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845B1 - 인지 기능 훈련 방법 - Google Patents
인지 기능 훈련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8845B1 KR102598845B1 KR1020200159983A KR20200159983A KR102598845B1 KR 102598845 B1 KR102598845 B1 KR 102598845B1 KR 1020200159983 A KR1020200159983 A KR 1020200159983A KR 20200159983 A KR20200159983 A KR 20200159983A KR 102598845 B1 KR102598845 B1 KR 1025988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cognitive
- mission
- user
- group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920 cognitive fun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3930 cognitive abil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8449 langu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08000030886 Traumatic Brain injur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08000019553 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8000020016 psychiatric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877 cognitiv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061 mild cognitive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7848 Alcohol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44 Bra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930 alcohol depend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26 alert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25 brain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50 habit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04 pastoral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 제공부; 복수의 항목이 포함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션에 대한 사용자의 솔루션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미션,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상기 사용자의 솔루션 및 미션 완료 유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제공된 미션에 대한 미션 완료 유무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인지 기능에 대한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하는 인지 능력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문제 제공부는 상기 인지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하는 미션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지 기능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은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면서 노인을 위한 산업인 실버 산업이 여러 측면에서 개발되고 있다. 실버 산업은 홈 케어 서비스, 중간보호시설 사업, 양로 및 요양시설, 의료서비스 산업, 케어 하우징의 절차운영사업 등 다양한 방면에서 개발되고 있다.
이 중 치매는 노인이 많이 겪는 뇌질환으로, 정상적으로 생활해오던 사람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이전에 비해 인지 기능이 지속적이고 전반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이 나타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치매와 같은 미션을 치유하기 위한 의료서비스 산업은 치료 차원에서 개발되어 있다.
삭제
본 발명은 경도 인지 장애자, 초기 치매 사용자 및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인지 기능과 관련된 미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은 복수의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 제공 단계; 복수의 항목이 포함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션에 대한 사용자의 솔루션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미션,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상기 사용자의 솔루션 및 미션 완료 유무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제공된 미션에 대한 미션 완료 유무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인지 기능에 대한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하는 인지 능력 판단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문제 제공 단계에서는 상기 인지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하는 미션의 난이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항목마다 상이한 가중치가 적용된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모든 항목의 합산 점수를 반영하여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개인 정보를 최초로 입력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가 반영된 제1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문제 제공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인지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최초로 제공하는 1차 미션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솔루션을 통해 상기 미션이 완료되는지 판단하고, 미션 완료 시, 상기 솔루션을 기반으로 각 미션 마다 미션 점수를 부여하고, 각 미션 점수를 합산하여 미션 합산 점수를 연산하고, 상기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와 상기 미션 합산 점수가 함께 반영된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문제 제공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2차 이상의 차수에서 제공하는 미션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와 상기 미션 합산 점수의 비율을 1:1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의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 인자를 선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인자에 대해 최하 점수를 부여받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위험군으로 지정하고, 위험군으로 지정된 사용자에 대해 상기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 대비 상기 미션 합산 점수의 비율을 더 크게 설정하여 상기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연령 정보, 성별 정보, 최종 학력 정보, 결혼 정보, 가족력 정보, DNA 정보, 운동 정보, 흡연 정보, 음주 정보, 사회활동 정보, 정신 질환 정보, 뇌외상 정보 및 혈관 질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의 항목 중 선정된 위험 인자는 연령 정보, 최종 학력 정보, 가족력 정보, 뇌외상 정보 및 혈관 질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미션은 기억력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기억력 그룹, 집중력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집중력 그룹, 계산력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계산력 그룹, 시공간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사고처리 그룹, 언어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언어 향상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고, 상기 문제 제공부는 상기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선택하여 출력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단계에서 상기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미션은 레벨 순으로 난이도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증가하는 차수 각각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증가하는 차수로 누적된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특정 그룹에서 사용자의 인지 기능 향상 또는 감퇴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도 인지 장애자, 초기 치매 사용자 및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인지 기능과 관련된 미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방법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을 통해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을 통해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 중 발생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을 통해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을 통해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 중 발생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방법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100)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이 구현되는 휴대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데이터 전송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100)과 지역 통신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부(110)는 외부의 요청 또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사용자의 인지 기능 향상 또는 감퇴 유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원격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의사, 관리자 또는 보호자일 수 있다.
