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262B1 - 공공주택의 매설 전화케이블 배선함 - Google Patents

공공주택의 매설 전화케이블 배선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262B1
KR102147262B1 KR1020200051144A KR20200051144A KR102147262B1 KR 102147262 B1 KR102147262 B1 KR 102147262B1 KR 1020200051144 A KR1020200051144 A KR 1020200051144A KR 20200051144 A KR20200051144 A KR 20200051144A KR 102147262 B1 KR102147262 B1 KR 102147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ence
fitting
solenoid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화
Original Assignee
(주) 여명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여명기술단 filed Critical (주) 여명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5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1Details of connexions between cable and distribution fram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3Constructional details using sliding mechanisms for accessing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망과 공공주택의 다수 전화케이블 간의 통신 접속을 중계하며 접속을 관리하는 공공주택의 매설 전화케이블 배선함에 관한 것으로, 규칙적인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된 다수의 포트에 전화번호의 코드를 설정해서 구성하고, 다수의 상기 포트를 전화망에 연결해서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수용하는 박스 형태를 이루고, 상면에는 상기 포트가 노출되도록 상광하협하게 개구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이 형성되고, 4개의 제1끼움구멍이 둘레하는 구간마다 중심부에는 가이드가 돌출되며, 상기 제1끼움구멍의 둘레를 따라 제1전극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 상면의 행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을 덮는 장방형이며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상기 제1끼움구멍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1구멍과, 상기 제1끼움구멍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2구멍이 서로 연통해서 제1관통구멍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제1관통구멍이 행 라인의 제1끼움구멍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저면에는 제1링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1전극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1구멍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1매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 제1펜스; 상기 함체 상면의 열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을 덮는 장방형이며 제1펜스와 교차하게 안착해서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상기 제1끼움구멍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3구멍과, 상기 제1끼움구멍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4구멍이 서로 연통해서 제2관통구멍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제2관통구멍이 열 라인의 제1끼움구멍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저면에는 제1링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3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1매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3구멍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2매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 제2펜스; 상기 제1끼움구멍의 상단 구경과 동일한 구경을 이루는 다수의 제2끼움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함체의 상면에 안착한 제1펜스와 제2펜스를 덮도록 가이드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제3구멍이 제2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2매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2끼움구멍의 둘레를 따라 제2전극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 커버; 상기 제2끼움구멍별 제2전극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서 짝을 이루며 커버에 배치되는 안내등; 일극이 다수의 상기 제1전극체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타극이 다수의 제2전극체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어서, 상기 안내등의 점등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모듈; 상기 전원모듈의 통전 전류에 의한 자기장 유도를 일으키며 제1펜스와 제2펜스별로 세팅되도록 함체에 구성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유도 자기장에 의해 이동하는 플런저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단전시 플런저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솔레노이드에 내설되는 스프링을 갖춘 다수의 솔레노이드 장치;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 각각에 세팅된 솔레노이드 장치를 고유코드로 식별하고, 상기 통신모듈의 포트 개구를 위해 슬라이딩하는 제1,2펜스를 고유코드 단위로 관리하는 고유코드 인식모듈; 입출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개구 대상 포트를 확인하고, 해당 포트에 대응하는 고유코드를 고유코드 인식모듈을 통해 확인하며, 확인된 해당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 장치에 전류를 인가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공주택의 매설 전화케이블 배선함{CONNECTING BOX FOR TELEPHONE CABLE IN PUBLICE APPARTMENT}
본 발명은 전화망과 공공주택의 다수 전화케이블 간의 통신 접속을 중계하며 접속을 관리하는 공공주택의 매설 전화케이블 배선함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업무 또는 생활 등을 위해 상주하는 건축물을 신축할 때에는 상하수도 설비 및 배전설비와 더불어 각종 통신 설비가 필수 옵션으로 설치되었다.
상기 통신 설비는 전화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배선 전용 트레이는 물론, 실내 전화케이블을 외부 통신망과 연결해서 다회선으로 분배선하는 허브 및 통신 공유기 등의 배선함를 포함한다.
전술한 대로 종래 배선함는 다수의 전화케이블을 하나의 외부 통신망과 연결해서 분배선하므로, 전화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하는 포트별로 고유 IP를 각각 설정하고, 상기 포트에 전화케이블이 접속하면 외부 통신망과 해당 전화케이블을 네트워크로 연결해서 사용자가 상기 전화케이블의 단말기를 이용해 전화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런데 종래 배선함의 포트는 핀 구조의 커넥터가 단순히 삽입하는 홀 형태이므로, 커넥터가 포트에 접속한 이후에 해당 전화케이블에 장력이 가해지면 커넥터는 포트로부터 어렵지 않게 분리되어서 단선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포트와 커넥터는 연결 너트 등의 락 부재를 구성해서 커넥터가 포트에 접속하면 락 부재를 조여 포트와 커넥터가 기계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했다. 그런데 종래 락 부재는 전화케이블의 커넥터별로 각각 구성되므로, 배선함에 다수의 전화케이블을 접속할 경우에는 전화케이블의 개수만큼 락 부재를 일일이 조작해야 하는 수고가 불가피했다. 더욱이 배선함와 전화케이블 등의 통신장비를 관리하기 위해서 전화케이블을 배선함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다수의 전화케이블이 뒤엉킨 배선 상태에서 해당 전화케이블을 추출하여 락 부재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 또한 있었다.
