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955B1 -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955B1
KR102301955B1 KR1020180171705A KR20180171705A KR102301955B1 KR 102301955 B1 KR102301955 B1 KR 102301955B1 KR 1020180171705 A KR1020180171705 A KR 1020180171705A KR 20180171705 A KR20180171705 A KR 20180171705A KR 102301955 B1 KR102301955 B1 KR 102301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gnitive health
smart device
mobile smart
cogn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811A (ko
Inventor
남현우
이진우
김지현
최광진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넥스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넥스모션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1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9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보호자 단말(6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안드로이드 마켓, 통신사업자, 앱 스토어 중 하나에 해당하는 앱 제공 서버(300) 상에 인지건강 앱의 URL 주소로 액세스하도록 하는 리디렉션(redirection) 명령을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에서 인지건강 앱 데이터에 대한 앱 제공 서버(300)로부터의 다운로드 이후, 설치가 완료되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설치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및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인지건강 앱 상에서 각 주차(week)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횟수로 제공되는 인지건강 학습에 대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자인 대상자가 수행해야하는 미리 설정된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한 푸쉬 메시지 형태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각 주차의 횟수에 맞는 인지건강 앱 상에서 제공되는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에 대한 실행 요청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인지 저하를 호소하는 대상자에게 모바일의 접근성과 유용성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인지 영역별 기능 강화와 치매 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콘텐츠와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등록된 주치의에 대한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에 대한 수행 결과를 진료를 위한 보조 자료로 제공함으로써, 주치의에 의한 정밀한 진료가 가능한 효가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를 자료로 활용한 주치의의 진료 기록을 보호자에게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에 대한 평가 정보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대상자의 상태를 기존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Mobile system for cognitive health promotion for prevention of dementia,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지 저하를 호소하는 대상자에게 모바일의 접근성과 유용성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인지 영역별 기능 강화와 치매 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콘텐츠와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구현하도록 하기 위한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인구 노령화와 의학 발달로 늘어난 기대수명과 노인 인구증가 추세에 따라 지난해 국내 치매환자 수는 약 65만명, 2030년이면 127만명, 2050년 약 270만명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보건복지부의 자료도 보도된 적이 있다. 또한, 연 12조원에 달하는 치매환자의 경제적 비용과 수발부담 증가로 간병 살인·자살·독신 문제가 매번 거론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치매환자 예방을 위한 인지훈련(cognitive training)이 있는데 인지훈련은 지속적인 연습과 훈련을 통해 신경조절 기능을 향상시키고 정보처리 정확성과 속도를 증가시켜 인지기능을 회복 및 증진시키는 중재로서 집중력, 기억력, 수행기능 등 각 영역을 훈련시켜 인지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체계적인 훈련 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인지훈련은 비약물적 중재로 체계적인 인지중재를 고안하여 제공할 경우 경도 인지장애나 경고 단계 환자들의 인지 장애 진행을 지연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국내의 경우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전산화 인지훈련프로그램은 PSS Cogrehab, 독일에서 개발한 레하컴(Rehacom), 국내에서 개발한 컴커그(ComCog), 그리고 코트라스가 있다.
그러나 이들 훈련 프로그램은 대부분 치매환자와 뇌졸중 환자 및 뇌손상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임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지훈련 프로그램은 모든 인지영역을 포함, 의사의 처방에 따라 작업치료사 등의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 일괄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처럼 전산화 인지 프로그램은 사용의 유연성,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 치료시간의 단축, 객관화된 적용가능이라는 장점 때문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컴퓨터 사용이 익숙지 않거나 접할 기회가 적었던 대상자의 경우 전산화 프로그램의 적용 차제가 어렵거나 자발적 참여 및 지속이 어려울 수 있다.