즉, 의사 또는 관리자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인지 기능 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의 인지 기능 향상 또는 감퇴 유무 정보를 기설정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에 따른 사용자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 전송장치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OMA-BCAST,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데이터 전송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상술한 가시광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위치 정보 모듈(115)은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카메라(121)는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구비된 반대면에 3D 영상 촬영을 위한 제1 및 제2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구비된 면의 일부 영역에 사용자의 셀프 촬영을 위한 제3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카메라는 3D 영상의 소스 영상인 좌안 영상 촬영을 위한 것이고, 제2 카메라는 우안 영상 촬영을 위한 것이 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30)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들 중 두 개 이상의 컨텐츠를 지정하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 이상의 컨텐츠를 지정하는 신호는, 터치입력을 통하여 수신되거나, 하드키 및 소프트 키입력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컨텐츠들을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휴대 단말(100)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관련된 아이콘을 생성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입력부(130)는 방향키,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는 인지 기능 훈련 시스템에 요청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제공(출력)되는 미션에 대한 솔루션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솔루션은 제공받은 미션에 대한 사용자 선택, 답변, 문제 해결 절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데이터 전송장치의 방위, 데이터 전송장치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동공 정보, 압력 정보, 음성 정보, 맥박 정보 및 체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동공 정보, 압력 정보, 음성 정보, 맥박 정보 및 체온 정보맥박 등을 센싱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A/V(Audio/Video) 입력부(120) 및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중 일부를 생체 신호로 분석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제어부(180)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미션 또는 정보를 정해진 시간 내 또는 사용자 입력이 완료될 시까지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50)는 미션 또는 정보를 시각적 방식, 청각적 방식 또는 촉각적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장치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 단말(100)이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는 2D 및 3D 표시 모드를 지원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스위치 액정을 조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액정을 이용하여 광학 시차 장벽을 작동시켜 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여 좌우의 눈에 각기 다른 광이 도달하도록 분리할 수 있다. 때문에 우안용 영상과 좌안용 영상이 조합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눈에 대응한 화상이 보여 마치 입체로 표시된 것처럼 느끼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51)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2D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 액정 및 광학 시차 장벽을 구동시키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구동시켜 일반적인 2D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3D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 액정과, 광학 시차 장벽(50)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1a)만을 구동시켜 3D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데이터 전송장치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데이터 전송장치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입력부(130)와 출력부(150)가 하나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 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 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알람부(153)를 통해 사용자는 미션 풀이 시작과 종료를 인지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휴대 단말(100)을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휴대 단말(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어느 위치에 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60)는 출력부(150)를 통해 제공되는 미션 또는 정보, 사용자의 솔루션 및 미션 완료 유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60)에 저장된 미션은 기억력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기억력 그룹, 집중력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집중력 그룹, 계산력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계산력 그룹, 시공간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사고처리 그룹, 언어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언어 향상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미션은 레벨 순으로 난이도가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각 그룹에 분류된 복수의 미션들은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및 5레벨로 난이도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벨이 낮을수록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며, 레벨이 높을수록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에는 사용자의 솔루션 및 미션 완료 유무가 제공되는 미션 차수 별로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저장부(160)는 플래시 저장부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저장부(예를 들어 SD 또는 XD 저장부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저장부,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저장부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휴대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휴대 단말(100)이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 단말(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데이터 전송장치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저장부(160)에 저장된 미션을 선택하여 출력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처리하거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인지 능력 판단부(182), 문제 제공부(183) 및 결과 제공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인지 능력 판단부(182)는 입려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제공된 미션에 대한 미션 완료 유무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인지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기능 레벨을 판단하고,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고, 복수의 항목은 연령 정보, 성별 정보, 최종 학력 정보, 결혼 정보, 가족력 정보, DNA 정보, 운동 정보, 흡연 정보, 음주 정보, 사회활동 정보, 정신 질병 정보, 뇌외상 정보 및 혈관 질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30)를 통해 요청된 사용자 개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입력부(130)를 통해 다음의 [표 1]과 같이 개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항 목 | 개인 정보 |
연령 | 54 |
성별 | 남 |
최종 학력 | 대학 |
결혼 | O |
가족력 | X |
DNA | X |
운동 | 주 1회 |
흡연 | X |
음주 | 주 2회 |
사회 활동 | O |
정신 질환 | X |
뇌외상 | O |
혈관 질환 | X |
여기서, 인지 능력 판단부(182)는 개인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항목마다 상이한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인지 능력 판단부(182)는 아래의 [표 2]에 기재된 가중치 테이블을 이용해, [표 3]과 같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점수로 환산할 수 있고, 개인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합산 점수를 도출할 수 있다.
