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531B1 -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용 인서트 사출 금형 - Google Patents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용 인서트 사출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531B1
KR102189531B1 KR1020190106331A KR20190106331A KR102189531B1 KR 102189531 B1 KR102189531 B1 KR 102189531B1 KR 1020190106331 A KR1020190106331 A KR 1020190106331A KR 20190106331 A KR20190106331 A KR 20190106331A KR 102189531 B1 KR102189531 B1 KR 102189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bearing
core
operating
spac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곤
Original Assignee
박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곤 filed Critical 박순곤
Priority to KR102019010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4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용 인서트 사출 금형 및 이에 의해 성형된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입자 코어는 리니어 베어링의 중공에 삽입되어 리니어 베어링의 상단으로부터 인출된다. 탄성체는 작동 코어를 리니어 베어링의 상단에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도록 작동 코어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측 메인코어는 용융 수지가 주입되어 리니어 베어링의 주위에 설정 형상의 플랜지를 성형하는 성형공간과, 리니어 베어링의 최소 높이 공차 값에 따른 작동 코어의 하한 높이까지 작동 코어의 승강 동작을 허용하는 하측 작동공간을 갖는다. 상측 원판은 리니어 베어링의 최대 높이 공차 값에 따른 작동 코어의 상한 높이까지 작동 코어의 승강 동작을 허용하는 상측 작동공간을 갖는다.

Description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용 인서트 사출 금형{Insert injection mold for flanged integrated linear bearing}
본 발명은 직선운동을 하는 원형 축을 받치는 리니어 베어링의 외주에 플랜지를 구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리니어 베어링은 직선운동을 하는 원형 축을 받치는 베어링이다. 공작 기계의 테이블 이송기구 등에 사용되는 리니어 베어링은 볼(ball)을 전동체로 이용한 구름 베어링이다. 이 경우, 리니어 베어링은 외통과, 볼 유지기와, 리테이닝 링(retaining ring) 및 다수의 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볼 유지기는 외통에 수용되어 외통 내측 양단의 리테이닝 링에 의해 고정되고, 내주의 궤도 내에 볼들을 순환 운동시키도록 유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리니어 베어링은 각종 기계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외통 주위에 플랜지가 부착되어 구성되기도 한다. 이 경우, 플랜지를 미리 철로 제작해서 리니어 베어링의 외통에 고정시키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전술한 예에 따르면, 리니어 베어링의 플랜지가 철로 제작되어 중량감이 있고, 기계에 장착한 상태로 수출시 방청이 되어 있어도 염분 바람에 의해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 제작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경량화되고 부식 방지될 수 있는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을 제공함과 아울러,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의 제작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인서트 사출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용 인서트 사출 금형은 하측 메인코어와, 입자 코어와, 하측 원판과, 작동 코어와, 탄성체와, 상측 메인코어, 및 상측 원판을 포함한다. 하측 메인코어는 리니어 베어링을 상면에 안착시킨다. 입자 코어는 하측 메인코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리니어 베어링의 하단을 통해 리니어 베어링의 중공에 삽입되어 리니어 베어링의 상단으로부터 인출된다. 하측 원판은 하측 메인코어를 상면에 고정한다. 작동 코어는 리니어 베어링의 상단에 접한 상태로 리니어 베어링의 높이 공차에 따라 승강 동작한다. 탄성체는 작동 코어를 리니어 베어링의 상단에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도록 작동 코어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측 메인코어는 하측 메인코어와 형합 또는 형분리되는 것으로, 리니어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용공간과, 용융 수지가 주입되어 리니어 베어링의 주위에 설정 형상의 플랜지를 성형하는 성형공간과, 리니어 베어링의 최소 높이 공차 값에 따른 작동 코어의 하한 높이까지 작동 코어의 승강 동작을 허용하는 하측 작동공간을 갖는다. 상측 원판은 상측 메인코어를 하면에 고정하는 것으로, 탄성체를 수용하는 탄성체 수용공간과, 리니어 베어링의 최대 높이 공차 값에 따른 작동 코어의 상한 높이까지 작동 코어의 승강 동작을 허용하는 상측 작동공간을 갖는다.
