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159B1 -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159B1
KR102229159B1 KR1020190032079A KR20190032079A KR102229159B1 KR 102229159 B1 KR102229159 B1 KR 102229159B1 KR 1020190032079 A KR1020190032079 A KR 1020190032079A KR 20190032079 A KR20190032079 A KR 20190032079A KR 102229159 B1 KR102229159 B1 KR 102229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housing
adsorption
ball
pur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2114A (ko
Inventor
염병수
Original Assignee
(주)프라즈마 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라즈마 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프라즈마 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90032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15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9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reating air sourced from urban areas, e.g. from str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24F2221/225Cleaning ducts or apparatus using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미세먼지 발생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또는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곳의 미세먼지를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해 흡착한 후 세척하는 미세먼지 정화장치(100)가 제공된다.
미세먼지 정화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흡착볼(110),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흡기구,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정화장치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착볼에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일부의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FINE DUST REMOVAL DEVICE USING ELECTRICALLY CHARGED ADSORBENT-BALL}
본 발명은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이 속속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발생원이나 국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의 유입경로 내지는 원인이 구체적으로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로 나날이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아만 가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 하에, 다양한 미세먼지 발생원, 발생형태 및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지역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정화장치에 대한 사회적 요청 또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기존의 오염공기 정화장치 등은 이러한 유동적인 미세먼지 발생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허등록번호 10-1928199호, 등록일자 2018.12.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는 하나 이상의 흡착볼,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흡기구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 정화장치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착볼에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일부의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이 양전하를 띰으로써 음전하를 띠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이물질이 흡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에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적어도 일부의 이물질을 흡착하고, 상기 미세먼지 정화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을 세척하는 세척부 및 상기 세척된 하나 이상의 흡착볼을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단차를 마련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정화장치는 미세먼지가 발생하거나 유입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 유동적으로 설치됨으로써 효과적으로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레이트가 입체적으로 배열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척부, 이송부, 벨트 및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후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와 분사부가 마련된 일측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미세먼지 정화장치가 미세먼지 유발 설비 인근 인접도로와 인접보행로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미세먼지 정화장치가 설치되어 도로에 면한 일측면이 도로상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장치(100)는 도 5와 같이 미세먼지 발생원인 시설의 인근에 설치되며, 도 1과 같이 대전된 하나 이상의 미세먼지 흡착볼(110), 정화장치본체(100)의 일 측면으로 유입되는 공기(210)가 들어오는 흡기구, 마주보는 일 측면 내지는 하나 이상의 다른 일 측면이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220)가 배출되는 배기구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정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레이트가 입체적으로 배열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척부, 이송부, 벨트 및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후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와 분사부가 마련된 일측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대전된 하나 이상의 흡착볼(110)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정화장치본체(100)는 본체의 일 측면에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210)가 흡기되는 흡기구가 구비되고 마주보는 일 측면 내지는 하나 이상의 다른 일 측면에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220)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기구가 되는 일 측면은 그 설치장소, 설치상태, 플레이트(120 내지 128)의 입체적 배열 또는 상기 요소들의 조합에 따라 정화장치본체(100)의 저면, 상면 또는 어느 일 측면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배기구 또한 설치장소, 설치상태, 플레이트(120 내지 128)의 입체적 배열 또는 상기 요소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흡기구와 마주보거나 마주보지 않는 일 측면이 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모습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화장치본체(100)의 하우징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성을 갖는 동시에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대전된 표면을 갖고 있는 흡착볼(110)은 내부에 압전방식으로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방사되는 빛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보여질 수 있다.
