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950B1 -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950B1
KR0175950B1 KR1019930029845A KR930029845A KR0175950B1 KR 0175950 B1 KR0175950 B1 KR 0175950B1 KR 1019930029845 A KR1019930029845 A KR 1019930029845A KR 930029845 A KR930029845 A KR 930029845A KR 0175950 B1 KR0175950 B1 KR 017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cover
connector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994A (ko
Inventor
사다오 노다
Original Assignee
하라 쇼헤이
산크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3042049U external-priority patent/JP257085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934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8357U/ja
Application filed by 하라 쇼헤이, 산크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라 쇼헤이
Publication of KR94001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간선케이블에 분기케이블을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간선케이블에 대한 커넥터의 위치를 쉽게 결정한다.
하우징(21)에서는 제1, 제2케이블수용부(22),(23)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케이블수용부(22),(23)에 돌출된 접촉부재(24)가 삽입,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1)의 측면의 소정위치에 복수의 결합돌기(25),(26)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29),(31)에는 케이블수용부(22),(23)과 대응하는 케이블수용부(32)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편(33)이 형성되며, 그 결합편(33)에 제1, 제2결합구멍(34),(35)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29),(31)을 하우징(21)에 소정거리만큼 분리된 상태로 설치하면 하우징(21)의 결합돌기(25),(26)은 결합편(33)의 제1결합구멍(34)에 결합함과 동시에 완전하게 설치된 상태로 결합돌기(25),(26)은 제2결합구멍(35)에 결합된다.

Description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전체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하우징의 바깥쪽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하우징의 안쪽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접촉부재의 장착상태로 나타낸 하우징의 부분종단면도.
제5도는 커버의 사시도.
제6도는 가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7도는 고착상태를 나타낸 전체의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전체의 분해 사시도.
제9도는 하우징의 바깥쪽을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하우징의 안쪽을 나타낸 사시도.
제11도는 접촉부재의 정면도.
제12도는 접촉부재의 측면도.
제13도는 하우징의 부분단면도.
제14도는 하우징의 부분 평면도.
제15도는 커버의 바깥쪽을 나타낸 사시도.
제16도는 커버의 안쪽을 나타낸 사시도.
제17도는 각 부품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종단면도.
제18도는 제1가결합상태를 나타낸 전체의 종단면도.
제19도는 제2가결합상태를 나타낸 전체의 종단면도.
제20도는 고착상태를 나타낸 전체의 종단면도.
제21도는 분기케이블의 유지상태를 나타낸 하우징의 종단측면도.
제22도는 분기케이블의 고착상태를 나타낸 전체의 평면도.
제23도는 플라이어에 의한 체결상태를 나타낸 전체의 정면도.
제24도는 접촉부재의 탈락상태를 나타낸 주요부분의 종단면도.
제25도는 변형예를 나타낸 접촉부재의 정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에를 타나낸 전체의 분해사시도.
제27도는 하우징의 바깥쪽을 나타낸 사시도.
제28도는 하우징의 안쪽을 나타낸 사시도.
제29도는 커버의 바깥쪽을 나타낸 사시도.
제30도는 커버의 안쪽을 나타낸 사시도.
제31도는 종래 예에 있어서 컨트롤 유니트와 입출력기기와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32도는 결합상태를 나타낸 전체의 사시도.
제33도는 케이블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접촉부재의 사시도.
제34도는 조립상태를 나타낸 전체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하우징 22 : 제1케이블 수용부
23 : 제2케이블 수용부 24 : 접촉부재
25,26 : 결합돌기(결합수단) 28 : 간선케이블
30 : 분기케이블 29,31 : 커버
33 : 결합편부(결합수단) 34 : 제1결합구멍(결합수단)
35 : 제2결합구멍(결합수단) 37 : 하우징
38 : 제1케이블 수용부 39 : 제2케이블 수용부
40,41,42 : 산형상부(결합수단) 43 : 안내부(안내수단)
44 : 가이드벽(안내수단) 45 : 케이블 안내부
47 : 접촉부재 49 : 커버
50 : 케이블 수용부 52,53 : 결합편부(결합수단,안내수단)
54 : 결합돌기(결합수단) 55 : 결합벽(결합수단)
57 : 팽창부 59 : 하우징
60 : 제1케이블 수용부 61 : 제2케이블 수용부
62,63,64 : 산형상부(결합수단) 65 : 결합돌기(결합수단)
67 : 접촉부재 68 : 커버
71 : 결합다리(결합수단) 73 : 결합구멍(결합수단)
74 : 팽창부
본 발명은 병렬 다심의 간선케이블과 병렬 다심의 분기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병렬 다심 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보다 예를 들면 FA(생산자동화)에 있어서는 컨트롤 유니트와 복수의 입출력기기와의 사이를 케이블로 접속함으로써 케이블을 통해서 컨트롤 유니트와 입출력기기 사이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컨트롤 유니트와 입출력기기사이를 케이블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입출력기기의 수만큼 컨트롤 유니트와 케이블사이에 케이블을 배선할 필요가 있으며, 입출력기기의 수가 증가하는 만큼 케이블의 배선이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케이블의 배선공간이 증대하게 된다.
그래서 근래 컨트롤 유니트와 입출력기기사이의 신호 전송을 최소한의 신호선으로 실행하는 단순배선화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제31도는 이런 형태의 단순배선장치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컨트롤 유니트(1)에는 평형4심의 간선케이블(2)의 일단이 접속됨과 동시에 그 간선케이블(2)의 중간부에 분기케이블(3)의 일단이 커넥터(4)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분기케이블(3)의 다른 끝에는 어드레스 유니트(5)가 접속되며, 그 어드레스 유니트(5)에 복수의 입력기기(6) 및 출력기기(7)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 유니트(1)은 출력기기(7)에 데이타를 출력할 때에는 출력 데이타에 대상이 되는 출력기기(7)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부가한 테이타신호를 어드레스유니트(5)로 출력한다. 그러면, 어드레스 유니트(5)는 접수된 데이타 신호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출력대상인 출력기기(7)을 특정해서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어프레스 유니트(5)는 입력기기(6)으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어드레스 데이터를 부가해서 데이터 신호를 컨트롤 유니트(1)로 송출한다. 그러면, 컨트롤 유니트(1)은 어드레스 유니트(5)로부터 받아들여진 데이타 신호의 어드레스 데이타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입력한 입력기기(6)을 특정한다.
