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432A - 수목 생육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수목 생육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432A
KR20130031432A KR1020110094990A KR20110094990A KR20130031432A KR 20130031432 A KR20130031432 A KR 20130031432A KR 1020110094990 A KR1020110094990 A KR 1020110094990A KR 20110094990 A KR20110094990 A KR 20110094990A KR 20130031432 A KR20130031432 A KR 20130031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ee
growth
data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문섭
신필순
김도영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아이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아이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4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1432A/ko
Publication of KR20130031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수목 생육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를 개시한다.
장착된 나무의 상태 또는 상기 나무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센싱 장치;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신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달 장치; 및 수신된 상기 취합 데이터에 포함된 생육 데이터와 상기 나무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생육 데이터가 상기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목 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수목 지역과 주변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인프라를 이용하여 수목 지역의 특정 나무의 상태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취합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수목 관리 장치로 주기적으로 전달함으로써, 현장 작업자가 해당 나무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목 생육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anaging Growth of Tree}
본 실시예는 수목 생육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 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수목 지역과 주변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인프라(Infra)를 이용하여 수목 지역의 특정 나무의 상태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취합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수목 관리 장치로 주기적으로 전달함으로써, 현장 작업자가 해당 나무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목 생육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설치되어있는 가로수는 미관상 수려함은 물론이며, 도로의 온도를 낮추고, 습도를 저감시키며, 자동차의 매연과 소음을 저감시키는 작용을 하는 매우 친환경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가로수는 각각의 가로수마다 요구되는 적절한 특성 정보를 토대로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생육 특성에 적합한 환경에서 소중하게 키워질 수 있도록 해야하나, 소수의 관리자 인원으로는 그러한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가로수와 같은 수목 지역의 현재 상태(수분상태)나 주변의 상황(온도, 습도 등)에 따라 각각의 수목의 생육 특성에 적합한 상황조치가 필요하나, 수목 지역에 대한 정보수집 및 이에 상응한 조치 등의 체계가 확립되지 않아 수목 지역을 관리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관리하기 위한 종래의 관리 시스템은 작업자가 직접 수목 자체의 수액을 추출하여 성분별 수치화하고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였는데, 이러한 종래 방식으로는 수목 지역의 주변 환경에 대한 요소를 모니터링 및 분석한 후 이를 작업자에게 전달하는데 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수목 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수목 지역과 주변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인프라를 이용하여 수목 지역의 특정 나무의 상태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취합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수목 관리 장치로 주기적으로 전달함으로써, 현장 작업자가 해당 나무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목 생육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장착된 나무의 상태 또는 상기 나무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센싱 장치;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신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달 장치; 및 수신된 상기 취합 데이터에 포함된 생육 데이터와 상기 나무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생육 데이터가 상기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에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센싱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취합 데이터 및 기 저장된 식생 단위의 성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수신된 상기 취합 데이터에 포함된 생육 데이터와 상기 나무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생육 데이터가 상기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분석부; 및 사용자 명령 또는 외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재배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에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수목 생육 관리 장치가 수목 생육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싱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취합 데이터 및 기 저장된 식생 단위의 성장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취합 데이터에 포함된 생육 데이터와 상기 나무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생육 데이터가 상기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 사용자 명령 또는 외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재배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목 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수목 지역과 주변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인프라를 이용하여 수목 지역의 특정 나무의 상태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취합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수목 관리 장치로 주기적으로 전달함으로써, 현장 작업자가 해당 나무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목 지역을 관리하는데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접목한 수목 생육환경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각각의 수목 환경 감지를 위해 주변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와 이를 취합하여 전달하는 전달 장치 간에 근거리 통신 인프라를 이용하여, 수목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수목의 생육 특성에 적합한 환경에서 키워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장 작업자가 수목의 관리 작업을 수행한 후 현장에서 작업 내용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소수의 인원으로 많은 수목 지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목 생육 환경 관리를 위한 근거리 통신 인프라 중 지그비를 이용하여 USN(Ubiquitous Sensor Network)망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현장 위치기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즉, 형성된 USN을 이용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인프라 구축에 따른 중복적인 투자나 개발비 추가를 막는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인프라 측면에서 경제적인 이점을 가져오며, 추가 개발이나 표준화 등의 지표로써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USN을 이용하여 도시관리, 시설물 운용, 복지, 행정, 민원에 대한 다방면의 처리를 구현하는 통합플랫폼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목 지역에 대한 병충해가 발생한 경우,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며, 수목 지역에 센싱 장치를 통해 충격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난 방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장치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된 경우의 수목 생육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작업자 단말기에서 수목 생육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와 전달 장치의 설치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은 센싱 장치(110), 전달 장치(120), 통신망(122),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 및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이 센싱 장치(110), 전달 장치(120) 및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센싱 장치(110)는 장착된 나무의 상태 또는 나무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달 장치(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센싱 데이터는 나무에 대한 수분 정보, 토양 정보, 주변 환경 정보, 기울기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즉, 센싱 장치(110)는 나무의 수분 상태를 센싱한 수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수분감지센서, 나무의 토양 상태 또는 토양 온도를 센싱한 토양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토양감지센서, 나무의 주변 온도, 습도, 조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 먼지 농도, 기후를 센싱한 주변 환경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환경센서, 나무의 기울어짐을 측정한 기울기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각도감지센서, 나무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센싱한 충격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충격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 정보, 토양 정보, 주변 환경 정보, 기울기 정보,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이러한 센싱 장치(110)가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무선랜(WLA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제 구현에 있어서, 센싱 장치(110)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지그비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센싱 장치(110)는 식생 단위(Vegetation Unit) 또는 식생도(Vegetation Map)를 기준으로 한 군락지 중 랜덤으로 선별된 특정 나무에 장착된다. 