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717B1 -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717B1
KR102641717B1 KR1020210190657A KR20210190657A KR102641717B1 KR 102641717 B1 KR102641717 B1 KR 102641717B1 KR 1020210190657 A KR1020210190657 A KR 1020210190657A KR 20210190657 A KR20210190657 A KR 20210190657A KR 102641717 B1 KR102641717 B1 KR 10264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mentia
unit
information
cognitive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0957A (ko
Inventor
박종호
김상인
최진성
Original Assignee
(주)기억산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억산책 filed Critical (주)기억산책
Priority to KR1020210190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717B1/ko
Priority to US17/728,897 priority patent/US20220351845A1/en
Publication of KR20230100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8Elder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conom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Nursing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관에 소속된 관리자의 관리자정보와 상기 관리자가 관리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정보가 등록되는 정보등록부; 인지 훈련 문제를 생성 후, 생성한 인지 훈련 문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제공부;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및 상기 위치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인지 훈련 문제 수행에 따른 수행결과를 분석하고, 상기 수행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치매정도를 평가하는 사용자분석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Dementia patient integrated management and dementia judgment system}
본 발명은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특히, 홀로 거주하는 노인의 경우, 긴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못할 경우 큰 위험에 처하게 되고, 이는 사회적으로 크게 문제되고 있다.
특히, 노인성 치매 질환으로 노인의 관리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치매환자를 관리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생활관리사 또는 사회복지사 등을 치매환자의 주택으로 주기적으로 파견하는 등 치매환자의 돌보기 위한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인력을 활용한 시스템은 예산과 시간의 부족으로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치매환자의 실종 등이 발생했을 경우, 치매환자의 활동 경로를 파악하지 못하여 치매환자의 수색 시간이 증가하고, 수색이 늦어짐에 따라 환경요인에 의한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5634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29862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관에 관리자의 관리자정보와 관리자가 관리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정보가 등록 및 관리되며, 인지 훈련 문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인지 훈련 문제를 사용자가 수행함으로써, 수행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치매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관에 소속된 관리자의 관리자정보와 상기 관리자가 관리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정보가 등록되는 정보등록부; 인지 훈련 문제를 생성 후, 생성한 인지 훈련 문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제공부;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및 상기 위치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인지 훈련 문제 수행에 따른 수행결과를 분석하고, 상기 수행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치매정도를 평가하는 사용자분석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지 훈련 문제는, 상기 사용자가 걸어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반경 내에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인지훈련용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분석부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 훈련 문제를 수행하는 동안 이동한 실제경로와 상기 인지훈련용 경로의 일치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제제공부는, 상기 인지 훈련 문제를 생성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통해 실제 사용자가 이동한 다수의 이동경로 내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이동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지훈련용 경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제제공부는, 상기 이동경로를 추출할 때,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고, 설정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예상경로를 먼저 추출한 다음, 예상경로와 이동경로를 비교하여 동일한 추출경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경로 중에서 기 설정된 횟수만큼 동일하게 이동한 제1조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기 설정된 경로수 이하인 제2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이동경로에서 추출하고, 상기 인지 훈련 문제는, 상기 기 설정된 경로수와 같거나 적은 하나 이상의 인지훈련용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분석부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 훈련 문제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의 행동에 특이행동에 포함되면 기 설정된 점수에서 차감하여 인지훈련용 경로의 목적지까지 이동했을 때, 차감하고 남은 점수를 통해 치매정도를 분석하고, 상기 특이행동은, 일부 경로를 반복하여 이동하는 행동,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인지훈련용 경로로부터 일정반경 이상으로 벗어나는 행동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인지 훈련 문제를 수행하는 동안, 기 설정된 점수가 차감되어 일정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관리자에게 호출하는 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출부는, 상기 기 설정된 점수가 차감되어 기 설정된 제1점수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관리자에게 주의경고로 호출하고, 상기 제1점수범위보다 낮아져, 기 설정된 제2점수범위에 해당하면 관리자에게 위험경고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기관에 관리자의 관리자정보와 관리자가 관리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정보가 등록 및 관리되며, 인지 훈련 문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인지 훈련 문제를 사용자가 수행함으로써, 수행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치매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센싱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의 사용자분석부에 따른 행동을 분석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의 문제제공부가 제공하는 2 이상의 인지훈련용 경로를 포함하는 인지 훈련 문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의 응용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화면을 추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며, 사용자의 인지 훈련 및 인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소지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100)을 통해,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으며, 또 다른 관리자와의 공유를 통해 통합관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센싱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이 구현되는 휴대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데이터 전송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100)과 지역 통신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부(110)는 외부의 요청 또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사용자의 인지 능력 향상 또는 감퇴 유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원격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의사, 관리자 또는 보호자일 수 있다.