항 목 | 가중치 반영 점수 |
연령 | 10~30: 10, 30~40: 9, 40~50: 8, 50~60: 7, 60~70: 5, 70~80: 3, 80~90: 1 |
성별 | 남성: 10, 여성: 6 |
최종 학력 | 대학 이상: 10, 고: 8, 중: 5, 초: 3 |
결혼 | 결혼: 10, 미혼: 8, 사별, 이혼, 별거: 3 |
가족력 | 무: 10, 유: 1 |
DNA | 무: 10, 유: 1 |
운동 | 지속적: 10, 중: 5, X: 3 |
흡연 | 무: 10, 간접 흡연 가능: 8, 유: 5 |
음주 | 무: 10, 주 1~2회: 8, 습관성 음주: 5, 알코올 중독: 3 |
사회 활동 | 유: 10, 무: 5 |
정신 질환 | 무: 10, 유: 3 |
뇌외상 | 무: 10, 유: 3 |
혈관 질환 | 무: 10, 유: 3 |
항 목 | 개인 정보 | 점수 |
연령 | 54 | 7 |
성별 | 남 | 10 |
최종 학력 | 고 | 8 |
결혼 | 이혼 | 3 |
가족력 | X | 10 |
DNA | X | 10 |
운동 | 주 1회 | 5 |
흡연 | O | 5 |
음주 | 주 4회 | 5 |
사회 활동 | O | 10 |
정신 질환 | X | 10 |
뇌외상 | O | 3 |
혈관 질환 | X | 10 |
합산 점수 | 96 |
여기서, 개인 정보에 관한 합산 점수가 낮을수록 인지 능력이 저하된 상태이고 치매 고위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개인 정보에 관한 합산 점수가 높을수록 인지 능력이 향상된 상태이고 치매 저위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사용자가 입력한 개인 정보는 최초 로그인 시 등록 가능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한편, 인지 능력 판단부(182)는 최초 로그인 시 입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가 반영된 제1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인지 레벨 정보는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지 능력 판단부(182)는 사용자가 입력한 솔루션을 통해 미션이 완료되는지 판단하고, 미션 완료 시, 솔루션을 기반으로 각 미션 마다 미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인지 능력 판단부(182)는 각 미션에서 부여한 미션 점수를 합산하여 미션 합산 점수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인지 능력 판단부(18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합산된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와 미션 합산 점수를 함께 반영하여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인지 레벨 정보는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와 미션 합산 점수의 평균일 수 있다.
인지 능력 판단부(182)는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와 미션 합산 점수를 1:1 비율로 합산하여 평균 값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인지 능력 판단부(182)는 입력된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 인자를 선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인자에 대해 최하 점수를 부여받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위험군으로 지정하고, 위험군으로 지정된 사용자에 대해 상기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 대비 상기 미션 합산 점수의 비율을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인자는 연령 정보, 최종 학력 정보, 가족력 정보, 뇌외상 정보 및 혈관 질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 인자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중 상대적으로 치매 발병율에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할 수 있는 것으로, 교육 수준 관련, 질환 관련, 유전 관련, 사고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인지 능력 판단부(182)는 [표 1] 및 [표 3]과 같이, 특정 사용자가 위험 인자에 해당되는 뇌외상을 겪은 경우, 상기 사용자를 위험군으로 지정하고, 위험군으로 지정된 사용자에 대해 상기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 대비 상기 미션 합산 점수의 비율을 더 크게 설정하여 상기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문제 제공부(183)는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으로 분류되어 저장부(160)에 저장된 미션을 각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문제 제공부(183)는 이전 차수의 결과 값으로 인지 능력 판단부(182)를 통해 생성된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미션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문제 제공부(183)는 단일 미션 제공 차수에서 각 그룹별로 동일한 난이도의 미션을 사용자에게 복수회 제공할 수 있다.
