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266B1 -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 - Google Patents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266B1
KR102147266B1 KR1020200051145A KR20200051145A KR102147266B1 KR 102147266 B1 KR102147266 B1 KR 102147266B1 KR 1020200051145 A KR1020200051145 A KR 1020200051145A KR 20200051145 A KR20200051145 A KR 20200051145A KR 102147266 B1 KR102147266 B1 KR 102147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ence
fitting
communication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화
Original Assignee
(주) 여명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여명기술단 filed Critical (주) 여명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5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에 관한 것으로, 통신모듈과 함체와 제1펜스와 제2펜스와 제1견인대와 제2견인대와 커버와 안내등과 전원모듈로 이루어진 통신공유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규칙적인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된 다수의 포트에 IP를 설정해서 구성하고, 다수의 상기 포트를 통신망 라인에 병렬로 연결해서 통신을 중계하고; 상기 함체는, 상기 통신모듈을 수용하는 박스 형태를 이루고, 상면에는 상기 포트가 노출되도록 상광하협하게 개구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이 형성되고, 4개의 제1끼움구멍이 둘레하는 구간마다 중심부에는 가이드가 돌출되며, 상기 제1끼움구멍의 둘레를 따라 제1전극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펜스는, 상기 함체 상면의 행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을 덮는 장방형이며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상기 제1끼움구멍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1구멍과, 상기 제1끼움구멍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2구멍이 서로 연통해서 제1관통구멍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제1관통구멍이 행 라인의 제1끼움구멍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저면에는 제1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1전극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1구멍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1매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펜스는, 상기 함체 상면의 열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을 덮는 장방형이며 제1펜스와 교차하게 안착해서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상기 제1끼움구멍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3구멍과, 상기 제1끼움구멍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4구멍이 서로 연통해서 제2관통구멍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제2관통구멍이 열 라인의 제1끼움구멍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저면에는 제2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3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1매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3구멍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2매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견인대는, 상기 제1펜스의 제1스토퍼와 접하도록 함체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하기 제1탄성체를 수용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된 제1서포터와, 일단이 상기 제1서포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스토퍼에 연결되어서 제1스토퍼가 제1서포터에 접하도록 장력을 가하며 수용홀에 수용되는 제1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견인대는, 상기 제2펜스의 제2스토퍼와 접하도록 함체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하기 제2탄성체를 수용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된 제2서포터와, 일단이 상기 제2서포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스토퍼에 연결되어서 제2스토퍼가 제2서포터에 접하도록 장력을 가하며 수용홀에 수용되는 제2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1끼움구멍의 상단 구경과 동일한 구경을 이루는 다수의 제2끼움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함체의 상면에 안착한 제1펜스와 제2펜스를 덮도록 가이드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제3구멍이 제2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2매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2끼움구멍의 둘레를 따라 제2전극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상기 안내등은, 상기 제2끼움구멍별 제2전극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서 짝을 이루며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모듈은, 일극이 다수의 상기 제1전극체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타극이 다수의 제2전극체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어서, 상기 안내등의 점등을 위해 직류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INTERNET ROUTER CONNECTED EXTERNAL NETWORK}
본 발명은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업무 또는 생활 등을 위해 상주하는 건축물을 신축할 때에는 상하수도 설비 및 배전설비와 더불어 각종 통신 설비가 필수 옵션으로 설치되었다.
상기 통신 설비는 통신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배선 전용 트레이는 물론, 실내 통신케이블을 외부 통신망과 연결해서 다회선으로 분배선하는 허브 및 통신 공유기 등의 통신공유기를 포함한다.
전술한 대로 종래 통신공유기는 다수의 통신케이블을 하나의 외부 통신망과 연결해서 분배선하므로, 통신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하는 포트별로 고유 IP를 각각 설정하고, 상기 포트에 통신케이블이 접속하면 외부 통신망과 해당 통신케이블을 네트워크로 연결해서 사용자가 상기 통신케이블의 단말기를 이용해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런데 종래 통신공유기의 포트는 핀 구조의 커넥터가 단순히 삽입하는 홀 형태이므로, 커넥터가 포트에 접속한 이후에 해당 통신케이블에 장력이 가해지면 커넥터는 포트로부터 어렵지 않게 분리되어서 단선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포트와 커넥터는 연결 너트 등의 락 부재를 구성해서 커넥터가 포트에 접속하면 락 부재를 조여 포트와 커넥터가 기계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했다. 그런데 종래 락 부재는 통신케이블의 커넥터별로 각각 구성되므로, 통신공유기에 다수의 통신케이블을 접속할 경우에는 통신케이블의 개수만큼 락 부재를 일일이 조작해야 하는 수고가 불가피했다. 더욱이 통신공유기와 통신케이블 등의 통신장비를 관리하기 위해서 통신케이블을 통신공유기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다수의 통신케이블이 뒤엉킨 배선 상태에서 해당 통신케이블을 추출하여 락 부재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 또한 있었다.