여기서, 특정 나무는 가로수, 식물, 수목 지역의 나무 및 산림 지역의 나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센싱 장치(110)는 특정 나무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전달 장치(120)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 전송한다. 또한, 이러한 전달 장치(120)가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무선랜,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지그비, UWB, NFC, RF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제 구현에 있어서, 전달 장치(120)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지그비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달 장치(120)는 근거리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센싱 장치(110)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망(122)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122)은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컴퓨팅 자원을 해당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정보가 인터넷 상의 서버에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는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컴퓨터 환경을 의미하며,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용자의 모든 정보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각종 IT 기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환경 접속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신망(122)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크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22)을 경유하여 생육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통신망(122)을 통하여 데이터 읽고 쓰기 및 저장, 네트워크, 컨텐츠 사용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즉,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통신망(122)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를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122)을 경유하여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 여하한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실제 실시예의 구현에 있어서,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를 모두 포함하는 형태의 자립형(Stand Alone)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며, 구동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부터 재배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가 스마트 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통신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VM(Virtual Machine)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에 접속한다. 이때,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통신망(122)을 경유하여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부터 재배 정보, 관리 대상 나무 정보 및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의 사용자는 관리 대상 나무 정보에 해당하는 나무에 대하여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에 따른 조치를 수행한 후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에 대한 현장 업무 처리 완료 신호를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에 대해 완료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인증되는 경우,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부터 재배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암호 정보 또는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말한다. 즉,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암호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입력된 암호가 인증되는 경우, 사용자 정보가 인증된 것으로 인지하여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나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맵 데이터를 출력하며, 맵 데이터 상에 나무의 위치 좌표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맵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분되되, 지자체용 전용 맵 데이터, 웹 제공 맵 데이터 및 증강 현실 맵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맵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주변의 위치한 나무의 전자 태그가 인식되는 경우, 전자 태그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며,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생육 데이터와 기 저장된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생육 데이터가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 저장된 업무 내역 정보 및 수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웹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상기 웹서버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생육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수목 관리를 위한 인증 시스템 및 결제 시스템과 연동할 수도 있다. 또한,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회원 가입 정보와 수목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시키고 관리하는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저장부 및 클라우드 컴퓨팅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저장부는 센싱 장치(110)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취합 데이터 및 기 저장된 식생 단위의 성장 정보를 저장하며, 수신된 취합 데이터에 포함된 생육 데이터와 나무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생육 데이터가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재배 정보를 불러오도록 하는 저장 매체를 저장하며, 클라우드 컴퓨팅부는 단말기로하여금 저장 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가 수행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전달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취합 데이터에 포함된 생육 데이터와 나무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생육 데이터가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육 데이터는 고유 식별 정보마다 매칭되는 나무에 대한 수분 정보, 토양 정보, 주변 환경 정보, 기울기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이다. 또한, 성장 정보는 나무의 기준 성장에 따른 적정 자양분 정보로서, 적정 수분 정보, 적정 토양 정보, 적정 온도 정보, 적정 습도 정보, 적정 기후 정보, 적정 기울기 정보 및 적정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재배 정보는 나무의 기준 성장에 따른 적정 자양분 정보로서, 필요 수분 정보, 필요 토양 정보, 필요 온도 정보, 필요 습도 정보, 필요 기후 정보, 필요 기울기 정보 및 필요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가 전달 장치(120)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달 장치(120)와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센싱 장치(110), 전달 장치(120) 및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통합된 하나의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센싱 장치(110)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취합 데이터 및 기 저장된 식생 단위의 성장 정보를 저장하며, 수신된 취합 데이터에 포함된 생육 데이터와 나무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생육 데이터가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 명령 또는 외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재배 정보를 전송한다.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가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나무와 근거리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며, 근거리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센싱 장치(11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 한편,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가 재배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생육 데이터와 성장 정보를 비교하되, 성장 정보를 기준으로 생육 데이터에 미달되는 정보만을 추출한 미달 정보로 생성하고, 미달 정보와 성장 정보와의 차이를 재배 정보로 생성한다.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가 취합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성장 정보와 생육 데이터를 비교하여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관리 대상 나무 정보를 추출하고, 관리 대상 나무 정보 및 재배 정보를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로 전송한다. 이후,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재배 정보에 근거하여 나무에 대한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를 추출하고,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를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로 전송하며,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로부터 현장 업무 처리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에 대한 완료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 및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의 완료 처리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타 현장 작업자 단말기와 공유한다.