결국, 락 부재를 일일이 조작하지 않아도 전화케이블의 커넥터를 배선함의 포트에 접속해서 기계적으로 단단히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 시 해당 전화케이블을 배선함로부터 손쉽게 이탈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97051호(2002.11.30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전화망과의 통신을 위해서 다수의 전화케이블을 지정된 포트에 손쉽게 접속하거나 분리하고 접속 이후에는 전화케이블이 포트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안정하게 고정하는 공공주택의 매설 전화케이블 배선함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규칙적인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된 다수의 포트에 전화번호의 코드를 설정해서 구성하고, 다수의 상기 포트를 전화망에 연결해서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수용하는 박스 형태를 이루고, 상면에는 상기 포트가 노출되도록 상광하협하게 개구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이 형성되고, 4개의 제1끼움구멍이 둘레하는 구간마다 중심부에는 가이드가 돌출되며, 상기 제1끼움구멍의 둘레를 따라 제1전극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 상면의 행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을 덮는 장방형이며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상기 제1끼움구멍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1구멍과, 상기 제1끼움구멍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2구멍이 서로 연통해서 제1관통구멍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제1관통구멍이 행 라인의 제1끼움구멍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저면에는 제1링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1전극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1구멍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1매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 제1펜스;
상기 함체 상면의 열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을 덮는 장방형이며 제1펜스와 교차하게 안착해서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상기 제1끼움구멍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3구멍과, 상기 제1끼움구멍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4구멍이 서로 연통해서 제2관통구멍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제2관통구멍이 열 라인의 제1끼움구멍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저면에는 제1링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3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1매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3구멍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2매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 제2펜스;
상기 제1끼움구멍의 상단 구경과 동일한 구경을 이루는 다수의 제2끼움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함체의 상면에 안착한 제1펜스와 제2펜스를 덮도록 가이드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제3구멍이 제2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2매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2끼움구멍의 둘레를 따라 제2전극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 커버;
상기 제2끼움구멍별 제2전극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서 짝을 이루며 커버에 배치되는 안내등;
일극이 다수의 상기 제1전극체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타극이 다수의 제2전극체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어서, 상기 안내등의 점등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모듈;
상기 전원모듈의 통전 전류에 의한 자기장 유도를 일으키며 제1펜스와 제2펜스별로 세팅되도록 함체에 구성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유도 자기장에 의해 이동하는 플런저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단전시 플런저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솔레노이드에 내설되는 스프링을 갖춘 다수의 솔레노이드 장치;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 각각에 세팅된 솔레노이드 장치를 고유코드로 식별하고, 상기 통신모듈의 포트 개구를 위해 슬라이딩하는 제1,2펜스를 고유코드 단위로 관리하는 고유코드 인식모듈; 및
입출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개구 대상 포트를 확인하고, 해당 포트에 대응하는 고유코드를 고유코드 인식모듈을 통해 확인하며, 확인된 해당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 장치에 전류를 인가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공공주택의 매설 전화케이블 배선함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전화망과의 통신을 위해서 다수의 전화케이블을 지정된 포트에 손쉽게 접속하거나 분리하고 접속 이후에는 전화케이블이 포트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안정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화케이블이 접속된 본 발명에 따른 배선함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함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함의 일 구성요소인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펜스의 저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제1펜스가 함체 상면에 안착해서 슬라이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함의 