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900B1 -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900B1
KR102189900B1 KR1020200119245A KR20200119245A KR102189900B1 KR 102189900 B1 KR102189900 B1 KR 102189900B1 KR 1020200119245 A KR1020200119245 A KR 1020200119245A KR 20200119245 A KR20200119245 A KR 20200119245A KR 102189900 B1 KR102189900 B1 KR 102189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pipe
drug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이광석
Original Assignee
이상우
국민안전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우, 국민안전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상우
Priority to KR102020016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6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매설박스, 매설박스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도어모듈, 매설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매설박스의 외부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기 위한 급수관, 매설박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소화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화약제와 소화목적과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이종의 약제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약제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가 급수관 내에 유입되도록 하는 밸브모듈, 및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와 소화수의 혼합물을 분사하기 위한 호스를 포함함으로써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그 주변의 화재 진압, 방역, 제설, 세정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
지하에 매설되는 소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심의 명소, 재래시장, 주택 밀집 지역 등의 도로는 소형차 한 대가 겨우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협소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지역의 도로에는 소방차가 진입할 수 없음에 따라 이러한 지역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화재 진압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지역에는 옥외 비상소화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옥외 비상소화장치는 옥외 설치로 인한 동절기 동파가 자주 발생되고, 도시 미관을 해치고 그 설치에 따른 불편 민원이 수시로 발생하여 왔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07127호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15231호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은 지하에 매설되는 소방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된 종래의 지하매설식 소방시스템은 그 설치 장소 주변의 화재 진압에 사용될 수 있으나, 방역, 제설, 세정 등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될 수 없었다. 도심의 명소, 재래시장, 주택 밀집 지역 등에서의 화재는 각종 유독가스나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발생시킴에 따라 화재 진압 후에 방역, 세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았다. 그 결과, 화재 진압이 신속하게 완료된 경우라도 방역, 세정 작업이 어렵거나 방역. 세정 작업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었다. 게다가, 이러한 지역은 제설 작업 등 다른 작업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지하에 설치됨으로써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도 그 주변의 화재 진압, 방역, 제설, 세정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화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은 전 방향의 측면과 하면은 밀폐되고, 상면의 일부는 개방된 맨홀 형태로 지하에 매설되는 매설박스; 상기 매설박스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도어모듈; 상기 매설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매설박스의 외부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기 위한 급수관; 상기 매설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소화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화약제와 상기 소화목적과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이종의 약제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약제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약제저장소로부터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가 상기 급수관 내에 유입되도록 하는 밸브모듈; 및 상기 급수관 내에 유입된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와 상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의 혼합물을 분사하기 위한 호스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모듈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매설박스의 상면의 개방 부위는 상기 도어모듈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도어모듈이 열림에 따라 상기 호스는 상기 매설박스의 상면 개방 부위를 통해 상기 매설박스의 내부로부터 상기 매설박스의 상측 지상으로 이동된다.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와 상기 급수관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약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각 약제밸브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개방되거나 차폐됨으로써 상기 각 약제저장소로부터 상기 급수관으로의 약제 유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약제밸브 중 적어도 하나의 약제밸브의 개방과 나머지 약제밸브의 차단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가 상기 급수관 내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된 소화수 중 일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밸브를 통과한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를 혼합하는 믹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급수관에서 분기된 형태의 배관으로 상기 믹서에 상기 급수관을 통해 흐르는 소화수 중 일부를 공급하는 제 1 분기관; 및 상기 급수관에서 분기된 형태의 배관으로 상기 제 1 분기관을 통해 상기 믹서에 유입되는 소화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믹서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상기 급수관의 내부에 토출하는 제 2 분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은 상기 제 1 분기관과 상기 제 2 분기관 사이의 급수관 관로에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개방되거나 차폐됨으로써 상기 매설박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급수관으로의 소화수 공급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메인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밸브와 상기 복수 개의 약제밸브 전체가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믹서의 내부는 상기 제 1 분기관을 통해 유입된 소화수로 채워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메인밸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믹서 내부에 채워져 있는 소화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밸브를 통과한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가 혼합되고, 상기 믹서에 유입되는 소화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믹서에서 생성된 혼합물은 상기 급수관의 내부에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믹서의 내부에는 상기 제 2 분기관이 상기 믹서의 내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격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약제밸브의 출구는 상기 격관 입구보다 아래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밸브를 통과한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밸브의 출구로부터 유출된 후에 역류하여 상기 격관과 상기 제 2 