즉, 문제 제공부(183)는 제1차수에서 각 그룹에 관한 미션을 특정 2레벨로 선택하여 3회 이상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회(1회, 2회, 3회)에서는 제2레벨의 미션이 반복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지 능력 판단부(182)는 사용자의 답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차수에 미션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기억력 그룹의 미션에서 1레벨, 2레벨 및 3레벨의 미션을 대략 70% 이상의 정답율을 기록하고 4레벨 및 5레벨의 미션을 대략 40% 이하의 정답율을 기록하면, 인지 능력 판단부(182)는 개인정보의 합산 점수와 사용자의 미션 해결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기억력 인지 기능이 3레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문제 제공부(183)는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각 그룹에서 사용자의 인지 기능에 대응되는 레벨의 미션, 바로 아래 레벨의 미션 및 바로 위 레벨의 미션을 1:1:1로 선택하여 다음 차수에서 출력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문제 제공부(183)는 제1차수에 기억력 인지 기능이 3레벨인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에게 제2차수에 기억력 그룹의 미션에서 2레벨의 미션, 3레벨의 미션 및 4레벨의 미션을 1:1:1로 선택하여 출력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문제 제공부(183)는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특정 그룹에서 사용자의 인지 기능이 최상위 레벨인 경우는 사용자의 인지 기능에 대응되는 레벨의 미션 및 바로 아래 레벨의 미션을 2:1로 선택하여 다음 차수에서 출력부(150)에 전달할 수 있고,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특정 그룹에서 사용자의 인지 기능이 최하위 레벨인 경우는 사용자의 인지 기능에 대응되는 레벨의 미션 및 바로 위 레벨의 미션을 2:1로 선택하여 다음 차수에서 출력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문제 제공부(183)는 제1차수(첫날)에 집중력 인지 기능이 5레벨(최상위)인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에게는 제2차수(다음날)에 집중력 그룹의 미션에서 5레벨의 미션 및 4레벨의 미션을 2:1로 선택하여 출력부(150)에 전달할 수 있고, 제1차수(첫날)에 계산력 인지 기능이 1레벨(최하위)인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에게는 제2차수(다음날)에 계산력 그룹의 미션에서 1레벨의 미션 및 2레벨의 미션을 2:1로 선택하여 출력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인지 능력 판단부(182)에서 판단되는 사용자의 인지 기능 판별의 변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인지 능력 판단부(182)와 문제 제공부(183)를 통해 상술한 과정을 매일 반복하며, 각 레벨 변화 및 각 레벨에서의 사용자의 정답율은 저장부(160)에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문제 제공부(183)는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인지 기능이 감퇴된 특정 그룹에 대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서의 시간 분배량을 증가시키고, 상대적으로 인지 기능이 향상된 특정 그룹에 대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서의 시간 분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전 차수에서 인지 능력 판단부(182)를 통해 집중력 인지 기능이 5레벨인 것으로 판단되고 계산력 인지 기능이 1레벨인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에게 문제 제공부(183)는 다음 차수에서 계산력 그룹의 미션 제공 시간을 상대적으로 늘리고, 집중력 그룹의 미션 제공 시간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감퇴된 인지 기능에 대한 훈련 시간을 늘릴 수 있고, 상대적으로 감퇴된 특정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두뇌의 일영역 또는 타영역의 활동량을 활성화시켜, 해당 인지 기능을 담당하는 두뇌의 특정 영역뿐만 아니라 반복 훈련과 가중치 훈련을 통해 특정 영역 외 영역을 활성화시켜, 해당 인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 제공부(184)는 인지 능력 판단부(182)를 통해 산출된 사용자의 인지 기능 레벨 또는 인지 기능 점수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정보로 가공하여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결과 제공부(184)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메인 서버(미도시)에서 사용자와 동급 그룹 사용자 들의 평균 인지 기능 레벨 또는 인지 기능 점수(20)를 수신하여, 출력부(150)에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와 동급 그룹은 사용자의 기본 정보(예컨대, 나이, 인지 기능 레벨 등)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기본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들의 그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인지 기능 점수와 동급 그룹의 인지 기능 점수를 단일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어, 경각심을 가질 수 있고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중 자신이 부족한 인지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제공되는 미션이 끝난 후, 사용자에게 명상, 독서, 차 마시는 습관 등의 인지 기능 향상 생활 습관 정보 또는 차, 음식, 보조 식품 등의 인지 기능 향상 제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지 기능 향상 생활 습관 정보는 특정 논문 또는 기사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인지 기능 향상 제품 정보는 제품 판매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치매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인지 기능 향상, 경각심 또는 인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의 운용 관리자는 사용자에게 제품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통해 별도의 광고 수익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을 통해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을 통해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을 통해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 중 발생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은 문제 제공부에서 복수의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 