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334A -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334A
KR20220120334A KR1020210024313A KR20210024313A KR20220120334A KR 20220120334 A KR20220120334 A KR 20220120334A KR 1020210024313 A KR1020210024313 A KR 1020210024313A KR 20210024313 A KR20210024313 A KR 20210024313A KR 20220120334 A KR20220120334 A KR 20220120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ylinder
hose
hose reel
firef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392B1 (ko
Inventor
윤용준
Original Assignee
동림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림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림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3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14Draining devices for hydr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매설식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지하에 매설되고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소방장치함과; 소방장치함의 상부에 경첩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덮개부와; 메인밸브부와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디스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커플링에 의해 호스릴과 결합되는 호스릴받침대, 디스크 사이에 권취되어 관창을 구비하는 소방호스로 이루어지는 호스릴부와; 소방장치함의 내측 양측게 수직으로 고정되어 호스릴받침대의 양측에 연결되는 실린더부와; 소방장치함 내측에 설치되어 호스릴에 권치된 호스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지하매설식 소방장치에 따르면, 평상시 지하에 매설된 소방장치함의 내부에 호스릴을 내장한 상태에서 덮개를 덮으면 호스릴 등의 소화설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평상시 호스릴이 지상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매설식 소방장치{Underground fire fighting system}
본 발명은 소방장치함에 호스릴부를 내장하여 시장이나 번잡한 곳, 공간이 협소한 지역의 보도, 길 등의 지하에 매설한 지하매설식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재시 소방장치함의 덮개를 열고 소화용수용 배관에 설치된 메인밸브를 개방하면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에 의해 자동으로 호스릴부가 지상으로 상승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소화 후 메인밸브를 폐쇄하고 드레인밸브를 개방하면 호스릴부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하며, 호스릴부의 승강 및 지지구조를 간단한 구조로 개선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지하매설식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장치는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화재를 신속하게 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소방장치는 고정식 소방장치 및 기동식 소방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기동식 소방장치는 소방자동차를 비롯하여 펌프차, 물탱크차, 화학차, 고가 및 굴절 사다리차, 무인방수탑차, 조연차, 구조차, 굴삭기, 소방항공기, 소방정 등이 사용된다.
한편, 고정식 소방장치로는 벽 및 지상에 고정되어 소화용수가 제공되는 소방호스 및 소방호스에 연결되어 소화용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방수총이나 관창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고정식 소방장치는 벽 및 지상에 고정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장시간 눈, 비 및 분진에 의하여 심하게 오염되거나 녹이 슬어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벽 및 지상 등에 고정 배치된 고정식 소방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 공간활용도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정식 소방장치를 소방관리자 이외의 사람들이 임의로 조작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특히, 문화재 관련 시설물이나 사찰 등에서 소방장치가 지상에 노출될 경우 소방장치에 의하여 주변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4389호에는 방수총, 지하식 소화전, 호스릴과 같이 유체를 분사하는 소방설비를 화재가 발생하지 않을 때에는 지중에 배치하고, 화재시에 지중에 배치된 소방설비를 지상으로 리프팅시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소방설비가 눈, 비 및 분진에 의하여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방설비를 소화관리자 이외의 사람들이 조작할 수 없도록 하여 소방장치의 성능을 향상 및 소방장치의 유지보수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소방설비에 의하여 문화재, 사찰 등과 같은 시설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 소방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소방장치는 제1실린더로드의 상부에 이송판을 설치하고, 상기 이송판의 상부에 소방호스가 권취된 호스릴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호스릴의 승강구조가 복잡하여 설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과, 소방장치함의 높이가 호스릴의 절반(½) 높이만큼 높아지므로 매설시 지하를 호스릴의 절반(½) 높이만큼 더 파서 소방장치함을 매설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소방장치는 호스릴을 이송판의 상부에 설치할 때 별도의 회동유닛 등을 설치하여 호스릴을 지지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호스릴을 