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116B1 - 해양폐기물 수거기 - Google Patents

해양폐기물 수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116B1
KR102191116B1 KR1020200061228A KR20200061228A KR102191116B1 KR 102191116 B1 KR102191116 B1 KR 102191116B1 KR 1020200061228 A KR1020200061228 A KR 1020200061228A KR 20200061228 A KR20200061228 A KR 20200061228A KR 102191116 B1 KR102191116 B1 KR 102191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waste
roller
hopper
installation plate
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양
Priority to KR1020200061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0Screens in the form of endless mov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47Compacting complete was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9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for augmenting or creating a pression force between the load and the load-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2017/0031Melting the outer surface of compressed waste, e.g. for forming briquets by expelling the compressed waste material through a heated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폐기물 수거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바지선의 상부에 설치하여 바지선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해양에 부유하고 있거나 침수되어 있는 각종 해양폐기물을 수거하여 크기에 따라 분리시키고, 분리가 이루어진 해양폐기물 중 플라스틱은 열로 반용융시켜 블럭으로 재생산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폐기물 수거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해양에서 이동을 이루는 바지선의 상부에 설치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양폐기물을 수거하는 크레인과, 상기 크레인과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크레인을 통하여 수거된 해양폐기물을 포집하는 제1호퍼와, 상기 제1호퍼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1호퍼를 통하여 배출되는 해양폐기물을 설치판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이송이 이루어지는 해양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하여 해수와 함께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1이송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해양폐기물과 해수를 수거하는 제2호퍼와, 상기 제2호퍼의 하단에 설치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기 제2호퍼를 통하여 배출되는 해양폐기물과 해수를 수거하고, 수거된 해수를 하단에 구비된 복수개의 배출공으로 배출시키는 수용함으로 구성된 수거장치와, 상기 수거장치와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부와 인접한 위치에 투입공이 형성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투입공과 인접하게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기 제1이송부를 통하여 이송되는 해양폐기물 중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이 내측으로 수거되는 가열함과, 상기 가열함의 하단에 설치되어 가열함의 하단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부로 구성되어 상기 수거장치를 통하여 이송되는 해양폐기물 중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을 수거하여 반용융시키는 용융장치와, 상기 용융장치와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용융장치를 통하여 가열된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을 상기 수거장치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의 이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부를 통하여 이송되는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을 압착 성형하는 복수개의 압찹롤러로 구성된 배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해양폐기물 수거기{Apparatus for collecting Marine Waste}
본 발명은 해양폐기물 수거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바지선의 상부에 설치하여 바지선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해양에 부유하고 있거나 침수되어 있는 각종 해양폐기물을 수거하여 크기에 따라 분리시키고, 분리가 이루어진 해양폐기물 중 플라스틱은 열로 반용융시켜 블럭으로 재생산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폐기물 수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해양 연안에는 각종 양식 어장이 증가하면서, 그물, 각종 어구 등과 생활 쓰레기인 플라스틱 비닐 등이 부유하거나 퇴적된 상태로 있어, 해양 오염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해양에 부유하거나 퇴적된 상태의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여 분리하는 것이 해양 오염을 막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이나, 해양의 상태에 따라 해양에 부유하거나 퇴적된 상태의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장비가 필요한 것이다.