이하, 도 1의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전체적인 서비스 및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센싱 장치(110)와 전달 장치(120) 간에는 근거리 통신 인프라(Infra)가 구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근거리 통신 인프라를 지그비인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지그비를 이용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형성이 가능하다. 즉, 센싱 장치(110)와 전달 장치(120) 간에는 형성된 USN을 통해 센싱 데이터를 수집 및 취합할 수 있는 것이며, 전달 장치(120)와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 간에는 통신망(122)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달 장치(120)는 센싱 장치(110)를 통해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통신망(122)을 통해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 전달하여, 수목 생육에 대한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근거리 통신 인프라(예컨대, 지그비)를 이용한 위치 식별 및 해당 나무의 식별 관리, 가로수 환경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장치(120)는 센싱 장치(110)와 USN을 형성하여 수목에 근접되어 있는 시설물(예컨대, 가로등)에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전달 장치(120)는 설치된 시설물 주변의 수목의 상태와 주변환경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취합하고, 취합된 취합 데이터를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 전송하여 해당 수목 지역이 해당 지역의 적합한 환경에서 키워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수목 지역에 설치된 센싱 장치(110)는 수목의 생육환경에 필요한 수분을 측정하며, 측정된 결과치 정보를 전기신호로 발신하는 수분감지센서와, 수목의 주위의 온도 및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며, 일조량 측정을 위한 조도 감지센서, 미세먼지센서를 통해 수목의 환경 정화 능력을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센싱 장치(110)는 구비된 수분감지센서, 환경센서, 조도센서, 미세먼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현재 수목의 수분보유상태, 수목 주위의 온도 및 습도, 이산화탄소, 조도 정보를 주기적으로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전달 장치(120)로 전송한다. 이때, 전달 장치(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에 인접하여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센싱 장치(11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취합한다. 이후 전달 장치(120)는 취합 데이터를 통신망(122)을 이용하여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 전달한다.
도 1에서의 센싱 장치(110)와 전달 장치(120) 간에 구성된 USN을 운영하는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센싱 장치(110)는 각각의 수목 지역에 위치한 나무의 개수에 따라 제 1 센서부 내지 제 n 센서부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센서부는 감지 센서부와 근거리 통신 전송부를 포함하는데, 감지 센서부는 수목 생육 환경 관리 센서인 '수분감지센서', '토양감지센서', '환경센서', '각도감지센서', '충격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며, 근거리 통신 전송부는 제 1 근거리 통신 모듈 내지 제 n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전달 장치(120)는 제 1 정보 전달부 내지 제 n 정보 전달부를 포함한다. 제 1 정보 전달부는 근거리 통신 수신부, 무선 통신부,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데, 근거리 통신 수신부는 센싱 장치(110)의 근거리 통신 전송부에 대응되어, 1:n 통신이 가능하다. 이후, 전달 장치(120)는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 통신망(122)을 경유하여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전달 장치(120)의 근거리 통신 수신부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센싱 장치(110)의 근거리 통신 전송부로부터 센싱 장치(110)의 감지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정보 수집부(210), 저장부(220), 정보 분석부(230), 상황 인지부(240) 및 정보 출력부(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가 정보 수집부(210), 저장부(220), 정보 분석부(230), 상황 인지부(240) 및 정보 출력부(25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정보 수집부(210)는 센싱 장치(110)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센싱 데이터는 나무에 대한 수분 정보, 토양 정보, 주변 환경 정보, 기울기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정보 수집부(210)는 나무와 근거리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며, 근거리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센싱 장치(11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 저장부(220)는 취합 데이터 및 기 저장된 식생 단위의 성장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정보 수집부(210)는 도 1의 전달 장치(120)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정보 수집부(210)에서 센싱 장치(110)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230)는 취합 데이터에 포함된 생육 데이터와 나무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생육 데이터가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육 데이터는 고유 식별 정보마다 매칭되는 나무에 대한 수분 정보, 토양 정보, 주변 환경 정보, 기울기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이다. 성장 정보는 나무의 기준 성장에 따른 적정 자양분 정보로서, 적정 수분 정보, 적정 토양 정보, 적정 온도 정보, 적정 습도 정보, 적정 기후 정보, 적정 기울기 정보 및 적정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재배 정보는 나무의 기준 성장에 따른 적정 자양분 정보로서, 필요 수분 정보, 필요 토양 정보, 필요 온도 정보, 필요 습도 정보, 필요 기후 정보, 필요 기울기 정보 및 필요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정보 분석부(230)는 성장 정보와 생육 데이터를 비교하여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관리 대상 나무 정보를 추출하고, 관리 대상 나무 정보 및 재배 정보를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로 전송한다. 또한, 정보 분석부(230)는 생육 데이터와 성장 정보를 비교하되, 성장 정보를 기준으로 생육 데이터에 미달되는 정보만을 추출한 미달 정보로 생성하고, 미달 정보와 성장 정보와의 차이를 재배 정보로 생성한다.