제1펜스와 제2펜스의 이동 모습을 순차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를 통해 커넥터가 이탈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에 각각 구성된 제1매체와 제2매체가 접속하는 과정을 순차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의 이동을 따라 제1매체와 제2매체가 접속하는 모습과 전원과 안내등의 통전 모습을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함의 커버에 배선된 회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전화케이블이 접속된 본 발명에 따른 배선함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함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함의 일 구성요소인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배선함(100)는, 전화망을 이루는 외부 통신선(CL)을 다수의 실내 전화케이블과 연결하는 중계 기능의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수용하며 다수의 전화케이블의 커넥터(200)가 접속하는 함체(110)와, 함체(110)에 형성된 제1끼움구멍(113)을 덮도록 상면에 안착해서 슬라이딩하는 제1펜스(120)과, 제1끼움구멍(113)을 덮도록 제1펜스(120)의 상면에 안착해서 슬라이딩하는 제2펜스(130)과, 제2펜스(130)의 상면에 안착해서 제1,2패널(120, 130)이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 지지하는 커버(140)와, 커버(140)에 형성된 제2끼움구멍(142)별로 배치되어서 포트(P)로부터 이탈 가능한 커넥터(200)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등(150)과, 안내등(150)의 점등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모듈(160; 도 9 참조)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선함(100)은,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별로 세팅되도록 함체(110)에 구성되는 솔레노이드(170)와, 솔레노이드(170)별로 설정된 고유코드를 포트(P)의 개구를 위한 제1펜스(120)와 제2펜스 단위로 분류해 관리하는 고유코드 인식모듈(180)과, 사용자의 입력값에 대응한 고유코드를 확인해서 해당 솔레노이드(170)에 전류를 인가하는 컨트롤러(190)를 더 구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화케이블의 커넥터(200)를 해당 포트(P)에 접속한 후에 제1,2패널(120, 130)을 조작하면 너트 결속 등의 별도 수작업 없이도 커넥터(200)를 단단히 잡아 지지할 수 있고, 커넥터(200)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해서 커넥터(200)를 포트(P)로부터 이탈시키려면 제1,2패널(120, 130)을 조작해서 해당하는 커넥터(200)만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배선함(100)의 각 구성요소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규칙적인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된 다수의 포트(P)에 IP를 설정해서 구성하고, 다수의 포트(P)를 외부 통신선(CL)에 연결해서 통신을 중계한다. 좀 더 설명하면, 상기 통신모듈은 통신 공유기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실내의 다수 전화케이블을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의 포트(P)를 구성하는데, 본 발명의 포트(P)는 일정한 규칙의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된다. 즉, 다수의 포트(P)는 하나 이상의 행 라인과 열 라인으로 배열된 격자 형태로 위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통신모듈의 포트(P)에 전화케이블의 커넥터(200)가 접속하면, 다수의 전화케이블은 도 1과 같이 배선함(100)의 상면에서 일정한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된다.
한편, 상기 통신모듈은 포트(P)별로 전화통신의 주소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의 코드를 설정하므로, 전화케이블의 단말기는 해당 포트(P)에 설정된 전화번호의 코드를 식별코드로 해서 전화통신을 한다. 본 발명의 통신모듈은 공지의 통신 공유 기능을 수행하므로, 외부 통신선(CL)과 전화케이블을 신호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 기술과, 전화번호의 식별코드를 설정하는 구성 기술, 상기 통신모듈의 하드웨어 구조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함체(110)는 상기 통신모듈을 수용하는 박스 형태를 이루고, 상면에는 포트(P)가 노출되도록 상광하협하게 개구된 다수의 제1끼움구멍(113)이 형성되고, 4개의 제1끼움구멍(113)이 둘레하는 구간마다 중심부에는 가이드(114)가 돌출되며, 제1끼움구멍(113)의 둘레를 따라 제1전극체(115)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다.
상기 통신모듈은 외부 통신선(CL)과 포트(P)가 설치된 회로기판과 각종 소자가 조합돼 이루어지므로 외력으로부터의 보호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함체(110)는 상기 통신모듈을 수용해 보호한다. 그러나 포트(P)는 전화케이블의 커넥터(200)가 외부에서 접속될 수 있어야 하므로, 함체(110)는 포트(P)의 배열을 따라 다수의 제1끼움구멍(113)이 형성된다. 결국, 커넥터(200)를 제1끼움구멍(113)에 삽입하면, 해당 커넥터(200)는 제1끼움구멍(113)을 경유해서 포트(P)에 접속된다.
계속해서, 제1끼움구멍(113)은 상광하협한 형상으로 개구된다. 즉, 제1끼움구멍(113)의 상단은 구경이 크고, 하단은 구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다. 물론 제1끼움구멍(113)의 하단은 커넥터(200)의 접속에 간섭을 주지 않아야 하므로, 제1끼움구멍(113)의 하단 구경은 포트(P)의 면적을 초과한다. 참고로, 포트(P)에 접속하는 커넥터(200)는 상광하협한 제1끼움구멍(113)에 상응해서 단부가 상광하협한 형상을 이룬다. 즉, 포트(P)와의 접속을 위해 제1끼움구멍(113)으로 삽입되는 커넥터(200)의 하부(210)는 제1끼움구멍(113)과 긴밀히 맞물리도록 역뿔대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하부(210)의 상단은 제1끼움구멍(113)의 상단 구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고, 하부(210)의 하단은 제1끼움구멍(113)의 하단 구경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며, 하부(210)의 상단은 커넥터(200)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턱을 형성한다.