그런데 간선케이블(2)와 분기케이블(3)은 다음과 같은 커넥터(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말하자면, 간선케이블(2)를 원하는 분기점에서 절단해서 그 절단된 간선케이블(2)의 단면의 양쪽에 커넥터를 접속함과 동시에 분기케이블(3)의 단면에도 커넥터를 장착해서 각 커넥터를 그 이외에 다른 커넥터를 사용해서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것에서는 분기케이블(3)을 분기하는 곳마다 간선케이블(2)를 절단함과 동시에 각 절단단면에 커넥터를 장착해야만 하므로 배선작업이 극히 어려움과 동시에 커넥터의 수가 늘어나서 가격이 상승한다라는 결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한 수단으로 일본국 특개평 3-71572호 공보에 개시된 평형다심전기케이블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제32도 내지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형 다심의 간선케이블(2)의 중간부에 분기케이블(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하우징(8)의 상면에 간선케이블(2)의 중간부를 설치한 형태로 상부가압부재(9)를 위쪽으로부터 압박접촉함과 동시에 하면에 분기케이블(3)을 설치한 상태로 하부가압부재(10)을 밑으로부터 압박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8)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 되게 설치된 접속부재(11)에 간선케이블(2)와 분기케이블(3)이 전기적인 접속 상태로 압박장착되므로 양쪽의 케이블(2),(3)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성의 것은 하우징(8)에 간선케이블(2)의 분기부를 장착하려면 하우징(8)에 간선케이블(8)을 위치가 결정된 상태로 상부가압부재(9)를 하우징(8)에 강하게 압박접촉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상부가압부재(9)의 압박접촉작업시에 하우징(8)이 간선케이블(2)에서 분기위치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일이 있으며, 작업성이 극히 나쁨과 동시에 접속작업의 신뢰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감안해서 구성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간선케이블과분기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함에 있어서 접속작업을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는 병렬다심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병렬 다심의 간선케이블과 병렬 다심의 분기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병렬다심 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한 간선케이블을 수용하는 제1케이블 수용부와 상기한 분기케이블을 수용하는 제2케이블 수용부가 마주해서 형성된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하우징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한 제1 및 제2케이블 수용부로부터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한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이 도통된 상태로 압박장착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설치하고, 상기한 제1 및 제2케이블 수용부로의 장착상태로 상기한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부가 형성된 한 쌍의 커버를 설치하며, 이들 커버의 상기한 하우징으로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각 커버와 하우징의 복수의 접촉부재와의 사이가 각각 상기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의 케이블 지름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상기한 각 커버를 하우징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가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한 각 커버가 상기한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고착하는 결합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한 커버의 상기한 하우징으로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각 커버와 하우징의 복수의 접촉부재와의 사이가 각각 상기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의 케이블지름을 상회하도록 상기한 커버를 상기한 하우징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분리된 제1가결합상태 및 상기 각 커버와 하우징의 복수의 접촉부재와의 사이가 각각 상기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의 케이블지름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상기커버를 하우징에서 소정거리 분리한 제2가결합상태에서 차례로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한 각 커버가 각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하는 결합수단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커버를 상기한 하우징으로의 장착방향으로만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커버를 상기한 하우징으로의 가압력을 받는 만곡면을 갖는 팽창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하우징에 케이블 수용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안쪽이 될수록 그 케이블 수용부에 접근하도록 경사한 케이블 안내면을 가지고, 그 케이블 안내면과 케이블 수용부에 의해서 구멍형태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블 안내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분기케이블의 케이블 안내부에 대한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점검창을 설치해도 좋다.
청구벙위 제1항에 기재된 병렬다심 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의 경우, 하우징의 제1케이블을 수용함과 동시에 제2케이블 수용부에 분기케이블을 수용한 상태로 커버를 하우징에 장착하면 커버는 장착과정시에 결합수단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분리된 가결합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가결합상태인 커넥터가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정함으로써 각 케이블에 대한 커넥터의 장착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커버를 하우징에 장착하면 커버는 결합수단에 의해 하우징에 고착된다.
이 때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은 커넥터에 압박장착되므로 양쪽의 케이블은 커넥터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병렬다심 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의 경우 커버를 하우징에 장착하면 커버는 장착작업시에 결합수단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분리된 제1가결합상태 및 제2가결합상태로 차례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1가결합상태인 커넥터가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에 대해서 이동이 자유로운 위치에 설정됨과 동시에 제2가결합상태인 커넥터가 각 케이블에 대해서 반고정된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각 케이블로의 커넥터의 위치결정작업 및 장착작업이 쉽게 된다.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병렬다심 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의 경우, 안내수단에 의해 커버는 하우징의 장착방향으로만 안내되므로 커버가 하우징에 대해서 장착된 경우에 장착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가압력이 받아들여지도록 해도 커버를 하우징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병렬다심 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의 경우, 커버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플라이어와 같은 공구가 사용된 경우에 있어도 커버에서는 공구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팽창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압력을 확실하게 수용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된 병렬다심 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티의 경우 분기케이블의 선단부는 케이블 안내부에 의해 위치결정되므로 커넥터에 대한 분기케이블의 위치결정작업이 쉬워진다.
