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544B1 - 대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대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544B1
KR101843544B1 KR1020170107300A KR20170107300A KR101843544B1 KR 101843544 B1 KR101843544 B1 KR 101843544B1 KR 1020170107300 A KR1020170107300 A KR 1020170107300A KR 20170107300 A KR20170107300 A KR 20170107300A KR 101843544 B1 KR101843544 B1 KR 101843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ilter
air
passage
atmosph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어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어에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어에코텍
Priority to KR102017010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544B1/ko
Priority to PCT/KR2018/001975 priority patent/WO2019039679A1/ko
Priority to KR1020180030256A priority patent/KR102262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01D46/007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오염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대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기정화유로 및 먼지수집유로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유입되는 대기에 포함된 먼지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와, 상기 제1필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필터부에 포집된 먼지를 분리시켜 상기 먼지수집유로로 보내는 제1필터청소부와,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유입되는 대기의 풍속에 따라 유동을 발생시키거나 풍력 발전을 하는 송풍발전부와, 상기 먼지수집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서 상기 먼지수집유로로 보내진 먼지를 모으는 먼지함과, 상기 먼지함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먼지수집유로로 보내진 먼지를 상기 먼지함으로 안내하는 먼지분리부를 포함하는 대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기정화장치{Apparatus For filtering Air Pollution}
본 발명은 대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대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대기 오염이 여러 가지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대기 오염의 발생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화석 연료의 사용이 가장 큰 원인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대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은 화석연료 연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을 포함한다. 또한 오염물질은 화석연료 연소로 발생하는 물질 이외에도 각종 먼지 등도 포함한다. 먼지는 직경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성 대기오염 물질으로서, 부유먼지와 미세먼지로 나눌 수 있다.
대기 오염 문제의 해결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대기 오염 물질의 발생 자체를 방지 또는 저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소의 추가 건설을 하지 않거나 기존에 운영중인 발전소의 운영 정지, 자동차 등의 운송수단에서 매연 저감 방안을 강구하는 것 등이다. 둘째는 이미 발생된 대기 오염 물질의 제거이다.
그런데, 근래에 대기 오염 문제의 해결을 하는 방식은 주로 대기 오염 물질의 발생 자체를 방지 또는 저감하는 것이며, 발생된 대기 오염 물질의 제거의 측면에서는 효율적이 수단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발생된 대기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연구에 의하면, 미세먼지의 85%는 재비산 먼지이므로,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생된 먼지의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의 개발이 더욱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대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대기정화유로 및 먼지수집유로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유입되는 대기에 포함된 먼지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와; 상기 제1필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필터부에 포집된 먼지를 분리시켜 상기 먼지수집유로로 보내는 제1필터청소부와;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유입되는 대기의 풍속에 따라 유동을 발생시키거나 풍력 발전을 하는 송풍발전부와; 상기 먼지수집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서 상기 먼지수집유로로 보내진 먼지를 모으는 먼지함과; 상기 먼지함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먼지수집유로로 보내진 먼지를 상기 먼지함으로 안내하는 먼지분리부를 포함하는 대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유입되는 대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유입되는 대기의 먼지를 2차로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와; 제2필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필터부에 포집된 상기 먼지수집유로로 보내는 제2필터청소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유입되는 대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여,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발전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부는 여과방식 필터를 포함하며, 제2필터부는 전기집진방식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필터부는, 다수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구비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각각 치합되는 한 쌍의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필터청소부는, 상기 필터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에는 압축공기 유입구가 연결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분사공이 구비되는 에어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필터부는, 정전기 발생부와, 다수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구비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각각 치합되는 한 쌍의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흡착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필터청소부는, 상기 흡착핀의 내측에 위치하며, 일측에는 압축공기 유입구가 연결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분사공이 구비되는 에어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먼지분리부는, 상기 먼지수집유로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1부재와; 상기 먼지수집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부재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부재의 접촉하여 먼지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부재는, 다수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구비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각각 치합되는 한 쌍의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유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유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의 하부에는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의 사이에는 상기 먼지함과 상기 먼지수집유로를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부재의 후측에는 송풍팬이 더욱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살균부는 플라즈마 살균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대기정화유로의 입구와 출구에는,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유입 및 유출되는 대기의 오염도를 각각 측정하는 제1오염도센서 및 제2오염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오염도센서 및 상기 제2오염도센서에서 측정된 대기의 오염도를 대기오염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기정화유로의 소정 유치에는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이동하는 차량 또는 건물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전기자동차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동시에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정화장치를 전기자동차에 설치하며, 전기자동차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대기 오염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의 오염도를 광범위한 지역에서 측정하여, 이러한 오염 정보를 특정의 대기 오염 통합관리 센터로 보내어, 각 지역별로 대기 오염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제1필터부의 주요 구성 및 동력 전달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제1필터부 및 제1필터청소부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제2필터부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2의 먼지분리부의 유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2의 먼지분리부의 유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2의 대기정화장치를 제어 측면에서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의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지만 이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에서 설명될 실시예 또는 도면에 그려진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대기정화장치(1)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3)의 내부에는 대기정화유로(F1) 및 먼지수집유로(F2)가 구비된다. 대기정화유로(F1)는 대기가 유동하는 유로이다. NOx, SOx, 먼지, 미세 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하 편의상 총칭하여 '먼지')을 함유한 공기(대기)가 대기정화유로(F1)의 입구로 들어와 출구 방향으로 유동한다. 먼지는 대기정화유로(F1)에 설치된 필터부(12, 2)에서 걸러지고, 먼지가 걸러진 공기가 대기정화유로(F1)의 출구로 나가게 된다. 대기정화유로(F1)에서 포집된 먼지는 먼지수집유로(F2)로 안내되고, 먼지수집유로(F2)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먼지함(26)에 최종적으로 수집된다.
