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425B1 -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 - Google Patents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425B1
KR102530425B1 KR1020210054401A KR20210054401A KR102530425B1 KR 102530425 B1 KR102530425 B1 KR 102530425B1 KR 1020210054401 A KR1020210054401 A KR 1020210054401A KR 20210054401 A KR20210054401 A KR 20210054401A KR 102530425 B1 KR102530425 B1 KR 102530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sensor
air
bus
booth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755A (ko
Inventor
김민정
김민경
박덕신
조선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54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4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은, 개방형 버스정류장에 있어서, 커버가 상부에 구비되며, 버스가 주행하는 도로 및 승객의 탑승대기공간이 일측에 배치되도록 보도블럭에 설치되는 부스 본체; 상기 부스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관로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부스 본체 타측의 오염공기가 상기 내부관로에 유입되도록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윙플레이트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오염공기 유입부; 상기 내부관로에 구비되어 상기 오염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오염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이 제거된 청정공기를 상기 내부관로의 타단으로 배기하는 팬; 상기 내부관로 상에서 상기 팬보다 상기 유입부와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되는 오염공기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청정공기를 생성하는 필터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내부관로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팬으로부터 배기되는 청정공기를 상기 부스 본체의 일측에 배출하여 상기 버스에 의해 비산되는 미세먼지 또는 대기중의 미세먼지가 상기 부스 본체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청정공기의 배기각도를 설정 및 변경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윙플레이트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디퓨저; 및 상기 오염공기 유입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와 상기 디퓨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의 회전을 각각 제어하며,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른 환경기준이 기저장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Open type bus stop for possible to reduce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정류장 주변의 오염공기를 정화하여 생성되는 청정공기의 배기를 기반으로 버스에 의해 비산되는 미세먼지 또는 대기중의 미세먼지가 버스정류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에 관한 것이다.
국내 미세먼지의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대기오염 수준이 서울의 경우 세계도시 중 10위에 위치할 정도로 심각한 단계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며, 정부는 2017년 2월부로 '수도권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하는 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대책이 실시되고 있지만 그 효과가 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미세먼지의 원인은 크게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으며, 자연적 요인으로는 흙먼지, 바닷물의 소금, 식물의 꽃가루 등이 있고, 인위적 요인으로는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 생기는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건설현장 등에서 발생되는 먼지, 공업단지내 분말형태의 원자재 및 소각장의 연기 등이 있으며, 국내 지리적 특성상 외국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도 사회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미세먼지(입자상물질(PM), 질소산화물)는 인구밀집지역인 도시지역내 실외에서 활동하는 보행자, 작업자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는 주로 경유차량에서 많은 양이 배출되고 있으며, 경유차량은 대형차량인 경유버스와 트럭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한편, 상기 경유버스와 트럭은 국내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의 3% 정도에 불가하지만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은 국내 이동오염원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가 정차할 때 브레이크 장치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출발할 때 발생되는 다량의 배기가스는 운행 중 배출되는 배기가스보다 고농도를 이루어 버스정류장 및 그 주변의 공기는 일반 도로의 공기에 비하여 심각하게 오염된다. 따라서, 버스정류장에서 대기하는 승객들은 오염된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호흡기 질환 등 각종 질병에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이 버스정류장에서 오염된 공기에 노출된 승객들을 보호하기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선행기술들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57174호(2010.05.11.) 전면부가 개방된 부스, 상기 부스에 설치되되,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하여 광촉매 활성광원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둘러싸며, 상기 램프의 자외선 파장을 받아 수산기를 생성하는 이산화티타늄관을 포함하는 수산기 발생장치, 상기 부스의 탑승대기공간에 면하는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수산기 발생장치로부터 생성된 수산기를 덕트를 매개로 전달받아 탑승대기공간으로 배출시키는 내부배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수산기 발생장치가 장착된 버스정류장을 제공하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3286호(2017.01.09.)는 정류장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수조에 일부 잠긴 회전체 내부를 거치면서 1차 정화되도록 하되, 회전되는 필터층은 연속으로 세척되어 성능이 최적화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본체의 필터층을 거치면서 2차 정화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오염물이 물에 잘 용해되어 상기 수조에서 제거되고 또한 각종 악취가 수직으로 세워진 필터를 거치면서 2차적으로 제거되도록 공기정화기를 갖는 버스정류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탑승자 수가 적은 정류장과 시간대 별로 탑승자 즉 정류장에서 대기하는 인원의 변동이 일어난 정류장 및 차량 이동수가 적거나 비가 오는 대기환경으로 인한 대기오염도가 낮은 상황을 형성할 때를 가정할 경우 선행기술들의 정류장 공기정화 가동은 유지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을 가지며, 선행기술들에서 구성한 수산기를 이용하거나 많은 필터층 형성과 광촉매 장치 등은 정류장의 최초 설치비와 유지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7174호(2010.05.1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3286호(2017.01.