분기관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상기 급수관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의 관로는 상기 제 1 분기관이 분기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분기관이 분기된 위치 측으로 가까이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다가 상기 제 2 분기관이 분기된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분기관이 분기된 위치에서의 급수관 내의 소화수 수압과 상기 제 2 분기관이 분기된 위치에서의 급수관 내의 소화수 수압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믹서 내부의 혼합물을 상기 급수관 내로 빨아드리는 흡입력이 발생되고, 상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저장소 내부의 약제가 상기 믹서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분기관이 분기된 위치에 형성된 급수관의 분기공과 상기 제 2 분기관이 분기된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태의 관로가 만나는 부분에는 상기 급수관의 분기공의 통로 벽면이 함몰된 형태의 와류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수관의 분기공을 통과한 혼합물은 상기 급수관 내에 흐르는 소화수와 충돌하면서 상기 와류홈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와류홈 측으로 이동된 혼합물은 상기 와류홈의 벽면에 충돌하여 후퇴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류홈의 공간에 와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와류홈 측으로 이동된 혼합물은 상기 와류로 인해 상기 와류홈 공간 내에서 일시적으로 정체하면서 상기 급수관 내에 흐르는 소화수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은 지하에 매설되는 매설박스, 매설박스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도어모듈, 매설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매설박스의 외부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기 위한 급수관, 매설박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소화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화약제와 소화목적과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이종의 약제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약제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가 급수관 내에 유입되도록 하는 밸브모듈, 및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와 소화수의 혼합물을 분사하기 위한 호스를 포함하고, 도어모듈이 열림에 따라 호스가 매설박스의 상면 개방 부위를 통해 매설박스의 내부로부터 매설박스의 상측 지상으로 이동될 수 있음에 따라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그 주변의 화재 진압, 방역, 제설, 세정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심의 명소, 재래시장, 주택 밀집 지역 등의 도로는 협소한 경우가 빈번하여 소방차나 방역차량 등이 진입할 수 없어 이러한 지역에 대한 화재 진압, 방역, 제설, 세정 등 여러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고, 작업 완료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은 소방차, 방역차량, 제설차량, 세정차량 등이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도로나 골목길의 지하에 설치되어 그 주변의 화재 진압, 방역, 제설, 세정 등 다양한 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밸브모듈은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와 상기 급수관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약제밸브, 급수관을 통해 공급된 소화수 중 일부와 적어도 하나의 약제밸브를 통과한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를 혼합하는 믹서, 믹서에 급수관을 통해 흐르는 소화수 중 일부를 공급하는 제 1 분기관, 소화수 수압에 의해 믹서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급수관의 내부에 토출하는 제 2 분기관을 포함함으로써 약제와 소화수가 충분하게 혼합될 수 있고, 약제와 소화수의 혼합물이 원활하게 분기관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효과가 도출될 수도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모듈(3)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밸브모듈(6)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급수관(4)의 내부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지하에 설치됨으로써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도 그 주변의 화재 진압, 방역, 제설, 세정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을 간략하게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으로 호칭할 수도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은 매설박스(1), 박스홀더(2), 도어모듈(3), 급수관(4),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5), 밸브모듈(6), 릴(7), 및 호스(8)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도 1, 3, 4에는 도어모듈(3)이 열린 상태의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어모듈(3)이 닫힌 상태의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4에는 지하에 매설된 상태의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복잡도를 낮추기 위하여 도어모듈(3)이 열림에 따라 지상에 돌출되는 부분은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은 상기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설박스(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의 측방향과 하방향의 가장 바깥쪽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전 방향의 측면과 하면은 밀폐되고, 상면의 일부는 개방된 맨홀 형태로 지하에 매설된다. 매설박스(1)는 그 측면과 하면이 지하에 매설되고, 도어모듈(3)의 상면이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매설박스(1)의 상면은 지표면보다 박스홀더(2)의 측면 길이만큼 내려가도록 설치된다. 다만, 매설박스(1)의 설치 환경 내지 설치자 의도에 따라 매설박스(1)의 상면은 지표면보다 높거나 평행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매설박스(1)는 그 내부의 전기 설비들이 지하의 습기, 물, 미생물 등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concrete) 등과 같이 방수와 내구성이 뛰어난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된 재료 이외에 다른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매설박스(1)를 지하에 매설하는 작업을 할 때, 매설박스(1)가 함몰되지 않도록 매설박스(1)가 설치될 지하면을 잡석 다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스홀더(2)는 매설박스(1)의 상면을 덮는 매설박스(1)의 상면과 동일한 형상의 사각의 수평프레임(21), 수평프레임(21)의 내부 테두리로부터 위를 향하여 직각으로 꺾여져 올라가는 내부수직프레임(22), 및 수평프레임의 외부 테두리로부터 위를 향하여 직각으로 꺾여져 올라가는 외부수직프레임(23)으로 구성된다. 박스홀더(2)의 수평프레임(21)은 매설박스(1)의 상면을 덮기 위해 매설박스(1)의 상면과 동일한 모양을 갖기 때문에 매설박스(1)의 상면 개방 부위에 대응하는 사각형 형태의 개방 부위를 갖는다. 이 개방 부위를 통해 호스(8)와 릴(7)이 지상으로 또는 매설박스(1)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박스홀더(2)의 수평프레임(21)은 도어모듈(3)과의 결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내부수직프레임(22)은 도어모듈(3)에 부착된 방수밴드(35)와의 밀착 결합을 위한 테두리(edge)를 제공하고, 외부수직프레임(23)은 도어모듈(3)을 고정시키기 위한 테두리를 제공한다.
매설박스(1)의 상면에는 너트 형태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박스홀더(2)의 수평프레임(21)에는 매설박스(1)의 홈들에 대응되는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매설박스(1)와 박스홀더(2)는 볼트들이 박스홀더(2)의 수평프레임(21)의 구멍들을 통해 매설박스(1)의 상면의 홈들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매설박스(1)와 박스홀더(2)의 결합 부위에 실리콘 등과 같은 방수제가 채워짐으로써 박스홀더(2)의 수평프레임(21)은 매설박스(1)의 상면과 밀봉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박스홀더(2)는 어떤 조건에서도 그 모양이 변형되지 않는 단단한 물질, 예를 들어 금속재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네 개의 링(203)이 박스홀더(2)의 외측 모서리에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의 시공을 위해 매설박스(1)가 이동될 필요가 있다. 매설박스(1)는 매우 무겁기 때문에, 로프를 링(203)에 묶은 후에 포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매설박스(1)는 이동될 수 있다.
