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075B1 -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075B1
KR102189075B1 KR1020180140113A KR20180140113A KR102189075B1 KR 102189075 B1 KR102189075 B1 KR 102189075B1 KR 1020180140113 A KR1020180140113 A KR 1020180140113A KR 20180140113 A KR20180140113 A KR 20180140113A KR 102189075 B1 KR102189075 B1 KR 102189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ne dust
main body
bus stop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144A (ko
Inventor
전현익
백진수
유태우
박기만
조선영
Original Assignee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075B1/ko
Priority to PCT/KR2019/005820 priority patent/WO2020101130A1/ko
Publication of KR2020005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F24F3/1603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F24F2003/163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54/00Venti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밀집 지역내 대중 교통을 위해 정류장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들을 자동차의 배출물질과 미세먼저로부터 노출을 방지하는 정류장의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 좌우측 면 및 천장이 구비된 정류장 본체와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저감시키는 펜스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승객의 객체수, 보행속도, 부동시 위치 패턴을 측정하고 감시하는 승객유동센서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디퓨저로 이루어지는 외면부 및 정류장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송풍기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공기투입구와 프리필터에 통과시켜 본체 내부로 유입시키되 유입된 공기는 필터장치부를 통해 정화되어 상기 디퓨저를 통해 배출되며, 본체 내면 일측에 공기 정화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은 정화된 공기를 정류장 내부로 배출하여 정류장 내부의 미세먼지를 저감시켜 정류장의 탑승대기자들을 차량에서 발생되거나 기존 대기중의 대기오염들로부터 보호하고, 센서 및 승객유동센서를 이용하여 탑승객의 유무를 판단하고, 유동적인 탑승객의 수, 정류장과 그 주변 오염도의 세밀한 변화에 따라 공기정화를 실시하며,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하며,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기류 방향을 최적화하고, 오염도에 따아서 정류장마다 다양한 필터층을 구비한 정류장을 설치하여 설치비용을 적게하며, 도로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펜스를 이용하여 방지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Space-separated bus stops containing fine dust abatement systems}
본 발명은 교통 밀집 지역내 대중 교통을 위해 정류장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들을 자동차의 배출물질과 미세먼저로부터 노출을 방지하는 정류장의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 좌우측 면 및 천장이 구비된 정류장 본체와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를 저감시키는 펜스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승객의 객체수, 보행속도, 부동시 위치 패턴을 측정하고 감시하는 승객유동센서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디퓨저로 이루어지는 외면부 및 정류장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송풍기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공기투입구와 프리필터에 통과시켜 본체 내부로 유입시키되 유입된 공기는 필터장치부를 통해 정화되어 상기 디퓨저를 통해 배출되며, 본체 내면 일측에 공기 정화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미세먼지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서 대기오염 수준이 서울의 경우 세계도시 중 10위에 위치할 정도로 심각한 단계에 이르고 있는 실정으로 정부는 2017년 2월부로 '수도권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하는 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대책이 실시되고 있지만 그 효과가 높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미세먼지의 원인은 크게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으며, 자연적 요인으로는 흙먼지, 바닷물의 소금, 식물의 꽃가루등이 있고, 인위적 요인으로는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때 생기는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건설현장 등에서 발생되는 먼지, 공업단지내 분말형태 원자재 및 소각장의 연기등이 있으며, 국내 지리적 특성상 외국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도 사회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미세먼지(입자상물질(PM), 질소산화물)는 인구 밀집 지역인 도시지역내 실외에서 활동하는 보행자, 작업자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는 주로 경유차량에 의해서 많은 량이 배출되고 있으며, 경유 차량은 대형차량인 경유버스와 트럭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한편, 상기 경유버스와 트럭은 국내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의 3% 정도에 불가하지만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은 국내 이동오염원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가 정차할 때 브레이크 장치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출발할 때 발생되는 다량의 배기가스는 운행중 배출되는 배기가스보다 고 농도를 이루어 버스 정류장 및 그 주변의 공기는 일반 도로의 공기에 비하여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다. 