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된 병렬다심 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의 경우, 점검창를 통해서 분기케이블의 선단은 케이블 안내부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므로 커넥터에 대한 분기케이블의 위치결정작업이 쉽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하우징의 외측을 나타내고, 제3도는 하우징의 안쪽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하우징(21)의 도시한 상면 및 하면에서는 제1케이블 수용부(22)및 제2케이블 수용부(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케이블 수용부(22),(23)은 원호상 단면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위치결정홈(22a),(23a)가 여러개가 합쳐져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위치결정홈(22a),(23a)로부터 돌출되어 동합금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접촉부재(24)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부에 V자형의 절삭부(24a)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절삭부(24a)에 연결된 슬릿(24b)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그들 절삭부(24a)및 슬릿(24b)가 하우징(21)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재(24)는 위치결정홈(22a),(23a)에 하나씩 병설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접촉부재들과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21)의 측면에는 결합돌기(25),(26)이 소정의 위치에 여러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2도에 도시된 하우징(21)의 측면에서 양쪽에 위치하는 결합돌기(25)는 측변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돌기(25)의 중앙에 위치하는 결합돌기(26)은 측면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도에 도시한 하우징(21)의 측면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결합돌기(25)는 측면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돌기(25)의 양쪽에 위치하는 결합돌기(26)은 측면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21)에 있어서 제2케이블 수용부(23)의 단부에는 각 위치결정홈(23a)를 가로질러 측면(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케이블 수용부(22)의 단부에는 측면(27)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1도에 있어서 하우징(21)의 제1케이블 수용부(22)에는 간선케이블(28)이 끼워진 상태로 커버(29)가 장착되며, 제2케이블 수용부(23)에는 분기케이블(30)이 끼워진 상태로 커버(31)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커버(29),(31)은 동일한 형태이므로 커버(29)만을 설명하며, 커버(31)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커버의 바깥쪽을 나타낸 제5도에 있어서 커버(29)에서 도시한 상면에는 케이블 수용부(32)가 형성되며, 이것은 원호상단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위치결정홈(32a)가 여러개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커버(29)의 한쪽의 측면중앙부에 나란하게 다른 쪽의 측면앙단부에는 도시한 위쪽으로 돌출된 결합편부(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편부(33)은 하우징(21)의 외형에 대응해서 형성되며, 그 결합편부(33)의 상부에 제1결합구멍(34)가 형성되며, 하부에 제2결합구멍(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결합편부(33)에 있어서, 제1결합구멍(34)에 대응하는 내면은 함몰되어 형성되어 있다.
커버(29)의 케이블 수용부(32)에 있어서, 하우징(21)의 접촉부재(24) 및 측면(27)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위치결정홈(32a)를 가로지르도록 슬릿(36)이 여러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의 커넥터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커버(29)의 케이블 수용부(32)의 각 위치결정홈(32a)에 평형 다심의 간선케이블(28)을 구성하는 각 케이블(32)의 각 위치결정홈(32a)에 평형 다심의 간선케이블(28)을 구성하는 각 케이블선(28a)를 각각 대응시켜서 배치한다. 그리고 커버(29)에 하우징(21)을 위쪽으로부터 삽입하면 커버(29)의 결합편부(33)이 하우징(21)의 결합돌기(25)의 경사면에 가압되고 옆쪽으로 탄성 변형됨과 동시에 더우기 하우징(21)을 커버(29)에 삽입하면, 제1결합구멍(34)에 결합돌기(25)가 결합된다.
이어서, 하우징(21)의 제2케이블 수용부(23)에 설치된 측면(27)에 분기케이블(30)의 단부를 밀착시킴과 동시에 각 위치결정홈(23a)에 분기케이블(30)의 각 케이블선(30a)를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커버(31)을 제2케이블 수용부(23)에 삽입함과 동시에 커버(31)의 결합편부(33)에 형성된 제1결합구멍(34)에 하우징(21)에 형성된 결합돌기(26)이 결합된 것으로 삽입작업을 종료한다.
이 결과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9),(31)의 하우징(21)에 일정거리만큼 분리된 가결합상태로 된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커버(29),(31)이 하우징(21)에 대해서 가결합된 상태에서는 각 커버(29),(31)은 하우징(21)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분리되어 있으므로 간선케이블(28) 및 분기케이블(30)은 커낵터(24)와 각 커버(29),(31)과의 사이에 가볍게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간선케이블(28)및 분기케이블(30)은 일체화된 하우징(21)및 커버(29),(31)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하우징(21)을 간선케이블(28)에 대해서 슬라이딩함으로써 그 하우징(21)을 간선케이블(28)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하우징(21)을 간선케이블(28)에 대해서 위치결정될 정도로 플라이어등의 공구를 사용해서 각 커버(29),(31)을 상하방향으로부터 하우징(21)에 대해서 체결합다. 그러면, 각 커버(29),(31)이 하우징(21)에 대해서 설치되는 것에 따라서 이들 커버(29),(31)의 결합편부(33)에 형성된 제1결합구멍(34)가 하우징(21)의 결합돌기(25),(26)으로부터 탈락됨과 동시에 커버(29),(31)이 하우징(21)에 완전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2결합구멍(35)가 결합돌기(25),(26)에 결합하게 된다.
이 결과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커버(29),(31)과 하우징(21)이 가결합상태로부터 완전하게 결합해서 일체화된다.
이 때 하우징(21)에 설치된 접촉부재(24)가 각 커버(29),(31)에 형성된 슬릿(36)에 들어감으로서 간선케이블(28)및 분기케이블(30)은 각 커버(29),(31)의 케이블 수용부(32)에 가압되고 접촉부재(24)에 강하게 가압되게 된다. 그러면, 간선케이블(28)의 각 케이블선(28a) 및 분기케이블(30)의 각 케이블선(28a),(30a)의 피복이 접촉부재(24)에 의해 벗겨져서 도선이 노출되고 슬릿(24b)에 전기적으로 접속 상태로 압착된다.