이에 최근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해양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는 폐기물수거장치가 구비된 수거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거선들은 해양폐기물의 수거는 이룰 수 있으나, 수거된 해양폐기물을 선박에 적재된 상태로 보관해야 함으로써, 일정한 양의 해양폐기물을 수거한 이후에는 해양폐기물의 수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해양폐기물을 분리하여 보관하는 경우에도 해양폐기물의 부피를 용이하게 줄이기 어려워 수거가 이루어진 해양폐기물이 선박이나 육지에 그래도 방치되며 새로운 환경오염 원인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481168호(2005.03.2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에 부유하거나 침적된 해양폐기물을 용이하게 수거하여 해양의 환경 오염원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수거된 해양폐기물을 부피나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고, 수거된 해양폐기물 중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을 반용융시켜 블럭 형상으로 만듬으로써, 해양폐기물의 운반과 보관을 용이하게 이루며 해양폐기물의 수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수거가 이루어진 해양폐기물의 보관과 운반을 용이하게 이룸으로써, 수거된 해양폐기물로 인하여 2차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해양폐기물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오염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조업어장과 같은 어업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해양폐기물 중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을 선별하여 블럭 형태로 보관 및 운반을 이룸으로써, 해양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플라스틱의 재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양에서 이동을 이루는 바지선의 상부에 설치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양폐기물을 수거하는 크레인과, 상기 크레인과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크레인을 통하여 수거된 해양폐기물을 포집하는 제1호퍼와, 상기 제1호퍼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1호퍼를 통하여 배출되는 해양폐기물을 설치판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이송이 이루어지는 해양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하여 해수와 함께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1이송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해양폐기물과 해수를 수거하는 제2호퍼와, 상기 제2호퍼의 하단에 설치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기 제2호퍼를 통하여 배출되는 해양폐기물과 해수를 수거하고, 수거된 해수를 하단에 구비된 복수개의 배출공으로 배출시키는 수용함으로 구성된 수거장치와, 상기 수거장치와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부와 인접한 위치에 투입공이 형성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투입공과 인접하게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기 제1이송부를 통하여 이송되는 해양폐기물 중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이 내측으로 수거되는 가열함과, 상기 가열함의 하단에 설치되어 가열함의 하단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부로 구성되어 상기 수거장치를 통하여 이송되는 해양폐기물 중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을 수거하여 반용융시키는 용융장치와, 상기 용융장치와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용융장치를 통하여 가열된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을 상기 수거장치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의 이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부를 통하여 이송되는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을 압착 성형하는 복수개의 압찹롤러로 구성된 배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설치판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상측에는 제1롤러가 구비된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롤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이송밸트와, 상기 제1롤러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밸트는 복수개의 선별공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설치판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상측에는 제2롤러가 구비된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롤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2이송밸트와, 상기 제2롤러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찹롤러는 상기 제2이송밸트의 길이 방향 상, 하단에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해양에 부유하거나 침적된 해양폐기물을 용이하게 수거하여 해양의 환경 오염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둘째, 수거된 해양폐기물을 부피나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고, 수거된 해양폐기물 중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을 반용융시켜 블럭 형상으로 만듬으로써, 해양폐기물의 운반과 보관을 용이하게 이루며 해양폐기물의 수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수거가 이루어진 해양폐기물의 보관과 운반을 용이하게 이룸으로써, 수거된 해양폐기물로 인하여 2차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해양폐기물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오염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조업어장과 같은 어업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해양폐기물 중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을 선별하여 블럭 형태로 보관 및 운반을 이룸으로써, 해양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플라스틱의 재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해양폐기물 수거기가 바지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발명인 해양폐기물 수거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폐기물 수거기의 수거장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폐기물 수거기의 용융장치와 배출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해양에서 이동을 이루는 바지선(1)의 상부에 설치되는 설치판(10)과,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양폐기물(2)을 수거하는 크레인(20)과, 상기 크레인(20)과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크레인(20)을 통하여 수거된 해양폐기물(2)을 포집하는 제1호퍼(31)와, 상기 제1호퍼(31)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1호퍼(31)를 통하여 배출되는 해양폐기물(2)을 설치판(1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이송이 이루어지는 해양폐기물(2)을 크기에 따라 분리하여 해수(3)와 함께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1이송부(32)와, 상기 제1이송부(32)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1이송부(32)를 통하여 배출되는 해양폐기물(2)과 해수(3)를 수거하는 제2호퍼(33)와, 상기 제2호퍼(33)의 하단에 설치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기 제2호퍼(33)를 통하여 