도어모듈(3)은 박스홀더(2)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그것의 개폐 동작에 따라 매설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덮거나 노출시킨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모듈(3)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어모듈(3)은 상판(31), 보조도어(32), 하판(33), 복수 개의 제습패드(34), 및 방수밴드(35)로 구성된다.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은 그 위로 사람이나 차량이 지나다닐 수 있음에 따라 이것에 가해지는 지상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도어모듈(3)의 상판(31), 보조도어(32), 하판(33)은 그 모양이 잘 변형되지 않는 금속 소재로 제작되며, 특히 가볍고 녹이 잘 슬지 않는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판(31)과 보조도어(32)는 도어모듈(3)이 닫힌 상태에서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의 상 방향의 가장 바깥쪽의 부분으로서, 지상에 노출되어 상측 외기와 접촉한다. 상판(31)은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되며, 그 상면의 일측은 함몰되어 있다. 보조도어(32)는 상판(31) 상면의 함몰 부분에 들어맞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판(31) 상면의 함몰 부분의 단턱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그것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판(31) 상면의 함몰 부분을 덮거나 노출시킨다. 도어모듈(3)의 상면, 즉 상판(31)과 보조도어(32)의 상면은 도어모듈(3)이 닫힌 상태에서 보도 또는 차도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도어(32) 아래에 상판(31)의 손잡이가 숨겨질 수 있음에 따라 도어모듈(3)의 상면은 차량, 물건의 이동이나 사람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평탄한 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두 개의 잠금장치(310)는 상판(31)과 박스홀더(2)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31)이 닫힌 상태에서 상판(31)이 열리지 않도록 상판(31)을 잠그는 역할을 한다. 각 잠금장치(310)는 한 쌍의 레버와 후크로 구성된다. 레버가 내려진 상태에서는 레버와 후크가 체결되고, 레버가 내려진 상태에서는 레버와 후크가 분리된다. 좌측과 우측 잠금장치(310)의 레버는 상판(31) 상면의 함몰 부분의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고, 후크는 박스홀더(2)의 수평프레임(21)의 상면에 설치된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사용자는 도어모듈(3)을 열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보조도어(32)의 손잡이를 잡고 보조도어(32)를 들어올린 후 뒤로 젖혀서 보조도어(32)를 연다. 이에 따라, 상판(31) 상면의 함몰 부분에 설치된 두 개의 레버가 노출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두 개의 레버를 올려서 각 잠금장치(310)의 잠금을 해제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판(31)의 손잡이를 잡고 상판(31)을 들어올린 후 뒤로 젖혀서 도어모듈(3)을 열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모듈(3)의 상판(31)의 하면에는 도어모듈(3)이 닫힌 상태에서 박스홀더(2)의 내부수직프레임(22)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판(31) 하면의 둘레를 일주하는 형태의 틈이 마련되어 있고, 이 틈에 방수밴드(35)가 삽입되어 접착된다. 방수밴드(35)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갖는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어모듈(3)이 닫힌 상태에서 상판(31)의 하면에 부착된 방수밴드(35)는 박스홀더(2)의 내부수직프레임(22)의 상단에 의해 눌리게 되고, 이와 같은 눌림에 의한 박스홀더(2)의 내부수직프레임과 방수밴드(35)간의 밀착 결합은 박스홀더(2)의 내부수직프레임과 상판(31) 사이의 틈을 밀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모듈(3)이 닫힌 상태에서 매설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는 도어모듈(3)에 의해 덮여져 밀봉된다. 이에 따라, 도어모듈(3)이 닫힌 상태에서는 비가 내리거나 도로 상의 오수가 도어모듈(3)을 타고 흐르더라도 매설박스(1) 내부로는 물이 유입될 수 없게 된다.
하판(33)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판(31)의 하면에 볼트 결합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상판(31)과의 사이에 제습단열공간(30)을 형성한다. 상판(31)과 하판(33) 사이의 틈을 통해 제습단열공간(30)은 매설박스(1)의 내부공간과 연통한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홀더(2)의 바닥면 가장자리에는 복수 개의 배수구(201)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모듈(3)이 닫힌 상태에서는 비가 내리거나 도로 상의 오수가 도어모듈(3)을 타고 흐르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매설박스(1) 내부로는 물이 유입될 수 없으나, 도어모듈(3)과 박스홀더(2) 사이의 틈으로 물이 유입된다. 이와 같이, 도어모듈(3)이 닫힌 상태에서 도어모듈(3)과 박스홀더(2) 사이의 틈에 유입된 물은 박스홀더(2)의 배수구(201)를 통해 주변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물막이판(202)은 사각평판 형태로 박스홀더(2)의 배수구(201) 외측에 설치되어 박스홀더(2)의 배수구(201)로부터 유출된 물이 연직 하방으로 흘러내리도록 한다. 매설박스(1)를 지하에 매설하는 작업을 할 때, 매설박스(1)가 설치될 지하면을 잡석 다짐 처리한 후에 그 위에 매설박스(1)를 설치하고 그 주변을 토사로 채워 넣게 된다. 박스홀더(2)의 배수구(201)로부터 유출된 물이 매설박스(1) 주위로 흘러나가게 되면 이와 같이 채워 넣은 토사가 유실될 수 있다.
