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379B1 - 백금베이스의 탐침이 구비되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프로브카드 - Google Patents
백금베이스의 탐침이 구비되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프로브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8379B1 KR102188379B1 KR1020200099066A KR20200099066A KR102188379B1 KR 102188379 B1 KR102188379 B1 KR 102188379B1 KR 1020200099066 A KR1020200099066 A KR 1020200099066A KR 20200099066 A KR20200099066 A KR 20200099066A KR 102188379 B1 KR102188379 B1 KR 1021883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
- probe
- block
- bar
- probe ca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1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 G01R1/07328—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for testing printed circuit boar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55—Material aspec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프로브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브카드를 제조함에 있어 사용되는 탐침을 백금 및 니켈을 주 베이스로 하는 합금으로 구성하여 기존의 텅스텐 재질의 탐침에 비하여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및 생산성 향상, 그리고 수명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납땜용 플레이팅층을 추가로 형성할 필요 없으며 응력완화 특성이 더 우수하여 얼라이먼트를 자주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백금베이스의 탐침이 구비되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프로브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프로브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브카드를 제조함에 있어 사용되는 탐침을 백금 및 니켈을 주 베이스로 하는 합금으로 구성하여 기존의 텅스텐 재질의 탐침에 비하여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및 생산성 향상, 그리고 수명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납땜용 플레이팅 층을 추가로 형성할 필요 없으며 응력완화 특성이 더 우수하여 얼라이먼트를 자주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백금베이스의 탐침이 구비되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프로브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디바이스는 웨이퍼(wafer) 상에 회로 패턴 및 검사를 위한 접촉 패드를 형성시키는 패브리케이션(fabrication) 공정과 회로 패턴 및 접촉 패드가 형성된 웨이퍼를 각각의 칩으로 조립하는 어셈블리(assembly) 공정을 통해서 제조된다.
패브리케이션 공정과 어셈블리 공정 사이에는 웨이퍼 상에 형성된 접촉 패드에 접촉하여 웨이퍼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 공정이 위치하고 있다. 이 검사 공정은 웨이퍼의 불량을 검사하여 어셈블리 공정 시 불량이 발생한 웨이퍼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불량 칩을 제거하기 위해 수행하는 공정이다.
검사 공정 시 웨이퍼를 이루는 각 칩의 회로 패턴과 연결된 접촉 패드와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접촉 패드에 인가시키는 복수의 프로브니들을 구비한 프로브카드라는 검사 장치를 주로 이용한다. 프로브카드는 프로브니들 및 프로브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프로브 기판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515235호 "마이크로 제조기술을 이용한 프로브카드의 니들, 그 제조방법 및 이 니들로 구현된 프로브카드"(이하 '종래기술1'라 함.), 등록특허 제10-0948792호 "수직형 프로브니들과 이를 포함하는 수직형 프로브카드 및 그 제조방법"(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록특허 제10-1149808호 "프로브 및 프로브카드 제조방법"(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을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프로브니들은 세라믹기판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사진석판술에 의해 도전성 금속으로 된 프로브니들 기단부와 폴리머 탄성체를 형성한 후, 상기 프로브니들 기단부 위에 도전성 금속을 상기 폴리머 탄성체가 지지토록 계속 적층하여 탐침 팁을 갖도록 형성된다. 