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729B1 - 케이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729B1
KR102188729B1 KR1020190086393A KR20190086393A KR102188729B1 KR 102188729 B1 KR102188729 B1 KR 102188729B1 KR 1020190086393 A KR1020190086393 A KR 1020190086393A KR 20190086393 A KR20190086393 A KR 20190086393A KR 102188729 B1 KR102188729 B1 KR 102188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rotrusions
terminal board
protrusion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김만재
김태익
오규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86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터미널 보드에 장착되며 상기 터미널 보드에 케이블을 결선한 단자볼트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되는 제1 몸체(110)와 상기 제1 몸체(110)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11)이 통과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홈(114)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1 돌기(113)와 상기 제1 몸체(110)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몸체(110)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좌우 이동 가능한 제2 몸체(130)와 상기 제2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몸체(110)에 대한 상기 제2 몸체(13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114)의 간격을 가변시켜 상기 다수 개의 가이드홈(114)을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11)을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다수 개의 제2 돌기(1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노후 터미널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을 신품의 터미널 보드로 재결선시 결선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결선 오류 여부의 장시간 대조 등 확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터미널 보드 교체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소장치의 노후 터미널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을 신품의 터미널 보드로 재결선시 케이블 결선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소장치(remote terminal unit)는 MPD 주처리 장치, 모듈 및 터미널 보드를 포함한다. 원격소장치는 터미널 보드를 변전설비와 연결하여 변전설비의 데이터를 수집 및 제어한다.
원격소장치는 터미널 보드의 노후 불량시 오 제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터미널 보드를 교체해야 한다. 터미널 보드의 교체방법은 터미널 보드에 결선된 케이블 분리 - 터미널 보드 교체 - 케이블 재결선 - 케이블 재결선 후 오결선 상태 여부 확인의 과정으로 수행된다.
그런데 종래의 터이널 보드 교체 방법은 작업자의 육안으로 케이블의 결선 상태를 확인하므로 오결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고, 장시간의 확인 작업이 필요하므로 터미널 보드 교체시 장기간의 작업시간이 요구된다.
더욱이, 케이블 결선오류 발생시 오 제어로 인한 정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615602호(2016.04.20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소장치의 노후 터미널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을 신품의 터미널 보드로 교체하여 재결선시 케이블의 결선 오류를 방지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케이블 고정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미널 보드에 장착되며 상기 터미널 보드에 케이블을 결선한 단자볼트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1 돌기와 상기 제1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좌우 이동 가능한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몸체에 대한 상기 제2 몸체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의 간격을 가변시켜 상기 다수 개의 가이드홈을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다수 개의 제2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는 삽입슬롯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슬롯을 기준으로 양측 하부 또는 일측 하부에 상기 제1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롯에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제2 돌기들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돌기들이 형성하는 상기 가이드홈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지지하면서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좌우 이동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몸체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고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삽입슬롯에 위치된 상기 제2 몸체의 일부를 감싸 상기 제2 몸체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기들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돌기들이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삽입슬롯의 상면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서 직교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몸체의 외면 일측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수직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임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공에 조임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제1 몸체에 대한 상기 제2 몸체의 좌우 이동을 조절한다.
상기 제2 돌기는 상하 일자형의 수직돌기와 상기 수직돌기의 말단에서 직교하게 돌출되는 수평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돌기는 상기 제1 돌기에 상기 2 돌기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2 돌기에서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돌기의 말단과 상기 수평돌기의 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케이블의 직경에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넓다.
본 발명은 교체대상 터미널 보드에 결선된 케이블을 고정하여 케이블의 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교체대상 터미널 보드에서 케이블을 분리하고 신품 터미널 보드에 케이블을 재배치함으로써 신품 터미널 보드에 케이블을 재결선시 결선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블 결선오류 발생시 오 제어로 인한 정전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터미널 보드 교체 작업 후 오결선 여부의 장시간 대조 등 확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터미널 보드 교체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원격소장치의 터미널 보드를 변전설비와 케이블로 결선한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고정장치로 제1 몸체에 제2 몸체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고정장치로 제1 몸체에 제2 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고정장치로 케이블을 고정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로,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각 돌기들 사이의 가이드홈에 케이블을 삽입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제1 몸체에 대해 제2 몸체를 이동시켜 가이드홈에 삽입된 케이블을 고정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교체대상 터미널 보드에 장착하여 케이블을 고정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고정장치(터미널보드교체 툴)를 이용하여 노후 터미널 보드를 교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장치는 노후(교체대상) 터미널 보드에 결선된 케이블을 고정하여 케이블의 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노후 터미널 보드에서 케이블을 분리하고 신품 터미널 보드에 케이블을 재배치함으로써 신품 터미널 보드에 케이블을 재결선시 결선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케이블 고정장치(100)는 제1 몸체(110)에 제2 몸체(130)를 결합하여 형성한다.