급수관(4)은 매설박스(1)의 내부에 설치되어 매설박스(1)의 외부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기 위한 금속 소재의 배관이다. 급수관(4)의 입구는 매설박스(1)의 외측에 노출되어 수도관(미도시)과 연결되고, 출구는 엘보관(48)을 통해 호스(8)와 연결된다.
메인밸브(45)는 급수관(4)의 입구측 관로에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매설박스(1)의 외부로부터 급수관(4)으로의 소화수 공급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사용자에 의한 메인밸브(45)의 레버 조작에 따라 급수관(4)의 입구측 관로가 개방되거나 차폐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메인밸브(45)는 제 1 분기관(63)과 제 2 분기관(64) 사이의 급수관(4) 관로에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개방되거나 차폐됨으로써 매설박스(1)의 외부로부터 제 1 분기관(63) 후측의 급수관(4) 부분으로의 소화수 공급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5)는 매설박스(1)의 내부에 설치되어 소화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화용 약제와 소화목적과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이종의 약제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약제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보틀(bottle) 형태의 저장소이다. 각 약제저장소(5)의 출구측 주둥이에는 너트형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네 개의 약제저장소(5) 중 첫 번째 약제저장소(51)에는 소화용 약제가 저장되어 있고, 두 번째 약제저장소(52)에는 소독용 약제가 저장되어 있고, 세 번째 약제저장소(53)에는 제설용 약제가 저장되어 있고, 네 번째 약제저장소(52)에는 세정용 약제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화재는 일반화재(A형), 유류화재(B형) 등 여러 종류로 분류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소화용 약제가 다르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소화용 약제가 서로 다른 약제저장소에 저장될 수도 있다.
밸브모듈(6)은 급수관(4)과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5)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5)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약제저장소(5)로부터 어느 한 종류의 약제가 급수관(4) 내에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밸브모듈(6)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첫 번째 약제저장소(51)로부터 소화용 약제가 급수관(4) 내에 유입될 수도 있고, 두 번째 약제저장소(52)로부터 소독용 약제가 급수관(4) 내에 유입될 수도 있고, 세 번째 약제저장소(53)로부터 제설용 약제가 급수관(4) 내에 유입될 수도 있고, 네 번째 약제저장소(52)로부터 세정용 약제가 급수관(4) 내에 유입될 수도 있다.
또한, 밸브모듈(6)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5) 중에서 두 개의 약제저장소(5)로부터 두 종류의 약제가 급수관(4) 내에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된 건물 등 지상 목표물을 소독할 필요가 있는 경우, 첫 번째 약제저장소(51)와 두 번째 약제저장소(52)로부터 소화용 약제와 소독용 약제가 급수관(4) 내에 동시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서 지상 목표물에 대한 화재 진압과 소독이 동시에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종래에는 화재 진압 후에 소독이 진행됨으로써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화재 진압과 소독이 동시에 진행됨으로써 소요 시간이 대폭 단축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밸브모듈(6)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밸브모듈(6)은 복수 개의 약제밸브(61), 믹서(62), 제 1 분기관(63), 및 제 2 분기관(64)으로 구성된다. 복수 개의 약제밸브(61)는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5)와 급수관(4) 사이에 설치된다. 각 약제밸브(61)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개방되거나 차폐됨으로써 각 약제저장소(5)로부터 급수관(4)으로의 약제 유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각 약제밸브(61)는 볼밸브(ball valve)의 일종으로 일자형 밸브관, 밸브관 내에 위치하는 볼, 및 볼을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로 구성된다. 각 약제밸브(61)의 볼 중심에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의 레버 조작에 따라 볼이 회전되고, 볼 회전에 따라 일자형 밸브관이 개방되거나 차폐된다.
도 6에는 각 약제밸브(61)가 매우 단순한 구조의 볼밸브로 구현되어, 제 1 약제밸브(611)가 개방되고, 나머지 약제밸브(612~614)는 차폐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 약제밸브(61)는 다른 구조의 밸브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약제밸브(61) 중 어느 하나의 약제밸브의 개방과 나머지 약제밸브의 차단에 의해 어느 한 종류의 약제가 급수관(4) 내에 유입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약제밸브(61) 중 두 개의 약제밸브의 개방과 나머지 약제밸브의 차단에 의해 두 종류의 약제가 급수관(4) 내에 동시에 유입될 수도 있다.
믹서(62)는 급수관(4)을 통해 공급된 소화수 중 일부와 어느 하나의 밸브를 통과한 어느 한 종류의 약제를 혼합함으로써 급수관(4)을 통해 공급된 소화수 중 일부와 어느 하나의 밸브를 통과한 어느 한 종류의 약제 혼합물을 생성한다. 믹서(62)는 급수관(4)을 통해 공급된 소화수 중 일부와 두 개의 밸브를 통과한 두 종류의 약제를 혼합할 수도 있다. 믹서(62)는 입수홀, 출수홀, 복수 개의 밸브홀을 제외한 전면이 밀폐된 육각형 챔버 형태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예를 기준으로, 믹서(62)의 좌측면에 입수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 출수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네 개의 밸브홀이 형성되어 있다.