하우징(3)은, 대기정화유로(F1) 및 먼지수집유로(F2)를 구비한 제1하우징(32)과, 상기 제1하우징(32)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제2하우징(34) 및 제3하우징(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32)은 폭이 넓고 높이가 작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하우징(34) 및 제3하우징(36)의 내부에는, 모터(M), 기어박스(120), 컴프레서(362) 등과 같은 각종 기계부품, 제어장치(54), 축전지(52) 등과 같은 전장부품 등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하우징(3)의 상부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부(7)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하우징(32)의 대기정화유로(F1) 및 먼지수집유로(F2)의 전면 및 후면에는 메시 형상의 보호부재(52, 54)가 구비될 수 있다. 보호부재(52, 54)는 대기정화유로(F1) 및 먼지수집유로(F2)에 설치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1하우징(32)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미도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기정화장치(1)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도어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대기정화장치(1)는 자동차 등과 같은 이동하는 이동수단(이하 편의상 '차량')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대기정화장치는 버스, 지하철 등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대기정화장치(1)가 차량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이 움직일 때 발생하는 풍속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먼지를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풍속을 이용하여 풍력발전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기정화장치는 전방보다 후방이 약간 높게 설치되어, 빗물 등이 대기정화장치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기정화유로(F1)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대기정화유로(F1)에는, 상기 대기정화유로(F1)에 유입되는 대기에 포함된 먼지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12)가 구비된다. 제1필터부(12)에는 상기 제1필터부(12)에 포집된 먼지를 분리시키켜 먼지수집유로(F2)로 안내하는 제1필터청소부(66)가 구비된다. 또한 대기정화유로(F1)에는, 상기 대기정화유로(F1)에 유입되는 대기의 풍속에 따라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거나 풍력 발전을 하는 송풍발전부(4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기정화유로(F1)에는, 상기 대기정화유로(F1)에 유입되는 대기에 포함된 세균 등을 살균하는 살균부(16)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대기정화유로(F1)에는, 상기 대기정화유로(F1)에 유입되는 대기의 먼지를 2차로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2) 및 제2필터청소부(68)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제1필터부(12)와 제2필터부(2)가 같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필터부(12)와 상기 제2필터부(2)는 먼지를 필터링하는 방식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들 들어, 제1필터부(12)는, 대기에 포함된 먼지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구멍을 가지는 필터(이하 편의상 '여과방식 필터')를 사용하고, 제2필터부(2)는 정전기 등을 이용하는 전기집진방식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기정화유로(F1)에는, 상기 대기정화유로(F1)에 유입되는 대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부(22)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대기정화유로(F1)의 입구와 출구에는, 상기 대기정화유로(F1)에 유입 또는 유출되는 대기의 오염도를 각각 측정하는 제1오염도센서(42) 및 제2오염도센서(4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기정화유로(F1)의 소정 위치에는 풍속센서(4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정되지는 않지만, 제1필터부(12), 송풍발전부(42), 살균부(16), 제2필터부(20), 풍력발전부(22)는 대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먼지수집유로(F2)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먼지수집유로(F2)에는, 대기정화유로(F1)에서 포집되어 먼지수집유로(F2)로 안내된 먼지를 모으는 먼지함(26)이 구비된다. 상기 먼지함(26)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먼지수집유로(F2)를 유동하는 먼지를 최종적으로 상기 먼지함(26)으로 안내하는 먼지분리부(24)가 구비된다.
