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636B1 -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636B1
KR102189636B1 KR1020200004448A KR20200004448A KR102189636B1 KR 102189636 B1 KR102189636 B1 KR 102189636B1 KR 1020200004448 A KR1020200004448 A KR 1020200004448A KR 20200004448 A KR20200004448 A KR 20200004448A KR 102189636 B1 KR102189636 B1 KR 102189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information
user
location
medical re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수
Original Assignee
한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지수 filed Critical 한지수
Priority to KR1020200004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온라인 상에서 위치에 제약 없이 사용자가 필요할 때 특정 지역이나 위치에 식재된 수목에 대한 병충해 등의 상태나 이를 위한 관리 또는 진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일례로, 사용자 통신단말에 설치되고, 지도 서비스를 기반으로 사용자로부터 식재된 수목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아 서버에 등록하고, 사용자의 열람요청에 따른 수목 별 상태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되는 수목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열람요청에 따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수목 상태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수목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TREE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주위에 항상 많은 개체수로 존재하며, 사람이 인위적으로 식재하거나 자연적으로 자생한다.
이러한 식물 중에는 도심이나 주택단지에 식재된 수목이 상당수 존재하며, 이러한 수목의 보존이 필요하므로 이를 위한 관리 또한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수목들을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수목에 부착 또는 설치된 인식판 또는 식별판을 이용해 해당 수목에 대한 정보 및 관리 정보가 기재되는 방식으로 운영됨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위치에 제약 없이 사용자가 필요할 때 특정 지역이나 위치에 식재된 수목에 대한 병충해 등의 상태나 이를 위한 관리 또는 진료 정보를 열람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현재 수목 방제에 있어서 오남용 문제가 심하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어 수목 관리를 위한 전문적인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8453호(공개일자: 2010년01월26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8163호(공개일자: 2015년05월28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라인 상에서 위치에 제약 없이 사용자가 필요할 때 특정 지역이나 위치에 식재된 수목에 대한 병충해 등의 상태나 이를 위한 관리 또는 진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통신단말에 설치되고, 지도 서비스를 기반으로 사용자로부터 식재된 수목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아 서버에 등록하고, 사용자의 열람요청에 따른 수목 별 상태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되는 수목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열람요청에 따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수목 상태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수목 정보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수목 식별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수목 식별정보와 사용자 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매칭하고, 위치정보가 매칭된 수목 식별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서버에 등록 요청하는 수목 식별정보 등록 요청부; 상기 수목 식별정보에 대하여 다수의 수목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또는 입력 받고, 입력된 상기 수목 상태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수목 식별정보에 대한 상기 수목 상태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서버에 등록 요청하는 수목 상태정보 등록 요청부; 및 사용자 통신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정보에 따른 상기 열람요청을 상기 수목 정보 서버에 전달하고, 사용자 통신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여 상기 수목 상태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수목 상태정보 검색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수목 식별정보가 2차원 코드화 또는 문자화되어 표시되거나, RFID 태그 형태로 제작되어, 수목에 각각 부착 또는 설치된 수목 식별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목 식별정보에 대하여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서버에 등록 요청하는 수목 진료기록정보 등록 요청부; 및 사용자 통신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정보에 따른 상기 열람요청을 상기 수목 정보 서버에 전달하고, 사용자 통신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표시되는 상기 아이콘 별로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수목 진료기록정보 검색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 정보 서버는,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위치정보가 매칭된 수목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저장하는 수목 식별정보 등록 저장부;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수목 식별정보에 대한 상기 수목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저장하는 수목 상태정보 등록 