믹서(62)의 각 밸브홀 둘레는 원통관 형태로 돌출되어 있고, 각 밸브홀 둘레의 돌출 부분에는 볼트형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믹서(62)의 각 밸브홀 둘레의 돌출 부분에 각 약제저장소(5)의 출구측 주둥이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각 약제저장소(5)는 믹서(62)외면에 고정되어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약제저장소(5)를 결합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각 약제저장소(5)를 믹서(62)에 결합시키거나 믹서(6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 1 분기관(63)은 메인밸브(45) 전측의 급수관(4) 부분에서 분기된 형태의 배관으로 믹서(62)에 급수관(4)을 통해 흐르는 소화수 중 일부를 공급한다. 제 1 분기관(63)은 급수관(4)보다 가는 배관으로 그 입구는 메인밸브(45)의 전측에 위치한 급수관(4)의 분기공에 연결되고, 그 출구는 믹서(62)의 입수홀에 연결된다. 도어모듈(3)이 닫힌 상태, 즉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이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메인밸브(45)와 복수 개의 약제밸브(61) 전체가 차폐되어 있다. 이와 같이, 메인밸브(45)와 복수 개의 약제밸브(61) 전체가 차폐된 상태에서 믹서(62)의 내부는 제 1 분기관(63)을 통해 유입된 소화수로 채워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메인밸브(45)와 어느 하나의 약제밸브가 개방되면 믹서(62) 내부에 채워져 있는 소화수와 어느 하나의 약제밸브를 통과한 어느 한 종류의 약제가 혼합되고, 믹서(62)에 유입되는 소화수의 수압에 의해 믹서(62)에서 생성된 혼합물은 급수관(4)의 내부에 토출된다. 메인밸브(45)와 두 개의 약제밸브가 개방되면 믹서(62) 내부에 채워져 있는 소화수와 두 개의 약제밸브를 통과한 두 종류의 약제가 혼합되어 급수관(4)의 내부에 토출된다. 믹서(62) 내부가 비워져 있는 상태에서 믹서(62) 내부로 약제가 유입될 경우에 믹서(62) 내부 바닥면에 약제가 침착되어 점점 쌓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믹서(62) 내부는 항상 소화수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약제 침착이 방지될 수 있고, 믹서(62)의 관리가 매우 수월하게 된다.
제 2 분기관(64)은 메인밸브(45) 후측의 급수관(4) 부분에서 분기된 형태의 배관으로 제 1 분기관(63)을 통해 믹서(62)에 유입되는 소화수의 수압에 의해 믹서(62)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급수관(4) 내부에 토출한다. 제 2 분기관(64)은 급수관(4)보다 가는 배관으로 그 입구는 믹서(62)의 출수홀에 연결되고, 그 출구는 메인밸브(45)의 후측에 위치한 급수관(4)의 분기공에 연결된다. 밸브모듈(6)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약제밸브(61), 믹서(62), 제 1 분기관(63), 및 제 2 분기관(64)으로 구성됨에 따라 약제와 소화수가 충분하게 혼합될 수 있고, 약제와 소화수의 혼합물이 원활하게 급수관(4)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믹서(62)의 내부에는 제 2 분기관(64)이 믹서(62)의 내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격관(6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약제밸브(61)의 출구는 격관(620) 입구의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약제밸브를 통과한 어느 한 종류의 약제는 그 약제밸브(61)의 출구로부터 유출된 후에 역류하여 격관(620)과 제 2 분기관(64)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급수관(4)에 유입된다. 두 개의 약제밸브를 통과한 두 종류의 약제가 그 두 개의 약제밸브(61)의 출구로부터 유출된 후에 역류하여 격관(620)과 제 2 분기관(64)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급수관(4)에 유입될 수도 있다.
소화수는 호스(8)의 출구로부터 매우 먼 곳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매우 빠른 속도록 급수관(4)을 통해 이동한다. 약제가 급수관(4) 내에 유입되더라도, 약제가 소화수와 충분하게 혼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약제 덩어리인 상태로 호스(8)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약제가 믹서(62)에 채워진 소화수 내에서 역류하는 과정에서 소화수와 충분하게 혼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믹서(62)에서 생성된 혼합물의 균질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급수관(4)의 내부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급수관(4)의 관로는 제 1 분기관(63)이 분기된 위치로부터 제 2 분기관(64)이 분기된 위치 측으로 가까이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다가 제 2 분기관(64)이 분기된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급수관(4)의 관로가 넓은 부분에서는 소화수의 압력이 높고 유속이 느리다. 반면, 관로가 좁은 부분에서는 소화수의 압력이 낮고 유속이 빠르다. 즉, 제 1 분기관(63)이 분기된 위치에서의 급수관(4) 내의 소화수 수압이 제 2 분기관(64)이 분기된 위치에서의 급수관(4) 내의 소화수 수압보다 높게 된다.