프로브카드는 전기적 신호를 테스터기로부터 전달시키는 테스트헤드에 연결되는 PCB와: PCB 아래에 위치하며 복수의 인터페이스 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세라믹기판과; PCB와 복수의 인터페이스 핀 그리고 세라믹기판을 기계적으로 고정되게 잡아주는 지그; 및 세라믹기판 아래 면에 부착되어 전자전기 소자와 접촉되는 복수의 프로브니들로 구성되는 프로브카드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2는 반도체 웨이퍼 상에 형성된 접촉 패드와 접촉하고, 프로브카드의 프로브 기판과 마주하는 제 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제 2 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프로브 기판에 수직형으로 연결되는 수직형 프로브니들은 상기 프로브 기판에 연결되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로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두 번 이상 절곡 연장되어 있으며, 판형의 마더 보드로부터 형성된 판형의 스프링부 및 상기 스프링부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팁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안된 수직형 프로브카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3은 프로브영역을 에칭하고, 에칭된 영역을 도금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브를 형성하여 형성된 프로브를 회로기판과 접합시킨 후에 웨이퍼를 제거하되, 하나 이상의 프로브를 팁파트가 일 측에 형성되고, 지지파트가 타 측에 형성된 빔파트에서 회로기판과 일 측까지의 거리와 회로기판 타 측까지의 거리가 같거나 다르게 형성되도록 프로브 영역을 실리콘 웨이퍼에서 미세 에칭 및 전기도금 하는 프로브 및 프로브카드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프로브카드 제작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나, 일반적으로 종래의 탐침은 99.95% 이상의 순수 텅스텐을 사용하거나 레늄(Re)을 약 3% 함유한 텅스텐 베이스의 합금(W base alloy)을 사용하여 탐침 본체를 형성한다. 이때, 순수 텡스텐 혹은 텅스텐 베이스합금 탐침은 프로브카드에 조립될 때에 탑침의 표면에 납땜이 잘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테이퍼 부위를 제외한 원통형 탐침의 표면에 니켈(Ni) 혹은 니켈(Ni)과 구리(Cu)의 합금, 혹은 니켈(Ni), 구리(Cu) 및 금(Au)의 합금으로 납땜용 플레이팅층(plating film for soldering) 을 형성하여야만 한다. 그러므로 종래기술에 의한 텡스텐 혹은 텅스텐 베이스 합금을 이용한 탐침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지니고 있다.
첫째, 텅스텐 및 텅스텐 베이스 합금으로 제작한 프로브카드는 그 재질 자체가 매끄럽지 못해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패드 표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파티클(particle)이 묻어서 클리닝을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카드 수명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반도체 소자의 패드에 손상(damage)을 입히기도 하는 문제점이 따른다.
둘째, 텅스텐이 납땜이 잘되지 않는 이유로 인하여 탐침 본체의 표면에 납땜용 플레이팅층을 추가로 형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렇게 탐침 본체에 추가로 납땜용 플레이팅층을 형성하면, 탐침을 작업자가 자주 취급함으로 말미암아, 탐침 본체의 직진도가 떨어져 탐침의 신뢰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납땜용 플레이팅층을 추가로 형성하는 과정에서 약 5~10%의 불량품이 발생하기 때문에 생산성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셋째, 텅스텐 재질의 탐침은 미세 가공을 하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어 100㎛ 이하로 가공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며, 필요에 따라 절곡(bending)할 때에도 절곡부에 미세한 금(crack)이 발생하여 프로브카드의 품질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도성 와이어를 일정 길이로 커팅 하는 커팅단계, 커팅된 와이어의 단부를 가공하는 가공단계, 제조된 탐침을 기판에 삽입하는 인서트단계, 기판을 경화하는 경화단계, 상기 탐침 단부를 PCB에 연결하는 솔더단계 및 이를 정렬하는 마스크단계를 통하여 제작되되, 상기 와이어를 백금베이스의 합금 와이어를 사용하여 솔더 용이성 및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앞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경도가 우수하고, 전기전도율이 떨어지지 않으면서 인장강도가 우수한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카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로브카드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금베이스의 탐침이 구비되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은
백금베이스의 전도성 와이어를 일정 길이로 커팅 하는 커팅단계;
커팅된 와이어의 단부를 테이퍼지게 가공하여 탐침을 제조하는 가공단계;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복수개의 탐침을 정렬하여 기판에 삽입하는 인서트단계;
상기 복수개의 탐침이 삽입된 기판을 경화하는 경화단계;
상기 기판에 삽입된 복수의 탐침 단부를 PCB의 각 접점에 납땜방식으로 고정하여 프로브카드를 제조하는 솔더단계;
상기 프로브카드의 탐침 위치를 정렬하는 마스크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카드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금베이스의 탐침이 구비되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프로브카드는