지지하는 구조가 복잡하고 회동유닛 등이 설치되므로 인하여 설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의 소방장치는 하강유닛의 배수배관에 배수밸브를 설치하여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 내부에 채워진 유체가 배수되도록 하였으나, 구조적으로 배수밸브로는 실린더와 연결호스에 남은 물을 모두 자동으로 배수할 수 없어 겨울철 동파사고의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4389호(공개일자 : 2011.10.1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지하에 매설된 소방장치함의 내부에 호스릴부을 내장한 상태에서 덮개를 덮어 호스릴부 등의 소화설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호스릴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상에 소화설비를 설치 못하는 장소의 지하에 설치함으로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지하매설식 소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시 소방장치함의 덮개를 열고 소화용수용 배관에 설치된 메인밸브를 개방하면 실린더의 승강에 의해 자동으로 호스릴부가 지상으로 상승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호스릴부에 권취된 소방호스의 관창을 잡고 화재장소로 이동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소화할 수 있도록 한 지하매설식 소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 후 메인밸브를 폐쇄하고 앵글밸브를 개방하면 호스릴부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하면서 소방장치함에 내장되도록 하는 동시에 겨울철에 잔류된 소화용수에 의해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하매설식 소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스릴부의 승강 및 지지구조를 간단한 구조로 개선하여 소방장치함의 높이를 낮추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지하매설식 소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지하에 매설되고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소방장치함과; 메인밸브부와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디스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커플링이 설치되며 실린더부에 의해 승강되는 호스릴받침대, 디스크 사이에 권취되어 관창을 구비하는 소방호스로 이루어지는 호스릴부와; 소방장치함의 내측 양측게 수직으로 고정되어 호스릴받침대의 양측에 연결되는 실린더부와; 소방장치함(100) 내측에 설치되어 호스릴부의 소방호스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소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덮개부는, 소방장치함의 상부 테두리에 설치되는 덮개프레임과; 덮개프레임에 경첩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와; 덮개가 닫히 상태 및 열린 상태가 고정되도록 소방장치함의 내측에 고정되어 덮개에 유압실린더로드가 결합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호스릴부는, 실린더부의 제2실린더로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단으로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U'자 형상의 호스릴받침대와; 호스릴받침대에 설치되어 소방호스가 디스크 사이에 권취될 수 있도록 연결호스와 연결되는 연결관이 설치되는 커플링과; 소정 간격이 이격되게 커플링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디스크와; 디스크 사이에 권취되어 밸브부와 연결호스로 연결되는 소방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린더부는, 소방장치함의 내측에 거리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실린더와; 제1실린더의 제1실린더로드와 제1실린더의 제1실린더로드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바와; 승하강바에 고정되어 호스릴부의 호스릴받침대에 제2실린더로드가 결합되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린더는, 제1실린더의 제1실린더로드에 설치된 승하강바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제2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실린더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연동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런더 및 제2실린더는, 메인밸브를 통해 연결배관으로 공급되는 소화용수에 의해 제1실린더로드와 제2실린더로드가 상승하여 호스릴부를 상승하시키고, 메인밸브로 공급되는 소화용수를 차단한 상태에서 드레인밸브를 개방하여 제1실린더로드, 제2실린더로드, 분기배관, 연결배관 및 공급관의 소화용수를 배수시켜 호스릴부의 자중에 의해 소방장치함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하매설식 소방장치에 따르면, 평상시 지하에 매설된 소방장치함의 내부에 호스릴부를 내장한 상태에서 덮개를 덮으면 호스릴부 등의 소화설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평상시 호스릴부가 지상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시 소방장치함의 덮개를 열고 메인밸브를 개방하면 소방호스와 실린더로 소화용수가 동시에 공급되고, 이에 의해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가 자동으로 호스릴부의 호스릴받침대를 지상으로 상승시키기 때문에, 복수의 디스크에 권취된 소방호스의 관창을 잡고 화재장소로 이동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진압 후 메인밸브를 폐쇄하고 연결배관에 설치된 드레인밸브를 개방하면 제1 및 제2실린더에 공급된 소화용수가 외부로 드레인되고, 이에 의해 제1 및 제2실린더의 제1 및 제2실린더로드와 호스릴부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자동으로 소방장치함에 내장됨은 물론 제1실린더, 제2실린더, 연결배관, 분기배관 및 공급관에 남은 소화용수를 모두 드레인시키므로 겨울철 동파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실린더에 의해 소방호스가 사용자의 허리 높이까지 위치되기 때문에 소방호스를 풀림이 용이하여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하는 