상기 흡착볼(110)은 표면이 양전하로 대전되어 매우 양호하게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오염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착볼(110)은 물 또는 미세먼지 흡착력을 높일 수 있는 액체가 표면에 분사된 상태에서 보다 높은 흡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흡착볼(110)의 표면은 플레이트(120 내지 128)를 통해 이동하면서 탄성력에 의하여 튕기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화장치본체(100)에는 미세먼지 농도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배출부(150)는 더 많거나 적은 수의 흡착볼(110)을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150)에는 흡착볼(110)들을 수용 및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해당 공간에는 세척된 흡착볼(110)들이 보관되며, 배출부(150)의 제어에 따라 배출되는 흡착볼(110)들의 개수 및 배출속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흡기구 및 배기부 각각에 흡기되는 공기 및 배기되는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정화장치는 흡기구 및 배기부에서 각각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를 산출하고,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배출되는 흡착볼(110)들의 수를 늘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흡기구 및 배기부에서 각각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정화장치는 배출되는 흡착볼(110)들의 수를 점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배출되는 흡착볼(110)들의 수를 줄임에 따라 흡기구 및 배기부에서 각각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감소할 수 있다. 정화장치는 해당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한도 내에서 배출되는 흡착볼(110)들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흡기부 또는 배기부에는 흡기 또는 배기를 도와줄 수 있는 팬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기부 또는 배기부에 구비된 팬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흡기량 또는 배기량을 더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흡기구 및 배기부에서 각각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정화장치는 흡기부에 구비된 팬의 회전속도를 높이고, 배기부에 구비된 팬의 회전속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흡기구 및 배기부에서 각각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정화장치는 흡기부에 구비된 팬의 회전속도를 낮추고, 배기부에 구비된 팬의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120 내지 128)는 정화장치본체(100)의 내부를 통과하는 오염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거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통기성을 갖출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20 내지 128)는 메쉬 혹은 복수의 통공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치상태와 필요에 따라 통기성을 갖지 않는 다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20 내지 128)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플레이트(120 내지 128)의 개수는 설치장소, 설치상태, 설치상황, 플레이트의 입체적인 배열 또는 상기 요소들의 조합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20 내지 128)의 설치위치, 크기, 모양 등은 도시된 모습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플레이트(120 내지 128)는 미세먼지 발생원, 발생형태, 설치장소의 입지적 조건 등 기타 요소에 따라 상이한 입체적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입체적 배열에 따라 다양하게 생길 수 있는 단차와 경로를 상기 흡착볼(110)이 통과하도록 하여 유동적인 미세먼지 발생상황에 유효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120 내지 128)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절첩되어 보관되거나 펼쳐져서 이용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120 내지 128)가 절첩되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기계적 구성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20 내지 128) 각각은 하나 이상의 힌지로 연결된 복수의 서브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브 플레이트가 힌지를 통해 절첩되거나 펼쳐질 수 있다. 다른 예로, 플레이트(120 내지 128) 각각은 롤 형태로 수용되거나 펼쳐질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레이트(120 내지 128)에는 이를 절첩 혹은 수용거나 펼치기 위한 동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화장치의 제어부는 각각의 플레이트(120 내지 128)의 절첩 및 수용상태를 제어함으로써 펼쳐진 플레이트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화장치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펼쳐진 플레이트의 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경우 다섯 개의 플레이트(120 내지 128)를 모두 펼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흡착볼(110)의 이동경로를 길게 하여 미세먼지 제거율을 높일 수 있고,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경우 일부 플레이트만을 펼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흡착볼(110)의 이동경로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정화장치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펼쳐진 플레이트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20 내지 128) 각각은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동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화장치는 각 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이를 통해 튕기면서 이동하는 흡착볼(110)들의 동작을 다양하게 연출함으로써 심미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정화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성분을 분석하고,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성분 중 유해물질들의 종류를 판단하며, 유해물질들 중 대기보다 무거워 가라앉는 성질의 유해물질이 많은 경우 플레이트들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유해물질들 중 대기보다 가벼워 뜨는 성질의 유해물질이 많은 경우 플레이트들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정화장치본체(100)의 하부에는 미세먼지를 흡착한 상태로 하부에 도착한 흡착볼(110)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단에는 