상황 인지부(240)는 재배 정보에 근거하여 나무에 대한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를 추출하고,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를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로 전송하며,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로부터 현장 업무 처리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에 대한 완료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황 인지부(240)는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 및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의 완료 처리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타 현장 작업자 단말기와 공유한다. 정보 출력부(250)는 사용자 명령 또는 외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재배 정보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센싱 장치(110)는 식생 단위 또는 식생도를 기준으로 한 군락지 중 랜덤으로 선별된 특정 나무에 장착되는데, 특정 나무는 가로수, 식물, 수목 지역의 나무 및 산림 지역의 나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싱 장치(110)는 특정 나무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센싱 장치(110)는 장착된 나무의 상태 또는 나무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S310). 단계 S310에서, 센싱 데이터는 나무에 대한 수분 정보, 토양 정보, 주변 환경 정보, 기울기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즉, 센싱 장치(110)는 나무의 수분 상태를 센싱한 수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수분감지센서, 나무의 토양 상태 또는 토양 온도를 센싱한 토양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토양감지센서, 나무의 주변 온도, 습도, 조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 먼지 농도, 기후를 센싱한 주변 환경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환경센서, 나무의 기울어짐을 측정한 기울기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각도감지센서, 나무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센싱한 충격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충격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 정보, 토양 정보, 주변 환경 정보, 기울기 정보,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
센싱 장치(110)는 생성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달 장치(120)로 전송한다(S312). 단계 S312에서 센싱 장치(110)가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무선랜,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지그비, UWB, NFC, RF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제 구현에 있어서, 센싱 장치(110)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지그비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달 장치(120)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센싱 장치(11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S320),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며(S322),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 전송한다(S324). 단계 S324에서 전달 장치(120)가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무선랜,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지그비, UWB, NFC, RF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제 구현에 있어서, 전달 장치(120)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지그비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달 장치(120)는 근거리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센싱 장치(110)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전달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취합 데이터를 저장(S330)하고, 취합 데이터에서 생육 정보를 추출한다(S340). 단계 S330에서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나무와 근거리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며, 근거리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센싱 장치(11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취합 데이터에 포함된 생육 데이터와 나무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필요한 관리 작업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50). 단계 S350의 확인 결과, 필요한 관리 작업이 있는 경우,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생육 데이터가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 명령 또는 외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재배 정보를 전송한다(S360). 단계 S360에서,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생육 데이터와 성장 정보를 비교하되, 성장 정보를 기준으로 생육 데이터에 미달되는 정보만을 추출한 미달 정보로 생성하고, 미달 정보와 성장 정보와의 차이를 재배 정보로 생성한다. 즉, 단계 S360에서,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성장 정보와 생육 데이터를 비교하여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관리 대상 나무 정보를 추출하고, 관리 대상 나무 정보 및 재배 정보를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로 전송한다.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부터 재배 정보, 관리 대상 나무 정보를 수신한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의 사용자는 해당 나무에 재배 정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한다(S362). 단계 S362에서, 사용자는 '관리 대상 나무 정보'에 따라 해당 나무가 있는 지역으로 이동한 후 '재배 정보'에 해당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가령, '재배 정보'가 수분 부족으로 나타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나무에 물을 줄 수 있으며, '재배 정보'가 토양 상태 악화로 나타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나무 주변의 토양에 거름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재배 정보'에 기울어짐이 있다고 나타나는 경우, 해당 나무에 부목을 설치할 수 있으며, '재배 정보'에 충격이 있다고 나타나는 경우, 해당 나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재배 정보에 근거하여 나무에 대한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를 추출하고,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를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로 전송하며,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로부터 현장 업무 처리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에 대한 완료 처리를 수행한다(S364). 단계 S364 이후에,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 및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의 완료 처리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타 현장 작업자 단말기와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64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64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생육 관리 장치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된 경우의 수목 생육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4에서는 센싱 장치(110), 전달 장치(120) 및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통합된 하나의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토록 한다.