이 결과 각 케이블선(28a),(30a)가 접촉부재(24)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그래서 간선케이블(28)과 분기케이블(3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21)의 측면에 결합돌기(25),(26)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 커버(29),(31)에 설치된 결합편부(33)에 제1,제2결합구멍(34),(35)를 형성하고, 각 커버(29),(31)을 하우징(21)에 대한 장착을 따라서 각 커버(29),(31)을 완전하게 결합시키는 것에 앞서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상태로 가결합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그 가결합상태에서 간선케이블(28)에 대해서 하우징(21) 슬라이딩해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그 위치가 결정된 상태로 접촉부재(24)를 통해서 간선케이블(28)과 분기케이블(30)을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하우징에 대한 간선케이블의 위치결정과 동시에 압력부재에 대한 압박접촉에 의해 양쪽의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종래 예의 것과 다르고, 접속작업을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각 커버(29),(31)이 하우징(21)에 가결합된 상태로 양자는 일체화되고 있으므로 간선케이블(28)에 대한 하우징(21)의 위치결정작업이 쉽게 행해질 수가 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29),(31)이 하우징(21)에 가결합된 상태에서는 간선케이블(28)및 분기케이블(30)은 하우징(21)에 설치된 접촉부재(24)의 절삭부(24a)와 각 커버(29),(31)의 케이블 수용부(32)의 위치결정홈(32a)에 의해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각 커버(29),(31)의 하우징(21)로의 장착작업을 한층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1)의 한쪽의 면에 벽면(27)을 형성하고, 그 벽면(27)에 분기케이블(30)의 단부를 밀착시키려 했지만 벽면(27)을 형성하고, 간선케이블(28)의 중간부에 분기케이블(30)의 중간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접촉부재(24)의 절삭부(24a)를 대신해서 날을 설치해, 그 날에 의해 각 케이블(28),(30)의 피복을 벗기도록 해도 좋음과 동시에 접촉부재(24)를 하우징(21)에 삽입성형하는 대신에 끼워 맞춰서 일체화하도록 해도 좋다.
더욱이, 하우징(21)의 측면에 설치된 결합돌기(25),(26)은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지만 하우징(21)의 두께, 커버(29),(31)의 두께치수, 결합편부(33)의 길이치수, 흑은 제1,제2결합구멍(34),(35)의 위치등을 변경함으로써 직선형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하우징(21)에 제1, 제2결합구멍을 가진 결합편부를 하나로 성형함과 동시에 각 커버(29),(31)에 결합돌기를 형성해도 좋다.
제8도 내지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9도는 하우징의 바깥쪽을 나타내고, 제10도는 하우징의 안쪽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제9도 및 제10도에 있어서, 하우징(37)에는 제1케이블 수용부(38) 및 제2케이블 수용부(39)가 상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7)의 측면에는 도시한 상하방향으로 뻗어서 제1 내지 제3의 산형상부(40),(41),(42)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들 각 산형상부(40),(41),(42)를 가로질러 가이드부(43)이 옆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37)의 측벽단부에는 제1 및 제2케이블 수용부(38),(39)로부터 도시한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벽(44)가 형성되어 있다.
제2케이블 수용부(39)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벽(44)는 그 제2케이블 수용부(39)에 마주한 형상의 케이블 안내부(4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케이블 안내부(45)에는 제2케이블 수용부(39)와 마주함과 동시에 안쪽으로 됨에 따라서 제2케이블 수용부(39)에 접근하도록 경사진 케이블 안내면(46)과 그 제2케이블 수용부(39)로부터 구멍형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제21도 참조).
또한, 하우징(37)에는 복수의 접촉부재(47)이 장착되어 있다.
제11도는 접촉부재(47)의 정면을 도시하고, 제12도는 접촉부재(47)의 측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제11도 및 제12도에 있어서, 접촉부재(47)의 도시한 상하방향의 양단부에는 단자부(47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자부(47a)는 V자형의 절삭부(47a1)및 그 절삭부(47a1)과 연결된 슬릿(47a2)로 이루어진다. 접촉부재(47)의 중앙부는 도시한 아래쪽으로 구성됨에 따라서 앞쪽이 가늘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부에 톱니바퀴형의 맞물림 이빨(47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접촉부재(47)의 측면에 있어서 그 접촉부재(47)의 중심위치(무게중심위치)로부터 도시한 위쪽으로 편심된 위치에는 원주형의 볼록부(47c)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볼록부(47c)는 접촉부재(47)을 자동실장기(自動室裝機)에 의해 하우징(37)에 실장(室裝)하는 경우에 자동실장기가 접촉부재(47)을 걸어서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요컨대, 볼록부(47c)는 접촉부재(47)의 중심위치로부터 편심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동실장기가 접촉부재(47)을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방향과 반대로 완전히 뒤집힌 방향으로 걸렸을 때에는 접촉부재(47)은 자동적으로 180°회전해서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정상적인 방향으로 정열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자동실장장치에 의해 정열된 접촉부재(47)은 하우징(37)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삽입된다. 제13도 및 제14도는 하우징(37)에 형성된 장착구멍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제13도 및 제14도에 있어서, 장착구멍(48)에서 접촉부재(47)의 맞물림 이빨(47b)가 삽입되는 부위는 삽입방향에 대해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재(7)의 볼록부(47c)를 놔주기 위한 함몰부(47a)가 형성되어 있다.
제15도는 커버의 바깥쪽을 도시하고, 제16도는 커버의 안쪽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제15도 및 제16도에 있어서 커버(49)에는 케이블 수용부(50)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케이블 수용부(50)을 횡단한 접촉부재(47)삽입용의 슬릿(51)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49)의 한쪽의 측면중앙에는 하나의 결합편부(52)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 쪽의 측면단부에는 한쌍의 결합편부(5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편부(52),(53)의 선단에는 안쪽으로 뻗는 결합고리(52a),(53a)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편부(52)의 외면중앙부에는 바깥쪽으로 뻗는 결합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편부(53)은 결합벽(55)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결합벽(55)의 내면 중앙부에는 결합편부(52)의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56)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오목부(56)의 결합돌기(54)의 형상에 대응한 경사면(5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37)에 접촉부재(47)이 삽입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7)에 커버(49)가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7)에 압박장착된 접촉부재(47)의 단자부(47a)의 일부는 커버(49)의 홈(51)에 들어간다.