즉, 의사 또는 관리자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의 인지 능력 향상 또는 감퇴 유무 정보를 기설정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에 따른 사용자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 전송장치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OMA-BCAST,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데이터 전송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상술한 가시광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위치 정보 모듈(115)은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정보 모듈(115)은 위치 정보를 후술할 정보수신부로 송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카메라(121)는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구비된 반대면에 3D 영상 촬영을 위한 제1 및 제2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고,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구비된 면의 일부 영역에 사용자의 셀프 촬영을 위한 제3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카메라는 3D 영상의 소스 영상인 좌안 영상 촬영을 위한 것이고, 제2 카메라는 우안 영상 촬영을 위한 것이 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30)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되는 콘텐츠들 중 두 개 이상의 콘텐츠를 지정하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 이상의 콘텐츠를 지정하는 신호는, 터치입력을 통하여 수신되거나, 하드키 및 소프트 키입력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콘텐츠들을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휴대 단말(100)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관련된 아이콘을 생성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입력부(130)는 방향키,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데이터 전송장치의 방위, 데이터 전송장치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센싱부(140)는 동공 정보, 압력 정보, 음성 정보, 맥박 정보 및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동공 정보, 압력 정보, 음성 정보, 맥박 정보 및 체온 정보맥박 등을 센싱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동공 맥박정보를 지속적으로 센싱하여, 사용자의 동공 사이즈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140)는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센싱한 시간 정보를 포함시켜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A/V(Audio/Video) 입력부(120) 및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중 일부를 생체 신호로 분석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제어부(180)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문제 또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50)는 문제 또는 정보를 시각적 방식, 청각적 방식 또는 촉각적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장치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 단말(100)이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는 2D 및 3D 표시 모드를 지원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스위치 액정을 조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액정을 이용하여 광학 시차 장벽을 작동시켜 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여 좌우의 눈에 각기 다른 광이 도달하도록 분리할 수 있다. 때문에 우안용 영상과 좌안용 영상이 조합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눈에 대응한 화상이 보여 마치 입체로 표시된 것처럼 느끼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51)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2D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는 스위치 액정 및 광학 시차 장벽을 구동시키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구동시켜 일반적인 2D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3D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는 스위치 액정과, 광학 시차 장벽(50)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51a)만을 구동시켜 3D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데이터 전송장치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데이터 전송장치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입력부(130)와 출력부(150)가 하나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 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근접 센서(141)는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내부 영역 또는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포인터가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포인터가 근접 터치 될 때 포인터가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알람부(153)를 통해 사용자는 문제 풀이 시작과 종료를 인지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휴대 단말(100)을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휴대 단말(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어느 위치에 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에는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에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60)는 출력부(150)를 통해 제공되는 문제 또는 정보, 사용자의 답변 및 정답 유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60)에 저장된 문제는 기억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기억력 그룹, 집중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집중력 그룹, 계산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계산력 그룹, 시공간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사고처리 그룹, 언어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언어 향상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문제는 등급 순으로 난이도가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각 그룹에 분류된 복수의 문제들은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및 5레벨로 난이도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벨이 낮을수록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며, 레벨이 높을수록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에는 사용자의 답변 및 정답 유무가 매일 제공되는 문제 차수 별로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저장부(160)는 플래시 저장부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저장부(예를 들어 SD 또는 XD 저장부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저장부,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저장부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7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별도의 외부 장치와 휴대 단말(100)이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휴대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휴대 단말(100)이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데이터 전송장치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데이터 전송장치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저장부(160)에 저장된 문제를 선택하여 출력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처리하거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의 인지 훈련 및 인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지 훈련에 따른 결과는, 관리자가 휴대 단말(100)로부터 전송받거나, 휴대 단말(100)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다수의 관리자가 정보를 공유함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단 및 훈련을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200)은, 정보등록부(210), 정보수신부(220), 사용자분석부(230) 및 정보관리부(240)를 포함한다.
먼저, 정보등록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관에 소속된 관리자의 관리자정보와 관리자가 관리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정보가 등록된다.