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나무의 상태 또는 나무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며, 센싱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의 정보 전달부로 전송한다(S410). 단계 S410에서, 센싱 데이터는 나무에 대한 수분 정보, 토양 정보, 주변 환경 정보, 기울기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즉,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의 구비된 센서부는 나무의 수분 상태를 센싱한 수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수분감지센서, 나무의 토양 상태 또는 토양 온도를 센싱한 토양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토양감지센서, 나무의 주변 온도, 습도, 조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 먼지 농도, 기후를 센싱한 주변 환경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환경센서, 나무의 기울어짐을 측정한 기울기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각도감지센서, 나무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센싱한 충격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충격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410에서, 센서부는 식생 단위 또는 식생도를 기준으로 한 군락지 중 랜덤으로 선별된 특정 나무에 장착되는데, 특정 나무는 가로수, 식물, 수목 지역의 나무 및 산림 지역의 나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410에서 센서부와 정보 전달부 간에 이용되는 근거리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무선랜,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지그비, UWB, NFC, RF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제 구현에 있어서, 센서부와 정보 전달부 간에 이용되는 근거리 통신 방식은 지그비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구비된 정보 전달부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정보 분석부(230)로 전송한다(S420). 단계 S420에서 정보 전달부는 근거리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센싱 장치(110)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의 정보 분석부(230)는 전달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취합 데이터를 저장하고, 취합 데이터에서 생육 정보를 추출하고, 생육 데이터와 나무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재배 정보를 생성한다(S430). 단계 S430에서, 정보 분석부(230)는 생육 데이터가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 명령 또는 외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재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정보 분석부(230)는 생육 데이터와 성장 정보를 비교하되, 성장 정보를 기준으로 생육 데이터에 미달되는 정보만을 추출한 미달 정보로 생성하고, 미달 정보와 성장 정보와의 차이를 재배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의 상황 인지부(240)는 성장 정보와 생육 데이터를 비교하여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관리 대상 나무 정보를 추출하고, 관리 대상 나무 정보 및 재배 정보를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로 전송한다(S440).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상황 인지부(240)로부터 재배 정보, 관리 대상 나무 정보를 수신한다(S450). 상황 인지부(240)는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의 전송 결과를 타 현장 작업자 단말기와 공유한다(S460).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의 사용자는 '관리 대상 나무 정보'에 따라 해당 나무가 있는 지역으로 이동하고(S470), 해당 나무에 재배 정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한다(S480). 가령, 사용자는 '관리 대상 나무 정보'에 따라 해당 나무가 있는 지역으로 이동한 후 '재배 정보'에 해당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가령, '재배 정보'가 수분 부족으로 나타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나무에 물을 줄 수 있으며, '재배 정보'가 토양 상태 악화로 나타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나무 주변의 토양에 거름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재배 정보'에 기울어짐이 있다고 나타나는 경우, 해당 나무에 부목을 설치할 수 있으며, '재배 정보'에 충격이 있다고 나타나는 경우, 해당 나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480에서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부터 수신된 푸쉬 메시지에 의해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인보크(Invoke)한 후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부터 재배 정보, 관리 대상 나무 정보 및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의 사용자는 관리 대상 나무 정보에 해당하는 나무에 대하여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에 따른 조치를 수행한 후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에 대한 현장 업무 처리 완료 신호를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의 상황 인지부(240)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로부터 현장 업무 처리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에 대한 완료 처리를 수행한다(S490).
도 4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9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410 내지 단계 S49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작업자 단말기에서 수목 생육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나무에 부착한 전자 태그를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에 구비된 리더를 통해 인식하여 해당 수목의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나무의 센싱 장치(110)가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작업을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인증되면,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S510).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인증되면,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다(S512). 단계 S512에서 사용자 정보는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암호 정보 또는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말한다. 즉,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암호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입력된 암호가 인증되는 경우, 사용자 정보가 인증된 것으로 인지하여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인 화면 중 맵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14). 단계 S514의 확인 결과, 메인 화면 중 맵 선택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인 화면 중 업무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16). 단계 S516의 확인 결과, 메인 화면 중 업무 선택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변의 위치한 나무의 전자 태그가 인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18).
