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301B1 - 당뇨병 치료에 유용한 티오펜 유도체들 - Google Patents

당뇨병 치료에 유용한 티오펜 유도체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301B1
KR102190301B1 KR1020157004512A KR20157004512A KR102190301B1 KR 102190301 B1 KR102190301 B1 KR 102190301B1 KR 1020157004512 A KR1020157004512 A KR 1020157004512A KR 20157004512 A KR20157004512 A KR 20157004512A KR 102190301 B1 KR102190301 B1 KR 102190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thiophen
alkyl
chlorophenyl
ace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8218A (ko
Inventor
프랑크 에프. 르피프르
제르상드 알. 르네
발레리 오띠에
미쉐린 알. 케르고
로렝 알. 파베리엘
크리스틴 제. 샤롱
소피 엔. 레날
안니크 엠. 오데뜨
Original Assignee
메타브레인 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브레인 리서치 filed Critical 메타브레인 리서치
Publication of KR2015003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93/1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five-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2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cromakal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6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24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33/30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 C07D333/34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33/3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33/3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333/40Thiophene-2-carboxyl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at least two hetero atoms with a saccharide radical
    • C07H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at least two hetero atoms with a saccharide radical the hetero ring containing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 C07H9/04Cyclic ac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Ⅰ의 티오펜 유도체 또는 거울상이성질체(enantiomer), 부분입체이성질체(diastereoisomer), 수화물(hydrate), 용매화물(solvate), 호변이성체(tautomer), 라세미 혼합물(racemic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당뇨병, 그것의 합병증 및/또는 관련된 병리학, 유리하게 제2형 당뇨병 및 고혈당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로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당뇨병 치료에 유용한 티오펜 유도체들{USEFUL THIOPHENE DERIVATIVES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본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은 신진대사장애와 관련된 병리학의 치료, 특히 당뇨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티오펜 유도체들에 관한 것이다.
진성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일정 수의 특징들을 공통으로 갖는 모든 질병들의 매우 이질적인 그룹을 나타낸다: 고혈당증, 췌장 베타 세포의 기능 및 정량 이상, 조직 인슐린-내성 및 장기간 합병증, 특히 심혈관 합병증 전개의 증가된 위험도(risk).
제2형 당뇨병(Diabetes of type Ⅱ)은 공중 위생의 주요 문제점이 되고 있다. 그것의 유병률(prevalence)은 대부분의 산업화된 국가뿐만 아니라 심지어 완전히 경제가 성장한 국가에서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오늘날, 이로 인해 신부전, 심근 경색 또는 심혈관 스트로크 그 중에서도 특히 매우 비활성화 또는 심지어 치명적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이러한 질병에 대하여 전염병이라고 일컬을 수 있다.
당뇨병에 대한 몇가지 수치(WHO 데이타):
전세계적으로 2억2천만 이상의 사람들이 당뇨병 환자이다.
진성 당뇨병은 뇌졸중의 위험도를 3으로 증가시킨다.
서구 세계에서 당뇨병은 실명과 신부전의 첫번째 원인이다.
추정에 따르면, 당뇨병은 2005년도에 110만의 사람들을 사망시켰다.
WHO로부터의 계획에 따라, 당뇨병에 의한 사망자의 수는 2005년과 2030년 사이에 두배가 될 것이다.
프랑스에서, 당뇨병의 케어(care)와 치료는 국가 건강 보험의 예산에 큰 부담이다. 지금으로부터 2030년까지 세계 당뇨병 환자의 수의 놀라운 수치를 고려하여, 많은 제약회사 및 생명공학 회사들은, 신진대사의 분야, 특히 제2형 당뇨병의 분야에서 새로운 대체 약품을 시장에 도입하기 위해 R&D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현재 시점에서, 어떠한 제2형 당뇨병의 치료는 24 시간 이상, 2차 효과없이 정상적인 혈당 균형을 재확립할 수가 없다. 그들 중의 어떠한 것도 질병의 완전한 병리를 고려하지 않고, 오직 한가지 또는 다른 결함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에 시장에 출시된 당뇨병 치료제는 기존에 존재하는 치료제로 관찰되는 것보다 혈당 조절성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고, 원치않는 2차 효과를 일으키기도 하여 새로운 잠재적 치료제를 위해 여지를 남겨둔다. 따라서, 당뇨병, 또는 그것의 합병증 및/또는 관련된 병리학, 유리하게 제2형 당뇨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새로운 분자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티오펜 유도체가 글루코오스의 간 생산에 대한 억제 활성, 클루코오스에 대응하는 인슐린 분비에 대한 활성을 갖고, 특히 당뇨병 및 그의 합병증 및/또는 연관된 병리학(비만, 고혈압 등.), 유리하게 제2형 당뇨병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해, 그것들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에게 약제학적 사용을 위한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Ⅰ의 티오펜 유도체들, 또는 그의 거울상이성질체(enantiomer), 부분입체이성질체(diastereoisomer), 수화물(hydrate), 용매화물(solvate), 호변이성체(tautomer), 라세미 혼합물(racemic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01
여기에서:
Y는 아릴기, 유리하게 페닐(Ph), 헤테로아릴기, 유리하게 푸릴, 또는 벤조-1,3-디옥솔기를 나타내며(여기서,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CN; Cl 또는 F로부터 유리하게 선택되는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 유리하게 -OMe(상기 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 유리하게 F, 예를 들면 -OCF3 또는 -OCHF2, 또는 -O(C1-C6 알킬)기, 유리하게 -OMe로 임의로 치환된다.);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 유리하게 F, 예를 들면 -CF3 또는 -O(C1-C6 알킬)기, 유리하게 -OMe, 예를 들면 -CH2OMe 또는 -OH기, 예를 들면 -CH2OH로 치환된 C1-C6 알킬, 유리하게 메틸; -SO2(C1-C6 알킬), 유리하게 -SO2Me; -CONRaRb(여기에서 Ra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 유리하게 메틸을 나타내고, Rb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는 -OH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 치환된다.);아릴기로 임의 치환된 예들은 Ph, 4-F-Ph, 2,3-(F)2-Ph, 2-F-4-Cl-Ph, 4-Cl-Ph, 3,4-(Cl)2-Ph, 3-NC-Ph, 4-NC-Ph, 3-MeO-Ph, 4-MeO-Ph, 2-MeO-3-F-Ph 및 2-OH-3-F-Ph이고;
X는 -SO2기 또는
Figure 112015017691318-pct00002
기, 유리하게
Figure 112015017691318-pct00003
기를 나타내고(여기에서
Figure 112015017691318-pct00004
는 결합을 나타내고, W는 산소원자 또는 -NOR4기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 4 는 수소원자, C1-C6 알킬기 또는 (C1-C6 알킬)아릴기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상기 아릴기는 -CN; Cl 또는 F로부터 유리하게 선택된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 유리하게 -OMe(상기 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 유리하게 F, 또는 -O(C1-C6 알킬)기, 유리하게 -OMe로 임의 치환된다.);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 유리하게 F, 또는 -O(C1-C6 알킬)기, 유리하게 -OMe 또는 OH기로 치환된 C1-C6 알킬; -SO2(C1-C6 알킬); -CONRa'Rb'(여기에서 Ra'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b'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는 -OH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 치환되거나, 또는
Figure 112015017691318-pct00005
가 부재이고, W는 -OH를 나타낸다.);
R 1
- C1-C6 알킬기, 유리하게 메틸 또는 에틸(여기에서, 상기 알킬기는 할로겐 원자, 유리하게 Cl, 예를 들면 -(CH2)2Cl로 임의 치환된다);
- C3-C6 시클로알킬기, 유리하게 시클로프로필 또는 시클로헥실;
- (C1-C6 알킬)O(C1-C6 알킬)기;
- (C1-C6 알킬)NR(C1-C6 알킬)기(여기에서 R은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 유리하게 메틸을 나타낸다.);
- 아릴기, 유리하게 페닐(Ph)(여기에서, 상기 아릴기는 -CN; Cl 또는 F로부터 유리하게 선택된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 유리하게, -OMe(여기에서, 상기 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 유리하게 F, 예를 들면 -OCF3 또는 -OCHF2, 또는 -O(C1-C6 알킬)기, 유리하게 -OMe로 임의 치환된다.); -SO2(C1-C6 알킬), 유리하게 -SO2Me; -CONRa"Rb"(여기에서 Ra "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 유리하게 메틸을 나타내고, 그리고 Rb "는 C1-C6 알킬기, 유리하게 메틸을 나타낸다.); 또는 C1-C6 알킬기, 유리하게 메틸(여기에서, 상기 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 유리하게 F, 예를 들면, -CF3 또는 -O(C1-C6 알킬)기, 유리하게 -OMe, 예를 들면, -CH2OMe 또는 -OH기, 예를 들면 -CH2OH로 임의 치환된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 치환되고; 임의 치환된 아릴기의 예들은, Ph, 2-F-Ph, 3-F-Ph, 4-F-Ph, 2,3-(F)2-Ph, 2,4-(F)2-Ph, 2,5-(F)2-Ph, 3,5-(F)2-Ph, 3-Cl-Ph, 2,4-(Cl)2-Ph, 3,4-(Cl)2-Ph, 4-NC-Ph, 2-MeO-Ph, 4-MeO-Ph, 3-MeO-Ph, 3-F-4-MeO-Ph and 3-Me-4-F-Ph);
- (C1-C6 알킬)아릴기; 유리하게 (C1-C6 알킬) 페닐, 특히 벤질 또는 (CH2)2페닐(여기에서, 상기 알릴기는 -CN; F 또는 Cl, 특히 F로부터 유리하게 선택되는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 유리하게 -OMe; 또는 C1-C6 알킬, 유리하게 메틸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 치환되고; (C1-C6 알킬)아릴기의 임의 치환된 예들은 CH2Ph, CH2-4-F-Ph 및 (CH2)2Ph이다.);
- -NH-아릴기, 유리하게 -NH-페닐(여기에서, 상기 아릴기는 -CN; 할로겐 원자, 유리하게 F 또는 Cl; -O(C1-C6 알킬), 유리하게 -OMe; 또는 C1-C6 알킬, 유리하게 메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 치환되고, -NH-아릴기의 임의 치환된 예들은 NH-4-Br-Ph, NH-3-MeO-Ph 및 NH-4-MeO-Ph이다.);
- NH(C1-C6 알킬)아릴기, 유리하게 NH(C1-C6 알킬)페닐, 특히 -NH(CH2)페닐(여기에서 상기 아릴기는 -CN;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 유리하게 -OMe; 또는 C1-C6 알킬, 유리하게 메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 치환되고, 임의 치환된 -NH(C1-C6 알킬)아릴기의 예들은 -NHCH2-3-MeO-Ph 및 NHCH2-4-MeO-Ph이다.);
- 할로겐 원자, 특히 -Cl(바람직하게 이것은 치환되지 않은)로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기, 유리하게 푸릴, 피리딜 또는 티아졸릴;
- OH기;
- 모르폴린기; 또는
- N-페닐피페라진기;
- NH-NH-CO-아릴기(여기에서 상기 아릴기는 할로겐 원자, 유리하게 Cl 및 -O(C1-C6 알킬)기, 유리하게 -OMe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 치환된다.);
- NH-NH-CO-헤테로아릴기, 유리하게 NH-NH-CO-피리딜
을 나타낸다.
R 2 는 수소 원자; C1-C6 알킬기, 유리하게 메틸기; (C1-C6 알킬)아릴기, 유리하게 (C1-C6 알킬)페닐기, 특히 벤질기; 또는 (C1-C6 알킬)O(C1-C6 알킬)기, 유리하게 a -CH2OCH3기를 나타내고; 유리하게 R 2 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 3
- -COOR5 기(여기에서 R 5 는 수소 원자, C1-C6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및 t-부틸기, 또는 글루코피라노스기를 나타내고);
- -COSR6기(여기에서, R 6 은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 -CONR7R8 기(여기에서 R 7 은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기를 나타내고, 그리고 R 8 은 수소 원자; - OH기로 임의 치환된 C1-C6 알킬기, 유리하게 에틸 또는 메틸, 예를 들면 -(CH2)2OH; - OH기; -O(C1-C6 알킬)기, 유리하게 -O에틸; -NH2기;-(C1-C6 알킬)NR9R10기, 유리하게 -(CH2)2NR9R10기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 9 R 10 모두는 C1-C6 알킬기, 유리하게 메틸 또는 에틸기; -(C1-C6 알킬)COOH기, 유리하게 -CH2COOH; (C1-C6알킬)COO(C1-C6 알킬)기, 유리하게 -CH2COO에틸; 아릴기, 유리하게 페닐(Ph); 또는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고; -CONR7R8기의 예들은 CONH2, CONHEt, CONHOH, CONHOEt, CONHNH2, CONH(CH2)2OH, CONH(CH2)2NMe2, CONH(CH2)2NEt2, CONMeCH2COOH, CONMeCH2COOEt, CONMeOMe, CONHPh and CONH헤테로아릴이다.);
- -CSNR11R12기(여기에서 R 11 R 1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 예를 들면 에틸기를 나타내고, 유리하게 R 11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 12 는 C1-C6 알킬기, 예를 들면 에틸기를 나타낸다.);
- -CN기;
- -C(=NH)NHOH기;
- -CO모르폴린기;
- -CO피롤리딘기;
- -CON-Me-피페라진기;
- -CO구아니딘 또는 -CO구아니딘-BOC기;
- 테트라졸기; 또는
- 옥사디아졸론기;를 나타내고,
단, 하기 일반식 (a) 내지 (z1) 화합물을 제외한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06
Figure 112015017691318-pct00007
문헌들 [1] 내지 [9]에는 항당뇨 활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으나, 일반식(I)(상기 화합물 (a) 내지 (e), (q), (t), (v) 내지 (x) 및 (z1))에 의해 커버되는 11개의 화합물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그것들은 화학식(I)의 생성물로부터 제외하나 당뇨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이들 생성물들의 사용으로부터는 제외되지 않는다.
일반식(I)에 의해 커버되는 구조식을 갖는 16개의 화합물들(상기 화합물 (f) 내지 (p), (r), (s), (u), (y) 및 (z))은 상기 어떠한 치료 활성이 개시되어 있지 않아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그것들은 일반식(I)의 생성물로 제외되나, 특히 당뇨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약물로서 이들 생성물의 사용은 제외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아릴기》는 5 내지 8의 탄소원자를 갖는 방향족을 의미하거나 또는 5 내지 14의 탄소원자를 갖는 접합 방향족환들(fused aromatic rings)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 아릴기들은 모노시클릭 또는 바이시클릭기, 바람직하게는 페닐 또는 나프틸기들일 수 있고, 유리하게 상기 아릴기는 페닐(Ph)기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헤테로아릴기》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들, 예를 들면 황, 질소 또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3 내지 9원자들을 갖는 어떠한 탄화수소 방향족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아릴기는 하나 이상의 접합(fused) 환들을 형성할 수 있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들은 푸릴, 이속사졸, 피리딜, 티아졸릴, 피리미딜, 벤즈이미다졸, 벤조옥사졸, 벤조티아졸기이다. 유리하게, 상기 헤테로아릴기는 푸릴, 피리딜 및 티아졸릴기로부터 선택되고, 유리하게 상기 헤테로아릴기는 푸릴기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할로겐 원자》는 어떠한 할로겐 원자를 의미하고, Cl, Br, I 또는 F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F, Cl 또는 Br로부터 선택되며, 특히 F 또는 Cl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C1-C6 알킬기》는 선형(linear) 또는 분기된(branched), 1 내지 6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어떠한 알킬기, 특히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부틸, n-펜틸, n-헥실기들을 의미한다. 유리하게, 상기 C1-C6 알킬기는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또는 t-부틸기, 특히 메틸 또는 에틸기, 더욱 특히 메틸기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C3-C6 시클로알킬기》는 3 내지 6의 탄소원자들을 포함하는 어떠한 포화 및 탄화수소환을 의미하고, 특히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헥실기를 의미한다. 유리하게, 상기 C3-C6 시클로알킬기는 시클로프로필 또는 시클로헥실기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C1-C6 알킬)아릴기》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어떠한 아릴기를 의미하고,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C1-C6 알킬기를 통한 바운드(bound)를 의미한다. 특히 (C1-C6 알킬)아릴기의 예는 벤질기 또는 -(CH2)2페닐기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비독성이고, 그렇지 않으면 모두 생물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고, 인간 약제학뿐만 아니라 동물 약제학에 허용가능한 약제학 조성물의 제조에 어떻게 유용한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화합물의 염들》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모 화합물(parent compound)의 바람직한 약물학적 활성을 갖는 염을 의미한다. 이러한 염들을 포함한다:
(1)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미네랄 산으로 형성되는 산부가 염들(acid addition salts); 또는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캄포술폰산, 시트르산, 에탄-술폰산, 푸마르산, 글루코헵톤산, 글루콘산, 글루타민산, 글리콜산, 히드록시나프토산, 2-히드록시에탄술폰산, 젖산, 말레산, 말산, 만델산, 메탄술폰산, 뮤콘산, 2-나프탈렌술폰산, 프로피온산, 살리실산, 숙신산, 디벤조일-L-타르타르산, 타르타르산, p-톨루엔술폰산, 트리메틸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되는 산부가염들; 또는
(2) 모 화합물 내에 존재하는 산성 양성자(acid proton)는 메탈이온,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으로 대체되거나; 또는 유기 염기(organic base) 또는 무기 염기(inorganic base)와 조합될 때, 형성되는 염들. 상기 허용가능한 유기 염기들은 디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N-메틸글루카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등을 포함한다. 상기 허용가능한 무기 염기들은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히드록사이드, 포타슘 히드록사이드, 소듐 카보네이트 및 소듐 히드록사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화합물의 용매화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대한 내부 용매 분자를 첨가함으로써 얻어진 어떠한 화합물을 의미하고, 상기 용매화물은 그들의 상호인력(mutual attraction force) 때문에 형성된다. 용매화물은 예를 들면 상기 화합물의 알코올라트(alcoholates)이다. 수화물은, 사용되는 내부 용매가 물인 용매화물이다. 이것은 모노-, 디- 또는 트리- 수화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호변이성체》는 호변이성(tautomerization)라 불리는 가역(reversible) 화학 반응에 의해 호환성이 있는(interconvertible)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구성하기 위한 어떠한 이성질체(isomer)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상기 반응은 이중 결합의 국부화(lcalization)의 변화에 의해 동반되는 수소 원자의 이송(migration)에 의해 일어난다. 호변이성할 수 있는 화합물의 용액에서, 2개의 호변이성체 사이에 평형(equilibrium)이 발생된다. 그런 다음, 호변이성체들 사이의 비율은 용매, 온도 및 pH에 따라 다르다. 그러므로, 토토메리 현상(tautomery)은 작용기에서 다른 작용기로의 변형, 가장 종종 수소 원자 및 π결합(이중 또는 삼중 결합)의 수반되는 대체이다. 공통의 호변이성체들은, 예를 들면 알데히드/케톤들 - 알코올들 또는 더욱 구체적으로 엔올쌍들; 아마이드들 - 이미드산들(imidic acids); 락탐들 - 락팀들; 이민들 - 엔아민들(enamines); 엔아민들 - 엔아민들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로톤의 움직임(movement)이 하나의 환(ring) 내에 열린 구조(open structure)의 변형에 의해 동반될 때, 특히, 그것은 일어나는 사이클-체인 토토메리 현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하게 구체예에서,
Figure 112015017691318-pct00008
는 결합을 나타내고, W는 산소원자 또는 -NOR4기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 4 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또는 에틸기, 또는 (C1-C6 알킬)아릴기, 예를 들면 (C1-C6 알킬)페닐기, 특히 벤질기를 나타내고, 상기 아릴기, 유리하게 페닐은, -CN; Cl 또는 F로부터 유리하게 선택된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 유리하게 -OMe(상기 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 유리하게 F, 또는 -O(C1-C6 알킬)기, 유리하게 -OMe로 임의 치환된다); 할로겐 원자들, 유리하게 F, 또는 -O(C1-C6 알킬)기, 유리하게 -OMe 또는 -OH기로 치환된 C1-C6 알킬; -SO2(C1-C6 알킬); -CONRa'Rb'(여기에서 Ra'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b'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는 -OH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 치환된다. 유리하게
Figure 112015017691318-pct00009
는 결합을 나타내고, 그리고 W는 산소 원자 또는 NOR4 기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R 4 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여전히 더욱 유리하게 W는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구체예에서, Y는 아릴, 유리하게 페닐, 헤테로아릴기, 유리하게 푸릴, 또는 벤조-1,3-디옥솔기를 나타내고(상기 아릴기는 -CN; Cl 또는 F로부터 유리하게 선택된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 유리하게 -OMe; 또는 -OH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 치환된다.); 유리하게 Y는 아릴기, 유리하게 페닐기를 나타낸다(상기 아릴기는 -CN; Cl 또는 F, 특히 Cl로부터 유리하게 선택된 할로겐 원자; 또는 -O(C1-C6 알킬), 유리하게 -OMe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 치환된다.). 유리하게, 상기 페닐 상에서 상기 치환기는 오르토 및/또는 메타 및/또는 파라 위치 내에서 발견된다. 여전히 더욱, 유리하게 Y 는 유리하게 오르토 및/또는 메타 및/또는 파라 위치 내에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 유리하게 Cl 및/또는 F, 특히 Cl을 갖는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여전히 또 다른 유리한 구체예에서, R 1 은 C3-C6 시클로알킬기, 유리하게 시클로프로필 또는 시클로헥실; 아릴기, 유리하게 페닐(상기 아릴기는 -CN; Cl 또는 F로부터 유리하게 선택된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 유리하게 -OMe; 또는 C1-C6 알킬, 유리하게 메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 치환된다.); 헤테로아릴기, 유리하게 푸라닐, 피리딜 또는 티아졸릴(상기 푸라닐기는 할로겐 원자 특히 Cl로 임의 치환된다(바람직하게 상기 푸라닐기는 치환되지 않는다).); 또는 모르폴린기를 나타낸다. 유리하게 R 1 은 페닐기 (Ph)(상기 페닐기는 할로겐 원자, 유리하게 Cl 또는 F, 특히 Cl 및 -O(C1-C6 알킬), 유리하게 -OMe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로 치환되고, 특히 상기 페닐기는 하나 이상의 기들 O(C1-C6 알킬), 유리하게 -OMe로 임의 치환된다.); 또는 푸라닐, 피리딜 또는 티아졸릴기를 나타내고, 상기 푸라닐기는 할로겐 원자 특히 Cl로 임의 치환된다(바람직하게 이것은 치환된지 않음).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R 2 는 수소 원자, C1-C6 알킬기, 유리하게 메틸기, 또는 (C1-C6 알킬)O(C1-C6 알킬)기, 특히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여전히 또 다른 유리한 구체예에서, R 3 은 -CO구아니딘기, -COOR5기(여기에서 R 5 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및 t-부틸기를 나타낸다.); -CONR7R8 기(여기에서 R 7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 8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 OH기, 예를 들면 -(CH2)2OH로 임의 치환된 C1-C6 알킬기, 유리하게 에틸 또는 메틸; -OH기; -O(C1-C6 알킬)기, 유리하게 -O에틸; 또는 -(C1-C6 알킬)NR9R10기(여기에서 R 9 R 10 은 모두 C1-C6 알킬기, 유리하게 메틸 또는 에틸기; 또는 -CO모르폴린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내고; 유리하게, R 3 은 -CONHOH기, -CO구아니딘기 또는 -COOR5기를 나타낸다(여기에서 R 5 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및 t-부틸기를 나타낸다.). 여전히 더욱, 유리하게, R 3 은 -COOR5기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 5 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및 t-부틸기를 나타낸다. 더욱, 유리하게, R 3 은 -COOH 또는 COOEt기, 특히 COOH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히 흥미로운 구체예에서, 상기 티오펜 유도체들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식 1 내지 187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여전히 더욱 흥미로운 구체예에서, 상기 티오펜 유도체들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 5, 6, 10-15, 18, 19, 21, 22, 24-27, 29-33, 35, 39, 40, 43, 44, 46, 48-52, 56, 58-61, 63-65, 67, 68, 70-78, 81, 83, 84, 86, 89, 91, 93, 95, 96, 98, 100, 102, 104, 106, 108-110, 114, 123-125, 127, 128, 130, 133, 136, 137, 139, 140, 142-144, 148, 149, 154, 155, 156-159, 165-167, 175, 176 및 182-187로 번호매겨진 102개의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된다.