인장강도가 우수하며, 표면 상태가 텅스텐(종래의 탐침의 재질)에 비해 더욱 매끄럽고, 절곡 시에 텅스텐과 같이 미세한 금(crack)의 발생이 없으며, 경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미세 피치형(fine pitch type) 가공능력이 탁월하여, 고집적화 되고 수백 개 이상의 많은 패드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EDS 검사에 사용되는 프로브카드에 적용하였을 때 더욱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프로브카드 제작 시 탐침의 납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탐침의 외주면 표면에 납땜용 플레이팅층을 추가로 형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나아가 표면의 결정 상태가 매끄럽기 때문에 빈번하게 클리닝을 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클리닝이 되는 상태가 종래의 텅스텐에 비해 탁월하게 우수하여 생산성 및 작업효율이 증대되고,
응력완화(fatigue) 특성이 기존의 텅스텐 탐침과 비교하여 더욱 양호하기 때문에 프로브카드에 조립되었을 때, 얼라이먼트(alignment)를 자주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수명이 길어져 투입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카드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 사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카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탐침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프로브카드의 종류를 나열한 사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프로브카드의 또 다른 종류를 나열한 사진도
도 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카드 제조방법의 변형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카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탐침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프로브카드의 종류를 나열한 사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프로브카드의 또 다른 종류를 나열한 사진도
도 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카드 제조방법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프로브카드(PB)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프로브카드(PB)에 관한 것으로, 먼저 도1을 통하여 프로브카드(PB)의 제조단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프로브카드(PB)는 반도체의 동작을 검사하기 위하여 반도체 칩(소자)과 테스트 장비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웨이퍼에 탐침(N)이 접촉하면서 전기를 보내고, 그 때 돌아오는 신호에 따라 불량 반도체 칩을 선별하는 것으로, 프로브카드의 핵심부품인 탐침(N)을 제조하기 위하여 전도성 와이어(W)를 일정 길이로 커팅하는 단계(M1)를 진행한다.
상기 커팅단계(M1)는 곡선형으로 말려 제조 및 공급, 유통되는 와이어(W)를 탐침(N) 제조를 위해 직선형으로 선가공하는 직선화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직선화단계에서 직선형으로 가공된 와이어(W)를 소정의 길이로 커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커팅단계에서는 커팅기(C)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와이어(W)를 일정한 길이로 자르게 되는데, 이 커팅기(C)에는 와이어(W) 커팅을 위한 커팅칼날(C3)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커팅칼날(C3)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커팅기(C) 본체와 커팅칼날(C3)은 탈착블록유닛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소정의 길이로 커팅이 완료된 와이어(W)는 그 단부를 테이퍼 시키는 가공단계(M2)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탐침(N)은 성능 검사를 하고자 하는 측정소자의 전극패드에 기계적, 전기적 접촉되도록 하여 소자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것으로, 각 탐침(N)과 소자의 위치가 정확히 들어맞아야 한다. 특히 기술 발전에 따라 반도체 사이즈가 점점 작아지게 되었고, 그만큼 반도체 간의 폭이 좁아져 조밀조밀하게 배열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탐침(N)의 단부, 즉 측정 소자에 접하는 부분이 뾰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가공단계를 통하여 상기 탐침(N)의 단부에 테이퍼부(T), 즉 뾰족한 부분을 형성하는 가공단계를 진행하게 되며, 상기 테이퍼부(T)는 길이가 0.5 ~ 3 ㎜ 범위인 것이 적합하며, 상기 탐침(N) 본체의 구경은 40 ~ 300㎛ 범위인 것이 적합하며, 상기 테이퍼 끝단의 구경은 10 ~ 30㎛ 범위인 것이 적합하다. (도2참조)
상기와 같이 테이퍼부(T)를 형성하는 가공단계(M2)를 진행한 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단계(M31)를 더 진행할 수 있는데, 상기 밴딩단계는 상기 탐침(N)의 어느 한 부분 또는 둘 이상의 부분을 구부리는 단계로, 이는 제조하고자 하는 프로브카드(PB)의 형상 또는 접합하고자 하는 PCB(P)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가공된 탐침(N)의 가공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단계(M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와 같이 밴딩단계(M31)가 진행이 되면, 복수의 탐침(N)들을 기판(IB)에 삽입 및 관통시키는 인서트단계(M4)를 진행한다.
상기 기판(IB)은 프로브카드(PB)에 탐침(N)을 연결함에 있어, 탐침(N)을 정렬 및 정위치 고정하기 위한 단계로, 상기 기판(IB)에는 탐침(N)이 관통되는 인서트홈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다.