스마트폰은 기존 휴대폰에 PC의 기능을 더하고 WiFi 등 컴퓨터 통신망과 연결하여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고 있어 인지훈련의 접근성과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앱 기반의 훈련은 전산화 인지훈련 프로그램에 비해 일상생활에서 대상자 스스로 언제 어디서나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더해졌다. 또한 이러한 인지훈련은 과거 집단으로 진행되는 전통적인 인지훈련에 비하여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가정에서 접근하기 쉬운 인지 중재도구로서 자발적으로 장기적인 훈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130682호 "비시아이를 이용한 치매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eventing dementia using BCI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지 저하를 호소하는 대상자에게 모바일의 접근성과 유용성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인지 영역별 기능 강화와 치매 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콘텐츠와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구현하도록 하기 위한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등록된 주치의에 대한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에 대한 수행 결과를 진료를 위한 보조 자료로 제공함으로써, 주치의에 의한 정밀한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를 자료로 활용한 주치의의 진료 기록을 보호자에게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에 대한 평가 정보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대상자의 상태를 기존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보호자 단말(6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안드로이드 마켓, 통신사업자, 앱 스토어 중 하나에 해당하는 앱 제공 서버(300) 상에 인지건강 앱의 URL 주소로 액세스하도록 하는 리디렉션(redirection) 명령을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에서 인지건강 앱 데이터에 대한 앱 제공 서버(300)로부터의 다운로드 이후, 설치가 완료되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설치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및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인지건강 앱 상에서 각 주차(week)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횟수로 제공되는 인지건강 학습에 대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자인 대상자가 수행해야하는 미리 설정된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한 푸쉬 메시지 형태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각 주차의 횟수에 맞는 인지건강 앱 상에서 제공되는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에 대한 실행 요청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3 단계 이후,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대상자가 각 주차의 횟수에 해당하는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를 활용한 훈련을 실시에 따라 단위기간 또는 단위학습 채점 정보를 생성한 뒤, 각 단위시간 또는 단위학습 동안의 채점 정보를 합산하여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 이후,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각 단위시간 또는 단위학습 동안의 채점 정보의 합산 정보가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면, 대상자가 운용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대상자의 보호자가 운영하는 보호자 단말(600) 상의 인지건강 앱에서 지정된 병원서버(500)와 지정된 병원서버(500)의 DB에 저장된 의사 중 대상자의 주치의로 등록된 주치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530)에 사전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5 단계 이후,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검색에 따라 주치의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주치의 정보 중 병원서버(500)의 IP 주소로 주치의 정보에 포함된 주치의 코드 정보를 지정하여 채점에 대한 합산 정보를 대상자 식별 ID와 함께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6 단계 이후,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병원서버(500)에 합산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주치의 단말(700)이 주치의 단말(700)을 운영하는 주치의가 관리하는 대상자에 대한 합산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병원서버(500)로부터 푸쉬 메시지 형태로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는, 하나의 대상 객체를 출력한 뒤, 객체에 대한 사물 평가, 색상 평가, 개수 평가, 장소 평가를 포함하는 기억력 테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는, 하나의 화면에서 다른 객체 선택, 같은 객체 선택을 수행하는 주의력 테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인지 저하를 호소하는 대상자에게 모바일의 접근성과 유용성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인지 영역별 기능 강화와 치매 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콘텐츠와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미리 등록된 주치의에 대한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에 대한 수행 결과를 진료를 위한 보조 자료로 제공함으로써, 주치의에 의한 정밀한 진료가 가능한 효가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를 자료로 활용한 주치의의 진료 기록을 보호자에게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에 대한 평가 정보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대상자의 상태를 기존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100) 중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100) 중 앱 제공 서버(300)에 의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되어 구현되는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계된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100)을 위한 플랫폼을 나타내는 참도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100) 중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100) 중 앱 제공 서버(300)에 의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제공되어 구현되는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을 나타낸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100)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네트워크(200), 앱 제공 서버(300),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 병원 서버(500) 및 보호자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송수신부(410), 제어부(420) 및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20)는 인지건강 학습 모듈(421), 주치의 정보 제공 모듈(422), 보호자 정보 제공 모듈(423) 및 위치 추적 제공 모듈(424)을 포함할 수 있다.