이와 같은 제 1 분기관(63)이 분기된 위치에서의 급수관(4) 내의 소화수 수압과 제 2 분기관(64)이 분기된 위치에서의 급수관(4) 내의 소화수 수압의 차이에 비례하여 믹서(62) 내부의 혼합물을 급수관(4) 내로 빨아드리는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 흡입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약제밸브가 개방된 경우, 어느 하나의 약제저장소 내부의 약제가 믹서(62)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두 개의 약제밸브가 개방된 경우, 두 개의 약제저장소 내부의 약제가 믹서(62) 내부로 흡입될 수도 있다. 어떤 약제는 점성이 높아 그것의 자중에 의한 낙하만으로는 약제저장소(5)로부터 믹서(62) 내부로 유입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급수관(4)의 분기 및 관로 구조에 의해 일정한 흡입력으로 약제저장소 내부의 약제가 믹서(62) 내부로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약제 점성에 관계없이 약제와 소화수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해 보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약제저장소(5)는 믹서(62) 위에 배치되어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약제저장소(5)는 믹서(62)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약제저장소(5)로부터 믹서(62)로 약제가 이동할 때에,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약제가 중력 방향으로 흘러 내려가지만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약제가 반대 방향으로 흘러 올라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흡입력으로 약제저장소 내부의 약제가 믹서(62) 내부로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소화수의 유속이 빠르고 제 1 분기관(63)이 분기된 위치에서의 급수관(4) 내의 소화수 수압과 제 2 분기관(64)이 분기된 위치에서의 급수관(4) 내의 소화수 수압의 차이가 크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저장소(5)는 믹서(6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약제저장소 내부의 약제에 대한 흡입력이 크고 약제의 점성이 매우 낮다면 도 8에 도시된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제 2 분기관(64)이 분기된 위치에 형성된 급수관(4)의 분기공과 제 2 분기관(64)이 분기된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태의 관로가 만나는 부분에는 급수관(4)의 분기공의 통로 벽면이 함몰된 형태의 와류홈(400)이 형성되어 있다. 급수관(4)의 분기공을 통과한 혼합물은 급수관(4) 내에 흐르는 소화수와 충돌하면서 와류홈(400) 측으로 이동되고, 와류홈(400) 측으로 이동된 혼합물은 와류홈(400)의 벽면에 충돌하여 후퇴하는 과정에서 와류홈(400)의 공간에 와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와류로 인해 와류홈(400) 측으로 이동된 혼합물은 와류홈(400) 공간 내에서 일시적으로 정체하면서 급수관(4) 내에 흐르는 소화수와 혼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분기관(64)이 분기된 위치에서의 급수관(4) 내의 소화수 유속은 다른 급수관 부분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급수관(4)의 분기공을 통과한 혼합물은 급수관(4) 내에 흐르는 소화수와 충분하게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와류홈(400)의 공간에 발생된 와류로 인해 와류홈(400) 측으로 이동된 혼합물은 와류홈(400) 공간 내에서 일시적으로 정체하면서 급수관(4) 내에 흐르는 소화수와 혼합되기 때문에 급수관(4) 내에 흐르는 소화수의 유속이 빠르더라도 급수관(4) 내에 흐르는 소화수와 급수관(4)의 분기공을 통과한 혼합물은 충분하게 혼합될 수 있다.
엘보관(48)은 "T"자형 금속관으로 급수관(4)과 호스(8) 사이에 삽입되어 급수관(4)과 호스(8)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급수관(4)과 호스(8)의 연결 라인에 남아 있는 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에 의한 엘보관(48)의 레버 조작에 따라 엘보관(48)의 하측 출구가 개방되거나 차폐된다. 엘보관(48)의 하측 출구가 개방되면 급수관(4)과 호스(8)의 연결 라인에 남아 있는 물이 배출된다.
릴(7)은 도어모듈(3)의 하면에 볼트 결합을 이용하여 부착되며, 그 원통 부분에 호스(8)가 감겨져 보관된다.
호스(8)는 급수관(4) 내에 유입된 어느 한 종류의 약제와 급수관(4)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의 혼합물을 분사하기 위한 합성수지 소재의 연질관이다. 급수관(4) 내로 두 종류의 약제가 유입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호스(8)는 두 종류의 약제와 소화수의 혼합물을 분사하게 된다. 호스(8)의 입구는 엘보관(48)을 통해 급수관(4)의 출구에 연결되며, 호스(8)의 출구는 약제와 소화수의 혼합물을 분사한다. 호스(8)의 출구는 노즐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약제와 소화수의 혼합물은 강하게 분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모듈(3)이 닫힌 상태에서 도어모듈(3)의 하면에 부착된 릴(7)과 릴(7)에 감겨져 있는 호스(8)는 매설박스(1)의 내부에 위치하며 매설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는 도어모듈(3)에 의해 밀봉된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도어모듈(3)이 열림에 따라 도어모듈(3)의 하면에 부착된 릴(7)과 릴(7)에 감겨져 있는 호스(8)는 매설박스(1)의 상면 개방 부위를 통해 매설박스(1)의 내부로부터 매설박스(1)의 상측 지상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호스(8)는 릴(7)로부터 풀려져 화재가 발생된 건물 등 지상 목표물 근처로 이동된다. 사용자에 의한 메인밸브(45)의 레버 조작에 따라 호스(8) 내부의 혼합물은 지상 목표물에 분사된다.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의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에 의해 호스(8)는 릴(7)에 감겨진 후에 도어모듈(3)이 닫히게 된다.