결국, 락 부재를 일일이 조작하지 않아도 통신케이블의 커넥터를 통신공유기의 포트에 접속해서 기계적으로 단단히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 시 해당 통신케이블을 통신공유기로부터 손쉽게 이탈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97051호(2002.11.30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통신케이블을 통신공유기에 손쉽게 접속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접속한 통신케이블이 지정된 범위에서 정밀하게 이동하며 커넥터의 접속과 이탈을 가능하게 하는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모듈과 함체와 제1펜스와 제2펜스와 제1견인대와 제2견인대와 커버와 안내등과 전원모듈로 이루어진 통신공유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규칙적인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된 다수의 포트에 IP를 설정해서 구성하고, 다수의 상기 포트를 통신망 라인에 병렬로 연결해서 통신을 중계하고; 상기 함체는, 상기 통신모듈을 수용하는 박스 형태를 이루고, 상면에는 상기 포트가 노출되도록 상광하협하게 개구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이 형성되고, 4개의 제1끼움구멍이 둘레하는 구간마다 중심부에는 가이드가 돌출되며, 상기 제1끼움구멍의 둘레를 따라 제1전극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펜스는, 상기 함체 상면의 행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을 덮는 장방형이며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상기 제1끼움구멍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1구멍과, 상기 제1끼움구멍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2구멍이 서로 연통해서 제1관통구멍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제1관통구멍이 행 라인의 제1끼움구멍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저면에는 제1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1전극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1구멍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1매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펜스는, 상기 함체 상면의 열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을 덮는 장방형이며 제1펜스와 교차하게 안착해서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상기 제1끼움구멍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3구멍과, 상기 제1끼움구멍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4구멍이 서로 연통해서 제2관통구멍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제2관통구멍이 열 라인의 제1끼움구멍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저면에는 제2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3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1매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3구멍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2매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견인대는, 상기 제1펜스의 제1스토퍼와 접하도록 함체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하기 제1탄성체를 수용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된 제1서포터와, 일단이 상기 제1서포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스토퍼에 연결되어서 제1스토퍼가 제1서포터에 접하도록 장력을 가하며 수용홀에 수용되는 제1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견인대는, 상기 제2펜스의 제2스토퍼와 접하도록 함체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하기 제2탄성체를 수용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된 제2서포터와, 일단이 상기 제2서포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스토퍼에 연결되어서 제2스토퍼가 제2서포터에 접하도록 장력을 가하며 수용홀에 수용되는 제2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1끼움구멍의 상단 구경과 동일한 구경을 이루는 다수의 제2끼움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함체의 상면에 안착한 제1펜스와 제2펜스를 덮도록 가이드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제3구멍이 제2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2매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2끼움구멍의 둘레를 따라 제2전극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상기 안내등은, 상기 제2끼움구멍별 제2전극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서 짝을 이루며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모듈은, 일극이 다수의 상기 제1전극체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타극이 다수의 제2전극체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어서, 상기 안내등의 점등을 위해 직류 전기를 공급하는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다수의 통신케이블을 통신공유기에 손쉽게 접속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접속한 통신케이블이 지정된 범위에서 정밀하게 이동하며 커넥터의 접속과 이탈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신케이블이 접속된 본 발명에 따른 통신공유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공유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공유기의 일 구성요소인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펜스의 저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제1펜스가 함체 상면에 안착해서 