배출되는 해양폐기물(2)과 해수(3)를 수거하고, 수거된 해수(3)를 하단에 구비된 복수개의 배출공(34a)으로 배출시키는 수용함(34)으로 구성된 수거장치(30)와, 상기 수거장치(30)와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부(32)와 인접한 위치에 투입공(41a)이 형성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41)과, 상기 투입공(41a)과 인접하게 하우징(41)의 내측에 설치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기 제1이송부(32)를 통하여 이송되는 해양폐기물(2) 중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이 내측으로 수거되는 가열함(42)과, 상기 가열함(42)의 하단에 설치되어 가열함(42)의 하단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부(43)로 구성되어 상기 수거장치(30)를 통하여 이송되는 해양폐기물(2) 중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을 수거하여 반용융시키는 용융장치(40)와, 상기 용융장치(40)와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용융장치(40)를 통하여 가열된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을 상기 수거장치(3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51)와, 상기 제2이송부(51)의 이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부(51)를 통하여 이송되는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을 압착 성형하는 복수개의 압찹롤러(52)로 구성된 배출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치판(10)은 바지선(1)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크레인(20), 수거장치(30), 용융장치(40), 배출장치(50)가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바지선(1)의 상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크레인(20)은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양에 부유하거나 침수되어 있는 각종 해양폐기물(2)을 수거장치(30)의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크레인(20)의 구성은 종래의 크레인과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수거장치(3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20)과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거장치(30)는 제1호퍼(31)의 내측으로 상기 크레인(20)을 통하여 수거된 해양폐기물(2)이 수집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호퍼(31)로 수집되는 해양폐기물(2)은 제1호퍼(31)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이송부(32)로 전달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이송부(32)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호퍼(31)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1호퍼(31)의 하부로 배출되는 해양폐기물(2)을 상기 크레인(20)과 대향되는 바지선(1)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구성되는 것이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이송부(32)는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상측에는 제1롤러(32a-1)가 구비된 제1지지프레임(32a)과, 상기 제1롤러(32a-1)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이송밸트(32b)와, 상기 제1롤러(32a-1)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제1롤러(32a-1)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32c)와, 상기 제1모터(32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제어기(32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호퍼(31)의 하단으로 배출되는 해양폐기물(2)이 상기 제1이송밸트(32b)의 상부로 놓이게 되면, 작업자가 상기 제1제어기(32d)를 작동시켜 제1모터(32c)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이송밸트(32b)의 길이 방향 양단에 구비된 제1롤러(32a-1)가 회전을 이루며 제1이송밸트(32b)가 이동되게 조절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프레임(32a)을 통하여 바지선(1)의 상부에 설치된 제1이송밸트(32b)의 설치 방향을 따라 제1호퍼(31)의 하단으로 배출되는 해양폐기물(2)이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이송벨트(32b)는 도 3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선별공(32b-1)이 형성되어 제1이송밸트(32b)의 상부에서 이동을 이루는 해양폐기물(2) 중 상기 선별공(32b-1) 보다 작은 크기를 이루는 해양폐기물(2)과 해수(3)가 제1이송밸트(32b)의 하단으로 배출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롤러(32a-1)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이송밸트(32b)가 제1제어기(32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모터(32c)의 작동에 따라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제1이송밸트(32b)가 진동하며 이동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선별공(32b-1)으로 크기가 작은 해양폐기물(2)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호퍼(33)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이송부(32)의 하단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제1이송밸트(32b)의 선별공(32b-1)으로 떨어지는 해양폐기물(2)을 포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함(34)은 상기 제2호퍼(33)를 통하여 수거된 해양폐기물(2)이 내측 수용공간에 위치되어 보관되도록 구성되고, 하단에 구비된 복수개의 배출공(34a)으로는 해양폐기물(2)과, 상기 해양폐기물(2)과 함께 수용되는 해수(3)가 해양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1이송부(32)를 통하여 이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제1이송밸트(32b)의 상부에 놓이며 이송되는 각종 해양폐기물(2)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며 분리하는 작업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제1이송밸트(32b)의 하부로 크기가 작은 해양폐기물(2)이 떨어져 상기 수용함(34)에 별도 보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크기가 작아 식별이 어려운 각종 해양폐기물(2)을 상기 수용함(34)에 별도 보관하며 작업자가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해양폐기물(2)의 선별 과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융장치(40)는 도 1, 도 2,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거장치(30)와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거장치(30)는 상기 제1이송부(32)를 통하여 이송되는 해양폐기물(2)이 하우징(41)의 투입구(41a)를 통하여 하우징(41)의 내측에 수용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하우징(41)의 내측에 위치된 가열함(42)의 내측으로 해양폐기물(2)이 수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함(42)의 내측으로 해양폐기물(2)이 수거된 경우에는 가열함(42)의 하단에 위치된 가열부(43)를 작업자가 조절하여 가열함(42)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가열함(42)의 내측에 위치된 해양폐기물(2)로 열이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과정은, 상기 수거장치(30)의 제1이송부(32)를 통하여 해양폐기물(2)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목재, 철제와 같은 해양폐기물을 분리한 후,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만이 상기 가열함(42)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가열함(42)의 