여전히 더욱, 유리하게, 이들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 13, 49, 56, 58, 60, 63, 100, 104, 110, 124, 127, 128, 130, 136, 143, 148, 149, 156, 157-159, 167, 175, 176, 184 및 185 화합물들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티오펜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조성물들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에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복용량은 치료 및 관련 질병에 따라 변화한다. 이들 약제학 조성물은 어떠한 적합한 루트, 예를 들면 경구(orally)를 통해서(구강(buccal) 및 설하(sublingua) 루트를 포함), 직장, 비강, 국소(경피 포함), 질(vaginal), 안내(intraocular), 또는 비경구(parenteral)(피하, 근육 또는 정맥) 루트를 통하여 투여하기 위해 채택된다. 유리하게, 상기 약제학 조성물들은 경구 투여를 위해 채택된다. 이들 제형들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로 적합한 활성 성분들을 결합하는 당해 분야의 당업자에 공지된 모든 방법들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경구 형태로 적합한 복용 단위는 정제, 젤라틴 캡슐, 파우더, 과립제 및 구강 용액 또는 수성 또는 비수성용액 내의 현탁액, 식용 또는 푸드 폼(food foams), 또는 유중수(water-in-oil) 또는 수중유(oil-in-water) 액체 에멀젼을 포함한다. 고체 조성물은 정제로서 제조될 때, 상기 주요 활성 성분은, 유리하게 파우더로서 적합한 약제학적 부형제, 예를 들면 젤라틴, 전분, 락토오스,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탈컴, 아라비아 고무 또는 기타와 혼합된다. 고체 조성물은 사카로오스 또는 다른 적합한 물질과 함께 정제를 코팅할 수 있거나 또는 그것들은 추가로 처리되어 그것들은 장기적으로 또는 지연되는 활성을 갖고, 예정된 활성 성분의 양을 계속해서 방출하게 된다.
젤라틴 캡슐의 제조는, 유리하게 파우더로서 활성성분은 희석액과 혼합하고, 그리고 소프트 또는 하드 젤라틴 캡슐, 특히 젤라틴 캡슐 내에 얻어진 혼합물을 부음으로써 얻어진다. 윤활유, 예를 들면 고체 형태의 탈크,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칼슘스테아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젤라틴 캡슐내에 넣기 전에 상기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분해제 또는 용해제, 예를 들면 칼슘카보네이트 또는 소듐카보네이트는 또한 젤라틴 캡슐을 복용한 후에 약의 효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착색제뿐만 아니라 바인더들, 윤활제들 및 적합한 분해제들을 혼합물 내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적합한 바인더들은 전분, 젤라틴, 글루코오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설탕, 옥수수로 만든 감미료, 아카시아(acacia) 또는 소듐알지네이트와 같은 합성 또는 천연 고무, 카르복시메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 등일 수 있다. 이들 복용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윤활제들은 소듐올리에이트, 소듐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소듐벤조에이트, 소듐아세테이트, 소듐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상기 분해제는 전분, 메틸셀룰로오스, 아가(agar), 벤토나이트, 잔탄검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정제들은 예를 들면 파우더혼합물을 제조하고, 과립화 또는 상기 혼합물을 건식 가압(dry pressing)하고, 윤활제 및 분해제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가압함으로써 제형화되어 정제를 얻을 수 있다. 파우더의 혼합물은, 희석제 또는 염기 및,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지네이트, 젤라틴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바인더, 예를 들면 파라핀과 같은 용해 지연제, 예를 들면 사차염(quaternary salt)과 같은 흡수 촉진제, 및/또는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 카올린 또는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흡수제와 함께 임의로 적절하게 첨가된 활성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파우더의 혼합물들을, 예를 들면 시럽, 전분의 페이스트(paste), 아카시아 점액(acacia mucilage) 또는 셀룰로오스 용액 또는 폴리머 물질과 같은 바인더와 함께 젖게하고, 시브(sieve)를 통해 가압함으로써 과립화될 수 있다. 상기 과립제들은 스테아르산, 스테아레이트 염(stearate salt), 탈크 또는 미네랄 오일을 첨가함으로써 반질하게 할 수 있어 정제의 제조시에 허용되는 주형(moulds)에서 그들의 끈적임을 피하게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윤활된 혼합물은 정제를 얻기 위해 가압된다. 셸락층(shellac layer), 설탕층내에 이루어지거나 또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는 불투명 또는 투명 보호층은 임의로 존재한다. 착색제는 이들 코팅제들 내에 첨가할 수 있어, 다른 정제들로부터 그들을 구별한다.
시럽 또는 엘릭시르(elixir)로서 제조는, 맛을 내는 시료 및 적합한 착색제뿐만 아니라 감미료, 항균제와 함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엘릭시르가 비독성 알코올 캐리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동안에, 일반적으로. 상기 시럽 제조는 적합하게 맛을 내는 시료와 함께 수성 용액 내에서 상기 화합물을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수중에 분산될 수 있는 파우더 또는 과립은, 분산제 또는 습윤제, 또는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에테르와 같은 현탁제, 화학조미료 또는 감미재와 함께 혼합된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직장내 투여를 위하여, 하나는 직장 온도에서 녹는 바인더, 예를 들면 코코아 버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준비하는 좌약에 의존한다.
비경구, 비강 또는 안구내 투여를 위해, 수성 현탁액, 등삼투압의 염용액, 또는 살균 및 주사가능용액은 약물학적으로 친화성이 있는(pharmacologically compatible) 분산제 및/또는 습윤제를 포함하여 사용된다.
상기 활성 성분은 또한, 임의로 하나 이상의 첨가 보조제와 함께 마이크로캡슐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 조성물들은 크림, 연고, 현탁액, 로션, 파우더, 용액, 페이스트, 젤, 스프레이, 에어로졸 또는 오일로 제형화될 수 있는 국소 루트(topical route)를 통한 투여를 위해 채택된다.
약제학 조성물은 비강 루트를 통한 투여를 위해 채택되는데, 여기에 보조 부형제는, 예를 들면 20 ~ 500 마이크론의 입자크기를 갖는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체 상태이고, 코 주변에 위치된 파우더를 함유하는 용기로부터 흡입에 의해 투여된다.
약제학 제형(pharmaceutical formulations)은 버퍼, 크림, 젤, 페이스트, 폼 또는 스프레이와 같이 완전히 투여될 수 있는 질의 루트를 통한 투여를 위해 채택된다.
유리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제학 조성물은, 유리하게 보완효과 또는 시너지 효과를 갖는 다른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상기 활성제는 또 다른 당뇨병 치료제이고, 유리하게 인슐린, 설포닐우레아, 글리나이드(glinides), 비구아니드(biguanides), 티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s), GLP-1R 작용제, DPP-IV 억제제, SGLT-2 억제제로부터 선택되고, 유리하게 인슐린, 글리벤클라마이드, 글리클라지드, 글리피지드, 글리메피리드, 레파글리니드, 나테글리니드, 멧포민, 트로글리타존, 로지글리타존, 피오글리타존, 엑세나타이드,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s), 시타글립틴, 빌다글립틴, 삭사글립틴, 알로글립틴, 다파글리플로진(dapagliflozin)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특히, 이것은 멧포민이다. 상기 제2 활성제는 본 발명의 티오펜 유도체와 같은 동일한 약제학 조성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동일한 순간 또는 정시에 퍼지는 방식으로, 각각 투여될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제2 활성제는 경구투여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티오펜 유도체에 관한 것이거나, 또는 약물로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f) 내지 (p), (r), (s), (u), (y) 및 (z)의 혼합물들로부터 선택된다. 실제로,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혼합물 (f) 내지 (p), (r), (s), (u), (y) 및 (z)는, 그들과 관련된 어떠한 치료 활성이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따라서, 그것들은 약물로서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티오펜 유도체의 사용에 관한 것이거나 약물로서 제조하기 위해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일반식 (f) 내지 (p), (r), (s), (u), (y) 및 (z)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혈당강하 활성(Antihyperglycemic activity)을 갖는다. 그것들은 고혈당증, 더욱 특히 제2형 당뇨병의 고혈당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혈당강화 환성을 갖고, 따라서 당뇨병, 그것의 합병증 및/또는 그것과 연관된 병리학, 예를 들면 대사 증후군, 유리하게 제2형 당뇨병 또는 고혈당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이들 약물들은 특히 노인들에게 활성이 있다. 《노인》은 65세 이상의 남성 또는 여성인 사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사용된 《인슐린에 대한 내성》의 용어는 인슐린의 정상 함량이 생리학적인 또는 정상 분자유전학적 반응(molecular response)을 일으킬 수 없다는 조건을 일컫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티오펜 유도체에 관한 것이거나, 또는 당뇨병, 그것의 합병증 및/또는 그것과 연관된 병리학, 유리하게 제2형 당뇨병 및 고혈당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고안된 약물로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식 (a) 내지 (z1)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실제로, 상기와 같은, 일반식 (a) 내지 (z1)의 화합물은 당뇨병 치료제로서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가 INS1 세포에 의해 인슐린 분비를 자극할 가능성이 있고 분리된 랫 간세포(rat hepatocytes)에서 글루코오스의 간 생성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유리하게, 당뇨병은 노인 및 임산부, 특히 노인성 초기, 뒤늦은 소아 당뇨병으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하게 당뇨병 그리고 상기 합병증 및/또는 당뇨병과 관련된 병리학의 결점은 고혈당증, 내분비 췌장 세포의 기능 및 정량 이상(functional and quantitative abnormalities), 인슐린 내성, 당뇨병성신경병증, 당뇨병성신장증, 당뇨병성 망막증, 염증, 비만, 고혈압, 심혈관, 미세혈관, 신경 문제 및 상처 치유(wound-healing) 문제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하게, 이것은 고혈당증, 내분비 췌장 세포의 기능 및 정량 이상, 인슐린 내성 및 염증이다.
유리하게, 처리된 환자는 당뇨병과 관련된 위험 인자, 즉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당뇨병의 발생과 연관된 질환 속도를 갖는다. 특히, 이것은 가족력, 임신성 당뇨병, 과체중, 비만, 운동 부족, 고혈압, 고수준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염증 및 과지질혈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티오펜 유도체의 사용에 관한 것이거나, 또는 당뇨병, 그것의 합병증 및/또는 관련된 병리학, 특히 제2형 당뇨병 및 고혈증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해 고안된 약물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a) 내지 (z1)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최종적으로, 이것은 당뇨병, 이것의 합병증 및/또는 관련된 병리학, 유리하게 제2형 당뇨병 및 고혈당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및/또는 예방 치료 방법 및/또는 발생을 억제에 관한 것으로, 그것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티오펜 유도체의 유효량(efficient amount)의 투여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a) 내지 (z1)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유효량은 투여 경로 또한 환자의 체중 및 연령, 치료되는 병리학의 특성 및 중증도에 따라 채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복용 단위는 하나 이상의 복용시, 매일 0.5 mg 및 2,000 mg 사이에서, 유리하게 1 및 1,000 mg 사이에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티오펜 유도체는, 당해 분야에 당업자에 공지된 방법 및 후술하는 일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한정적인 표현으로 주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더욱 이해될 것이다.
합성의 설명 및 일반 반응식
일반식 (I)의 화합물들은, 당해 분야의 당업자 그 자체 및/또는 당해 분야의 당업자의 도달 범위 내에 공지된, 특히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VCH Pub. 1989의 Larock에 의해 기술된 어떠한 방법을 적용하거나 또는 채택되거나, 또는 다음에 따르는 과정 내에 기술된 방법을 적용하거나 또는 채택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일반식 (I)의 분자들의 합성은 총체적으로 간주될 수 있는 참고문헌의 리스트 없이 문헌들 [2], [5], [9], [10], [11] 및 [12]내에 설명된 내용과 때때로 동일하고, 유사하다.
반응식 1 내지 13의 다른 기들 R1 내지 R8 및 Y는 이전에 주어진 정의를 참고한다.
반응식 1: 티오펜환(ring)의 형성은 적절하게 치환된 4-페닐-4-옥소 부탄산으로부터 3단계로 달성될 수 있고, 상기 산의 기능은 표준 조건하에서 에스테르화된 것이고, 클로로포밀레이션(chloroformylation)은, 황의 존재하에서 고리화(cyclization) 전, 한 단계로 도달된다. 상기 반응의 주요 생성물은 중간체 1.4이고, 1.4의 생성은 부생성물 1.5의 생성에 의해 수반된다. 그런 다음 1.4는 에스테르기의 비누화(saponification)를 갖는 프리델-크래프트 타입 조건(Friedel-Craft type conditions)에 따라 아실화 또는 설포닐화되고; 그것은 각각 타입 1.71.9의 생성물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10
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는 표준 에스테르화 조건에 따른 산들 1.7 또는 1.9로부터 가시화될 수 있거나 또는 아실화 반응에 의해 따르는 산염화물(acid chloride) 중간체를 제조됨으로써 가시화될 수 있다. 타입 1.6 또는 1.8의 유도체로부터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은 또한 표준 조건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반응식 2: 중간체 산염화물을 통하여 거쳐가고, 그리고 아민 상에서 아실화 반응을 실시하거나, 또는 그 밖에 펩타이드 커플링 조건(peptide coupling conditions) 하에서 실시함으로써, 타입 2.1의 아마이드의 제조는 유도체 1.7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11
반응식 3: 케톤의 환원은 선택적으로 판명된 표준 환원 조건하에서 달성되었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12
반응식 4: 옥심(oximes)의 제조는 유도체 1.6으로부터 달성되었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13
반응식 5: 일반식 1.5의 유도체는 산염화물의 중간체 형성을 경유함으로써 그리고 아민 상에 아실화 반응을 실시하거나 또는 EDC.HCl, HOBt 또는 추가로 PyBOP와 같은 펩티드 커플링 조건 하에서 실시함으로써 아마이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A는 아릴기, (C1-C6 알킬)아릴기 또는 추가로 아릴CONH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14
반응식 6: 산의 알파-치환된 유도체들은 염기 조건하에서 탈양성자화, 이어서 친전자성 시약의 첨가에 의해 제조되었다. 상기 친전자성 시약은 작용 조건에 따라 브로모(메톡시)메탄인 경우에, 상기 반응은 타입 6.2의 아크릴산염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15
반응식 7: 어떠한 기들의 특이적 도입은 반응식 1에 기술된 하나에 대한 대안 합성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티오펜아세트산을 출발물질로 하여, 에스테르화 반응, 이어서 할로겐화(halogenation)를 실시하고,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체의 도입은 스즈키 타입의 변형을 적용함으로써 가능하여 타입 1.4 유도체를 수득하였고, 그런 다음 위에서 언급한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하고, 즉, 프리델-크래프트 타입의 아실화 반응, 그런 다비누화를 적용함으로써 유도체 1.7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16
Hal:은 할로겐 원자, 유리하게 브롬을 나타낸다.
반응식 8: 상기 과정의 단순화는 어떠한 경우, 8.1 타입의 유도체가 7.2 타입의 유도체의 아실화에 의해 제조되고, 아이도페닐 유도체를 포함하는 팔라듐으로 촉매화시키는 아릴화(arylation) 반응을 실시하여 타입 1.6의 유도체를 수득하는 경우에 고려될 수 있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17
반응식 9: 화학식 I의 화합물들을 제조하기 위한 대안 방법은 스즈키 타입의 반응에 작용하는 2-브로네이트-3-메틸티오펜 유도체에 의존한다. 타입 9.2 유도체는 프리델-크래프트 조건에 따라 아실화된다. 유도체 1.6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유도체 9.3의 할로겐화, 시안화 반응(cyanation), 그런 다음, 알코올 가수분해에 의해 보장된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18
반응식 10: 특정한 기들의 도입을 허용하는 목적으로, 상술한 방법에 대한 또 하나의 대안 합성 방법을 개발하였다. 메틸 5-브로모-4-메틸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를 출발물질로 하여,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여 상응하는 산을 수득하고 및 와인랩 아마이드(Weinreb amide)가 제조될 수 있다. 할로겐-마그네슘 타입의 유기금속의 존재하에서, 타입 10.3의 유도체는 타입 10.4의 유도체를 수득할 가능성을 주고, 그런 다음, 스즈키 타입의 반응, 이어서 할로겐화 및 그런 다음 시안화의 반응내로 참여시켜 타입 10.7의 유도체를 수득하였다.
후자는 알코올 가수분해 반응을 실시하여 타입 1.6의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19
반응식 11: 산의 기능에 대한 치환기들의 도입은, 다른 합성 방법을 필요로 하며, 이는 출발생성물로서 2-(티오펜-3-일)아세토니트릴에 의존하고, 상기 생성물은 할로겐화 반응, 이어서 스즈키 타입의 팔리듐에 의해 촉매화된 커플링을 실시하여, 타입 11.3의 유도체를 수득하였고, 이들 생성물은 프리델-크래프트 조건에 따라 아실화되어 타입 10.7의 유도체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20
반응식 12: 타입 10.7의 유도체는 테트라졸 유도체 12.1을 형성하기 위하여 아지드로 처리를 실시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21
반응식 13: 타입 10.7의 유도체는 히드록실아민으로 처리하여 타입 13.1의 오픈된 유도체를 수득하였고, 그런 다음 카르보닐디이미다졸의 존재하에서 카르보닐화(carbonylation)를 실시하여 타입 13.2의 옥사디아졸론(옥사디아졸론)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22
반응식 14: 타입 1.4의 유도체는 염기 조건하에서 가수분해처리를 실시하여 중간체인 14.1 타입의 산 유도체를 수득하였고, 그런 다음 이를 펩타이드 커플링 반응으로 처리하여 타입 14.2의 유도체를 수득할 수 있었다. 로손 시약(로손 시약)에 의해 처리된 후자는 대응되는 티오아미드 14.3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프리델-크래프트 아실화 반응은 타입 14.4의 화합물에 근접한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23
반응식 15: 구아니딘-Boc의 존재하에 펩타이드 커플링 조건들은 유도체 1.7에서 타입 15.1의 유도체의 형성을 유도하고, 그런 다음 산 가수분해 조건 하에서 비보호된(deprotected) 화합물 15.2에 근접한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24
상기 수득된 용액상기 수득된 용액 치 및 방법
양성자( 1 H) 핵자기공명분광학(NMR) 스펙트라는 브루커 어드반스 DPX300 (300.16 MHz) 장치에서 얻었다.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s)(δ)은 백만분의 비율(ppm)로 측정하였다. 상기 스펙트라는 사용된 중수소를 함유한(deuterated) 용매의 화학적 이동에 의해 검증되었다. 상기 커플링된 상수(J)는 헤르츠(Hz)로 표현되고, 상기 다중도(multiplicity)는 다음의 방법, 싱글릿(s), 더블릿(d), 더블릿-더블릿(dd), 트리플릿(t), 트리플릿-더블릿(td), 쿼드러플릿(q), 멀티플릿(m)으로 표시된다.
상기 질량 스펙트라(MS)는 스펙트로미터 애질런트 테크놀로지 MSD, 타입 G1946A로 얻어지고, 상기 샘플들은 "기압 화학적 이온화"(APCI; Atmospheric pressure chemical ionization) 소스(source)에 의해 이온하였다.
약어들
AIBN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EDC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HOBt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CDCl3 중수소 함유 클로로포름
DMSO 중수소 함유 디메틸설폭사이드
Py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DMPU 1,3-디메틸-3,4,5,6-테트라히드로-2(1H)-피리미디논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Boc 터셔리-부톡시카르보닐
mmol 밀리몰(s)
μM 마이크로몰
ml 밀리리터(s)
g 그램(s)
M 몰/리터
N 노말
nm 나노미터(s)
min 분(s)
h 시간(s)
d 일(s)
r.t. 실온
UV 자외선
ctrl 대조구
HGP 간의 클루코오스 생성(Hepatic glucose Production)
하기 실시예들의 리스트는 본 발명이 범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나, 이들의 적용 분야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표 1]
합성이 예시되어 있는 분자 리스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025
Figure 112015017691318-pct00026
Figure 112015017691318-pct00027
Figure 112015017691318-pct00028
Figure 112015017691318-pct00029
Figure 112015017691318-pct00030
Figure 112015017691318-pct00031
Figure 112015017691318-pct00032
Figure 112015017691318-pct00033
Figure 112015017691318-pct00034
Figure 112015017691318-pct00035
Figure 112015017691318-pct00036
Figure 112015017691318-pct00037
Figure 112015017691318-pct00038
Figure 112015017691318-pct00039
Figure 112015017691318-pct00040
Figure 112015017691318-pct00041
Figure 112015017691318-pct00042
Figure 112015017691318-pct00043
Figure 112015017691318-pct00044
Figure 112015017691318-pct00045
Figure 112015017691318-pct00046
Figure 112015017691318-pct00047
Figure 112015017691318-pct00048
Figure 112015017691318-pct00049
Figure 112015017691318-pct00050
Figure 112015017691318-pct00051
Figure 112015017691318-pct00052
Figure 112015017691318-pct00053
Figure 112015017691318-pct00054
Figure 112015017691318-pct00055
Figure 112015017691318-pct00056

Figure 112015017691318-pct00057
실시예 1: 유도체 번호 1의 제조: 에틸2 -(5-(4- 메톡시벤조일 )-2-(4- 메톡시페닐 )티오펜-3-일)아세테이트
단계 1 : 에틸 4-메톡시 페닐 -4-옥소부타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058
50 g (240 mmol)의 4-메톡시페닐-4-옥소부탄산을 320ml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0.64 ml (12 mmol)의 황산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자기 교반(magnetic stirring)하면서 16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리플럭스시켰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진공속에서 농축시켰고,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crude residue)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용출액: 100% 디클로로메탄). 무색오일로서 54.04 g (수율=95%)의 에틸 4-메톡시페닐-4-옥소부타노에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237 (MH+)UV 순도 at 254 nm = 84%. 1H NMR (300 MHz, DMSO) δ7.97 (d, J = 8.9 Hz, 2H), 7.05 (d, J = 8.9 Hz, 2H), 4.05 (q, J = 7.1 Hz, 2H), 3.85 (s, 3H), 3.30 - 3.18 (m, 2H), 2.69 - 2.56 (m, 2H), 1.18 (t, J = 7.1 Hz, 3H).