슬라이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공유기의 제1펜스와 제2펜스의 이동 모습을 순차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는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를 통해 커넥터가 이탈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에 각각 구성된 제1매체와 제2매체가 접속하는 과정을 순차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은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의 이동을 따라 제1매체와 제2매체가 접속하는 모습과 전원과 안내등의 통전 모습을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공유기의 커버에 배선된 회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통신케이블이 접속된 본 발명에 따른 통신공유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공유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공유기의 일 구성요소인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통신공유기(100)는, 통신망 라인(CL)을 다수의 실내 통신케이블과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하는 중계 기능의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수용하며 다수의 통신케이블의 커넥터(200)가 접속하는 함체(110)와, 함체(110)에 형성된 제1끼움구멍(113)을 덮도록 상면에 안착해서 슬라이딩하는 제1펜스(120)과, 제1끼움구멍(113)을 덮도록 제1펜스(120)의 상면에 안착해서 슬라이딩하는 제2펜스(130)과, 제2펜스(130)의 상면에 안착해서 제1,2패널(120, 130)이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 지지하는 커버(140)와, 커버(140)에 형성된 제2끼움구멍(142)별로 배치되어서 포트(P)로부터 이탈 가능한 커넥터(200)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등(150)과, 안내등(150)의 점등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60; 도 9 참조)과, 함체(11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서 제1패널(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견인대(170)와, 함체(110)의 타측면에 설치되어서 제2패널(1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견인대(170')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신케이블의 커넥터(200)를 해당 포트(P)에 접속한 후에 제1,2패널(120, 130)을 조작하면 너트 결속 등의 별도 수작업 없이도 커넥터(200)를 단단히 잡아 지지할 수 있고, 커넥터(200)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해서 커넥터(200)를 포트(P)로부터 이탈시키려면 제1,2패널(120, 130)을 조작해서 해당하는 커넥터(200)만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통신공유기(100)의 각 구성요소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규칙적인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된 다수의 포트(P)에 IP를 설정해서 구성하고, 다수의 포트(P)를 통신망 라인(CL)에 병렬로 연결해서 통신을 중계한다. 좀 더 설명하면, 상기 통신모듈은 통신 공유기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실내의 다수 통신케이블을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의 포트(P)를 구성하는데, 본 발명의 포트(P)는 일정한 규칙의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된다. 즉, 다수의 포트(P)는 하나 이상의 행 라인과 열 라인으로 배열된 격자 형태로 위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통신모듈의 포트(P)에 통신케이블의 커넥터(200)가 접속하면, 다수의 통신케이블은 도 1과 같이 통신공유기(100)의 상면에서 일정한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된다.
한편, 상기 통신모듈은 포트(P)별로 통신 네트워크의 주소에 해당하는 IP를 설정하므로, 통신케이블의 단말기는 해당 포트(P)에 설정된 IP를 식별코드로 해서 네트워크 통신을 한다. 본 발명의 통신모듈은 공지의 통신 공유 기능을 수행하므로, 통신망 라인(CL)과 통신케이블을 신호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 기술과, IP를 설정하는 구성 기술, 상기 통신모듈의 하드웨어 구조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함체(110)는 상기 통신모듈을 수용하는 박스 형태를 이루고, 상면에는 포트(P)가 노출되도록 상광하협하게 개구된 다수의 제1끼움구멍(113)이 형성되고, 4개의 제1끼움구멍(113)이 둘레하는 구간마다 중심부에는 가이드(114)가 돌출되며, 제1끼움구멍(113)의 둘레를 따라 제1전극체(115)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다.
상기 통신모듈은 통신망 라인(CL)과 포트(P)가 설치된 회로기판과 각종 소자가 조합돼 이루어지므로 외력으로부터의 보호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함체(110)는 상기 통신모듈을 수용해 보호한다. 그러나 포트(P)는 통신케이블의 커넥터(200)가 외부에서 접속될 수 있어야 하므로, 함체(110)는 포트(P)의 배열을 따라 다수의 제1끼움구멍(113)이 형성된다. 결국, 커넥터(200)를 제1끼움구멍(113)에 삽입하면, 해당 커넥터(200)는 제1끼움구멍(113)을 경유해서 포트(P)에 접속된다.
계속해서, 제1끼움구멍(113)은 상광하협한 형상으로 개구된다. 즉, 제1끼움구멍(113)의 상단은 구경이 크고, 하단은 구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다. 물론 제1끼움구멍(113)의 하단은 커넥터(200)의 접속에 간섭을 주지 않아야 하므로, 제1끼움구멍(113)의 하단 구경은 포트(P)의 면적을 초과한다. 참고로, 포트(P)에 접속하는 커넥터(200)는 상광하협한 제1끼움구멍(113)에 상응해서 단부가 상광하협한 형상을 이룬다. 즉, 포트(P)와의 접속을 위해 제1끼움구멍(113)으로 삽입되는 커넥터(200)의 하부(210)는 제1끼움구멍(113)과 긴밀히 맞물리도록 역뿔대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하부(210)의 상단은 제1끼움구멍(113)의 상단 구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고, 하부(210)의 하단은 제1끼움구멍(113)의 하단 구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며, 하부(210)의 상단은 커넥터(200)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턱을 형성한다.