이때, 기관에는 다수의 관리자가 있으며, 각 관리자에는 다수의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일반 노인, 치매환자, 경도인지장애 환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기관이 관리자와 사용자를 등록함으로써, 통합관리가 가능해진다.
정보수신부(220)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는 상술한 휴대 단말(100)의 무선 통신부(110)가 송신한다.
사용자분석부(230)는, 위치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분석부(230)는, 다양한 행동, 행동에 따른 운동량, 배회패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예시도와 같이, 사용자분석부(230)는, 위치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유무를 분석하는 이동분석과, 이동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배회하는 동선을 추적 분석하는 동선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시간동안의 이동과 동선을 이용하여 행동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분석부(230)는, 이동분석과 동선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걷는 속도를 분석하는 속도분석 및 속도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걸어서 이동 중인지, 이동 수단을 통해 이동 중인지를 분석하는 이동수단분석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분석부(230)는, 이동수단분석을 통해 파악된 사용자가 걷는 동선을 추출하고, 추출한 동선을 통해 일일 운동량을 분석하고, 이미 분석한 적어도 둘 이상의 일일 운동량을 통해 평균운동량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분석부(230)는, 일일 운동량과 평균운동량을 비교하여 일일 운동량이 충족인지 미충족인지를 분석할 수도 있다.
게다가, 사용자분석부(230)는, 경도인지장애를 갖는 환자의 위치분석과 동선분석을 통해 환자배회패턴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위치분석과 동선분석을 통해 사용자배회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배회패턴은 정상적인 일반 노인인 경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환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안심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분석부(230)는, 위치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멈춘 장소에서의 멈춤 시간을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분석부(230)는, 위치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행동들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주의, 위험 등의 경고를 할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게 호출함으로써,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확인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정보관리부(240)는, 정보등록부(210)에 등록된 사용자정보에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 및 사용자분석부(230)가 분석한 분석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사용자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정보관리부(240)에서 관리되는 사용자정보는, 관리자 외의 또 다른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가능하고, 다수의 관리자에 의해 통합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관은 다른 목적을 갖고 운영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수의 기관에 등록되어 각 기관별로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통합관리를 통해 중복관리를 줄이고, 사고의 발생에 다수의 관리자와의 정보공유로 빠른 대처를 할 수 있다.
또한, 정보관리부(240)는, 사용자분석부(230)를 통해 분석된 동선이나 사용자의 설정된 주소를 중심으로 한 안심존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관리자에게 호출할 수 있는 호출부 및 사용자분석부(230)의 분석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한다.
호출부는, 사용자가 안심존으로부터 기 설정된 안심거리를 벗어나는 경우, 이동수단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걷는 중이면 관리자에게 주의경고를 호출할 수 있다. 그리고 호출부는,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 중이거나, 주의경고 후에 사용자가 복귀가 불가능한 기 설정된 설정거리에 도달하거나, 주의경고 후에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1설정시간 내에 안심존으로 이동하지 못하면 관리자에게 위험경고를 호출할 수 있다.
여기서, 호출부는 관리자의 단말 또는 모니터링부에 문자 등을 통해 경고종류를 호출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주의경고 호출을 받을 때 사용자의 행동을 모니터링부를 통해 검토 등의 대처를 할 수 있으며, 위험경고 호출을 받을 때 사용자 휴대 단말(100)로 연락을 취하는 등의 대처를 할 수 있다. 또한, 주의경고 또는 위험경고에 따른 관리자는 기 매뉴얼에 따라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호출부는, 일일 운동량이 평균 운동량보다 미충족이면 관리자에게 주의경고를 호출하고, 일일 운동량이 이미 분석한 일일 운동량 중 최하 운동량 이하이면 위험경고를 호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분석부(230)는, 일일 운동량을 통해서, 사용자가 분당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동 수단의 사용 유무도 분석할 수 있다.