여기서, 탄성체는 복수 개의 접시 스프링들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원판은 접시 스프링들의 중공을 관통한 상태로 접시 스프링들의 변형을 안내하는 스프링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은 전술한 인서트 사출 금형에 의해 성형된다. 여기서, 리니어 베어링은 외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형 홈이 형성되고, 환형 홈에 플랜지의 내측 일부가 인입되게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은 수지 재료의 플랜지가 리니어 베어링의 외통 주위를 감싼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플랜지를 미리 철로 제작해서 리니어 베어링의 외통에 고정시키는 종래 방식에 비해, 경량화되고 부식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방식에 비해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의 제작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용 인서트 사출 금형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서트 사출 금형에 의해 플랜지가 사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리니어 베어링의 최대 높이 공차 값에 따른 작동 코어 및 탄성체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리니어 베어링의 최소 높이 공차 값에 따른 작동 코어 및 탄성체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사출 금형에 의해 성형된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용 인서트 사출 금형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서트 사출 금형에 의해 플랜지가 사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리니어 베어링의 최대 높이 공차 값에 따른 작동 코어 및 탄성체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리니어 베어링의 최소 높이 공차 값에 따른 작동 코어 및 탄성체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용 인서트 사출 금형(100)은 하측 메인코어(110)와, 입자 코어(120)와, 하측 원판(130)과, 작동 코어(140)와, 탄성체(150)와, 상측 메인코어(160), 및 상측 원판(170)을 포함한다.
하측 메인코어(110)는 리니어 베어링(11)을 상면에 안착시킨다. 여기서, 리니어 베어링(11)은 외주에 플랜지(12)가 아직 성형되지 않은 상태로 마련된 것이다. 리니어 베어링(11)은 볼을 전동체로 이용한 구름 베어링인 경우, 중공 원기둥 형태의 외통에 볼 유지기가 수용된다. 볼 유지기는 중공을 갖는 형태로 외통 내측 양단의 리테이닝 링에 의해 고정된다. 볼 유지기는 내주의 궤도 내에 볼들을 순환 운동시키도록 유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리니어 베어링(11)은 중공에 원형 축을 삽입한 상태로 볼들에 의해 원형 축의 직선운동을 지지하게 된다.
리니어 베어링(11)은 중공이 상하로 길게 위치되는 자세로 하측 메인코어(110)의 상면에 안착된다. 하측 메인코어(110)는 리니어 베어링(11)의 하단을 지지하는 부위가 평탄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자 코어(120)는 하측 메인코어(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리니어 베어링(11)의 하단을 통해 리니어 베어링의 중공에 삽입되어 리니어 베어링(11)의 상단으로부터 인출된다. 입자 코어(120)는 하측 메인코어(110)를 관통하여 상측 부위가 하측 메인코어(110)의 상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입자 코어(120)는 리니어 베어링(11)의 중공에 삽입된 부위가 일정 지름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입자 코어(120)는 리니어 베어링(11)의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축에 대한 리니어 베어링(11)의 틸팅을 방지하는 지름을 가짐으로써, 리니어 베어링(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입자 코어(120)는 리니어 베어링(11)으로부터 인출된 상단 부위가 상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리니어 베어링(11)의 중공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하측 원판(130)은 하측 메인코어(110)를 상면에 고정한다. 하측 원판(130)은 하측 메인코어(110)를 관통한 입자 코어(120)의 하면을 상면에 고정할 수 있다. 하측 원판(130)은 하측 메인코어(110)와 입자 코어(120)를 고정한 상태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작동 코어(140)는 리니어 베어링(11)의 상단에 접한 상태로 리니어 베어링(11)의 높이 공차에 따라 승강 동작한다. 리니어 베어링(11)은 제작 공차가 적용되어 높이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는데, 작동 코어(140)는 리니어 베어링(11)의 상단에 접한 상태로 리니어 베어링(11)의 높이 공차가 커진 만큼 상승 동작하고, 리니어 베어링(11)의 높이 공차가 작아진 만큼 하강 동작한다.
