근방의 세부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지만, YF(2A)에 카메라를 탑재하면, 용이하게 니들베드갭 근방의 세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YF(2A)에 자주용의 구동기구를 설치하면, 도1의 실렉터(1S)를 생략할 수 있다.
<변형예>
실시형태1에서는, 1차코일(31)을 홀딩부재(33)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1차코일(31)을 횡편기(1)에 고정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홀딩부재(33) 이외의 교정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4의 코어(31c)를 튜브 내에 배치하여 바르게 교정하고, 그 튜브로 1차코일(31)을 내측으로부터 교정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 1차코일(31)에 인장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1차코일(31)의 양 단부를 횡편기(1)의 프레임(1FL, 1FR)에 기계적으로 연결하여도 상관없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교정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1차코일(31)을 구성하는 권선의 선지름을 어느 정도 굵게 하여(예를 들면 1mm 이상), 1차코일(31)의 형상이 지지되도록 한다. 물론 홀딩부재(33)를 이용하는 것도 1차코일(31)에 인장장력을 부여하는 것도 없이, 1차코일(31)을 횡편기(1)에 기계적으로 연결하여도 좋다.
실시형태1에서는, YF(2A)에 비접촉 급전기구(3)를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YF(2A) 이외의 이동체에 비접촉 급전기구(3)를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니들베드(1B)의 편침으로부터 YF(2A)에 걸치는 편사(9)를 파지(把持)하는 그리퍼(gripper)나, 그리퍼와 편침의 사이에서 편사(9)를 절단하는 편사절단장치 등에 비접촉 급전기구(3)를 적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1 : 횡편기
1B : 니들베드
1C : 캐리지
1FL, 1FR : 프레임
1R : 레일
1S : 실렉터
1b : 리지
1r : 본체측 수신기
1t : 본체측 송신기
10 : 컴퓨터
2, 2A, 2B, 2C, 2D : 얀피더(이동체)
2M : 본체부
2a : 캐리어부
2b : 수하부
2f : 급사구
2h : 핀홈
2r : 주행롤러
2J : 연결부
j1, j2, j3 : 세로 조각
j4, j5 : 가로 조각
2L : 하방 탑재부
2U : 상방 탑재부
20 : 제어회로(제어부)
21 : 도입 가이드
24 : 가동지지기구
24a : 암부
24b : 지지축
24h : 하우징
24s : 탄성체
3 : 비접촉 급전기구
3A : 제1부착 어셈블리
3B : 제2부착 어셈블리
31 : 1차코일
31c : 코어
32 : 2차코일
32a, 32b : 분할코일
33 : 홀딩부재(교정부재)
34 : 통모양 부재
4 : 장력센서(전기기기)
40 : 가이드축부
41, 42 : 가이드 롤러
5 : 장력조정장치(전기기기)
6 : 광무선 송수신기(전기기기)
6r : YF측 수신기
6t : YF측 송신기
7 : 위치측정장치(전기기기)
9 : 편사
90 : 텐션장치

Claims (11)

  1. 복수의 편침(編針)이 배열되는 니들베드(needle bed)와, 레일을 따라 주행함으로써 편성포의 편성에 관계되는 이동체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축과 병렬되는 축선(軸線)을 갖고, 횡편기의 전원에 연결되는 1차코일과,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고, 상기 1차코일이 삽입되어 통과되는 통모양 부재와,
    상기 통모양 부재의 외주에 감기고, 상기 1차코일로부터 전자유도에 의하여 급전(給電)되는 2차코일과,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고, 상기 2차코일에 연결되는 제어회로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에 의하여 제어되어 동작하는 적어도 1개의 전기기기를
    구비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편침에 편사를 급사하는 얀피더(yarn feeder)인 횡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은, 상기 레일의 하방측의 빈 스페이스에 배치되는 횡편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은, 상기 레일의 하방측의 빈 스페이스에 배치되는 횡편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의 축선을, 상기 레일과 평행하게 되도록 교정하는 교정수단을 구비하는 횡편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을 지지하고, 횡편기의 부동(不動)의 부재에 연결되는 연속적이고 길이가 긴 홀딩부재(holding部材)를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재에 의하여 상기 1차코일이 교정되어 있는 횡편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에 인장장력(引張張力)이 부여된 상태에서, 상기 1차코일의 양 단부가 횡편기의 부동의 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1차코일이 교정되어 있는 횡편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에 대하여, 상기 통모양 부재를 적어도 연직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동지지기구(可動支持機構)를 구비하는 횡편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코일은, 상기 1차코일의 연신방향(延伸方向)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분할코일을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횡편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편침에 편사를 급사하는 얀피더이고,
    상기 전기기기는, 상기 편사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인
    횡편기.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위에 복수의 상기 이동체가 배치되고,
    상기 전기기기는 광무선 송수신기이고,
    상기 레일의 일단(一端)측으로부터 타단(他端)측을 향하여 상기 이동체를 중계시켜서 광무선통신을 하는 횡편기.
KR1020190036516A 2018-03-30 2019-03-29 횡편기 KR102191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69637 2018-03-30
JP2018069637A JP7048392B2 (ja) 2018-03-30 2018-03-30 横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875A KR20190114875A (ko) 2019-10-10
KR102191392B1 true KR102191392B1 (ko) 2020-12-15