제공 단계; 입력부를 통해 복수의 항목이 포함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션에 대한 사용자의 솔루션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미션,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상기 사용자의 솔루션 및 미션 완료 유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 단계; 및 인지 능력 판단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제공된 미션에 대한 미션 완료 유무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인지 기능에 대한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하는 인지 능력 판단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문제 제공 단계에서는 정보 제공부에서 상기 인지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하는 미션의 난이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인지 능력 판단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항목마다 상이한 가중치가 적용된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모든 항목의 합산 점수를 반영하여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인지 능력 판단부를 통해 개인 정보를 최초로 입력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가 반영된 제1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문제 제공 단계에서는, 문제 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1 인지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최초로 제공하는 1차 미션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인지 능력 판단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솔루션을 통해 상기 미션이 완료되는지 판단하고, 미션 완료 시, 상기 솔루션을 기반으로 각 미션 마다 미션 점수를 부여하고, 각 미션 점수를 합산하여 미션 합산 점수를 연산하고, 상기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와 상기 미션 합산 점수가 함께 반영된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문제 제공 단계에서는, 문제 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2차 이상의 차수에서 제공하는 미션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인지 능력 판단부를 통해 상기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와 상기 미션 합산 점수의 비율을 1:1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인지 능력 판단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의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 인자를 선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인자에 대해 최하 점수를 부여받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위험군으로 지정하고, 위험군으로 지정된 사용자에 대해 상기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 대비 상기 미션 합산 점수의 비율을 더 크게 설정하여 상기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연령 정보, 성별 정보, 최종 학력 정보, 결혼 정보, 가족력 정보, DNA 정보, 운동 정보, 흡연 정보, 음주 정보, 사회활동 정보, 정신 질환 정보, 뇌외상 정보 및 혈관 질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의 항목 중 선정된 위험 인자는 연령 정보, 최종 학력 정보, 가족력 정보, 뇌외상 정보 및 혈관 질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단계에서 저장부에는 상기 복수의 미션은 기억력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기억력 그룹, 집중력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집중력 그룹, 계산력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계산력 그룹, 시공간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사고처리 그룹, 언어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언어 향상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고, 상기 문제 제공부는 상기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선택하여 상기 출력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단계에서 저장부에는 상기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미션은 레벨 순으로 난이도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인지 능력 판단부를 통해 증가하는 차수 각각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증가하는 차수로 누적된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특정 그룹에서 사용자의 인지 기능 향상 또는 감퇴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을 통해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은 로그인 단계(S10), 미션 제공 단계(S20), 미션 해결 단계(S30), 난이도 조절 단계(S40) 및 인지 능력 판단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로그인 단계(S10)에서는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와 비밀 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사용자가 회원 가입되어 있지 않다면,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한 후 로그인 할 수 있으며, 회원 가입 절차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 1]에 기재된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획득하고, 인지 능력 판단부(182)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제1 인지 기능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미션 제공 단계(S20)에서는 제1 인지 기능 레벨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미션 제공 단계(S20)에서는 문제 제공부(183)에서 저장부(160)에 저장된 복수의 미션 중 그룹별로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선택하여 출력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미션 제공 단계(S20)에서는 미션 제공 차수에서 각 그룹별로 동일한 난이도의 미션을 사용자에게 복수회 제공할 수 있다.