따라서, 정류장에서 대기하는 승객들은 오염된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호흡기 질환 등 각종 질병에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이 버스 정류장에서 오염된 공기에 노출된 승객들을 보호하기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선행기술들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57174호(2010.05.11.) 전면부가 개방된 부스, 상기 부스에 설치되되,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하여 광촉매 활성광원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둘러싸며, 상기 램프의 자외선 파장을 받아 수산기를 생성하는 이산화티타늄관을 포함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상기 부스의 탑승대기공간에 면하는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수산기 발생장치로부터 생성된 수산기를 덕트를 매개로 전달받아 탑승대기공간으로 배출시키는 내부배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수산기 발생장치가 장착된 버스정류장을 제공하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3286호(2017.01.09.)는 정류장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수조에 일부 잠긴 회전체 내부를 거치면서 1차 정화되도록 하되, 회전되는 필터층은 연속으로 세척되어 성능이 최적화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본체의 필터층을 거치면서 2차 정화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오염물이 물에 잘 용해되어 상기 수조에서 제거되고 또한 각종 악취가 수직으로 세워진 필터를 거치면서 2차적으로 제거되도록 공기정화기를 갖는 버스정류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탑승자 수가 적은 정류장과 시간대 별로 탑승자 즉 정류장에서 대기하는 인원의 수의 변동이 일어나는 정류장 및 차량 이동수가 적거나 비가 오는 대기환경으로 인한 대기오염도가 낮은 상황을 형성할때를 가정할 경우 선행기술들의 정류장 공기정화 가동은 유지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을 가지며, 선행기술들에서 구성한 수산기를 이용하거나 많은 필터층 형성과 광촉매 장치등은 정류장의 최초 설치비와 유지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7174호(2010.05.1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3286호(2017.01.0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기오염도가 높은 버스정류장등에서 직접적으로 오염된 공기에 노출되는 탑승자들을 보호하는 정류장을 제공하는 것으로 선행기술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인 유동적인 탑승객의 수, 정류장과 그 주변 오염도의 세밀한 변화에 상관없이 공기정화가 일방적으로 실시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양한 필터장치들을 공기오염 정도가 다른 정류장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여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이 저감시키며, 기류의 방향을 다방향으로 하여 정류장 내부 탑승 대기공간내로 오염된 공기의 침투를 막는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은 인도 상부에 설치되어 승객이 버스탑승 전 대기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로 반대방향으로 배면, 좌우측 면 및 천장이 구비된 본체(10)와 도로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인도로 이동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펜스(20)와 상기 천장 상부면에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40)과 천장 하부면 또는 배면의 외부면에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50)와 승객의 객체수, 보행속도, 부동시 위치 패턴을 측정하고 감시하는 승객유동센서(60)와 정화된 공기를 상기 본체(10) 내부로 배출하는 제1 공기 출구 디퓨저(12)와 제2 공기 출구 디퓨저(14)로 이루어지는 외면부(A); 및 상기 본체(10), 펜스(20), 태양광 패널(40), 센서(50), 승객유동센서(60), 제1 공기 출구 디퓨저(12) 및 제2 공기 출구 디퓨저(14)로 이루어진 외면부(A)의 상기 본체(10)는 정면이 개방되고 배면, 좌우측 면 및 천장으로 구성되며, 배면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배면 내부 상부영역에 부착설치된 송풍기(100)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배면 외부 하방에 위치된 공기투입구(200)를 통해 배면 내부로 유입시키되,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투입구(200) 초입에 부착설치된 프리필터(210)에 통과시켜 본체(10)의 배면 내부로 유입시키며, 유입된 공기는 프리필터(210)의 상방으로 배면 내부에 부착설치된 필터장치부(300)를 통해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상기 제1 공기 출구 디퓨저(12) 및 제2 공기 출구 디퓨저(14)를 통해 배출되고, 본체(10)의 배면 내부 하부면 일측에 공기 정화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기(500)로 이루어지는 공기정화부(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공기 출구 디퓨저(12) 및 제2 공기 출구 디퓨저(14)는 공기정화부(B)에 정화된 공기를 확대 배출하는 것으로 제1 공기 출구 디퓨저(12)는 천장 하부면에 구비되어 공기정화부(B)에서 정화된 공기를 도로방향과 하방으로 배출하는 수직 하강형을 이루고, 제2 공기 출구 디퓨저(14)는 본체(10) 배면의 내부 상방면에 위치되어 도로방향으로 배출하는 수평 기류형을 이룬다.
상기 펜스(20)는 상부 끝단에 도로방향으로 돌출된 펜스단(22)을 구비하여 도로로부터 인도로 이동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켜 준다.