이 때, 하우징(37)에 삽입된 접촉부재(47)의 단자(47a)의 선단과 커버(49)의 홈(51)의 저면과의 간격치수 Ll은 케이블(28),(30)이 단자(47a)에 도통된 상태로 삽입된 삽입거리 L2보다도 짧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커버(49)의 결합편부(52)및 결합돌기(54), 및 하우징(37)의 제1 내지 제3의 산형상부(40),(41),(42)및 결합벽(55)가 결합수단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커버(49)의 결합편부(52),(53)및 하우징(37)의 가이드벽(44)가 안내수단으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최초의 제1장착과정에서는 커버(49)의 케이블 수용부(50)에 간선케이블(28)을 배치한 상태로 하우징(37)을 커버(49)에 위쪽으로부터 가볍게 삽입한다. 이때 하우징(37)의 가이드(43)을 커버(49)의 결합편부(52),(53)에 슬라이딩시키면서 삽입한다. 그리고 커버(49)의 결합편부(52),(53)의 결합고리(52a),(53a)가 하우징(37)의 측면에 형성된 제1산형상부(40)에 결합된 것으로 삽입작업을 중단한다.
이 결과 커버(49)가 하우징(37)에 대해서 일정거리만큼 분리된 제1가결합상태로 된다. 이 제1가결합상태에서는 커버(49)의 케이블 수용부(50)과 하우징(37)의 제1케이블 수용부(38)로부터 돌출된 접촉부재(47)의 사이에는 간선케이블(28)의 케이블직경을 상회하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37)을 간선케이블(28)의 횡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가 있다.
계속해서 분기케이블(30)을 하우징(37)의 제2케이블 수용부(39)로부터 돌출된 접촉부재(47)의 위쪽을 통과시킨 상태로 케이블 안내부(45)의 케이블 안내면(46)에 삽입된다. 이 때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안내면(46)에 삽입된 분기케이블(30)은 자동적으로 접촉부재(47)에 얹혀진 상태로 유지됨과 동시에 그 선단은 케이블 안내면(46)을 따라서 도시한 위쪽으로 휘어진 형태가 된다.
그것에 의해 분기케이블(30)은 자기의 탄력복원력에 의해 케이블 안내면(46)에 압박접촉되므로 분기케이블(30)은 케이블 안내부(45)와 접촉부재(47)에 의해 지지되어서 유지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케이블 안내면(46)은 안쪽 케이블 수용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안쪽이 될 수록 그 케이블 수용부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분기케이블(30)이 소정의 케이블직경보다도 가느다란 직경이더라도 분기케이블(30)을 케이블 안내부(45)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또다른 한쪽의 커버(49)를 하우징(37)의 위쪽으로부터 장착해서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49)의 결합편부(52),(53)의 결합고리(52a),(53a)를 하우징(37)의 제3의 산형상부(42)에 결합한다.
이 결과 커버(49)는 하우징(37)에 대해서 커버(49)와 하우징(37)의 복수의 접촉부재(47)의 사이가 간선케이블(28)및 분기케이블(30)의 케이블지름을 상회하도록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제1가결합상태가 된다.
그래서, 커버(49)의 하우징(37)에 대찬 제1가결합상태에서는 간선케이블(28)및 분기케이블(30)은 커넥터에 대해서 이동이 자유로우므로 간선케이블(28)에 대한 커넥터의 위치를 조정함과 동시에 커넥터에 대한 분기케이블(30)의 위치를 조정한다.
다음의 제2장착과정에서는 하우징(37)에 임시로 고정되어 있는 각 커버(49)를 강하게 압박장착하면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49)의 결합편부(52)는 마주하는 커버(49)의 결합벽(55)와 하우징(37)의 측면의 사이에 들어감과 동시에 결합편부(52),(53)의 결합고리(52a),(53a)는 제1 및 제3의 산형상부(42)로부터 각각 벗어나서 제2산형상부(41)에 결합한다.
이 때, 결합편부(52)의 바깥면에 형성된 결합돌기(54)가 결합벽(55)의 단부에 밀착하므로 그 이상의 커버(49)의 진행이 규제된다.
이 결과 각 커버(49)는 이들과 하우징(37)의 복수의 접촉부재(47)의 사이가 간선케이블(28)및 분기케이블(30)의 케이블지름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하우징(37)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제2가결합상태가 된다. 이 제2가결합상태에서는 커버(49)의 케이블 수용부(50)과 접촉부재(47)의 간격은 간선케이블(28)및 분기케이블(30)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각 케이블(28),(30)에는 접촉부재(47)에 절삭부(47a)가 약간 파고 들어가며, 이것에 의해 각 케이블(28),(30)은 커넥터에 가고정상태가 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49)에 대한 가압을 해제해도 커넥터가 간선케이블(28)에 대해서 이동하거나 혹은 분기케이블(30)이 커넥터로부터 탈락되거나 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한 제2가결합상태에 있어서는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7)의 케이블 안내부(45)와 커버(49)의 사이에 분기케이블(30)의 선단부에 대응한 점검창(5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점검창(58)을 통해서 커넥터에 분기케이블(30)이 확실하게 유지되어 있는가 아닌가의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마지막 제3의 장착공정에서는 하우징(37)에 임시로 고정된 각 커버(49)를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이어등의 공구를 사용해서 체결한다. 이 때 각 커버(49)의 외면에는 팽창부(5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커버(49)가 플라이어로부터 가압력을 받더라도 그 가압력을 팽창부(57)에 의해 받을 수가 있다. 따라서, 플라이어로부터 커버(49)에 대해서 하우징(37)로의 장착방항으로부터 기울어진 커다란 가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커버(49)를 하우징(37)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가 있다.
또한, 커버(49)의 한쪽의 측면에 설치된 결합편부(52)는 하우징(37)의 가이드부(43)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안내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측면에 설치된 결합편부(53)은 가이드부(43)을 끼움과 동시에 가이드벽(44)에 슬라이딩하는 상태로 안내되므로 커버(49)는 하우징(37)로의 장착방향만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각 커버(49)의 하우징(37)에 대한 진행에 의해 결합편부(52)의 결합고리(52a)가 결합벽(55)로부터 탈출하는 것, 제2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편부(52)의 결합고리(52a)가 하우징(37)의 제3산형상부(42)혹은 제1산형상부(40)에 결합함과 동시에 결합돌기(54)가 결합벽(55)의 단면에 결합한다. 이 결과 커버(49)는 하우징(37)에 장착된 상태로 고착된다.