단계 2: 에틸 (Z/E)-4- 클로로 -3- 포르밀 -4-(4- 메톡시페닐 ) but -3- 에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059
54.8 g (228 mmol)의 에틸 4-메톡시페닐-4-옥소부타노에이트는 52.9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 (683 mmol) 내에 용해시키고, 53.1 ml (569 mmol)의 포스포릴트리클로라이드를 상기 용액에 적가하고, 상기 반응은 매우 발열성이었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자기 교반하면서 8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은 물과 얼음으로 이루어진 1L의 혼합물에 부었다. 상기 수성상(aqueous phase)을 2×20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organic phase)을 300 ml의 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로 건조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수득된 여과액(filtrate)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crude residue)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100% 디클로로메탄). 오렌지색 오일로서 57 g(수율 = 75%)의 에틸 (Z/E)-4-클로로-3-포르밀-4-(4-메톡시페닐)but-3-에노에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283 (MH+) UV 순도 at 254 nm = 93%. 1H NMR (300 MHz, DMSO) δ 9.37 (s, 1H), 7.50 (d, J = 8.8 Hz, 2H), 7.08 (d, J = 8.8 Hz, 2H), 4.12 (d, J = 7.1 Hz, 2H), 3.84 (s, 3H), 3.55 (s, 2H), 1.19 (t, J = 7.1 Hz, 3H).
단계 3: 에틸2 -(2-(4- 메톡시페닐 )티오펜-3-일)아세테이트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060
57 g (189 mmol)의 에틸 (Z/E)-4-클로로-3-포르밀-4-(4-메톡시페닐)but-3-에노에이트를 400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19.71 ml (284 mmol)의 2-메르캅토아세트산 및 79 ml (567 mmol)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용액을 자기 교반하면서 6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리플럭스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200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내에 넣고, 상기 혼합물을 자기 교반하면서 130 ℃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600 ml의 물로 처리하였다. 상기 수성 상을 2×20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2×200 ml의 물, 30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그리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시클로헥산/디클로로메탄, 3/1, v/v). 무색 오일로 29.09 g (수율=53%)의 에틸2-(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277 (MH+) UV 순도 at 254 nm = 98%. 1H NMR (300 MHz, DMSO) δ7.46 (d, J = 5.2 Hz, 1H), 7.36 (d, J = 8.7 Hz, 2H), 7.03 (t, J = 6.5 Hz, 3H), 4.07 (q, J = 7.1 Hz, 2H), 3.79 (s, 3H), 3.62 (s, 2H), 1.16 (t, J = 7.1 Hz, 3H).NB: 다른 처리는 실시예 15(3 단계)에 기술되어 있고, 반응식 1에 기술된 1.5 타입의 부생성물의 분리를 허용하였다.
단계 4: 에틸2 -(5-(4- 메톡시벤조일 )-2-(4- 메톡시페닐 )티오펜-3-일)아세테이트 (유도체 번호 1)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061
아르곤 기류하, 플라스크 내에, 5 ml의 디클로로메탄, 0.5 g (1.809 mmol)의 에틸2-(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및 0.367 ml (2.71 mmol)의 4-메톡시벤조일클로라이드를 자기교반하면서 도입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을 자기 교반하면서 5℃에 놓고, 0.362 g (2.71 mmol)의 알루미늄를 소량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5일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고, 그런 다음 얼음에 부어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수성상은 2 × 2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시클로헥산 / 디클로로메탄 구배(gradient), 시클로헥산의 100% 내지 0%, v/v). 옅은 갈색 오일로서 0.652 g (수율=87%)의 에틸2-(5-(4-메톡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411 (MH+) UV 순도 at 254 nm=99%. 1H NMR (300 MHz, DMSO) δ7.87 (d, J=8.8 Hz, 2H), 7.70 (s, 1H), 7.46 (d, J=8.8 Hz, 2H), 7.10 (dd, J=13.7, 8.9 Hz, 4H), 4.06 (q, J=7.1 Hz, 2H), 3.87 (s, 3H), 3.81 (s, 3H), 3.74 (s, 2H), 1.14 (t, J=7.1 Hz, 3H).
상기 유도체 2 내지 43, 155, 157158를 단계 1 내지 4의 동일한 순서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62
Figure 112015017691318-pct00063
Figure 112015017691318-pct00064
Figure 112015017691318-pct00065
Figure 112015017691318-pct00066
Figure 112015017691318-pct00067
Figure 112015017691318-pct00068
Figure 112015017691318-pct00069
Figure 112015017691318-pct00070
실시예 2: 유도체 번호 44의 제조: 이소프로필2 -(2-(4- 클로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071
200 mg (0.518 mmol)의 에틸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5 mmol의 2-프로판올 내에 용해시켰고, 한 방울의 황산을 첨가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17 시간 동안 자기 교반하면서 리플럭스와 함께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리는 것은, 반응 중간물 내의 고체의 침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고체는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고 진공 벨자(vacuum bell jar)에서 건조하여 백색 파우더로서 110 mg(수율 = 54%)의 이소프로필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389 (MH+) UV 순도 at 254 nm = 99%. 1H NMR (300 MHz, DMSO) δ8.15 (dd, J = 6.5, 5.5 Hz, 2H), 7.58 (d, J = 2.4 Hz, 5H), 6.84 (dd, J = 3.6, 1.7 Hz, 1H), 5.00 - 4.76 (m, 1H), 3.77 (s, 2H), 1.15 (d, J = 6.3 Hz, 6H).
실시예 3: 유도체 번호 45의 제조: 2-(5-(4- 메톡시벤조일 )-2-(4- 메톡시페닐 )티오펜-3-일)아세트산
Figure 112015017691318-pct00072
0.616 g (1.503 mmol)의 에틸2-(5-(4-메톡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5 ml의 에탄올 내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 내에 0.301 ml (3.01 mmol)의 30 질량% 수성 소듐히드록사이드 용액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10 ml의 물에 넣고, 상기 수성상을 2 × 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침전물이 생길 때까지 1N 염산 수성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수성상의 pH를 낮추었다. 상기 고체는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고, 2 × 5 ml의 물로 세정하였고 진공 벨자에서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0.536 g (수율 = 92%)의 2-(5-(4-메톡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을 수득하였다. LC-MS: m/z = 383 (MH+) UV 순도 at 254 nm = 99%. 1H NMR (300 MHz, DMSO) δ12.66 (s, 1H), 7.87 (d, J = 8.8 Hz, 2H), 7.69 (s, 1H), 7.48 (d, J = 8.7 Hz, 2H), 7.10 (dd, J = 12.0, 8.8 Hz, 4H), 3.87 (s, 3H), 3.81 (s, 3H), 3.64 (s, 2H).
상기 유도체들 46 내지 81, 154, 156159은 상기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73
Figure 112015017691318-pct00074
Figure 112015017691318-pct00075
Figure 112015017691318-pct00076
Figure 112015017691318-pct00077
Figure 112015017691318-pct00078
Figure 112015017691318-pct00079
Figure 112015017691318-pct00080
실시예 4: 유도체 번호 82의 제조: 소듐 2-(2-(4- 클로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081
0.21 g (0.606 mmol)의 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을 3 ml의 메탄올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에 0.112 ml (0.606 mmol)의 30 질량% 소듐 메톡사이드 용액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0 ml의 물로 처리하였고, 상기 메탄올을 진공 속에서 증발시켰다. 상기 남아있는 수성상을 동결건조하여 황색 고체로서 0.222 g (수율 = 97%)의 소듐 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347 (MH+) UV 순도 at 254 nm = 98%. 1H NMR (300 MHz, DMSO) δ8.13 (dd, J = 3.4, 2.4 Hz, 2H), 7.89 - 7.74 (m, 2H), 7.58 - 7.47 (m, 3H), 6.81 (dd, J = 3.6, 1.7 Hz, 1H), 3.30 (s, 2H).
실시예 5: 유도체 번호 83의 제조: 터셔리 -부틸 2-(2-(4- 클로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082
280 mg (0.783 mmol)의 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을 5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에 0.205 ml (2.35 mmol)의 옥살릴클로라이드 및 한방울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진공 속에서 농축하기 전에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5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의 0.225 ml (2.349 mmol)의 터셔리-부탄올의 용액 내에 5℃에서 자기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 ℃에서 15분 동안 유지하였고, 그런 다음 중탕(bath)을 제거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4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30 ml의 물에 붓고, 상기 수성상을 3 × 2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30 ml의 포화(saturated) 수성 NaHCO3 용액, 30 ml의 물, 30 ml의 포화 수성 NaCl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로 건조시키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그리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용출액: 헵탄/에틸아세테이트 구배, 헵탄의 95% 내지 90%, v/v). 옅은 황색 오일로서 0.2 g (수율 = 62%)의 터셔리-부틸 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403 (MH+) UV 순도 at 254 nm = 97%. 1H NMR (300 MHz, DMSO) δ8.29 - 7.99 (m, 2H), 7.77 - 7.40 (m, 5H), 6.84 (dd, J = 3.6, 1.7 Hz, 1H), 3.72 (s, 2H), 1.35 (s, 9H).
상기 유도체 84는 상기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83
실시예 6: 유도체 번호 85의 제조: 1,2-3,4-디-O- 이소프로필리덴 -a-D- 갈락토피라노오스 2-(5-(3- 메톡시벤조일 )-2-(4- 메톡시페닐 )티오펜-3-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084
0.314 g (0.812 mmol)의 2-(5-(4-메톡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을 4 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고, 교반하면서 0.145 g (0.894 mmol)의 카르보닐 디이미다졸을 첨가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4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의 211 mg (0.812 mmol)의 1,2-3,4-디-O-이소프로필리덴-a-D-갈락토피라노오스의 용액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에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용출액: 헵탄/에틸아세테이트, 9/1, v/v). 386 mg (수율 = 75%)의 1,2-3,4-디-O-이소프로필리덴-a-D-갈락토피라노오스 2-(5-(3-메톡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옅은 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LC-MS: m/z = 625 (MH+), UV 순도 at 254 nm = >99%. 1H NMR (300 MHz, DMSO) δ1H NMR (300 MHz, DMSO) δ7.71 (s, 26H), 7.60 - 7.37 (m, 104H), 7.37 - 7.21 (m, 52H), 7.16 - 7.03 (m, 51H), 5.41 (d, J = 5.0 Hz, 25H), 4.58 (dd, J = 7.9, 2.4 Hz, 26H), 4.35 (dd, J = 5.0, 2.4 Hz, 26H), 4.22 - 3.99 (m, 80H), 3.89 (d, J = 2.8 Hz, 19H), 3.85 (t, J = 7.9 Hz, 160H), 3.75 (s, 50H), 1.99 (s, 3H), 1.33 (s, 78H), 1.29 (s, 79H), 1.25 (d, J = 4.6 Hz, 160H), 1.17 (s, 6H), 0.84 (d, J = 6.6 Hz, 5H).
실시예 7: 유도체 번호 86의 제조 : 2-(2-(4- 클로로페닐 )-5-(4- 메톡시벤조일 )티오펜-3-일) 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5017691318-pct00085
0.25 g (0.603 mmol)의 에틸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2.15 ml (15.06 mmol)의 7 M 암모니아 메탄올 용액 내에 현탁시켰다. 상기 반응물을 25 ml의 물에 붓기 전에 5 일 동안 자기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0 분 동안 자기 교반하여 고체 침전물이 생기게 하고, 이어서 고체 침전물을 필터에 의해 분리하고, 2 × 5 ml의 물로 세정하였으며, 그리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였다. 0.137 g (수율 = 58%)의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트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 386 (MH+), UV 순도 at 254 nm = 98%. 1H NMR (300 MHz, DMSO) δ7.88 (d, J = 8.8 Hz, 2H), 7.75 (s, 1H), 7.72 - 7.52 (m, 5H), 7.13 (d, J = 8.9 Hz, 2H), 7.05 (s, 1H), 3.88 (s, 3H), 3.47 (s, 2H).
실시예 8: 유도체 번호 87의 제조: 에틸2 -(2-(5-(4- 메톡시벤조일 )-2- 페닐티오펜 -3-일)-N- 메틸아세트아미도 )아세테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086
0.091 g (0.593 mmol)의 사르코신에틸에스테르히드로클로라이드를 3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내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0.149 g (1.079 mmol)의 포타슘카보네이트 및 0.2 g (0.593 mmol)의 2-(5-(4-메톡시벤조일)-2-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0 ml의 물에 붓기 전에 16 일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수성상은 2 × 2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하였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디클로로메탄/에틸아세테이트 구배, 디클로로메탄의 100% 내지 75% , v/v). 0.133 g (수율 = 54%)의 에틸2-(2-(5-(4-메톡시벤조일)-2-페닐티오펜-3-일)-N-메틸아세트아미도)아세테이트를 옅은 갈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LC-MS: m/z = 452 (MH+), UV 순도 at 254 nm = 98%. 1H NMR (300 MHz, DMSO) δ7.88 (d, J = 8.8 Hz, 2H), 7.66 - 7.39 (m, 6H), 7.12 (d, J = 8.8 Hz, 2H), 4.15 (d, J = 40.5 Hz, 4H), 3.87 (s, 3H), 3.74 (d, J = 35.2 Hz, 2H), 2.92 (d, J = 51.8 Hz, 3H), 1.15 (dd, J = 13.1, 6.0 Hz, 3H).
실시예 9: 유도체 번호 88의 제조: 2-(2-(5-(4- 메톡시벤조일 )-2- 페닐티오펜 -3-일)-N-메 틸아세트아미 도) 아세트산
Figure 112015017691318-pct00087
0.099 g (0.203 mmol)의 에틸2-(2-(5-(4-메톡시벤조일)-2-페닐티오펜-3-일)-N-메틸아세트아미도)아세테이트를 3 ml의 에탄올 내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에 0.02 ml (0.203 mmol)의 30 질량% 수성 소듐히드록사이드 용액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5 ml의 물에 넣고, 상기 수성상을 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수성상의 pH는 침전물이 생길 때까지 1N 염산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낮추었다. 상기 고체는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고, 2 × 3 ml의 물로 세정하였고, 진공 벨자에서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0.01 g (수율 = 12%)의 2-(2-(5-(4-메톡시벤조일)-2-페닐티오펜-3-일)-N-메틸아세트아미도)아세트산을 수득하였다. LC-MS: m/z = 424 (MH+), UV 순도 at 254 nm = 99%. 1H NMR (300 MHz, DMSO) δ12.85 (s, 1H), 7.89 (d, J = 8.8 Hz, 2H), 7.70 - 7.42 (m, 6H), 7.18 - 7.08 (m, 2H), 4.04 (d, J = 21.1 Hz, 2H), 3.87 (s, 3H), 3.73 (d, J = 34.0 Hz, 2H), 2.91 (d, J = 49.4 Hz, 3H).
실시예 10: 유도체 번호 89의 제조: 2-(2-(4- 클로로페닐 )-5-(4- 메톡시벤조일 )티오펜-3-일)-N-(2-(디메틸아미노) 에틸) 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5017691318-pct00088
0.1 g (0.258 mmol)의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트산을 2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0.059 g (0.310 mmol)의 EDC, 0.047 g (0.310 mmol)의 HOBt 및 0.108 ml (0.775 mmol)의 트리에틸아민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였고, 그런 다음 0.034 ml (0.310 mmol)의 N,N-디메틸에탄-1,2-디아민을 첨가하였고, 그리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0 ml의 디클로로메탄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 × 20 ml의 물로 세정하였다. 상기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그리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구배, 디클로로메탄의 100% 내지 90%, v/v). 49 mg (수율 = 39%)의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N-(2-(디메틸아미노) 에틸)아세트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 457 (MH+), UV 순도 at 254 nm = 94%. 1H NMR (300 MHz, DMSO) δ8.06 (t, J = 5.5 Hz, 1H), 7.87 (d, J = 8.8 Hz, 2H), 7.78 - 7.65 (m, 3H), 7.58 (d, J = 8.5 Hz, 2H), 7.13 (d, J = 8.9 Hz, 2H), 3.88 (s, 3H), 3.49 (s, 2H), 3.14 (dd, J = 12.3, 6.4 Hz, 2H), 2.25 (t, J = 6.6 Hz, 2H), 2.11 (s, 6H).
상기 유도체 160 내지 166은 상기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89
Figure 112015017691318-pct00090
Figure 112015017691318-pct00091
실시예 11: 유도체 번호 90의 제조: 2-(5-(4- 메톡시벤조일 )-2- 페닐티오펜 -3-일)-1-(피 롤리딘 -1-일) 에탄온
Figure 112015017691318-pct00092
0.095 g (0.270mmol)의 2-(5-(4-메톡시벤조일)-2-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을 3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에 0.047 ml (0.540 mmol)의 옥살릴클로라이드 및 한방울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진공 속에서 농축하기 전에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2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내에 용해시켜, 이어서 2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내의 0.049 ml (0.593 mmol)의 피롤리딘의 용액에 자기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20 ml의 물에 붓고, 상기 수성상을 2 × 1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하였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디클로로메탄 / 에틸아세테이트, 3/1, v/v). 0.077 g (수율 = 65%)의 2-(5-(4-메톡시벤조일)-2-페닐티오펜-3-일)-1-(피롤리딘-1-일)에탄온을 옅은 갈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LC-MS: m/z = 406 (MH+), UV 순도 at 254 nm = 93%. 1H NMR (300 MHz, DMSO) δ7.87 (d, J = 8.8 Hz, 2H), 7.64 (s, 1H), 7.57 - 7.42 (m, 5H), 7.13 (d, J = 8.9 Hz, 2H), 3.87 (s, 3H), 3.68 (s, 2H), 3.46 - 3.23 (m, 4H), 1.91 - 1.68 (m, 4H).
상기 유도체 91 내지 100을 상기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93

Figure 112015017691318-pct00094
Figure 112015017691318-pct00095
실시예 12: 유도체 번호 101의 제조: 에틸2 -(5-( 히드록시(페닐)메틸 )-2-(4- 메톡시 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096
2.8 g (7.36 mmol)의 에틸2-(5-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50 ml의 에탄올 내에 용해시켰다. 자기 교반 하에서, 상기 혼합물을 0℃에서 중탕 내에 넣고, 그런 다음 0.557 g (14.72 mmol)의 소듐보로히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0℃에서 15 분 동안 유지하였고, 그런 다음 상기 중탕을 제거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7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물 및 얼음으로 이루어진 400 ml의 혼합물에 붓고, 상기 수성 상을 2×20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2 × 5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고, 그런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디클로로메탄 / 아세톤 구배, 디클로로메탄의 100% 내지 95% v/v). 1.05 g (수율 = 37%)의 에틸2-(5-(히드록시(페닐)메틸)-2-(4-메톡시 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 비이온화. 1H NMR (300 MHz, DMSO) δ7.40(d,2H),7.20-7.35 (m, 5H), 6.80 (d, 2H), 6.75 (s, 1H), 5.92 (s,1H), 4.07 (q, 2H), 3.75 (s, 3H), 3.44 (s, 2H), 2.45 (s,1H), 1.15(t,3H).
실시예 13: 유도체 번호 102의 제조: 에틸2 -(2-(4- 클로로페닐 )-5-(( 에톡시이미노 )(4- 메톡시페닐 ) 메틸 )티오펜-3-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097
0.3 g (0.701 mmol)의 에틸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자기 교반하면서 1.5 ml의 에탄올 내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상기 용액에, 0.342 g (3.51 mmol)의 O-에틸히드록실암모늄클로라이드 및 0.187 ml (2.315 mmol)의 피리딘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50 ℃에서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5 ml의 물에 부었다. 상기 수성상을 2 × 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5 ml의 포화 NaHCO3 수성 용액, 5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그리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헵탄/에틸아세테이트, 9/1, v/v). 0.242 g (수율 = 73%)의 에틸2-(2-(4-클로로페닐)-5-((에톡시이미노)(4-메톡시페닐)메틸)티오펜-3-일)아세테이트는 무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LC-MS: m/z = 458 (MH+); UV 순도 at 254 nm = 97%. 1H NMR (300 MHz, DMSO) δ7.62 - 7.31 (m, 6H), 7.12 (s, 1H), 7.10 - 6.98 (m, 2H), 4.30 (q, J = 7.0 Hz, 1,6H), 4.11 (q, J = 7.0 Hz, 0.4H), 4.01 (p, J = 7.1 Hz, 2H), 3.82 (s, 3H), 3.64 (d, J = 12.6 Hz, 2H), 1.33 (t, J = 7.0 Hz, 2,4H), 1.26 - 1.15 (m, 0.6H), 1.09 (t, J = 7.1 Hz, 3H).