것은 물론 화재 진압이 완료된 후 소방호스를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별도의 이송판과 회동유닛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호스릴부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소방장치함의 높이를 낮추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식 소방장치의 설치상태를 정면에서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식 소방장치의 설치상태를 측면에서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식 소방장치의 설치상태를 평면에서 덮개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식 소방장치가 지상으로 상승한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식 소방장치가 지상으로 상승한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식 소방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식 소방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지하에 매설되고 하부에 배수구(101)가 형성되는 소방장치함(100)과, 메인밸브부(500)와 연결호스(340)로 연결되어 디스크(3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커플링(320)이 설치되며 실린더부에 의해 승강되는 호스릴받침대(310), 디스크(350) 사이에 권취되어 관창(361)을 구비하는 소방호스(360)로 이루어지는 호스릴부(300)와, 소방장치함(100)의 내측 양측게 수직으로 고정되어 호스릴받침대(310)의 양측에 연결되는 실린더부(400)와, 소방장치함(100) 내측에 설치되어 호스릴부(300)의 소방호스(360)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밸브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식 소방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식 소방장치는 소방장치함(100), 덮개부(200), 호스릴부(300), 실린더부(400) 및 밸브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소방장치함(100)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지중에 매설된다. 또한, 상기 소방장치함(100)은 하부에 배수구(101)가 형성되어 밸브부(500)의 드레인밸브(450)에 의해 배출되는 소바용수가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덮개부(200)는 소방장치함(10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덮개프레임(210)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프레임(210)의 일측에는 경첩이 설치되며, 상기 경첩에는 덮개(220)가 설치되어 소방장치함(100)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고, 상기 소방장치함(100)과 덮개(220)에는 유압실린더(230)가 설치되어 덮개(220)가 오픈된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230)는 유압에 의해 덮개(220)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200)의 덮개(220)에는 복수의 손잡이(221)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손잡이(221)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덮개(220) 쪽에 위치되며, 손잡이를 사용할 때에는 상방향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걸고리 또는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잡은 상태에서 덮개(220)를 개방한다.
상기 소방장치함(100)의 상부에 설치된 덮개(220)를 개방하면, 유압실린더(230)의 유압작용에 의해 유압실린더로드(231)가 상승하면서 덮개(220)를 개방시키면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덮개(220)를 닫으면 유압실린더(230)의 유압작용에 의해 유압실린더로드(231)가 하강하면서 유압에 의해 부드럽게 닫히는 것은 물론 닫힌 상태의 고정한다.
상기 덮개(220)를 개방 및 패쇄 시 유압실린더(230)의 유압작용에 의해 사용자는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덮개(220)의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220)가 닫힌 상태에서는 덮개(220)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로드(231)의 위치에 따라 유압실린더(230)의 위치가 가변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릴부(300)는 제2실린더(430)의 제2실린더로드(431)에 결합될 수 있도록 'U'자 형상으로 호스릴받침대(310)가 설치되고, 상기 호스릴받침대(310)에 커플링(320)이 설치되며, 상기 커플링(320)에는 복수의 디스크(350)가 이격되게 설치되어 소방호스(360)가 풀림 및 감김이 용이하고, 상기 커플링(320)에 설치된 복수의 디스크(350) 사이에는 소방호스(360)가 권취되며, 상기 소방호스(360)는 밸브부(500)의 앵글밸브(560)와 연결호스(340)로 연걸되어 소방용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플링(320)의 일측에는 연결관(33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330)은 앵글밸브(560)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수를 소방호스(360)의 일측에 설치된 관창(361)으로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소방호스(360)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연결호스(340)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부(400)는 소방장치함(100)의 내측에 거리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실린더(410)가 설치되고, 제1실린더(410)의 제1실린더로드(411)와 제1실린더(410)의 제1실린더로드(411)에 가로방향으로 승하강바(420)가 설치되어 승하강되게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바(420)에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제2실린더(430)를 고정하기 위한 실린더고정체(421)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고정체(421)에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제2실린더(430)가 설치되며, 상기 제2실린더(430)의 제2실린더로드(431)는 호스릴받침대(3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400)의 제1실린더(410)에는 연결배관(440)이 설치된다. 