제1 몸체(110)는 대략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몸체(110)는 터미널 보드에 장착시 터미널 보드에 케이블을 결선한 단자볼트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된다. 수용공간(111)은 터미널 보드에 단자볼트로 결선된 케이블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수용공간(111)은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을 가져 터미널 보드에 케이블을 결선한 단자볼트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단자볼트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몸체(110)의 일측에 다수 개의 제1 돌기(113)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다수 개의 제1 돌기(113)는 수용공간(111)과 연통되며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 개의 가이드홈(114)을 형성한다. 제1 돌기(113)들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홈(114)의 간격은 터미널 보드에 결선된 케이블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설계된다.
제1 몸체(110)는 삽입슬롯(115)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삽입슬롯(115)은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제1 몸체(110)를 삽입슬롯(115)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할 수 있다.
제1 돌기(113)들은 삽입슬롯(115)을 기준으로 양측 하부 또는 일측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제1 돌기(113)들은 삽입슬롯(115)을 기준으로 양측 하부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1 돌기(113)들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홈(114)에 케이블이 삽입되면서 케이블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대략 길이 방향 중앙에 안착부(121)가 형성된다. 안착부(121)는 제1 몸체(110)에 제2 몸체(130)가 결합된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40)가 결합된다. 안착부(121)에는 지지부재(140)를 고정볼트(143)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123)이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안착부(121)는 수용공간(111)과 삽입슬롯(115)을 두 부분으로 나눈다.
제1 몸체(110)의 삽입슬롯(115)에 제2 몸체(130)가 결합된다. 제2 몸체(130)에 다수 개의 제2 돌기(133)가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다수 개의 제2 돌기(133)는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제2 돌기(133)들 간에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삽입홈(135)을 형성한다. 제2 돌기(133)들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홈(135)들의 간격은 제1 돌기(113)들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홈(114)들의 간격에 대등되도록 설계된다.
제2 몸체(130)의 제2 돌기(133)들이 제2 몸체(130)의 삽입슬롯(115)에 삽입된다. 제1 몸체(110)의 삽입슬롯(115)에 삽입된 제2 돌기(133)들은 제1 돌기(113)들과 겹쳐지게 배치되고 좌우 이동하여 제1 돌기(113)들이 형성하는 가이드홈(114)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140)는 사각 평면 형상의 지지부(141)와 지지부(141)에서 연장 형상되며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레일부(142)를 포함한다. 지지부(141)는 제1 몸체(110)에 형성된 안착부(121)에 안착되고 고정볼트(143)로 고정된다. 레일부(142)는 삽입슬롯(115)에 위치된 제2 몸체(130)의 일부를 감싸 제2 몸체(13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제2 몸체(130)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 몸체(130)는 제1 몸체(110)의 삽입슬롯(115)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몸체(130)의 제2 돌기(133)들이 제1 몸체(110)의 삽입슬롯(115)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2 몸체(130)가 제1 몸체(110)에 결합된다. 제1 몸체(110)의 삽입슬롯(115)에 삽입된 제2 몸체(130)의 제2 돌기(133)들은 제1 돌기(113)들과 겹쳐지게 배치되고, 제1 돌기(113)들 사이의 가이드홈(114)과 제2 돌기(133)들 사이의 삽입홈(135)은 일치하고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이 확보된다.
제2 몸체(130)는 수평부(131)와 수직부(132)를 포함한다. 수평부(131)는 제2 돌기(133)들을 연결하며 제2 돌기(133)들이 삽입슬롯(115)에 삽입되면 삽입슬롯(115)의 상면 가장자리에 지지된다. 수직부(132)는 수평부(131)의 일측에서 직교하게 연장되고 제1 몸체(110)의 외면 일측에 마주하게 배치된다.