정보관리부(240)는, 환자배회패턴과 사용자배회패턴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사용자의 사용자정보에 경도인지장애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환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안심존에 위치하고, 환자배회패턴과 사용자배회패턴을 비교할 때, 유사한 배회패턴이 형성될 때 사용자를 경도인지장애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경도인지장애의 행동중에는 망상, 환청, 배회, 흥분, 공격성, 불명, 우울 등이 있고, 이 중에 배회하는 패턴 즉, 배회패턴을 통해서 환자와 사용자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경도인지장애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배회패턴은, 배회하는 행동을 종합하여 패턴화시킨 데이터일 수 있으며, 가다 서기를 반복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환자와 사용자가 동일한 안심존에 위치하는 경우에, 동일 환경임에 따라 경도인지장애에 따는 배회패턴이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환경 내에서 나타내는 환자배회패턴과 사용자배회패턴을 비교할 때, 보다 정확한 경도인지장애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호출부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통해 호출 경우를 선택하고, 사용자가 경고인지장애로 판단된 경우 주의경고 대신 위험경고로 관리자에게 호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은, 환경정보수신부, 확인부, 경로추출부, 수색정보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경정보수신부는, 멈춤 시간이 기 설정된 제2설정시간에 도달하면 멈춘 장소의 위치정보에 포함되는 환경정보를 기상청으로부터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상청으로 요청하는 환경정보는, 온도, 대기질 정보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호출부는, 멈춤 시간이 기 설정된 제3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관리자에게 주의경고로 호출하고, 환경정보수신부가 수신하는 환경정보에서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나거나 기 설정된 대기질 수치 값을 벗어나는 경우 주의경고로 관리자에게 호출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정보에 사용자의 기저질환이 업데이트되어 있는 경우에, 호출부는 대기질 수치 값을 기저질환이 없는 사용자보다 약 30~50% 낮은 비율로 계산하여, 주의경고로 관리자에게 호출할 수 있다.
확인부는, 호출부로부터 주의경고 또는/및 위험경고가 호출되는 경우, 관리자의 단말과 사용자의 휴대 단말(100)의 전화통화를 시도한다. 이때, 관리자의 단말 외에 자동응답기능으로 전화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응답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 단말(100)로 전화통화를 시도한다. 이때, 사용자의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향 출력 모듈에 의해 기 설정된 멘트가 출력되고, 멘트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응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응답이 기 설정된 횟수 동안 오류인 경우에는, 호출부가 관리자에게 출동을 요청할 수 있다.
경로추출부는, 확인부를 통해 시도된 전화통화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실종으로 판단하여 실종수색경로를 추출하되, 실종으로 판단된 실종자의 최근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수색거리 내에서 확인되는 과거 사용자배회패턴으로 추출한다. 즉, 경로추출부는, 과거 사용자의 사용자배회패턴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수색거리 내에서 실종수색경로를 추출한다. 이때, 수색을 통해 실종자를 찾지 못할 경우에는 수색거리를 넓힐 수 있다.
수색정보송신부는, 경로추출부가 추출한 사용자배회패턴에서 멈춤 장소의 장소정보를 도우미에게 전달하여, 도우미로부터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집중수색되도록 한다. 즉, 멈춤 장소는 사용자가 자주 들리는 곳으로 추정하고, 멈춤 장소를 집중적으로 수색함에 따라 목격자 등을 빠르게 찾아 수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수색정보송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우미 단말로 실종자의 사진과 특징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도우미 단말은, 기관과 기 협약되고, 멈춤 장소를 기준으로 일정반경에 위치하는 배달원의 단말이다. 또한, 배달원은 기관에 협약된 자로서, 배달앱 또는 음식점 등의 라이더일 수 있다.
그리고, 도우미 단말은, 실종자의 사진 또는 영상촬영이 이루어질 때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고,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실종자가 맞음이 확인되면, 실종자의 사진과 특징정보를 자동 삭제할 수 있다. 이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함이며, 실종자의 사진과 특징정보가 송신된 도우미 단말 모두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특정 지역에서 배달을 업으로 하는 배달원을 통해 수색을 요청함에 따라, 특정 지역의 곳곳을 빠르게 찾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관리자는 출동하는 동안, 실종자가 찾아지면, 찾아진 장소로 빠르게 이동하고, 인계할 수 있다.
포상금전달부는, 관리자로 실종자가 인계되는 경우, 실종자를 찾은 도우미 단말에 기 협약된 포상금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2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200)은, 정보등록부(210), 문제제공부(250), 정보수신부(220) 및 사용자분석부(230)를 포함한다.
정보등록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관에 소속된 관리자의 관리자정보와 관리자가 관리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정보가 등록된다.