상기 제1실린더(410)에 연결되는 연결배관(440)은 금속재질 또는 소방호스와 같은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배관(440)은 소방장치함(100)이 설치되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그 재질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410)는 메인밸브(510)를 통해 연결배관(440)으로 공급되는 소화용수에 의해 제1실린더로드(411)가 상승하여 호스릴부(300)를 상승하시키고, 메인밸브(510)로 공급되는 소화용수를 차단한 상태에서 드레인밸브(450)를 개방하여 제1실린더(410), 분기배관(520), 연결배관(440) 및 공급관(550)의 소화용수를 배수시켜 호스릴부(300)가 자중에 의해 소방장치함(10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실린더(410)와 연결되는 연결배관(440)에는 드레인밸브(450)가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밸브(450)는 제1실린더(410), 밸브부(500)의 분기배관(520) 및 공급관(550)으로 공급된 소방용수를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드레인밸브(450)를 통해 소방용수가 배출되면, 소방용수에 의해 상승하였던 제1실린더로드(411)가 호스릴부(300)의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상기 밸브부(500)는 소방용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소방장치함(100)의 내측에 메인밸브(510)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밸브(510)에서 소방용수가 배출되는 배출측에는 엘보(미부호)로 연결되는 분기배관(520)이 설치되며, 분기배관(520)의 상부에는 볼밸브(530)가 설치되고, 상기 볼밸브(530)의 일측에는 회전엘보우(540)가 설치된다.
또한, 분기배관(520)에는 공급관(550)이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550)에는 앵글밸브(560)가 설치되어 연결호스(340)로 소방용수를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엘보에는 드레인밸브(450)가 설치된 연결배관(440)이 연결되어 제1실린더(410)로 소방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식 소방장치를 통해 소방용수를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하매설식 소방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덮개(220)에 형성된 복수의 손잡이(221)를 상방향으로 작업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들어오리면 경첩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유압실린더(230)의 유압실린더로드(231)가 신장되면서 덮개(220)를 개방한다.
상기 덮개(220)를 개방한 상태에서 메인밸브(510)의 메인밸브핸들을 돌려 소방용수가 공급되도록 하면, 상기 메인밸브(510)로 유입되는 소방용수는 분기배관(520)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연결배관(440)으로 공급되고, 상기 연결배관(440)으로 공급된 소방용수는 제1실린더(410)로 공급되어 제1실린더로드(411)를 상승한다.
상기 제1실린더로드(411)의 승하강바(420)가 상승하면서 복수의 제2실린더(430)를 상승하시키고, 이때 상기 복수의 제2실린더(430)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사용자가 호스릴받침대(310)를 잡고 상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에어가 제2실리더(430)로 유입되면서 제2실리더로드(431)가 상승되면서 호스릴받침대(310)를 상승시켜 소방호스(360)가 사용자의 허리부분까지 위치되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다.
상기 제1실린더(410)와 제2실린더(430)에 의해 상승된 호스릴받침대(310)에 설치된 소방호스(360)의 관창(361)을 잡고 당기면, 소방호스(360)는 커플링(320)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디스크(350) 사이에서 풀린다.
상기 소방호스(360)가 풀린 상태에서 관창(361)을 화재가 발생된 부분으로 겨눈 후 공급관(550)에 설치된 앵글밸브(560)의 앵들밸브핸들을 돌려 메인밸브(510)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용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상기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소방용수의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도 연결배관(440)으로 공급되는 소방용수에 의해 제1실린더(410)와 제2실린더(430)의 압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호스릴부(300)의 상승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소방용수는 메인밸브(510)의 배출측 직경보다 분기배관(520)의 직경이 매우 작기 때문에 메인밸브(510)에서 공급되는 소화용수의 압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연결배관(440) 쪽으로 압력이 계속 작용되어 호스릴부(300)가 지상으로 상승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메인밸브(510)에서 공급되는 소방용수를 통해 화재의 진압이 완료되면, 앵글밸브(560)를 잠그고 연결호스(340)를 분리하여 소방호스(360)에 잔류된 소방용수를 배출시키고, 소방용수가 완전하게 배출된 상태에서 복수의 디스크(350) 사이에 소방호스(360)를 감은 후 연결호스(340)를 다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앵글밸브(560)를 잠근 상태에서 메인밸브(510)의 메인밸브핸들을 잠가 소방용수의 공급을 차단한 후 연결배관(440)에 설치된 드레인밸브(450)를 개방한다. 이때 드레인밸브(450)를 개방한 상태에서 다시 앵글밸브를 개방하거나 또는 회전엘보우의 일측에 결합된 캡을 열어 분기배관(520), 공급관(550) 및 제1실린더(410)에 잔류된 소방용수가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실린더(410)의 배수가 이루어지면, 복수의 디스크(350) 사이에 감긴 호스릴부(300)의 자중에 의해 제1실린더로드(411)가 최초 상태로 복귀하면서 소방장치함(100)의 내측 쪽으로 하강한다.