미션 해결 단계(S30)에서는 제공된 미션에 대한 사용자의 솔루션을 입력받아 미션을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한 사용자의 솔루션이 정확하다면 제공된 미션을 바로 해결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입력한 사용자의 솔루션이 부정확하다면 제공된 미션을 해결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150)에 제공된 미션에 대해 적절한 해결 방안을 선택하고, 입력부(130)를 통해 솔루션을 입력할 수 있다.
난이도 조절 단계(S40)에서는 인지 능력 판단부(182)를 통해 각 미션에서 부여한 미션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미션 합산 점수를 연산하며, 합산된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와 미션 합산 점수를 함께 반영하여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문제 제공부(183)에서는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2차 이상의 차수에서 제공하는 미션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인지 능력 판단 단계(S50) 상술한 바와 같이, 인지 능력 판단부(182)를 통해 각 미션에서 부여한 미션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미션 합산 점수를 연산하며, 합산된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와 미션 합산 점수를 함께 반영하여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지 능력 판단 단계(S50)는 미션 제공을 종료한 후 최종 인지 레벨과 이에 따른 미션 합산 점수를 결과 제공부(184)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정보로 가공하여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결과 제공부(184)는 인지 능력 판단부(182)를 통해 산출된 사용자의 인지 기능 레벨 또는 인지 기능 점수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정보로 가공하여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결과 제공부(184)에서 제공되는 인지 기능 점수는 막대형태의 비율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도 7과 같이 결과 제공부(184)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메인 서버(미도시)에서 사용자와 동급 그룹 사용자 들의 평균 인지 기능 레벨 또는 인지 기능 점수(20)를 수신하여, 출력부(150)에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와 동급 그룹은 사용자의 기본 정보(예컨대, 나이, 인지 기능 레벨 등)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기본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들의 그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인지 기능 점수와 동급 그룹의 인지 기능 점수를 단일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어, 경각심을 가질 수 있고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중 자신이 부족한 인지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 기능 훈련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 문제 제공부를 통해, 복수의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 제공 단계;
입력부를 통해, 복수의 항목이 포함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션에 대한 사용자의 솔루션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
저장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포함하는 복수의 미션,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상기 사용자의 솔루션 및 미션 완료 유무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및
인지 능력 판단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제공된 미션에 대한 미션 완료 유무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인지 기능에 대한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하는 인지 능력 판단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문제 제공 단계에서는 상기 인지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하는 미션의 난이도를 조절하고,
상기 인지 능력 판단부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항목마다 상이한 가중치가 적용된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모든 항목의 합산 점수를 반영하여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연령 정보, 성별 정보, 최종 학력 정보, 결혼 정보, 가족력 정보, DNA 정보, 운동 정보, 흡연 정보, 음주 정보, 사회활동 정보, 정신 질병 정보, 뇌외상 정보 및 혈관 질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인지 능력 판단부는, 각 개인 정보 별로 하기의 [가중치 테이블]과 같이 가중치가 적용된 점수를 반영하고,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인지 능력 판단부를 통해,
개인 정보를 최초로 입력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가 반영된 제1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문제 제공 단계에서는, 상기 문제 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1 인지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최초로 제공하는 1차 미션의 난이도를 조절하고,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인지 능력 판단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솔루션을 통해 상기 미션이 완료되는지 판단하고,
미션 완료 시, 상기 솔루션을 기반으로 각 미션 마다 미션 점수를 부여하고,
각 미션 점수를 합산하여 미션 합산 점수를 연산하고,
상기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와 상기 미션 합산 점수가 함께 반영된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문제 제공 단계에서는, 상기 문제 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2차 이상의 차수에서 제공하는 미션의 난이도를 조절하고,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인지 능력 판단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의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 인자를 선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인자에 대해 최하 점수를 부여받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위험군으로 지정하고,