상기 유도체 103 내지 107을 상기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098
Figure 112015017691318-pct00099
실시예 14: 유도체 번호 108의 제조: 2-(2-(4- 클로로페닐 )-5-(( 에톡시이미노 )(4- 메톡시페닐 ) 메틸 )티오펜-3-일)아세트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00
0.238 g (0.505 mmol)의 에틸2-(2-(4-클로로페닐)-5-((에톡시이미노)(4-메톡시페닐)메틸)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1.1 ml의 메탄올-테트라히드로푸란 혼합물 (1/1, v/v) 내에 자기 교반하면서 용해시켰고, 0.545 ml (0.545 mmol)의 1 M 소듐히드록사이드 수성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침전이 생길 때까지 1N 수성 염산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중성화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이소프로판올 내에 넣고, 상기 무기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2 ml의 물에 넣고, 1 시간 동안 80℃에서 자기 교반하면서 교반하기 전에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여 백색 고체로서 0.191 g (수율 = 82%)의 2-(2-(4-클로로페닐)-5-((에톡시이미노)(4-메톡시페닐)메틸)티오펜-3-일)아세트산을 수득하였다. LC-MS: m/z = 430 (MH+); UV 순도 at 254 nm = 97%. 1H NMR (300 MHz, DMSO) (un melange d'isomeres Z/E est observe δ7.65 - 7.29 (m, 6H), 7.16 - 6.97 (m, 3H), 4.30 (q, J = 7.0 Hz, 1,5H), 4.17 - 4.04 (m, 0.5H), 3.82 (s, 3H), 3.53 (d, J = 13.9 Hz, 2H), 1.40 - 1.29 (m, 1,5H), 1.20 (dd, J = 13.0, 6.0 Hz, 0.5H).
상기 유도체 109 내지 111을 상기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101
Figure 112015017691318-pct00102
실시예 15: 유도체 번호 112의 제조: 5-(4- 클로로페닐 )-4-(2- 이소프로폭시 -2- 옥소에틸 )티오펜-2- 카르복실산
단계 1: 이소프로필4 - 클로로페닐 -4- 옥소부타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03
50 g (235 mmol)의 4-클로로페닐-4-옥소부탄산을 300 ml의 이소프로판올 내에 용해시켰고, 0.63 ml (11.76 mmol)의 황산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자기 교반하면서 6 일 동안 가열하면서 리플럭스 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진공속에서 농축시켰고,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crude residue)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용출액: 100% 디클로로메탄). 59.83 g (수율 = >99%)의 이소프로필4-클로로페닐-4-옥소부타노에이트는 무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LC-MS: m/z = 255 (MH+) UV 순도 at 254 nm = 95%. 1H NMR (300 MHz, DMSO) δ8.13 - 7.85 (m, 2H), 7.70 - 7.47 (m, 2H), 4.86 (dt, J = 12.5, 6.3 Hz, 1H), 3.29 - 3.22 (m, 2H), 2.65 - 2.54 (m, 2H), 1.16 (d, J = 6.3 Hz, 6H).
단계 2: 이소프로필(Z/E)-4- 클로로 -3- 포르밀 -4-(4- 클로로페닐 ) but -3- 에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04
59.8 g (235 mmol)의 이소프로필4-클로로페닐-4-옥소부타노에이트를 54.5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 (704 mmol) 내에 용해시켰고, 54.7 ml (587 mmol)의 포스포릴트리클로라이드를 상기 용액에 적가하였으며, 상기 반응은 매우 발열성이었다. 그런 다음,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자기 교반하면서 80 ℃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물과 얼음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1 L 상에 부었고, 자기 교반을 셋업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수성상을 300 ml로 추출하였고, 그런 다음 2 × 15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2×200 ml의 물, 30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그리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헵탄/디클로로메탄 구배, 디클로로메탄의 50 내지 100%, v/v). 47.4 g (수율 = 62%)의 이소프로필(Z/E)-4-클로로-3-포르밀-4-(4-클로로페닐)but-3-에노에이트를 오렌지색으로 수득하였다. LC-MS: m/z = 301 (MH+) UV 순도 at 254 nm = 92%. 1H NMR (300 MHz, DMSO) δ10.29 - 9.28 (m, 1H), 7.71 - 7.38 (m, 4H), 4.87 (dq, J = 25.0, 6.3 Hz, 1H), 3.53 (s, 19H), 3.18 - 1.16 (m, 2H).
단계 3: 이소프로필2 -(2-(4- 클로로페닐 )티오펜-3-일)아세테이트 및 5-(4- 클로로페 닐)-4-(2- 이소프로폭시 -2- 옥소에틸 )티오펜-2- 카르복실산 (유도체 번호 112)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05
47.4 g (157 mmol)의 이소프로필(Z/E)-4-클로로-3-포르밀-4-(4-클로로페닐)but-3-에노에이트를 250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내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에 16.40 ml (236 mmol)의 2-메르캅토아세트산 및 65.8 ml (472 mmol)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자기 교반하면서 4 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리플럭스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175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내에 넣고, 그리고 상기 혼합물을 자기 교반하면서 2 시간 동안 130℃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500 ml의 물로 처리하였다. 상기 수성상을 300 ml 및 그런 다음 2 × 15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2×200 ml의 물, 30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그리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넣고 그리고 헵탄으로 적정하였다. 고체를 침전시키고, 여과에 의해 분리하여 22.8 g (수율 = 30 %)의 5-(4-클로로페닐)-4-(2-이소프로폭시-2-옥소에틸)티오펜-2-카르복실산을 수득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에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헵탄/디클로로메탄, 2/1, v/v). 16.18 g (수율 = 34%)의 이소프로필2-(2-(4-클로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옅은 갈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5-(4-클로로페닐)-4-(2-이소프로폭시-2-옥소에틸)티오펜-2-카르복실산: LC-MS: 비이온화. 1H NMR (300 MHz, DMSO) δ13.19 (s, 1H), 7.69 (s, 1H), 7.53 (q, J = 8.7 Hz, 4H), 4.86 (dt, J = 12.5, 6.2 Hz, 1H), 3.69 (s, 2H), 1.13 (d, J = 6.3 Hz, 6H).
이소프로필2-(2-(4-클로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LC-MS: m/z = 294 (M) UV 순도 at 254 nm = 96%. 1H NMR (300 MHz, DMSO) δ7.51 (dt, J = 19.3, 6.9 Hz, 5H), 7.08 (d, J = 5.2 Hz, 1H), 4.87 (dt, J = 12.5, 6.3 Hz, 1H), 3.63 (s, 2H), 1.15 (d, J = 6.3 Hz, 6H).
유도체 번호 113을 단계 1 내지 3의 동일한 순서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106
실시예 16: 유도체 번호 114의 제조: 에틸2 -(2-(4- 클로로페닐 )-5-(모르폴린-4-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107
0.44 g (1.244 mmol)의 5-(4-클로로페닐)-4-(2-에톡시-2-옥소에틸)티오펜-2-카르복실산을 5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에 0.327 ml (3.73 mmol)의 옥살릴클로라이드 및 한방울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진공 속에서 농축하기 전에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5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의 0.542 ml (6.22 mmol)의 모르폴린의 용액에 자기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20 ml의 물에 붓고, 상기 수성상을 3 × 25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20 ml의 포화 NaHCO3 수성 용액, 20 ml의 물, 2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으며, 그리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 구배, 98/2, v/v). 0.359 g (수율 = 68%) 에틸2-(2-(4-클로로페닐)-5-(모르폴린-4-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노란 오렌지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LC-MS: m/z = 394 (MH+); UV 순도 at 254 nm = 98%. 1H NMR (300 MHz, DMSO) δ7.63 - 7.44 (m, 4H), 7.41 (s, 1H), 4.16 - 3.95 (m, 2H), 3.66 (dd, J = 11.0, 7.8 Hz, 10H), 1.14 (t, J = 7.1 Hz, 3H).
실시예 17: 유도체 번호 115의 제조: 에틸2 -(2-(4- 클로로페닐 )-5-(모르폴린-4-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108
0.5 g (1.476 mmol)의 5-(4-클로로페닐)-4-(2-이소프로폭시-2-옥소에틸)티오펜-2-카르복실산을 10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내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에, 0.311 g (1.623 mmol)의 EDC, 0.249 g (1.623 mmol)의 HOBt 및 0.411 mol (2.95 mmol)의 트리에틸아민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0.205 ml (1.77 mmol)의 3-메톡시아닐린을 첨가하기 전에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고,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2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고, 2 × 2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상기 수성상을 2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2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로 건조하였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으며, 그리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10 ml의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내에서 적정함으로써 정제하였고, 갈색 고체를 여과에 의해 분리하여 0.529 g (수율 = 80%)의 에틸2-(2-(4-클로로페닐)-5-(모르폴린-4-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444 (MH+); UV 순도 at 254 nm >99%. 1H NMR (300 MHz, DMSO) δ10.27 (s, 1H), 8.00 (s, 1H), 7.55 (q, J = 8.6 Hz, 4H), 7.42 (d, J = 2.1 Hz, 1H), 7.34 (d, J = 8.3 Hz, 1H), 7.26 (t, J = 8.1 Hz, 1H), 6.70 (dd, J = 7.8, 1.8 Hz, 1H), 4.90 (dt, J = 12.5, 6.2 Hz, 1H), 3.76 (s, 3H), 3.70 (s, 2H), 1.16 (d, J = 6.3 Hz, 6H).
상기 유도체 번호 116 내지 118, 168 170을 상기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109
Figure 112015017691318-pct00110
실시예 18: 유도체 번호 119의 제조: 2-(2-(4- 클로로 - 페닐 )-5-((3- 메톡시페닐 ) 카르 바모일)티오펜-3-일)아세트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11
0.1 g (0.225 mmol)의 에틸2-(2-(4-클로로페닐)-5-(모르폴린-4-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2 ml의 메탄올 내에 자기 교반하면서 용해시켰고, 0.248 ml (0.248 mmol)의 1M 소듐히드록사이드 수성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01 ml (0.01 mmol)의 1M 소듐히드록사이드 수성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다시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5 ml의 물 내에 0.019 ml (0.338 mmol)의 아세트산의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중성화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 × 1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1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 0.082 g (수율 = 86%)의 2-(2-(4-클로로페닐)-5-((3-메톡시페닐)카르바모일)티오펜-3-일)아세트산을 수득하였다. LC-MS: m/z = 402 (MH+); UV 순도 at 254 nm = 95%. 1H NMR (300 MHz, DMSO) δ12.69 (s, 1H), 10.29 (s, 1H), 8.03 (s, 1H), 7.66 - 7.49 (m, 4H), 7.42 (t, J = 2.1 Hz, 1H), 7.34 (d, J = 8.4 Hz, 1H), 7.25 (t, J = 8.1 Hz, 1H), 6.69 (dd, J = 8.0, 2.1 Hz, 1H), 3.75 (s, 3H), 3.62 (s, 2H).
상기 유도체 번호들 120 내지 122, 169, 171172를 상기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112
Figure 112015017691318-pct00113
실시예 19: 유도체 번호 123의 제조: 에틸2 -(2-(4- 클로로페닐 )-5-(4- 메톡시벤조일 )티오펜-3-일) 프로파노에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114
0.25 g (0.597 mmol)의 에틸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자기 교반하면서 5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내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20 ℃로 냉각시켰고 그리고 테트라히드로푸란 내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의 2 M의 용액 0.663 ml (1.193 mmol)을 적가하였다. 0.039 ml (0.626 mmol)의 메틸아이오다이드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혼합물을 -2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0 ℃에서 1 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돌아가도록 기다림없이, 상기 혼합물을 10 ml의 물에 부었다. 상기 수성상을 3 × 1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15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디클로로메탄/페트롤륨에테르 구배, 디클로로메탄의 50 내지 70%, v/v). 0.145 g (수율 = 55%)의 에틸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프로파노에이트를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 429 (MH+); UV 순도 at 254 nm = 97%. 1H NMR (300 MHz, DMSO) δ.92 - 7.83 (m, 2H), 7.68 (s, 1H), 7.65 - 7.51 (m, 4H), 7.19 - 7.08 (m, 2H), 4.05 (dt, J = 7.2, 3.4 Hz, 2H), 3.92 - 3.80 (m, 4H), 1.43 (d, J = 7.1 Hz, 3H), 1.13 (t, J = 7.1 Hz, 3H).
상기 유도체 번호 124를 상기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115
실시예 20: 유도체 번호 125의 제조: 이소프로필2 -(2-(4-클로로페닐)-5-(4- 메톡시벤조일 )티오펜-3-일) 프로파노에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116
0.2 g (0.382 mmol)의 이소프로필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자기 교반하면서 3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내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80℃로 냉각시켰고, 그리고 테트라히드로푸란 내의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의 1N 용액 0.765 ml (0.765 mmol)을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다시 -80℃로 냉각시키고 0.058 ml (0.765 mmol)의 메톡시메탄클로라이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혼합물을 -50℃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중탕을 제거하였고, 실온으로 돌아가기 위해 그대로 유지하면서 1 시간 추가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20 ml의 포화 암모늄클로라이드 용액 내로 부었다. 상기 수성상을 2 × 1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15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페트롤륨에테르/디이소프로필에테르 구배, 페트롤륨에테르의 100 내지 0%, v/v). 0.062 g (수율 = 33%)의 에틸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프로파노에이트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 473 (MH+); UV 순도 at 254 nm = 96%. 1H NMR (300 MHz, DMSO) δ7.87 (d, J = 8.6 Hz, 2H), 7.72 (s, 1H), 7.61 (d, J = 8.5 Hz, 4H), 7.14 (d, J = 8.6 Hz, 2H), 4.90 (dt, J = 12.4, 6.1 Hz, 1H), 4.02 - 3.76 (m, 5H), 3.72 - 3.60 (m, 1H), 3.20 (s, 3H), 1.15 (dd, J = 14.8, 6.1 Hz, 6H).
실시예 21: 유도체 번호 126의 제조: 이소프로필2 -(2-(4- 클로로페닐 )-5-( 시클로헥산카르보닐 )티오펜-3-일)-3- 페닐 프로파노에이트
단계 1: 에틸2 -(2-(4- 클로로페닐 )티오펜-3-일)-3- 페닐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17
1 g (3.56 mmol)의 에틸2-(2-(4-클로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아르곤 하에서 5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내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50 ℃로 냉각시켰고 그리고 테트라히드로푸란 내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의 2 M 용액 0.663 ml (3.56 mmol)를 자기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50℃로 냉각시키기 전에 -20℃에서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1.272 ml (10.68 mmol)의 벤질브로마이드를 적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중탕에서 제거하기 전에 -50℃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였고,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복귀시키는 동시에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물 및 얼음으로 이루어진 30 ml의 혼합물 내로 부었다. 상기 수성상을 2 × 2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고,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30 ml의 1N 염산 수성 용액, 30 ml의 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은 진공 속에서 농축되어 오렌지색 오일로서 1.285 g (수율 = 94%)의 에틸2-(2-(4-클로로페닐)티오펜-3-일)-3-페닐-프로파노에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비이온화. 1H NMR (300 MHz, DMSO) δ7.54 (d, J = 5.3 Hz, 1H), 7.43 (d, J = 8.5 Hz, 2H), 7.24 (d, J = 5.3 Hz, 1H), 7.13 (d, J = 7.8 Hz, 6H), 6.99 - 6.86 (m, 2H), 4.04 - 3.91 (m, 2H), 3.85 (t, J = 7.8 Hz, 1H), 3.23 (dd, J = 13.5, 7.6 Hz, 1H), 2.95 (dd, J = 13.5, 8.0 Hz, 1H), 1.03 (t, J = 7.1 Hz, 3H).
단계 2: 2-(2-(4- 클로로페닐 )티오펜-3-일)-3- 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18
1 g (3.56 mmol)의 에틸2-(2-(4-클로로페닐)티오펜-3-일)-3-페닐 프로파노에이트를 자기 교반하면서 10 ml의 에탄올 내로 용해시켰다. 0.311 ml (3.11 mmol)의 10M 소듐히드록사이드 수성 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기 전에 3 일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N 염산 수성 용액을 침전이 일어날 때까지 첨가하였고, 상기 수성상을 2 × 2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40 ml의 물, 4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15 ml의 페트롤륨에테르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혼합물(1/1, v/v) 내에서 적정하면서 정제하였다. 상기 고체는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고, 10 ml의 페트롤륨에테르로 세정하고, 진공 벨자에서 건조하여 0.681 g (수율 = 70%)의 2-(2-(4-클로로페닐)티오펜-3-일)-3-페닐프로피온산을 수득하였다. LC-MS: m/z = 340 (M-H+); UV 순도 at 254 nm >99%. 1H NMR (300 MHz, DMSO) δ12.56 (s, 1H), 7.58 (d, J = 5.3 Hz, 1H), 7.46 (d, J = 8.4 Hz, 2H), 7.27 (d, J = 5.3 Hz, 1H), 7.17 (dd, J = 10.7, 7.7 Hz, 5H), 6.94 (dd, J = 7.3, 1.9 Hz, 2H), 3.83 (t, J = 7.7 Hz, 1H), 2.93 (dd, J = 13.6, 8.1 Hz, 1H).
단계 3: 이소프로필2 -(2-(4- 클로로페닐 )티오펜-3-일)-3- 페닐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19
0.55 g (1.604 mmol)의 2-(2-(4-클로로페닐)티오펜-3-일)-3-페닐프로피온산을 25 ml의 이소프로판올 내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에 한방울의 황산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자기 교반하면서 16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리플럭스시켰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25 ml 내에 넣고, 그리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고; 10 ml의 물 및 0.5 ml의 페트롤륨에테르로 이루어지는 혼합물로 세정하였고; 진공 벨자에서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0.46 g (수율 = 71%)의 이소프로필2-(2-(4-클로로페닐)티오펜-3-일)-3-페닐프로파노에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비이온화. 1H NMR (300 MHz, DMSO) δ7.57 (d, J = 5.3 Hz, 1H), 7.46 (d, J = 8.5 Hz, 2H), 7.34 - 7.05 (m, 6H), 6.96 (d, J = 5.4 Hz, 2H), 4.78 (dt, J = 12.5, 6.2 Hz, 1H), 3.84 (t, J = 7.8 Hz, 1H), 3.24 (dd, J = 13.5, 8.1 Hz, 1H), 2.96 (dd, J = 13.5, 7.6 Hz, 1H), 1.02 (dd, J = 6.2, 3.4 Hz, 6H).
단계 4: 이소프로필2 -(2-(4- 클로로페닐 )-5-(시클로헥산-카르보닐)티오펜-3-일)-3-페닐프로파노에이트( 유도체 번호 126)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20
아르곤 기류하, 플라스크 내에, 2 ml의 디클로로메탄, 0.285 g (2.14 mmol)의 트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0.173 g (1.77 mmol)의 시클로헥산 카르보닐클로라이드 및 3 ml의 디클로로메탄 내 0.429 g (1.07 mmol)의 이소프로필2-(2-(4-클로로페닐)티오펜-3-일)-3-페닐프로파노에이트의 용액을 자기 교반하면서 도입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그런 다음 물과 얼음으로 이루어진 25 ml의 혼합물에 붓고,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수성상을 2 × 1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15 ml의 포화 NaHCO3 수성 용액, 15 ml의 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그런 다음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으며,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디이소프로필에테르/페트롤륨에테르, 1/9, v/v). 0.108 g (수율 = 20%)의 이소프로필2-(2-(4-클로로페닐)-5-(시클로헥산카르보닐)티오펜-3-일)-3-페닐프로파노에이트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 495 (MH+); UV 순도 at 254 nm = 97%. 1H NMR (300 MHz, DMSO) δ8.07 (s, 1H), 7.51 (d, J = 8.3 Hz, 2H), 7.20 (dd, J = 18.0, 7.5 Hz, 5H), 7.00 (d, J = 7.2 Hz, 2H), 4.81 (dt, J = 12.5, 6.2 Hz, 1H), 3.85 (t, J = 7.8 Hz, 1H), 3.10 (dd, J = 13.4, 8.0 Hz, 1H), 1.76 (t, J = 23.5 Hz, 5H), 1.58 - 1.11 (m, 6H), 1.04 (t, J = 6.0 Hz, 6H).
실시예 22: 유도체 번호 127의 제조: 2-(2-(4- 클로로페닐 )-5-(4- 메톡시벤조일 )티오펜-3-일)프로피온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21
0.087 g (0.197 mmol)의 에틸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프로파노에이트를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에탄올 (1/1, v/v)의 1 ml의 혼합물 내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에 0.197 ml (0.197 mmol)의 1N 소듐히드록사이드 수성 용액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10 ml의 물에 넣고, 상기 수성상을 10 ml의 메틸 터셔리-부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수성상에 1N 염산 수성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pH = 3~4까지 산성화시켰다. 상기 수성상을 3 × 1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2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시켜 백색고체로서 0.077 g (수율=95%)의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프로피온산을 수득하였다. LC-MS: m/z = 401 (MH+); UV 순도 at 254 nm = 97%. 1H NMR (300 MHz, DMSO) δ7.97 - 7.79 (m, 4H), 7.73 (s, 1H), 7.57 (t, J = 10.0 Hz, 2H), 7.13 (d, J = 8.8 Hz, 2H), 3.88 (s, 3H), 3.46 (d, J = 7.1 Hz, 2H), 1.25 (d, J = 7.0 Hz, 3H).
상기 유도체 128은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122
실시예 23: 유도체 번호 129의 제조: 에틸2 -(2-(4- 플루오로 -2- 메톡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단계 1: 에틸2 -(티오펜-3-일)아세테이트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23
10.75 g (74.1 mmol)의 2-(티오펜-3-일)아세트산을 100 ml의 에탄올 내에 용해시켰고, 6 ml (72 mmol)의 황산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리플럭스하면서 자기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물 및 얼음으로 이루어진 100 ml의 혼합물로 처리하였다. 상기 수성상을 2 × 10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100 ml의 물, 100 ml의 포화 NaHCO3 수성 용액 및 10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시켜 무색 오일로서 12.27 g (수율=97%)의 에틸2-(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비이온화. 1H NMR (300 MHz, CDCl3) δ7.24 (dd, J = 6.0, 3.0 Hz, 1H), 7.16 - 7.07 (m, 1H), 7.02 (dd, J = 4.9, 1.1 Hz, 1H), 4.13 (q, J = 7.1 Hz, 2H), 3.62 (s, 2H), 1.23 (t, J = 7.1 Hz, 3H).
단계 2: 에틸2 -(2-브로모티오펜-3-일)아세테이트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24
12.2 g (71.7 mmol)의 에틸2-(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자기 교반하면서 100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내에 용해시켰고, 121.7 mmol의 N-브로모숙신이미드를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상기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리플럭스하면서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최소한의 페트롤륨에테르에 넣어, 실리카겔 상에서 여과하였고(용출액: 디클로로메탄 100%), 옅은 황색 오일로서 18.38 g (수율=88%)의 에틸2-(2-브로모-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비이온화. 1H NMR (300 MHz, CDCl3) δ7.27 - 7.16 (m, 1H), 7.03 - 6.86 (m, 1H), 4.12 (qd, J = 7.1, 3.2 Hz, 2H), 3.64 - 3.48 (m, 2H), 1.22 (td, J = 7.1, 1.4 Hz, 3H).