이때 사용자가 호스릴받침대(310)를 소방장치함(100)쪽으로 누르면 제2실린더로드가 하강하면서 제2실린더 내부로 유입된 에어를 배출시키면서 하강하여 소방호스릴부가 소방장치함(10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소방장치함(100)에 호스릴부(300)가 위치된 상태에서 덮개(220)를 회전시켜 닫으면 소방장치함(100) 내부의 소방시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보관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덮개(220)를 닫으면 소방장치함(100)과 덮개(220)에 걸쳐서 설치된 유압실린더(230)에 의해 소방장치함(100)을 닫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외부인에 의해 소방시설이 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매설식 소방장치에 따르면, 평상시 지하에 매설된 소방장치함(100)의 내부에 호스릴부(300)를 내장한 상태에서 덮개를 덮으면 호스릴부(300) 등의 소화설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평상시 호스릴부(300)가 지상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시 소방장치함(100)의 덮개(220)를 열고 메인밸브(510)를 개방하면 소방호스와 제1실린더(410)와 제2실린더(430)로 소화용수가 동시에 공급되고, 이에 의해 제1실린더(410)와 제2실린더(430)가 자동으로 호스릴부(300)의 호스릴받침대(310)를 지상으로 상승시키기 때문에, 복수의 디스크(350)에 권취된 소방호스(360)의 관창(361)을 잡고 화재장소로 이동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화재를 진화한 후 메인밸브(510)를 폐쇄하고 연결배관(440)에 설치된 드레인밸브(450)를 개방하면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에 공급된 소화용수가 외부로 드레인되고, 이에 의해 제1실린더(410)의 제1실린더로드(411) 및 제2실린더(430)의 제2실린더로드(431)와 호스릴부(300)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자동으로 소방장치함(100)에 내장됨은 물론 제1실린더(410), 제2실린더(430), 연결배관(440), 분기배관(520) 및 공급관(550)에 남은 소화용수를 모두 드레인시키므로 겨울철 동파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소방장치함 101: 배수구
200; 덮개부 210: 덮개프레임
220: 덮개 221: 손잡이
230: 유압실린더 231: 유압실린더로드
300: 호스릴부 310: 호스릴받침대
320: 커플링 330: 연결관
340: 연결호스 350: 디스크
360: 소방호스 361: 관창
400: 실린더부 410: 제1실린더
411: 제1실린더로드 420: 승하강바
421: 실린더고정체 430: 제2실린더
431: 제2실린더로드 440; 연결배관
450: 드레인밸브 500: 밸브부
510: 메인밸브 520: 분기배관
530: 볼밸브 540: 회전엘보우
550: 공급관 560; 앵글밸브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지하에 매설되고 하부에 배수구(101)가 형성되는 소방장치함(100)과;
    소방장치함(100)의 상부에 경첩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덮개부(200)와;
    메인밸브부(500)와 연결호스(340)로 연결되어 디스크(3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커플링(320)이 설치되며 실린더부에 의해 승강되는 호스릴받침대(310), 디스크(350) 사이에 권취되어 관창(361)을 구비하는 소방호스(360)로 이루어지는 호스릴부(300)와;
    소방장치함(100)의 내측 양측게 수직으로 고정되어 호스릴받침대(310)의 양측에 연결되는 실린더부(400)와;
    소방장치함(100) 내측에 설치되어 호스릴부(300)의 소방호스(360)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밸브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0)는,
    소방장치함(100)의 상부 테두리에 설치되는 덮개프레임(210)과;
    덮개프레임(210)에 경첩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220)와;
    덮개(220)가 닫히 상태 및 열린 상태가 고정되도록 소방장치함(100)의 내측에 고정되어 덮개(220)에 유압실린더로드(231)가 결합되는 유압실린더(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릴부(300)는,
    실린더부(400)의 제2실린더로드(43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단으로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U'자 형상의 호스릴받침대(310)와;
    호스릴받침대(310)에 설치되어 소방호스(360)가 디스크(350) 사이에 권취될 수 있도록 연결호스(340)와 연결되는 연결관(330)이 설치된 커플링(320)과;
    소정 간격이 이격되게 커플링(320)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디스크(350)와;
    디스크(350) 사이에 권취되어 밸브부(500)와 연결호스(340)로 연결되는 소방호스(3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400)는,
    소방장치함(100)의 내측에 거리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실린더(410)와;