기판(IB)에 탐침(N)을 삽입한 후, 이 기판(IB)과 탐침(N)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경화하는 단계(M5)를 거친 후, 상기 탐침(N)을 PCB(P)에 접합하는 솔더단계(M6)를 진행하게 된다.
솔더란 납땜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개의 탐침(N) 각각의 단부를 상기 PCB(P)에 형성된 회로의 접점에 각각 납땜하여 고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은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백금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 납땜을 위한 플레이트층을 탐침(N) 외주면 표면에 추가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작업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솔더단계가 완료된 프로브는 다시 한 번 탐침(N)을 정렬하는 마스크단계(얼라이먼트단계)(M7)를 진행하게 되며, 상기 마스크 단계로 인하여 탐침(N)은 프로브카드(PB) 내에서 정확한 위치에 배열되어 웨이퍼를 검사할 때 정확한 검사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단계 후 교정 및 출하단계(M8)를 더 거쳐 제품을 완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M)과 이 제조방법(M)에 의해 제조된 프로브카드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프로브카드(PB)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반도체 소자의 검사 영역(패드)에 직접 접촉하여 회로적 특성 검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반도체 소자는 COG(chip on glass), COF(chip on film), LDI (LCD Drive IC)와 같은 디스플레이 구동칩인 DDI(display drive IC) 등의 IC 칩과 LED 소자 등을 이루는 소자일 수 있으며, CIS(CMOS Image Sensor), Logic 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반도체 소자는, 웨이퍼(wafer, 400) 단위로 반도체 공정을 거치며, 반도체 소자의 양,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웨이퍼 레벨에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도3 및 도4 참조)
또한 상기 프로브카드는 탐침의 종류에 따라 Cantilever type(캔틸레버 타입), Vertical type(수직형 타입)으로 나뉠 수 있으며, 상기 캔틸레버 타입은 수평방향으로 탐침이 구현되고 수평방향으로 스프링이 형성된 타입을 의미하고, 버티컬 타입은 수직 방향으로 탐침이 구현되는 타입을 의미하며 이는 도5에 도시하였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프로브카드(PB)에 구비되는 탐침(N)의 성분을 한정하여 종래기술과의 차별성을 두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탐침(N)(궁극적으로는 탐침(N)을 제조하는 와이어(W)를 의미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탐침(N)이라 지칭하도록 한다.)은 백금을 베이스로 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탐침(N)은 백금과 니켈의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더욱 정확하게는 이리듐(Ir), 팔라듐(Pd), 로듐(Rh), 루테늄(Ru), 니오브(Nb), 몰리브덴(Mo), 레늄(Re), 텅스텐(W), 탄탈륨(Ta)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금속성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텅스텐 베이스 합금으로 된 탐침(N)보다 우수한 인장강도 및 내열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더하여 내식성에도 탁월하기 때문에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는 전자부품의 구조용 부품으로 적용에 유리한 점이 있고, 백금 베이스의 합금은, 절곡에 대한 강한 내성을 갖고, 피로도 특성(fatigue characteristics)이 종래의 텅스텐 베이스 합금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또한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탐침(N) 전체의 중량을 100 중량부라 할 때, 상기 백금은 65~8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니켈은 18~27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리듐(Ir), 팔라듐(Pd), 로듐(Rh), 루테늄(Ru), 니오브(Nb), 몰리브덴(Mo), 레늄(Re), 텅스텐(W), 탄탈륨(Ta) 중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둘의 합금이 2~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금속성분으로 제조되는 합금은 시효 경화하여 Knoop 경도 580이상, 최대 인장강도 320ksi이상, 신율 1.5%를 초과하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6a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커팅단계에서 사용되는 커팅기(C)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커팅기(C)에는 칼날(C3)이 구비되는 칼날블록(C1)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 때 커팅기(C)와 칼날블록(C1)은 탈착블록유닛에 의해 손쉽게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칼날(C3)이 마모되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칼날(C3)을 교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블록유닛은 인입블록(B1)과 안착블록(B2) 및 회전고정수단(B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하 도6b 및 도6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6b 및 도6c는 앞서 언급한 탈착블록유닛(BU)의 실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칼날블록(C1)에 구비되며 끼움홈부(B21)가 형성된 안착블록(B2)과, 상기 커팅기(C)에 구비되며 상기 끼움홈부(B21)에 인입되는 회전바(B13)를 구비한 인입블록(B1) 및 상기 안착블록(B2)에 구비되어 안착블록(B2)에 인입된 회전바(B13)를 회전시키는 회전고정수단(B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입블록(B1)의 회전바(B13)가 상기 끼움홈부(B21)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끼움홈부(B21)의 상부 내벽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안착블록(B2)과 인입블록(B1)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도6b 