단계 3: 에틸2 -(2-(4- 플루오로 -2- 메톡시페닐 )티오펜-3-일)아세테이트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25
0.7 g (2.53 mmol)의 에틸2-(2-브로모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아르곤 가스하에서 톨루엔 및 에탄올 (1/1, v/v)로 이루어진 10 ml의 혼합물 내에 용해시켰고, 0.645 g (3.79 mmol)의 4-플루오로-2-메톡시페닐보론산, 8.85 ml (17.7 mmol)의 2M Na2CO3 수성 용액 및 0.148 g (0.126 mmol)의 팔라듐[0]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리플럭스하면서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 셀라이트(celite) 상에서 여과하기 전에 상기 혼합물을 붓고, 15 ml의 물 및 1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시켰다. 분리 후에, 상기 수성상을 2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10 ml의 물, 1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페트롤륨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구배, 페트롤륨에테르의 100 내지 90%, v/v). 0.529 g (수율=70%)의 에틸2-(2-(4-플루오로-2-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옅은 황색 폼(foam)으로 수득하였다. LC-MS: m/z = 295 (MH+); UV 순도 at 254 nm = 83%. 1H NMR (300 MHz, CDCl3) δ7.51 (d, J = 5.2 Hz, 1H), 7.26 (dd, J = 8.4, 6.9 Hz, 1H), 7.09 - 7.00 (m, 2H), 6.84 (td, J = 8.4, 2.5 Hz, 1H), 4.01 (q, J = 7.1 Hz, 2H), 3.74 (s, 3H), 3.41 (s, 2H), 1.13 (t, J = 7.1 Hz, 3H).
단계 4: 에틸2 -(2-(4- 플루오로 -2- 메톡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유도체 번호 129)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26
아르곤 기류하, 플라스크 내에, 5 ml의 디클로로메탄, 0.583 g (4.37 mmol)의 트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2 ml의 디클로로메탄 내 0.19 ml (1.924 mmol)의 2-푸로일클로라이드의 용액 및 2 ml의 디클로로메탄 내 0.52 g (1.749 mmol)의 에틸2-(2-(4-플루오로-2-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의 용액을 자기교반하면서 도입하였다. 물 및 얼음으로 이루어진 15 ml의 혼합물 내에 붓고, 30 분 동안 교반하기 전에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리플럭스시키며 교반하였고, 그런 다음 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5 ml의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였고, 그리고 상기 혼합물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하였다. 분리 후, 상기 수성상을 2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20 ml의 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으며,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페트롤륨에테르/디이소프로필에테르 구배, 페트롤륨에테르의 100 내지 0%, v/v). 0.287 g (수율=41%)의 에틸2-(2-(4-플루오로-2-메톡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 389 (MH+); UV 순도 at 254 nm = 98%. 1H NMR (300 MHz, DMSO) δ8.19 - 8.11 (m, 2H), 7.56 (d, J = 3.6 Hz, 1H), 7.37 (dd, J = 8.5, 6.8 Hz, 1H), 7.11 (dd, J = 11.4, 2.4 Hz, 1H), 6.91 (td, J = 8.4, 2.5 Hz, 1H), 6.84 (dd, J = 3.6, 1.7 Hz, 1H), 4.04 (q, J = 7.1 Hz, 2H), 3.78 (s, 3H), 3.53 (s, 2H), 1.14 (t, J = 7.1 Hz, 3H).
상기 유도체의 번호 130 내지 134를 상기 4단계의 동일한 순서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127
Figure 112015017691318-pct00128
실시예 24: 유도체 번호 135의 제조 135: 2-(2-(4- 클로로페닐 )-5-(4- 메톡시벤조일 )티오펜-3-일)프로피온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29
0.207 g (0.522 mmol)의 에틸2-(2-(4-플루오로-2-메톡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에탄올 (1/2, v/v)로 이루어진 3 ml의 혼합물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에 0.057 ml (0.575 mmol)의 10N 소듐히드록사이드 수성 용액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10 ml의 물에 넣고, 그런 다음, 상기 수성상에 12N 염산 수성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pH = 2~3까지 산성화시켰다. 2 ml의 페트롤륨에테르를 첨가하였고, 그리고 상기 혼합물을 격렬하게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 벨자에 건조하기 전,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고, 5 ml의 물 및 5 ml의 페트롤륨에테르로 세정하여 0.136 g (수율=70%)의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프로피온산을 수득하였다. LC-MS: m/z = 361 (MH+); UV 순도 at 254 nm = 98%. 1H NMR (300 MHz, DMSO) δ12.44 (s, 1H), 8.15 (s, 2H), 7.56 (d, J = 3.6 Hz, 1H), 7.38 (dd, J = 8.4, 6.8 Hz, 1H), 7.11 (dd, J = 11.4, 2.4 Hz, 1H), 6.91 (td, J = 8.4, 2.4 Hz, 1H), 6.86 - 6.77 (m, 1H), 3.78 (s, 3H), 3.44 (s, 2H).
상기 유도체 136137은 상기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130
실시예 25: 유도체 번호 138의 제조 138: 2-(2-(4- 플루오로 -2- 히드록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31
0.122 g (0.816 mmol)의 D,L-메티오닌을 자기 교반하면서 0.882 ml (13.69 mmol)의 메탄술폰산 내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0.1 g (0.272 mmol)의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프로피온산을 첨가하였다. 0.041 g (0.272 mmol)의 D,L-메티오닌을 24 시간마다 첨가하는 동안 상기 혼합물을 4 일 동안 80 ℃에서 가열하였다(즉 4 일 동안 3 회의 첨가).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물 및 얼음으로 이루어진 15 ml의 혼합물 내에 부었다. 상기 수성상을 15 ml의 이소부탄올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상을 15 ml의 물 및 15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분취형(preparative) HPLC/MS에 의해 정제하였으며, 옅은 황색 고체로서 0.02 g (수율=21%)의 2-(2-(4-플루오로-2-히드록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을 수득하였다. LC-MS: m/z = 347 (MH+); UV 순도 at 254 nm = 97%. 1H NMR (300 MHz, DMSO) δ11.66 (s, 1H), 8.14 (s, 2H), 7.55 (d, J = 4.0 Hz, 1H), 7.29 (dd, J = 8.9, 6.9 Hz, 1H), 6.83 (dd, J = 3.6, 1.7 Hz, 1H), 6.75 (t, J = 8.1 Hz, 2H), 3.51 (s, 2H).
실시예 26: 유도체 번호 139의 제조: 에틸2 -(2-(4- 시아노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단계 1: 에틸2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32
아르곤 기류 하에 놓여진 플라스크 내, 25 ml의 디클로로메탄, 7.84 g (0.585 mmol)의 트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10 ml의 디클로로메탄 내 3.35 ml (32.3 mmol)의 2-푸로일클로라이드의 용액, 및 10 ml의 디클로로메탄 내 5 g (29.35 mmol)의 에틸2-(티오펜-3-일)아세테이트의 용액을 자기 교반하면서 도입하였다. 물 및 얼음으로 이루어진 75 ml의 혼합물 내에 붓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기 전에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리플럭스하면서 교반하였다. 상기 수성상을 2 × 5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75 ml의 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페트롤륨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구배, 페트롤륨에테르의 100 내지 80%, v/v). 5.9 g (수율=72%)의 에틸2-(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 265 (MH+); UV 순도 at 254 nm = 95%. 1H NMR (300 MHz, DMSO) δ8.12 (s, 2H), 7.88 (s, 1H), 7.54 (d, J = 3.6 Hz, 1H), 6.82 (dd, J = 3.6, 1.7 Hz, 1H), 4.11 (q, J = 7.1 Hz, 2H), 3.79 (s, 2H), 1.21 (t, J = 7.1 Hz, 3H).
단계 2: 에틸2 -(2-(4- 시아노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유도체 번호 139)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33
1.189 g (4.27 mmol)의 에틸2-(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자기 교반하면서 20 ml의 DMSO 내에 용해시켰고, 그런 다음 0.999 g (4.27 mmol)의 4-아이오도벤조니트릴, 0.497 g (8.55 mmol)의 포타슘플루오라이드, 0.6 g (0.855 mmol)의 Pd(Cl)2(PPh3)2 및 1.452 g (8.55 mmol)의 질산은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0분 동안 130℃에서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물과 얼음으로 이루어진 100 ml의 혼합물 내로 부었다. 상기 수성상을 2 × 5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50 ml의 물 및 5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20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에 넣었고, 실리카겔 상에서 여과하였다 (용출액 디클로로메탄 100%).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에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페트롤륨에테르/디이소프로필에테르 구배, 페트롤륨에테르 100 내지 0% , v/v). 254 mg (수율=15%)의 에틸2-(2-(4-시아노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 366 (MH+); UV 순도 at 254 nm = 94%. 1H NMR (300 MHz, DMSO) δ8.18 (d, J = 15.8 Hz, 2H), 7.99 (d, J = 8.3 Hz, 2H), 7.75 (d, J = 8.3 Hz, 2H), 7.61 (d, J = 3.6 Hz, 1H), 6.85 (dd, J = 3.6, 1.6 Hz, 1H), 4.06 (q, J = 7.1 Hz, 2H), 3.85 (s, 2H), 1.14 (t, J = 7.1 Hz, 3H).
실시예 27: 유도체 번호 140의 제조: 2-(2-(4- 시아노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34
0.189 g (0.491 mmol)의 에틸2-(2-(4-시아노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에탄올 (1/2, v/v)의 1.5 ml의 혼합물 내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에 0.054 ml (0.541 mmol)의 10N 소듐히드록사이드 수성 용액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10 ml의 물에 넣고, 상기 수성상에 4N 염산 수성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pH = 2~3까지 산성화시켰다. 상기 수성상을 2 × 1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20 ml의 물 및 2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10 ml의 물에 넣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으며, 상기 수득된 고체는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물로 세정하여 166 mg (수율=68%)의 2-(2-(4-시아노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을 수득하였다. LC-MS: m/z = 비이온화. 1H NMR (300 MHz, DMSO) δ12.69 (s, 1H), 8.21 (s, 1H), 8.16 (d, J = 0.8 Hz, 1H), 8.00 (d, J = 8.2 Hz, 2H), 7.76 (d, J = 8.3 Hz, 2H), 7.61 (d, J = 3.6 Hz, 1H), 6.85 (dd, J = 3.6, 1.6 Hz, 1H), 3.75 (s, 2H).
실시예 28: 유도체 번호 141의 제조: 2-(2-(4- 시아노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N-(2-(디메틸아미노)에틸) 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5017691318-pct00135
0.125 g (0.371 mmol)의 2-(2-(4-시아노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을 5 ml의 디클로로메탄 및 0.1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의 혼합물 내에서 용해시켰다. 0.045 ml (0.408 mmol)의 N,N-디메틸에탄-1,2-디아민, 0.178 g (0.926 mmol)의 EDC.HCl 및 0.055 g (0.408 mmol)의 HOBt을 상기 용액에, 0℃에서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30 ml의 물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수성상을 3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고, 상기 유기상을 10 ml의 포화 NaHCO3 수성 용액, 10 ml의 물 및 1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그리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0.16 g (수율=30%)의 2-(2-(4-시아노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N-(2-(디메틸아미노)에틸)아세트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 408 (MH+); UV 순도 at 254 nm = 98%. 1H NMR (300 MHz, DMSO) δ8.20 (s, 1H), 8.15 (d, J = 1.0 Hz, 2H), 7.98 (d, J = 8.4 Hz, 2H), 7.88 (d, J = 8.4 Hz, 2H), 7.58 (d, J = 3.5 Hz, 1H), 6.86 (dd, J = 3.6, 1.7 Hz, 1H), 3.56 (s, 2H), 3.16 (dd, J = 12.3, 6.4 Hz, 2H), 2.27 (t, J = 6.6 Hz, 2H), 2.13 (s, 6H).
실시예 29: 유도체 번호 142의 제조: 2-(2-(4- 시아노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N-(2-(디메틸아미노)에틸) 아세트아미드
단계 1: 2-(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36
2 g (7.57 mmol)의 에틸2-(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10 ml의 에탄올 내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에 0.832 ml (8.32 mmol)의 10N 소듐히드록사이드 수성 용액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15 ml의 물에 넣고, 상기 수성상을 2 × 1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12N 염산 수성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pH = 1~2까지 산성화시켰다. 상기 수성상을 2 × 1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15 ml의 물 및 15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1.715 g (수율=96%)의 2-(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 비이온화. 1H NMR (300 MHz, DMSO) δ12.43 (s, 1H), 8.11 (s, 2H), 7.86 (s, 1H), 7.54 (d, J = 3.6 Hz, 1H), 6.81 (dd, J = 3.6, 1.7 Hz, 1H), 3.70 (s, 2H).
단계 2: N-(2-(디메틸아미노)에틸)-2-(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 아세트아미 드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37
0.416 g (1.761 mmol)의 2-(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을 5 ml의 디클로로메탄 및 0.1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의 혼합물 내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0 ℃에서 자기 교반하면서 0.212 ml (1.937 mmol)의 N,N-디메틸에탄-1,2-디아민, 0.844 g (4.4 mmol)의 EDC.HCl 및 0.262 g (1.937 mmol)의 HOBt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30 ml의 물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수성상을 3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고, 상기 유기상을 10 ml의 포화 NaHCO3 수성 용액, 10 ml의 물 및 1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그리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0.16 g (수율 =30%)의 2-(2-(4-시아노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N-(2-(디메틸아미노)에틸)아세트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 비이온화. 1H NMR (300 MHz, DMSO) δ8.07 (dd, J = 3.8, 1.2 Hz, 2H), 7.77 (s, 1H), 7.51 (d, J = 3.2 Hz, 1H), 6.79 (dd, J = 3.6, 1.7 Hz, 1H), 3.50 (s, 2H), 3.15 (t, J = 6.6 Hz, 2H), 2.31 (t, J = 6.6 Hz, 2H), 2.13 (s, 6H).
단계 3: 2-(2-(3- 시아노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N-(2-(디메틸아미노)에틸) 아세트아미드 (유도체 번호 142)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38
0.16 g (0.522 mmol)의 2-(2-(4-시아노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N-(2-(디메틸아미노) 에틸)아세트아미드를 2 ml의 DMSO 내에 자기 교반하면서 용해시켰고, 그런 다음 0.12 g (0.522 mmol)의 3-아이오도벤조니트릴, 0.061 g (1.044 mmol)의 포타슘플루오라이드, 0.073 g (0.104 mmol)의 Pd(Cl)2(PPh3)2 및 0.177 g (1.044 mmol)의 질산은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30 ℃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물과 얼음으로 이루어진 100 ml의 혼합물 내로 부었다. 상기 수성상을 2 × 5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50 ml의 물 및 5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20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에 넣고, 그리고 실리카겔 상에서 여과하였다 (용출액 디클로로메탄 100%).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그리고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에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페트롤륨에테르/디이소프로필에테르 구배, 페트롤륨에테르의 100 내지 0%, v/v). 옅은 황색 고체로서 45 mg (수율=21%)의 에틸2-(2-(4-시아노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408 (MH+); UV 순도 at 254 nm = 99%. 1H NMR (300 MHz, DMSO) δ8.18 (s, 1H), 8.12 (d, J = 6.4 Hz, 2H), 7.94 (t, J = 7.7 Hz, 2H), 7.71 (t, J = 7.8 Hz, 1H), 7.57 (d, J = 3.6 Hz, 1H), 6.83 (dd, J = 3.6, 1.7 Hz, 1H), 3.18 (t, J = 6.6 Hz, 2H), 2.20 (s, 6H).
실시예 30: 유도체 번호 143의 제조: 이소프로필2 -(2-(4- 클로로 -2- 플루오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단계 1: 이소프로필2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39
1 g (4.23 mmol)의 2-(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을 10 ml의 이소프로판올 내에 용해시켰고, 1 방울의 황산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리플럭스하면서 자기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15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에 넣고, 상기 유기상을 10 ml의 포화 NaHCO3 수성 용액 및 10 ml의 물로 세정하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은 진공 속에서 농축되어 오렌지색 오일로서 0.667 g (수율=53%)의 이소프로필2-(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279 (MH+); UV 순도 at 254 nm = 94%
단계 2: 이소프로필2 -(2-(4- 클로로 -2- 플루오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유도체 번호 143)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40
0.66 g (2.29 mmol)의 이소프로필2-(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자기 교반하면서 10 ml의 DMSO 내에 용해시켰고, 그런 다음 0.572 g (2.29 mmol)의 4-클로로-2-플루오로-1-아이오도벤젠, 0.259 g (4.46 mmol)의 포타슘플루오라이드, 0.313 g (0.446 mmol)의 Pd(Cl)2(PPh3)2 및 0.757 g (4.46 mmol)의 질산은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30 ℃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물과 얼음으로 이루어진 100 ml의 혼합물 내로 부었다. 상기 수성상을 2 × 5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50 ml의 물 및 5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20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에 넣고, 그리고 실리카겔 상에서 여과하였다 (용출액: 디클로로메탄 100%).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에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페트롤륨에테르/디클로로메탄 구배, 페트롤륨에테르의 100 내지 0% 구배, v/v). 옅은 황색 고체로서 135 mg (수율= 1%)의 이소프로필2-(2-(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407 (MH+); UV 순도 at 254 nm = 97%. 1H NMR (300 MHz, DMSO) δ8.18 (d, J = 16.2 Hz, 2H), 7.82 - 7.29 (m, 5H), 6.85 (s, 1H), 4.83 (dt, J = 12.2, 6.0 Hz, 1H), 3.64 (s, 2H), 1.12 (d, J = 6.1 Hz, 6H).
실시예 31: 유도체 번호 144의 제조: 2-(2-(4- 클로로 -2- 플루오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41
0.115 g (0.283 mmol)의 이소프로필2-(2-(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3 ml의 이소프로판올 내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에 0.028 ml (0.283 mmol)의 10N 소듐히드록사이드 수성 용액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15 ml의 물에 넣고, 상기 수성상을 15 ml의 메틸 터셔리-부틸에테르로 세정하고, 그런 다음, 상기 수성상에 4N 염산 수성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pH = 1~2까지 산성화시켰다. 상기 수성상을 2 × 1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15 ml의 물 및 15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10 ml의 물 내에 넣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수득된 고체는 여과에 의해 분리되었고, 물로 세정하여 71 mg (수율 = 63%)의 2-(2-(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을 수득하였다. LC-MS: m/z = 365 (MH+); UV 순도 at 254 nm = 91%. 1H NMR (300 MHz, DMSO) δ12.54 (s, 1H), 8.18 (d, J = 14.1 Hz, 2H), 7.68 (d, J = 10.0 Hz, 1H), 7.58 (dd, J = 13.0, 5.8 Hz, 2H), 7.46 (d, J = 10.3 Hz, 1H), 6.91 - 6.75 (m, 1H), 3.57 (s, 2H).
실시예 32: 유도체 번호 145의 제조: 2-(2-(4- 플루오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 아세토니트릴
단계 1: 2-(4- 플루오로페닐 )-3- 메틸티오펜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42
1 g (4.46 mmol)의 4,4,5,5-테트라메틸-2-(3-메틸티오펜-2-일)-1,3,2-디옥사보로란(dioxaborolane)을 아르곤 하에서 15 ml의 톨루엔 내에 용해시켰고, 0.781 g (4.46 mmol)의 1-브로모-4-플루오로벤젠, 15.62 ml (31.2 mmol)의 2M Na2CO3 수성 용액 및 0.26 g (0.223 mmol)의 팔라듐[0]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리플럭스하면서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셀라이트 상에 여과하였다. 상기 수성상을 2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상을 10 ml의 물, 1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으며,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페트롤륨에테르 100%). 0.509 g (수율=51%)의 2-(4-플루오로페닐)-3-메틸티오펜을 오일로서 수득하였고, 그리고 다음 단계에 직접 적용하였다.
단계 2: (5-(4- 플루오로페닐 )-4- 메틸티오펜 -2-일)(푸란-2-일)메탄온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43
아르곤 기류하에 놓여진 플라스크 내에, 20 ml의 디클로로메탄, 0.5 g (2.237 mmol)의 2-(4-플루오로페닐)-3-메틸티오펜, 0.265 ml (2.68 mmol)의 2-푸로일클로라이드를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부분적으로(portion wise) 0.328 g (2.46 mmol)의 트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5℃에 냉각시켰다. 물 및 디클로로메탄 (2/1, v/v)으로 이루어진 150 ml의 혼합물 내에 붓고,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기 전에,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셀라이트 상에 여과하였다. 분리 후, 상기 수성상을 5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고,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50 ml의 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페트롤륨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구배), 페트롤륨에테르의 100 내지 75%, v/v). 폼으로서 0.58 g (수율=89%)의 (5-(4-플루오로페닐)-4-메틸티오펜-2-일)(푸란-2-일)메탄온. LC-MS: m/z = 287 (MH+); UV 순도 at 254 nm = 88%. 1H NMR (300 MHz, DMSO) δ8.13 (dd, J = 1.6, 0.7 Hz, 1H), 8.09 (s, 1H), 7.62 (ddd, J = 6.3, 4.2, 3.0 Hz, 3H), 7.36 (t, J = 8.9 Hz, 2H), 6.83 (dd, J = 3.6, 1.7 Hz, 1H), 2.34 (s, 3H).
단계 3: (4-( 브로모메틸 )-5-(4- 플루오로페닐 )티오펜-2-일)(푸란-2-일) 메탄온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44
0.56 g (1.741 mmol)의 (5-(4-플루오로페닐)-4-메틸티오펜-2-일)(푸란-2-일)메탄온을 자기 교반하면서 15 ml의 카본테트라클로라이드 내에 용해시키고, 그런 다음 0.286 g (1.741 mmol)의 AIBN 및 0.31 g (1.741 mmol)의 N-브로모숙신이미드를 첨가하였다. 0.043 g (0.26 mmol)의 AIBN 및 0.047 g (0.26 mmol)의 N-브로모숙신이미드를 3 시간 및 6 시간에 첨가하는 동안에, 상기 혼합물을 300 와트 광(light) 하에서 9 시간 동안 리플럭스하면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물 및 얼음으로 이루어진 50 ml의 혼합물에 넣고, 상기 수성상을 3 × 5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10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페트롤륨에테르/디이소프로필에테르 구배, 페트롤륨에테르의 100 내지 66%, v/v). 고체로서 0.308 g (수율 = 36%)의 (4-(브로모메틸)-5-(4-플루오로페닐)티오펜-2-일)(푸란-2-일)메탄온. LC-MS: m/z = 367 (MH+); UV 순도 at 254 nm = 75%. 1H NMR (300 MHz, DMSO) δ7.98 (s, 1H), 7.89 (dd, J = 12.5, 8.0 Hz, 3H), 7.74 (d, J = 7.7 Hz, 1H), 7.67 (d, J = 5.2 Hz, 1H), 7.26 (d, J = 5.2 Hz, 1H), 4.70 (s, 2H), 1.74 - 1.51 (m, 6H), 1.43 (s, 3H).