도심의 명소, 재래시장, 주택 밀집 지역 등의 도로는 협소한 경우가 빈번하여 소방차, 방역차량, 제설차량, 세정차량 등이 진입할 수 없어 이러한 지역에 대한 화재 진압, 방역, 제설, 세정 등 여러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고, 작업 완료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었다. 이것에 기인하여 화재 진압 지연에 따른 대형 화재의 발생, 방역 지연에 따른 전염병 창궐, 제설 지연에 따른 각종 사고 발생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은 소방차, 방역차량, 제설차량, 세정차량 등이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도로나 골목길의 지하에 설치되어 그 주변의 화재 진압, 방역, 제설, 세정 등 다양한 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스스프링(9)은 도어모듈(3)과 매설박스(1)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인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력 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가스스프링(9)의 상단은 도어모듈(3)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단은 매설박스(1)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가스스프링은 주로 자동차의 후드, 트렁크 등에 사용되고 있다. 도 1, 2에는 우측에 하나의 가스스프링(9)이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좌측과 우측에 두 개의 가스스프링(9)이 설치될 수도 있다. 가스스프링(9)은 사용자가 도어모듈(3)을 열 때에 사용자의 인력 부담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도어모듈(3)이 닫힐 때에 사용자 실수로 인한 도어모듈(3)과 박스홀더(2) 간의 충돌로 인한 파손도 방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습패드(34)는 상판(31)과 하판(33) 사이의 제습단열공간(30)에 설치된다. 제습단열공간(30)에 설치되는 제습패드(34)의 개수는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이 설치되는 지역의 기후 및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31)과 하판(33) 사이의 제습단열공간(30)에는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이 설치되는 지역의 기후 및 주변 환경에 따라 하나의 제습패드(34)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제습패드(34)는 제습단열공간(30)의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함으로써 매설박스(1)의 내부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고, 내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방향드레인(100) 각각은 매설박스(1)의 내부 바닥면의 모서리마다 설치되며, 매설박스(1)의 내측으로부터 매설박스(1)의 외측으로의 물 흐름을 허용하고 매설박스(1)의 외측으로부터 매설박스(1)의 내측으로의 물 흐름을 차단한다. 도어모듈(3)이 닫힌 상태에서 각 제습패드(34)에 과잉 축적된 수분은 액체 상태로 매설박스(1)의 내부 바닥면을 향해 낙하하게 되고, 매설박스(1)의 내부 바닥면을 향해 낙하된 액상 수분은 적어도 하나의 단방향드레인(100)을 통하여 매설박스(1)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방향드레인(100) 각각은 도어모듈(3)의 상판(31)과 하판(33) 사이의 틈의 하측 연직 방향에 해당하는 매설박스(1)의 내부 바닥면의 모서리 지점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각 제습패드(34)에서 발생된 액상 수분은 각 단방향드레인(100)의 입구로 바로 낙하되고, 매설박스(1)의 내부 부품에 액상 수분이 낙하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매설박스
100 ... 단방향드레인
2 ... 박스홀더
21 ... 수평프레임
22 ... 내부수직프레임
23 ... 외부수직프레임
201 ... 배수구
202 ... 물막이판
203 ... 링
3 ... 도어모듈
31 ... 상판
32 ... 보조도어
310 ... 잠금장치
33 ... 하판
30 ... 제습단열공간
34 ... 제습패드
35 ... 방수밴드
4 ... 급수관
400 ... 와류홈
45 ... 메인밸브
5 ... 약제저장소
6 ... 밸브모듈
61 ... 약제밸브
62 ... 믹서
620 ... 격관
63 ... 제 1 분기관
64 ... 제 2 분기관
48 ... 엘보관
7 ... 릴
8 ... 호스
9 ... 가스스프링

Claims (8)

  1. 전 방향의 측면과 하면은 밀폐되고, 상면의 일부는 개방된 맨홀 형태로 지하에 매설되는 매설박스(1);
    상기 매설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도어모듈(3);
    상기 매설박스(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매설박스의 외부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기 위한 급수관(4);
    상기 매설박스(1)의 내부에 설치되어 소화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화약제와 상기 소화목적과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이종의 약제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약제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5);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5)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약제저장소(5)로부터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가 상기 급수관(4) 내에 유입되도록 하는 밸브모듈(6); 및
    상기 급수관(4) 내에 유입된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와 상기 급수관(4)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의 혼합물을 분사하기 위한 호스(8)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모듈(3)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매설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는 상기 도어모듈(3)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도어모듈(3)이 열림에 따라 상기 호스(8)는 상기 매설박스(1)의 상면 개방 부위를 통해 상기 매설박스(1)의 내부로부터 상기 매설박스(1)의 상측 지상으로 이동되고,
    상기 밸브모듈(6)은 상기 복수 개의 약제저장소(5)와 상기 급수관(4)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약제밸브(61)를 포함하고,
    상기 각 약제밸브(61)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개방되거나 차폐됨으로써 상기 각 약제저장소(5)로부터 상기 급수관(4)으로의 약제 유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약제밸브(61) 중 적어도 하나의 약제밸브의 개방과 나머지 약제밸브의 차단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가 상기 급수관(4) 내에 유입되고,
    상기 밸브모듈(6)은
    상기 급수관(4)을 통해 공급된 소화수 중 일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밸브를 통과한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를 혼합하는 믹서(62);
    상기 급수관(4)에서 분기된 형태의 배관으로 상기 믹서(62)에 상기 급수관(4)을 통해 흐르는 소화수 중 일부를 공급하는 제 1 분기관(63); 및