한편, 다수의 제1끼움구멍(113)의 배열은 포트(P)에 대응해서 일정한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므로, 2개의 행 라인과 2개의 열 라인이 교차하는 구간, 즉 4개의 제1끼움구멍(113)이 둘레하는 구간이 다수 개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함체(110)는 상기 구간의 중심부에 가이드(114)가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에서 제1끼움구멍(113)은 4행 4열을 이루므로, 상기 구간이 총 9개가 형성되고, 가이드(114) 역시 9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114)는 함체(110)의 상면에 안착한 제1펜스(120)의 슬라이딩과, 제1펜스(120)에 안착한 제2펜스(13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해서 탈선을 방지한다. 제1펜스(120)과 제2펜스(130)은 적층 상태이며, 가이드(114)의 상면으로 커버(140)가 안착해 고정되므로, 가이드(114)의 높이는 제1펜스(120)과 제2펜스(130)의 적층 높이에 상응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의 함체(110)는 제1끼움구멍(113)의 둘레를 따라 제1전극체(115)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다. 제1전극체(115)는 다수의 제1끼움구멍(113)별로 각각 설치되고, 이웃하는 다른 제1전극체(115)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또한 제1전극체(115)는 제1펜스(120)과 접하도록 상면이 노출된다. 제1전극체(115)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하겠다.
미설명한 도면부호 '111'는 함체(110)를 개폐하는 '도어'이며, 도어(111)를 열면 상기 통신모듈을 삽탈할 수 있다.
미설명한 도면부호 '112'는 함체(110) 상면의 가장자리에 돌출된 '받침대'이며, 제1펜스(120)이 함체(110)의 상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받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펜스의 저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제1펜스가 함체 상면에 안착해서 슬라이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공유기의 제1펜스와 제2펜스의 이동 모습을 순차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를 통해 커넥터가 이탈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펜스(120)은, 함체(110) 상면의 행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113)을 덮는 장방형이며 가이드(114)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제1끼움구멍(113)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1구멍(121a)과, 제1끼움구멍(113)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2구멍(121b)이 서로 연통해서 제1관통구멍(121)을 이루고, 다수의 제1관통구멍(121)이 행 라인의 제1끼움구멍(113)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며, 제1구멍(121a)이 제1끼움구멍(113)과 마주하면 제1전극체(115)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1구멍(121a)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1매체(122)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다.
전술한 대로, 제1펜스(120)는 함체(110) 상면의 행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끼움구멍(113)을 개폐하며 덮을 수 있도록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장방형이고, 함체(110) 상면에 안착하면 슬라이딩하는 판 형상, 즉 패널 형상을 이룬다. 또한 제1펜스(120)은 제1끼움구멍(113)을 개구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관통구멍(121)이 형성되는데, 제1관통구멍(121)은 제1끼움구멍(113)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1구멍(121a)과, 제1끼움구멍(113)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2구멍(121b)이 서로 연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끼움구멍(113)은, 제1끼움구멍(113)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제1구멍(121a)에 의해 개방될 수도 있고, 제1끼움구멍(113)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제2구멍(121b)에 의해 개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펜스(120)의 저면에는 제1스토퍼(123)가 돌출 형성되어서 함체(110)의 측면부와 마주하도록 한다.
한편, 제2펜스(130)는, 함체(110) 상면의 열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113)을 덮는 장방형이며 제1펜스(120)와 교차하게 안착해서 가이드(114)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제1끼움구멍(113)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3구멍(131a)과, 제1끼움구멍(113)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2구멍(121b)이 서로 연통해서 제2관통구멍(131)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제2관통구멍(131)이 열 라인의 제1끼움구멍(113)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며, 제3구멍(131a)이 제1끼움구멍(113)과 마주하면 제1매체(122)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3구멍(131a)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2매체(132)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다. 결국, 제2펜스(130)는 제1펜스(130)와 동일한 형태와 구조를 갖지만, 제1펜스(120)와는 교차하는 자세로서 제1펜스(120)의 상면에 안착한다. 따라서 제1끼움구멍(113)은 제1펜스(120)과 제2펜스(130)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제1구멍(121a) 및 제3구멍(131a) 순으로 연통하여 개방될 수도 있고, 제2구멍(121b)과 제3구멍(131a) 순으로 연통하여 개방될 수도 있고, 제1구멍(121a)과 제4구멍(131b) 순으로 연통하여 개방될 수도 있으며, 제2구멍(121b)과 제4구멍(131b) 순으로 연통하여 개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펜스(130)의 저면에는 제2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서 함체(110)의 측면부와 마주하도록 한다.