승객유동센서(60)는 정류장에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여 제어기를 통해 공기정화부(B)의 가동을 실시하고, 승객유동센서(60)로 승객유동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펜스(20)의 치수와 갯수를 조정하거나 펜스(20)와 정류장의 본체(10) 위치를 관리자가 변화시킨다
상기 센서(50)는 PM(Particulate Matter)10 센서로 본체(10) 내부 및 근거리에 존재하는 10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일정량 이상이고, 승객유동센서(60)에 의해 본체 내부에 승객이 감지될 때 공기정화부(B)를 가동한다.
상기 공기정화부(B)에 설치되는 필터장치부(300)는 스크류필터(미도시)를 이용한 스크류필터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필터식은 공기투입구(200)가 배면 외부 하방에 위치되어 유입된 공기가 프리필터(210)를 통과한 후 본체(10) 내부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배면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후 배출된다.
상기 스크류필터는 본체(10) 천장에 우수투입구를 구비할 수 있고, 우수투입구(미도시)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이용하여 스크류필터에 부착된 미세먼지의 세척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공기정화부는 온풍수단(400)을 설치하여 정화된 공기가 최종 배출되기 전 공기의 온도를 높여 겨울철 정류장에 온도를 상승시킨다.
상기 본체(10)의 좌우측면과 접하는 위치에 독립적으로 복합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측면공기 출구 디퓨저(30)를 구비한 스탠드형의 수단을 두어 도로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된 기류를 막는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정화된 공기를 정류장 내부로 배출하여 정류장 내부의 미세먼지를 저감시켜 정류장의 탑승대기자들을 차량에서 발생되거나 기존 대기중의 대기오염들로부터 보호한다.
(2) 본 발명은 센서 및 승객유동센서를 이용하여 탑승객의 유무를 판단하고, 유동적인 탑승객의 수, 정류장과 그 주변 오염도의 세밀한 변화에 따라 공기정화를 실시하며,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한다.
(3) 본 발명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기류 방향을 최적화하고, 오염도에 따아서 정류장마다 다양한 필터층을 구비한 정류장을 설치하여 설치비용을 적게하며, 도로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펜스를 이용하여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의 공기정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명칭은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하고, 충분히 유추 가능한 별도의 기재는 생략하며, 필요 경우 실시예 및 도면을 기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용어들은 한정 해석하지 아니하며,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의 정면도로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을 하기에 상세하게 개진한다.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포함하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에 있어서,
상기 저감시스템은
인도 상부에 설치되어 승객이 버스탑승 전 대기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로 반대방향으로 배면, 좌우측 면 및 천장이 구비된 본체(10)와 도로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인도로 이동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펜스(20)와 상기 천장 상부면에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40)과 천장 하부면 또는 배면의 외부면에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50)와 승객의 객체수, 보행속도, 부동시 위치 패턴을 측정하고 감시하는 승객유동센서(60)와 정화된 공기를 상기 본체(10) 내부로 배출하는 제1 공기 출구 디퓨저(12)와 제2 공기 출구 디퓨저(14)로 이루어지는 외면부(A); 및
상기 본체(10), 펜스(20), 태양광 패널(40), 센서(50), 승객유동센서(60), 제1 공기 출구 디퓨저(12) 및 제2 공기 출구 디퓨저(14)로 이루어진 외면부(A)의 상기 본체(10)는 정면이 개방되고 배면, 좌우측 면 및 천장으로 구성되며, 배면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배면 내부 상부영역에 부착설치된 송풍기(100)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배면 외부 하방에 위치된 공기투입구(200)를 통해 배면 내부로 유입시키되,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투입구(200) 초입에 부착설치된 프리필터(210)에 통과시켜 본체(10)의 배면 내부로 유입시키며, 유입된 공기는 프리필터(210)의 상방으로 배면 내부에 부착설치된 필터장치부(300)를 통해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상기 제1 공기 출구 디퓨저(12) 및 제2 공기 출구 디퓨저(14)를 통해 배출되고, 본체(10)의 배면 내부 하부면 일측에 공기 정화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기(500)로 이루어지는 공기정화부(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공기 출구 디퓨저(12) 및 제2 공기 출구 디퓨저(14)는 공기정화부(B)에 정화된 공기를 확대 배출하는 것으로 제1 공기 출구 디퓨저(12)는 천장 하부면에 구비되어 공기정화부(B)에서 정화된 공기를 도로방향과 하방으로 배출하는 수직 하강형을 이루고, 제2 공기 출구 디퓨저(14)는 본체(10) 배면의 내부 상방면에 위치되어 도로방향으로 배출하는 수평 기류형을 이룬다.