Family

ID=6600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516A KR102191392B1 (ko) 2018-03-30 2019-03-29 횡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546632B1 (ko)
JP (1) JP7048392B2 (ko)
KR (1) KR102191392B1 (ko)
CN (1) CN1103181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6499B (zh) * 2019-10-18 2024-02-23 泉州精准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送纱器
JP7438007B2 (ja) 2020-04-23 2024-02-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用の糸状体の挿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9234A1 (de) * 1992-03-17 1993-09-30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Textilmaschine
JP2000102237A (ja) * 1998-07-22 2000-04-07 Amada Eng Center Co Ltd リニアスライド
CN101139777A (zh) * 2007-09-29 2008-03-12 冯加林 一种电脑横机梭箱控制机构的电源控制信号导入装置
KR100964539B1 (ko) 2009-10-20 2010-06-21 김홍중 선형 전동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251A (en) 1980-01-11 1981-12-29 Boots Pharmaceuticals, Inc.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of orally-active medicaments
US4879001A (en) * 1988-09-12 1989-11-07 Beloit Corporation Twin wire former with roll press followed by extended nip press
ES2120492T3 (es) * 1992-05-25 1998-11-01 Emm Srl Dispositivo de movimiento de los portahilos para una maquina tricotosa plana.
WO1995019462A1 (fr) * 1994-01-14 1995-07-20 Nippon Mayer Co., Ltd. Procede et dispositif permettant de realiser des motifs pour machine de tricotage sur metier chaine
US6647749B2 (en) * 2000-02-29 2003-11-18 Shima Seiki Mfg., Ltd. Yarn feeding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GB0126554D0 (en) * 2001-11-06 2002-01-02 Univ Manchester Pressure garment
JP2006303221A (ja) 2005-04-21 2006-11-02 Chikura Kogyo Kk 非接触給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ドア装置
KR101139777B1 (ko) 2010-05-12 2012-04-26 국방과학연구소 저감도 폭발형 반응장갑용 반응물질 조성물 및 그의 성형체
CN203668624U (zh) * 2013-11-15 2014-06-25 绍兴市越发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电脑横机嵌花纱嘴传动机构
CN204000159U (zh) * 2014-03-27 2014-12-10 武汉纺织大学 一种无机头横机纱嘴更换装置
CN103993417B (zh) * 2014-05-22 2016-01-06 浙江恒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横机自跑式纱嘴的控制系统及方法
JP6465742B2 (ja) 2015-05-12 2019-02-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移動糸ガイドを備える横編機
JP2017053163A (ja) 2015-09-10 2017-03-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引き戸装置
CN106894153A (zh) * 2015-12-21 2017-06-27 王姗珊 一种智控移动纱嘴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编织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9234A1 (de) * 1992-03-17 1993-09-30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Textilmaschine
JP2000102237A (ja) * 1998-07-22 2000-04-07 Amada Eng Center Co Ltd リニアスライド
CN101139777A (zh) * 2007-09-29 2008-03-12 冯加林 一种电脑横机梭箱控制机构的电源控制信号导入装置
KR100964539B1 (ko) 2009-10-20 2010-06-21 김홍중 선형 전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78463A (ja) 2019-10-17
EP3546632B1 (en) 2021-06-23
KR20190114875A (ko) 2019-10-10
EP3546632A1 (en) 2019-10-02
CN110318150A (zh) 2019-10-11
CN110318150B (zh) 2020-11-27
JP7048392B2 (ja)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392B1 (ko) 횡편기
KR102226573B1 (ko) 횡편기
TW382002B (en) Apparatus for winding a thread onto a bobbin
US7374072B2 (en) Slide adjustable assembly for monitoring widthwise travel of an uncoiling steel band through a feeder system associated with a progressive die
IT9047767A1 (it) Apparecchiatura per scaricare bobine.
US6612215B2 (en) Cutting machine
KR102191456B1 (ko) 횡편기
CN110238327A (zh) 工件焊接设备
KR102637289B1 (ko) 와인딩 머신
CN105712126A (zh) 纺织机、自动绕线器及纱线引导机构
JP7204624B2 (ja) 給電機構付き装置
KR100585974B1 (ko) 섬유사 이송 버퍼용 엉킴 방지 장치
KR102336620B1 (ko) 주행대차용 텔레스코픽 포크장치
EP3403961B1 (en) Yarn breakage sensor for textile apparatuses
US4942729A (en) Apparatus for aligning a strand supply device and a strand guide of a textile machine
CN112424100A (zh) 丝线卷绕机
US20160281278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Fabric Tension in a Weaving Machine
KR102135402B1 (ko) 변위 익스텐소미터
EP4253620A1 (en) Yarn heater
CN113584704A (zh) 一种电脑横编针织机衬纬纱导纱系统
EP1946046B1 (en) Position detector with flexible mou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