및 도6c의 [A] 내지 [D]는 인입블록(B1)과 안착블록(B2)의 결합 순서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면을 살펴보면 인입블록(B1)은 상기 커팅기(C)에 구비되는 상부바디(B11)와, 상기 상부바디(B11) 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삽입돌기(B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돌기(B12) 단부에 후술하는 회전바(B13)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기 삽입돌기(B12)는 서로 이격된 돌기가 한 쌍으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이 돌기 단부를 연결하는 회전축봉(B1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회전축봉(B15)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안착블록(B2)은 상기 칼날블록(C1)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돌기(B12) 및 회전바(B13)가 인입되는 끼움홈부(B21)가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부(B21)는 안착블록 상부에 연통되어 상기 회전바(B13) 및 삽입돌기(B12)가 삽입되는 삽입홈(B212)과, 상기 삽입홈(B212)에 연통되며 상기 안착블록 내부에서 일정 공간을 갖는 회전유도홈(B211)과, 상기 회전유도홈(B211) 상부 일 측에 연통되며 상기 삽입홈(B2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인입홈(B2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고정수단(B3)은 상기 안착블록(B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인입홈(B213)의 일단에 인근 배열되는 제1마그넷(B31)과, 회전유도홈(B211)의 하부 일단에 인접 배열되는 제2마그넷(B32),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을 회전시키며 상기 안착블록(B2) 상부에 돌출되는 제1푸쉬바(B36), 상기 회전바(B13)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과 상기 회전축봉(B15)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B13)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B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마그넷(B31)은 인입홈(B213) 단부에 위치하는 S극과 상기 S극 하부에 구비되는 N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마그넷(B32)은 회전유도홈(B211) 일단 하부에 위치하는 N극과 그 하부에 구비되는 S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은 모두 N극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유도홈(B211)에 삽입되면, 상기 제2마그넷(B32)의 N극과 제2자석(B35)의 N극이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삽입돌기(B12)로부터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제1마그넷(B31)의 S극이 상기 제1자석(B34)의 N극을 인력에 의해 끌어당겨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인입홈(B213)에 인입되어 상기 인입블록(B1)과 안착블록(B2)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먼저 안착블록(B2)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안착블록(B2)은 칼날블록(C1)에 구비되는 블록형 부재로, 끼움홈부(B21)가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끼움홈부(B21)는 회전유도홈(B211), 삽입홈(B212) 및 인입홈(B2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유도홈(B211)은 일정 공간을 갖도록 상기 안착블록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유도홈(B211)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바디(B11) 상부에 노출되는 삽입홈(B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B2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유도홈(B211) 일측 상부에 연장되는 인입홈(B2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B212) 하부 양측에는 상기 회전바(B13)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허용홈이 더 형성되게 된다.
상기 회전바(B13)에는 상기 회전바(B1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홀(B131)이 구비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홀(B131)에 상기 회전축봉(B15)이 끼워져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하여 삽입돌기(B12)와 직교하게 되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고정수단(B3)은 제1마그넷(B31), 제2마그넷(B32), 제1푸쉬바(B36), 제1자석(B34), 제2자석(B3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먼저 제1마그넷(B31)은 S극과 N극이 상하로 구비된 마그넷으로 상기 인입홈(B213) 단부에 S극이 인접 배열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2마그넷(B32)은 N극과 S극이 상하로 구비된 마그넷으로 상기 회전유도홈(B211) 하부 일측에 N극이 인접 배열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마그넷(B31)과 제2마그넷(B32)에는 제1축봉(B311)과 제2축봉(B32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푸쉬바(B36)는 상기 안착블록 일측에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바로, 이를 위하여 상기 안착블록(B2)에는 제1푸쉬홈(B22)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제1푸쉬바(B36)의 하부에는 스프링(B363)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1푸쉬바(B36)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 때 상기 제1푸쉬바(B36)의 외면에는 제1톱니부(B361)와 제2톱니부(B36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톱니부(B361)는 제1축봉(B311)과 톱니 결합되고, 제2톱니부(B362)는 제2축봉(B321)과 톱니 결합되어 상기 제1푸쉬바(B36)를 누르면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이 상기 제1축봉(B311) 및 제2축봉(B321)을 회전축으로 각각 회전하여 극성의 위치가 바꿔질 수 있다.