상기 제1 공기 출구 디퓨저(12)와 제2 공기 출구 디퓨저(14)는 동시에 설치되거나 각각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펜스(20)는 상부 끝단에 도로방향으로 돌출된 펜스단(22)을 구비하여 도로로부터 인도로 이동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켜 준다.
승객유동센서(60)는 정류장에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여 제어기를 통해 공기정화부(B)의 가동을 실시하고, 승객유동센서(60)로 승객유동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펜스(20)의 치수와 갯수를 조정하거나 펜스(20)와 정류장의 본체(10) 위치를 관리자가 변화시킨다.
상기 승객유동센서(60)는 정류장에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여 공기정화부(B)의 가동을 실시하고, 상기 승객유동센서(60)에서 승객유동 시뮬레이션은 PSO(Particle swarm optimization: 입자군 최적화) 연산 방법이 적용되어 정류장 본체(10) 내부에서 대기하는 지역별, 시간대별 탑승자의 밀도(정류장내), 보행속도, 이동벡터를 연산시켜 정류장 본체(10) 및 펜스(20)의 치수와 갯수를 조정하거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정류장의 미세먼지 저감효율을 높인다.
상기 센서(50)는 PM(Particulate Matter)10 센서로 본체(10) 내부 및 근거리에 존재하는 10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일정량 이상이고, 승객유동센서(60)에 의해 본체(10) 내부에 승객이 감지될 때 공기정화부(B)를 가동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의 공기정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의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의 예시도로 상기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구성되는 필터장치부 구성과 정류장의 추가 설명을 하기에 설명한다.
상기 공기정화부(B)에 설치되는 필터장치부(300)는 스크류필터(미도시)를 이용한 스크류필터식으로 구성되며, 프리필터(210)로 먼지, 분진등을 포집하는 전처리 과정 실시되며, 전기집진, 정전필터 및 가스흡착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스크류필터는 여과지를 원형의 외형을 가지고 내부 형상을 스크류 형상을 가지며, 회전하면서 공기내 오염물질을 여과지에 통과 시켜 정화한다.
전기집진은 공기속의 오염 물질을 이온화하여 강력한 집진력을 가진 집진판에 흡착시키는 방식으로 흡입된 공기 속의 입자들을 고전압에 의해 (+)전하를 띄게 되고 (+)전하를 띈 입자들은 각각 (+),(-)로 대전된 대전판을 지나면서 미세입자가 음극판에 부착되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정전필터는 필터가 정전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공기 중의 미세한 입자와 먼지를 흡착하는 것이며, 고압 전류로 정전 처리된 정전필터를 이용하여 미세한 먼지를 걸러준다.
가스흡착제는 유해 가스 등을 제거하는 것으로 활성탄 또는 실리카 겔의 흡착제를 패널이나 원통형 유닛에 내장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필터식은 공기투입구(200)가 배면 외부 하방에 위치되어 유입된 공기가 프리필터(210)를 통과한 후 본체(10) 내부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배면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후 배출된다.
상기 스크류필터는 본체(10) 천장에 우수투입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우수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이용하여 필터에 부착된 미세먼지의 세척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공기정화부는 온풍수단(400)을 설치하여 정화된 공기가 최종 배출되기 전 공기의 온도를 높여 겨울철 정류장에 온도를 상승시킨다.
상기 본체(10)의 좌우측면과 접하는 위치에 독립적으로 복합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측면공기 출구 디퓨저(30)를 구비한 스탠드형의 수단을 두어 도로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된 기류를 막는다.
상기 측면공기 출구 디퓨저(30)는 도로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기류를 형성하고, 제1 공기 출구 디퓨저(12)와 제2 공기 출구 디퓨저(14)과 도로 방향으로 기류를 형성하여 다방향으로 도로로부터 유입되는 유해가스와 미세먼지를 차단하며, 정류장 본체(10) 내부의 오염도를 저감시킨다.