수직부(132)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임공(137)이 형성되고, 조임공(137)에 조임나사(139)가 체결되어 제1 몸체(110)에 대한 제2 몸체(130)의 좌우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돌기(133)는 상하 일자형의 수직돌기(133a)와 수직돌기(133a)의 말단에서 직교하게 돌출되는 수평돌기(133b)를 포함한다. 수직돌기(133a)는 제1 돌기(113)에 제2 돌기(133)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수직돌기(133a)는 케이블이 가이드홈(114)에 삽입되는 입구를 좁혀 가이드홈(114)에 삽입된 케이블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돌기(113)가 제2 돌기(133)에서 멀어진 상태에서 제1 돌기(113)의 말단과 수평돌기(133b)의 단부 사이의 간격은 케이블의 직경에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넓다. 제1 돌기(113)가 제2 돌기(133)에서 가까워진 상태에서 제1 돌기(113)의 말단과 수평돌기(133b)의 단부 사이의 간격은 케이블의 직경 보다 좁아져 가이드홈(114)에 삽입된 케이블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10)에 제2 몸체(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돌기(113)들과 제2 돌기(133)들이 겹침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홈(114)과 삽입홈(135)을 관통하여 케이블(11)을 삽입하면 케이블(11)의 단말이 수용공간(111)에 위치된다.
수용공간(111)에 위치된 각 케이블(11)의 단말은 압착단자(111a)로 구성되는데, 이 압착단자(111a)를 단자볼트로 조여 터미널 보드에 결속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몸체(110)에 제2 몸체(130)를 결합시켜 제1 몸체(110)의 제1 돌기(113)들과 제2 몸체(130)의 제2 돌기(133)들이 전후 방향로 겹쳐지게 함으로써 제1 돌기(113)들과 제2 돌기(133)들의 사이에 케이블(11)이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홈(114)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제1 몸체(110)에 제2 몸체(130)를 결합한 상태에서 터미널 보드에 장착하여 케이블(11)들이 각 가이드홈(114)을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제1 돌기(113)의 말단과 제2 돌기(133)의 수평돌기(133b)의 단부 사이의 간격은 케이블(11)의 직경에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넓어 화살표와 같이 각 가이드홈(114)에 케이블(11)을 삽입하기 용이하다.
이 상태에서 제2 몸체(130)의 수직부(132)는 제1 몸체(110)의 외면 일측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되고 반대되는 타측은 제1 몸체(110)의 삽입슬롯(115)의 내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므로, 제2 몸체(130)를 제1 몸체(110)의 삽입슬롯(115)의 내면의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130)의 수직부(132)의 조임공(137)에 결합된 조임나사(139)를 회전시키면 제1 돌기(113)들이 제2 돌기(133)들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2 몸체(130)가 이동되고 가이드홈(114)을 통과하는 케이블(11)이 제1 돌기(113)와 제2 돌기(133)에 의해 고정된다.
실시예에 조임나사(139)는 나사부(139a)와 나사부(139a)에 결합되는 너트부(139b)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되며, 나사부(139a)에 결합된 너트부(139b)를 회전시키는 것에서 제2 몸체(130)의 수직부(132)가 제1 몸체(1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돌기(113)에 제2 돌기(133)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돌기(113)와 제2 돌기(133)의 사이에 케이블(11)이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장치(100)는 교체대상 터미널 보드(10)에 장착하여 케이블(11)을 고정할 수 있다.
케이블 고정장치(100)는 터미널 보드(10)에 케이블(11)을 결선한 단자볼트(13)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수용공간(111)을 구비하므로, 작업자가 단자볼트(13)를 풀고 조이는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케이블 고정장치(100)는 터미널 보드(10)에 결선된 케이블(11) 각각을 가이드홈(114)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후, 터미널 보드에 케이블을 결선한 단자볼트를 풀어 케이블이 터미널 보드에서 결선된 상태가 해제되게 한다. 다음으로 케이블을 고정한 케이블 고정장치를 터미널 보드를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케이블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터미널 보드를 교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케이블 고정장치(터미널보드교체 툴)를 이용한 터미널 보드 교체 방법은, 교체대상 노후 터미널 보드를 선정하는 단계①와, 케이블 고정장치를 교체대상 노후 터미널 보드에 장착하는 단계②와, 터미널 보드에 결선된 케이블을 케이블 고정장치로 고정하고 터미널 보드에서 분리하는 단계③, 터미널 보드를 신품 터미널 보드로 교체하는 단계④, 교체된 신품 터미널 보드에 케이블이 고정된 케이블 고정장치를 장착하고 케이블을 신품 터미널 보드에 재결선하는 단계⑤를 포함한다.