작동 코어(140)는 외곽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 코어(140)는 상측 외주를 따라 환형 턱(141)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환형 턱(141)은 일정 반경으로 돌출된다. 환형 턱(141)은 후술할 상측 작동공간(174)의 단턱(174a)과 하측 작동공간(162)의 단턱(162a) 사이에 삽입된다.
환형 턱(141)은 작동 코어(140)가 리니어 베어링(11)의 최대 높이 공차 값에 따른 상한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상측 작동공간(174)의 단턱(174a)에 걸린다. 환형 턱(141)은 작동 코어(140)가 리니어 베어링(11)의 최소 높이 공차 값에 따른 하한 높이로 하강한 상태에서 하측 작동공간(162)의 단턱(162a)에 걸린다. 따라서, 작동 코어(140)는 리니어 베어링(11)의 높이 공차 내에서 승강 동작하도록 규제될 수 있다.
작동 코어(140)는 하면에 입자 코어(120)의 상단 부위를 수용하는 하측 홈(142)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작동 코어(140)의 하측 홈(142)은 작동 코어(140)의 승강 동작시 입자 코어(120)의 상단 부위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작동 코어(140)는 상면에 후술할 스프링 가이드(171)의 하측 부위를 삽입하는 상측 홈(143)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작동 코어(140)의 상측 홈(143)은 내벽이 스프링 가이드(171)의 하측 외벽과 맞닿은 상태로 작동 코어(140)의 승강 동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탄성체(150)는 작동 코어(140)를 리니어 베어링(11)의 상단에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도록 작동 코어(14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작동 코어(140)는 탄성체(150)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리니어 베어링(11)의 높이 공차 내에서 리니어 베어링(11)의 상단에 항상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리니어 베어링(11)의 높이가 제작 공차로 인해 일정하지 않더라도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베어링(11)의 높이가 허용 공차 내에서 높아지더라도, 작동 코어(140)는 탄성체(150)에 지지되어 상승 동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금형(100) 눌림이나 리니어 베어링(11)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베어링(11)의 높이가 허용 공차 내에서 낮아지더라도, 작동 코어(140)는 탄성체(150)에 지지되어 하강 동작함에 따라 리니어 베어링(11)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리니어 베어링(11)의 상단을 통한 사출물 침투 현상이 방지되어 리니어 베어링(11)의 기능장애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탄성체(150)는 복수 개의 접시 스프링(151)들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시 스프링(151)은 접시 모양으로 성형된 원추형의 판 스프링이다. 접시 스프링(151)은 단위체적당 하중이 코일 스프링에 비하여 상당히 크기 때문에 작은 공간에서도 적은 변위로 큰 하중을 얻을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탄성체(150)가 접시 스프링(151)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작동 코어(140)가 사출 압력에 견딜 수 있게 하면서도 금형(100)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금형(100)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접시 스프링(151)들은 서로 반대되는 자세를 갖고 직렬 형태로 적층될 수 있으나, 사출 압력에 따라 서로 동일한 자세를 갖고 병렬 형태로 적층되거나, 직렬 형태와 병렬 형태가 조합된 형태로 적층될 수도 있다. 접시 스프링(151)의 외경은 작동 코어의 중앙 부위 외경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측 원판(170)은 접시 스프링(151)들의 중공을 관통한 상태로 접시 스프링(151)들의 변형을 안내하는 스프링 가이드(17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171)는 외벽이 접시 스프링(151)들의 원형 중공 내벽과 면접촉되도록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171)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측 원판(170)에 체결 볼트(172) 등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스프링 가이드(171)는 접시 스프링(151)들의 수직 축 방향 변형을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171)는 하측 부위가 작동 코어(140)의 상측 홈(143)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171)는 하측 외벽이 작동 코어(140)의 상측 홈(143) 내벽과 맞닿은 상태로 작동 코어(140)의 승강 동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측 메인코어(160)는 하측 메인코어(110)와 형합 또는 형분리된다. 상측 메인코어(160)는 하측 메인코어(110)와 형분리된 상태에서 리니어 베어링(11)이 하측 메인코어(110)와의 사이에 인서트되게 한 후, 하측 메인코어(110)와 형합된 상태에서 성형공간(161)에 주입되는 용융 수지에 의해 리니어 베어링(11)에 플랜지(12)가 사출 성형되게 한다. 이후, 상측 메인코어(160)는 플랜지(12)가 사출 성형된 리니어 베어링(11)이 취출되도록 하측 메인코어(110)와 형분리된다.