먼지분리부(24)는, 제1부재(242)와 제2부재(24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부재(242)의 선단부는 유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선단부가 제2부재(244)에 실질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제2부재(244)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켜 먼지함(26)으로 안내할 수 있다.(상세한 구조는 후술함) 또한, 상기 먼지분리부(24)의 후측에는 송풍팬(28)이 더욱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을 구비하는 이유는 먼지수집유로(F2)의 풍속을 크게 하여 공기정화유로(F1)에서 포집된 먼지를 먼지분리부(24)로 효율적으로 안내하기 위함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제2하우징(34) 및 제3하우징(36)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제2하우징(34)에는 제어장치(54), 축전지(5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장치(54)는 대기정화장치(1)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부분이다.(상세한 내용은 후술함). 축전지(52)는 일종의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송풍발전부(42), 풍력발전부(22), 태양광발전부(7)에서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는 부분이다. 축전지(52)에 축전된 전기를 대기정화장치(1)의 모터(M), 컴퓨레서(362) 등과 같은 구동부의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하우징(36)에는 모터(M) 등과 같은 액튜에이터, , 기어박스(120) 등과 같은 동력전달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하우징(36)에는 컴프레서(362), 상기 컴프레서(362)와 연결되는 각종 압축공기유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대기정화장치의 각종 구성요소가 제2하우징(34) 및 제3하우징(36)에 설치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공간 활용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배치를 변경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필터부(12), 제1필터청소부(66)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필터부(12)는 여과방식 필터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한다.
먼저, 제1필터부(12)를 설명한다. 대기정화유로(F1)를 횡으로 가로질러 상하로 각각 2개씩 회전축(122)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22)의 양단에 각각 스프라켓(124)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라켓(124)에 한 쌍의 체인(126)이 치합된다. 상기 다수의 회전축(122) 중의 한 개의 회전축(구동회전축)(122a)는 기어박스(120)에 연결되며, 상기 기어박스(120)는 모터(M)에 연결된다.
한편, 한 쌍의 체인(126)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부재(128)가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재(128)에 필터유닛(130a)이 결합된다. 예들 들어, 2개의 지지부재(128)에 한 개의 필터유닛(130a)을 결합시키고, 다수의 필터유닛(130a)을 모두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한개의 필터(13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필터(130) 전체의 형상은 대략 중공부를 가진 사면체 형상이 된다.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필터유닛(130a)은 유연성 재질 예를 들어 부직포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필터유닛(130a)은 회전하기 때문이다. 필터유닛(130a) 또는 필터(130)의 종류는 한정되지는 않으며, 대기 오염 정화에 적절한 필터유닛 또는 필터를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필터는 주로 세균, 먼지를 필터링하는 헤파필터, 주로 이물질, 먼지를 필터링하는 프리필터, 탈취필터, 복합필터 등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재비산 먼지를 주로 포집하려면 프리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필터의 여과 성능의 경우에도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들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10㎛ 이하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0.5 ~ 1㎛/㎡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서는 지지부재(128)가 체인(126)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들 들어, 체인(126)의 상면에 지지부재(128)를 결합할 수도 있다. 도 5에서, 126a, 126b, 126c는 체인의 단위 요소를 의미한다.
또한, 도 5에서는 다수의 필터유닛(130a)을 지지부재(128)에 결합시켜 전체적으로 한 개의 필터를 구성하였지만, 지지부재(128) 전체에 걸쳐서 한 개의 필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여, 동력전달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튜에이터로 모터(M)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모터(M)의 출력축(M1)은 제1기어박스(120)에 연결되며, 상기 제1기어박스의 출력축이 제1필터부(12)의 구동회전축(122a)이 된다. 한 개의 모터(M)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제2필터부(2)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즉, 모터의 다른 출력축(M2)은 제2기어박스(224)에 연결되고, 상기 제2기어박스(224)의 출력축이 제2필터부(20)의 구동회전축(222a)이 될 수 있다.
동력 전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M)가 회전하면 제1기어박스(120)를 통하여 모터(20)의 회전력이 제1필터부(12)의 구동회전축(122a)에 전달되어 상기 구동회전축(122a)이 회전한다. 구동회전축(122a)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회전축(122a)에 구비된 스프라켓(124)이 회전하고, 상기 스프라켓(124)에 연결된 다른 회전축(122)도 회전하다. 제1필터부(12)의 회전축(122)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122)에 치합된 체인(126)도 회전하고, 상기 체인(126)에 결합된 필터(130)도 회전하게 된다. 필터(130)는 대기정화유로(F1)로 유입되는 대기가 1차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 순차적으로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도 2에서 반시계방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필터(130)에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부착되면, 이 부분이 하부로 회전하여 필터(130)에 부착된 먼지가 제1필터청소부(66)에 의하여 제거되어, 먼지수집유로(F2)로 보내져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필터(130)는 계속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회전할 수도 있다. 