단계 S518의 확인 결과, 주변의 위치한 나무의 전자 태그가 인식되는 경우,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전자 태그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며(S520),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생육 데이터와 기 저장된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생육 데이터가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S522). 단계 S520에서, 센싱 데이터는 나무에 대한 수분 정보, 토양 정보, 주변 환경 정보, 기울기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즉,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센싱 장치(110)의 나무의 수분 상태를 센싱한 수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수분감지센서, 나무의 토양 상태 또는 토양 온도를 센싱한 토양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토양감지센서, 나무의 주변 온도, 습도, 조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 먼지 농도, 기후를 센싱한 주변 환경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환경센서, 나무의 기울어짐을 측정한 기울기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각도감지센서, 나무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센싱한 충격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충격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분 정보, 토양 정보, 주변 환경 정보, 기울기 정보,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 현장 작업자는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에 출력된 재배 정보에 따른 현장 작성을 수행하며(S524), 해당 작업을 완료한 경우, 현장 작업자의 완료를 입력하면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에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다시 메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526).
한편, 단계 S514의 확인결과, 메인 화면 중 맵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나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맵 데이터를 출력(S528)하며, 맵 데이터 상에 나무의 위치 좌표를 디스플레이한다(S530).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지자체용 전용 맵 데이터, 웹 제공 맵 데이터 및 증강 현실 맵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맵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532). 한편, 단계 S516의 확인결과, 메인 화면 중 업무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업무 내역을 디스플레이한다(S534). 이후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디스플레이된 업무 내역 중 수정된 내용이 있는 경우, 이를 업무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한다(S536). 한편, 단계 S518의 확인결과, 주변의 위치한 나무의 전자 태그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현장 작업자 단말기(124)는 구비된 리더기를 검색하여 인식되는 전자 태그가 있는 경우, 이를 수신할 수 있다(S538).
도 5a 및 도 5b에서는 단계 S510 내지 단계 S538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5a 및 도 5b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510 내지 단계 S538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a 및 도 5b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와 전달 장치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장치(110)는 식생 단위 또는 식생도를 기준으로 한 군락지 중 랜덤으로 선별된 특정 나무에 장착된다. 이때, 센싱 장치(110)는 장착된 나무의 상태 또는 나무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달 장치(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특정 나무는 가로수, 식물, 수목 지역의 나무 및 산림 지역의 나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센싱 장치(110)는 나무의 수분 상태를 센싱한 수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수분감지센서, 나무의 토양 상태 또는 토양 온도를 센싱한 토양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토양감지센서, 나무의 주변 온도, 습도, 조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 먼지 농도, 기후를 센싱한 주변 환경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환경센서, 나무의 기울어짐을 측정한 기울기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각도감지센서, 나무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센싱한 충격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충격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 정보, 토양 정보, 주변 환경 정보, 기울기 정보,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센싱 장치(110)는 특정 나무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전달 장치(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센싱 장치(110) 그룹마다 한 개씩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전달 장치(120)는 근거리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센싱 장치(110)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전달 장치(120)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센싱 장치(110)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통신망(122)을 경유하여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전달 장치(120)는 일정한 주기로 센싱 장치(110)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통신망(122)을 경유하여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장치(110)와 전달 장치(120) 간에는 근거리 통신 인프라가 구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근거리 통신 인프라를 지그비인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지그비를 이용한 USN 형성이 가능하다. 즉, 센싱 장치(110)와 전달 장치(120) 간에는 형성된 USN을 통해 센싱 데이터를 수집 및 취합할 수 있는 것이며, 전달 장치(120)와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 간에는 통신망(122)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것이다. 전술한 방과 같이, 전달 장치(120)는 센싱 장치(110)를 통해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통신망(122)을 통해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 전달하여, 수목 생육에 대한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근거리 통신 인프라(예컨대, 지그비)를 이용한 위치 식별 및 해당 나무의 식별 관리, 가로수 환경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장치(120)는 센싱 장치(110)와 USN을 형성하여 수목에 근접되어 있는 시설물(예컨대, 가로등)에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전달 장치(120)는 설치된 시설물 주변의 수목의 상태와 주변환경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취합하고, 취합된 취합 데이터를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로 전송하여 해당 수목 지역이 해당 지역의 적합한 환경에서 키워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전달 장치(120)는 지그비 센서정보를 인식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지그비 브리지(Bridge) 역할을 수행하며, 수목 생육 관리 장치(130)는 지그비 브리지인 전달 장치(120)로부터 통신망(122)(예컨대, 무선 통신, 이동통신망, Wi-Fi)을 경유한 취합 데이터를 수신하는 지그비 에이전트(Agent)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싱 장치(110)는 고정형으로 특정 구역(Zone) 설치되며 센싱한 센싱 데이터는 USN을 통해 전달 장치(120)에서 취합된다. 즉, 전달 장치(120)와 센싱 장치(110)는 1:n 통신을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수목 생육 관리 분야에 적용되어, 수목 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수목 지역과 주변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인프라를 이용하여 수목 지역의 특정 나무의 상태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취합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수목 관리 장치로 주기적으로 전달함으로써, 현장 작업자가 해당 나무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10: 센싱 장치 120: 전달 장치