이 때, 간선케이블(28)및 분기케이블(30)은 커버(49)의 케이블 수용부(50)에 가압되고 접촉부재(47)에 강하게 끼워지도록 압력이 가해지므로 접촉부재(47)의 절삭부(47a)에 의해 외피가 벗겨짐과 동시에 내부의 전도체가 슬릿(47b)에 삽입되고 간선케이블(28)과 분기케이블(30)은 그들을 구성하는 각 케이블마다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제2실시예의 것에 의하면 각 커버(49)를 하우징(37)에 장착하는 경우에 제1장착과정인 커넥터에 대해서 간선케이블(28)및 분기케이블(30)의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1가결합상태로 계속해서 유지하고 제2장착과정으로서 커넥터에 각 케이블(28),(30)을 임시로 고정한 제2가결합상태로 유지하고, 제3장착과정으로서 커넥터에 각 케이블을 도통상태로 고정하도록 하므로 커넥터에 대한 각 케이블(28),(30)의 위치결정작업 및 장착작업을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하우징(37)의 측면에 가이드(43)및 가이드벽(44)를 설치해서 커버(49)를 하우징(37)에 장착하는 경우에 커버(49)의 결합편부(52),(53)을 가이드(43) 및 가이드벽(44)를 따라서 안내하도록 하므로 접촉부재(47)에 대한 각 케이블(28),(30)의 가압상태에 차이가 발생한 상태에서도 커버(49)를 하우징(37)을 경사지게 하지 않고 확실하게 장착할 수가 있다.
더욱이, 하우징(37)에 설치된 케이블 안내부(45)에 의해 분기케이블(30)의 선단부를 유지하도록 했으므로 커버(49)를 하우징(37)에 장착하는 경우에 분기케이블(30)이 접촉부재(47)로부터 물러나지 않도록 손으로 잡을 필요가 없어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런데 간선케이블(28)은 이 중간부에 접촉부재가 접속된다라는 사정으로부터 필연적으로 평형다심케이블을 사용할 필요가 있지만 분기케이블(30)으로서는 어드레스유니트등의 제어기기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케이블이 접속되므로 평형다심케이블보다도 캡타이어케이블(cabtyre cable)의 외피를 벗겨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평형다심케이블은 복수의 케이블이 하나가 된 것으로부터 하우징(37)에 대해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쉽지만 분기케이블(30)으로서 캡다이어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케이블은 분리되며, 완전히 모든 케이블을 손으로 유지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기케이블(30)의 선단부를 케이블 안내부(45)에 의해 유지된 구성이므로 분기케이블(30)의 종류에도 불구하고 케이블 안내부(45)에 쉽게 유지될 수 있어서 실용상 극히 유용하다.
게다가 분기 케이블(30)의 케이블 가닥수가 분기케이블(28)의 가닥수보다도 적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케이블 안내부(45)에 의해 분기케이블(30)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가 있으므로 분기케이블(30)의 종류별 적용범위를 한층 확대할 수가 있다.
더우기 하우징(37)에 커버(49)가 장착된 형태로 커넥터에 점검창(58)을 형성하고 그 점검창(58)을 통해서 분기케이블(30)의 선단위치를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커넥터로의 분기케이블(30)의 접속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재(B7)의 단자(47a)에 간선케이블(28) 및 분기케이블(30)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각 케이블(28),(30)으로부터의 삽입력에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재(47)이 하우징(37)에 대한 삽입방향과 반대방항으로 힘을 받아서 탈락되는 방향으로 이동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접촉부재(47)의 단자(47a)의 선단과 커버(49)의 홈(51)의 안쪽 저면과의 간격치수 Ll은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재(47)의 단자(47a)에서 각 케이블(28),(30)의 도통상태에서의 삽입거리 L2보다도 작게 설정했으므로 하우징(37)에 삽입된 접촉부재(47)이 탈락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접촉부재(47)의 단자(47a)에 압착된 분기케이블(30)의 삽입거리는 거리L1만큼 단축되는 것의 그 압착위치에 있어서는 접촉부재(47)의 단자(47a)의 슬릿(47a2)에 압착된 분기케이블(30)이 슬릿(47a2)로부터 분리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하우징(37)에 삽입된 접촉부재(47)이 탈락방향으로 이동된 경우에 있어서도 접촉부재(47)에 각 케이블(28),(30)이 도통상태로 확실하게 압착되도록 되므로 간선테이블(28)과 분기케이블(30)을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가 있다.
제25도는 접촉부재(47)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커넥터에서 맞물림이빨(47b)의 도시한 위쪽의 소정위치에 측방에 돌출된 팽창부(47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접촉부재(47)이 하우징(37)의 장착구멍(48)에 삽입될 적에는 팽창부(476)가 장착구멍(48)의 가장자리 둘레에 걸려서 그 이상의 삽입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접촉부재(47)을 사용함으로써 하우징(37)에 삽입된 접촉부재(47)은 삽입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하우징(37)에 압착된 커넥터(49)와의 간격의 치수를 관리는 접촉부재(47)의 삽입측에 장착된 접촉부재(47)과 커버(49)의 간극으로만 실시하면 좋다.
요컨대 제17도에 도시한 구성의 것에서는 하우징(37)에 삽입된 접촉부재(47)은 삽입방향으로도 이동할 염려가 있으며, 하우징(37)에 장착된 양쪽의 커버(49)의 사이에서 치수를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에 대해 적어도 접촉부재(47)의 삽입된 쪽에 위치하는 커버(49)와의 사이에서 치수관리를 실시하면 좋다.
또한, 하우징(137)메 대한 접촉부재(47)의 삽입위치를 팽창부(476)에 의해 확실하게 위치를 결정할 수가 있으므로 접촉부재(47)의 하우징(37)에 대한 삽입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특별한 위치가 불필요하다.