한편, 다수의 제1끼움구멍(113)의 배열은 포트(P)에 대응해서 일정한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므로, 2개의 행 라인과 2개의 열 라인이 교차하는 구간, 즉 4개의 제1끼움구멍(113)이 둘레하는 구간이 다수 개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함체(110)는 상기 구간의 중심부에 가이드(114)가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에서 제1끼움구멍(113)은 4행 4열을 이루므로, 상기 구간이 총 9개가 형성되고, 가이드(114) 역시 9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114)는 함체(110)의 상면에 안착한 제1펜스(120)의 슬라이딩과, 제1펜스(120)에 안착한 제2펜스(13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해서 탈선을 방지한다. 제1펜스(120)과 제2펜스(130)은 적층 상태이며, 가이드(114)의 상면으로 커버(140)가 안착해 고정되므로, 가이드(114)의 높이는 제1펜스(120)과 제2펜스(130)의 적층 높이에 상응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의 함체(110)는 제1끼움구멍(113)의 둘레를 따라 제1전극체(115)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다. 제1전극체(115)는 다수의 제1끼움구멍(113)별로 각각 설치되고, 이웃하는 다른 제1전극체(115)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또한 제1전극체(115)는 제1펜스(120)과 접하도록 상면이 노출된다. 제1전극체(115)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하겠다.
미설명한 도면부호 '111'는 함체(110)를 개폐하는 '도어'이며, 도어(111)를 열면 상기 통신모듈을 삽탈할 수 있다.
미설명한 도면부호 '112'는 함체(110) 상면의 가장자리에 돌출된 '받침대'이며, 제1펜스(120)이 함체(110)의 상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받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펜스의 저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제1펜스가 함체 상면에 안착해서 슬라이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장치(170)는, 전원모듈(160; 도 9 참조)의 통전 전류에 의한 자기장 유도를 일으키며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별로 세팅되도록 함체(110)에 구성되는 솔레노이드(171)와, 솔레노이드(171)의 유도 자기장에 의해 이동하는 플런저(172)와, 솔레노이드(171)의 단전시 플런저(172)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솔레노이드(171)에 내설되는 스프링(173)을 갖춘다. 솔레노이드 장치(170)는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별로 각각 연결되므로,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의 개수에 상응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솔레노이드 장치(170)는 컨트롤러(190)에 의해 각각 독립하게 동작하고,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 역시 솔레노이드 장치(170)의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 한다.
솔레노이드 장치(170)는 주지된 바와 같이 플런저(172)의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코일(미도시함)에 전류를 인가해서 자기장을 유도하며, 플런저(172)는 상기 코일의 중심 홀을 따라 배치되어서 유도된 자기장에 의해 도 5의 (b)도면과 같이 동작한다. 플런저(172)는 이동의 효율성을 위해서 영구자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스프링(173)은 플런저(172)에 동력을 일으키는 자기장 유도가 단전에 의해 소멸하면, 플런저(172)가 제 위치로 복귀하도록 장력을 가한다. 본 발명의 배선함(100)은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를 커넥터(200)의 하부(210)를 구속하기 위해 구성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장치(170)의 구동으로 제1,2펜스(120, 130)가 슬라이딩하여 포트(P)를 개구하면 커넥터(200)의 하부(210)는 구속이 해제되어서 포트(P)에 대한 접속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 접속 또는 분리를 완료하면 솔레노이드 장치(170)는 컨트롤러(190)에 의해 단전되고, 플런저(172)를 지지하는 스프링(173)은 자체 탄력에 의해 플런저(172)를 당겨서 솔레노이드(171) 안으로 삽입시킨다.
참고로, 플런저(172)는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의 저면에 연결되고, 이를 위해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의 저면은 플런저(172)와의 연결을 위한 제1링커(123)와 제2링커(미도시함)를 각각 구성한다.
고유코드 인식모듈(180)은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 각각에 세팅된 솔레노이드 장치(170)를 고유코드로 식별하고, 상기 통신모듈의 포트(P) 개구를 위해 슬라이딩하는 제1,2펜스(120, 130)를 고유코드 단위로 관리한다. 따라서 커넥터(200)의 접속 또는 분리를 위해 특정 포트(P)를 개구하려면, 상기 개구를 위해 슬라이딩해야 하는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의 고유코드를 고유코드 인식모듈(180)이 확인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1행 1열에 위치한 포트1 개구는 1행의 제1펜스와 1열의 제2펜스의 슬라이딩에 의해 이루어지고, 1행 2열에 위치한 포트2 개구는 1행의 제1펜스와 2열의 제2펜스의 슬라이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포트1은 1행에 위치한 솔레노이드 장치의 고유코드 'y1'과 1열에 위치한 솔레노이드 장치의 고유코드 'x1'로 세팅하고, 상기 포트2는 1행에 위치한 솔레노이드 장치의 고유코드 'y1'과 2열에 위치한 솔레노이드 장치의 고유코드 'x2'로 세팅한다. 즉, 고유코드 인식모듈(180)은 상기 포트1을 (x1, y1)로 관리하고, 상기 포트2는 (x2, y1)로 관리하는 것이다.