단계 4: 2-(2-(4- 플루오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 아세토니트릴 (유도체 번호 145)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45
0.3 g (0.616 mmol)의 (4-(브로모-메틸)-5-(4-플루오로페닐)티오펜-2-일)(푸란-2-일)메탄온을 자기 교반하면서 10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내에 용해시키고, 그런 다음, 0.044 g (0.678 mmol)의 시안화칼륨 및 1 ml의 물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리플럭스하면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15 ml의 물 내에 넣고, 상기 수성상을 2 × 1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15 ml의 물 및 15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Mg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분취형 HPLC/MS에 의해 정제하였다. 옅은 황색 고체로서 0.024 g (수율=11%)의 2-(2-(4-플루오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토니트릴을 수득하였다. LC-MS: m/z = 312 (MH+); UV 순도 at 254 nm = 94%. 1H NMR (300 MHz, DMSO) δ 8.25 (s, 1H), 8.18 (s, 1H), 7.74 - 7.57 (m, 3H), 7.41 (t, J = 8.8 Hz, 2H), 6.86 (dd, J = 3.6, 1.7 Hz, 1H), 4.13 (s, 2H).
실시예 33: 유도체 번호 146의 제조: 2-(2- 페닐 -5- 피콜리노일티오펜 -3-일) 아세토니트릴
단계 1: 5- 브로모 -4- 메틸티오펜 -2- 카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46
5 g (21.27 mmol)의 메틸 5-브로모-4-메틸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를 250 ml의 에탄올 내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에 106 ml (106 mmol)의 1N 소듐히드록사이드 수성 용액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250 ml의 물에 넣고, 100 ml의 1N 염산 수성 용액을 첨가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고, 최소한의 물 및 10 ml의 펜탄으로 세정하였다. 상기 백색 고체를 진공 벨자에 건조하였고, 3.63 g (수율=76%)의 5-브로모-4-메틸티오펜-2-카르복실산을 수득하였다. LC-MS: m/z = 219 (M-H+); UV 순도 at 254 nm >99%. 1H NMR (300 MHz, DMSO) δ13.34 (s, 1H), 7.53 (s, 1H), 2.15 (s, 3H).
단계 2: 5- 브로모 -N- 메톡시 -N,4-디메틸티오펜-2- 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47
3.63 g (16.26 mmol)의 5-브로모-4-메틸티오펜-2-카르복실산을 자기 교반하면서 디클로로메탄 내에 용해시켰고, 이어서 4.27 ml (48.8 mmol)의 옥살릴클로라이드 및 한방울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첨가하였다. 진공 속에서 농축하기 전에,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75 ml의 디클로로메탄/피리딘 혼합물 (2/1, v/v) 내에 넣고, 이어서 2.427 g (24.38 mmol)의 N,O-디메틸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00 ml의 물 내에 붓기 전에,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수성상을 3 × 15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2 × 150 ml의 1N 염산 수성 용액, 150 ml의 물 및 15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갈색 오일로서 4.32 g (수율=100%)의 5-브로모-N-메톡시-N,4-디메틸티오펜-2-카르복사미드를 수득하였다. LC-MS: m/z = 265 (MH+); UV 순도 at 254 nm >99%. 1H NMR (300 MHz, DMSO) δ7.64 (s, 1H), 3.76 (s, 3H), 3.26 (s, 3H), 2.17 (s, 3H).
단계 3: (5- 브로모 -4- 메틸티오펜 -2-일)(피리딘-2-일) 메탄온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48
아르곤 하에 놓여진 플라스크 내에, 25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0.407 ml (3.75 mmol)의 2-아이오도피리딘 및 3.75 ml (3.75 mmol)의 에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를 0℃에서 도입하였고, 냉각 중탕을 빼내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25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내의 1 g (3.75 mmol)의 5-브로모-N-메톡시-N,4-디메틸티오펜-2-카르복사미드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75 ml의 포화 암모늄클로라이드 수성 용액 내에 붓기 전,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유기상을 3 × 100 ml의 에틸아세테이트, 100 ml의 포화 NaHCO3 수성 용액, 100 ml의 물, 10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그리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헵탄/에틸아세테이트 구배, 헵탄의 95% 내지 75%, v/v). 백색고체로서 0.357 g (수율=33%)의 (5-브로모-4-메틸티오펜-2-일)(피리딘-2-일)메탄온을 수득하였다. LC-MS: m/z = 283 (MH+); UV 순도 at 254 nm >99%. 1H NMR (300 MHz, DMSO) δ8.79 (s, 1H), 8.08 (d, J = 26.9 Hz, 3H), 7.73 (s, 1H), 2.22 (s, 3H).
단계 4: (4- 메틸 -5- 페닐티오펜 -2-일)(피리딘-2-일) 메탄온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49
마이크로파에 적합한 반응기에, 디메틸 에테르, 에탄올 및 물 (1/1/1, v/v/v)로 이루어진 3 ml의 혼합물, 0.357 g (1.253 mmol)의 5-브로모-4-메틸티오펜-2-일)(피리딘-2-일)메탄온, 0.816 g (2.505 mmol)의 세슘카보네이트 및 0.229 g (1.879 mmol)의 페닐보론산을 자기 교반하면서 도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50℃에서 15분 동안 조사(irradiated)하였다. 일단 실온으로 되돌렸고, 상기 반응 중간물을 3 × 1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1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그리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헵탄/에틸아세테이트 구배, 헵탄의 100% 내지 95%, v/v). 옅은 황색 고체로서 0.321 g (수율 = 91%)의 (4-메틸-5-페닐티오펜-2-일)(피리딘-2-일)메탄온을 수득하였다. LC-MS: m/z = 280 (MH+); UV 순도 at 254 nm >99%. 1H NMR (300 MHz, DMSO) δ 8.85 - 8.77 (m, 1H), 8.19 (s, 1H), 8.17 - 8.02 (m, 2H), 7.78 - 7.67 (m, 1H), 7.65 - 7.39 (m, 5H), 2.35 (s, 3H).
단계 5: (4-( 브로모메틸 )-5- 페닐티오펜 -2-일)(피리딘-2-일) 메탄온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50
0.157 g (0.556 mmol)의 (4-메틸-5-페닐티오펜-2-일)(피리딘-2-일)메탄온을 자기 교반하면서 4.5 ml의 카본테트라클로라이드 내에 용해시켰고, 그런 다음 0.091 g (0.556 mmol)의 AIBN 및 0.099 g (0.556 mmol)의 N-브로모숙신이미드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 시간 동안 리플럭스하면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물 및 얼음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30 ml 내에 부었고, 상기 수성상을 3 × 2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5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헵탄/에틸아세테이트, 헵탄의 95%, v/v). 옅은 황색 고체로서 0.199 g (수율 = 56%)의 (4-(브로모메틸)-5-페닐티오펜-2-일)(피리딘-2-일)메탄온을 수득하였다. LC-MS: m/z = 359 (MH+); UV 순도 at 254 nm = 82%. 1H NMR (300 MHz, DMSO) δ8.89 - 8.74 (m, 1H), 8.23 - 7.98 (m, 4H), 7.82 - 7.34 (m, 5H), 4.76 (s, 2H).
단계 6: 2-(2- 페닐 -5- 피콜리노일티오펜 -3-일) 아세토니트릴 (유도체 번호 146)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51
0.135 g (0.309 mmol)의 (4-(브로모메틸)-5-페닐티오펜-2-일)(피리딘-2-일)메탄온을 6 ml의 에탄올 내에 자기 교반하면서 용해시켰고, 이어서 0.024 g (0.361 mmol)의 시안화칼륨 및 0.5 ml의 물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5 ℃에서 90 분 동안 교반하기 전에,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그리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1/1, v/v)로 이루어진 20 ml의 혼합물에 넣었다. 분리 후, 상기 수성상을 2 × 1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2 × 15 ml의 물로 세정하였고 그리고 그런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헵탄/에틸아세테이트 구배, 헵탄의 95 내지 90%, v/v). 백색고체로서 0.033 g (수율=36%)의 2-(2-페닐-5-피콜리노일티오펜-3-일)아세토니트릴을 수득하였다. LC-MS: m/z = 305 (MH+); UV 순도 at 254 nm = 99%. 1H NMR (300 MHz, DMSO) δ8.91 - 8.76 (m, 1H), 8.36 (s, 1H), 8.25 - 8.03 (m, 2H), 7.75 (ddd, J = 7.2, 4.7, 1.6 Hz, 1H), 7.66 - 7.41 (m, 5H), 4.14 (s, 2H).
상기 화합물 147은 1 내지 6의 상기 동일한 순서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152
실시예 34: 유도체 번호 148의 제조: 에틸2 -(2-(4- 클로로페닐 )-5- 피콜리노일티오펜 -3-일)아세테이트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53
0.2 g(0.578 mmol)의 2-(2-(4-클로로페닐)-5-피콜리노일티오펜-3-일)아세토니트릴을 5 ml의 메탄올 내에 자기 교반하면서 용해시켰고, 백색 현탁액을 수득하였고, 0.1 ml (1.876 mmol)의 황산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8 일 동안 리플럭스하면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그리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1/1, v/v)로 이루어진 20 ml의 혼합물에 넣었다. 분리 후, 상기 수성상을 2 × 1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2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헵탄/에틸아세테이트 구배, 헵탄의 85% 내지 70%, v/v). 백색고체로서 0.215 g (수율=60%)의 에틸2-(2-(4-클로로페닐)-5-피콜리노일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372 (MH+); UV 순도 at 254 nm = 99%. 1H NMR (300 MHz, DMSO) δ8.86 - 8.77 (m, 1H), 8.26 (s, 1H), 8.19 - 8.04 (m, 2H), 7.73 (s, 1H), 7.58 (d, J = 3.0 Hz, 4H), 3.80 (s, 2H), 3.61 (s, 3H).
실시예 35: 유도체 번호 149의 제조: 2-(2-(4- 클로로페닐 )-5- 피콜리노일티오펜 -3-일)아세트산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54
0.099 g (0.264 mmol)의 에틸2-(2-(4-클로로페닐)-5-피콜리노일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6 ml의 메탄올 내에 자기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0.527 ml (0.527 mmol)의 1N NaOH 수성 용액을 첨가하였다. 진공 속에서 농축하기 전, 상기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잔여물을 5 ml의 물 내에 넣고, 그리고 1N 염산 수성 용액을 침전물이 생길 때까지 첨가하였고,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고, 진공 벨자에서 건조하였다. 0.07 g (수율=73%)의 2-(2-(4-클로로페닐)-5-피콜리노일티오펜-3-일)아세트산을 수득하였다. LC-MS: m/z = 358 (M-H+); UV 순도 at 254 nm = 99%. 1H NMR (300 MHz, DMSO) δ12.57 (s, 1H), 8.81 (d, J = 4.4 Hz, 1H), 8.27 (s, 1H), 8.19 - 8.04 (m, 2H), 7.73 (m, 1H), 7.59 (m, 4H), 3.68 (s, 2H).
실시예 36: 유도체 번호 150의 제조: (2-(4- 클로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 아세토니트릴
단계 1: 2-(2- 브로모티오펜 -3-일) 아세토니트릴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55
5.9 g (46 mmol)의 2-(티오펜-3-일)아세토니트릴을 자기 교반하면서 25 ml의 카본테트라클로라이드 내에 용해시켰고, 그리고 8.27 g (46 mmol)의 N-브로모숙신이미드를 첨가하였다. 격렬한 교반 하에서, 0.04 ml (0.460 mmol)의 과염소산을 첨가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4.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155 g (1.839 mmol)의 중탄산나트륨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고체는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그리고 상기 여과액은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헵탄/에틸아세테이트, 9/1, v/v). 옅은 황색 오일로서 8.47 g (수율=57%)의 2-(2-브로모티오펜-3-일)아세토니트릴을 수득하였다. LC-MS: m/z = 비이온화. 1H NMR (300 MHz, DMSO) δ1H NMR (300 MHz, DMSO) δ7.67 (d, J = 5.6 Hz, 1H), 7.08 (d, J = 5.6 Hz, 1H), 3.93 (s, 2H).
단계 2: 2-(2- 브로모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 아세토니트릴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56
아르곤 기류하에 놓여진 플라스크 내에, 4 ml의 1,2-디클로로에탄, 0.2 g (0.99 mmol)의 2-(2-브로모티오펜-3-일)아세토니트릴 및 0.145 g (1.089 mmol)의 트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자기 교반하면서 도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자기 교반하면서 0℃에 놓고, 1 ml의 1,2-디클로로에탄 내의 0.113 ml (1.089 mmol)의 2-푸로일클로라이드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일 동안 교반하였고, 그런 다음 0.073 g (0.455 mmol)의 트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및 0.057 ml (0.455 mmol)의 2-푸로일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고, 24 시간 동안 계속해서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30 ml의 물에 부었다. 상기 수성상을 2 × 2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30 ml의 포화 NaHCO3 수성 용액, 3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황색 고체로서 0.211 g (수율=71%)의 2-(2-브로모-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토니트릴을 수득하였다. LC-MS: m/z = 296 (MH+); UV 순도 at 254 nm >99%. 1H NMR (300 MHz, DMSO) δ1H NMR (300 MHz, DMSO) δ8.17 (d, J = 0.9 Hz, 1H), 8.14 (s, 1H), 7.61 (d, J = 3.7 Hz, 1H), 6.85 (dd, J = 3.6, 1.7 Hz, 1H), 4.05 (s, 2H).
단계 3: 2-(2-(4- 클로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 아세토니트릴 (유도체 번호 150)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57
아르곤 하에서 0.207 g (0.699 mmol)의 2-(2-브로모-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토니트릴을 톨루엔 및 에탄올 (7/5, v/v)로 이루어지는 6 ml의 혼합물 내에 용해시켰고, 0.173 g (1.048 mmol)의 4-클로로페닐보론산, 2.342 ml (4.68 mmol)의 2 M Na2CO3 수성 용액 및 0.040 g (0.035 mmol)의 팔라듐[0]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를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5 시간 동안 리플럭스하면서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혼합물을 30 ml의 물로 희석시켰다. 상기 수성상을 2 × 3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1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헵탄/에틸아세테이트, 8/2, v/v). 옅은 황색 고체로서 0.169 g (수율 = 72%)의 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토니트릴을 수득하였다. LC-MS: m/z = 328 (MH+); UV 순도 at 254 nm = 98%. 1H NMR (300 MHz, DMSO) δ8.25 (s, 1H), 8.19 (s, 1H), 7.63 (d, J = 3.2 Hz, 5H), 6.86 (dd, J = 3.6, 1.7 Hz, 1H), 4.16 (s, 2H).
실시예 37: 유도체 번호 151의 제조 : (4-((2H- 테트라졸 -5-일) 메틸 )-5-(4- 클로로페 닐)티오펜-2-일)(푸란-2-일) 메탄온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58
0.149 g (0.45 mmol)의 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토니트릴을 자기 교반하면서 3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내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0.088 g (1.35 mmol)의 아지드화나트륨 및 0.096 g (1.8 mmol)의 암모늄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60℃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상기 반응 중간물을 5 ml의 물로 희석시켰고, 1N 염산 수성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pH를 2에 맞추었다. 상기 수성상을 3 × 1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3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 구배, 디클로로메탄의 100 내지 95%, v/v). 옅은 황색 고체로서 0.015 g (수율 = 8%)의 (4-((2H-테트라졸-5-일)메틸)-5-(4-클로로페닐)티오펜-2-일)(푸란-2-일)메탄온을 수득하였다. LC-MS: m/z = 370 (MH+); UV 순도 at 254 nm = 97%. 1H NMR (300 MHz, DMSO) δ12.12 (s, 1H), 7.94 (s, 1H), 7.60 (q, J = 8.6 Hz, 4H), 7.20 (d, J = 16.2 Hz, 2H), 6.42 - 6.22 (m, 1H), 4.35 (s, 2H).
실시예 38: 유도체 번호 152의 제조 : 2-(2-(4- 클로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N- 히드록시아세트이미드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59
0.1 g (0.299 mmol)의 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토니트릴을 자기 교반하면서 3 ml의 메탄올 내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0.028 g (0.404 mmol)의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0.043 g (0.314 mmol)의 포타슘카보네이트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그런 다음 5 시간 동안 리플럭스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20 ml의 물에 부었다. 상기 수성상을 2 × 2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3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용출액: 헵탄/에틸아세테이트, 4/6, v/v). 옅은 황색 고체로서 0.023 g (수율 = 21%)의 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N-히드록시아세트이미드아미드를 수득하였다. LC-MS: m/z = 361 (MH+); UV 순도 at 254 nm >99%. 1H NMR (300 MHz, DMSO) δ9.11 (s, 1H), 8.19 (s, 1H), 8.14 (s, 1H), 7.69 (d, J = 8.5 Hz, 2H), 7.65 - 7.50 (m, 3H), 6.84 (dd, J = 3.5, 1.6 Hz, 1H), 5.66 (s, 2H), 3.39 (s, 2H).
실시예 39: 유도체 번호 153의 제조: 3-((2-(4- 클로로페닐 )-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 메틸 )-1,2,4- 옥사디아졸 -5(2H)-원( one )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60
0.05 g (0.139 mmol)의 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N-히드록시아세트이미드아미드를 1 ml의 1,4-디옥산 내에 자기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0.028 g (0.173 mmol)의 카르보닐 디이미다졸 및 0.023 ml (0.152 ml)의 DBU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0 분 동안 105℃에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중간물을 10 ml의 물에 부었다. 상기 수성상을 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세정하고, 1N 염산 수성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수성상의 pH를 2에 맞추었다. 상기 수성상을 2 × 1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10 ml의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정하였고, 그런 다음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옅은 황색 고체로서 0.02 g (수율=36%)의 3-((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메틸)-1,2,4-옥사디아졸-5(2H)-원을 수득하였다. LC-MS: m/z = 387 (MH+); UV 순도 at 254 nm = 96%. 1H NMR (300 MHz, DMSO) δ12.40 (s, 1H), 8.19 (s, 1H), 8.16 (d, J = 1.1 Hz, 1H), 7.66 - 7.57 (m, 5H), 6.85 (dd, J = 3.6, 1.7 Hz, 1H), 3.99 (s, 2H).