즉, 필터(130)에 먼지가 포집되어 더 이상 필터로 기능하기 어려울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실험 또는 계산에 의하여 정하고, 이러한 시간 간격 단위로 필터(130)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2필터부(2)의 동력전달과정은 제1필터부(12)의 동력전달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기어박스(120) 및 제2기어박스(224)의 내부에는 감속기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기어박스(120) 및 제2기어박스(224)의 내부에는 회전 방향을 바꾸어 줄 수 있는 기어 예들 들어 헬리컬 베벨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기어박스(120) 및 제2기어박스(224)의 기어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는 한 개의 모터(M)를 이용하여 제1필터부(12)와 제2필터부(2)를 구동하는 것을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들 들어, 제1필터부(12)와 제2필터부(2)를 각각 구동시키는 두 개의 모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 전달 장치의 구성 요소로서 스프라켓(124)과 체인(126)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적절한 동력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들 들어, 마찰차나 벨트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여, 제1필터청소부(66)를 설명한다. 제1필터부(12)의 필터(130)의 전체적인 형상은 중공부를 가진 형상이며, 제1필터부(12)의 필터의 내부(중공부)에 에어건(66)가 구비된다. 에어건(66)의 일측에는 압축공기 유입구(367)가 연결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분사공(366)이 구비된다. 분사공(366)의 하부에는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36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건(66)이 구비되는 부분의 하부에는 대기정화유로(F1)와 먼지수집유로(F2)를 연통시키는 개구부(322)가 구비된다.(도 2 참조)
에어건(66)의 압축공기 유입구(367)는 공기를 압축하는 장치(편의상 '컴프레서')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컴프레서(362)에서 나오는 압축공기가 에어건(66)의 내부에 전달되고, 상기 에어건(66)으로 전달된 압축공기는 다수의 분사공(366)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된다. 다수의 분사공(366)의 통하여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제1필터부(12)의 필터(130)에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분사되어, 상기 필터(130)에 포집된 먼지를 분리하게 된다. 분리된 먼지는 공기정화유로(F1)와 먼지수집유로(F2)의 사이의 개구부(322)를 통하여, 상기 먼지수집유로(F2)로 보내지게 된다. 분리되어 먼지수집유로(F2)로 안내된 먼지는 상기 먼지수집유로를 유동하여 최종적으로는 먼지함(26)에 포집되게 된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2필터부(2)를 설명한다. 제2필터부(2)를 전기집진방식 필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기집진방식 필터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부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
제2필터부(2)는, 크게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정전기발생부(18)와, 상기 정전기발생부(18)에서 이온화된 먼지를 흡착시키는 정전흡착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전흡착부(20)는 상기 제1필터부(12)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다수의 회전축의 양단에 구비되는 스프라켓(202)에는 체인(204)이 치합된다. 상기 다수의 회전축 중의 한 개의 축(구동회전축)(222a)은 제2기어박스(224)에 연결된다.(도 4 참조)
도 7을 참조하여, 제2필터부(2)의 정전흡착부(20)를 설명한다.
제2필터부(2)의 정전흡착부(20)의 구조는, 제1필터부(12)의 구조와 유사하다. 다만, 제1필터부(12)에서는 필터유닛이 구비되고, 각각의 필터유닛은 서로 이격되지 않고 연결되어, 필터 전체로서는 지지부재를 대략 감싸게 되어 대략 중공부를 가지는 사면체 형상이 된다. 또한, 제1필터부(12)에서는 필터유닛이 다수의 지지부재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그런데, 제2필터부(2)의 정전흡착부(20)에는 서로 이격되어 흡착핀(230)이 구비되어, 상기 흡착핀(230)의 사이로 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필터부(2)의 정전흡착부(20)의 한 쌍의 체인(204)의 사이에는 지지부재(228)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28)에는 각각 흡착핀(230)이 결합된다. 제2필터부(2)의 정전흡착부(20)에서는 각각의 지지부재(228)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흡착핀(230)이 설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흡착핀(230)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따라서 각각의 흡착핀(230)의 사이로 공간이 만들어진다. 상기 공간으로 이온화된 공기가 유동하면서 상기 흡착핀(230)에 먼지가 정전 흡착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필터청소부(68)의 구조는 제1필터청소부(66)의 구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즉, 제2필터청소부(68)는 에어건(682)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건(682)의 일측에는 압축공기 유입구(684)가 연결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분사공이 구비된다. 제2필터청소부(68)는 에어건(682)에 구비된 가이드는 흡착핀(230) 사이의 공간보다는 흡착핀(230)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은 수직에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필터청소부(66)와 제2필터청소부(68)는 한 개의 컴프레서(362)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유로(367, 684)에 밸브(369, 689)를 구비하여, 압축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먼지분리부(24)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지분리부(24)는 대기정화유로(F1)에서 필터링되어 먼지수집유로(F2)로 안내된 먼지를 먼지함(26)으로 모으는 기능을 한다. 먼지분리부(24)는, 회전하는 제1부재(242)와, 고정 설치되며 먼지수집유로(F2)로 안내된 먼지가 최종적으로 포집되는 제2부재(24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부재(242)는 제2필터부(2)의 정전흡착부(20)와 구조가 유사하다. 다만, 제2필터부(2)의 정전흡착부(20)의 흡착핀(230) 대신에 유연재질로 형성된 유연부(230a)가 구비된다. 즉, 제1부재(242)는 유연부(230a) 이외의 구조는 제2필터부(2)의 정전흡착부(20)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2필터부(2)의 정전흡착부(20)와 유사하게, 제1주재(242)의 유연부(230a)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으로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또한, 제1부재(242)의 유연부(230a)의 선단은 제2부재(244)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부재(242)는, 유연부(230a)가 제2부재(244)를 상부에서 하부로 긁어 내리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연부(230a)는 어느 정도 강성을 가져서 소정의 형성을 유지하면서도 제2부재(244)와 접촉할 때 파손되지 않고 상기 제2부재(244)의 표면을 부드럽게 긁을 수 있는 부재이면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부(230a)는 부직포 등과 같은 유연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 개의 지지부재(128b)에 결합되는 유연부(230a)는 한 개일 수도 있고, 한 개의 지지부재(128b)에 다수로 구성되는 유연부(230a)가 될 수도 있다.
