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400B1 - 선박장착용 분쇄기일체형 괭생이모자반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장착용 분쇄기일체형 괭생이모자반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400B1
KR102442400B1 KR1020220032545A KR20220032545A KR102442400B1 KR 102442400 B1 KR102442400 B1 KR 102442400B1 KR 1020220032545 A KR1020220032545 A KR 1020220032545A KR 20220032545 A KR20220032545 A KR 20220032545A KR 102442400 B1 KR102442400 B1 KR 102442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ip
pair
hoesaeng
mo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훈
안긴내
정선희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32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장착용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 장착되어, 해상의 괭생이 모자반을 흡입하여 분쇄하고 분쇄된 괭생이 모자반은 선상에 적재하기 위한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로서, 해상의 괭생이 모자반을 흡입하여 분쇄하기 위한 수거부(200); 분쇄된 괭생이 모자반을 선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300); 상기 수거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00); 및 상기 지지부(400)를 선박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장착용 분쇄기일체형 괭생이모자반 수거장치{Collecting Apparatus of Sargassum Horneri}
본 발명은 선박 장착용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의 괭생이 모자반을 흡입, 분쇄 및 이송하기 위한 장비들이 선박의 양현에 각각 장착되어 괭생이 모자반을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선박 장착용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괭생이 모자반은 모자반과의 갈조류이며, 길이는 3~5m의 질기고 긴 줄기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에서 다량으로 발생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밀려들고 있으며, 2015년도 괭생이 모자반의 총 수거량은 1만 2천톤(ton)으로 국민안전처에서 재난선포를 하고, 수거기관이 타 지사 지원을 필요로 하는 등 수거비용만 8억원에 이를 정도로 괭생이 모자반의 양이 급증하였다.
이후 매년 꾸준히 대륙 연안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대규모 띠 형태로 이동하는 괭생이 모자반은 연안 경관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선박 스크류에 감겨 조업과 항해에 지장을 주고, 어장 및 양식장 그물에 달라붙어 시설물 파손과 양식생물의 폐사를 유발하는 등 막대한 재산적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피해가 집중되는 제주지역 해상에서는 청항선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 등을 이용하여 괭생이 모자반을 수거하고 있으나, 현재 수거 가능한 청항선이 2척(온바당호, 온바르호)에 불과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영역에서 대량의 괭생이 모자반을 수거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고, 청항선의 추가 건조를 위해서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긴 시간이 소요되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또한 대형선박이나 컨베이어벨트,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 사용에 따른 고가의 유류비도 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괭생이 모자반을 육상에서 수거하는 경우에는, 죽은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부패속도가 높고 특유의 끈적한 성분으로 인해 바위나 방파제 등에 끼이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인력으로 수거해야하기 때문에 수거시 안전상 매우 위험하며 수거효율 또한 좋지 못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정바다 지킴이’가 상시수거를 진행하고 있으며 수거량이 많을 경우 공공근로 및 일시사역 인부도 동원하는 등 막대한 인력 및 예산이 매년 투입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용대비 저효율적인 방법을 대체하기 위해, 괭생이 모자반을 해상에서 수거할 수 있는 수거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65388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19111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0133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4192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괭생이 모자반이 살아 있는 상태에서 수거함으로써 사체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하고, 또 수거 시 따르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 장착용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해상의 괭생이 모자반을 수거함에 있어 선박에 장착하기 용이하고 나아가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선박 장착용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는, 선박에 장착되어, 해상의 괭생이 모자반을 흡입하여 분쇄하고 분쇄된 괭생이 모자반은 선상에 적재하기 위한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로서, 해상의 괭생이 모자반을 흡입하여 분쇄하기 위한 수거부(200); 분쇄된 괭생이 모자반을 선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300); 상기 수거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00); 및 상기 지지부(400)를 선박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상기 