컨트롤러(190)는, 입출력모듈(191)을 통해 입력된 개구 대상 포트(P)를 확인하고, 해당 포트(P)에 대응하는 고유코드를 고유코드 인식모듈(180)을 통해 확인하며, 확인된 해당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 장치(170)에 전류를 인가한다. 이를 좀 더 설명하면, 사용자는 입출력모듈(191)을 조작해서 커넥터의 접속 대상 포트(P) 또는 분리 대상 포트(P)를 입력하면, 입출력모듈(191)은 해당 입력값을 컨트롤러(190)에 전달하고, 컨트롤러(190)는 대상 포트(P)에 지정된 (x1, y1)와 (x2, y1) 등의 고유코드를 고유코드 인식모듈(180)에서 확인하여 전류를 인가할 솔레노이드 장치(170)을 파악하고 전류를 인가한다.
솔레노이드 장치(170)에 대한 전류 인가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컨트롤러(190)는 단전해서 해당 솔레노이드 장치(170)의 플런저(172)가 스프링(173)의 탄력에 의해 제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함의 제1펜스와 제2펜스의 이동 모습을 순차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를 통해 커넥터가 이탈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펜스(120)은, 함체(110) 상면의 행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113)을 덮는 장방형이며 가이드(114)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제1끼움구멍(113)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1구멍(121a)과, 제1끼움구멍(113)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2구멍(121b)이 서로 연통해서 제1관통구멍(121)을 이루고, 다수의 제1관통구멍(121)이 행 라인의 제1끼움구멍(113)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며, 제1구멍(121a)이 제1끼움구멍(113)과 마주하면 제1전극체(115)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1구멍(121a)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1매체(122)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다.
전술한 대로, 제1펜스(120)은 함체(110) 상면의 행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끼움구멍(113)을 개폐하며 덮을 수 있도록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장방형이고, 함체(110) 상면에 안착하면 슬라이딩하는 판 형상, 즉 패널 형상을 이룬다. 또한 제1펜스(120)은 제1끼움구멍(113)을 개구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관통구멍(121)이 형성되는데, 제1관통구멍(121)은 제1끼움구멍(113)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1구멍(121a)과, 제1끼움구멍(113)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2구멍(121b)이 서로 연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끼움구멍(113)은, 제1끼움구멍(113)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제1구멍(121a)에 의해 개방될 수도 있고, 제1끼움구멍(113)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제2구멍(121b)에 의해 개방될 수도 있다.
한편, 제2펜스(130)는, 함체(110) 상면의 열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113)을 덮는 장방형이며 제1펜스(120)와 교차하게 안착해서 가이드(114)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제1끼움구멍(113)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3구멍(131a)과, 제1끼움구멍(113)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2구멍(121b)이 서로 연통해서 제2관통구멍(131)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제2관통구멍(131)이 열 라인의 제1끼움구멍(113)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며, 제3구멍(131a)이 제1끼움구멍(113)과 마주하면 제1매체(122)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3구멍(131a)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2매체(132)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다. 결국, 제2펜스(130)는 제1펜스(130)와 동일한 형태와 구조를 갖지만, 제1펜스(120)와는 교차하는 자세로서 제1펜스(120)의 상면에 안착한다. 따라서 제1끼움구멍(113)은 제1펜스(120)과 제2펜스(130)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제1구멍(121a) 및 제3구멍(131a) 순으로 연통하여 개방될 수도 있고, 제2구멍(121b)과 제3구멍(131a) 순으로 연통하여 개방될 수도 있고, 제1구멍(121a)과 제4구멍(131b) 순으로 연통하여 개방될 수도 있으며, 제2구멍(121b)과 제4구멍(131b) 순으로 연통하여 개방될 수도 있다.