상측 메인코어(160)는 리니어 베어링(11)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용공간을 갖는다. 베어링 수용공간은 하측이 개구된 형태로 하측 메인코어(110)에 의해 폐쇄된다. 상측 메인코어(160)는 용융 수지가 주입되어 리니어 베어링(11)의 주위에 설정 형상의 플랜지(12)를 성형하는 성형공간(161)을 갖는다. 성형공간(161)은 베어링 수용공간의 주위에 형성되고, 하측이 개구된 형태로 하측 메인코어(110)에 의해 폐쇄된다.
플랜지(12)는 리니어 베어링(11)의 외주, 즉 외통 주위를 일정 외경으로 전체적으로 감싸는 플랜지 몸체(12a)와, 플랜지 몸체(12a)의 하측 부위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사각 형태로 연장된 플랜지 연장편(12b)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 연장편(12b)의 각 코너에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성형공간(161)은 전술한 형상의 플랜지(12)를 성형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성형공간(161)은 용융한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원으로부터 스프루(sprue), 런너(runner), 게이트(gate)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성형공간(161)으로 주입된 용융 수지는 경화되어 설정 형상의 플랜지(12)가 성형될 수 있게 한다. 수지 재료는 강성을 갖는 다양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메인코어(160)는 리니어 베어링(11)의 최소 높이 공차 값에 따른 하한 높이까지 작동 코어(140)의 승강 동작을 허용하는 하측 작동공간(162)을 갖는다. 하측 작동공간(162)은 상측이 개구된 형태로 탄성체(150)가 작동 코어(140)에 맞닿게 하고, 스프링 가이드(171)가 작동 코어(140)의 상측 홈(143)에 삽입되게 한다.
하측 작동공간(162)은 상측 둘레를 따라 확장되어 단턱(162a)을 가질 수 있다. 단턱(162a)은 작동 코어(140)가 리니어 베어링(11)의 최소 높이 공차 값에 따른 하한 높이로 하강한 상태에서 작동 코어(140)의 환형 턱(141)을 걸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작동 코어(140)는 하한 높이까지만 하강하도록 규제될 수 있다. 하측 작동공간(162)의 상측 둘레 지름은 환형 턱(141)의 지름보다 크게 설정됨으로써, 환형 턱(141)이 원활하게 승강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상측 원판(170)은 상측 메인코어(160)를 하면에 고정한다. 상측 원판(170)은 탄성체(150)를 수용하는 탄성체 수용공간(173)을 갖는다. 상측 원판(170)은 리니어 베어링(11)의 최대 높이 공차 값에 따른 상한 높이까지 작동 코어(140)의 승강 동작을 허용하는 상측 작동공간(174)을 갖는다. 상측 작동공간(174)은 탄성체 수용공간(173)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탄성체 수용공간(173)의 하측에 연결되어 단턱(174a)을 갖는다.
