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243A -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243A
KR20150146243A KR1020140076545A KR20140076545A KR20150146243A KR 20150146243 A KR20150146243 A KR 20150146243A KR 1020140076545 A KR1020140076545 A KR 1020140076545A KR 20140076545 A KR20140076545 A KR 20140076545A KR 20150146243 A KR20150146243 A KR 20150146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or
holder
rear hold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6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6243A/ko
Publication of KR20150146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37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specially adapted for accommodating various sized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홀(101)을 통해 케이블(102)이 외부로 돌출되는 커넥터(100)와; 상기 커넥터(100)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102)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홀(101)에서 돌출된 상기 케이블(102)을 고정시키는 리어홀더(200)로 구성되어, 커넥터(100)에 텐션 구조의 홀더(200)를 적용시켜 케이블(102)의 직경이 작더라도 케이블(102)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케이블(102) 고정력을 최적화시키고, 케이블(102)의 훼손 및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이블(102)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커넥터(100)의 단자(103)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자 접촉부의 고장 발생을 최소화고 커넥터(100)의 성능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Holder device for fix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넥터에 적용되는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을 고정시켜 케이블을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와 커넥터, 또는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접속장치들을 결합시켜 통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내부에 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나아가 다수 개의 단자들을 한 개의 커넥터에 수용하기도 한다.
또한, 커넥터는 하우징과 단자와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단자는 케이블에 결합되어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사용 중에 외력의 작용을 받아서 하우징과 케이블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기도 하는데 이 경우 케이블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단자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우징으로부터 단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리어홀더가 사용된다.
리어홀더는 단자와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으로 단자가 수용되면 하우징의 개구에 위치하는 케이블을 잡아주거나 단자를 잡아주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의 리어홀더는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된 홀의 사이즈가 일정하므로 케이블의 직경이 작은 경우 케이블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키기 어려워지게 되어 케이블 유동으로 인해 단자 접촉부에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9317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넥터에 적용되는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을 고정시켜 케이블을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케이블이 관통하는 외부홀을 형성하는 커넥터와; 상기 외부홀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리어홀더;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리어홀더는 상부홀더와 하부홀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하부홀더는 양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복수의 홀을 서로 연통하게 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홀더의 공간부와 홀은 상기 케이블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홀더의 공간부와 홀은 상하방향으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커넥터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이 관통하는 외부홀을 형성하는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여 탄성 변형하고,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커넥터에 텐션 구조의 홀더를 적용시켜 케이블의 직경이 작더라도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케이블 고정력을 최적화시키고, 케이블의 훼손 및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이블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커넥터의 단자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자 접촉부의 고장 발생을 최소화고 커넥터의 성능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어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어홀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어홀더에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어홀더에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2)이 외부로 돌출되는 커넥터(100)와, 커넥터(100) 외측에 구비되어 케이블(102)을 고정시키는 리어홀더(2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내부에 단자(103)가 구비되도록 하여 단자(103)를 통해 케이블(102)이 삽입 장착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커넥터(100) 외측에는 단자(103)와 연결된 케이블(102)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외부홀(101)이 형성된다.
여기서, 커넥터(100)의 외부홀(101)은 단자(103)로부터 연결된 케이블(102)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사이즈가 고정되어 있어 직경이 작은 케이블(102)이 커넥터(100)의 단자(103)에 적용되는 경우 케이블(102)의 직경과 커넥터(100)의 외부홀(101)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케이블(102)이 유동할 수 있다.
이처럼, 케이블(102)이 커넥터(100)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100) 외측에서 케이블(102)을 고정시키는 리어홀더(200)가 구비되게 하는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홀더(200)는 커넥터(100) 외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케이블(102) 외측에 삽입되어 커넥터(100)의 외부홀(101)에서 돌출된 케이블(102)을 고정시킨다.
한편, 리어홀더(200)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부홀더(210) 양단에는 하방으로 돌기(211)가 형성되며, 하부홀더(220) 양단에는 돌기홈(221)이 형성되어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 양단이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홀더(210) 양단에 돌기홈이 형성되고, 하부홀더(220) 양단에 돌기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리어홀더(200)는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 사이에 케이블(102)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201)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커넥터(100)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케이블(102)이 공간부(201)에 삽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간부(201)에는 소정 사이즈의 홀(202)이 형성되도록 하여 커넥터(100)의 케이블(102)이 홀(202)에 삽입될 수 있게 하여 케이블(102)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러한 홀(202)이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도록 하여 케이블(102)이 커넥터(100)로부터 복수 개가 돌출되어도 엉키지 않고 순서대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어홀더(200)에서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01)는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가 분리되면 공간부(201)도 분리되며, 이처럼 공간부(201)의 분리가 가능하게 함으로 인해 케이블(102)을 공간부(201)의 홀(202)에 삽입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한다.
한편, 리어홀더(200)의 공간부(201)와 홀(202)은 케이블(10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게 하여 커넥터(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케이블(102)이 리어홀더(200)의 공간부(201)의 홀(202)에 고정될 수 있게 하여 케이블(10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어홀더(200)의 공간부(201)와 홀(202)은 상하방향으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도록 하여 직경이 큰 케이블(102)이 커넥터(100)의 단자(103)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케이블(102)의 외경에 의해 공간부(201)의 홀(202) 사이즈가 확장된 상태에서 케이블(102)과 공간부(201)의 홀(202) 사이에 공간 발생이 없어지게 되어 케이블(102)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반대로 직경이 작은 케이블(102)이 커넥터(100)의 단자(103)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리어홀더(200)의 공간부(201)와 홀(202)이 케이블(10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 인해 공간부(201)의 홀(202)과 케이블(102)의 외경 사이에 공간 발생이 없어지게 되어 케이블(102)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리어홀더(200)는 커넥터(100)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게 하여 케이블(102)이 리어홀더(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리어홀더(200)를 커넥터(100)에 고정시켜 케이블(102)의 유동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하고, 리어홀더(200)와 케이블(102)을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분리 작업이 용이하도록 리어홀더(200)를 커넥터(100)로부터 먼저 분리시키고 그 후에 리어홀더(200)의 상부홀더(210)와 하부홀더(220)를 분리하여 케이블(102)을 리어홀더(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2)이 외부로 돌출되는 커넥터(100)와, 커넥터(100) 외측에 구비되어 케이블(102)을 고정시키는 리어홀더(200)로 이루어져 커넥터(100)에 텐션 구조의 홀더(200)를 적용시켜 케이블(102)의 직경이 작더라도 케이블(102)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케이블(102) 고정력을 최적화시키고, 케이블(102)의 훼손 및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이블(102)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커넥터(100)의 단자(103)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자(103) 접촉부의 고장 발생을 최소화고 커넥터(100)의 성능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커넥터 101 : 외부홀
102 : 케이블 103 : 단자
200 : 리어홀더 201 : 공간부
202 : 홀 210 : 상부홀더
220 : 하부홀더