저장부;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열람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통신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정보에 기초한 상기 수목 상태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수목 상태정보 제공부;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저장하는 수목 진료기록정보 등록 저장부; 및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열람요청을 수신하고, 지도 상에 표시되는 상기 아이콘 별로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수목 진료기록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수목 식별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마커를 포함하고, 수목 별로 부착 또는 설치된 증강현실 마커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통신단말의 카메라와 연동하여 현장에 식재된 상기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된 마커 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수목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마커 정보에 따른 상기 수목 상태정보와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통신단말의 카메라를 통한 촬영 영상 내 해당 수목 상에 증강현실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증강현실 실행부; 및 상기 수목 상태정보와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에 따라 수목병이 발생된 것으로 경우 수목병 발생 경로 및 원인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서버에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아이콘을 통해 표시하는 수목병 정보 요청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 정보 서버는,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마커 정보를 수신하고, 기 등록된 상기 수목 식별정보와 매칭된 상기 수목 상태정보 및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증강현실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수목병 발생 경로 및 원인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수목에 대한 상기 수목 상태정보와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수목병 발생 경로와 원인을 추적하고, 추적 결과를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수목병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상에서 위치에 제약 없이 사용자가 필요할 때 특정 지역이나 위치에 식재된 수목에 대한 병충해 등의 상태나 이를 위한 관리 또는 진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정보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지도 서비스 기반의 수목 정보 제공 예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수목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병 정보 제공 예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정보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지도 서비스 기반의 수목 정보 제공 예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수목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병 정보 제공 예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은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와 수목 정보 서버(20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의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1000)는 수목 식별정보 표시부(300)와 수목 마커정보 표시부(4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 통신단말(10)에 설치되고, 지도 서비스를 기반으로 사용자로부터 특정 지역이나 위치에 식재된 수목의 다양한 상태정보를 입력 받아 수목 정보 서버(200)에 등록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서의 수목 정보 열람요청에 따른 수목 별 상태정보(병충해 상태정보) 및/또는 수목 진료기록정보 등을 지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은 수목 식별정보 등록 요청부(110), 수목 상태정보 등록 요청부(120), 수목 상태정보 검색 제공부(130), 수목 진료기록정보 등록 요청부(140), 수목 진료기록정보 검색 제공부(150), 증강현실 실행부(160) 및 수목병 정보 요청 표시부(1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목 식별정보 등록 요청부(110)는, 사용자 통신단말(10)의 현재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수목 식별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수목 식별정보와 사용자 통신단말(10)의 현재위치정보를 매칭하고, 위치정보가 매칭된 수목 식별정보를 수목 정보 서버(200)에 등록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수목 식별정보 등록 요청부(110)는, 사용자(수목 관리자)가 수목의 병충해 상태를 확인 또는 진료한 후, 그 결과를 수목 정보 서버(20)에 업로드하기 위한 수단으로, 우선 각 수목에 할당된 식별정보(수목이름, 코드번호, 식별번호 등)를 부여한 후, 부여된 해당 식별정보와 해당 수목의 위치정보를 사용자의 현재위치정보로 설정하여 각각의 정보(식별정보, 현재위치정보)를 수목 정보 서버(200)에 등록 요청함으로써, 해당 위치에서의 수목 정보가 신규 등록될 수 있다. 