제2부재(244)는 제1부재(242)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부재(244)는 대략 먼지수집유로(F2)를 막도록 설치되고, 먼지보다 작은 구멍을 가지는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부재(244)는 일종의 필터 역할을 하며, 여과방식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먼지분리부(24)의 아래에는 먼지함(26)이 위치하며, 상기 먼저함(26)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부재(242)와 제2부재(244)가 접촉하는 부분의 하부에는 먼지함(26)과 연통하는 개구부(247)이 구비되고, 먼지함(26)의 상부에도 이에 대응하는 개구부(26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부재의 후측에는 송풍팬(28)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28)은 먼지수집유로(F2)를 유동하는 공기를 대기정화장치의 외부를 빨아 내는 기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먼지분리부(24)의 하부에는 다수의 돌기(246)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246) 들의 사이는 먼지함(26)과 연통하는 연통부(248)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1부재(242)가 회전하면서 제1부재(242)의 유연부(230a)가 돌기(246)에 부딪치게 되고, 상기 유연부(230a)에 부착된 먼지가 분리되게 된다.
먼지수집유로(F2)의 먼지가 먼지함(26)으로 수집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지수집유로(F2)로 유입된 먼지는 제1부재(242)의 유연부(230a) 사이를 통과하여 제2부재(244)에 이르게 된다. 제2부재(244)는 일종의 필터이므로, 먼저는 상기 제2부재(244)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제2부재(244)에 부착된다. 그리고, 먼지 이외의 공기는 제2부재(244)를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된다. 이때, 제1부재(242)의 유연부(230a)가 제2부재(244)에 접촉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부재(242)의 유연부(230a)는 제2부재(244)를 상부에서 하부로 긁게되고, 따라서 제1부재(242)의 유연부(230a)는 제2부재(244)에 부착된 먼지는 분리한다. 분리된 먼지는 개구부(247, 26a)를 통하여 먼지함(26)으로 수집되게 된다.
또한, 제1부재(242)가 계속 회전하면서 제1부재(242)의 유연부(230a)가 돌기(246)에 부딪치게 된다. 그러면, 제1부재(242)의 유연부(230a)에 부착된 먼지가 분리되고, 분리된 먼지는 연통부(248)을 통하여 먼지함(26)으로 수집된다. 먼지함(26)에 먼지가 가득 차게 되면, 상기 먼지함(26)을 분리하여, 먼지를 버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부재(242)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부재(242)는 회전하면서 제2부재(244)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사용 가능하다. 예들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재(242)는 한 개의 회전축(2422)과 상기 회전축(2422)에 방사상의 결합되는 유연부(2424)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 8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게, 유연부(2424)는 한 개 또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242)가 먼지수집유로(F2)의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1부재(242)는 먼지수집유로(F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고, 상기 제1부재(242)가 제2부재(244)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먼지를 긁어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송풍발전부(42), 살균부(16), 풍력발전부(22) 및 태양광발전부(7)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발전부(42)는, 송풍발전절환부(144)와, 상기 송풍발전절환부(144)에 연결되는 팬(1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풍발전절환부(144)는 풍속센서(46)에서 대기정화유로(F1)를 통과하는 대기의 유속을 기준으로 동작한다. 상기 유속이 풍력발전이 가능한 속도이면, 대기의 유동에 의하여 팬(142)이 회전하고, 상기 팬(142)의 회전에 의하여 풍력발전이 된다. 상기 유속이 풍력발전이 가능한 속도가 아니면 송풍발전절환부(144)는 팬(142)이 송풍기도 작동하도록 팬을 회전시킨다. 팬의 크기 및 갯수는 대기정화유로(F1)의 크기에 맞추어 적절히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풍력 발전은 풍속이 2.5m/s 이상일 때 회전이 시작되고 3.5 ~ 4.0m/s 이면 전력을 생산하며, 13m/s 이상이면 100%의 전력을 생산한다. 또한, 풍속이 25m/s 이상이면 안전을 위하여 풍력 발전을 정지한다. 풍속을 시속으로 환산하면 시속 15km 이상이면 전력이 생산되고 시속 50km 이상에서는 100%의 전력이 생산되고, 100km 이상이면 안전으로 위하여 풍력 발전을 정지하는 것이 좋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정화장치를 달리는 버스와 같은 차량에 설치한 경우의 풍속의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정화장치는 단면적이 작아서 시속 100km 이하로 운행하는 버스 등의 경우를 생각하면 공기의 압축성 효과가 거의 없어서, 차량의 속도가 거의 풍속이 될 것으로 계산된다. 그런데, 차량 등은 고속도로 이외에서는 제한 속도가 시속 100km 이하이므로, 차량에 대기정화장치를 설치하면 풍력 발전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살균부(16)는 플라즈마 살균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광플라즈마(Photo Plasma) 살균장치인 보다 바람직하다. 