제1구멍(121a)과 제3구멍(131a)은 제1끼움구멍(113) 상단 구경과 동일한 구경이므로, 제1구멍(121a)과 제3구멍(131a)이 도 2 및 도 7의 (b)도면과 같이 제1끼움구멍(113)과 연통하게 일렬로 위치하면, 커넥터(200)는 제1,2펜스(120, 130)의 간섭없이 제1구멍(121a)과 제3구멍(131a)을 경유해서 제1끼움구멍(113)까지 삽입되고 포트(P)에 접속한다. 그러나 도 6, 도 7의 (a)도면과 같이 제1구멍(121a)과 제4구멍(131b), 제2구멍(121b)과 제3구멍(131a), 제2구멍(121b)과 제4구멍(131b)이 제1끼움구멍(113)과 연통하게 일렬로 위치하면, 상광하협한 제1끼움구멍(113)의 하단 구경과 일치하는 구경인 제2구멍(121b)과 제4구멍(131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간섭하므로, 커넥터(200)는 상기 간섭에 의해 제1끼움구멍(113)까지 삽입될 수 없고 포트(P)에 접속할 수 없다.
한편, 커넥터(200)가 제1끼움구멍(113)에 삽입되어서 포트(P)에 접속한 상태인 경우, 제1구멍(121a)과 제3구멍(131a)과 제1끼움구멍(113)이 일렬로 위치하면, 포트(P) 및 제1끼움구멍(113)으로부터 커넥터(200)를 분리해 이탈할 수 있다. 그러나, 제1구멍(121a)과 제4구멍(131b), 제2구멍(121b)과 제3구멍(131a), 제2구멍(121b)과 제4구멍(131b)이 제1끼움구멍(113)과 연통하게 일렬로 위치하면, 커넥터(200)의 하부(210)가 형성한 턱이 제1펜스(120) 또는 제2펜스(130)에 걸려서 포트(P) 및 제1끼움구멍(113)으로부터 커넥터(200)를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도 6의 (a)도면과 같이 제1끼움구멍(113)에 삽입된 커넥터(2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6의 (b)도면과 같이 제3구멍(131a)이 제1끼움구멍(113)과 연통하도록 제2펜스(13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도 7의 (a)도면과 같이 제1구멍(121a)이 제1끼움구멍(113)과 연통하도록 제1펜스(12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구멍(121a)과 제3구멍(131a)이 제1끼움구멍(113)과 일렬로 연통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용자는 도 7의 (b)도면과 같이 커넥터(200)를 당겨서 포트(P) 및 제1끼움구멍(113)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의 조작 순서는 일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제1펜스(120)를 제2펜스(130)보다 먼저 이동할 수도 있다.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는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제1관통구멍(121)과 제2관통구멍(131)이 서로 연통한다. 그런데 제1,2펜스(120, 130)는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동하므로, 제1,2관통구멍(121, 131) 간의 연통 범위 이외로 벗어날 수 있고, 제1,2펜스(120, 130)가 함체(110)로부터 이탈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2펜스(120, 130)를 구속하는 제1견인대(170)와 제2견인대(170')를 더 포함한다.
제1견인대(170)는, 제1펜스(120)의 제1스토퍼(123)와 접하도록 함체(1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제1탄성체(173)를 수용하도록 수용홀(172)이 형성된 제1서포터(171)와, 일단이 제1서포터(17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스토퍼(123)에 연결되어서 제1스토퍼(123)가 제1서포터(171)에 접하도록 장력을 가하며 수용홀(172)에 수용되는 제1탄성체(173)로 구성된다.
따라서 함체(110)의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제1서포터(171)는 제1펜스(120)의 저면에 돌출된 제1스토퍼(123)와 접하면서 제1펜스(12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때 제1서포터(171)의 위치는 커넥터(200)의 하부(210)가 제1관통구멍(121)을 관통하지 못하도록 제2구멍(121b)이 제1끼움구멍(113)과 연통하는 위치이다.
한편, 제1서포터(171)에 형성된 수용홀(172)은 일단이 제1스토퍼(123)에 연결된 제1탄성체(173)가 배치된다. 이때, 제1탄성체(173)의 타단이 수용홀(172)에서 제1서포터(171)에 연결되므로, 제1펜스(120)의 이동으로 제1스토퍼(123)가 제1서포터(171)로부터 이격되면 제1탄성체(173)의 탄력이 제1스토퍼(123)를 당겨서 제1서포터(171)와 접하도록 한다. 결국, 사용자가 제1펜스(120)를 당겨서 커넥터(200)의 하부(210)가 관통할 수 있는 제1구멍(121a)을 제1끼움구멍(113)과 연통하도록 배치해도, 사용자가 제1펜스(120)에 가했던 장력을 해제하면 제1탄성체(173)가 제1스토퍼(123)에 힘을 가해서 제2구멍(121b)이 제1끼움구멍(113)과 연통하도록 제1펜스(120)를 이동시킨다.
또한 제2견인대(170')는, 제2펜스(130)의 제2스토퍼와 접하도록 함체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하기 제2탄성체를 수용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된 제2서포터와, 일단이 상기 제2서포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스토퍼에 연결되어서 제2스토퍼가 제2서포터에 접하도록 장력을 가하며 수용홀에 수용되는 제2탄성체로 구성된다.