단턱(174a)은 작동 코어(140)가 리니어 베어링(11)의 최대 높이 공차 값에 따른 상한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작동 코어(140)의 환형 턱(141)을 걸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작동 코어(140)는 상한 높이까지만 상승하도록 규제될 수 있다. 상측 작동공간(174)의 지름은 환형 턱(141)의 지름보다 크게 설정됨으로써, 환형 턱(141)이 원활하게 승강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상측 작동공간(174)은 하측이 개구된 형태로 탄성체(150)가 작동 코어(140)에 맞닿게 하고, 스프링 가이드(171)가 작동 코어(140)의 상측 홈(143)에 삽입되게 한다.
전술한 인서트 사출 금형(100)에 의하면, 리니어 베어링(11)의 외통 주위에 플랜지(12)가 수지 재료로 사출 성형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10)을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10)은 수지 재료의 플랜지(12)가 리니어 베어링(11)의 외통 주위를 감싼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플랜지를 미리 철로 제작해서 리니어 베어링의 외통에 고정시키는 종래 방식에 비해, 경량화되고 부식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방식에 비해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10)의 제작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리니어 베어링(11)은 외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형 홈(11a)이 형성되고, 환형 홈(11a)에 플랜지(12)의 내측 일부가 인입되게 성형될 수 있다. 플랜지(12)의 내측 일부가 리니어 베어링(11)의 환형 홈(11a)에 인입되어 성형되면, 플랜지(12)가 리니어 베어링(11)의 외주로부터 이탈 방지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환형 홈(11a)은 리니어 베어링(11)의 상,하측 둘레에 1개씩 형성됨으로써, 리니어 베어링(11)의 외주에 대한 플랜지(12)의 이탈 방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 11..리니어 베어링
12..플랜지 110..하측 메인코어
120..입자 코어 130..하측 원판
140..작동 코어 150..탄성체
160..상측 메인코어 170..상측 원판
171..스프링 가이드

Claims (4)

  1. 리니어 베어링을 상면에 안착시키는 하측 메인코어;
    상기 하측 메인코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리니어 베어링의 하단을 통해 리니어 베어링의 중공에 삽입되어 리니어 베어링의 상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입자 코어;
    상기 하측 메인코어를 상면에 고정하는 하측 원판;
    리니어 베어링의 상단에 접한 상태로 리니어 베어링의 높이 공차에 따라 승강 동작하는 작동 코어;
    상기 작동 코어를 리니어 베어링의 상단에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작동 코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접시 스프링들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진 탄성체;
    상기 하측 메인코어와 형합 또는 형분리되는 것으로, 리니어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용공간과, 용융 수지가 주입되어 리니어 베어링의 주위에 설정 형상의 플랜지를 성형하는 성형공간과, 리니어 베어링의 최소 높이 공차 값에 따른 작동 코어의 하한 높이까지 상기 작동 코어의 승강 동작을 허용하는 하측 작동공간을 갖는 상측 메인코어; 및
    상기 상측 메인코어를 하면에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체를 수용하는 탄성체 수용공간과, 리니어 베어링의 최대 높이 공차 값에 따른 작동 코어의 상한 높이까지 상기 작동 코어의 승강 동작을 허용하는 상측 작동공간을 가지며, 상기 접시 스프링들의 중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접시 스프링들의 변형을 안내하는 스프링 가이드를 구비하는 상측 원판;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가이드는 외벽이 상기 접시 스프링들의 중공 내벽과 면접촉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접시 스프링들의 수직 축 방향 변형을 안내하며;
    상기 상측 작동공간은 상기 탄성체 수용공간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상기 탄성체 수용공간의 하측에 연결되어 단턱을 가지고, 상기 하측 작동공간은 상측 둘레를 따라 확장되어 단턱을 가지며;
    상기 작동 코어는 상면에 상기 스프링 가이드의 하측 부위를 삽입하는 상측 홈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측 외주를 따라 환형 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측 홈은 내벽이 상기 스프링 가이드의 하측 외벽과 맞닿은 상태로 상기 작동 코어의 승강 동작을 지지하며;