플라즈마는 고온 플라즈마와 저온 플라즈마가 있다. 저온 플라즈마는 온도가 상온에서 150도 정도로 낮은 특징이 있어 이미 살균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포토 플라즈마는 유해화학물질, 세균, 초미세먼지 등을 파괴하여 살균할 수 있을 정도의 강력한 광에너지를 발산한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살균 장치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풍력발전부(22) 및 태양광발전부(7)는 기존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력발전부(22) 및 태양광발전부(7)는 제1하우징(32)의 크기에 맞추어 소형의 팬을 가지는 것들을 다수 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팬 등은 소정의 지지부재(146, 146a)에 적절히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지지부재(146, 146a)는 대기정화유로(F1)를 유동하는 대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가능하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대기정화장치는 차량에 설치하고 차량이 시속 15 - 100km 정도로 운행하면 풍력 발전이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정화장치의 제어장치(54)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540)에는 제1오염도센서(42), 제2오염도센서(44) 및 풍속센서(46)가 연결된다. 또한 제어부(540)에는, 제1필터부 제어유닛(12D), 송풍발전부 제어유닛(42D), 살균부 제어유닛(16D), 제2필터부 제어유닛(2D), 풍력발전부 제어유닛(22D), 먼지분리부 제어유닛(24D), 먼지분리부용 송풍팬 제어유닛(28D)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제어부(540)에는 통신부(TD)가 연결된다. 상기 통신부(TD)는 통신망(N)을 통하여 오염관리 통합관리 센터의 서버(CS)와 통신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각의 제어유닛, 통신부 등은 설명의 편의상 기능적 측면에서 편의상 분류한 것이며,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으로 반드시 분리되는 개념은 아니며,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나의 소프트웨어에 다수의 모듈형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정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지 등과 같은 오염 물질을 함유한 대기가 대기정화유로(F1)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는 제1필터부(12)에서 여과된다. 제1필터부(12)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발전부(42)를 통과하게 된다. 만약, 공기의 풍속이 풍력발전이 가능한 풍속으로 판단되면, 제어장치(54)의 제어부(540)에서는 송풍발전부 제어유닛(42D)에 송풍발전부(42)가 풍력 발전기로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즉 송풍발전 전환부(144)를 풍력발전 모드로 제어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공기 유속에 의하여 팬(142)이 회전하고, 상기 팬(142)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는 축전지(52)에 축전되게 된다. 만약, 공기의 풍속이 풍력발전이 가능한 풍속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장치(54)의 제어부(540)에서는 송풍발전부 제어유닛(42D)에 송풍발전부(42)가 송풍기로 기능하도록 제어한다. 즉 송풍발전 전환부(144)를 송풍 모드로 제어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팬(142)이 회전하여, 대기가 공기정화유로(F1)로 흡입될 수 있도록 유속을 만든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정화장치(1)를 차량에 설치하고, 차량이 운행 중에는 대체적으로 풍력 발전이 가능하다.
제1필터부(12)를 통과한 공기는 살균부(16)로 향하게 된다. 공기에 포함된 세균 등은 살균부(16)에서 살균된다. 살균부(16)를 통과한 공기는 제2필터부(2)를 통과하게 된다. 제2필터부(2)에서 먼지는 정전 집진된다. 제2필터부(20)를 통과한 공기는 풍력발전부(22)로 향하게 된다. 공기는 최종적으로 풍력발전부(22)에서 전기를 발생시키고, 대기정화유로(F1)의 외부로 나가게 된다.
한편, 제2오염도센서(44)에서 측정된 오존이 양의 소정치를 넘으면, 제어부(540)는 살균부(16) 및/또는 제2필터부(2)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왜냐하면, 살균부(16)의 동작시에 오존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제1필터부(12) 및 제2필터부(2)에 부착된 먼지를 먼지함(26)에서 수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필터부(12)의 필터의 내부에는 제1필터청소부(66)가 위치한다. 제1필터청소부(66)에서는 제1필터부(12)의 필터로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에 부착된 먼지는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다. 그런데, 압축공기는 공기정화유로(F1)과 먼지수집유로(F2) 사이의 개구부(322) 방향으로 분사되므로, 분리된 먼지는 먼지수집유로(F2)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제1필터부(12)는 소정 속도로 회전하므로, 상기 제1필터부(12)의 필터에 부착된 먼지는 순차적으로 분리되어, 먼지수집유로(F2)로 흐른다. 제2필터부(2)의 정전흡착부(20)의 흡착핀(230)에 부착된 먼지도 제1필터부(12)와 같은 원리로 분리되어 먼지수집유로(F2)로 흐른다.