제2견인대(170')의 제2서포터와 제2탄성체는 제1견인대(170)의 제1서포터(171)와 제1탄성체(173)가 제1펜스(120)의 제1스토퍼(123)와 연동하는 구조와 같이 제2펜스(130)의 제2스토퍼와 연동한다. 따라서 제2펜스(130)의 제2스토퍼가 제2서포터에 접하면, 제2펜스(130)의 제4구멍(131b)은 제1펜스(120)의 제1관통구멍(121)과 함체(110)의 제1끼움구멍(113)에 연통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2펜스(130)를 슬라이딩해서 제2펜스(130)의 제2스토퍼가 제2서포터와 이격하면, 제2펜스(130)의 제3구멍(131a)은 제1펜스(120)의 제1관통구멍(121)과 함체(110)의 제1끼움구멍(113)에 연통한다.
결국, 사용자가 커넥터(200)를 포트(P)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를 당기면, 제1끼움구멍(113)과 제1구멍(121a)과 제3구멍(131a)은 연통하고 커넥터(200)의 하부(210)는 제1구멍(121a)과 제3구멍(131a)을 통해 분리된다.
이후 사용자가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에 가했던 힘을 해제하면, 제1,2탄성체(173)의 탄력에 의해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는 각각 이동해서 제1,2스토퍼(123)가 제1,2서포터(171)와 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은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에 각각 구성된 제1매체와 제2매체가 접속하는 과정을 순차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의 이동을 따라 제1매체와 제2매체가 접속하는 모습과 전원과 안내등의 통전 모습을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공유기의 커버에 배선된 회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버(140)는, 제1끼움구멍(113)의 상단 구경과 동일한 구경을 이루는 다수의 제2끼움구멍(142)이 제1끼움구멍(113)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함체(110)의 상면에 안착한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를 덮도록 가이드(114)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며, 제3구멍(131a)이 제2끼움구멍(142)과 마주하면 제2매체(132)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2끼움구멍(142)의 둘레를 따라 제2전극체(143)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다.
커버(140)는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덮어 지지하며, 가이드(114)를 매개로 함체(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는 함체(110)와 커버(140)에 의해 샌드위치 형태로 조합된다.
또한, 포트(P)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2끼움구멍(142)은 커넥터(200)의 하부(210)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구경이 제1끼움구멍(113)의 상단 구경과 일치한다. 따라서 커넥터(200)는 제2끼움구멍(142)과 제3구멍(131a) 및 제1구멍(121a)을 순차로 관통해서 제1끼움구멍(113)에 삽입되고 포트(P)에 접속된다.
미설명한 도면부호 '141'은 함체(110)의 받침대(112)에 상응하는 '받침대'이며, 커버(140)의 저면에 설치되어서 제2펜스(130)가 측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받친다. 참고로, 제1펜스(120)는 행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제2펜스(130)는 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므로, 함체(110)의 받침대(112)는 제1펜스(120)의 슬라이딩에 간섭하지 않도록 함체(110)의 선,후 가장자리에만 위치하고, 커버(140)의 받침대(141)는 제2펜스(130)의 슬라이딩에 간섭하지 않도록 커버(140)의 좌우 가장자리에만 위치한다. 또한, 함체(110)의 받침대(112) 높이는 제1펜스(120)와 일치시키고 커버(140)의 받침대(141) 높이는 제2펜스(130)의 높이와 일치시킨다.
한편, 안내등(150)은 다수의 포트(P) 중 커넥터(200)를 이탈시키거나 접속할 수 있는 포트(P)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커버(140)의 제2끼움구멍(142)별로 설치된다. 따라서, 도 10의 (b)도면과 같이 3행 3열의 안내등(150)이 점등하면 사용자는 해당 포트(P)가 커넥터(200)를 접속하거나 이탈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함체(110)에 구성된 제1끼움구멍(113)의 둘레를 따라 제1전극체(115)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제1펜스(120)에 구성된 제1구멍(121a)의 둘레를 따라 제1매체(122)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제2펜스(130)에 구성된 제3구멍(131a)의 둘레를 따라 제2매체(132)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며, 커버(140)에 구성된 제2끼움구멍(142)의 둘레를 따라 제2전극체(143)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1끼움구멍(113)과 제1구멍(121a)이 일렬로 연통하면 제1전극체(115)는 제1매체(122)와 접하고, 제1구멍(121a)이 제3구멍(131a)과 일렬로 연통하면 제1매체(122)는 제2매체(132)와 접하며, 제3구멍(131a)과 제2끼움구멍(142)이 일렬로 연통하면 제2매체(132)는 제2전극체(143)와 접한다.