    상기 환형 턱은 상기 상측 작동공간의 단턱과 하측 작동공간의 단턱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 코어가 리니어 베어링의 최대 높이 공차 값에 따른 상한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상측 작동공간의 단턱에 걸리고, 상기 작동 코어가 리니어 베어링의 최소 높이 공차 값에 따른 하한 높이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하측 작동공간의 단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용 인서트 사출 금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06331A 2019-08-29 2019-08-29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용 인서트 사출 금형 KR102189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331A KR102189531B1 (ko) 2019-08-29 2019-08-29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용 인서트 사출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331A KR102189531B1 (ko) 2019-08-29 2019-08-29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용 인서트 사출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531B1 true KR102189531B1 (ko) 2020-12-11

Family

ID=7378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331A KR102189531B1 (ko) 2019-08-29 2019-08-29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용 인서트 사출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5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654A (ja) * 2003-09-18 2005-04-07 Ntn Corp 動圧軸受用ハイブリッド軸の成形金型および成形方法
JP2012250419A (ja) * 2011-06-02 2012-12-20 Yazaki Corp インサート成形用金型及びカラーのインサート成形方法
KR20160040174A (ko) * 2013-08-08 2016-04-12 히하이스트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랜지가 부착된 직동 베어링
KR20160062467A (ko) * 2014-11-25 2016-06-02 김동우 사출금형의 인서트물 고정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654A (ja) * 2003-09-18 2005-04-07 Ntn Corp 動圧軸受用ハイブリッド軸の成形金型および成形方法
JP2012250419A (ja) * 2011-06-02 2012-12-20 Yazaki Corp インサート成形用金型及びカラーのインサート成形方法
KR20160040174A (ko) * 2013-08-08 2016-04-12 히하이스트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랜지가 부착된 직동 베어링
KR20160062467A (ko) * 2014-11-25 2016-06-02 김동우 사출금형의 인서트물 고정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814B1 (ko) 합성 수지제 스러스트 슬라이딩 베어링
US20160243915A1 (en) Suspension bump stop device with latching means
US11400790B2 (en) Concentric hydraulic ride height actuator for a motor vehicle
KR102189531B1 (ko) 플랜지 일체형 리니어 베어링용 인서트 사출 금형
CN106122399A (zh) 用于张紧轮或惰轮的滑轮装置
KR102017100B1 (ko) 저진동 가이드 결합체가 구비된 오버헤드 호이스트 트랜스포트
CN102374238A (zh) 宽内圈轴承塑料保持架装配模具及其装配方法
JP2008169937A (ja) 軸受ユニット
KR102017099B1 (ko) 저진동 가이드 결합체가 구비된 오버헤드 호이스트 트랜스포트
JP5958530B2 (ja) リニアガイド装置のキャップ及びリニアガイド装置
JPH0979270A (ja) ころ軸受用の合成樹脂製保持器
CN100419288C (zh) 油动压轴承装置及轴回转型电机
US3318645A (en) Bearing unit and method of assembly
KR102079621B1 (ko) 리테이너를 가지는 볼 베어링
US10819180B2 (en) Fluid dynamic bearing device and motor with same
CN217706902U (zh) 瓶套
KR20220063151A (ko) 직동 베어링용 리테이닝 링 및 직동 베어링
CN103574132A (zh) 电磁阀
KR20230002751A (ko) 증기 터빈의 메인터넌스 방법 및 증기 터빈
CN202301489U (zh) 张紧轮轴承装配模具
US10301979B2 (en) Hydraulic lash adjuster
WO2020244714A1 (de) Zentriermechanismus mit einem bremskolben einer scheibenbremse
KR200390830Y1 (ko) 볼 트랜스퍼
US3510181A (en) Spindle bearing for a spinning or twisting machine
CN205816678U (zh) 锻件锻造模具的导向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