130: 수목 생육 관리 장치 210: 정보 수집부
220: 저장부 230: 정보 분석부
240: 상황 인지부 250: 정보 출력부

Claims (22)

  1. 장착된 나무의 상태 또는 상기 나무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센싱 장치;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신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달 장치; 및
    수신된 상기 취합 데이터에 포함된 생육 데이터와 상기 나무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생육 데이터가 상기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식생 단위(Vegetation Unit) 또는 식생도(Vegetation Map)를 기준으로 한 군락지 중 랜덤으로 선별된 특정 나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나무는,
    가로수, 식물, 수목 지역의 나무 및 산림 지역의 나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나무의 수분 상태를 센싱한 수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수분감지센서;
    상기 나무의 토양 상태 또는 토양 온도를 센싱한 토양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토양감지센서;
    상기 나무의 주변 온도, 습도, 조도,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 먼지 농도, 기후를 센싱한 주변 환경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환경센서;
    상기 나무의 기울어짐을 측정한 기울기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각도감지센서; 및
    상기 나무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센싱한 충격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충격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수분 정보, 상기 토양 정보, 상기 주변 환경 정보, 상기 기울기 정보, 상기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특정 나무의 고유 식별 정보인 센싱 장치 식별 정보 또는 근거리 통신 식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전달 장치는 근거리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인증되는 경우, 상기 수목 생육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재배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현장 작업자 단말기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작업자 단말기는,
    탑재된 수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나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맵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맵 데이터 상에 상기 나무의 위치 좌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맵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분되되, 지자체용 전용 맵 데이터, 웹 제공 맵 데이터 및 증강 현실 맵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맵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작업자 단말기는,
    주변의 위치한 상기 나무의 전자 태그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생육 데이터와 기 저장된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생육 데이터가 상기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상기 재배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작업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 저장된 업무 내역 정보 및 수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무선랜(WLA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
  12. 센싱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취합 데이터 및 기 저장된 식생 단위의 성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수신된 상기 취합 데이터에 포함된 생육 데이터와 상기 나무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생육 데이터가 상기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분석부; 및
    사용자 명령 또는 외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재배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성장 정보와 상기 생육 데이터를 비교하여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관리 대상 나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관리 대상 나무 정보 및 상기 재배 정보를 현장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나무에 대한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를 현장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현장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현장 업무 처리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에 대한 완료 처리를 수행하는 상황 인지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인지부는,
    상기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 및 상기 필요 관리 작업 데이터의 완료 처리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타 현장 작업자 단말기와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생육 데이터와 상기 성장 정보를 비교하되, 상기 성장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생육 데이터에 미달되는 정보만을 추출한 미달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미달 정보와 상기 성장 정보와의 차이를 상기 재배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나무와 근거리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는,
    상기 나무에 대한 수분 정보, 토양 정보, 주변 환경 정보, 기울기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육 데이터는,
    상기 고유 식별 정보마다 매칭되는 상기 나무에 대한 수분 정보, 토양 정보, 주변 환경 정보, 기울기 정보 및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정보는,
    상기 나무의 기준 성장에 따른 적정 자양분 정보로서, 적정 수분 정보, 적정 토양 정보, 적정 온도 정보, 적정 습도 정보, 적정 기후 정보, 적정 기울기 정보 및 적정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정보는,
    상기 나무의 기준 성장에 따른 적정 자양분 정보로서, 필요 수분 정보, 필요 토양 정보, 필요 온도 정보, 필요 습도 정보, 필요 기후 정보, 필요 기울기 정보 및 필요 충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장치.
  22. 수목 생육 관리 장치가 수목 생육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센싱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취합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취합 데이터 및 기 저장된 식생 단위의 성장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취합 데이터에 포함된 생육 데이터와 상기 나무의 고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성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생육 데이터가 상기 성장 정보와 유사해지도록 유도하는 재배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
    사용자 명령 또는 외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재배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생육 관리 방법.