한편, 정류장 내부에는 디스플레이(70)를 설치하여 버스의 위치파악, 시간, 온도 뿐만아니라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정류장 내부 공기오염도를 표시하여 탑승객에게 안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펜스(20)의 펜스단(22)은 도로방향으로 굴곡이 형성되어 있고, 굴곡 위치에 도로방향으로 세척수를 미세입자화 하여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디퓨저수단을 구비하는 세정튜브를 설치하여 버스의 타이어높이 하방 위치로 분사시켜 도로비산먼지와 미세먼지입자를 지면으로 낙하시킬 수 있으며, 작동여부는 공기정화부 작동과 동일하게 하되 버스 또는 차량이 정류장의 도착전과 출발 후에 이루어져 차량과 차량에서 내리는 승객에 직접분사가 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름철 정류장 주변온도를 낮추어 탑승객의 높은 기온으로 발생되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버스정류장 공간분리형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는 정화된 공기를 정류장 내부로 배출하여 정류장 내부의 미세먼지를 저감시켜 정류장의 탑승대기자들을 차량에서 발생되거나 기존 대기중의 대기오염들로부터 보호하고, 센서 및 승객유동센서를 이용하여 탑승객의 유무를 판단하고, 유동적인 탑승객의 수, 정류장과 그 주변 오염도의 세밀한 변화에 따라 공기정화를 실시하며,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하며,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기류 방향을 최적화하고, 오염도에 따아서 정류장마다 다양한 필터층을 구비한 정류장을 설치하여 설치비용을 적게하며, 도로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펜스를 이용하여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은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외면부 60 : 승객유동센서
10 : 본체 70 : 디스플레이
12 : 제1 공기 출구 디퓨저 B : 공기정화부
14 : 제2 공기 출구 디퓨저 100 : 송풍기
20 : 펜스 200 : 공기투입구
22 : 펜스단 210 : 프리필터
30 : 측면공기 출구 디퓨저 300 : 필터장치부
40 : 태양광 패널 400 : 온풍수단
50 : 센서 500 : 제어기

Claims (12)

  1.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포함하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에 있어서,
    상기 저감시스템은
    인도 상부에 설치되어 승객이 버스탑승 전 대기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로 반대방향으로 배면, 좌우측 면 및 천장이 구비된 본체와 도로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가 인도로 이동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펜스와 상기 천장 상부면에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과 천장 하부면 또는 배면이 외부면에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승객의 객체수, 보행속도, 부동시 위치 패턴을 측정하고 감시하는 승객유동센서와 정화된 공기를 상기 본체 내부로 배출하는 제1 공기 출구 디퓨저와 제2 공기 출구 디퓨저로 이루어지는 외면부; 및
    상기 본체, 펜스, 태양광 패널, 센서, 승객유동센서, 제1 공기 출구 디퓨저 및 제2 공기 출구 디퓨저로 이루어진 외면부의 상기 본체는 정면이 개방되고 배면, 좌우측 면 및 천장으로 구성되며, 배면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배면 내부 상부영역에 부착설치된 송풍기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배면 외부 하방에 위치된 공기투입구를 통해 배면 내부로 유입시키되,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투입구 초입에 부착설치된 프리필터에 통과시켜 본체의 배면 내부로 유입시키며, 유입된 공기는 프리필터의 상방으로 배면 내부에 부착설치된 필터장치부를 통해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상기 제1 공기 출구 디퓨저 및 제2 공기 출구 디퓨저를 통해 배출되고, 본체의 배면 내부 하부면 일측에 공기 정화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 출구 디퓨저 및 제2 공기 출구 디퓨저는 공기정화부에 정화된 공기를 확대 배출하는 것으로 제1 공기 출구 디퓨저는 천장 하부면에 구비되어 공기정화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도로방향과 하방으로 배출하는 수직 하강형을 이루고, 제2 공기 출구 디퓨저는 본체 배면의 내부 상방면에 위치되어 도로방향으로 배출하는 수평 기류형을 이루며,
    상기 펜스는 상부 끝단에 도로방향으로 돌출된 펜스단을 구비하여 도로로부터 인도로 이동되는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켜 주고,
    상기 센서는 PM((Particulate Matter)10 센서로 본체 내부 및 근거리에 존재하는 10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일정량 이상이고, 승객유동센서에 의해 본체 내부에 승객이 감지될 때 공기정화부를 가동하며,
    상기 공기정화부에 설치되는 필터장치부는 스크류필터를 이용한 스크류필터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정화부는 온풍수단을 설치하여 정화된 공기가 최종 배출되기 전 공기의 온도를 높여 겨울철 정류장에 온도를 상승시키며,