인지건강 학습 모듈(421)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또는 보호자 단말(6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안드로이드 마켓, 통신사업자, 앱 스토어 등과 같은 앱 제공 서버(300) 상에 인지건강 앱의 URL 주소로 액세스하도록 하는 리디렉션(redirection) 명령을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인지건강 학습 모듈(421)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에서 인지건강 앱 데이터에 대한 앱 제공 서버(300)로부터의 다운로드 이후, 설치가 완료되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설치 완료 신호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인지건강 학습 모듈(421)은 도 3과 같이 인지건강 앱 상에서 각 주차(week)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횟수로 제공되는 인지건강 학습에 대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자인 대상자가 수행해야하는 미리 설정된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한 푸쉬 메시지 형태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각 주차의 횟수에 맞는 인지건강 앱 상에서 제공되는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에 대한 실행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는 도 4와 같이 하나의 대상 객체를 출력한 뒤, 객체에 대한 사물 평가, 색상 평가, 개수 평가, 장소 평가 등을 포함하는 기억력 테스트, 도 5와 같이 하나의 화면에서 다른 객체 선택, 같은 객체 선택과 같은 제 1 주의력 테스트, 도 6과 같이 하나의 화면에서 n×m(n, m은 서로 같거나 다른 자연수)으로 복수의 객체만을 표시한 뒤 동일한 객체를 선택하는 것과 같은 제 2 주의력 테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인지건강 학습 모듈(421)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대상자가 각 주차의 횟수에 해당하는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를 활용한 훈련을 실시에 따라 단위기간 또는 단위학습 채점 정보를 생성한 뒤, 각 단위시간 또는 단위학습 동안의 채점 정보를 합산하여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할 수 있다.
주치의 정보 제공 모듈(422)은 인지건강 학습 모듈(421)에 의해 각 단위시간 또는 단위학습 동안의 채점 정보의 합산 정보가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면, 대상자가 운용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또는 대상자의 보호자가 운영하는 보호자 단말(600) 상의 인지건강 앱에서 지정된 병원서버(500)와 지정된 병원서버(500)의 DB에 저장된 의사 중 대상자의 주치의로 등록된 주치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530)에 사전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주치의 정보 제공 모듈(422)은 검색에 따른 주치의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주치의 정보 중 병원서버(500)의 IP 주소로 주치의 정보에 포함된 주치의 코드 정보를 지정하여 채점에 대한 합산 정보를 대상자 식별 ID와 함께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병원서버(500)에 합산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주치의 단말(700)은 주치의 단말(700)을 운영하는 주치의가 관리하는 대상자에 대한 합산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병원서버(500)로부터 푸쉬 메시지 형태로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주치의가 대상자의 건강 증진의 정보를 판단하여 병원 내원시 이를 복합적으로 진단하여 처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주치의는 정신과 주치의가 될 수 있으며,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복수의 병원 서버(500)로 이루어진 병원 서버 그룹(500a)과, 그리고 각 병원 서버(500)에 의사로 등록된 복수의 주치의 단말(700)과 미리 연동할 수 있도록 협약을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자 정보 제공 모듈(423)은 채점에 대한 합산 정보를 수신한 병원 서버(500)에 속한 주치의 단말(700)에 의한 병원 방문기록이나 진찰일지 등을 포함하는 전자 의료 기록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대상자 식별 ID와 함께 전자 의료 기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보호자 정보 제공 모듈(423)은 대상자 식별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데이터베이스(530)에 채점에 대한 합산 정보 및 전자 의료 기록 정보를 저장한 뒤, 대상자 식별 ID에 대해서 보호자로 등록된 보호자 식별 ID가 데이터베이스(530)에서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보호자 식별 ID에 해당하는 보호자 단말(600)로 채점에 대한 합산 정보 및 전자 의료 기록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대상자의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를 활용한 인지건강 훈련 실시과정과 주치의로 전송된 데이터가 보호자 정보 제공 모듈(423)에 의해 자동 정리되어 대상자의 보호자 단말기(600)로 전송되어 보호자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특히, 대상자에 해당하는 부모, 특정의 환자가 요양병원 또는 요양원에 있는 경우, 보호자가 필수적으로 대상자의 상태 호전에 대한 판단을 위한 채점에 대한 합산 정보 외에 전자 의료 기록 정보를 병원 서버(500)를 운영하는 일반병원, 요양병원, 요양원 등과 같은 병원 측에서 공급받아 보호자에게 확인시킴으로써, 보호자가 미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 추적 제공 모듈(424)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또는 보호자 단말(600)의 인지건강 앱에 의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대상자가 요양병원, 요양원, 병원 입원실 등과 같은 거주 지역의 제한을 받는 