Claims (7)

  1. 케이블이 관통하는 외부홀을 형성하는 커넥터와;
    상기 외부홀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는 상부홀더와 하부홀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하부홀더는 양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복수의 홀을 서로 연통하게 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의 공간부와 홀은 상기 케이블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의 공간부와 홀은 상하방향으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커넥터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7. 케이블이 관통하는 외부홀을 형성하는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여 탄성 변형하고,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여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KR1020140076545A 2014-06-23 2014-06-23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KR20150146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545A KR20150146243A (ko) 2014-06-23 2014-06-23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545A KR20150146243A (ko) 2014-06-23 2014-06-23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243A true KR20150146243A (ko) 2015-12-31

Family

ID=5512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545A KR20150146243A (ko) 2014-06-23 2014-06-23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62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9259A (zh) * 2016-11-25 2017-03-29 东莞市北扬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线束及连接器部件
KR102188729B1 (ko) * 2019-07-17 2020-12-09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장치
KR20230150158A (ko) *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176A (ko) 2007-04-16 2008-10-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어홀더를 구비한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176A (ko) 2007-04-16 2008-10-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어홀더를 구비한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9259A (zh) * 2016-11-25 2017-03-29 东莞市北扬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线束及连接器部件
KR102188729B1 (ko) * 2019-07-17 2020-12-09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장치
KR20230150158A (ko) *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와이어링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5803B2 (ja) コネクタ
US9577366B2 (en) Waterproof connector having an elastic seal member with the engaged portion
US20170023155A1 (en) Fixing device for a power supply
KR20150146243A (ko) 케이블 고정용 홀더 장치
US9606298B2 (en) Optical connector
KR100918136B1 (ko) 커넥터 결합 고정장치 및 커넥터 결합 고정장치의 고정부재
KR102173220B1 (ko) 접속용 커넥팅 장치
KR20170085941A (ko) 커넥터
KR101984876B1 (ko)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
KR102233388B1 (ko) 역(逆)극성 보호수단
KR20160053482A (ko) 케이블 단선 방지를 위한 완충 장치
KR101561263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모터 고정 장치
KR200486517Y1 (ko) 전선릴용 콘센트의 어스단자 접속구조
KR20190000065U (ko) 접지형 콘센트
KR102228479B1 (ko) 접속용 커넥팅 장치
KR101708468B1 (ko) 통신 케이블 커넥터
KR101130092B1 (ko) 커넥터
KR20080024629A (ko) 랜스 파손 방지 커넥터
WO2017150121A1 (ja) コネクタ
KR200411828Y1 (ko) 타이머 소켓구조
KR102529897B1 (ko) 커넥터
KR20050013400A (ko) 케이블 커넥터들을 갖는 장비
KR200492007Y1 (ko) 벌브용 터미널
KR200465413Y1 (ko) 방수용 커넥터
KR20050117863A (ko) 케이블 고정용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