    제1실린더(410)의 제1실린더로드(411)와 제1실린더(410)의 제1실린더로드(411)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바(420)와;
    제1실린더로드(411)에 고정되어 호스릴부의 호스릴받침대(310)에 제2실린더로드(431)가 결합되는 제2실린더(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린더(430)는,
    제1실린더(410)의 제1실린더로드(411)에 설치된 제1실린더로드(411)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제2실린더(4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실린더로드(411)의 승하강에 따라 연동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런더(410) 및 제2실린더(430)는,
    메인밸브(510)를 통해 연결배관(440)으로 공급되는 소화용수에 의해 제1실린더로드(411)와 제2실린더로드(431)가 상승하여 호스릴부(300)를 상승하시키고,
    메인밸브(510)로 공급되는 소화용수를 차단한 상태에서 드레인밸브(450)를 개방하여 제1실린더로드(411), 제2실린더로드(431), 분기배관(520), 연결배관(440) 및 공급관(550)의 소화용수를 배수시켜 호스릴부(300)의 자중에 의해 소방장치함(10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KR1020210024313A 2021-02-23 2021-02-23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KR102548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313A KR102548392B1 (ko) 2021-02-23 2021-02-23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313A KR102548392B1 (ko) 2021-02-23 2021-02-23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334A true KR20220120334A (ko) 2022-08-30
KR102548392B1 KR102548392B1 (ko) 2023-06-28

Family

ID=8311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313A KR102548392B1 (ko) 2021-02-23 2021-02-23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3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389A (ko) 2010-04-13 2011-10-19 중경기술주식회사 소방 장치
KR20200001368U (ko) * 2018-12-14 2020-06-24 동림기술 주식회사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KR102189900B1 (ko) * 2020-01-21 2020-12-11 이상우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389A (ko) 2010-04-13 2011-10-19 중경기술주식회사 소방 장치
KR20200001368U (ko) * 2018-12-14 2020-06-24 동림기술 주식회사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KR102189900B1 (ko) * 2020-01-21 2020-12-11 이상우 지하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392B1 (ko)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4389A (ko) 소방 장치
KR200496577Y1 (ko)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KR102037710B1 (ko) 화재 방지 시스템
CN107261347B (zh) 一种超高层建筑消防救援及灭火系统
CN211819117U (zh) 一种用于作战洞库口部具有伪装功能的防洪装置
EP2623158A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KR101792767B1 (ko)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KR101331616B1 (ko)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CN213313090U (zh) 一种便于稳固手持的消防水炮
KR102051562B1 (ko) 드럼의 좌우회전이 가능한 승강식 호스릴 소화전
KR200491634Y1 (ko) 비상용 소화전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KR20220120334A (ko)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CN208694102U (zh) 建筑工地高空消防水箱
KR102244548B1 (ko) 소화용수 제거기능이 향상된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KR102548393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US10435909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102639643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개방시스템
KR20140035162A (ko) 주변 화재 차단용 수막 형성 시스템
US4569418A (en) Fire escape and extinction system
JP2715264B2 (ja) 消火用バケット
CN208911349U (zh) 一种消防电动三轮车
KR102380213B1 (ko) 지하 매설식 소화전함
CN210544008U (zh) 一种铁路用抑尘装置
CN214833117U (zh) 一种隐藏式消防灭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