또한, 안내등(150)은 제2전극체(143)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공유기(100)는 전력 공급을 위한 직류 전원모듈(160)을 더 구성하는데, 전원모듈(160)의 일극은 제1끼움구멍(113)별로 구성된 다수의 제1전극체(115)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타극은 제2끼움구멍(142)별로 구성된 다수의 제2전극체(143)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따라서 도 8의 (a)도면 및 (b)도면과 같이 3행에 위치한 제1펜스(120)와 3열에 위치한 제2펜스(130)를 이동시키면, 3행 3열에 위치한 제1전극체(115)와 제1매체(122)와 제2매체(132)가 서로 접하게 되고, 제2매체(132) 역시 제2전극체(143)와 접한다. 결국, 도 10과 같이 3행 3열의 제2끼움구멍(142)에 위치한 안내등(150)은 전원모듈(160)의 전력에 의해 점등한다.
참고로, 제1전극체(115)와 제2전극체(143)는 도 9과 같이 전원모듈(160)과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안내등(150)은 제2전극체(143)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결국, 3행의 제1펜스(120)를 이동시키면 제1펜스(120)에 위치한 모든 제1매체(122)가 이동해서 제1전극체(115)와 접하고, 3열의 제2펜스(130)를 이동시키면 제2펜스(130)에 위치한 모든 제2매체(132)가 이동해서 제2전극체(143)와 접한다. 따라서 3행 3열에 위치한 제1전극체(115)와 제1매체(122)와 제2매체(132)와 제2전극체(143)가 서로 접하면서 안내등(150)에 전력이 인가되어 점등한다.
커버(140)에 구성된 배선라인(L)은 가이드(114)를 관통해서 함체(110)의 전원모듈(160)과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따라서 배선라인(L)에 연결된 안내등(150)은 전원모듈(160)의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통신공유기 110; 함체 113; 제1끼움구멍
114; 가이드 115; 제1전극체 120; 제1펜스
121; 제1관통구멍 121a; 제1구멍 121b; 제2구멍
122; 제1매체 123; 제1스토퍼 131; 제2관통구멍
131a; 제3구멍 131b; 제4구멍 132; 제2매체
140; 커버 141; 받침대
142; 제2끼움구멍 143; 제2전극체 150; 안내등
160; 전원모듈 170; 제1견인대 170'; 제2견인대
171; 제1서포터 172; 수용홀 173; 제1탄성체

Claims (1)

  1. 통신모듈과 함체와 제1펜스와 제2펜스와 제1견인대와 제2견인대와 커버와 안내등과 전원모듈로 이루어진 통신공유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규칙적인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된 다수의 포트에 IP를 설정해서 구성하고, 다수의 상기 포트를 통신망 라인에 병렬로 연결해서 통신을 중계하고; 상기 함체는, 상기 통신모듈을 수용하는 박스 형태를 이루고, 상면에는 상기 포트가 노출되도록 상광하협하게 개구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이 형성되고, 4개의 제1끼움구멍이 둘레하는 구간마다 중심부에는 가이드가 돌출되며, 상기 제1끼움구멍의 둘레를 따라 제1전극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펜스는, 상기 함체 상면의 행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을 덮는 장방형이며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상기 제1끼움구멍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1구멍과, 상기 제1끼움구멍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2구멍이 서로 연통해서 제1관통구멍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제1관통구멍이 행 라인의 제1끼움구멍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저면에는 제1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1전극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1구멍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1매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펜스는, 상기 함체 상면의 열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을 덮는 장방형이며 제1펜스와 교차하게 안착해서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상기 제1끼움구멍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3구멍과, 상기 제1끼움구멍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4구멍이 서로 연통해서 제2관통구멍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제2관통구멍이 열 라인의 제1끼움구멍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저면에는 제2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3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1매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3구멍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2매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견인대는, 상기 제1펜스의 제1스토퍼와 접하도록 함체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하기 제1탄성체를 수용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된 제1서포터와, 일단이 상기 제1서포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스토퍼에 연결되어서 제1스토퍼가 제1서포터에 접하도록 장력을 가하며 수용홀에 수용되는 제1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견인대는, 상기 제2펜스의 제2스토퍼와 접하도록 함체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하기 제2탄성체를 수용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된 제2서포터와, 일단이 상기 제2서포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스토퍼에 연결되어서 제2스토퍼가 제2서포터에 접하도록 장력을 가하며 수용홀에 수용되는 제2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1끼움구멍의 상단 구경과 동일한 구경을 이루는 다수의 제2끼움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함체의 상면에 안착한 제1펜스와 제2펜스를 덮도록 가이드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제3구멍이 제2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2매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2끼움구멍의 둘레를 따라 제2전극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상기 안내등은, 상기 제2끼움구멍별 제2전극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서 짝을 이루며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모듈은, 일극이 다수의 상기 제1전극체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타극이 다수의 제2전극체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어서, 상기 안내등의 점등을 위해 직류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