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행기술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인 많은 필터층 형성과 광촉매 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아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이 저감되며, 청정공기의 배기를 기반으로 버스에 의해 비산되는 미세먼지 또는 대기중의 미세먼지가 버스정류장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승객을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은, 개방형 버스정류장에 있어서, 커버가 상부에 구비되며, 버스가 주행하는 도로 및 승객의 탑승대기공간이 일측에 배치되도록 보도블럭에 설치되는 부스 본체; 상기 부스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관로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부스 본체 타측의 오염공기가 상기 내부관로에 유입되도록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윙플레이트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오염공기 유입부; 상기 내부관로에 구비되어 상기 오염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오염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이 제거된 청정공기를 상기 내부관로의 타단으로 배기하는 팬; 상기 내부관로 상에서 상기 팬보다 상기 유입부와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되는 오염공기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청정공기를 생성하는 필터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내부관로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팬으로부터 배기되는 청정공기를 상기 부스 본체의 일측에 배출하여 상기 버스에 의해 비산되는 미세먼지 또는 대기중의 미세먼지가 상기 부스 본체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청정공기의 배기각도를 설정 및 변경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윙플레이트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디퓨저; 및 상기 오염공기 유입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와 상기 디퓨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의 회전을 각각 제어하며,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른 환경기준이 기저장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오염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1~10 ㎛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여과지를 구비하는 헤파(HEPA)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형 버스정류장은, 상기 오염공기의 유입량 증가에 따라 상기 청정공기의 배기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내부관로가 상기 부스 본체에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오염공기 유입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팬이 상기 복수의 내부관로에 각각 구비 또는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내부관로와 동일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형 버스정류장은, 상기 부스 본체 일측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승객의 신체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의 변화량을 통해 상기 승객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내부관로의 타단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관로의 타단보다 하측인 하측영역과 상기 하측영역의 상측인 상측영역으로 나누어 상기 부스 본체 일측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상측영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환경기준의 미세먼지 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퓨저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청정공기가 상기 상측영역에서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하측영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환경기준의 미세먼지 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퓨저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청정공기가 상기 하측영역에서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상, 하측영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환경기준의 미세먼지 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퓨저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와 다른 하나의 디퓨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를 각각 회전시켜 상기 청정공기가 상기 상, 하측영역에서 각각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승객의 생체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퓨저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청정공기가 상기 승객의 주변에서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디퓨저는, 상기 청정공기가 상기 상측영역, 상기 하측영역 및 상기 승객을 향해 동시에 확산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적어도 3개 이상의 디퓨저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정공기의 배기를 통해 탑승대기공간에 위치한 승객을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 주변의 미세먼지 오염도에 따라 청정공기의 배기각도가 설정 및 변경됨에 따라, 버스정류장 주변의 미세먼지 저감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의 공기정화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제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의 공기정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에 구비되는 센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의 미세먼지 감지영역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의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1)(이하, '개방형 버스정류장(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개방형 버스정류장(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에 의한 미세먼지 또는 대기중의 미세먼지 저감을 통해 일측의 탑승대기공간에 위치하는 승객을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일측 및/또는 타측에 버스의 주행이 가능한 도로가 배치되는 보도블럭(100)에 설치된다.
여기서, 버스에 의한 미세먼지는 버스가 개방형 버스정류장(1)을 통과하거나, 개방형 버스정류장(1)에서 일시정지한 후 재출발하는 경우 상기 버스에 의해 비산되는 미세먼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PM 10의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PM 2.5의 초미세먼지도 포함할 수 있다.