단, 식별정보는 수목 관리자가 임의로 부여할 수 있으나, 원칙적으로는 행정 구역 별로 지정된 정보로 미리 특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목 상태정보 등록 요청부(120)는, 수목 식별정보에 대하여 다수의 수목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또는 입력 받고, 입력된 수목 상태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아이콘을 생성하여 수목 식별정보에 대한 수목 상태정보를 수목 정보 서버(200)에 등록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장에서 특정 수목에 대한 상태를 확인한 후 해당 수목의 현재 상태가 건강한 상태인지, 곰팡이병 피해가 있는 상태인지, 바이러스병 피해가 있는 상태인지, 해충식해 피해가 있는 상태인지, 전염가능성이 높아 수세가 약한 상태인지, 죽은 상태인지 등을 체크하고, 그 결과를 해당 수목 식별정보에 대하여 입력 또는 설정하면 입력 또는 설정된 값에 따른 아이콘이 생성되어 해당 위치에서의 수목 상태정보가 특정되고 이러한 정보를 수목 정보 서버(20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은 수목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이콘 색상을 달리하여 수목의 각 상태를 구분할 수 있도록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수목 상태정보 검색 제공부(130)는, 사용자가 수목 상태정보에 대한 열람요청을 하고자 할 때 사용자 통신단말(10)의 현재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한 위치정보를 입력 받아 수목 정보 서버(200)에 해당 열람요청을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 통신단말(10)의 현재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수목의 각 위치 별로 아이콘을 각각 표시하여 수목이 실제 식재된 위치뿐만 아니라 수목 상태정보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위치 또는 지정한 위치로 검색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화면이 표시되고, 해당 지도 화면 상에서 각종 수목에 대한 상태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지도 화면을 통해 각 위치에 식재된 나무에 대한 아이콘이 표시되는데, 각각의 아이콘은 수목의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색 수목 아이콘은 진료 기록이 있지만 건강한 나무, 적색 수목 아이콘은 곰팡이병 피해 나무, 보라색 수목 아이콘은 바이러스병 피해 나부, 주황색 수목 아이콘은 해충식해 피해 나무, 노란색 수목 아이콘은 전염성이 높은 수세가 약한 나무, 회색 수목 아이콘은 죽은 나무 등으로 색상에 따라 해당 수목의 다양한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 등록 요청부(140)는, 수목 식별정보에 대하여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수목 정보 서버(200)에 등록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장에서 특정 수목을 진료한 후 해당 수목에 대한 진료기록을 해당 수목 식별정보에 대하여 입력 또는 설정하면 입력 또는 설정된 정보가 수목 정보 서버(200)에 업로드 할 수 있으며, 수목 정보 서버(200)에서는 특정 수목 식별정보에 대한 진료기록정보를 새롭게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 검색 제공부(150)는, 사용자가 수목 진료기록정보에 대한 열람요청을 하고자 할 때 사용자 통신단말(10)의 현재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위치정보에 따른 열람요청을 수목 정보 서버(200)에 전달하고, 사용자 통신단말(10)의 현재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수목의 각 위치 별로 아이콘을 각각 표시하여 수목이 실제 식재된 위치뿐만 아니라 아이콘 별로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위치 또는 지정한 위치로 검색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화면이 표시되고, 지도 화면을 통해 각 위치에 식재된 나무에 대한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해당 수목의 식별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 해당 식별정보를 입력 또는 검색하면 해당 지도 화면 상에서 알고자 하는 수목에 대한 진료기록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진료기록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수목의 식별정보와 함께 '2002년 기존수목과 교체 식재됨' '2010년 3월 2일 느티나무 흰무늬병 치료'와 같이 진료기록뿐만 아니라 해당 수목에 대한 히스토리를 열람할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 실행부(160)는, 사용자 통신단말(10)의 카메라와 연동하여 현장에 식재된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된 마커 정보를 수목 정보 서버(200)에 전송하며, 이에 수목 정보 서버(200)로부터 해당 마커 정보에 따른 수목 상태정보와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사용자 통신단말(10)의 카메라 촬영 영상 내의 해당 수목 상에 오버랩 된 증강현실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통신단말(10)의 카메라가 특정 수목에 부착 또는 설치된 수목 식별정보 표시부(300)의 마커 정보를 인식하면, 인식된 마커 정보가 수목 정보 서버(200)로 전달되고, 수목 정보 서버(200)가 수신된 마커 정보에 해당하는 수목의 상태정보와 진료기록정보를 포함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해당 촬영 영상의 객체 상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수목의 상태가 건강한 상태일 경우, 증강현실 그래픽은 상술한 아이콘 방식과 유사하게 녹색의 가상 이미지로 출력됨으로써, 사용자 현장에서 각각의 수목에 대한 상태를 즉시 직관적인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의 상태가 곰팡이병 피해를 입은 상태일 경우, 증강현실 그래픽은 상술한 아이콘 표시방식과 유사하게 적색의 가상 이미지로 출력됨으로써, 사용자 현장에서 각각의 수목에 대한 상태를 즉시 직관적인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강현실 실행부(160)는, 현장에서 수목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고 싶을 경우 지도 검색 및 수목 식별정보를 일일이 입력 또는 선택해서 요청해야 함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수목의 식별정보를 스캔 또는 태깅하는 방식보다 원거리에서 보다 많은 수의 수목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독출 및 표시함으로써 확인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수목병 정보 요청 표시부(170)는, 수목 상태정보와 수목 진료기록정보에 따라 수목병이 발생된 것으로 경우 즉 현재 확인된 지역이나 위치의 수목들에 대한 수목병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해당 지역이나 위치에서의 수목병 발생 경로 및 원인정보를 수목 정보 서버(200)에 요청하고,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아이콘과 그래픽 또는 텍스트 정보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러스병 수목에 대한 수목병 발생 경로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바이러스병 수목으로 표시되는 아이콘 중 하나를 일정 시간 이상 선택(또는 터치)하거나 별도의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지역이나 위치에서의 바이러스병 수목과 이에 대한 최종 피해를 입은 죽은 나무에 대한 수목 아이콘만 필터링되어 표시되고, 병충해 상태정보와 진료기록정보에 기초한 해당 바이러스의 유입점, 