    상기 급수관(4)에서 분기된 형태의 배관으로 상기 제 1 분기관(63)을 통해 상기 믹서(62)에 유입되는 소화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믹서(62)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상기 급수관(4)의 내부에 토출하는 제 2 분기관(6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기관(63)과 상기 제 2 분기관(64) 사이의 급수관(4) 관로에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개방되거나 차폐됨으로써 상기 매설박스(1)의 외부로부터 상기 급수관(4)으로의 소화수 공급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메인밸브(4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밸브(45)와 상기 복수 개의 약제밸브(61) 전체가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믹서(62)의 내부는 상기 제 1 분기관(63)을 통해 유입된 소화수로 채워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메인밸브(45)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믹서(62) 내부에 채워져 있는 소화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밸브를 통과한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가 혼합되고, 상기 믹서(62)에 유입되는 소화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믹서(62)에서 생성된 혼합물은 상기 급수관(4)의 내부에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62)의 내부에는 상기 제 2 분기관(64)이 상기 믹서(62)의 내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격관(6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약제밸브(61)의 출구는 상기 격관(620) 입구보다 아래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밸브를 통과한 적어도 한 종류의 약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밸브의 출구로부터 유출된 후에 역류하여 상기 격관(620)과 상기 제 2 분기관(64)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상기 급수관(4)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4)의 관로는 상기 제 1 분기관(63)이 분기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분기관(64)이 분기된 위치 측으로 가까이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다가 상기 제 2 분기관(64)이 분기된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분기관(63)이 분기된 위치에서의 급수관(4) 내의 소화수 수압과 상기 제 2 분기관(64)이 분기된 위치에서의 급수관(4) 내의 소화수 수압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믹서(62) 내부의 혼합물을 상기 급수관(4) 내로 빨아드리는 흡입력이 발생되고, 상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약제저장소 내부의 약제가 상기 믹서(62)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기관(64)이 분기된 위치에 형성된 급수관(4)의 분기공과 상기 제 2 분기관(64)이 분기된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형태의 관로가 만나는 부분에는 상기 급수관(4)의 분기공의 통로 벽면이 함몰된 형태의 와류홈(4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수관(4)의 분기공을 통과한 혼합물은 상기 급수관(4) 내에 흐르는 소화수와 충돌하면서 상기 와류홈(400)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와류홈(400) 측으로 이동된 혼합물은 상기 와류홈(400)의 벽면에 충돌하여 후퇴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류홈(400)의 공간에 와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와류홈(400) 측으로 이동된 혼합물은 상기 와류로 인해 상기 와류홈(400) 공간 내에서 일시적으로 정체하면서 상기 급수관(4) 내에 흐르는 소화수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KR1020200119245A 2020-01-21 2020-09-16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KR102189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881A KR20220036817A (ko) 2020-01-21 2020-12-04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148 2020-01-21
KR20200008148 2020-01-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881A Division KR20220036817A (ko) 2020-01-21 2020-12-04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900B1 true KR102189900B1 (ko) 2020-12-11

Family

ID=737862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245A KR102189900B1 (ko) 2020-01-21 2020-09-16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KR1020200168881A KR20220036817A (ko) 2020-01-21 2020-12-04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881A KR20220036817A (ko) 2020-01-21 2020-12-04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899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334A (ko) * 2021-02-23 2022-08-30 동림기술 주식회사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KR102457160B1 (ko) * 2021-04-27 2022-11-01 강은진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KR102457164B1 (ko) * 2021-04-27 2022-11-01 강은진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KR20220147736A (ko) * 2021-04-27 2022-11-04 강은진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402A (ko) * 2006-09-29 2006-10-20 (주) 엔케이텍 복합식 소화시스템
KR102015231B1 (ko) * 2018-12-31 2019-08-27 한국안전시스템 주식회사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402A (ko) * 2006-09-29 2006-10-20 (주) 엔케이텍 복합식 소화시스템
KR102015231B1 (ko) * 2018-12-31 2019-08-27 한국안전시스템 주식회사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334A (ko) * 2021-02-23 2022-08-30 동림기술 주식회사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KR102548392B1 (ko) * 2021-02-23 2023-06-28 동림기술 주식회사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KR102457160B1 (ko) * 2021-04-27 2022-11-01 강은진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KR102457164B1 (ko) * 2021-04-27 2022-11-01 강은진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KR20220147736A (ko) * 2021-04-27 2022-11-04 강은진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KR102475699B1 (ko) * 2021-04-27 2022-12-12 강은진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817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900B1 (ko)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KR102015231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KR102007127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CN106285074A (zh) 一种物流园区的设计规范
KR101331616B1 (ko)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KR101792767B1 (ko)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KR102189899B1 (ko) 제습 및 단열의 복합 기능을 갖는 지하매설식 소방시스템
KR102457164B1 (ko)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KR101389799B1 (ko) 수막을 이용한 산불방지 급수 시스템
US7614192B2 (en) Building drainage system
KR200496577Y1 (ko)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KR102215728B1 (ko) 화재진압용 폼 트레일러
KR102475699B1 (ko)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JP7108510B2 (ja) 災害時用トイレシステム
KR102457160B1 (ko)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CN208183799U (zh) 一种包含透水铺装单元的排水系统
KR102548393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KR102358187B1 (ko) 폼분사 지하 비상소화함 시스템
JP2958641B1 (ja) 配水本管内貯留緊急給水装置
JP2001204843A (ja) 消火装置
KR200435088Y1 (ko) 고정식 화재 진화제 제조장치
KR20090110416A (ko) 회전식 소화전
JPH03156035A (ja) マンホール管理システム並びにこれに用いるマンホール蓋構造
JP7205758B2 (ja) 後付けポンプユニット
CN213740452U (zh) 公路路基施工消解石灰洒布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