내측으로 수용된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이 상기 가열부(43)의 작동에 따라 가열함(42)의 내측에서 반용융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장치(50)는 상기 용융장치(40)와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함(42)의 내측에서 반용융이 이루어진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을 상기 용융장치(40)와 대향 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융장치(40)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2이송부(5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부(51)는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상측에는 제2롤러(51a-1)가 구비된 제2지지프레임(51a)과, 상기 제2롤러(51a-1)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2이송밸트(51b)와, 상기 제2롤러(51a-1)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제2롤러(51a-1)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51c)와, 상기 제2모터(51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제어기(5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용융장치(40)를 통하여 반용융상태가 이루어진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이 상기 제2이송밸트(51b)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제2이송밸트(51b)의 길이 방향 양단에 구비된 제2롤러(51a-1)가 회전을 이루도록 제2롤러(51a-1)와 연결된 제2모터(51c)를 상기 제2제어기(51d)로 작동시키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2이송밸트(51b)의 상부에 위치된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이 상기 용융장치(40)와 대향 되는 방향으로 이송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용융장치(40)를 통하여 반용융상태를 이룬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이 상기 제2이송밸트(51b)의 상부에서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압착롤러(52)가 제2이송밸트(51b)의 길이 방향 상, 하단에 마주보게 설치되어 제2이송밸트(51b)의 상부에서 이동을 이루는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을 압착하며 해양폐기물(2)의 이송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용융장치(40)를 통하여 반용융상태를 이루는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을 상기 제2이송밸트(51b)로 이송하며 압착롤러(52)로 압착 성형함으로써,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을 분리하며 바지선(1)의 상부에 편리하게 적층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압착롤러(52)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터(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모터(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의 작동을 통하여 압착롤러(52)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바지선 2: 해양폐기물
3: 해수 10: 설치판
20: 크레인 30: 수거장치
31: 제1호퍼 32: 제1이송부
32a: 제1지지프레임 32a-1: 제1롤러
32b: 제1이송밸트 32b-1: 선별공
32c: 제1모터 32d: 제1제어기
33: 제2호퍼 34: 수용함
34a: 배출공 40: 융융장치
41: 하우징 41a: 투입공
42: 가열함 43: 가열부
50: 배출장치 51: 제2이송부
51a: 제2지지프레임 51a-1: 제2롤러
51b: 제2이송밸트 51c: 제2모터
51d: 제2제어기 52: 압착롤러

Claims (3)

  1. 해양에서 이동을 이루는 바지선(1)의 상부에 설치되는 설치판(10)과,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양폐기물(2)을 수거하는 크레인(20)과,
    상기 크레인(20)과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크레인(20)을 통하여 수거된 해양폐기물(2)을 포집하는 제1호퍼(31)와, 상기 제1호퍼(31)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1호퍼(31)를 통하여 배출되는 해양폐기물(2)을 설치판(1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이송이 이루어지는 해양폐기물(2)을 크기에 따라 분리하여 해수(3)와 함께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1이송부(32)와, 상기 제1이송부(32)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1이송부(32)를 통하여 배출되는 해양폐기물(2)과 해수(3)를 수거하는 제2호퍼(33)와, 상기 제2호퍼(33)의 하단에 설치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기 제2호퍼(33)를 통하여 배출되는 해양폐기물(2)과 해수(3)를 수거하고, 수거된 해수(3)를 하단에 구비된 복수개의 배출공(34a)으로 배출시키는 수용함(34)으로 구성된 수거장치(30)와,
    상기 수거장치(30)와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부(32)와 인접한 위치에 투입공(41a)이 형성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41)과, 상기 투입공(41a)과 인접하게 하우징(41)의 내측에 설치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기 제1이송부(32)를 통하여 이송되는 해양폐기물(2) 중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이 내측으로 수거되는 가열함(42)과, 상기 가열함(42)의 하단에 설치되어 가열함(42)의 하단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부(43)로 구성되어 상기 수거장치(30)를 통하여 이송되는 해양폐기물(2) 중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을 수거하여 반용융시키는 용융장치(40)와,
    상기 용융장치(40)와 인접하게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용융장치(40)를 통하여 가열된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을 상기 수거장치(3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51)와, 상기 제2이송부(51)의 이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부(51)를 통하여 이송되는 플라스틱재의 해양폐기물(2)을 압착 성형하는 복수개의 압찹롤러(52)로 구성된 배출장치(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이송부(32)는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상측에는 제1롤러(32a-1)가 구비된 제1지지프레임(32a)과,
    상기 제1롤러(32a-1)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이송밸트(32b)와,
    상기 제1롤러(32a-1)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제1롤러(32a-1)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32c)와,
    상기 제1모터(32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제어기(32d)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밸트(32b)는 복수개의 선별공(32b-1)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이송부(51)는
    상기 설치판(10)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상측에는 제2롤러(51a-1)가 구비된 제2지지프레임(51a)과,
    상기 제2롤러(51a-1)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2이송밸트(51b)와,
    상기 제2롤러(51a-1)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제2롤러(51a-1)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51c)와,
    상기 제2모터(51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제어기(51d)를 포함하고,
    상기 압찹롤러(52)는 상기 제2이송밸트(51b)의 길이 방향 상, 하단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폐기물 수거기.