전파경로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특정 위치에서의 해당 바이러스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는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상기 수목 정보 서버(200)는,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의 요청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사용자 통신단말(10)과 연결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되는 수목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열람요청(수목 상태정보, 수목 진료기록정보에 대한 열람요청)에 따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수목 상태정보 및/또는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목 정보 서버(200)는 수목 식별정보 등록 저장부(210), 수목 상태정보 등록 저장부(220), 수목 상태정보 제공부(230), 수목 진료기록정보 등록 저장부(240), 수목 진료기록정보 제공부(250), 증강현실 정보 제공부(260) 및 수목병 정보 제공부(2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목 식별정보 등록 저장부(210)는,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위치정보(사용자 현재위치정보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위치정보)가 매칭된 수목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목 상태정보 등록 저장부(220)는,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수목 식별정보에 대한 수목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목 상태정보 제공부(230)는,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수목 상태정보에 대한 열람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통신단말(10)의 현재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위치정보에 기초한 수목 상태정보를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 등록 저장부(240)는,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 제공부(250)는,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수목 진료기록정보에 대한 열람요청을 수신하고, 지도 상에 표시되는 아이콘 별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 정보 제공부(260)는,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마커 정보를 수신하고, 기 등록된 수목 식별정보와 매칭된 수목 상태정보 및 수목 진료기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목병 정보 제공부(270)는,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의 수목병 발생 경로 및 원인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수목에 대한 수목 상태정보와 수목 진료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수목병 발생 경로와 원인을 추적하고, 추적 결과를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바이러스병 수목에 대한 수목병 발생 경로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열람요청에 포함된 지역이나 위치에서의 바이러스병 수목과 이에 대한 최종 피해를 입은 죽은 나무에 대한 수목 아이콘을 대상으로 병충해 상태정보와 진료기록정보에 기초한 해당 바이러스의 유입점, 전파경로 등을 파악하고 특정 위치에서의 해당 바이러스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목 식별정보 표시부(300)는, 수목 식별정보가 2차원 코드화 또는 문자화되어 표시되거나, RFID 태그 형태로 제작되어, 수목에 각각 부착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목 식별정보 표시부(300)는 본 실시예의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에 설치된 QR 코드 인식 프로그램이나, 이미 배포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통신단말(10)에 설치된 RFID 리더 기능을 이용해 수목 식별정보 표시부(300)에 포함된 수목 식별정보를 독출 및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수목 마커정보 표시부(400)는, 수목 식별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마커를 포함하고, 수목 별로 부착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마커는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객체 인식 수단으로서 수목이라는 객체 자체를 인식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또는 계절에 따라 수목의 형태도 바뀌기 때문에, 이 보다는 별도의 기호나 구조물로 마련된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되는 사용자 통신단말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휴대통신기기 뿐만 아니라, 일반 P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수목 정보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웹 서버로,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수목 정보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통신단말(10)에 연결되며,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목 식재 공사 시기에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수목병 전염 가능성을 미리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수목병의 경우 대부분 1차 피해(물리적/환경적요인) 후, 2차 피해(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해충 등)가 진행되는데, 본 실시예의 시스템을 통해 1차적 피해의 전 단계부터 정보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수목 병적 기록을 참고하여 교통공사, 산업시설공사, 건축공사 등을 시행할 때 공사비 및 자원보호의 효율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식재되어 있는 수목의 경우 개인이나 기업의 재산인 것들도 있지만 이를 넘어서 가로수나 공원의 수목은 국가의 재산이므로, 수목보호로 인한 공기정화효과, 자연재해 예방 효과, 수목 하자공사 비용절감 등의 효과는 국가 운용비용 절약 및 국가 경쟁력에 도움될 만큼의 천문학적 금액의 가치가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