이때, 제1구멍(121a)과 제3구멍(131a)은 제1끼움구멍(113) 상단 구경과 동일한 구경이므로, 제1구멍(121a)과 제3구멍(131a)이 도 2 및 도 7의 (b)도면과 같이 제1끼움구멍(113)과 연통하게 일렬로 위치하면, 커넥터(200)는 제1,2펜스(120, 130)의 간섭없이 제1구멍(121a)과 제3구멍(131a)을 경유해서 제1끼움구멍(113)까지 삽입되고 포트(P)에 접속한다. 그러나 도 6, 도 7의 (a)도면과 같이 제1구멍(121a)과 제4구멍(131b), 제2구멍(121b)과 제3구멍(131a), 제2구멍(121b)과 제4구멍(131b)이 제1끼움구멍(113)과 연통하게 일렬로 위치하면, 상광하협한 제1끼움구멍(113)의 하단 구경과 일치하는 구경인 제2구멍(121b)과 제4구멍(131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간섭하므로, 커넥터(200)는 상기 간섭에 의해 제1끼움구멍(113)까지 삽입될 수 없고 포트(P)에 접속할 수 없다.
한편, 커넥터(200)가 제1끼움구멍(113)에 삽입되어서 포트(P)에 접속한 상태인 경우, 제1구멍(121a)과 제3구멍(131a)과 제1끼움구멍(113)이 일렬로 위치하면, 포트(P) 및 제1끼움구멍(113)으로부터 커넥터(200)를 분리해 이탈할 수 있다. 그러나, 제1구멍(121a)과 제4구멍(131b), 제2구멍(121b)과 제3구멍(131a), 제2구멍(121b)과 제4구멍(131b)이 제1끼움구멍(113)과 연통하게 일렬로 위치하면, 커넥터(200)의 하부(210)가 형성한 턱이 제1펜스(120) 또는 제2펜스(130)에 걸려서 포트(P) 및 제1끼움구멍(113)으로부터 커넥터(200)를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도 6의 (a)도면과 같이 제1끼움구멍(113)에 삽입된 커넥터(2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6의 (b)도면과 같이 제3구멍(131a)이 제1끼움구멍(113)과 연통하도록 제2펜스(13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도 7의 (a)도면과 같이 제1구멍(121a)이 제1끼움구멍(113)과 연통하도록 제1펜스(12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구멍(121a)과 제3구멍(131a)이 제1끼움구멍(113)과 일렬로 연통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용자는 도 7의 (b)도면과 같이 커넥터(200)를 당겨서 포트(P) 및 제1끼움구멍(113)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제1펜스(120)과 제2펜스(130)의 조작 순서는 일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제1펜스(120)을 제2펜스(130)보다 먼저 이동할 수도 있다.
도 8은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에 각각 구성된 제1매체와 제2매체가 접속하는 과정을 순차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은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의 이동을 따라 제1매체와 제2매체가 접속하는 모습과 전원과 안내등의 통전 모습을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함의 커버에 배선된 회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버(140)는, 제1끼움구멍(113)의 상단 구경과 동일한 구경을 이루는 다수의 제2끼움구멍(142)이 제1끼움구멍(113)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함체(110)의 상면에 안착한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를 덮도록 가이드(114)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며, 제3구멍(131a)이 제2끼움구멍(142)과 마주하면 제2매체(132)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2끼움구멍(142)의 둘레를 따라 제2전극체(143)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다.
커버(140)는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덮어 지지하며, 가이드(114)를 매개로 함체(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펜스(120)와 제2펜스(130)는 함체(110)와 커버(140)에 의해 샌드위치 형태로 조합된다.
또한, 포트(P)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2끼움구멍(142)은 커넥터(200)의 하부(210)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구경이 제1끼움구멍(113)의 상단 구경과 일치한다. 따라서 커넥터(200)는 제2끼움구멍(142)과 제3구멍(131a) 및 제1구멍(121a)을 순차로 관통해서 제1끼움구멍(113)에 삽입되고 포트(P)에 접속된다.
미설명한 도면부호 '141'은 함체(110)의 받침대(112)에 상응하는 '받침대'이며, 커버(140)의 저면에 설치되어서 제2펜스(130)가 측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받친다. 참고로, 제1펜스(120)는 행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제2펜스(130)는 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므로, 함체(110)의 받침대(112)는 제1펜스(120)의 슬라이딩에 간섭하지 않도록 함체(110)의 선,후 가장자리에만 위치하고, 커버(140)의 받침대(141)는 제2펜스(130)의 슬라이딩에 간섭하지 않도록 커버(140)의 좌우 가장자리에만 위치한다. 또한, 함체(110)의 받침대(112) 높이는 제1펜스(120)와 일치시키고 커버(140)의 받침대(141) 높이는 제2펜스(130)의 높이와 일치시킨다.