수거부(2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덕트(210); 상기 덕트(210) 전방에 위치하는 바디커버(220); 상기 바디커버(220) 전방에 위치하여 괭생이 모자반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231)가 마련된 흡입부(230); 상기 덕트(210) 후방에 장착되어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크류(240); 상기 덕트(210)와 스크류(240) 사이에 위치하여 스크류(240)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250); 상기 바디커버(22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흡입된 괭생이 모자반을 분쇄하기 위한 제1 분쇄부(260); 및 상기 바디커버(22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흡입된 괭생이 모자반을 분쇄하기 위한 제2 분쇄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상기 제1 분쇄부(260)는, 스크류 타입의 제1 커터(261), 상기 제1 커터(261)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262), 상기 제1 구동부(262)를 고정하기 위한 제1 브라켓(263), 및 상기 제1 구동부(262)를 감싸는 제1 방수커버(26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쇄부(270)는, 스크류 타입의 제2 커터(271), 상기 제2 커터(271)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272), 상기 제2 구동부(272)를 고정하기 위한 제2 브라켓(273), 및 상기 제2 구동부(272)를 감싸는 제2 방수커버(2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상기 제1 구동부(262), 제1 브라켓(263), 제1 방수커버(264), 제2 구동부(272), 제2 브라켓(273), 및 제2 방수커버(274)는 상기 바디커버(220) 측면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상기 흡입부(230)는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상기 바디커버(22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판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평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거부(200)가 상기 지지부(4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면판 외측면 각각에는 측면판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한 쌍씩의 제1 측면플레이트(281)와 제2 측면플레이트(28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상기 수거부(200)는 선박의 양현에 하나씩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500)는 선박의 양현 난간에 소정 간격 이격된 채 탈부착 가능하게 2개씩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플레이트(281)와 연결되는 제1 지지부(410),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플레이트(282)와 연결되는 제2 지지부(420), 상기 제1 지지부(410)를 어느 하나의 고정부(500)와 연결하기 위한 제1 파이프(430), 및 상기 제2 지지부(420)를 다른 하나의 고정부(500)와 연결하기 위한 제2 파이프(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상기 제1 지지부(410)는, 서로 마주보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수직 플레이트(411),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플레이트(281)와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플레이트(411)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된 제1 수평바(4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410) 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420)는, 서로 마주보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수직 플레이트(421),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플레이트(282)와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플레이트(421)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된 제2 수평바(4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상기 흡입부(230)의 유입구(231)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플레이트(421)에는 장공(4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상기 고정부(500)는, 선박 난간 외측면에 밀착하며 상부에는 지지부(400)의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U’자형 절개홈이 형성된 제1 수직 부재(510), 선박 난간 내측면에 밀착하며 상부에는 지지부(400)의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U’자형 절개홈이 형성된 제2 수직 부재(520), 상기 제1 수직 부재(510)와 제2 수직 부재(520)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측면부재(530), 및 안착된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수직 부재(510) 상부와 제2 수직 부재(520) 상부 각각에 장착된 한 쌍의 클램프(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상기 클램프(550)는 상기 제1 수직 부재(510) 및 제2 수직 부재(520)와 힌지 결합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상기 고정부(500)가 선박 난간 상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 부재(510)와 제2 수직 부재(520)를 연결하는 수평부재(5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를 사용하여 괭생이 모자반을 수거하는 방법으로서, 선박 양현에 한 개씩의 수거부를 위치시키고, 지지부와 고정부를 사용하여 수거부를 선박에 고정시키는 단계; 괭생이 모자반을 흡입부로 유입시키는 단계; 괭생이 모자반을 분쇄하는 단계; 및 분쇄된 괭생이 모자반을 선박의 선상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장착용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 