문제제공부(250)는, 인지 훈련 문제를 생성 후, 생성한 인지 훈련 문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문제제공부(250)는, 인지 훈련 문제를 생성할 때,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통해 실제 사용자가 이동한 다수의 이동경로를 추출하고, 추출한 이동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도 7과 같이, 인지훈련용 경로(251)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지 훈련 문제는, 사용자가 걸어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반경 내에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인지훈련용 경로(251)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인지 훈련 문제는, 사용자의 치매정도에 따라 출발지와 목적지만 제공되는 문제 또는 출발지와 목적지의 경로를 모두 제공하는 문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인지 훈련 문제에는 인지훈련용 경로(251)를 따라 이동하면서, 산책길 기억하기, 상점 들여다보기 등 다양한 미션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미션을 수행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션 수행을 올바르게 진행한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치매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이동경로는 사용자가 한번 이동한 경로, 또는 다수회 이동한 경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경로의 중간에는 경유지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제제공부(250)는, 이동경로를 추출할 때, 먼저,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고, 설정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예상경로를 먼저 추출한다. 그 다음, 예상경로와 이동경로를 비교하여 동일한 추출경로를 추출한다. 그리고, 문제제공부(250)는, 추출경로 중에서 기 설정된 횟수만큼 동일하게 이동한 제1조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기 설정된 경로수 이하인 제2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이동경로에서 최종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횟수는 3회 이상, 기 설정된 경로수 이하는 3가지로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3회 이상 반복한 이동경로이면, 주변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고, 낯설지 않고 용이하게 인지 훈련 문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3가지를 초과하는 경로수인 경우에는, 경로수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의 인지 훈련 문제를 수행하는 여부를 확인 및 판단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이동경로가 추출되면, 이동경로에는 하나 이상의 경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지 훈련 문제는, 기 설정된 경로수와 같거나 적은 하나 이상의 인지훈련용 경로(251)를 포함하게 된다. 특히, 인지 훈련 문제는, 2 이상의 인지훈련용 경로(25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인지훈련용 경로(251)로 문제가 수행될 때, 정해진 인지훈련용 경로(251)를 벗어나면 치매정도가 부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보수신부(220)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분석부(230)는, 위치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인지 훈련 문제 수행에 따른 수행결과를 분석하고, 수행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치매정도를 평가한다.
또한, 사용자분석부(230)는, 사용자가 인지 훈련 문제를 수행하는 동안 이동한 실제경로와 인지훈련용 경로(251)의 일치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
여기서, 일치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치매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분석부(230)는, 사용자가 인지 훈련 문제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의 행동에 특이행동에 포함되면 기 설정된 점수에서 차감하여 인지훈련용 경로(251)의 목적지까지 이동했을 때, 차감하고 남은 점수를 통해 치매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특이행동은, 일부 경로를 반복하여 이동하는 행동, 사용자의 위치가 인지훈련용 경로(251)로부터 일정반경 이상으로 벗어나는 행동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200)은, 호출부, 확인부 및 수색정보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출부는, 사용자의 인지 훈련 문제를 수행하는 동안, 기 설정된 점수가 차감되어 일정범위에 해당하면 관리자에게 호출한다.
이때, 호출부는, 기 설정된 점수가 차감되어 기 설정된 제1점수범위에 해당하면 관리자에게 주의경고로 호출하고, 제1점수범위보다 낮아져, 기 설정된 제2점수범위에 해당하면 관리자에게 위험경고를 호출할 수 있다.
확인부는, 호출부로부터 주의경고 또는 위험경고가 호출되는 경우, 관리자의 단말과 사용자의 휴대 단말(100)의 전화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이때, 확인부는, 전화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를 실종자로 판단한다.
수색정보송신부는, 인지 훈련 문제를 수행하는 동안 수신한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장소정보를 도우미에게 전달하여, 도우미로부터 장소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집중수색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색정보송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우미 단말로 실종자의 사진과 특징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도우미 단말은, 기관과 기 협약되고,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일정반경에 위치하는 배달원의 단말이며, 실종자의 사진 또는 영상촬영이 이루어질 때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고, 관리자의 단말로부터 실종자가 맞음이 확인되면, 실종자의 사진과 특징정보를 자동 삭제한다.