한편, 안내등(150)은 다수의 포트(P) 중 커넥터(200)를 이탈시키거나 접속할 수 있는 포트(P)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커버(140)의 제2끼움구멍(142)별로 설치된다. 따라서, 도 10의 (b)도면과 같이 3행 3열의 안내등(150)이 점등하면 사용자는 해당 포트(P)가 커넥터(200)를 접속하거나 이탈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함체(110)에 구성된 제1끼움구멍(113)의 둘레를 따라 제1전극체(115)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제1펜스(120)에 구성된 제1구멍(121a)의 둘레를 따라 제1매체(122)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고, 제2펜스(130)에 구성된 제3구멍(131a)의 둘레를 따라 제2매체(132)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며, 커버(140)에 구성된 제2끼움구멍(142)의 둘레를 따라 제2전극체(143)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1끼움구멍(113)과 제1구멍(121a)이 일렬로 연통하면 제1전극체(115)는 제1매체(122)와 접하고, 제1구멍(121a)이 제3구멍(131a)과 일렬로 연통하면 제1매체(122)는 제2매체(132)와 접하며, 제3구멍(131a)과 제2끼움구멍(142)이 일렬로 연통하면 제2매체(132)는 제2전극체(143)와 접한다.
또한, 안내등(150)은 제2전극체(143)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선함(100)는 전력 공급을 위한 직류 전원모듈(160)을 더 구성하는데, 전원모듈(160)의 일극은 제1끼움구멍(113)별로 구성된 다수의 제1전극체(115)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타극은 제2끼움구멍(142)별로 구성된 다수의 제2전극체(143)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따라서 도 8의 (a)도면 및 (b)도면과 같이 3행에 위치한 제1펜스(120)와 3열에 위치한 제2펜스(130)를 이동시키면, 3행 3열에 위치한 제1전극체(115)와 제1매체(122)와 제2매체(132)가 서로 접하게 되고, 제2매체(132) 역시 제2전극체(143)와 접한다. 결국, 도 10과 같이 3행 3열의 제2끼움구멍(142)에 위치한 안내등(150)은 전원모듈(160)의 전력에 의해 점등한다.
참고로, 제1전극체(115)와 제2전극체(143)는 도 9과 같이 전원모듈(160)과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안내등(150)은 제2전극체(143)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결국, 3행의 제1펜스(120)를 이동시키면 제1펜스(120)에 위치한 모든 제1매체(122)가 이동해서 제1전극체(115)와 접하고, 3열의 제2펜스(130)를 이동시키면 제2펜스(130)에 위치한 모든 제2매체(132)가 이동해서 제2전극체(143)와 접한다. 따라서 3행 3열에 위치한 제1전극체(115)와 제1매체(122)와 제2매체(132)와 제2전극체(143)가 서로 접하면서 안내등(150)에 전력이 인가되어 점등한다.
커버(140)에 구성된 배선라인(L)은 가이드(114)를 관통해서 함체(110)의 전원모듈(160)과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따라서 배선라인(L)에 연결된 안내등(150)은 전원모듈(160)의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배선함 110; 함체 113; 제1끼움구멍
114; 가이드 115; 제1전극체 120; 제1펜스
121; 제1관통구멍 121a; 제1구멍 121b; 제2구멍
122; 제1매체 131; 제2관통구멍 131a; 제3구멍
131b; 제4구멍 132; 제2매체 140; 커버
141; 받침대 142; 제2끼움구멍 143; 제2전극체
150; 안내등 160; 전원모듈

Claims (1)

  1. 규칙적인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된 다수의 포트에 전화번호의 코드를 설정해서 구성하고, 다수의 상기 포트를 전화망에 연결해서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수용하는 박스 형태를 이루고, 상면에는 상기 포트가 노출되도록 상광하협하게 개구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이 형성되고, 4개의 제1끼움구멍이 둘레하는 구간마다 중심부에는 가이드가 돌출되며, 상기 제1끼움구멍의 둘레를 따라 제1전극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 상면의 행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을 덮는 장방형이며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상기 제1끼움구멍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1구멍과, 상기 제1끼움구멍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2구멍이 서로 연통해서 제1관통구멍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제1관통구멍이 행 라인의 제1끼움구멍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저면에는 제1링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1전극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1구멍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1매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 제1펜스;
    상기 함체 상면의 열 라인에 위치한 다수의 제1끼움구멍을 덮는 장방형이며 제1펜스와 교차하게 안착해서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패널 형상이고, 상기 제1끼움구멍 상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3구멍과, 상기 제1끼움구멍 하단의 구경과 동일한 구경의 제4구멍이 서로 연통해서 제2관통구멍을 이루고, 다수의 상기 제2관통구멍이 열 라인의 제1끼움구멍과 각각 마주하도록 일렬로 배치되고, 저면에는 제1링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3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1매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3구멍의 둘레를 따라 전도성 제2매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 제2펜스;
    상기 제1끼움구멍의 상단 구경과 동일한 구경을 이루는 다수의 제2끼움구멍이 제1끼움구멍과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함체의 상면에 안착한 제1펜스와 제2펜스를 덮도록 가이드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제3구멍이 제2끼움구멍과 마주하면 제2매체와 접촉해서 통전하도록 제2끼움구멍의 둘레를 따라 제2전극체가 일정한 폭으로 배치된 커버;
    상기 제2전극체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서 짝을 이루며 커버에 배치되는 안내등;
    일극이 다수의 상기 제1전극체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고 타극이 다수의 제2전극체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어서, 상기 안내등의 점등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모듈;
    상기 전원모듈의 통전 전류에 의한 자기장 유도를 일으키며 제1펜스와 제2펜스별로 세팅되도록 함체에 구성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유도 자기장에 의해 이동하는 플런저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단전시 플런저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솔레노이드에 내설되는 스프링을 갖춘 다수의 솔레노이드 장치;
    상기 제1펜스와 제2펜스 각각에 세팅된 솔레노이드 장치를 고유코드로 식별하고, 상기 통신모듈의 포트 개구를 위해 슬라이딩하는 제1,2펜스를 고유코드 단위로 관리하는 고유코드 인식모듈; 및
    입출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개구 대상 포트를 확인하고, 해당 포트에 대응하는 고유코드를 고유코드 인식모듈을 통해 확인하며, 확인된 해당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 장치에 전류를 인가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주택의 매설 전화케이블 배선함.