의하면, 선박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또 선박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해상의 괭생이 모자반을 안정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 의하면, 해상의 괭생이 모자반을 흡입, 분쇄 및 이송하기 위한 장비들이 선박의 양현에 각각 장착되어 있어 해상의 괭생이 모자반을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선박 장착용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 의하면, 부패하기 전에 해상에서 바로 수거하기 때문에 퇴비 등 자원화로 활용이 가능하고 또 분쇄부에 의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채 수거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부피 감소와 이에 따른 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가 장착된 선박의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가 장착된 선박의 타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확대도를 타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수거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수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고정부를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고정부를 타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장착용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가 장착된 선박의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가 장착된 선박의 타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는 선박에 장착되어, 해상에 있는 괭생이 모자반을 흡입한 후 소정 크기로 잘게 분쇄하고, 분쇄된 괭생이 모자반은 선상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선박(100) 양현에 한 개씩의 수거부(200)가 위치하며, 각각의 수거부(200)에는 하나의 이송관(300)과 지지부(400)가 연결되어 있고, 또 지지부(400)는 고정부(500)에 의해 선박(100)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지지부(400)의 일측은 선박(100)을 가로 지르도록 배치된 하나의 제1 파이프(430)와 2개의 고정부(500)에 의해 두 개의 지지부(400)가 서로 연결되면서 선박(100)에 고정되는데 반면, 각 지지부(400)의 타측은 2개의 제2 파이프(440)와 2개의 고정부(500)에 선박(100)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선박(100)의 양현에 각각 위치하는 수거부(200), 이송관(300), 지지부(400), 및 고정부(500)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좌현(도면에서 왼쪽편)에 위치하는 수거부(200), 이송관(300), 지지부(400) 및 고정부(5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확대도를 타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수거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수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는 해상의 괭생이 모자반을 흡입하여 분쇄하기 위한 수거부(200), 분쇄된 괭생이 모자반을 선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300), 수거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00), 및 지지부(400)를 선박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수거부(200)는 덕트(210), 바디커버(220), 흡입부(230), 스크류(240), 모터(250), 제1 분쇄부(260), 제2 분쇄부(270), 및 측면 플레이트(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덕트(210)는 흡입된 후 분쇄된 괭생이 모자반이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다. 덕트(210) 전방에 위치하는 바디커버(22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판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평판으로 이루어져 내부가 비어 있는 장방형 모양이다.
바디커버(220) 전방에 위치하는 흡입부(230)는 해상의 괭생이 모자반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231)를 제외한 측면들은 모두 밀폐되어 있다.
여기서, 흡입부(230)는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괭생이 모자반이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덕트(210) 후방에 장착된 스크류(240)는 전술한 흡입부(230)로 괭생이 모자반이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며, 덕트(210)와 스크류(240) 사이에 위치하는 모터(250)에 의해 스크류(240)를 구동된다. 물론 이들 스크류(240)와 모터(250)는 덕트(210) 후방과 연결되어 있는 배출관(290)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분쇄부(260)와 제2 분쇄부(270)는 바디커버(22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흡입부(230)로 유입된 괭생이 모자반을 소정 크기로 절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분쇄부(260)는 바디커버(220) 내측 하부를 가로 지르는 형상으로 위치하는 스크류 타입의 제1 커터(261), 제1 커터(261)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262), 제1 구동부(262)를 바디커버(220)에 고정하기 위한 제1 브라켓(263), 그리고 제1 구동부(262)를 감싸는 제1 방수커버(2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분쇄부(270)는 바디커버(220) 내측 상부를 가로 지르는 형상으로 위치하는 스크류 타입의 제2 커터(271), 제2 커터(271)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272), 제2 구동부(272)를 바디커버(220)에 고정하기 위한 제2 브라켓(273), 그리고 제2 구동부(272)를 감싸는 제2 방수커버(2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괭생이 