실시예 40: 유도체 번호 173의 제조: 5-(4- 클로로페닐 )-4-[2-(2-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 )-2-옥소-에틸]-N-(3- 피리딜 )티오펜-2- 카르복사미드
Figure 112015017691318-pct00161
80 mg (0.215 mmol)의 2-[2-(4-클로로페닐)-5-(3-피리딜카르바모일)-3-티에닐]아세트산 및 0.049 mL (0.429 mmol)의 N,N-디메틸에탄-1,2-디아민을 2 ml의 DMPU 내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0.045 ml (0.322 mol)의 트리에틸아민 및 112 mg (0.215 mmol)의 PyBOP를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0 ml의 물을 첨가하였고, 상기 교반을 30 분 동안 유지하였으며, 상기 수득된 고체를 프릿(frit) 상에서 여과하였고, 물로 세정하고, 진공 속에서 건조하엿다. 고체로서 0.053 g (수율 = 53%)의 5-(4-클로로페닐)-4-[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2-옥소-에틸]-N-(3-피리딜)티오펜-2-카르복사미드를 수득하였다. LC-MS: m/z = 443 (MH+), UV 순도 at 254 nm = 95%. 1H NMR (300 MHz, DMSO) δ10.58 (s, 1H), 8.90 (s, 1H), 8.32 (d, J = 4.6 Hz, 1H), 8.16 (d, J = 8.5 Hz, 2H), 8.02 (s, 1H), 7.59 (q, J = 8.6 Hz, 4H), 7.40 (d, J = 12.9 Hz, 1H), 3.51 (s, 2H), 2.31 (s, 6H)
실시예 41: 유도체 번호 174의 제조: 에틸2 -[2-(3,4- 디클로로페닐 )-5-(4- 메톡시페닐 ) 설포닐 -3- 티에닐 ]아세테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162
아르곤 기류하, 플라스크 내에, 2 ml의 디클로로메탄, 0.1 g (0.317 mmol)의 에틸2-(2-(3,4-디클로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및 0.131 g (0.634 mmol)의 4-메톡시벤젠-1-설포닐클로라이드를 자기 교반하면서 도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자기 교반하면서 5℃에 놓고, 0.085 g (0.634 mmol)의 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그런 다음 얼음에 붓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수성상을 2 × 5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결합된 유기상을 Na2SO4로 건조하였고, 이어서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페트롤륨/디클로로메탄 구배, 페트롤륨에테르의 100% 내지 0%, v/v). 0.120 g (수율 = 76%)의 에틸2-[2-(3,4-디클로로페닐)-5-(4-메톡시페닐)설포닐-3-티에닐]아세테이트를 옅은 갈색 오일로 수득하였다. LC-MS: m/z = 486 (MH+) UV 순도 at 254 nm = 98%. 1H NMR (300 MHz, DMSO) δ7.93 (d, J = 8.9 Hz, 2H), 7.82 - 7.72 (m, 3H), 7.45 (dd, J = 8.3, 2.1 Hz, 1H), 7.18 (d, J = 9.0 Hz, 2H), 4.01 (q, J = 7.1 Hz, 2H), 3.85 (s, 3H), 3.74 (s, 2H), 1.10 (t, J = 7.1 Hz, 3H)
실시예 42: 유도체 번호 175의 제조: 2-[2-(3,4- 디클로로페닐 )-5-(4- 메톡시페닐 ) 설포닐 -3- 티에닐 ]아세트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63
0.090 g (0.185 mmol)의 에틸2-[2-(3,4-디클로로페닐)-5-(4-메톡시페닐)설포닐-3-티에닐]-아세테이트를 2 ml의 에탄올 및 2 ml의 THF 내에 용해시켰고, 상기 용액에 0.020 ml (0.204 mmol)의 30질량% 소듐히드록사이드 수성 용액을 자기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10 ml의 물에 넣었다. 그런 다음, 침전물이 생길 때까지 1N 염산 수성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수성상의 pH를 낮추었다. 1 ml의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한 후에 상기 용액을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고체는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고, 2 × 5 ml의 물 및 1 ml의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였고, 그리고 진공 벨자에서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0.072 g (수율 = 84%)의 2-[2-(3,4-디클로로페닐)-5-(4-메톡시페닐)설포닐-3-티에닐]아세트산을 수득하였다. UV 순도 at 254 nm = 99%. 1H NMR (300 MHz, DMSO) δ12.69 (s, 1H), 7.93 (d, J = 8.9 Hz, 2H), 7.76 (d, J = 9.6 Hz, 3H), 7.46 (dd, J = 8.3, 2.1 Hz, 1H), 7.18 (d, J = 8.9 Hz, 2H), 3.85 (s, 3H), 3.63 (s, 2H)
실시예 43: 유도체 번호 176의 제조: 에틸2 -[5-(5- 클로로푸란 -2-카르보닐)-2-(4- 클로로페닐 )-3- 티에닐 ]아세테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164
142.4 mg (1.068 mmol)의 N-클로로-숙신이미드를 첨가하기 전에, 200 mg (0.534 mmol)의 에틸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3-티에닐]아세테이트를 3 ml의 아세토니트릴 내에 용해시켰다. 상기 반응을 15 시간 동안 리플럭스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 ml의 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헵탄/디클로로메탄 구배, 헵탄의 100 내지 0%, v/v). 거의 색을 띄지 않는 오일로서 78 mg (수율 = 31%)의 에틸2-[5-(5-클로로푸란-2-카르보닐)-2-(4-클로로페닐)-3-티에닐]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409 (MH+) UV 순도 at 254 nm = 99%. 1H NMR (300 MHz, DMSO) δ8.14 (s, 1H), 7.69 (d, J = 3.7 Hz, 1H), 7.64 - 7.43 (m, 4H), 6.93 (d, J = 3.7 Hz, 1H), 4.11 - 4.00 (m, 2H), 3.82 (d, J = 12.5 Hz, 2H), 1.14 (t, J = 7.1 Hz, 3H)
실시예 44: 유도체 번호 177의 제조: 에틸2 -[5-[[(4- 클로로벤조일 )아미노] 카르바모일 ]-2-(4- 클로로페닐 )-3- 티에닐 ]아세테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165
100 mg (0.308 mmol)의 5-(4-클로로페닐)-4-(2-에톡시-2-옥소-에틸)티오펜-2-카르복실산, 0.172 ml (0.985 mmol)의 트리에틸아민 및 52.5 mg (0.308 mmol)의 4-클로로벤조히드라지드를 2 ml의 DMF 내에 로딩(load)하였다. 상기 용액을 0℃에서 냉각시키고, 240 mg (0.462 mmol)의 PyBOP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1 ml의 디이소프로필에테르가 첨가된 10 ml의 물에 부었다. 30 분의 격렬한 교반 후에, 상기 수득된 고체를 여과하였고, 그런 다음 물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였다. 고체로서 123 mg (수율 = 78%)의 에틸2-[5-[[(4-클로로-벤조일)아미노]카르바모일]-2-(4-클로로페닐)-3-티에닐]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477 (MH+) UV 순도 at 254 nm = 93%. 1H NMR (300 MHz, DMSO) δ10.68 (s, 2H), 7.93 (d, J = 8.5 Hz, 2H), 7.86 (s, 1H), 7.57 (dt, J = 17.0, 8.6 Hz, 6H), 4.09 (q, J = 7.1 Hz, 2H), 3.72 (s, 2H), 1.17 (t, J = 7.1 Hz, 3H)
상기 유도체 178179는 상기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166
실시예 45: 유도체 번호 180의 제조: 2-[2-(4- 클로로페닐 )-5-(푸란-2-카르보닐)-3-티에닐]-N-에틸- 티오아세트아미드
단계 1: 2-[2-(4- 클로로페닐 )-3- 티에닐 ]아세트산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67
0.588 ml (5.88 mmol)의 30질량% 소듐히드록사이드 수성 용액을 첨가하기 전에, 1.5 g (5.34 mmol)의 에틸2-[2-(4-클로로페닐)-3-티에닐]아세테이트를 8 ml의 에탄올 내에 로딩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15 ml의 물에 넣었다. 그런 다음, 침전물이 생길 때까지 1N 염산 수성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수성상의 pH를 낮추었다. 상기 고체는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고, 2 × 5 ml의 물로 세정하였고 진공 벨자에서 건조하여. 고체로서 1.227g (수율=88%)의 2-[2-(4-클로로페닐)-3-티에닐]아세트산을 수득하였다. LC-MS: m/z = 251 (MH-) UV 순도 at 254 nm = 93%.
단계 2: 2-[2-(4- 클로로페닐 )-3- 티에닐 ]-N-에틸- 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68
0.6 g (2.374 mmol)의 2-[2-(4-클로로페닐)-3-티에닐]아세트산, 0.290 g (3.55 mmol)의 에탄아민히드로클로라이드, 1.236 g (2.374 mmol)의 PyBOP 및 0.827 ml (5.94 mmol)의 트리에틸아민을 2 ml의 DMF 내에 로딩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속에서 농축하였고, 상기 수득된 잔여물을 10 ml의 1N 염산 수성 용액에 넣고, 그런 다음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고체는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고, 2 × 5 ml의 물로 세정하였고 진공 벨자에서 건조하여. 0.559 g (수율 = 79%)의 2-[2-(4-클로로페닐)-3-티에닐]-N-에틸-아세트아미드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 280 (MH+) UV 순도 at 254 nm = 94%. 1H NMR (300 MHz, DMSO) δ8.11 (s, 1H), 7.62 (d, J = 8.5 Hz, 2H), 7.57 - 7.46 (m, 3H), 7.08 (d, J = 5.2 Hz, 1H), 3.39 (s, 2H), 3.14 - 3.02 (m, 2H), 1.01 (t, J = 7.2 Hz, 3H).
단계 3: 2-[2-(4- 클로로페닐 )-3- 티에닐 ]-N-에틸- 티오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69
559 mg (1.998 mmol)의 2-[2-(4-클로로페닐)-3-티에닐]-N-에틸-아세트아미드 및 808 mg (1.998 mmol)의 로손 시약을 5 ml의 톨루엔에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4 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교반하고, 리플럭스하였다. 10 ml의 물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 2 × 15 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세정하였다. 상기 모아진 유기상을 10 ml의 물 및 10 ml의 브라인(brine)으로 세정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그런 다음,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페트롤륨에테르/디이소프로필에테르 구배, 페트롤륨에테르의 100% 내지 0% , v/v). 476 mg (수율 = 77%)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 296 (MH+) UV 순도 at 254 nm = 95%. 1H NMR (300 MHz, DMSO) δ10.22 (s, 1H), 7.66 (d, J = 8.6 Hz, 2H), 7.56 - 7.47 (m, 3H), 7.02 (d, J = 5.2 Hz, 1H), 3.86 (s, 2H), 3.59 - 3.47 (m, 2H), 1.14 (t, J = 7.3 Hz, 3H).
단계 4: 2-[2-(4- 클로로페닐 )-5-(푸란-2-카르보닐)-3- 티에닐 ]-N-에틸- 티오아세트아 미드 (유도체 번호 180)의 제조
Figure 112015017691318-pct00170
215 mg (0.727 mmol)의 2-[2-(4-클로로페닐)-3-티에닐]-N-에틸-티오아세트아미드를 3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에 용해시켰다. +5℃에서, 0.107 ml (1.090 mmol)의 2-푸란-카르보닐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고, 그런 다음, 여전히 +5℃에서, 97 mg (0.727 mmol)의 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00 ml의 물에 붓고, 3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그런 다음 상기 용액을 15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2 회 추출하였다. 상기 모아진 유기상을 10 ml의 물로 세정하였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페트롤륨에테르/디클로로메탄 구배, 페트롤륨에테르의 100% 내지 0% , v/v). 고체로서 51 mg (수율 = 17%)의 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3-티에닐]-N-에틸-티오아세트아미드를 수득하였다. LC-MS: m/z = 390 (MH+) UV 순도 at 254 nm = 94%. 1H NMR (300 MHz, DMSO) δ10.27 (s, 1H), 8.14 (d, J = 6.6 Hz, 2H), 7.70 (d, J = 8.6 Hz, 2H), 7.62 - 7.49 (m, 3H), 6.89 - 6.81 (m, 1H), 3.94 (s, 2H), 3.67 - 3.46 (m, 2H), 1.15 (t, J = 7.2 Hz, 3H).
실시예 46: 유도체 번호 182의 제조: N-(N-( 터셔리 - 부톡시카르보닐 ) 카르밤이미도일 )-2-(2-(4- 클로로페닐 )-5-(4- 메톡시벤조일 )티오펜-3-일) 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5017691318-pct00171
142 mg (0.337 mmol)의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트산, 175 mg (0.337 mmol)의 PyBOP 및 64.4 mg (0.404 mmol)의 Boc-구아니딘을 1 ml의 DMF 내에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0.141 ml (1.011 mmol)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강하게 교반하면서 10 ml의 물 및 5 ml의 디이소프로필에테르에 부었다. 상기 수득된 고체를 여과하였고, 그런 다음 물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였다. 백색 고체로서 172 mg (수율 = 90%)의 N-(N-(터셔리-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트아미드를 수득하였다. LC-MS: m/z = 462 (MH+) UV 순도 at 254 nm = 99%. 1H NMR (300 MHz, DMSO) δ11.05 (s, 1H), 8.70 (s, 2H), 7.93 - 7.77 (m, 5H), 7.57 (d, J = 8.4 Hz, 1H), 7.13 (d, J = 8.8 Hz, 2H), 3.88 (s, 3H), 3.75 (s, 2H), 1.39 (s, 9H).
상기 유도체 181183은 상기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172
실시예 47: 유도체 번호 185의 제조: N- 카르밤이미도일 -2-(2-(4- 클로로페닐 )-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 아세트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112015017691318-pct00173
481 mg (0.911 mmol)의 N-(N-(터셔리-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트아미드를 2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에 용해시켰고, 그런 다음 2 ml (26 mmol)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진공 속에서 용매를 증발시키기 전에, 디옥산에서 리터 당 4몰을 갖는 염산 용액 0.25 ml (1 mmol)를 첨가하였다. 상기 수득된 고체를 5 ml의 보일링(boiling) 프로판-2-올로 적정하였고, 상기 용액을 냉각시킨 후에, 상기 고체는 여과시키고 1 ml의 프로판-2-올로 세정하였으며, 그런 다음 진공 속에서 건조하였다. 황색 고체로서 421 mg (수율 = 99%)의 N-카르밤이미도일-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트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수득하였다. LC-MS: m/z = 428 (MH+) UV 순도 at 254 nm = 99%. 1H NMR (300 MHz, DMSO) δ11.78 (s, 1H), 8.36 (s, 4H), 7.88 (d, J = 8.8 Hz, 2H), 7.81 (s, 1H), 7.66 - 7.45 (m, 4H), 7.12 (d, J = 8.9 Hz, 2H), 3.88 (d, J = 7.2 Hz, 5H).
상기 유도체 184186은 상기 동일한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174
실시예 48: 유도체 번호 187의 제조: 에틸2 -(2-(4- 클로로페닐 )-5-(4- 메톡시벤조일 )티오펜-3-일) 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15017691318-pct00175
아르곤 대기하에서, 1.5 g (3.62 mmol)의 에틸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테이트를 20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내에서 용해시켰고, -78℃로 냉각한 후에, 테트라히드로푸란에서 리터 당 1몰인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용액 10.85 ml (10.85 mmol)를 적가하였다. 0.984 ml (10.85 mmol)의 브로모(메톡시)메탄을 적가하기 전에 -78℃에서 30 분 동안 상기 용액을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상승시켜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을 50 ml의 물에 붓고, 15 ml의 디클로로메탄의 3 분획(fractions)으로 추출하였고, 상기 모아진 유기상을 20 ml의 물로 세정하였고, Na2SO4 상에서 건조하였고, Na2SO4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고, 상기 수득된 여과액을 진공속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그대로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카트리지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출액: 헵탄/에틸아세테이트 구배, 100 내지 0% 헵탄, v/v). 고체로서 0.696 g (수율=41%)의 에틸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크릴레이트를 수득하였다. LC-MS: m/z = 427 (MH+) UV 순도 at 254 nm = 90.6%. 1H NMR (300 MHz, DMSO) δ7.93 (d, J = 8.9 Hz, 2H), 7.70 (s, 1H), 7.56 - 7.51 (m, 2H), 7.48 - 7.41 (m, 2H), 7.11 (d, J = 8.9 Hz, 2H), 6.39 (d, J = 0.8 Hz, 1H), 6.11 (d, J = 0.7 Hz, 1H), 3.93 - 3.78 (m, 5H), 0.91 (t, J = 7.1 Hz, 3H).
INS-1 세포들에 의한 인슐린 분비의 자극 테스트
다른 화합물들을 글루코오스에 대응하여 잠재적으로(potentializing) 인슐린 분비를 하는 능력을 평가받기 위해 INS-1 베타-췌장 라인에서 실험하였다. 매우 간단하게, Asfari 등의 문헌 [13]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세포들은 1 mM의 소듐피루베이트(sodium pyruvate), 50 μM의 2-메르캅토에탄올, 2 mM의 글루타민, 10 mM의 HEPES, 100 IU/ml의 페니실린, 100 ㎍/ml의 스트렙토마이신 및 10 %의 비활성 우태아혈청(fetal calf serum)을 함유하는 10 mM 글루코오스를 갖는 RPMI 1640인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인슐린 분비 테스트를 위해, 상기 INS-1 세포들을 96-웰 플레이트 내에 뿌리고, 배양하였다. 습한 분위기(95% air/5% CO2) 내에 37℃에서 3일 동안 배양 후에, 상기 배지는 제거되고, 상기 세포들은 5 mM의 글루코오스 및 1%의 비활성 우태아혈청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16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테스트 당일 날, 상기 세포들을 0.1%의 소 알부민(bovine albumin)을 함유하는 크레프스(Krebs) 버퍼(pH 7.4)로 세정하고, 그런 다음 2.8 mM의 글루코오스를 함유하는 상기 동일한 버퍼 내에서 37℃에서 30분 동안 사전 배양(pre-incubated)시켰다. 최종적으로, 상기 세포들을 크레프스 버퍼로 다시 세정하고, 그런 다음 분비 테스트의 버퍼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크레프스, 평가받기 위해 0.1%의 소 알부민 및 3.5 mM의 글루코오스 및 분자들을 함유하는 pH 7.4). 테스트 끝부분에, 상기 세포 상청액은, 랫(rat) 항-인슐린 항체 (ELISA Alpco Cat no. 80-INSRTH-E10)를 사용한 ELISA 키트에 의해, 그 안에 인슐린 분비를 측정하기 위해 회수된다. 각각의 조건을 3회 실시하였다. 3.5 mM 글루코오스, 10-7M GLP-1 및 포스콜린(Forskoline) 10-7/ IBMX 10-5M 혼합물들을 테스트의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s)으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요소가 주어진 글루코오스 투여량에 대하여 130%인 대조구보다 크거나 동등하면, 화합물은 인슐린의 분비를 자극한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176
따라서, 상기 테스트된 일반식 I의 유도체는 INS-1 β 판크레아틴 세포에 의한 글루코오스에 대응하여 인슐린 분비의 잠재성(potentialization)에 대한 의미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값들은 관련된 복용량과 관계없이 132% 및 300% 이상의 사이의 활성을 포함한다.
간의 글루코오스 생성의 억제 테스트
상기 간세포들은, 간 문맥(portal vein) 내에 콜라게나아제의 관류(perfusion) 후에 24 시간 동안 금식한 위스타 랫(Wistar rat) 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갓 분리된 간세포들을 콜라겐으로 코팅되고, 고착 배지(Williams medium)를 함유하는 6-웰 플레이트 내에 뿌렸다. 고착 후에, 상기 배지는 어떠한 글루코오스없이, 16 ~18 시간 지속되는 동안까지 히드로코르티손(7.10-5M)을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로 대체된다. 다음 날, 상기 간의 글루코오스의 생성 테스트는 3 시간 동안 크레프스 배지에서 수행된다. 기저 상태(basal conditions)는 오직 크레프스로 배양된 세포들이고, 자극 조건은 크레프스+젖산+피루빈산 내에 놓여진 세포들이고, 상기 생성된 조건들은 크레프스+젖산+피루빈산 배지 내에 화학적 화합물에 노출된 세포들이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들을 DMSO 내에 용해시키고, 테스트의 모든 조건들은 0.1% DMSO의 최종 농도의 존재하에서 충족시킨다. 상기 테스트의 양성 대조구는 포스포에놀피루베이트 카르복시키나아제를 경유한 간의 글루코오스의 생성에 대한 그것의 억제 활동에 대하여 공지된 메르캅토피콜리네이트이다. 단시간 처리를 위해, 상기 화합물을 3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간세포들을 RPMI 내에 배양시키는 그 순간에, 장기간 처리를 위해 상기 화합물을 20 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그런 다음 3 시간 동안, 간에서의 생성 테스트를 하는 동안에 첨가하였다. 3 시간의 배양 끝에, 상기 상청액을 글루코오스 옥시다아제를 사용하는 비색 방법(colorimetric method)을 갖는 글루코오스의 측정을 위하여 회수하였다. 상기 세포들을 0.1% NaOH 수성 용액으로 용해하여 로우리 방법(Lowry method)으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들은 단백질 mg 당 글루코오스의 mmol로 표현하였다. 만약 상기 요소들이 주어진 글루코오스의 투여량에 대하여 대조구의 75% 이하이면 화합물은 간의 글루코오스의 생성을 억제한다.
3 시간 배양
Figure 112015017691318-pct00177
Figure 112015017691318-pct00178
상기 테스트된 일반식 I의 유도체는 간의 글루코오스의 생성 억제에 대한 의미있는 효과를 갖는다. 가장 강한 억제는 유도체들, 두 용량을 갖는 49, 58, 63, 127, 156, 167, 175, 185 Y, 및 50 μM의 용량에서 상기 유도체 158159를 수득하였다.
20 시간 배양
Figure 112015017691318-pct00179
상기 테스트된 일반식 I의 유도체는 간의 글루코오스의 생성 억제에 대한 의미있는 효과를 갖는다. 가장 강한 억제는 유도체들 13, 100, 128, 130149로 두 용량에서 얻어졌다.
N0STZ 당뇨병 랫들(rats)의 분리되고 관류된 췌장에서 글루코오스에 대응하는 인슐린 분비에 대하여 화합물의 효과의 연구
장비 및 방법:
태어난 날 스트렙토조토신의 주입에 의해 당뇨병이 만들어지고[14], 펜토바르비탈로 마취된 랫 상에서 상기 췌장들을 꺼냈다(Nembutal 45 mg/kg; 복강내 루트). 제2형 당뇨병을 갖는 인간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이들 랫들은, 글루코오스에 대한 인슐린 반응의 특이적 결핍을 갖는다[15]. 상기 췌장의 분리 및 관류는 Sussman 등[17]에 의해 기술된 과정의 변형[16]에 따라 달성되었다. 상기 화합물의 상기 효과 또는 기준 물질의 효과는 2.8 mM (G2.8 mM)에서 글루코오스 부재(GO) 또는 존재하에서 크레프스 버퍼 내 35분(t=20 분에서 t=55 분)동안 테스트되었고, 그런 다음 글루코오스 16.5 mM의 존재하에서 20 분 (t=55 분에서 t=75 분) 동안 테스트되었다. 배지 내로 분비된 인슐린의 농도는 효소결합 면역흡수 분석법(Elisa assay)(ELISA Alpco Cat no. 80-INSRTH-E10)에 의해 측정되었다. 상기 결과는 몇몇 실험의 평균 +/- SEM(평균의 표준 오차)으로서 표현되었다.
결과 테이블:
Figure 112015017691318-pct00180
테스트된 일반식 I의 유도체들은 N0STZ 당뇨병 랫들의 분리되고 관류된 췌장에서 글루코오스에 대응하는 인슐린 분비를 회복하는데에 의미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가장 강한 분비는 화합물 10, 13124에서 얻어졌다.
GK ( Goto - Kakisaki ) 랫들 내 화합물 10의 당뇨병치료제 활성의 연구
화합물 10의 당뇨병 치료제 활성은 제2형 당뇨병의 비만이 아닌 모델, GK 랫들 내에서 평가하였다. 상기 모델은 글루코오스에 대한 약간의 과민증을 기반으로 선택된 윈스타 랫들의 교배육종(cross-breeding)에 의해 얻어졌다[18]. 이들 랫들은 인간의 제2형 당뇨병에서 관찰된 기능 장애의 대부분을 가지고 있다[19]: 고혈당증, 글루코오스에 대한 과민성, 인슐린-내성, 및 글루코오스에 대한 열화된 인슐린 반응. 이들 동물들은 메타브레인에서 사육되었고, 12h의 낮 / 밤주기(7h-19h으로부터의 빛)에 일정한 습도 하(50 ± 20%)에서 규정 온도(22 ± 2℃)로 동물 사육 시설에서 갇혀 있고, 사육 음식과 음료에 임의로 접근하고 있었다. 축사 및 실험조건은 실험 동물들의 건강과 윤리적 처리에 대한 유럽 지침에 관한 규정(ETS123)을 준수한다. 상기 연구에서, 사용된 상기 랫들은 연구 시작 전에 2 시간 금식한 암컷 16-주 GK 렛들이다(식후 조건; postabsorptive condition). 글루코오스 내성 테스트는 2 그룹의 랫들 상에 정맥 루트(intravenous route; IVGTT)를 경유하여 수행되었다: 하나의 그룹은 20 mg/kg의 일회량에서 경구로 화합물 10으로 처리되고, 대조구는 캐리어로 경구로 처리되었다. 펜토바르비탈(정맥 루트를 경유한 45 mg/kg)로 미리 마취된 동물 상에 화합물 10의 경구 투여 후, 상기 내성 테스트는 1 h 수행하였다. 혈액 샘플을 글루코오스 로드(정맥 루트를 경유한 0.5 g/kg) 의 투여 전 T0 및 글루코오스 로드 후 × T5, T10, T15, T20 및 T30 분에서 채혈하였다. 상기 혈액 샘플은 혈당증을 결정하기 위한 혈장(plasma)을 수집하기 위해 원심분리하였다.
하기와 같이 나타낸 상기 결과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화합물 10으로 처리된 그룹에 대하여 T0에서 혈당증의 감소 백분율로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화합물 10으로 처리된 그룹에 대하여 AUC(혈당증과 시간 간의 커브 하에서의 영역)의 감소의 백분율로서
표현하였다.