위치로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430)를 통해 검색한 뒤, 거주 지역 제한이 등록된 경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자체의 GPS 수신장치(110)로부터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대상자 식별 ID와 함께 미리 설정된 주기로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위치 추적 제공 모듈(424)은 대상자 식별 ID의 거주 지역 제한 정보를 검색한 뒤, 거주 지역 제한 정보를 벗어나는 GPS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시, 네트워크(200)를 통해 보호자 단말(600)로 현재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GPS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추적 제공 모듈(424)은 대상자가 운영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인지건강 앱 상에서 거주 지역 제한 정보를 벗어나서 이동하는 경로 정보가 실시간으로 생성되므로, 실시간 경로 정보를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뒤, 수신된 실시간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보호자 단말(600)로 현재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GPS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급작스럽게 발생될 수 있는 대상자의 길 잃음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추적 제공 모듈(424)은 대상자 식별 ID의 거주 지역 제한 정보를 검색한 뒤, 거주 지역 제한 정보를 벗어나는 GPS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시,상술한 실시간 경로 정보와 함께, 보호자 단말(600)의 연락처 정보를 함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 명령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제 3 자가 대상자를 발견시, 보호자의 연락처 정보와 함께, 대상자가 복귀해야할 장소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상술한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계된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100)을 위한 플랫폼을 나타내는 참도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또는 보호자 단말(6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안드로이드 마켓, 통신사업자, 앱 스토어 등과 같은 앱 제공 서버(300) 상에 인지건강 앱의 URL 주소로 액세스하도록 하는 리디렉션(redirection) 명령을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11).
단계(S11) 이후,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에서 인지건강 앱 데이터에 대한 앱 제공 서버(300)로부터의 다운로드 이후, 설치가 완료되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설치 완료 신호를 수신한다(S12).
단계(S12) 이후,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인지건강 앱 상에서 각 주차(week)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횟수로 제공되는 인지건강 학습에 대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자인 대상자가 수행해야하는 미리 설정된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한 푸쉬 메시지 형태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각 주차의 횟수에 맞는 인지건강 앱 상에서 제공되는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에 대한 실행 요청 전송한다(S13).
단계(S13) 이후,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대상자가 각 주차의 횟수에 해당하는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를 활용한 훈련을 실시에 따라 단위기간 또는 단위학습 채점 정보를 생성한 뒤, 각 단위시간 또는 단위학습 동안의 채점 정보를 합산하여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한다(S14).
단계(S14) 이후,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각 단위시간 또는 단위학습 동안의 채점 정보의 합산 정보가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면, 대상자가 운용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또는 대상자의 보호자가 운영하는 보호자 단말(600) 상의 인지건강 앱에서 지정된 병원서버(500)와 지정된 병원서버(500)의 DB에 저장된 의사 중 대상자의 주치의로 등록된 주치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530)에 사전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검색을 수행한다(S15).
단계(S15) 이후,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검색에 따라 주치의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주치의 정보 중 병원서버(500)의 IP 주소로 주치의 정보에 포함된 주치의 코드 정보를 지정하여 채점에 대한 합산 정보를 대상자 식별 ID와 함께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한다(S16).
단계(S16) 이후,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병원서버(500)에 합산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주치의 단말(700)이 주치의 단말(700)을 운영하는 주치의가 관리하는 대상자에 대한 합산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병원서버(500)로부터 푸쉬 메시지 형태로 수신하여 출력한다(S17).
단계(S17) 이후,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채점에 대한 합산 정보를 수신한 병원 서버(500)에 속한 주치의 단말(700)에 의한 병원 방문기록이나 진찰일지 등을 포함하는 전자 의료 기록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대상자 식별 ID와 함께 전자 의료 기록 정보를 수신한다(S18).