그리고, 관리자로 실종자가 인계되는 경우, 실종자를 찾은 도우미 단말에 기 협약된 포상금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휴대 단말
200 :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
210 : 정보등록부
220 : 정보수신부
230 : 사용자분석부
240 : 정보관리부
250 : 문제제공부
251 : 인지훈련용 경로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관에 소속된 관리자의 관리자정보와 상기 관리자가 관리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정보가 등록되는 정보등록부;
    인지 훈련 문제를 생성 후, 생성한 인지 훈련 문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제공부;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및
    상기 위치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분석 및 사용자의 인지 훈련 문제 수행에 따른 수행결과를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행동분석 및 상기 수행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치매정도를 평가하는 사용자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행동분석은, 사용자의 이동 유무를 분석하는 이동분석, 사용자가 배회하는 동선을 추적하는 동선분석,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분석하는 속도분석 및 사용자가 이동 수단을 통해 이동 중인지를 분석하는 이동수단분석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인지 훈련 문제는, 상기 사용자가 걸어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반경 내에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인지훈련용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분석부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 훈련 문제를 수행하는 동안 이동한 실제경로와 상기 인지훈련용 경로의 일치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제공부는, 상기 인지 훈련 문제를 생성할 때,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통해 실제 사용자가 이동한 다수의 이동경로 내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이동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지훈련용 경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제공부는,
    상기 이동경로를 추출할 때,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고, 설정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예상경로를 먼저 추출한 다음, 예상경로와 이동경로를 비교하여 동일한 추출경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경로 중에서 기 설정된 횟수만큼 동일하게 이동한 제1조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기 설정된 경로수 이하인 제2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이동경로에서 추출하고,
    상기 인지 훈련 문제는, 상기 기 설정된 경로수와 같거나 적은 하나 이상의 인지훈련용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분석부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 훈련 문제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의 행동에 특이행동에 포함되면 기 설정된 점수에서 차감하여 인지훈련용 경로의 목적지까지 이동했을 때, 차감하고 남은 점수를 통해 치매정도를 분석하고,
    상기 특이행동은, 일부 경로를 반복하여 이동하는 행동,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인지훈련용 경로로부터 일정반경 이상으로 벗어나는 행동을 포함하는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 훈련 문제를 수행하는 동안, 기 설정된 점수가 차감되어 일정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관리자에게 호출하는 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출부는, 상기 기 설정된 점수가 차감되어 기 설정된 제1점수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관리자에게 주의경고로 호출하고, 상기 제1점수범위보다 낮아져, 기 설정된 제2점수범위에 해당하면 관리자에게 위험경고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
KR1020210190657A 2021-04-30 2021-12-29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 KR10264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657A KR102641717B1 (ko) 2021-12-29 2021-12-29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
US17/728,897 US20220351845A1 (en) 2021-04-30 2022-04-25 Dementia patien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657A KR102641717B1 (ko) 2021-12-29 2021-12-29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957A KR20230100957A (ko) 2023-07-06
KR102641717B1 true KR102641717B1 (ko) 2024-02-27

Family

ID=8718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657A KR102641717B1 (ko) 2021-04-30 2021-12-29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7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576B1 (ko) * 2020-11-23 2021-11-09 (주)그립 IoT 기반의 공용 무선 의료장치를 이용한 치매 판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88B1 (ko) 2013-04-30 2015-01-15 주식회사 토마토헬스케어 치매환자 배회 관리장치
KR102439807B1 (ko) 2017-11-16 2022-09-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 환자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01955B1 (ko) * 2018-12-28 2021-09-15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건강 증진용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576B1 (ko) * 2020-11-23 2021-11-09 (주)그립 IoT 기반의 공용 무선 의료장치를 이용한 치매 판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957A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94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mages
CN109416865B (zh) 用于监控装置的使用的设备与方法
CN106471419B (zh) 管理信息显示
KR10208359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방법
US10444930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1014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ierarchical object identification using a camera on glasses
JP6402219B1 (ja) 防犯システム、防犯方法、及びロボット
JP6770981B2 (ja) 心肺蘇生連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及びシステム
CN109831549B (zh) 移动终端
KR102009034B1 (ko) 학습 분석을 기초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Ellcessor In case of emergency: How technologies mediate crisis and normalize inequality
KR20150108178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286096B1 (ko) 인지 능력 향상 시스템
KR102641717B1 (ko) 치매환자 통합 관리 및 치매판단 시스템
KR20180046431A (ko) 성인의 인터넷중독 스크리닝을 위한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인터넷 과의존 분류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200070632A (ko)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
KR20200087466A (ko) 식품의약품 이력 관리 및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
KR102560638B1 (ko) 치매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CN111611812A (zh) 翻译成盲文
JP6850153B2 (ja) 通報支援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351845A1 (en) Dementia patien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11568758B2 (en) Terminal
JP6816909B1 (ja) 避難誘導システム、避難誘導方法、および、眼鏡型ディスプレイ
CN115857781A (zh) 电子设备的自适应用户登记
KR102598845B1 (ko) 인지 기능 훈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