세척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미세먼지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는 교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에는 세척과정에서 분별되는 미세먼지 슬러지를 분별하여 배출할 수 있는 배출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화장치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척부에서 깨끗하게 세척된 흡착볼(110)이 상기 정화장치본체(100) 상부의 흡착볼(110)이 배출되는 배출부(150)로 옮겨질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140)는 이송장치 또는 수단의 구조에 따라 이송용 벨트(142)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송용 벨트(142)에는 흡착볼(110)을 수용하여 상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흡착볼(110)은 흡착력을 이용하여 이송용 벨트(142)에 부착되어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140)는 이송과정에서 상기 흡착볼(110)이 세척 후 다시 양전하를 띨 수 있도록 하는 대전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화장치본체(100)의 일 측면에는 상기 흡착볼(110)의 미세먼지 흡착 작용을 높일 수 있도록 물 또는 기타의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부(160)가 설치된다. 상기 분사부(160)에는 분사될 물 또는 액체가 담길 수 있는 용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사부(160)에는 분사될 물 또는 액체를 공급시켜주는 배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50)에는 상기 세척부(130)에서 세척되고 상기 이송부(140)를 통해서 이송된 흡착볼(110)이 상기 플레이트(120 내지 128)에 의해 생긴 경로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출하는 배출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부(150)에는 상기 흡착볼(110)의 표면을 대전된 상태로 만들 수 있는 대전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50) 또는 상기 이송부(140)에 구비된 대전장치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더 많거나 적은 전하량으로 상기 흡착볼(110)을 대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정화장치본체(100)는 오염공기를 배출하는 시설의 배기구 인근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지하철 지하시설의 공조기, 환풍기, 또는 기타 환기시설의 배기구에 설치되어 오염공기를 배출 후 즉시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상기 정화장치본체(100)는 미세먼지 유발시설의 위치나 구조에 따라 그에 맞는 효율적인 위치와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미세먼지 정화장치가 설치되어 도로에 면한 일측면이 도로상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정화장치본체(100)의 각 측면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흡착볼(110)이 튕기며 이동하는 모습을 통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 정화장치본체(100)의 측면들 중 적어도 일부 혹은 전부가 불투명하게 변화하거나, 블라인드장치 등을 통해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차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화장치본체(100)의 각 측면은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한 유리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투명도의 조절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나, 태양광의 세기 혹은 전류의 흐름 등에 의하여 투명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정화장치본체(100)는 도로에 면한 일 측면(104)은 일몰 후 또는 저녁, 밤 등 주변이 어두운 소정의 시간대에는 불투명하게 변화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들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도로에 면한 일 측면(104)뿐 아니라 이에 접한 나머지 두 면 또한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정화장치본체(100)의 도로에 면한 일 측면(104)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인근 교통량, 인접 대중교통시설의 운행 현황, 미세먼지의 국지적 농도, 또는 기타 필요한 사항이 도시될 수 있다.
상기 정화장치본체(10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등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인접보행자(20)의 디바이스에 직접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화장치본체(100)에는 각기 식별코드가 부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인접보행자(20)의 개별 디바이스 GPS 지도 상에 각각의 정화장치본체(100)의 위치가 표시되어 인근지역정보 등을 게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접보행자(20)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에는 하나 이상의 정화장치본체(100)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하는 지도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지도에는 하나 이상의 정화장치본체(100)가 설치된 위치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지도에는 정화장치본체(100)의 주변 미세먼지 농도뿐 아니라 미세먼지 측정센서가 부착된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측정되는 미세먼지 농도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의 미세먼지 농도를 갖는 영역은 클린 존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화장치본체(10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의 공간은 공기정화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져 클린 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활동을 하는 사용자들이 클린 존 주변으로 모이도록 유도할 수 있고, 사용자들이 정화장치본체(100)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로 이동하여 정화장치본체(100)에 마련된 비콘 단말과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가능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는 소정의 정보가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화장치본체(100)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로 이동하여 정화장치본체(100)에 마련된 비콘 단말과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이 가능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는 기 설정된 광고가 송신되어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정화장치본체(100)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만 