모자반을 유입 및 절단할 시에는, 괭생이 모자반 외에도 밧줄 등 각종 쓰레기가 함께 유입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스크류 타입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터를 사용함으로써, 괭생이 모자반을 포함한 각종 쓰레기들을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분쇄부(260)를 구성하는 제1 구동부(262), 제1 브라켓(263) 및 제1 방수커버(264), 그리고 제2 분쇄부(270)를 구성하는 제2 구동부(272), 제2 브라켓(273) 및 제2 방수커버(274)는 장착이나 보수가 용이하도록 바디커버(220) 측면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구동부(262), 제1 브라켓(263) 및 제1 방수커버(264)와 제2 구동부(272), 제2 브라켓(273) 및 제2 방수커버(274)는 바디커버(220) 서로 마주 보는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제1 구동부(262)와 제2 구동부(272)는 스크류 타입의 커터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일예로 유압모터 일 수 있으며 회전 속도 조절과 제어를 위한 감속기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제1 방수커버(264)와 제2 방수커버(274)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부품들, 예를 들어 제1 구동부(262)와 제2 구동부(272)가 해수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측면 플레이트(280)는 수거부(200)를 지지부(400)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바디커버(220)의 측면판에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장방형 플레이트 형상인 제1 측면플레이트(281)와 제2 측면플레이트(282)는 수거부(2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판 외측면 각각에 측면판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수거부(200)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고 또 지지부(400)와의 연결이 편리하도록, 제1 측면플레이트(281)는 흡입부(230)에 인접하여 위치한 채 상측 단부는 바디커버(220)의 수평판 위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제2 측면플레이트(282)는 덕트(210)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마찬가지로 상측 단부는 바디커버(220)의 수평판 위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이송관(300)은 분쇄된 괭생이 모자반을 선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은 배출관(290)과 연결되며 타측은 선상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유연성을 갖는 호스일 수 있다.
다음은 지지부(4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부(400)는 수거부(200)를 고정부(500)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측은 수거부(200)와 연결되고 타측은 고정부(500)와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400)는 서로 마주 보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측면플레이트(281)와 연결되는 제1 지지부(410), 서로 마주 보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측면플레이트(282)와 연결되는 제2 지지부(420), 제1 지지부(410)를 어느 하나의 고정부(500)와 연결하기 위한 제1 파이프(430), 및 제2 지지부(420)를 다른 하나의 고정부(500)와 연결하기 위한 제2 파이프(440)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지지부(410)는 한 쌍의 제1 수직 플레이트(411), 제1 수평바(412), 및 제1 보조바(413)로 이루어진다. 서로 마주보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수직 플레이트(411) 하측 단부는 제1 측면플레이트(281)와 중첩되도록 위치하며, 제1 수평바(412)는 이들 한 쌍의 제1 측면플레이트(281)와 한 쌍의 제1 수직 플레이트(411)를 관통하는 힌지 구조로 체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보조바(413)는 한 쌍의 제1 수직 플레이트(411)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감을 부여한다.
제2 지지부(420)는 제1 지지부(410) 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며, 한 쌍의 제2 수직 플레이트(421), 제2 수평바(422) 및 하나 이상의 제2 보조바(4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로 마주보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수직 플레이트(421) 하측 단부는 제2 측면플레이트(282)와 중첩되도록 위치하며, 제2 수평바(422)는 이들 한 쌍의 제2 측면플레이트(282)와 한 쌍의 제1 수직 플레이트(421)를 관통하는 구조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2 수직 플레이트(421)에는 흡입부(230)의 유입구(231)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421′)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즉, 제2 수평바(422)를 통해 한 쌍의 제2 측면플레이트(282)와 한 쌍의 제1 수직 플레이트(421)를 고정할 시, 장공(421′)을 따라 체결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해수면과 흡입부(230)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괭생이 모자반의 위치에 대응하여 흡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파이프(430)의 일측은 한 쌍의 제1 수직 플레이트(411) 상단부를 관통하도록 위치하고 타측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나머지 하나의 수거부(200)와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수직 플레이트(411) 상단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물론 이러한 제1 파이프(430)는 서로 마주보는 선박(100) 난간(110)에 고정된 2개의 고정부(500)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된다.