② 단계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몸체(110)에 제2 몸체(130)를 결합시켜 케이블 고정장치(100)를 형성한다. 즉, 제1 몸체(110)의 제1 돌기(113)들과 제2 몸체(130)의 제2 돌기(133)들이 겹쳐지게 함으로써 제1 돌기(113)들과 제2 돌기(133)들의 사이에 케이블(11)이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홈(114)이 형성되게 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7과 같이, 터미널 보드(10)에 케이블(11)을 결선한 단자볼트(13) 부분이 제1 몸체(110)의 수용공간(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케이블(11)은 가이드홈(114)을 통과하도록 케이블 고정장치(100)를 터미널 보드(10)에 장착한다.
③ 단계는 도 6을 참조하면, 제1 돌기(113)와 제2 돌기(133)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1 몸체(110)에 대해 제2 몸체(130)를 이동시켜 가이드홈(114)을 통과하는 케이블(11)을 고정한다. 제2 몸체(130)의 이동은 제2 몸체(130)의 수직부(132)에 체결된 조임나사를 조여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터미널 보드(10)에 케이블(11)을 결선한 단자볼트(13)들을 풀어 케이블(11)이 터미널 보드(10)에서 결선된 상태가 해제되게 한다. 다음으로 케이블(11)을 고정한 케이블 고정장치(100)를 터미널 보드(10)로부터 분리한다.
④ 단계는 신품 터미널 보드를 준비하고, 교체대상 노후 터미널 보드를 신품 터미널 보드로 교체한다.
⑤ 단계는 케이블(11)을 고정한 케이블 고정장치(100)를 신품 터미널 보드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케이블(11)의 말단 압착단자(111a)에 단자볼트(13)를 체결하여 케이블(11)을 신품 터미널 보드에 재결선한다.
다음으로, 도 5와 같이, 제1 돌기(113)와 제2 돌기(133)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몸체(110)에 대해 제2 몸체(130)를 이동시켜 가이드홈(114)에 케이블(11)이 고정된 상태를 해제한다. 다음으로, 신품 터미널 보드(10)에서 케이블 고정장치(100)를 분리한다.
상술한 케이블 고정장치(100)는 교체대상 노후 터미널 보드에서 케이블을 고정하고 케이블의 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한 상태에 분리하여 신품 터미널 보드에 재결선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원격소장치의 터미널 보드 교체시 오결선을 예방함으로써 정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보드 교체 작업 후 오결선 여부의 장시간 대조 등 확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수직부의 조임공에 조임나사를 체결하고, 조임나사를 조이거나 푸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몸체를 제1 몸체에 대해 좌우 이동시켜 가이드홈의 간격을 가변시켜 각 가이드홈을 통과하는 케이블을 고정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의 삽입슬롯 내에 좌측 빈 공간에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을 배치하고, 탄성수단이 제2 몸체를 도면상 우측으로 밀어 각 가이드홈의 간격이 항상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측의 수직부를 제1 몸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김에 의해 가이드홈에 케이블을 삽입할 수 있는 간격이 확보되고, 수직부를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력에 의해 제2 몸체가 도면상 우측으로 다시 이동하여 각 가이드홈에 삽입된 케이블이 자연스럽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격소장치의 터미널 보드 외에도 다양한 장치에 설치되는 터미널 보드의 교체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터미널 보드 11: 케이블
13: 단자볼트 100: 케이블 고정장치
110: 제1 몸체 111: 수용공간
113: 제1 돌기 114: 가이드홈
115: 삽입슬롯 121: 안착부
123: 고정홀 130: 제2 몸체
131: 수평부 132: 수직부
133: 제2 돌기 133a: 수직돌기
133b: 수평돌기 135: 삽입홈
137: 조임공 139: 조임나사
140: 지지부재 141: 지지부
141a: 볼트홀 142: 레일부
142a: 레일홈 143: 고정볼트

Claims (9)

  1. 터미널 보드에 장착되며 상기 터미널 보드에 케이블을 결선한 단자볼트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삽입슬롯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1 돌기;
    상기 제1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좌우 이동 가능한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몸체에 대한 상기 제2 몸체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의 간격을 가변시켜 상기 다수 개의 가이드홈을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다수 개의 제2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돌기들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돌기들이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삽입슬롯의 상면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서 직교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몸체의 외면 일측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수직부;
    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삽입슬롯을 기준으로 양측 하부 또는 일측 하부에 상기 제1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롯에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제2 돌기들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돌기들이 형성하는 상기 가이드홈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는 케이블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지지하면서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좌우 이동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몸체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고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삽입슬롯에 위치된 상기 제2 몸체의 일부를 감싸 상기 제2 몸체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임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공에 조임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제1 몸체에 대한 상기 제2 몸체의 좌우 이동을 조절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7. 터미널 보드에 장착되며 상기 터미널 보드에 케이블을 결선한 단자볼트 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1 돌기;