100: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
110: 수목 식별정보 등록 요청부
120: 수목 상태정보 등록 요청부
130: 수목 상태정보 검색 제공부
140: 수목 진료기록정보 등록 요청부
150: 수목 진료기록정보 검색 제공부
160: 증강현실 실행부
170: 수목병 정보 요청 표시부
200: 수목 정보 서버
210: 수목 식별정보 등록 저장부
220: 수목 상태정보 등록 저장부
230: 수목 상태정보 제공부
240: 수목 진료기록정보 등록 저장부
250: 수목 진료기록정보 제공부
260: 증강현실 정보 제공부
270: 수목병 정보 제공부
300: 수목 식별정보 표시부
400: 수목 마커정보 표시부
10: 사용자 통신단말

Claims (5)

  1. 사용자 통신단말에 설치되고, 지도 서비스를 기반으로 사용자로부터 식재된 수목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아 서버에 등록하고, 사용자의 열람요청에 따른 수목 별 상태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되는 수목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열람요청에 따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수목 상태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수목 정보 서버; 및
    수목 식별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마커를 포함하고, 수목 별로 부착 또는 설치된 수목 마커정보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목 식별정보에 대하여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서버에 등록 요청하는 수목 진료기록정보 등록 요청부;
    사용자 통신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정보에 따른 상기 열람요청을 상기 수목 정보 서버에 전달하고, 사용자 통신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표시되는 아이콘 별로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수목 진료기록정보 검색 제공부;
    사용자 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목 식별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수목 식별정보와 사용자 통신단말의 위치정보를 매칭하고, 위치정보가 매칭된 수목 식별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서버에 등록 요청하는 수목 식별정보 등록 요청부;
    상기 수목 식별정보에 대하여 다수의 수목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또는 입력 받고, 입력된 상기 수목 상태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수목 식별정보에 대한 상기 수목 상태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서버에 등록 요청하는 수목 상태정보 등록 요청부;
    사용자 통신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정보에 따른 상기 열람요청을 상기 수목 정보 서버에 전달하고, 사용자 통신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여 상기 수목 상태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수목 상태정보 검색 제공부;
    사용자 통신단말의 카메라와 연동하여 현장에 식재된 상기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된 마커 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수목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마커 정보에 따른 상기 수목 상태정보와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통신단말의 카메라를 통한 촬영 영상 내 해당 수목 상에 오버랩 된 증강현실 그래픽으로 표시하되, 수목의 건강 상태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가상 이미지로 이루어진 증강현실 그래픽을 촬영 영상 내 해당 수목 상에 오버랩 하여 표시하는 증강현실 실행부; 및
    상기 수목 상태정보와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에 따라 수목병이 발생된 경우 수목병 발생 경로 및 원인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서버에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아이콘을 통해 표시하는 수목병 정보 요청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수목 식별정보가 2차원 코드화 또는 문자화되어 표시되거나, RFID 태그 형태로 제작되어, 수목에 각각 부착 또는 설치된 수목 식별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 정보 서버는,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위치정보가 매칭된 수목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저장하는 수목 식별정보 등록 저장부;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수목 식별정보에 대한 상기 수목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저장하는 수목 상태정보 등록 저장부;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열람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통신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정보에 기초한 상기 수목 상태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수목 상태정보 제공부;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저장하는 수목 진료기록정보 등록 저장부; 및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열람요청을 수신하고, 지도 상에 표시되는 상기 아이콘 별로 상기 수목 진료기록정보를 상기 수목 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수목 진료기록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00004448A 2020-01-13 2020-01-13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89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448A KR102189636B1 (ko) 2020-01-13 2020-01-13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448A KR102189636B1 (ko) 2020-01-13 2020-01-13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636B1 true KR102189636B1 (ko) 2020-12-11

Family