또한, 접촉부재(47)의 형상으로서는 정렬용의 볼록부(47c)를 생략하도록 해도 좋음과 동시에 하우징(37)의 장착구멍(48)에 대한 삽입형상을 맞물림이빨(47b) 이외의 적당한 형상으로 각각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제26도 내지 제30도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3실시예에서는 간선케이블과 분기케이블의 케이블의 횡방향을 직교해서 접속하는 커넥터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제27도는 하우징을 겉표면을 나타내고, 제28도는 하우징의 안쪽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제27도 및 제28도에 있어서, 하우징(59)에는 제1케이블 수용부(60)및 제2케이블 수용부(61)이 마주해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9)의 한쪽의 마주하는 측면단부에는 도시한 위쪽에 연결되어서 제1산형상부(62), 제2산형상부(63) 및 제3의 산형상부(64)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측면중앙부에는 결합돌기(65)가 형성되어 있다.
같은 형태로 하우징(59)의 마주한 측면단부에는 도시한 아래쪽에 연결되어 제1산형상부(62), 제2산형상부(63) 및 제3의 산형상부(64)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측면중앙부에는 결합돌기(65)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9)에있어서 제2케이블 수용부(61)에 대응해서 벽면(66)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9)에는 접촉부재(67)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접촉부재(67)은 중앙부에서 90°회전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중앙부가 하우징(59)에 매설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접촉부재(67)에서 하우징(59)의 제1 및 제2케이블 수용부(60),(61)로부터 돌출된 선단부는 서로 직교한 방향을 지향하고 있다.
제29도는 커버의 바깥쪽을 나타내고, 제20도는 커버의 안쪽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제29도 및 제30도에 있어서 커버(68)에는 케이블 수용부(69)를 횡단하는 접촉부재(67)삽입용의 슬릿(70)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68)의 모퉁이에는 결합다리(7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내면에는 안쪽을 지향하는 결합고리(71a)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다리(71)은 케이블 수용부(69)를 따라서 결합벽(7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결합벽(72)의 중앙부에는 결합구멍(73)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선단중앙부에는 경사면(7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68)의 외면에는 반구형의 만곡면을 갖는 팽창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커버(68)의 결합다리(71)및 결합구멍(73)및 하우징(59)의 제1 내지 제3의 산형상부(62),(63),(64)및 결합돌기(65)가 결합수단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경우 커버(68)을 하우징(59)에 삽입하면 커버(68)의 결합다리(71)의 결합고리(71a)가 하우징(59)의 제1산형상부(62)에 결합해서 제1가결합상태가 되므로 그 제1가결합상태로 간선케이블(28)및 분기케이블(30)과 커넥터의 위치를 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커버(68)을 더욱 강하게 삽입하면, 커버(68)의 결합다리(71)의 결합고리(71a)가 하우징(59)의 제2산형상부(63)에 결합해서 제2가결합상태가 되므로 그 제2가결합상태로 간선케이블(28)및 분기케이블(30)을 커넥터에 대해서 임시로 고정될 수가 있다.
더우기 커버(68)을 하우징(59)을 삽입하면, 커버(68)의 결합다리(71)의 결합고리(71a)가 하우징(59)의 제3의 산형상부(64)에 결합됨과 동시에 커버(68)의 결합구멍(73)이 하우징(59)의 결합돌기(65)에 결합하므로 커버(68)를 하우징(59)에 고착할 수가 있다.
이상의 장착방법의 결과, 간선케이블(28) 및 분기케이블(30)의 이동이 가능한 제1가결합상태로 계속해서 유지하고, 커넥터에 대해서 케이블(28),(30)이 반고정된 제2가결합상태로 유지한 후에 커넥터에 대해서 각 케이블(28),(30)이 고정된 고착상태로 되도록 했으므로 간선케이블(28) 및 분기케이블(30)을 직교시키는 상태로 양쪽의 케이블(28),(30)을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접속할 수가 있다.
또한, 커버(68)에 형성된 반구형의 팽창부(74)에 의해 플라이어등의 공구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도록 했으므로 일반공구에 의해 커버(68)을 하우징(59)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가 있다. 또한, 커버와 하우징과의 결합수단은 물론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변형해서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평형다심케이블접속용 컨넨터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것에 의하면, 한쌍의 케이블을 하우징으로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각 커버와 하우징의 복수의 접촉부재와의 사이가 각각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의 케이블지름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상기한 커버를 하우징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분리된 가결합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한 각 커버가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고착된 결합수단을 설치하므로 가결합상태로서 커넥터가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에 대해서 반고정된 결합상태로 설정함으로써 각 케이블에 대한 커넥터의 장착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한 것에 의하면, 한 쌍의 커버의 하우징으로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각 커버와 하우징의 복수의 접촉부재와의 사이가 각각 상기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의 케이블지름을 상회하도록 상기한 커버를 상기한 하우징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분리된 제1가결합상태 및 상기 각 커버와 하우징의 복수의 접촉부재와의 사이가 각각 상기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의 케이블지름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각 커버를 하우징으로부터 소정거리 분리한 제2가결합상태로 차례로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한 각 커버가 상기한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고착되는 결합수단을 설치하므로 제1가결합상태인 커넥터가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에 대해서 이동이 자유로운 위치로 설정됨과 동시에 제2가결합상태인 커넥터가 각 케이블에 대해서 반고정된 위치로 설정됨으로써 각 케이블로의 커넥터의 장착작업에 추가해서 위치를 결정하는 작업이 쉽게 된다.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한 것에 의하면, 커버를 하우징으로의 장착방향으로만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설치하므로 커버가 하우징에 대해서 장착된 경우에 장착방향으로부터 경사진 가압력이 인가되더라도 커버를 하우징으로 확실하게 장착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한 것에 의하면, 커버에 하우징으로의 가압력을 받는 만곡면을 갖는 팽창부를 설치하므로 커버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플라이어와 같은 공구를 사용한 경우에도 커버에 대해서 기울어지는 일이 없이 공구로부터의 가압력을 인가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한 것에 의하면, 하우징에 케이블 수용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안쪽이 될 수록 그 케이블 수용부에 접근하도록 검사시킨 케이블 안내면을 가지고, 그 케이블 안내면 케이블 수용부에 의해서 구멍형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블 안내부를 설치하므로 커넥터에 대한 분기케이블의 위치를 결정하는 작업이 쉽게 된다.