    상기 제1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좌우 이동 가능한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몸체에 대한 상기 제2 몸체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의 간격을 가변시켜 상기 다수 개의 가이드홈을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다수 개의 제2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는
    상하 일자형의 수직돌기와
    상기 수직돌기의 말단에서 직교하게 돌출되는 수평돌기를 포함하는 L자 형상인 케이블 고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직돌기는 상기 제1 돌기에 상기 제2 돌기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인 케이블 고정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2 돌기에서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돌기의 말단과 상기 수평돌기의 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케이블의 직경에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넓은 것인 케이블 고정장치.
KR1020190086393A 2019-07-17 2019-07-17 케이블 고정장치 KR102188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393A KR102188729B1 (ko) 2019-07-17 2019-07-17 케이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393A KR102188729B1 (ko) 2019-07-17 2019-07-17 케이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729B1 true KR102188729B1 (ko) 2020-12-09

Family

ID=7378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393A KR102188729B1 (ko) 2019-07-17 2019-07-17 케이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7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6983A (ja) * 2002-07-08 2004-03-25 Yazaki Corp 配線ユニットケーブル用ジョイントボックス
KR20150146243A (ko) * 2014-06-23 2015-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CN105514638A (zh) * 2016-01-01 2016-04-20 珠海市中力电力设备有限公司 通用线夹
KR101615602B1 (ko) 2014-12-17 2016-04-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배전반 버킷의 2차측 커넥터
KR20170024399A (ko) * 2015-08-25 2017-03-07 김창원 케이블 고정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일체형 그로메트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6983A (ja) * 2002-07-08 2004-03-25 Yazaki Corp 配線ユニットケーブル用ジョイントボックス
KR20150146243A (ko) * 2014-06-23 2015-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KR101615602B1 (ko) 2014-12-17 2016-04-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배전반 버킷의 2차측 커넥터
KR20170024399A (ko) * 2015-08-25 2017-03-07 김창원 케이블 고정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일체형 그로메트 성형장치
CN105514638A (zh) * 2016-01-01 2016-04-20 珠海市中力电力设备有限公司 通用线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39600B (zh) 具有用于多个导电体的多个夹紧臂的可不用工具促动的弹簧夹
CN101283283B (zh) 插入件、测试托架及半导体测试装置
JPH0211871B2 (ko)
KR102024667B1 (ko)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US6074241A (en) Non-slip spring clamp contact
KR102188729B1 (ko) 케이블 고정장치
JP4614270B2 (ja) リード線を印刷回路基板に接触させる端子ユニット
US7611372B2 (en) Rotatably locking plug and connector
KR102234243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EP2859393A1 (en) Releasable connection for a transceiver
JP7199205B2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KR100540814B1 (ko) 커넥터 검사기
KR0175950B1 (ko)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US20130040484A1 (en) Cable/harness test connector
GB2134723A (en) Mounting push-in electricity supply devices
US6007358A (en) Connector for electrical supply bus with thick shaft portion actuated wedge blocks
JP2015164168A (ja) 電子機器
CN113608143A (zh) 一种基于ate测试用的装置
CN107819305B (zh) 一种服务器电源线固定装置
CN111355081A (zh) 一种连接器的线缆夹持机构
US7060910B2 (en) Attachment system for an electrical device for installation in aircraft cabins
KR101703978B1 (ko) 디에스에이 보드 교체용 핸들러
CN216144937U (zh) 端子检测机构
EP3376608A2 (en)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is connector assembly
KR101769850B1 (ko)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