KR1020110094990A 2011-09-21 2011-09-21 수목 생육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130031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990A KR20130031432A (ko) 2011-09-21 2011-09-21 수목 생육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990A KR20130031432A (ko) 2011-09-21 2011-09-21 수목 생육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432A true KR20130031432A (ko) 2013-03-29

Family

ID=4818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990A KR20130031432A (ko) 2011-09-21 2011-09-21 수목 생육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143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674A1 (ko) * 2013-12-20 2015-06-25 (주)프리코어 사물에 이식되는 임베디드 장치의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
KR20160020708A (ko) 2014-08-14 2016-02-24 주식회사 파란숲 수목 관리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
CN105675812A (zh) * 2016-01-19 2016-06-15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ZigBee的古树名木健康状况监测系统
KR20180023578A (ko) *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엔씽 비콘 동기화 기반의 스마트 화분의 데이터 보안 시스템, 이를 이용한 데이터 보안 방법
KR101934422B1 (ko) 2017-12-04 2019-03-18 민지호 나무 좌굴 감지 시스템
WO2019124657A1 (ko) * 2017-12-20 2019-06-27 주식회사 이콘비즈 수분 정보를 이용하여 나무병을 예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23741A (ko)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에코앤휴먼 스마트폰을 이용한 수목 관리 시스템
KR102189636B1 (ko) * 2020-01-13 2020-12-11 한지수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479283B1 (ko) * 2021-11-16 2022-12-21 (주)카탈로닉스 환경데이터 메타버스 공유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113454A1 (ko) * 2021-12-14 2023-06-22 주식회사 카탈로닉스 작물 엔에프티 및 이의 거래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674A1 (ko) * 2013-12-20 2015-06-25 (주)프리코어 사물에 이식되는 임베디드 장치의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 사물인터넷 시스템
KR20160020708A (ko) 2014-08-14 2016-02-24 주식회사 파란숲 수목 관리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
CN105675812A (zh) * 2016-01-19 2016-06-15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ZigBee的古树名木健康状况监测系统
KR20180023578A (ko) *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엔씽 비콘 동기화 기반의 스마트 화분의 데이터 보안 시스템, 이를 이용한 데이터 보안 방법
KR101934422B1 (ko) 2017-12-04 2019-03-18 민지호 나무 좌굴 감지 시스템
WO2019124657A1 (ko) * 2017-12-20 2019-06-27 주식회사 이콘비즈 수분 정보를 이용하여 나무병을 예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84159A (ko) * 2017-12-20 2019-07-16 주식회사 이콘비즈 수분 정보를 이용하여 나무병을 예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23741A (ko)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에코앤휴먼 스마트폰을 이용한 수목 관리 시스템
KR102189636B1 (ko) * 2020-01-13 2020-12-11 한지수 수목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479283B1 (ko) * 2021-11-16 2022-12-21 (주)카탈로닉스 환경데이터 메타버스 공유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113454A1 (ko) * 2021-12-14 2023-06-22 주식회사 카탈로닉스 작물 엔에프티 및 이의 거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1432A (ko) 수목 생육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10812761B2 (en) Complex hardware-based system for video surveillance tracking
CN104483658B (zh) 基于Wi-Fi和地磁场的室内定位方法
CN103971220A (zh) 一种危化品智能仓储管理系统
CN101725370A (zh) 一种井下定位监控系统
KR102115882B1 (ko) 인공지능 용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930868A (zh) 一种基于多维数据采集的大数据行为轨迹分析方法
CN105574698A (zh) 基于大数据下的智能仓储管理系统
LeMay et al. Estimating carbon stocks and stock changes in forests: linking models and data across scales
CN103824339A (zh) 一种用于发电厂的一体化巡检系统
Shin et al. FindingMiMo: Tracing a missing mobile phone using daily observations
CN103606008B (zh) 一种基于rfid植物移植管理的方法及系统
CN203054567U (zh) 一种雷电监测预警系统
TWI681306B (zh) 基於用戶行為的群組通知方法、系統以及儲存媒體
CN103116327A (zh) 远程农业数据控制系统
CN113507690A (zh) 基于LoRa技术的智慧牧场管理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Santarsiero et al. Evolution of soil consumption in the municipality of Melfi (Southern Italy) in relation to renewable energy
Zahra'a et al. Smart automatic petrol pump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2367397A (zh) 外勤作业的监控预警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204203750U (zh) 一种基于rfid技术的物资状态监控系统
JP6742360B2 (ja) 情報生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生成方法
Song et al. Agricultural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 in the Construction of Regional Smart Cities
JP2006338577A (ja) 環境データ提供システム
Rodrigues et al. Fusion data tracking system (fits)
Lane et al. Ambient beacon localization: using sensed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world to localize mobile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