개방형 버스정류장(1)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본체(10), 오염공기 유입부(20), 팬(30), 필터부(40) 및 디퓨저(50)를 구비한다.
부스 본체(10)는 일측의 탑승대기공간에 위치하는 승객을 빗물, 눈, 성에, 우박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11)와 타측의 오염공기의 유입 및 청정공기의 배기를 위한 내부관로(12)를 구비한다.
커버(11)는 부스 본체(10) 일측의 탑승대기공간에 위치하는 승객을 빗물, 눈, 성에, 우박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탑승대기공간을 덮는 형태로 부스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관로(12)는 오염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일단이 부스 본체(10)의 타측에 배치되며, 청정공기의 배기가 이루어지는 타단이 부스 본체(10)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때, 내부관로(12)의 타단이 부스 본체(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은 청정공기의 배기를 통해 탑승대기공간으로 확산(또는 비산)되는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내부관로(12)는 부스 본체(10)의 타측에 하나의 내부관로(12)로 마련될 수 있으나, 오염공기의 유입량 증가에 따라 청정공기의 배기량이 증가되도록, 서로 중복되지 않는 내부관로(12)로서, 부스 본체(1)의 내부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오염공기 유입부(20)는 내부관로(12)의 일단에 결합되며, 오염공기의 내부관로(12) 유입을 위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윙플레이트(21)를 구비한다.
이때, 유입구 및 윙플레이트(21)는 오염공기의 유입경로가 복수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염공기 유입부(20)는 내부관로(12)가 청정공기의 배기량 증가를 위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내부관로(12)에 오염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관로(12)와 동일 개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내부관로(12)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30)은 오염공기의 흡입과 청정공기의 배기를 위해 내부관로(12)에 구비된다.
이러한 팬(30)은 청정공기의 배기를 위해 내부관로(12) 상에서 필터부(40)보다 내부관로(12)의 타단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팬(30)은 내부관로(12)가 청정공기의 배기량 증가를 위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내부관로(12) 상에서 오염공기의 흡입 및 청정공기의 배기가 발생되도록 내부관로(12)와 동일 개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내부관로(12)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부(40)는 팬(30)에 의해 흡입되어 오염공기 유입부(20)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내부관로(12)에 구비되며, 오염물질의 제거를 통해 청정공기를 생성한다.
이러한 필터부(40)는 팬(30)이 청정공기를 흡입하도록, 내부관로(12) 상에서 팬(30)보다 내부관로(12)의 일단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부(40)는 1~10 ㎛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여과지를 구비하는 헤파(HEPA)필터로 이루어져 오염공기에 포함된 먼지보다 입경이 작은 미세입자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필터부(40)는 상기와 같이 헤파필터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오염공기 유입부(20)에 인접한 순서대로 오염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프리필터, 오염공기에 혼합된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활성탄필터 및 상기 헤파필터 순으로 구성되는 필터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필터부(40)는 내부관로(12)가 청정공기의 배기량 증가를 위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내부관로(12)에 청정공기가 생성되도록 내부관로(12)와 동일 개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내부관로(12)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퓨저(50)는 내부관로(12)의 타단에 결합되며, 팬(30)으로부터 배기되는 청정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와 청정공기의 배출각도를 설정 및 변경하기 위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윙플레이트(51)를 구비한다.
이때, 배출구 및 윙플레이트(51)는 청정공기의 배출경로가 복수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디퓨저(50)는 청정공기의 배출을 통해 버스에 의한 미세먼지와 대기중의 미세먼지가 부스 본체(10) 일측의 탑승대기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디퓨저(50)는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탑승대기공간의 승객을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디퓨저(5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방향에서 탑승대기공간으로 동시에 확산되는 미세먼지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부스 본체(10)의 일측에 복수로 마련되며, 윙플레이트(51)의 청정공기의 배출각도가 다양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형 버스정류장(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공기 유입부(20)와 디퓨저(50)를 각각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60)를 구비한다.