제1필터부(12) 및 제2필터부(20)에 분리되어, 먼지수집유로(F2)로 들어온 먼지는 상기 먼지수집유로(F2)의 구비되는 먼지분리부(24)에 의하여 먼지함(26)으로 모이게 된다. 먼지함(26)에 먼지가 소정량 이상으로 쌓이면, 상기 먼지함(26)을 열어서 먼지를 버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정화장치의 대기 정화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기정화장치를 버스에 설치하고 서울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서울시 면적은 대략 605㎢ 이고, 3m 이하 높이의 공기의 양은 1,800,000,000㎡ 이다. 공기정화장치의 공기정화유로의 단면적이 대략 0.5㎡이고(대기정화장치의 대기정화유로가 1200mm * 400mm 인 경우을 가정했을 때), 버스가 하루에 200km를 운행한다고 가정하면, 100,000㎡ 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즉, 18,000대의 버스에 대기정화장치를 설치하면 서울시의 대기를 정화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대략 9,000대 정도의 버스가 다니므로, 현재 운행되고 있는 버스에만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정화장치를 설치한다고 해도 대략 서울시의 반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버스에 설치된 대기정화장치의 오염도 센서에서 대기의 오염도를 대기오염 통합관리 센터에 전송하면, 각 지역의 오염 정도를 보다 정확히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정화장치에서는 송풍발전부, 풍력발전부, 태양광발전부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의 전기자동차의 가장 큰 문제점은 오랜 충전 시간 및 적은 충전소의 수이다. 즉,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현재 전기자동차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정화장치를 전기자동차에 설치하여 상기 대기정화장치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를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하면, 전기자동차의 충전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도 있다는 이점도 있다. 즉 대기정화장치를 전기자동차에 설치하면, 대기정화장치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기자동차의 에너지로 사용함과 동시에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는 일석이조의 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대기정화장치가 버스, 지하철 등과 같은 차량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들 들어, 대기정화장치는 건물의 옥상, 터널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체적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을 가지는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
1 : 대기정화장치 3 : 하우징
7 : 태양광 발전부 12 : 제1필터부
42 : 송풍발전부 16 : 살균부
2 : 제2필터부 22 : 풍력발전부
24 : 먼지분리부 26 : 먼지함

Claims (21)

  1. 대기정화유로 및 먼지수집유로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유입되는 대기에 포함된 먼지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와;
    상기 제1필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필터부에 포집된 먼지를 분리시켜 상기 먼지수집유로로 보내는 제1필터청소부와;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유입되는 대기의 풍속에 따라 유동을 발생시키거나 풍력 발전을 하는 송풍발전부와;
    상기 먼지수집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서 상기 먼지수집유로로 보내진 먼지를 모으는 먼지함과;
    상기 먼지함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먼지수집유로로 보내진 먼지를 상기 먼지함으로 안내하는 먼지분리부를 포함하는 대기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유입되는 대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유입되는 대기의 먼지를 2차로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와; 제2필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필터부에 포집된 상기 먼지수집유로로 보내는 제2필터청소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유입되는 대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여,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광발전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는 여과방식 필터를 포함하며, 제2필터부는 전기집진방식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는, 다수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구비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각각 치합되는 한 쌍의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청소부는, 상기 필터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에는 압축공기 유입구가 연결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분사공이 구비되는 에어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는, 정전기 발생부와, 다수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구비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각각 치합되는 한 쌍의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흡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청소부는, 상기 흡착핀의 내측에 위치하며, 일측에는 압축공기 유입구가 연결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분사공이 구비되는 에어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부는, 상기 먼지수집유로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1부재와; 상기 먼지수집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부재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부재의 접촉하여 먼지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다수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구비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각각 치합되는 한 쌍의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유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유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하부에는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의 사이에는 상기 먼지함과 상기 먼지수집유로를 연통시키는 연통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후측에는 송풍팬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플라즈마 살균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정화유로의 입구와 출구에는, 상기 대기정화유로에 유입 및 유출되는 대기의 오염도를 각각 측정하는 제1오염도센서 및 제2오염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염도센서 및 상기 제2오염도센서에서 측정된 대기의 오염도를 대기오염 통합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정화유로의 소정 유치에는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이동하는 차량 또는 건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기자동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정화장치.