기 설정된 광고가 사용자 단말에 송신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정화장치본체(100)는 광고 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도로에 면한 일 측면(104)에는 인접차량(10)의 평균시속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장치로 측정된 개별차량 내지는 다수의 통행차량에 대한 정보는 정보처리되어 실시간 교통정보로써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장치를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는 인근 또는 구간 과속차량의 단속, 교통사고 발생 고위험지역의 판단, 인근 횡단보도의 횡단시간 조정, 차로 확대, 감축에 대한 판단, 또는 기타 필요한 판단의 기초정보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정화장치본체(100)는 이러한 정보의 송수신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정보처리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화장치본체(100)는 응급상황에 있어서 인접보행자(20)의 조작에 따라 인근 응급시설, 경찰서, 소방서 등의 방재기관, 치안기관, 의료기관 또는 기타 필요기관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주변시설 공조기 배기부
2 : 인접도로
3 : 인접보행로
10 : 인접도로 통행 차량
20 : 인접보행로 보행자
100 : 정화장치본체
102 : 분사부가 마련된 일 측면
104 : 도로에 면한 일 측면
110 : 흡착볼
120, 122, 124, 126, 128 : 플레이트
130 : 세척부
140 : 이송부
142 : 벨트
150 : 배출부
160 : 분사부
210 :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220 :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Claims (5)

  1. 미세먼지 정화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흡착볼;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구비되는 흡기구;
    상기 하우징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배기구;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단차지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볼에 물 또는 기타의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부;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흡착볼을 세척하는 세척부; 및
    상기 세척된 하나 이상의 흡착볼을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이송되도록 상기 분사부와 대향하는 일측에 설치되는 이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먼지 정화장치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양전하를 띠는 상기 흡착볼에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일부의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정화장치.
KR1020190032079A 2019-03-21 2019-03-21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KR102229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079A KR102229159B1 (ko) 2019-03-21 2019-03-21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079A KR102229159B1 (ko) 2019-03-21 2019-03-21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114A KR20200112114A (ko) 2020-10-05
KR102229159B1 true KR102229159B1 (ko) 2021-03-17

Family

ID=7280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079A KR102229159B1 (ko) 2019-03-21 2019-03-21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7400B (zh) * 2023-08-01 2023-09-26 常州市武进广宇花辊机械有限公司 一种无纺布高速分切装置及分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9845A (ja) * 2015-05-13 2016-1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集塵フィルタ、集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272B1 (ko) * 2016-10-26 2018-05-25 예일알앤디 주식회사 직화구이용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1928199B1 (ko) 2017-06-26 2019-02-26 오영호 물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습식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9845A (ja) * 2015-05-13 2016-1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集塵フィルタ、集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114A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74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ambient air purification
CN204637866U (zh) 移动式空气清净装置
CN106178307A (zh) 空气处理面罩系统、以及相关方法和空气处理面罩
KR102229159B1 (ko) 대전된 흡착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CN101400427A (zh) 过滤城市环境中空气的方法和设备
KR101843544B1 (ko) 대기정화장치
KR102189075B1 (ko) 미세먼지 저감시스템을 갖는 공간분리형 버스정류장
CN110145711A (zh) 一种路灯
CN204051265U (zh) 车载城市扬尘监测及应急处理装置
KR20200112112A (ko) 이송용 벨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KR20200112110A (ko) 흡착볼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이 설치된 미세먼지 정화장치
KR20200112111A (ko) 태양광의 세기에 의하여 투명도가 조절될 수 있는 미세먼지 정화장치
KR20200112113A (ko)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오염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정화장치
KR102135595B1 (ko) 지하철 환기구를 활용한 공공편의시설용 시스템 부스
KR20110024429A (ko) 지하철 공기 정화장치
CN103977895A (zh) 一种近地雾霾净化装置
ES2244265A1 (es) Sistema combinado de eliminacion de contaminantes de efluentes gaseosos.
KR102104395B1 (ko)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 가로등
JPH0727367A (ja) 空気浄化装置付き表示塔
KR20190022284A (ko) 대기정화장치
KR101912700B1 (ko) 전동차 내부의 철 분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KR20160071081A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098112B1 (ko)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제공하는 버스 정류장용 승객 대기소
KR102334741B1 (ko) 사용자 편의와 공기 정화 효율이 향상된 버스 정류장 쉘터
KR200432641Y1 (ko) 공기정화 수산기 발생장치가 내장된 보행인 안내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