제어부(60)는 오염공기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해 오염공기 유입부(20)에 구비된 윙플레이트(21)의 회전을 제어하며, 청정공기 배출각도를 설정 및 변경하기 위해 디퓨저(50)에 구비된 윙플레이트(51)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60)는 윙플레이트(21, 51)의 회전을 각각 제어할 뿐만 아니라, 윙플레이트(21, 51)의 회전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일 실시예의 개방형 버스정류장(1)과 중복되지 않는 구성 및 기술특징을 중심으로 다른 실시예의 개방형 버스정류장(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어부(60)는 오염공기 유입부(20)에 구비된 윙플레이트(21)와 디퓨저(50)에 구비된 윙플레이트(51)의 회전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른 환경기준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될 수 있다.
센서부(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71) 및 제2 센서(7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센서(71)는 부스 본체(10) 일측 즉, 탑승대기공간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기 위해 부스 본체(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7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관로(12)의 타단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관로(12)의 타단보다 하측인 하측영역(71a)과 상기 하측영역(71a)의 상측인 상측영역(71b)으로 나누어 탑승대기공간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하측영역(71a)은 내부관로(12)의 타단을 기준으로 하측의 감지영역이므로, 상기 감지영역에는 보도블럭(100)에 배치되는 의자(200)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1 센서(71)가 감지하는 미세먼지의 농도와 기저장된 환경기준의 미세먼지 농도를 비교하여 복수의 디퓨저(50)에 구비된 윙플레이트(51)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제어부(60)는 제1 센서(71)로부터 감지되는 하부영역(71a)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환경기준의 미세먼지 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복수의 디퓨저(50)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50)에 구비된 윙플레이트(51)를 회전시켜 청정공기가 하측영역(71a)에서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인 다른 예로, 제어부(60)는 제1 센서(71)로부터 감지되는 상부영역(71b)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환경기준의 미세먼지 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복수의 디퓨저(50)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50)에 구비된 윙플레이트(51)를 회전시켜 청정공기가 상측영역(71b)에서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인 또 다른 예로, 제어부(60)는 제1 센서(71)로부터 감지되는 하부영역(71a)과 상부영역(71b)의 미세먼지 농도가 동시에 기설정된 환경기준의 미세먼지 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복수의 디퓨저(50)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50)와 다른 하나의 디퓨저(50)에 각각 구비된 윙플레이트(51)를 회전시켜 청정공기가 하부영역(71a)과 상부영역(71b)에서 각각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2 센서(72)는 탑승대기공간의 승객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의 변화량을 통해 승객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스 본체(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센서(72)는 승객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PZT(지르콘산 티탄산연)계 또는 LiTaO3(탄탈산 리튬)계의 초전소자를 이용하여 감지영역 내의 피측정인의 신체 일부분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PIR(Passive Infrared)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2 센서(72)로부터 승객의 생체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디퓨저(50)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50)에 구비된 윙플레이트(51)를 회전시켜 청정공기가 승객의 주변에서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제1 센서(71)로부터 감지되는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환경기준의 미세먼지 농도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더라도, 제2 센서(72)로부터 승객의 생체신호가 미감지되어 탑승대기공간에 승객이 미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오염공기 유입부(20)에 구비된 윙플레이트(21)를 회전시켜 오염공기 유입부(20)의 유입구를 폐쇄하여 청정공기의 배기를 중단할 수 있다. 이는, 미세먼지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승객이 탑승대기공간에 위치하지 않을 때 공기정화가 일방적으로 실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일방적인 공기정화 과정으로부터 필터부(40)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복수의 디퓨저(50)는 제1 센서(71)가 감지하는 하부영역(71a)과 상부영역(71b)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환경기준의 미세먼지 농도를 초과하는 동시에, 제2 센서(72)가 승객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청정공기가 하부영역(71b), 상부영역(71b) 및 승객을 향해 동시에 확산되도록 하나의 부스 본체(10)에 적어도 3개 이상의 디퓨저(50)로 마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센서부(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센서(71, 72) 뿐만 아니라 제3 센서(73) 및 제4 센서(74)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센서(73)는 부스 본체(10)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로를 따라 주행하여 부스 본체(10)에 진입하는 버스를 감지하기 