제2 파이프(440)의 일측은 한 쌍의 제2 수직 플레이트(421) 상단부를 관통하도록 위치하고 타측은 인근하여 위치하는 고정부(500)와 연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고정부를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 일체형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에서 고정부를 타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고정부(500)는 제1 수직 부재(510), 제2 수직 부재(520), 측면부재(530), 수평부재(540), 및 클램프(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수직 부재(510)는 선박 난간 외측면에 밀착하며 상부에는 지지부(400)의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대략 ‘U’자형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수직 부재(520)는 제1 수직 부재(5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선박 난간 내측면에 밀착하고 상부에는 지지부(400)의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대략 ‘U’자형 절개홈이 구비되어 있다.
측면부재(530)는 전술한 제1 수직 부재(510)와 제2 수직 부재(520)를 서로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수직 부재(510)와 제2 수직 부재(520) 수직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복수개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부재(540)는 제1 수직 부재(510)와 제2 수직 부재(520) 내측면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데, 이는 고정부(500)가 선박 난간 상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 쌍의 클램프(550)는 제1 수직 부재(510) 상부와 제2 수직 부재(520) 상부, 보다 상세하게는 ‘U’자형 절개홈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클램프(550)를 통해 ‘U’자형 절개홈에 파이프를 안착시키거나 안착된 파이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선박이 이동시에는 수거부(200), 이송관(300) 및 지지부(400)를 분리하여 선박에 적재할 수 있어 장비의 분실이나 이동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클램프(550)는 제1 수직 부재(510)와 제2 수직 부재(520)에 대해 힌지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클램프(550) 저부에는 파이프의 외형 일부에 대응되도록 만입부(552)가 마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수직 부재(510)의 한 쌍의 제1 체결홀(511), 제2 수직 부재(520)의 한 쌍의 제2 체결홀(521), 그리고 클램프(540)의 관통홀(551)은 힌지 결합을 위한 볼트가 체결된다.
그리고 제1 수직 부재(510) 내측으로 연장된 제1 보조 부재(512)와 제2 수직 부재(520) 내측으로 연장된 제2 보조 부재(522)는 선박 난간의 절곡부 등에 밀착됨으로써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를 사용하여 괭생이 모자반을 수거하는 방법은, 선박 양현에 한 개씩의 수거부를 위치시키고, 지지부와 고정부를 사용하여 수거부를 선박에 고정시키는 단계, 괭생이 모자반을 흡입부로 유입시키는 단계, 괭생이 모자반을 분쇄하는 단계, 및 분쇄된 괭생이 모자반을 선박의 선상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선박
110 : 난간
200 : 수거부
210 : 덕트
220 : 바디커버
230 : 흡입부 231 : 흡입구
240 : 모터
250 : 스크류
260 : 제1 분쇄부
261 : 제1 커터 262 : 제1 구동부
263 : 제1 브라켓 264 : 제1 방수커버
270 : 제2 분쇄부
271 : 제2 커터 272 : 제2 구동부
273 : 제2 브라켓 274 : 제2 방수커버
280 : 측면 플레이트
281 : 제1 측면플레이트 282 : 제2 측면플레이트
290 : 배출관
300 : 이송관
400 : 지지부
410 : 제1 지지부
411 : 제1 수직 플레이트 412 : 제1 수평바
413 : 제1 보조바
420 : 제2 지지부
421 : 제2 수직 플레이트 421′ : 장공
422 : 제2 수평바 423 : 제2 보조바
430 : 제1 파이프
440 : 제2 파이프
500 : 고정부
510 : 제1 수직 부재
511 : 제1 체결홀 512 : 제1 보조 부재
520 : 제2 수직 부재
521 : 제2 체결홀 522 : 제2 보조 부재
530 : 측면부재
540 : 수평부재
550 : 클램프
551 : 관통홀 552 : 만입부

Claims (14)

  1. 선박에 장착되어, 해상의 괭생이 모자반을 흡입하여 분쇄하고 분쇄된 괭생이 모자반은 선상에 적재하기 위한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로서,
    해상의 괭생이 모자반을 흡입하여 분쇄하기 위한 수거부(200);
    분쇄된 괭생이 모자반을 선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300);
    상기 수거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00); 및