KR1020200051144A 2020-04-28 2020-04-28 공공주택의 매설 전화케이블 배선함 KR102147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144A KR102147262B1 (ko) 2020-04-28 2020-04-28 공공주택의 매설 전화케이블 배선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144A KR102147262B1 (ko) 2020-04-28 2020-04-28 공공주택의 매설 전화케이블 배선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262B1 true KR102147262B1 (ko) 2020-08-24

Family

ID=7223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144A KR102147262B1 (ko) 2020-04-28 2020-04-28 공공주택의 매설 전화케이블 배선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7166A (zh) * 2020-09-28 2021-01-12 郑州轻工业大学 一种办公桌用计算机网络工程施工穿线盒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550Y2 (ko) * 1988-12-09 1992-04-14
JPH0759125A (ja) * 1993-08-13 1995-03-03 Oki Electric Ind Co Ltd マトリクスボード
JP2991219B2 (ja) * 1991-10-25 1999-12-20 富士通株式会社 マトリクスボード・トラッキングパターン
KR200297051Y1 (ko) 2002-09-10 2002-11-30 (주)기가텍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JP5696600B2 (ja) * 2011-06-27 2015-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誤作業防止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550Y2 (ko) * 1988-12-09 1992-04-14
JP2991219B2 (ja) * 1991-10-25 1999-12-20 富士通株式会社 マトリクスボード・トラッキングパターン
JPH0759125A (ja) * 1993-08-13 1995-03-03 Oki Electric Ind Co Ltd マトリクスボード
KR200297051Y1 (ko) 2002-09-10 2002-11-30 (주)기가텍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JP5696600B2 (ja) * 2011-06-27 2015-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誤作業防止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7166A (zh) * 2020-09-28 2021-01-12 郑州轻工业大学 一种办公桌用计算机网络工程施工穿线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5721B1 (en) Modular terminal device
US5222524A (en) Control device for fluidic media in particular for compressed air
KR102147262B1 (ko) 공공주택의 매설 전화케이블 배선함
US5095403A (en) Low voltage switchboard
CN105556755A (zh) 用于可移动插座的通电导轨的装置
KR101135882B1 (ko) 전동기 제어반
US9601290B2 (en) Switching device with several regions of connection
KR102147270B1 (ko) 실내 통신케이블 접속기구
US10291007B2 (en) Active cover plates
EP0673081B1 (en) Terminal box
KR102147266B1 (ko)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공유기
KR102147269B1 (ko) 인터넷 전용 통신선의 커넥팅 중계장치
US2768333A (en) Remote control wiring systems
DE2638617A1 (de) Ortsveraenderliche, elektrische mehrfachinstallationsgeraeteeinrichtung
KR20220007504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DE4437220C2 (de) Netzanschlußeinheit, insbesondere für die Arbeitstisch-Elektrifizierung
DE202021102115U1 (de) Übungssystem zum Erlernen elektrischer Schaltungsanordnungen
JP5894885B2 (ja) システム家具
CN209514970U (zh) 一种模块化电工实验多用途书桌
LU500067B1 (de) Übungssystem zum Erlernen elektrischer Schaltungsanordnungen
US10629094B1 (en) Modular training system,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RU2739580C1 (ru) Модульные демонстрационные панели с электронной защитой, работающие от устойчивых к короткому замыканию источников питания безопасного низ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CN209183032U (zh) 门禁系统实训教学装置
JP2009189128A (ja) 制御盤
US6471532B2 (en) Electrical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