위해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부스 본체(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센서(74)는 제3 센서(73)가 감지한 버스가 개방형 버스정류장(1)을 통과하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제3 센서(73)가 배치되는 부스 본체(10)의 측면과 대향되는 부스 본체(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3 센서(73)의 버스 감지를 통해 상기 버스가 부스 본체(10)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복수의 디퓨저(50)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50)에 구비된 윙플레이트(51)를 상기 버스가 주행하는 도로를 향해 회전시켜 상기 버스에 의한 미세먼지가 보도블럭(100)로 비산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제4 센서(74)의 버스 감지를 통해 상기 버스가 부스 본체(10)로부터 벗어나 상기 부스 본체(10)에 상기 버스가 미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3 센서(73)의 버스 감지 때 회전을 제어하였던 윙플레이트(51)를 회전시켜 하측영역(71a), 상측영역(71b) 및 승객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청정공기가 확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디퓨저(50)는 센서부(70)가 제1, 2, 3, 4 센서(71, 72, 73, 74)를 구비하여 제1 센서(71)가 감지하는 하부영역(71a)과 상부영역(71b)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환경기준의 미세먼지 농도를 초과하며, 제2 센서(72)가 승객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고, 제3 센서(73)가 버스를 감지하는 경우, 청정공기가 하부영역(71a), 상부영역(71b), 승객 및 도로를 향해 동시에 확산되도록 하나의 부스 본체(10)에 적어도 4개 이상의 디퓨저(50)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 개방형 버스정류장, 10: 부스 본체,
11: 커버, 12: 내부관로,
20: 오염공기 유입부, 21: 윙플레이트,
30: 팬, 40: 필터부,
50: 디퓨저, 51: 윙플레이트,
60: 제어부, 70: 센서부,
71: 제1 센서, 71a: 하부영역,
71b: 상부영역, 72: 제2 센서,
73: 제3 센서, 74: 제4 센서,
100: 보도블럭, 200: 의자.

Claims (10)

  1. 개방형 버스정류장에 있어서,
    커버가 상부에 구비되며, 버스가 주행하는 도로 및 승객의 탑승대기공간이 일측에 배치되도록 보도블럭에 설치되는 부스 본체;
    상기 부스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관로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부스 본체 타측의 오염공기가 상기 내부관로에 유입되도록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윙플레이트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오염공기 유입부;
    상기 내부관로에 구비되어 상기 오염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오염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이 제거된 청정공기를 상기 내부관로의 타단으로 배기하는 팬;
    상기 내부관로 상에서 상기 팬보다 상기 유입부와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되는 오염공기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청정공기를 생성하는 필터부;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내부관로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팬으로부터 배기되는 청정공기를 상기 부스 본체의 일측에 배출하여 상기 버스에 의해 비산되는 미세먼지 또는 대기중의 미세먼지가 상기 부스 본체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청정공기의 배기각도를 설정 및 변경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윙플레이트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디퓨저;
    상기 오염공기 유입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와 상기 디퓨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의 회전을 각각 제어하며,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른 환경기준이 기저장되는 제어부; 및
    상기 부스 본체 일측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승객의 신체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의 변화량을 통해 상기 승객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상기 부스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로를 따라 주행하여 상기 부스 본체에 진입하는 버스를 감지하는 제3 센서, 상기 제3 센서가 감지한 버스가 상기 개방형 버스정류장을 통과하는지를 감지하는 제4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오염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1~10 ㎛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여과지를 구비하는 헤파(HEPA)필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내부관로의 타단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관로의 타단보다 하측인 하측영역과 상기 하측영역의 상측인 상측영역으로 나누어 상기 부스 본체 일측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상측영역 또는 하측영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환경기준의 미세먼지 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퓨저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청정공기가 상기 상측영역 및 하측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확산되도록 유도하며,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승객의 생체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퓨저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청정공기가 상기 승객의 주변에서 확산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상측영역 또는 하측영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환경기준의 미세먼지 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더라도,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승객의 생체신호가 미감지되어 상기 승객의 탑승대기공간에 승객이 미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오염공기 유입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오염공기 유입부의 유입구를 폐쇄하여 청정공기의 배기를 중단시켜 상기 필터부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며,