  2. 삭제
  3. 삭제
KR1020200061228A 2020-05-21 2020-05-21 해양폐기물 수거기 KR102191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28A KR102191116B1 (ko) 2020-05-21 2020-05-21 해양폐기물 수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28A KR102191116B1 (ko) 2020-05-21 2020-05-21 해양폐기물 수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116B1 true KR102191116B1 (ko) 2020-12-16

Family

ID=7404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228A KR102191116B1 (ko) 2020-05-21 2020-05-21 해양폐기물 수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1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400B1 (ko) 2022-03-16 2022-09-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장착용 분쇄기일체형 괭생이모자반 수거장치
KR102630694B1 (ko) 2023-08-03 2024-01-30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231B1 (ko) * 2001-07-23 2003-12-18 안상길 농산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KR100481168B1 (ko) 2002-11-12 2005-04-07 한국해양연구원 잔여폐기물수거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선
KR101235835B1 (ko) * 2012-04-24 2013-02-21 (주)신원이앤씨 부유 쓰레기 수거 처리용 선박
KR20160036820A (ko) * 2014-09-26 2016-04-05 안진훈 이동식 재활용 수집장치
KR20200024402A (ko) * 2018-08-28 2020-03-09 김형주 해양쓰레기 수거 및 고형연료제조 선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231B1 (ko) * 2001-07-23 2003-12-18 안상길 농산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KR100481168B1 (ko) 2002-11-12 2005-04-07 한국해양연구원 잔여폐기물수거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선
KR101235835B1 (ko) * 2012-04-24 2013-02-21 (주)신원이앤씨 부유 쓰레기 수거 처리용 선박
KR20160036820A (ko) * 2014-09-26 2016-04-05 안진훈 이동식 재활용 수집장치
KR20200024402A (ko) * 2018-08-28 2020-03-09 김형주 해양쓰레기 수거 및 고형연료제조 선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400B1 (ko) 2022-03-16 2022-09-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장착용 분쇄기일체형 괭생이모자반 수거장치
KR102630694B1 (ko) 2023-08-03 2024-01-30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116B1 (ko) 해양폐기물 수거기
CN201865088U (zh) 一种水上垃圾收集与分类船
CN210391498U (zh) 一种水面垃圾清理船
CN208699014U (zh) 一种高效多功能综合清污船
CN110397011B (zh) 一种河道垃圾清理用打捞搅碎机
CN206464327U (zh) 一种餐厨垃圾接料预处理设备
CN203140134U (zh) 废渣水洗设备
CN213036044U (zh) 一种水面垃圾清理装置
US5148758A (en) Floating recycling and transfer station
CN105206892B (zh) 一种废旧铅酸电池拆解铅塑分离方法及装置
CN210876733U (zh) 一种环卫垃圾分类处理系统
CN211139403U (zh) 一种智能化建筑施工用废料运输装置
CN200974307Y (zh) 从废塑料中回收可再生塑料的装置
CN212045497U (zh) 一种全自动塑料粒子分选机
CN201143511Y (zh) 漂浮物处理回收装置
CN115594531B (zh) 一种厨余垃圾分类堆肥处理装置
CN110561649A (zh) 垃圾处理回收系统
CN115367063A (zh) 一种垃圾收集分类船
CN212493972U (zh) 可控氧化壳层高活性超细球形铝粉分选设备
CN209918546U (zh) 一种高处理效率餐厨垃圾处理系统
CN113002714A (zh) 一种水面垃圾清理船及垃圾清理方法
KR102370601B1 (ko) 자동 수거 기능을 갖는 미강 추출장치
RU2000130971A (ru) Способ сортировки и пере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и комплекс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9810903U (zh) 一种废纸再生过程中的粗渣破碎装置系统
JP2819070B2 (ja) 混合廃棄物の分離回収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