상기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은 상기 회전바(B13)에 양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 N극을 띄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회전바(B13)가 삽입돌기(B12)와 나란할 때를 기준으로 상부 단부에 제1자석(B34)이 구비되고 하부 단부에 제2자석(B3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봉(B15)에는 탄성체(B16)를 더 구비하여 상기 회전바(B13)의 회전운동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탄성체(B16)는 일정 사점을 통과하면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탄성체(B16)로 한정한다.
나아가 상기 탄성체(B16)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봉(B15)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바(B13), 보다 정확하게는 슬라이딩홀(B131)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회전바(B13)에 탄성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바(B13)가 슬라이딩 이동을 하여도 탄성력을 부여함에 있어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6b의 [A]와 [B] 및 도6c의 [C]와 [D]를 통하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A]는 인입블록(B1)의 삽입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B]도면과 함께 인입블록(B1)을 삽입하면 상기 삽입돌기(B12) 및 회전바(B13)가 상기 삽입홈(B212)을 통해 인입되어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회전유도홈(B211)의 일측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마그넷(B32)의 N극이 상기 제2자석(B35)에 N극에 인접 배열되어 둘 사이의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축봉(B15)을 회전축으로 회전하게 되며, 척력에 의해 회전하다가 상기 탄성체(B16)의 사점을 넘으면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C]와 같은 상태로 상기 삽입돌기(B12)와 직교하게 된다. 이 때 제2푸쉬바(B37)를 밀면서 회전하게 되며, 제2푸쉬바(B37)는 상기 회전유도홈(B211)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블록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2푸쉬바(B37)가 [C]와 같이 상승하면 별도의 걸림돌기 등에 의해 외력 없이는 원위치 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제2푸쉬홈(B23)이 안착블록 타측에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
다시 [C]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제1마그넷(B31)의 S극과 제1자석(B34)의 N극이 가까워지고, 이들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좌측으로 [D]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인입블록(B1)과 안착블록(B2)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인입블록(B1)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푸쉬바(B36)를 누르게 되는데, 제1푸쉬바(B36)를 누르면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이 회전하여 제1자석(B34)과 제1마그넷(B31)의 N극이 인접 배열되어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하게 되며, 이 때 보조푸쉬바를 누르면 상기 회전바(B13)의 단부를 하강시키고, 상기 탄성체(B16)의 사점이 지나가고 상기 제2마그넷(B32)이 S극과 제2자석(B35) 사이의 인력에 의해(상기 제1푸쉬바(B36)를 누른 상태이다.) 상기 회전바(B13)는 [B]와 같이 원위치 되며, 원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인입블록(B1)을 위로 분리시키면 자연스럽게 상기 인입블록(B1)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결합 시에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백금베이스의 탐침이 구비되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프로브카드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 프로브카드 제조방법 PB : 프로브카드
M1 : 커팅단계 M2 : 가공단계
M3 : 검사단계 M31 : 밴딩단계
M4 : 인서트단계 M5 : 경화단계
M6 : 솔더단계 M7 : 마스크(얼라이먼트)단계
M8 :교정 후 출하단계 W : 와이어
N : 탐침 T : 테이퍼부
IB : 기판 P : PCB
C : 커팅기 C1 : 칼날블록
C3 : 칼날
M1 : 커팅단계 M2 : 가공단계
M3 : 검사단계 M31 : 밴딩단계
M4 : 인서트단계 M5 : 경화단계
M6 : 솔더단계 M7 : 마스크(얼라이먼트)단계
M8 :교정 후 출하단계 W : 와이어
N : 탐침 T : 테이퍼부
IB : 기판 P : PCB
C : 커팅기 C1 : 칼날블록
C3 : 칼날
Claims (4)
- 백금과 니켈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와이어(W)를 커팅기(C)를 이용하여 일정 길이로 커팅하는 커팅단계(M1);
커팅된 와이어의 단부를 테이퍼지게 가공하여 탐침(N)을 제조하는 가공단계(M2);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복수개의 탐침(N)을 정렬하여 기판(IB)에 삽입하는 인서트단계(M4);