위험군으로 지정된 사용자에 대해 상기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 대비 상기 미션 합산 점수의 비율을 더 크게 설정하여 상기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개인 정보의 합산 점수와 상기 미션 합산 점수의 비율을 1:1로 설정하여 상기 제2 인지 레벨 정보를 생성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의 항목 중 선정된 위험 인자는 연령 정보, 최종 학력 정보, 가족력 정보, 뇌외상 정보 및 혈관 질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미션은 기억력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기억력 그룹, 집중력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집중력 그룹, 계산력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계산력 그룹, 시공간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사고처리 그룹, 언어 인지 기능을 검증하는 언어 향상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고, 상기 문제 제공부는 상기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선택하여 출력부에 전달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에서 상기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미션은 레벨 순으로 난이도가 설정된 인지 기능 훈련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기 인지 능력 판단 단계에서는, 증가하는 차수 각각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증가하는 차수로 누적된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기반으로, 특정 그룹에서 사용자의 인지 기능 향상 또는 감퇴 유무를 판단하는 인지 기능 훈련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9983A KR102598845B1 (ko) | 2020-11-25 | 2020-11-25 | 인지 기능 훈련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9983A KR102598845B1 (ko) | 2020-11-25 | 2020-11-25 | 인지 기능 훈련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2414A KR20220072414A (ko) | 2022-06-02 |
KR102598845B1 true KR102598845B1 (ko) | 2023-11-06 |
Family
ID=8198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9983A KR102598845B1 (ko) | 2020-11-25 | 2020-11-25 | 인지 기능 훈련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884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5551B1 (ko) * | 2023-01-06 | 2024-07-16 | (주)마인드허브 | 환자 맞춤형 훈련 컨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
KR102685550B1 (ko) * | 2023-08-21 | 2024-07-16 | (주)마인드허브 | 인공 지능 기반 인지 및 언어 재활 훈련 세션의 동적 최적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KR102668497B1 (ko) * | 2023-09-25 | 2024-05-23 | 삼일씨티에스(주) | 건설 근로자의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0917B1 (ko) * | 2019-06-03 | 2019-12-02 | (주)인스파이어팩토리 | 가상현실을 활용한 치매 재활 훈련 시스템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2045B1 (ko) * | 2014-10-21 | 2016-08-29 | 주식회사 한국첨단기술경영원 | 맞춤형 회상 콘텐츠 기반의 인지능력향상 시스템 |
KR20190112962A (ko) * | 2018-03-27 | 2019-10-08 | (주)메디즈 | 인지재활훈련 시스템 |
KR102168977B1 (ko) | 2018-07-10 | 2020-10-22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인지재활 훈련 장치 및 방법 |
KR102326694B1 (ko) * | 2018-12-11 | 2021-11-16 |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 인터렉티브 기술을 적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 |
-
2020
- 2020-11-25 KR KR1020200159983A patent/KR1025988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0917B1 (ko) * | 2019-06-03 | 2019-12-02 | (주)인스파이어팩토리 | 가상현실을 활용한 치매 재활 훈련 시스템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2414A (ko) | 2022-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98845B1 (ko) | 인지 기능 훈련 방법 | |
KR102083596B1 (ko) |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방법 | |
CN105190485B (zh) | 混合现实交互 | |
US10984602B1 (en) | Facial expression tracking during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sessions | |
KR101824005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깊이감 조절방법 | |
KR102286096B1 (ko) | 인지 능력 향상 시스템 | |
US20170301120A1 (en) | Augmented display of information in a device view of a display screen | |
US10531066B2 (en) | Method for displaying 3D image and device for same | |
US8712110B2 (en) |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and providing a display for the individual | |
US20140053105A1 (en) | Display control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US20240155101A1 (en) | Light Field Display System Based Digital Signage System | |
CN106778174A (zh) | 一种显示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 |
US9875719B2 (en) |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and providing a display for the individual | |
KR101987837B1 (ko) | 멀티미디어 단말 기반 시력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 |
US20110150298A1 (en) |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and providing a display for the individual | |
US20110150299A1 (en) |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and providing a display for the individual | |
US20110150297A1 (en) |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and providing a display for the individual | |
KR20190048144A (ko) | 발표 및 면접 훈련을 위한 증강현실 시스템 | |
CN106851114A (zh) | 一种照片显示、照片生成装置和方法、终端 | |
KR102598893B1 (ko) | 인지 기능 훈련 시스템 | |
KR102341060B1 (ko) | 키오스크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KR20200087466A (ko) | 식품의약품 이력 관리 및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 | |
KR20200070632A (ko) |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 | |
KR102267410B1 (ko) | 터치 기반의 인지 기능 훈련 시스템 | |
JP6905775B1 (ja) |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