단계(S18) 이후,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대상자 식별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데이터베이스(530)에 채점에 대한 합산 정보 및 전자 의료 기록 정보를 저장한 뒤, 대상자 식별 ID에 대해서 보호자로 등록된 보호자 식별 ID가 데이터베이스(530)에서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보호자 식별 ID에 해당하는 보호자 단말(600)로 채점에 대한 합산 정보 및 전자 의료 기록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한다(S19).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200 : 네트워크
300 : 앱 제공 서버
400 :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
410 : 송수신부
420 : 제어부
421 : 인지건강 학습 모듈
422 : 주치의 정보 제공 모듈
423 : 보호자 정보 제공 모듈
424 : 위치 추적 제공 모듈
430 : 데이터베이스
500 : 병원 서버
600 : 보호자 단말

Claims (7)

  1.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네트워크(200), 앱 제공 서버(300),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 병원 서버(500) 및 보호자 단말(600)을 포함하는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100)에 있어서, 인지건강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송수신부(410), 제어부(420) 및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하며, 제어부(420)는, 인지건강 학습 모듈(421), 주치의 정보 제공 모듈(422), 보호자 정보 제공 모듈(423) 및 위치 추적 제공 모듈(424)을 포함하며,
    인지건강 학습 모듈(421)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보호자 단말(600) 중 하나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액세스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앱 제공 서버(300) 상에 인지건강 앱의 URL 주소로 액세스하도록 하는 리디렉션(redirection) 명령을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고,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에서 인지건강 앱 데이터에 대한 앱 제공 서버(300)로부터의 다운로드 이후, 설치가 완료되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설치 완료 신호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며, 인지건강 앱 상에서 각 주차(week)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횟수로 제공되는 인지건강 학습에 대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자인 대상자가 수행해야 하는 미리 설정된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한 푸쉬 메시지 형태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각 주차의 횟수에 맞는 인지건강 앱 상에서 제공되는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에 대한 실행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며,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는, 하나의 대상 객체를 출력한 뒤, 객체에 대한 사물 평가, 색상 평가, 개수 평가, 장소 평가를 포함하는 기억력 테스트, 하나의 화면에서 다른 객체 선택, 같은 객체 선택과 같은 제 1 주의력 테스트, 하나의 화면에서 n×m(n, m은 서로 같거나 다른 자연수)으로 복수의 객체만을 표시한 뒤 동일한 객체를 선택하는 것과 같은 제 2 주의력 테스트로 제공되며,
    인지건강 학습 모듈(421)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대상자가 각 주차의 횟수에 해당하는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를 활용한 훈련을 실시에 따라 단위기간 또는 단위학습 채점 정보를 생성한 뒤, 각 단위시간 또는 단위학습 동안의 채점 정보를 합산하여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하며,
    주치의 정보 제공 모듈(422)은,
    인지건강 학습 모듈(421)에 의해 각 단위시간 또는 단위학습 동안의 채점 정보의 합산 정보가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면, 대상자가 운용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대상자의 보호자가 운영하는 보호자 단말(600) 상의 인지건강 앱에서 지정된 병원서버(500)와 지정된 병원서버(500)의 DB에 저장된 의사 중 대상자의 주치의로 등록된 주치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530)에 사전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며,
    검색에 따른 주치의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주치의 정보 중 병원서버(500)의 IP 주소로 주치의 정보에 포함된 주치의 코드 정보를 지정하여 채점에 대한 합산 정보를 대상자 식별 ID와 함께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여, 병원서버(500)에 합산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주치의 단말(700) 상에서 주치의 단말(700)을 운영하는 주치의가 관리하는 대상자에 대한 합산 정보가 수신됨을 병원서버(500)로부터 푸쉬 메시지 형태로 수신하여 출력되도록 하며,
    보호자 정보 제공 모듈(423)은,
    채점에 대한 합산 정보를 수신한 병원 서버(500)에 속한 주치의 단말(700)에 의한 병원 방문기록이나 진찰일지 등을 포함하는 전자 의료 기록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대상자 식별 ID와 함께 전자 의료 기록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며,
    대상자 식별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데이터베이스(530)에 채점에 대한 합산 정보 및 전자 의료 기록 정보를 저장한 뒤, 대상자 식별 ID에 대해서 보호자로 등록된 보호자 식별 ID가 데이터베이스(530)에서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보호자 식별 ID에 해당하는 보호자 단말(600)로 채점에 대한 합산 정보 및 전자 의료 기록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대상자의 인지건강 학습 콘텐츠를 활용한 인지건강 훈련 실시과정과 주치의로 전송된 데이터가 보호자 정보 제공 모듈(423)에 의해 자동 정리되어 대상자의 보호자 단말기(600)로 전송되어 보호자에게 확인시키도록 하며,
    위치 추적 제공 모듈(424)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또는 보호자 단말(600)의 인지건강 앱에 의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대상자가 요양병원, 요양원, 병원 입원실을 포함하는 같은 거주 지역의 제한을 받는 위치로 등록 여부를 데이터베이스(430)를 통해 검색한 뒤, 거주 지역 제한이 등록된 경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자체의 GPS 수신장치(110)로부터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대상자 식별 ID와 함께 미리 설정된 주기로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며,