상기 복수개의 탐침(N)이 삽입된 기판(IB)을 경화하는 경화단계(M5);
상기 기판(IB)에 삽입된 복수의 탐침(N) 단부를 PCB의 각 접점에 납땜방식으로 고정하여 프로브카드(PB)를 제조하는 솔더단계(M6);
상기 프로브카드(PB)의 탐침 위치를 정렬하는 마스크단계(M7);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팅기(C)에는 칼날(C3)이 구비되는 칼날블록(C1)이 탈착블록유닛(BU)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탈착블록유닛(BU)은
상기 칼날블록(C1)에 구비되며 끼움홈부(B21)가 형성된 안착블록(B2)과, 상기 커팅기(C)에 구비되며 상기 끼움홈부(B21)에 인입되는 회전바(B13)를 구비한 인입블록(B1) 및 상기 안착블록(B2)에 구비되어 안착블록(B2)에 인입된 회전바(B13)를 회전시키는 회전고정수단(B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인입블록(B1)의 회전바(B13)가 상기 끼움홈부(B21)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끼움홈부(B21)의 상부 내벽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안착블록(B2)과 인입블록(B1)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N)은
이리듐(Ir), 팔라듐(Pd), 로듐(Rh), 루테늄(Ru), 니오브(Nb), 몰리브덴(Mo), 레늄(Re), 텅스텐(W), 탄탈륨(Ta)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금속성분을 더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블록(B1)은 상부바디(B11)와, 상기 상부바디(B11) 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삽입돌기(B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돌기(B12) 단부에 회전바(B1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블록(B2)은 상기 삽입돌기(B12) 및 회전바(B13)가 인입되는 끼움홈부(B21)가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부(B21)는 상기 회전바(B13) 및 삽입돌기(B12)가 삽입되는 삽입홈(B212)과, 상기 삽입홈(B212)에 연통되며 상기 안착블록(B2) 내부에서 일정 공간을 갖는 회전유도홈(B211)과, 상기 회전유도홈(B211) 상부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삽입홈(B2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인입홈(B2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돌기(B12)는 서로 이격된 돌기가 한 쌍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며, 이 한 쌍의 돌기 단부를 연결하는 회전축봉(B15)이 더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회전축봉(B15)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며,
상기 회전고정수단(B3)은 상기 인입홈(B213)의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마그넷(B31)과, 회전유도홈(B211)의 하부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마그넷(B32),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을 회전시키며 상기 안착블록(B2) 상부에 돌출되는 제1푸쉬바(B36), 상기 회전바(B13)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자석(B34)과 제2자석(B35) 및 상기 회전축봉(B15)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B1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B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마그넷(B31)은 인입홈(B213) 단부에 인접 위치하는 S극과 상기 S극 하부에 구비되는 N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마그넷(B32)은 회전유도홈(B211) 일단 하부에 인접 위치하는 N극과 그 하부에 구비되는 S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은 모두 N극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유도홈(B211)에 삽입되면, 상기 제2마그넷(B32)의 N극과 제2자석(B35)의 N극이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삽입돌기(B12)로부터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제1마그넷(B31)의 S극이 상기 제1자석(B34)의 N극을 인력에 의해 끌어당겨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인입홈(B213)에 인입되어 상기 인입블록(B1)과 안착블록(B2)을 결합시키고,
상기 제1푸쉬바(B36)를 동작하여 제1마그넷(B31)과 제2마그넷(B32)을 각각 공회전시켜 극성을 바꾸면
상기 제1마그넷(B31)과 제1자석(B34)의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슬라이딩 이동하고,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제2마그넷(B32)과 제2자석(B35)에 인력에 의해 상기 삽입돌기(B12)와 나란하게 배열되어 상기 인입블록(B1)을 안착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9066A KR102188379B1 (ko) | 2020-08-07 | 2020-08-07 | 백금베이스의 탐침이 구비되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프로브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9066A KR102188379B1 (ko) | 2020-08-07 | 2020-08-07 | 백금베이스의 탐침이 구비되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프로브카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8379B1 true KR102188379B1 (ko) | 2020-12-08 |