KR1020170107300A 2017-08-24 2017-08-24 대기정화장치 KR101843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00A KR101843544B1 (ko) 2017-08-24 2017-08-24 대기정화장치
PCT/KR2018/001975 WO2019039679A1 (ko) 2017-08-24 2018-02-14 대기정화장치
KR1020180030256A KR102262263B1 (ko) 2017-08-24 2018-03-15 대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00A KR101843544B1 (ko) 2017-08-24 2017-08-24 대기정화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256A Division KR102262263B1 (ko) 2017-08-24 2018-03-15 대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544B1 true KR101843544B1 (ko) 2018-03-30

Family

ID=6190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300A KR101843544B1 (ko) 2017-08-24 2017-08-24 대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3544B1 (ko)
WO (1) WO201903967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280A1 (ko) * 2018-06-22 2019-12-26 최동원 공기 정화장치
KR102060892B1 (ko) * 2018-04-11 2019-12-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무인 이동체 탑재형 미세먼지 복합 필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과 제어방법
KR102152359B1 (ko) 2019-03-26 2020-09-07 임상수 풍력 공기정화 장치
KR20210012799A (ko) * 2019-07-26 2021-02-03 한국화학연구원 저농도 대기 오염 물질 농축 키트
KR20210114171A (ko) * 2020-03-10 2021-09-2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095Y1 (ko) 2005-06-02 2005-08-30 채구연 선풍기용 자가발전 공기정화기
JP2005241152A (ja) 2004-02-26 2005-09-08 Daiwa House Ind Co Ltd 屋内空気清浄システム
KR101037798B1 (ko) 2010-09-07 2011-05-27 케이알텍 주식회사 고속철도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CN203108386U (zh) 2013-03-18 2013-08-07 王玉 一种空气净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859B1 (ko) * 2004-09-23 2005-06-16 김영택 집진장치
KR101318640B1 (ko) * 2007-05-08 2013-10-1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정화기
KR100849416B1 (ko) * 2007-11-16 2008-07-31 주식회사 리트코 세정 기능을 갖는 집진 장치
KR102342413B1 (ko) * 2014-12-10 2021-12-24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 제어 방법
CN106369684A (zh) * 2015-07-24 2017-02-0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空气净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1152A (ja) 2004-02-26 2005-09-08 Daiwa House Ind Co Ltd 屋内空気清浄システム
KR200394095Y1 (ko) 2005-06-02 2005-08-30 채구연 선풍기용 자가발전 공기정화기
KR101037798B1 (ko) 2010-09-07 2011-05-27 케이알텍 주식회사 고속철도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CN203108386U (zh) 2013-03-18 2013-08-07 王玉 一种空气净化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892B1 (ko) * 2018-04-11 2019-12-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무인 이동체 탑재형 미세먼지 복합 필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과 제어방법
WO2019245280A1 (ko) * 2018-06-22 2019-12-26 최동원 공기 정화장치
KR102060897B1 (ko) * 2018-06-22 2019-12-30 최동원 공기 정화장치
KR102152359B1 (ko) 2019-03-26 2020-09-07 임상수 풍력 공기정화 장치
KR20210012799A (ko) * 2019-07-26 2021-02-03 한국화학연구원 저농도 대기 오염 물질 농축 키트
WO2021020819A1 (ko) * 2019-07-26 2021-02-04 한국화학연구원 저농도 대기 오염 물질 농축 키트
KR102260168B1 (ko) * 2019-07-26 2021-06-03 한국화학연구원 저농도 대기 오염 물질 농축 키트
KR20210114171A (ko) * 2020-03-10 2021-09-2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350055B1 (ko) * 2020-03-10 2022-01-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9679A1 (ko)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544B1 (ko) 대기정화장치
KR100656170B1 (ko) 공기정화기
KR102262263B1 (ko) 대기정화장치
KR101508661B1 (ko)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
KR101965067B1 (ko) 오염농도를 조절하여 집진하는 터널출구 설치형 터널 집진 장치
BRPI0721362A2 (pt) mÉtodo e equipamento para filtrar o ar em um ambiente urbano
KR101988299B1 (ko) 공기여과수단을 갖는 버스정류장
KR101387998B1 (ko) 지하철 터널 내부 미세먼지 저감장치
KR20170035481A (ko) 차량용 공기청정 시스템
JP2564421B2 (ja) 自動車道トンネル用換気設備
KR20170037407A (ko) 지하철 터널 공기정화시스템
KR102425915B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0913117B1 (ko) 루프형 고유속 터널 공기 정화 장치
JP2001029728A (ja) 混合液体を利用する空気浄化装置および方法
KR101532936B1 (ko) 복합전기집진 구조를 갖는 인테리어형 클린흡연부스
KR102352940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도로변 설치용 방음벽 시스템
KR102208241B1 (ko) 지하 터널 공간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고효율 집진 장치
KR101037340B1 (ko) 분진 진공 흡입 청소차
KR101265585B1 (ko) 간이 제연장치
KR101533730B1 (ko)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흡기 구조물
KR102279161B1 (ko) 차량의 차체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KR102301320B1 (ko) 철도차량용 무동력 양방향 집진장치
KR102161633B1 (ko) 분진 및 온실가스 저감장치
KR101850916B1 (ko) 주행 풍압 구동식 싸이클론 집진기를 이용한 공조 자동차
KR102123416B1 (ko) 이동수단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