KR1020200051145A 2020-04-28 2020-04-28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 KR102147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145A KR102147266B1 (ko) 2020-04-28 2020-04-28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145A KR102147266B1 (ko) 2020-04-28 2020-04-28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266B1 true KR102147266B1 (ko) 2020-08-24

Family

ID=7223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145A KR102147266B1 (ko) 2020-04-28 2020-04-28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26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3671A (ko) * 1989-02-11 1990-09-06 제이 엘. 사이칙 전기 커넥터용 지지체
KR940016994A (ko) * 1992-12-25 1994-07-25 하라 쇼헤이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KR970068074A (ko) * 1996-03-15 1997-10-13 루이스 에이. 헥트 통신 케이블 관리 장치
KR20010049958A (ko) * 1999-08-03 2001-06-15 다까다 요시유끼 시리얼-패럴렐 신호변환 입출력장치
KR200297051Y1 (ko) 2002-09-10 2002-11-30 (주)기가텍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JP2007273432A (ja) * 2006-03-10 2007-10-18 Fujitsu Component Ltd コネクタソケットモジュール
JP2016007109A (ja) * 2014-06-20 2016-01-14 日立金属株式会社 通信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通信ケーブル
JP2016009599A (ja) * 2014-06-24 2016-01-18 日立金属株式会社 通信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3671A (ko) * 1989-02-11 1990-09-06 제이 엘. 사이칙 전기 커넥터용 지지체
KR940016994A (ko) * 1992-12-25 1994-07-25 하라 쇼헤이 병렬다심케이블 상호접속용 커넥터
KR970068074A (ko) * 1996-03-15 1997-10-13 루이스 에이. 헥트 통신 케이블 관리 장치
KR20010049958A (ko) * 1999-08-03 2001-06-15 다까다 요시유끼 시리얼-패럴렐 신호변환 입출력장치
KR200297051Y1 (ko) 2002-09-10 2002-11-30 (주)기가텍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JP2007273432A (ja) * 2006-03-10 2007-10-18 Fujitsu Component Ltd コネクタソケットモジュール
JP2016007109A (ja) * 2014-06-20 2016-01-14 日立金属株式会社 通信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通信ケーブル
JP2016009599A (ja) * 2014-06-24 2016-01-18 日立金属株式会社 通信モジュー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4037353C1 (ko)
DE60300371T2 (de) Stecker
EP0709921A1 (de) Verteilerleisten mit Querverteilung der elektrischen Leistung (II)
EP0726622A2 (de) Elektrische Verteileranordnung
EP0210538A2 (de) Vorrichtung zur Stromversorgung eines elektrischen Gerätes für den persönlichen Bedarf
WO2004010536A1 (de) Steckverbinder für steckerkabel
EP2810342A1 (de) Elektrisches kupplungselement
KR102147266B1 (ko)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
KR102147262B1 (ko) 공공주택의 매설 전화케이블 배선함
CN103928785A (zh) 显式模块化插座
KR102147270B1 (ko) 실내 통신케이블 접속기구
KR102147269B1 (ko) 인터넷 전용 통신선의 커넥팅 중계장치
EP0673081B1 (en) Terminal box
CN103915712A (zh) 隐式模块化插座
DE7613429U1 (de) Elektrische Reihenklemme
EP3607614A1 (de) Verfahren zum realisieren einer verdrahtung an einer matrix aus leiteranschlussvorrichtungen, und reihenklemmenanordnung
CN110544407B (zh) 一种职业技能培训用实训装置
DE102013105453A1 (de) Energieversorgungssystem
DE3611187A1 (de) Vorrichtung zum durchschalten von sammelschienen-leitungen aneinanderreihbarer elektrischer baugruppen
CN209514970U (zh) 一种模块化电工实验多用途书桌
DE19836420C1 (de) Moduleinheit für eine Türanlage, insbesondere Türsprechanlage
DE19700596C2 (de) Präsentationsvorrichtung mit Beleuchtungseinrichtung
US6471532B2 (en) Electrical adapter
LU500067B1 (de) Übungssystem zum Erlernen elektrischer Schaltungsanordnungen
DE102018117906A1 (de) Verteilervorrichtung und System zum Führen und Verteilen von elektrischer Energie und zum Bereitstellen einer datenleitenden Kommunikationsverbind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