Family
ID=7377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9066A KR102188379B1 (ko) | 2020-08-07 | 2020-08-07 | 백금베이스의 탐침이 구비되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프로브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8379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2404A (ko) * | 1994-09-06 | 1996-04-20 | 이억기 | 미세 경사각도를 이루는 프로브팁의 배열구조를 갖는 프로브카드 |
KR20080111775A (ko) * | 2007-06-19 | 2008-12-24 | 주식회사 새한마이크로텍 | 등선형 니들을 사용한 프로브 카드 |
KR20100002991A (ko) * | 2008-06-30 | 2010-01-07 | 장경규 | 프로브 카드용 니들 |
KR101411984B1 (ko) * | 2013-05-20 | 2014-07-17 | 주식회사 세디콘 | 프로브 카드 |
KR101455540B1 (ko) * | 2013-10-07 | 2014-11-04 | 주식회사 세디콘 | 프로브 카드 |
KR101534828B1 (ko) * | 2015-03-06 | 2015-07-08 | 주식회사 기가레인 | 프로브카드 조립용 블록,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카드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2020
- 2020-08-07 KR KR1020200099066A patent/KR1021883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2404A (ko) * | 1994-09-06 | 1996-04-20 | 이억기 | 미세 경사각도를 이루는 프로브팁의 배열구조를 갖는 프로브카드 |
KR20080111775A (ko) * | 2007-06-19 | 2008-12-24 | 주식회사 새한마이크로텍 | 등선형 니들을 사용한 프로브 카드 |
KR20100002991A (ko) * | 2008-06-30 | 2010-01-07 | 장경규 | 프로브 카드용 니들 |
KR101411984B1 (ko) * | 2013-05-20 | 2014-07-17 | 주식회사 세디콘 | 프로브 카드 |
KR101455540B1 (ko) * | 2013-10-07 | 2014-11-04 | 주식회사 세디콘 | 프로브 카드 |
KR101534828B1 (ko) * | 2015-03-06 | 2015-07-08 | 주식회사 기가레인 | 프로브카드 조립용 블록,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카드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79794B2 (en) | Spring loaded probe pin assembly | |
KR101004922B1 (ko) | 프로브 카드, 프로브 카드의 제조 방법, 반도체 검사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
US6330744B1 (en) | Customized electrical test probe head using uniform probe assemblies | |
EP1136827A2 (en) | Contactor having LSI-circuit-side contact piece and test-board-side contact pie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015798B1 (ko) | 검사장치용 프로브 | |
US20080309363A1 (en) | Probe assembly with wire probes | |
KR100980369B1 (ko) |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니들 구조체와 그 제조 방법 | |
JP2021028603A (ja) | 電気的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 |
CN114829952A (zh) | 用于节距减小的应用的探针头 | |
KR102188379B1 (ko) | 백금베이스의 탐침이 구비되는 프로브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프로브카드 | |
JP5643476B2 (ja) | 二重弾性機構プローブカード | |
JP2012078297A (ja) | ワイヤープローブ用治具並びにこれを用いた検査装置並びに検査方法 | |
JP4396429B2 (ja) | 回路基板の検査装置および回路基板の検査方法 | |
KR101411984B1 (ko) | 프로브 카드 | |
JP2006064511A (ja) | 金属構造体 | |
JP4631620B2 (ja) | 回路基板の検査装置および回路基板の検査方法 | |
KR101164415B1 (ko) | 프로브 카드 | |
JP4631621B2 (ja) | 回路基板の検査装置および回路基板の検査方法 | |
JP2021167760A (ja) | 筒状部材、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半導体検査用ソケット | |
JP2009288109A (ja) | 二重弾性機構プローブカード | |
JPH08110363A (ja) | フラットパネルの検査装置 | |
JP2006010682A (ja) | 回路基板の検査装置および回路基板の検査方法 | |
TW200532209A (en) | Multi-signal single beam probe | |
JP3707559B1 (ja) | 回路基板の検査装置および回路基板の検査方法 | |
JP2005069712A (ja) | プローブカード及びそれに使用する接触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