청구벙위 제6항에 기재한 것에 의하면, 분기케이블의 케이블 안내부에 대한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점검창을 설치하므로 커넥터에 대한 분기케이블의 고정상태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병렬다심의 간선케이블(28)과 병렬다심의 광기케이블(3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한 간선케이블(28)을 수용하는 제1케이블 수용부와 상기한 분기케이블(30)을 수용하는 제2케이블 수용부가 대면해서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한 제1 및 제2케이블 수용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며 상기한 간선케이블(28)및 분기케이블(30)이 도통상태에서 압박장착되는 복수의 접촉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수용부로의 장착상태에서 상기한 간선케이블(28) 및 분기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부가 형성된 한쌍의 커버와, 이들 커버의 상기한 하우징으로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각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복수의 접촉부재와의 사이가 각각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의 케이블 지름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상기한 각 커버를 상기한 하우징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간한 가결합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한 각 커버가 상기한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고착하는 결합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2. 병렬다심의 간선케이블(28)과 병렬다심의 분기케이블(3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한 간선케이블(28)을 수용하는 제1케이블 수용부와 상기한 분기케이블(30)을 수용하는 제2케이블 수용부가 대면해서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한 제1 및 제2케이블 수용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며 상기한 간선케이블(28) 및 분기케이블(30)이 도통상태에서 압착장착되는 복수의 접촉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케이블 수용부로의 장착상태에서 상기한 간선케이블(28)및 분기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부가 형성된 한 쌍의 커버와, 이들 커버의 상기한 하우징으로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각 커버와 상기한 하우징의 상기한 복수의 접촉부재와의 사이가 각각 상기한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의 케이블지름을 상회하도록 상기한 각 커버를 상기한 하우징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간한 제1가결합상태 및 상기한 각 커버와 하우징의 상기한 복수의 접촉부재와의 사이가 각각 상기한 간선케이블 및 분기케이블의 케이블지름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상기한 각 커버를 하우징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간한 제2가결합상태로 차례로 유지함과 동시에 각 커버가 상기한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착하는 결합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를 상기한 하우징으로의 장착방향만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에, 상기한 하우징으로의 가압력을 받는 만곡면을 갖는 팽창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에, 케이블 수용부와 대향한 상태에서 안쪽이 됨에 따라서 그 케이블 수용부에 접근하도록 경사한 케이블 안내면을 갖고, 케이블 안내면과 케이블 수용부에 의해서 구멍형상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블 안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기케이블(30)의 케이블안내부에 대한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점검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에, 케이블 수용부와 대향한 상태에서 안쪽이 됨에 따라서 그 케이블 수용부에 접근하도록 검사한 케이블 안내면을 가지고 그 케이블 안내면과 케이블 수용부에 의해서 구멍형상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블 안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기케이블(30)의 케이블안내부에 대한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점검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를 상기한 하우징으로의 장착방향만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에, 상기한 하우징으로의 가압력을 받는 만곡면을 갖는 팽창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KR1019930029845A 1992-12-25 1993-12-27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KR0175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83592 1992-12-25
JP92-88835 1992-12-25
JP93-42049 1993-07-30
JP1993042049U JP2570850Y2 (ja) 1992-12-25 1993-07-30 並列多芯ケーブル相互接続用コネクタ
JP93-49345 1993-09-10
JP049345U JPH0718357U (ja) 1993-09-10 1993-09-10 並列多芯ケーブル相互接続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994A KR940016994A (ko) 1994-07-25
KR0175950B1 true KR0175950B1 (ko) 1999-05-15

Family

ID=2729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845A KR0175950B1 (ko) 1992-12-25 1993-12-27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9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507B1 (ko) * 1996-07-02 2006-04-20 뿌예 소씨에떼 아노님 두전기케이블의신속한상호연결을위한방법및장치
KR100619138B1 (ko) * 2004-03-31 2006-08-3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선 분기용 단자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305B1 (ko) * 2002-09-11 2005-03-10 정상술 전선분기용 터미널 블록
FR3065120B1 (fr) * 2017-04-10 2019-06-21 Dcns Energies Systeme de raccordement de cables sous-marins
CN107946784A (zh) * 2018-01-10 2018-04-20 慈溪市萤火照明灯具有限公司 免安装工具的防水导线连接器
KR102147270B1 (ko) * 2020-04-28 2020-08-24 (주) 여명기술단 실내 통신케이블 접속기구
KR102147266B1 (ko) * 2020-04-28 2020-08-24 (주) 여명기술단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507B1 (ko) * 1996-07-02 2006-04-20 뿌예 소씨에떼 아노님 두전기케이블의신속한상호연결을위한방법및장치
KR100619138B1 (ko) * 2004-03-31 2006-08-3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선 분기용 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994A (ko) 199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0795B1 (en) Connector
KR100238930B1 (ko) 플러그를 끼울수 있는 모듈 스플라이싱 커넥터 및 브리징 어댑터
EP0956620B1 (en) Method for connecting flat flexible cable and a connector
US5425657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terminating a multi-conductor cable
US4653825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RU2258987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держатель кабеля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монтаж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KR100230938B1 (ko) 후방홀더 일체형 접속기
US4094566A (en) Connector having wire locating means
US7416448B2 (en) Cable plug
WO2005043687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KR0175950B1 (ko)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JPH02309577A (ja) 回路板エッジコネクタ
US20070054540A1 (en) Method of connecting a cable with an electrical connector
KR20160123214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938780B2 (ja) 並列多芯ケーブル相互接続用コネクタ
EP1513228A1 (en) Connector having an engaging member for holding a cable
JP2570850Y2 (ja) 並列多芯ケーブル相互接続用コネクタ
EP0251396B1 (en) Branch connector for coaxial cable
JPH0150076B2 (ko)
US20020019163A1 (en) Cable connector
US4725247A (en) Cable splicing assembly
KR20040098568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EP0802581A2 (en) Cable branch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multicore trunk cables and multicore branch cables with each other
KR20180011034A (ko) 커넥터
US5798486A (en) Casing for a junction in a flat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