    대상자 식별 ID의 거주 지역 제한 정보를 검색한 뒤, 거주 지역 제한 정보를 벗어나는 GPS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시, 네트워크(200)를 통해 보호자 단말(600)로 현재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GPS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며,
    대상자가 운영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인지건강 앱 상에서 거주 지역 제한 정보를 벗어나서 이동하는 경로 정보가 실시간으로 생성되므로, 실시간 경로 정보를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뒤, 수신된 실시간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보호자 단말(600)로 현재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GPS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급작스럽게 발생될 수 있는 대상자의 길 잃음에 대응하도록 하며,
    대상자 식별 ID의 거주 지역 제한 정보를 검색한 뒤, 거주 지역 제한 정보를 벗어나는 GPS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시,상술한 실시간 경로 정보와 함께, 보호자 단말(600)의 연락처 정보를 함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 명령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제 3 자가 대상자를 발견시, 보호자의 연락처 정보와 함께, 대상자가 복귀해야할 장소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71705A 2018-12-28 2018-12-28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1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705A KR102301955B1 (ko) 2018-12-28 2018-12-28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705A KR102301955B1 (ko) 2018-12-28 2018-12-28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811A KR20200081811A (ko) 2020-07-08
KR102301955B1 true KR102301955B1 (ko) 2021-09-15

Family

ID=7160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705A KR102301955B1 (ko) 2018-12-28 2018-12-28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132B1 (ko) 2020-10-28 2023-08-03 주식회사 지엘 인지기능 재활훈련 시스템
KR102641717B1 (ko) * 2021-12-29 2024-02-27 (주)기억산책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032A (ko) * 2013-12-30 2015-07-08 (주)가바플러스 치매 예방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109720A (ko) * 2014-03-20 2015-10-02 주식회사 틸론 프로그램 일괄배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811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5900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compliant delivery of content, applications and/or solutions
US20130175334A1 (en) System,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CN105579994A (zh) 用于物联网集成平台的互操作性机制
KR20190102482A (ko)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서버
KR102301955B1 (ko)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112721A1 (en) Medical Transitional Care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Business Method
JP702146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302269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gion-Based Epidemic Disease Information
US113543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data to facility computing entities
JP2008130033A (ja) サービス連携方法
WO20212165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procedure preparation
AU20203592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disease affected area
Paglialonga et al. Automated characterization of mobile health apps' features by extracting information from the web: an exploratory study
Borycki et al. Reinventing virtual care: Bridging the healthcare system and citizen silos to create an integrated future
CN114882983B (zh) 一种智慧病房交互方法、系统及储存介质
KR20200072756A (ko) 의료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hronaki et al. Towards mHealth assessment guidelines for interoperability: HL7 FHIR
US20210027870A1 (en) Electronic healthcare platform that provides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for personal care products and healthcare services
KR20150043810A (ko) 환자 개인정보 히스토리 제공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
KR20110090116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상담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210063758A (ko) 갱년기 여성을 위한 인지예비능 증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01223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보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Wang et al. Identifying effective approaches for dissemination of clinical evidence–correlation analyses on promotional activities and usage of a guideline-driven interactive case simulation tool in a statewide HIV-HCV-STD clinical education program
Matos et al. Hansenapp: Development of a mobile application to assist primary healthcare providers to control leprosy
KR100817434B1 (ko) 의료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