ID=73786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448A KR102189636B1 (ko) 2020-01-13 2020-01-13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6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721B1 (ko) * 2021-01-28 2021-07-06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컨테이너 조경수 생산 및 유통 관리를 위한 erp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20138727A (ko) * 2021-04-06 2022-10-13 김한상 식재도를 이용한 과수원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4015A (ja) * 2000-05-06 2003-11-18 パーク,ユンーヨン デジタル植木鉢管理装置及び方法とオンライン植木鉢配達注文方法
KR20100008453A (ko) 2008-07-16 2010-01-26 (주)자연과디자인 알에프아이디 기술기반을 이용한 산림자원관리 시스템
KR20120015857A (ko) * 2010-08-13 2012-02-22 푸른공간 주식회사 수목용 관리장치
KR20130031432A (ko) * 2011-09-21 2013-03-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수목 생육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150058163A (ko) 2012-09-19 2015-05-28 더 보잉 컴파니 산림 관리 시스템
JP2019095976A (ja) * 2017-11-21 2019-06-20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街路樹管理装置、携帯情報端末、及び街路樹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4015A (ja) * 2000-05-06 2003-11-18 パーク,ユンーヨン デジタル植木鉢管理装置及び方法とオンライン植木鉢配達注文方法
KR20100008453A (ko) 2008-07-16 2010-01-26 (주)자연과디자인 알에프아이디 기술기반을 이용한 산림자원관리 시스템
KR20120015857A (ko) * 2010-08-13 2012-02-22 푸른공간 주식회사 수목용 관리장치
KR20130031432A (ko) * 2011-09-21 2013-03-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수목 생육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150058163A (ko) 2012-09-19 2015-05-28 더 보잉 컴파니 산림 관리 시스템
JP2019095976A (ja) * 2017-11-21 2019-06-20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街路樹管理装置、携帯情報端末、及び街路樹管理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721B1 (ko) * 2021-01-28 2021-07-06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컨테이너 조경수 생산 및 유통 관리를 위한 erp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20138727A (ko) * 2021-04-06 2022-10-13 김한상 식재도를 이용한 과수원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45118B1 (ko) * 2021-04-06 2023-06-16 김한상 식재도를 이용한 과수원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38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movement of disease
US11371845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ithin CRM solution enabling layer views for connected devices
KR102189636B1 (ko)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
US98768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eacon service
DE202016006100U1 (de) Systeme zur Ausgabe von Meldungen anhand von Lichtsignalen
US20150161167A1 (en) Method for displaying marker in a map service
US202201014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 and intra agency communication, tracking and coordination
Tsai et al. RFID medical equipment tracking system based on a location-based service technique
Dunn et al. Optimising different types of biodiversity coverage of protected areas with a case study using Himalayan Galliformes
KR20210128822A (ko)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Lanka et al. A review of research on emerging technologies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augmented reality
Lippi et al. A network analysis framework to improve the delivery of mosquito abatement services in Machala, Ecuador
Kim et al. An indoor location tracking based on mobile RFID for smart exhibition service
KR101626022B1 (ko) 순찰 서비스 제공 방법
CN105912542A (zh) 一种烟叶种植大田地理信息数据融合系统
KR102301955B1 (ko)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
Fischer The internet of things: frequently asked questions
Olatunji et al. Exploring the transformative role of drone technology in advancing healthcare delivery in Africa; a perspective
US201803085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tracking during mass casualty events
Koniagina et al. Measures to ensure cybersecurity and regul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n the russian federation: Effectiveness assessment
CN105338101A (zh) 基于物联网的智能校园导游方法
CN111477338B (zh) 一种用于传染病的医疗器械的管理追溯系统
Goussal Expansion–Security Tradeoffs in the Pathway to Rural 5G Networks
Tariq et al. Vulnerability assessment of ubiquitous citie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US11514788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 and intra agency communication, tracking and coord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