    상기 지지부(400)를 선박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수거부(2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덕트(210); 상기 덕트(210) 전방에 위치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판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평판으로 구성된 바디커버(220); 상기 바디커버(220) 전방에 위치하여 괭생이 모자반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231)가 마련된 흡입부(230); 상기 덕트(210) 후방에 장착되어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크류(240); 상기 덕트(210)와 스크류(240) 사이에 위치하여 스크류(240)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250); 상기 바디커버(22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흡입된 괭생이 모자반을 분쇄하기 위한 제1 분쇄부(260); 및 상기 바디커버(22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흡입된 괭생이 모자반을 분쇄하기 위한 제2 분쇄부(270); 및 상기 수거부(200)가 상기 지지부(4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커버(220)의 한 쌍의 측면판 외측면 각각에 측면판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한 쌍씩의 제1 측면플레이트(281)와 제2 측면플레이트(282)를 포함하는 측면 플레이트(28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400)는, 서로 마주보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수직 플레이트(411),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플레이트(281)와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플레이트(411)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플레이트(281)와 연결되는 제1 수평바(412)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410); 서로 마주보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수직 플레이트(421),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플레이트(282)와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플레이트(421)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플레이트(282)와 연결되는 제2 수평바(42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부(410) 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420); 상기 제1 지지부(410)를 어느 하나의 고정부(500)와 연결하기 위한 제1 파이프(430); 및 상기 제2 지지부(420)를 다른 하나의 고정부(500)와 연결하기 위한 제2 파이프(440)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부(230)의 유입구(231)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 플레이트(421)에는 장공(4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500)는, 선박 난간 외측면에 밀착하며 상부에는 지지부(400)의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U’자형 절개홈이 형성된 제1 수직 부재(510); 선박 난간 내측면에 밀착하며 상부에는 지지부(400)의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U’자형 절개홈이 형성된 제2 수직 부재(520); 상기 제1 수직 부재(510)와 제2 수직 부재(520)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측면부재(530); 및 안착된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수직 부재(510) 상부와 제2 수직 부재(520) 상부 각각에 장착된 한 쌍의 클램프(550);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550)는 상기 제1 수직 부재(510) 및 제2 수직 부재(520)와 힌지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클램프(550) 저부에는 파이프의 외형 일부에 대응되도록 만입부(5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쇄부(260)는, 스크류 타입의 제1 커터(261), 상기 제1 커터(261)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262), 상기 제1 구동부(262)를 고정하기 위한 제1 브라켓(263), 및 상기 제1 구동부(262)를 감싸는 제1 방수커버(26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쇄부(270)는, 스크류 타입의 제2 커터(271), 상기 제2 커터(271)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272), 상기 제2 구동부(272)를 고정하기 위한 제2 브라켓(273), 및 상기 제2 구동부(272)를 감싸는 제2 방수커버(2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262), 제1 브라켓(263), 제1 방수커버(264), 제2 구동부(272), 제2 브라켓(273), 및 제2 방수커버(274)는 상기 바디커버(220) 측면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30)는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200)는 선박의 양현에 하나씩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500)는 선박의 양현 난간에 소정 간격 이격된 채 탈부착 가능하게 2개씩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0)가 선박 난간 상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 부재(510)와 제2 수직 부재(520)를 연결하는 수평부재(5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
  14.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7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를 사용하여 괭생이 모자반을 수거하는 방법으로서,
    선박 양현에 한 개씩의 수거부를 위치시키고, 지지부와 고정부를 사용하여 수거부를 선박에 고정시키는 단계;
    괭생이 모자반을 흡입부로 유입시키는 단계;
    괭생이 모자반을 분쇄하는 단계; 및
    분쇄된 괭생이 모자반을 선박의 선상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괭생이 모자반 수거 방법.