    상기 제3 센서의 버스 감지를 통해 상기 버스가 상기 부스 본체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퓨저 중 적어도 하나의 디퓨저에 구비된 윙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버스에 의한 미세먼지가 보도블럭으로 비산되는 것을 저감시키고,
    상기 제4 센서의 버스 감지를 통해 상기 버스가 상기 부스 본체로부터 벗어나 상기 부스 본체에 상기 버스가 미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3 센서의 버스 감지 때 회전을 제어하였던 윙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하측영역, 상측영역 및 승객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청정공기가 확산되도록 유도하며,
    상기 복수의 디퓨저는,
    상기 제1 센서가 감지하는 상기 하부영역과 상부영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상기 환경기준의 미세먼지 농도를 초과하며, 상기 제2 센서가 승객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3 센서가 상기 버스를 감지하는 경우, 청정공기가 상기 하부영역, 상부영역, 승객 및 도로를 향해 동시에 확산되도록 적어도 4개 이상의 디퓨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버스정류장은,
    상기 오염공기의 유입량 증가에 따라 상기 청정공기의 배기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내부관로가 상기 부스 본체에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오염공기 유입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팬이 상기 복수의 내부관로에 각각 구비 또는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내부관로와 동일 개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54401A 2021-04-27 2021-04-27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 KR102530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401A KR102530425B1 (ko) 2021-04-27 2021-04-27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401A KR102530425B1 (ko) 2021-04-27 2021-04-27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755A KR20220147755A (ko) 2022-11-04
KR102530425B1 true KR102530425B1 (ko) 2023-05-11

Family

ID=8410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401A KR102530425B1 (ko) 2021-04-27 2021-04-27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4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075B1 (ko) * 2018-11-14 2020-12-09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KR102200416B1 (ko) * 2019-06-21 2021-01-08 (주)금영제너럴 탑승체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174B1 (ko) 2008-01-16 2010-05-11 주식회사 이안씨앤에스 공기정화 수산기 발생장치가 장착된 버스정류장
KR20170003286A (ko) 2015-06-30 2017-01-09 이연순 공기정화기를 갖는 버스정류장
KR102098730B1 (ko) * 2017-12-19 2020-04-08 하관수 미세먼지 차단형 버스정류장 부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075B1 (ko) * 2018-11-14 2020-12-09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KR102200416B1 (ko) * 2019-06-21 2021-01-08 (주)금영제너럴 탑승체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755A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069B1 (ko) 타워형 자가발전 및 미세먼지 처리장치
CN205461527U (zh) 一种车载除雾霾装置
KR102189075B1 (ko)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US10682895B2 (en) Vehicle ambient air purification arrangement and method, and a vehicle and vehicle fleet comprising such arrangement
JPH03233100A (ja) 自動車道トンネル用換気設備
CN106369682A (zh) 收费岗亭空气净化系统
KR102159452B1 (ko) 미세먼지 저감장치
CN104492200A (zh) 多级水过滤空气净化器
CN202191819U (zh) 基于除尘和常温吸附为一体的隧道废气净化装置
KR102530425B1 (ko) 미세먼지의 저감이 가능한 개방형 버스정류장
CN103706250B (zh) 大气污染动静结合立体化治理系统
KR102278468B1 (ko) 버스승강장
KR102262263B1 (ko) 대기정화장치
KR101939691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KR102356587B1 (ko) 이동식 스마트 공기정화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NL1031640C2 (nl) Inrichting, 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passief afvoeren van fijnstof en/of stikstofdioxiden bevattende lucht.
JP2001064921A (ja) 大気浄化防音パネル
KR102229159B1 (ko)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KR101985426B1 (ko) 플라즈마 정화차량
CN108261859B (zh) 一种搭接路灯的雾霾净化装置及净化方法
KR20200022165A (ko) 시동주차 차량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1952121B1 (ko) 초미세먼지 흡진 및 필터링 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KR101964912B1 (ko) 초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Dhanvijay et al. Review on Air Pollution on Health and Its Prevention
CN104117259B (zh) 清洁空气的高效系统净化装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