    상기 본체의 좌우측면과 접하는 위치에 독립적으로 복합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측면공기 출구 디퓨저를 구비한 스탠드형의 수단을 두어 도로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된 기류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 분리형 버스정류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필터식은 공기투입구가 배면 외부 하방에 위치되어 유입된 공기가 프리필터를 통과한 후 본체 내부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배면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후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필터는 본체 천장에 우수투입구를 구비할 수 있고, 우수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이용하여 필터에 부착된 미세먼지의 세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40113A 2018-11-14 2018-11-14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KR102189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113A KR102189075B1 (ko) 2018-11-14 2018-11-14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PCT/KR2019/005820 WO2020101130A1 (ko) 2018-11-14 2019-05-15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113A KR102189075B1 (ko) 2018-11-14 2018-11-14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44A KR20200056144A (ko) 2020-05-22
KR102189075B1 true KR102189075B1 (ko) 2020-12-09

Family

ID=7073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113A KR102189075B1 (ko) 2018-11-14 2018-11-14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9075B1 (ko)
WO (1) WO20201011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755A (ko) * 2021-04-27 2022-11-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
KR102478589B1 (ko) 2022-02-22 2022-12-16 주식회사 애니텍 통학로 공기정화 및 모니터링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028A (ko)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딘스플러스 도시지역 버스를 활용한 물순환식 대기오염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오염저감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96Y1 (ko) * 2010-07-19 2013-02-06 뎀코 (주) 버스 쉘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174B1 (ko) 2008-01-16 2010-05-11 주식회사 이안씨앤에스 공기정화 수산기 발생장치가 장착된 버스정류장
KR101091033B1 (ko) * 2008-08-19 2011-12-09 윤진효 노선버스 승강장의 승차 대기용 구조물 및 그를 포함하는 노선버스 승강장
KR101033231B1 (ko) * 2011-03-09 2011-05-09 주식회사 삼안 태양열을 이용한 친환경 공조장치
KR20130072098A (ko) * 2011-12-21 2013-07-01 김동섭 공기청정 기능이 강화된 에어필터
KR20170003286A (ko) 2015-06-30 2017-01-09 이연순 공기정화기를 갖는 버스정류장
KR20180038091A (ko) * 2016-10-05 2018-04-16 주식회사 이토피아이앤씨 공기정화 버스 쉘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96Y1 (ko) * 2010-07-19 2013-02-06 뎀코 (주) 버스 쉘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755A (ko) * 2021-04-27 2022-11-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
KR102530425B1 (ko) * 2021-04-27 2023-05-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
KR102478589B1 (ko) 2022-02-22 2022-12-16 주식회사 애니텍 통학로 공기정화 및 모니터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1130A1 (ko) 2020-05-22
KR20200056144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075B1 (ko)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CN113574324B (zh) 塔式空气净化装置及其空气净化方法
CN101437623B (zh) 去除煤尘、细小的灰尘和废气粒子的方法、用于这种方法的粒子捕获装置和使用该粒子捕获装置产生静电场的用途
JP2010519015A (ja) 都市環境内の大気を濾過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564421B2 (ja) 自動車道トンネル用換気設備
WO2020151217A1 (zh) 路灯
CN104069945A (zh) 车载高效pm2.5颗粒截灭装置
KR20200001384U (ko) 가로등을 포함하는 시설물을 이용한 미세 먼저 제거 시스템
CN105013255B (zh) 一种车载道路浓雾及雾霾清理设备
CN104492200A (zh) 多级水过滤空气净化器
KR102159452B1 (ko) 미세먼지 저감장치
CN107875784A (zh) 一种除雾霾的拖车及其装置
CN107930386A (zh) 一种城市除雾霾的方法
KR20200024510A (ko) 버스승강장
CN206762500U (zh) 一种车载型具有除霾除尘功能的室外大气净化器
CN103977895A (zh) 一种近地雾霾净化装置
CN205505250U (zh) 车载公益净化器
CN203886667U (zh) 车载高效pm2.5颗粒截灭装置
KR102098112B1 (ko)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제공하는 버스 정류장용 승객 대기소
KR102334741B1 (ko) 사용자 편의와 공기 정화 효율이 향상된 버스 정류장 쉘터
CN209309839U (zh) 一种除霾式路灯
CN206300278U (zh) 一种基于楼宇自然循环风的大气智能净化系统
KR102161633B1 (ko) 분진 및 온실가스 저감장치
WO2022211650A1 (en) Flow-through air purifier
CN205641329U (zh) 通风系统和包括通风系统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