Figure 112015017691318-pct00181
이들 결과들은, 20 mg/kg에서 일회량으로 투여되는 상기 화합물 10은 기저 고혈당증 및 제2형 당뇨병 동물의 글루코오스에 대한 과민성을 감소시킬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BIBLIOGRAPHY
[1] WO 2008051197;
[2] Park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2006), 14(2), 395-408;
[3] Shengwu Jishu Tongxun (2007), 18(4), 625-627;
[4] US 20090163545;
[5] Floquet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07), 17(7), 1966-1970;
[6] Khimiko-Farmatsevticheskii Zhurnal (1987), 21(11), 1320-6;
[7] WO 2002095361;
[8] Pang et al. PLoS ONE (2010), 5(4), e10129;
[9] Tang et al. PLoS ONE (2007) 2(8), e761;
[10] US 20120114696
[11] Merino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2006), 14(2), 3583-3591;
[12] Pang et al. PLoS ONE (2009), 4(11), e7730;
[13] Asfari et al. Endocrinology 130: 167-178, 1992;
[14] Portha et al. Diabetes, 23, (1974), 889-895;
[15] Giroix et al. Diabetes, 32, (1983), 445-451;
[16] Assan et al. Nature, 239, (1972), 125-126;
[17] Sussman et al. Diabetes, 15, (1966), 466-472;
[18] Goto et al. Proc. Jpn. Acad. 51, 80-5, 1975;
[19] Portha et al. Mol. Cell. Endocrinol. 297: 73-85, 2009;

Claims (15)

  1. 하기 일반식 Ⅰ의 티오펜 유도체 또는 이의 거울상이성질체(enantiomer), 부분입체이성질체(diastereoisomer), 수화물(hydrate), 용매화물(solvate), 호변이성체(tautomer), 라세미 혼합물(racemic mixture)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112020074169654-pct00191

    상기 식에서,
    Y는 페닐기, 푸릴기, 또는 벤조-1,3-디옥솔기를 나타내며(여기서, 상기 페닐 또는 푸릴기는 -CN;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여기서, 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 또는 -O(C1-C6 알킬)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 또는 -O(C1-C6 알킬)기, 또는 -OH기로 치환된 C1-C6 알킬; -SO2(C1-C6 알킬); -CONRaRb(여기서 Ra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b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는 -OH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로 치환된다);
    X는 -SO2기 또는
    Figure 112020074169654-pct00198
    기를 나타내고(여기서
    Figure 112020074169654-pct00199
    는 결합을 나타내고, W는 산소원자 또는 -NOR4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R4 는 수소원자, C1-C6 알킬기 또는 (C1-C6 알킬)페닐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페닐기는 -CN;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여기서, 상기 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 또는 -O(C1-C6 알킬)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 또는 -O(C1-C6 알킬)기, 또는 OH기로 치환된 C1-C6 알킬; -SO2(C1-C6 알킬); -CONRa'Rb'(여기서 Ra'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b'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는 -OH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Figure 112020074169654-pct00200
    가 부재이고, W는 -OH를 나타낸다.);
    R1
    - C1-C6 알킬기(여기서, 상기 알킬기는 할로겐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다);
    - C3-C6 시클로알킬기;
    - (C1-C6 알킬)O(C1-C6 알킬)기;
    - (C1-C6 알킬)NR(C1-C6 알킬)기(여기서 R은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 페닐기(여기서, 상기 페닐기는 -CN;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여기서, 상기 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 또는 -O(C1-C6 알킬)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SO2(C1-C6 알킬); -CONRa"Rb"(여기서 Ra"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리고 Rb"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는 C1-C6 알킬기(여기서, 상기 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 또는 -O(C1-C6 알킬)기, 또는 -OH기로 임의로 치환된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로 치환된다);
    - (C1-C6 알킬)페닐기(여기서, 상기 페닐기는 -CN;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 또는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로 치환된다);
    - -NH-페닐 또는 -NH-피리딜기(여기서, 상기 페닐기는 -CN;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 ; 또는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로 치환된다);
    - NH(C1-C6 알킬)페닐기(여기서 상기 페닐기는 -CN;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 또는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로 치환된다);
    - 할로겐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푸릴, 티아졸릴 또는 피리딜기;
    - -OH기;
    - 모르폴린기; 또는
    - N-페닐피페라진기;
    - NH-NH-CO-페닐기(여기서 상기 페닐기는 할로겐 원자, 및 -O(C1-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로 치환된다);
    - NH-NH-CO-피리딜기
    를 나타내며,
    R2 는 수소 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킬)아릴기(여기서 상기 아릴기는 페닐기이다) 또는 (C1-C6 알킬)O(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3
    - -COOR5기(여기서 R5 는 수소 원자, C1-C6 알킬기 또는 글루코피라노스기를 나타낸다.);
    - -COSR6기(여기서 R6 은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 -CONR7R8기(여기서 R7 은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리고 R8 은 수소 원자; - OH기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기; - OH기; -O(C1-C6 알킬)기; -NH2기; -(C1-C6 알킬)NR9R10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R9 R10 모두는 C1-C6 알킬기; -(C1-C6 알킬)COOH기; -(C1-C6 알킬)COO(C1-C6 알킬)기; 페닐기; 또는 피리딜기를 나타낸다.));
    - -CSNR11R12기(여기서 R11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 -CN기;
    - -C(=NH)NHOH기;
    - -CO모르폴린기;
    - -CO피롤리딘기;
    - -CON-Me-피페라진기;
    - -CO구아니딘 또는 -CO구아니딘-BOC기;
    - 테트라졸기; 또는
    - 옥사디아졸론기;
    단, 다음의 일반식 (a) 내지 (z1) 화합물은 제외한다:
    Figure 112020074169654-pct00195

    Figure 112020074169654-pct00196
    .
  2. 제1항에 있어서, R11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6 알킬기를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펜 유도체 또는 이의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수화물, 용매화물, 호변이성체, 라세미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Figure 112018065780593-pct00197
    는 결합을 나타내고, W는 산소원자 또는 -NOR4기(여기서 R4 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펜 유도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3
    - -CO구아니딘기;
    - -COOR5기(여기서 R5 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 -CONR7R8기(여기서 R7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및 R8 은 수소 원자; -OH기로 임의로 치환된 C1-C6 알킬기; - OH기; -O(C1-C6 알킬)기 또는 -(C1-C6 알킬)NR9R10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R9 R10 모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는
    - -CO모르폴린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펜 유도체.
  5. 제1항에 있어서, Y는 페닐기(여기서, 상기 페닐기는 -CN; 할로겐 원자; 또는 -O(C1-C6 알킬)로부터 임의로 치환된다)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펜 유도체.
  6. 제5항에 있어서, Y는 페닐기(여기서, 상기 페닐기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들로 치환된다)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펜 유도체.
  7. 제1항에 있어서,
    R1
    - C3-C6 시클로알킬기;
    - 페닐기(여기서, 상기 페닐기는 -CN; 할로겐 원자; -O(C1-C6 알킬); 또는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들로 임의로 치환된다);
    - 할로겐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푸릴, 티아졸릴 또는 피리딜기; 또는
    - 모르폴린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펜 유도체.
  8. 제7항에 있어서,
    R1
    - 페닐기(여기서, 상기 페닐기는 하나 이상의 -O(C1-C6 알킬)기들로 임의로 치환된다); 또는
    - 푸라닐, 피리딜 또는 티아졸릴기(여기서, 상기 푸라닐기는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된다)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펜 유도체.
  9.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오펜 유도체:
    2-(2-(4-클로로페닐)-5-((에톡시이미노)(4-메톡시페닐)메틸)티오펜-3-일)아세트산(108);
    2-(2-(4-클로로페닐)-5-((히드록시이미노)(4-메톡시페닐)메틸)티오펜-3-일)아세트산(109);
    2-(2-(4-클로로페닐)-5-((메톡시이미노)(4-메톡시페닐)메틸)티오펜-3-일)아세트산(110);
    에틸2-(2-(4-클로로페닐)-5-((에톡시이미노)(4-메톡시페닐)메틸)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02);
    에틸2-(2-(4-클로로페닐)-5-((히드록시이미노)(4-메톡시페닐)메틸)-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04);
    에틸2-(2-(4-클로로페닐)-5-((메톡시이미노)(4-메톡시페닐)메틸)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06);
    2-(2-(2,3-디플루오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트산 (137);
    2-(2-(2,3-디플루오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 (136);
    2-(2-(3,4-디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트산 (81);
    2-(2-(3-시아노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N-(2-(디메틸아미노)에틸)아세트아미드 (142);
    2-(2-(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 (144);
    2-(2-(4-클로로페닐)-5-(3-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트산 (59);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3-메톡시-프로피온산 (128);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트아미드 (86);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트산 (60);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N-(2-(디메틸아미노)에틸)아세트아미드 (89);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N-(2-히드록시에틸)아세트아미드 (96);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N-히드록시아세트아미드 (100);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프로피온산 (127);
    2-(2-(4-클로로페닐)-5-(시클로헥산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 (61);
    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1-모르폴리노에탄온 (91);
    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 (56)
    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N-(2-(디메틸아미노)에틸)아세트아미드 (95);
    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N-에톡시아세트아미드 (98);
    2-(2-(4-클로로페닐)-5-피콜리노일티오펜-3-일)아세트산 (149);
    2-(5-(2,3-디플루오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64);
    2-(5-(2,4-디플루오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65);
    2-(5-(2-플루오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67);
    2-(5-(3,5-디플루오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70);
    2-(5-(3-클로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71);
    2-(5-(3-클로로벤조일)-2-(4-클로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58);
    2-(5-(3-플루오로-4-메톡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73);
    2-(5-(3-플루오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72);
    2-(5-(3-메톡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75);
    2-(5-(4-시아노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76);
    2-(5-(4-플루오로-3-메틸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74);
    2-(5-(4-플루오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77);
    2-(5-(4-메톡시벤조일)-2-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51);
    2-(5-(시클로헥산카르보닐)-2-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52);
    2-(5-(푸란-2-카르보닐)-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68);
    2-(5-(푸란-2-카르보닐)-2-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48);
    2-(5-벤조일-2-(4-클로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63);
    2-(5-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78);
    에틸2-(2-(2,3-디플루오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33);
    에틸2-(2-(2,3-디플루오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30);
    에틸2-(2-(4-클로로페닐)-5-(3-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2);
    에틸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3-메톡시-프로파노에이트 (124);
    에틸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3);
    에틸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 프로파노에이트 (123);
    에틸2-(2-(4-클로로페닐)-5-(시클로헥산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4);
    에틸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0);
    에틸2-(2-(4-클로로페닐)-5-(모르폴린-4-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14);
    에틸2-(2-(4-시아노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39);
    에틸2-(2-(4-메톡시페닐)-5-(티아졸-4-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33);
    에틸2-(5-(2,3-디플루오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8);
    에틸2-(5-(2,4-디플루오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9);
    에틸2-(5-(2-플루오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21);
    에틸2-(5-(3,5-디플루오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24);
    에틸2-(5-(3-클로로벤조일)-2-(4-클로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1);
    에틸2-(5-(3-클로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25);
    에틸2-(5-(3-플루오로-4-메톡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27);
    에틸2-(5-(3-플루오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26);
    에틸2-(5-(3-메톡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30);
    에틸2-(5-(4-시아노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31);
    에틸2-(5-(4-플루오로-3-메틸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29);
    에틸2-(5-(4-플루오로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32);
    에틸2-(5-(푸란-2-카르보닐)-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22);
    에틸2-(5-벤조일-2-(4-클로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5);
    에틸2-(5-벤조일-2-(4-메톡시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35);
    이소프로필2-(2-(3,4-디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테이트 (40);
    이소프로필2-(2-(3,4-디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39);
    이소프로필2-(2-(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43);
    이소프로필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3-메톡시프로파노에이트 (125);
    메틸 2-(2-(4-클로로페닐)-5-피콜리노일티오펜-3-일)아세테이트 (148);
    메틸 2-(5-(4-메톡시벤조일)-2-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5);
    메틸 2-(5-(시클로헥산카르보닐)-2-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6);
    메틸 2-(5-(푸란-2-카르보닐)-2-페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3);
    이소프로필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테이트 (43);
    이소프로필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44);
    터셔리-부틸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테이트 (84);
    터셔리-부틸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테이트 (83);
    N-(N-(터셔리-부톡시카르보닐)카르밤이미도일)-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아세트아미드 (46);
    2-(5-(3-클로로벤조일)-2-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49);
    2-(5-(3-메톡시벤조일)-2-페닐티오펜-3-일)아세트산 (50);
    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티오펜-3-일)-1-(4-메틸피페라진-1-일)에탄온 (93);
    2-(2-(4-시아노페닐)-5-(푸란-2-카르보닐)티오펜-3-일)아세트산 (140);
    2-[5-벤조일-2-(4-클로로페닐)-3-티에닐]아세트산 (154);
    에틸2-[5-(4-클로로-2-메톡시-벤조일)-2-(4-클로로페닐)-3-티에닐]아세테이트 (155);
    2-[5-(4-클로로-2-메톡시-벤조일)-2-(4-클로로페닐)-3-티에닐]아세트산 (156);
    에틸2-[2-(3,4-디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3-티에닐]아세테이트 (157);
    에틸2-[2-(3,4-디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3-티에닐]아세테이트 (158);
    2-[2-(3,4-디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3-티에닐]아세트산 (159);
    2-[2-(3,4-디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3-티에닐]-N-(2-히드록시에틸)아세트아미드 (165);
    2-[2-(3,4-디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3-티에닐]-N-(2-디메틸아미노에틸)아세트아미드 (166);
    2-[2-(4-클로로페닐)-5-[C-(3,4-디클로로페닐)-N-에톡시-카르본이미도일]-3-티에닐]아세트산 (167);
    2-[2-(3,4-디클로로페닐)-5-(4-메톡시페닐)설포닐-3-티에닐]아세트산 (175);
    에틸2-[5-(5-클로로푸란-2-카르보닐)-2-(4-클로로페닐)-3-티에닐]아세테이트 (176);
    터셔리-부틸 N-[N-[2-[2-(3,4-디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3-티에닐]-아세틸]카르밤이미도일]카바메이트 (182);
    터셔리-부틸 N-[N-[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3-티에닐]-아세틸]카르밤이미도일]카바메이트 (183);
    N-카르밤이미도일-2-[2-(3,4-디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3-티에닐]아세트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84);
    N-카르밤이미도일-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3-티에닐]아세트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85);
    N-카르밤이미도일-2-[2-(4-클로로페닐)-5-(푸란-2-카르보닐)-3-티에닐]아세트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186);
    에틸2-[2-(4-클로로페닐)-5-(4-메톡시벤조일)-3-티에닐]프로프-2-에노에이트 (187).
  10. 당뇨병, 고혈당증, 내분비 췌장 세포의 기능 및 정량 이상(functional and quantitative abnormalities), 인슐린 내성, 또는 염증의 치료 또는 방지를 위한 제1항에 따른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다른 당뇨병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다른 당뇨병치료제가 멧포민인,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1항에 따른 티오펜 유도체 또는 제1항에서 정의한 일반식 (f) 내지 (p), (r), (s), (u), (y) 및 (z)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티오펜 유도체를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제.
  14. 당뇨병, 고혈당증, 내분비 췌장 세포의 기능 및 정량 이상(functional and quantitative abnormalities), 인슐린 내성, 또는 염증의 치료 또는 방지를 위한 약제로서, 제1항에 따른 티오펜 유도체 또는 제1항에서 정의한 일반식 (a) 내지 (z1)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티오펜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이 제2형 당뇨병(Diabetes of type Ⅱ)인, 약제.
KR1020157004512A 2012-07-20 2013-07-16 당뇨병 치료에 유용한 티오펜 유도체들 KR102190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7079A FR2993563B1 (fr) 2012-07-20 2012-07-20 Derives de thiophenes utiles dans le traitement du diabete
FR1257079 2012-07-20
PCT/FR2013/051702 WO2014013181A1 (fr) 2012-07-20 2013-07-16 Derives de thiophenes utiles dans le traitement du diabe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218A KR20150038218A (ko) 2015-04-08
KR102190301B1 true KR102190301B1 (ko) 2020-12-11

Family

ID=4678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512A KR102190301B1 (ko) 2012-07-20 2013-07-16 당뇨병 치료에 유용한 티오펜 유도체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777015B2 (ko)
EP (1) EP2875010B1 (ko)
JP (1) JP6175138B2 (ko)
KR (1) KR102190301B1 (ko)
CN (1) CN104718200B (ko)
AU (1) AU2013291865B2 (ko)
CA (1) CA2879053C (ko)
DK (1) DK2875010T3 (ko)
ES (1) ES2600155T3 (ko)
FR (1) FR2993563B1 (ko)
RU (1) RU2663835C2 (ko)
WO (1) WO2014013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1703A (zh) * 2015-02-11 2017-06-13 佛山市赛维斯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腈基噻吩酰胺甲苯类双靶点抑制剂及其用途
CN104725346A (zh) * 2015-02-11 2015-06-24 佛山市赛维斯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腈基取代的甲氧苯噻吩酰胺类双靶点抑制剂及其用途
CN104710403A (zh) * 2015-02-11 2015-06-17 佛山市赛维斯医药科技有限公司 一类卤代噻吩酰胺甲苯类双靶点抑制剂及其用途
CN104693169A (zh) * 2015-02-11 2015-06-10 佛山市赛维斯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硝基取代的甲氧苯噻吩酰胺类双靶点抑制剂及其用途
CN104610223A (zh) * 2015-02-11 2015-05-13 佛山市赛维斯医药科技有限公司 一类噻吩酰胺甲苯类sglt2/sglt1双靶点抑制剂及其用途
CN104693172A (zh) * 2015-02-11 2015-06-10 佛山市赛维斯医药科技有限公司 一类苯基噻吩酰胺类sglt2/sglt1双靶点抑制剂及其用途
CN104610224A (zh) * 2015-02-11 2015-05-13 佛山市赛维斯医药科技有限公司 一类卤代苯基噻吩酰胺类双靶点抑制剂及其用途
CN104725347A (zh) * 2015-02-11 2015-06-24 佛山市赛维斯医药科技有限公司 一类烷氧基取代的含甲氧苯基噻吩酰胺类结构的化合物及用途
US11739082B2 (en) 2017-08-31 2023-08-29 Ahammune Biosciences Private Limited Thiophene compounds, process for synthesis and use thereof
CN112587526B (zh) * 2020-12-25 2021-09-14 华南农业大学 1,3,4-噻二唑苯基呋喃硫代甲酸酯类化合物在制备α-葡萄糖苷酶抑制剂中的应用
US20240076296A1 (en) * 2022-08-19 2024-03-07 Nimml Institute Thiazole derivatives for therapeutic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5361A2 (en) * 2001-05-22 2002-11-28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Identification of anti-protozoal agents
US20090163545A1 (en) * 2007-12-21 2009-06-25 University Of Rochester Method For Altering The Lifespan Of Eukaryotic Organism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853083E (pt) * 1997-01-06 2001-12-28 Pfizer Composto de piridilfurano e piridiltiofeno e sua utilizacao farmaceutica
JP2005505506A (ja) * 2001-06-12 2005-02-24 イーラン ファーマス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ルツハイマー病の治療に有用な大環状分子
TWI271402B (en) * 2002-10-15 2007-01-21 Tanabe Seiyaku Co Large conductance calcium-activated K channel opener
US7521473B2 (en) * 2004-02-25 2009-04-21 Wyeth Inhibitors of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US8492428B2 (en) 2005-09-20 2013-07-23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Small-molecule botulinum toxin inhibitors
US8404728B2 (en) 2009-07-30 2013-03-26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Small-molecule botulinum toxin inhibitors
DK2563780T3 (en) * 2010-04-29 2015-07-27 Univ Edinburgh 3,3-DISUBSTITUEREDE- (8-aza-bicyclo [3.2.1] oct-8-yl) - [5- (1H-pyrazol-4-yl) -thiophene-3-yl] -METHANONER as inhibitors of 11 ( BETA) -HSD1
JP6021148B2 (ja) * 2012-09-07 2016-11-09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Lst−1及び/又はlst−2によって輸送される化合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5361A2 (en) * 2001-05-22 2002-11-28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Identification of anti-protozoal agents
US20090163545A1 (en) * 2007-12-21 2009-06-25 University Of Rochester Method For Altering The Lifespan Of Eukaryotic Organism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07, 17, 1966-1970.*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2006, 14, 395-408.*
Pharmaceutical Chemistry Journal, 1987, 21, 772-77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875010T3 (en) 2016-12-12
WO2014013181A1 (fr) 2014-01-23
RU2015101210A (ru) 2016-09-10
EP2875010B1 (fr) 2016-08-31
CN104718200B (zh) 2016-11-09
FR2993563B1 (fr) 2015-12-18
KR20150038218A (ko) 2015-04-08
ES2600155T3 (es) 2017-02-07
JP6175138B2 (ja) 2017-08-02
CN104718200A (zh) 2015-06-17
US9777015B2 (en) 2017-10-03
EP2875010A1 (fr) 2015-05-27
CA2879053A1 (fr) 2014-01-23
US20150197530A1 (en) 2015-07-16
AU2013291865A1 (en) 2015-02-26
FR2993563A1 (fr) 2014-01-24
CA2879053C (fr) 2021-02-09
JP2015526416A (ja) 2015-09-10
AU2013291865B2 (en) 2017-08-10
RU2663835C2 (ru) 2018-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301B1 (ko) 당뇨병 치료에 유용한 티오펜 유도체들
AU2005321609B2 (en) Fused bicyclic carboxamide derivatives for use as CXCR2 inhibitors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AU2005220728B2 (en)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in treating metabolic disorders
US8163777B2 (en) Benzimidazolyl-pyridine compounds for inflammation and immune-related uses
US20080200535A1 (en) Amine Compounds
AU2005286701A1 (en) Compounds for inflammation and immune-related uses
NZ545447A (en) Compounds for inflammation and immune-related uses
US6034089A (en) Aryl thiophene derivatives as PDE IV inhibitors
US6727239B1 (en) Derivatives of 2-aminopyridines, their use as medicamen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U2013366898B2 (en) Halogen-substituted heterocyclic compound
BG108076A (bg) Ацилирани инданил амини и приложението им като фармацевтични средства
CA2754998A1 (en) Substituted nicotinamides as kcnq2/3 modulators
AU2007208239A1 (en) Substituted aromatic compounds for inflammation and immune-related uses
JP2004523476A (ja) NF−κB阻害剤
KR102132744B1 (ko) 당뇨병 치료에 유용한 이미다조피리딘 유도체들
AU9334798A (en) Aryl thiophene derivatives as pde iv inhibitors
US20150368195A1 (en) Indoline compounds for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inflammation diseases
KR20240072145A (ko) 트리아졸론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MXPA00006226A (en) Inhibition of raf kinase using substituted heterocyclic ur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