KR1020220032545A 2022-03-16 2022-03-16 선박장착용 분쇄기일체형 괭생이모자반 수거장치 KR102442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545A KR102442400B1 (ko) 2022-03-16 2022-03-16 선박장착용 분쇄기일체형 괭생이모자반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545A KR102442400B1 (ko) 2022-03-16 2022-03-16 선박장착용 분쇄기일체형 괭생이모자반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400B1 true KR102442400B1 (ko) 2022-09-14

Family

ID=8327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545A KR102442400B1 (ko) 2022-03-16 2022-03-16 선박장착용 분쇄기일체형 괭생이모자반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694B1 (ko) 2023-08-03 2024-01-30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724A (ja) * 1993-10-12 1995-04-25 Furukawa Co Ltd 水面浮遊物の回収装置
KR200310956Y1 (ko) * 2003-01-07 2003-04-21 (주)일흥조선 부유물수거파쇄선
KR20040041924A (ko) 2002-11-12 2004-05-20 한국해양연구원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선
KR20160001331A (ko) 2014-06-27 2016-01-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
KR101865388B1 (ko) 2017-08-22 2018-06-07 박재민 해양쓰레기 수거장치
KR20190023154A (ko) * 2017-08-28 2019-03-08 주식회사 라스테크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KR102191116B1 (ko) 2020-05-21 2020-12-16 주식회사 해양 해양폐기물 수거기
KR102351484B1 (ko) * 2021-10-13 2022-01-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용 해양수거장비의 평형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724A (ja) * 1993-10-12 1995-04-25 Furukawa Co Ltd 水面浮遊物の回収装置
KR20040041924A (ko) 2002-11-12 2004-05-20 한국해양연구원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선
KR200310956Y1 (ko) * 2003-01-07 2003-04-21 (주)일흥조선 부유물수거파쇄선
KR20160001331A (ko) 2014-06-27 2016-01-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
KR101865388B1 (ko) 2017-08-22 2018-06-07 박재민 해양쓰레기 수거장치
KR20190023154A (ko) * 2017-08-28 2019-03-08 주식회사 라스테크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KR102191116B1 (ko) 2020-05-21 2020-12-16 주식회사 해양 해양폐기물 수거기
KR102351484B1 (ko) * 2021-10-13 2022-01-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용 해양수거장비의 평형유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694B1 (ko) 2023-08-03 2024-01-30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7815B2 (en) Vessel for cleaning waste in shallow waters
KR101738550B1 (ko) 착탈이 용이한 해양 부유생물 제거장치
KR102442400B1 (ko) 선박장착용 분쇄기일체형 괭생이모자반 수거장치
US3521387A (en) Dredging machine
US9493215B2 (en) Floating debris harvesting system
US20140231326A1 (en) Apparatus for Vacuuming Pollution from a Body of Water
KR102240703B1 (ko) 쓰레기 수거용 태양광 보트
RU2562386C2 (ru) Подви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минера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108438159A (zh) 一种节能高效的河道垃圾回收处理船
KR102463988B1 (ko) 선박 장착용 괭생이모자반 수거장치
CN208412056U (zh) 一种节能高效的河道垃圾回收处理船
CN105052382A (zh) 一种用于水草收割船的水草运输装置
CN104879093B (zh) 钻井配套随钻废弃物收集提升转移装置
US34335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dersea mining
CN215165415U (zh) 一种自驱动海洋漂浮垃圾收集装备
MX2011006876A (es) Sistema de procesamiento de desperdicio.
CN207292332U (zh) 一种新型水面垃圾清理打捞船
CN210675467U (zh) 一种餐厨垃圾处理用送料机构
KR101012750B1 (ko) 준설장치
HU201587B (en) Pump dredger
CN2654503Y (zh) 水面垃圾打捞船
CN215290041U (zh) 一种水葫芦切割打捞收集船
KR102630694B1 (ko) 선박 장착용 괭생이 모자반 수거장치
CN204811006U (zh) 一种用于水草收割船的水草运输装置
KR102240692B1 (ko) 빗물 배출이 용이한 쓰레기 수거용 태양광 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