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567B1 -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567B1
KR102187567B1 KR1020150169664A KR20150169664A KR102187567B1 KR 102187567 B1 KR102187567 B1 KR 102187567B1 KR 1020150169664 A KR1020150169664 A KR 1020150169664A KR 20150169664 A KR20150169664 A KR 20150169664A KR 102187567 B1 KR102187567 B1 KR 102187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ft
sensor
alarm system
load ba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206A (ko
Inventor
김보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9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56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fuel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1Fuel level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09Antitheft stat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 센서 시스템을 활용한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자동차 연료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의 양이 증가하면 올라가고 연료의 양이 줄어들면 내려가는 부개 및 센더 로드바에 도난방지 센서를 구비하여 함께 동작되도록 하고, 시동 OFF 시 연료가 빠지면 부개 및 센더 로드바의 움직임에 따라 부저가 울리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경보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도난방지 센서를 이용하여 고가의 연료 도난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ALARM SYSTEM FOR PREVENTING FUEL ROBBERY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연료 센서 시스템을 활용한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자동차 연료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유가 추세에 따라 주차된 차량에서 연료를 도난당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대형 자동차량이나 건설장비의 경우 야간에는 인적이 없는 공사 현장에 그대로 주차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승용차와 달리 자동차 연료탱크는 대용량(400∼1,000ℓ)일 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잠금장치도 쉽게 열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연료 절도범들의 표적이 되고 있다.
그리고,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절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불과 5분 이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단속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장비를 비치해 둔 현장에 CCTV를 설치하거나 혹은 연료 캡에 자물쇠를 채우는 등의 방안을 활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안도 도난 후 신속한 대응이 어려우며 연료 도난의 방식 또한 지능화되어 이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현재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와 관련하여 아무런 도난 방지 시스템이 없는 상황이고 한 건에 100만원이 넘는 손해를 막기 위해서는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10-2008-0043652호, 한국공개실용신안 20-1999-0026602호, 한국공개특허 10-2013-0063661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의 양이 증가하면 올라가고 연료의 양이 줄어들면 내려가는 부개 및 센더 로드바에 도난방지 센서를 구비하여 함께 동작되도록 하고, 시동 OFF 시 연료가 빠지면 부개 및 센더 로드바의 움직임에 따라 부저가 울리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경보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도난방지 센서를 이용하여 고가의 연료 도난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은 차량 연료 센서 시스템의 부개 및 센더 로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부개 및 센더 로드바에는 연료의 증감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부개 및 센더 로드바와 함께 동작하는 도난방지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도난방지 센서는 전원 ON 시 자력에 의해 붙어서 부개 및 센더 로드바와 함께 동작하게 되며, 전원 OFF 시 자력이 떨어짐과 동시에 동작을 멈추면서 부개 및 센더 로드바 만의 움직임에 의한 서로 간의 접촉으로 부저음을 울리도록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난방지 센서는 센서 바디와, 상기 센서 바디의 상단에 설치되어 전원 ON 시 자화되는 전자석과, 상기 센서 바디의 하단에 설치되어 부개 및 센더 로드바와의 접촉에 의해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난방지 센서의 센서 바디에는 부개 및 센더 로드바의 상하 이동을 위한 로드바 이동경로가 조성될 수 있으며, 또 도난방지 센서의 일측에는 전자석과 부저에 이그니션 ON 전원과 상시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은 도난방지 센서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도난방지 센서의 센서 바디의 일측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호(弧) 형상의 가이드부를 전면에 가지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부는 센서 바디의 하단 일측과 요철 결합됨과 더불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한 복수 열의 돌출형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부에는 도난방지 센서의 센서 바디에 있는 전원공급 단자부와 접속가능한 전원공급 접속판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의 전원공급 접속판은 이그니션 ON 전원용 + 접속판과 상시 전원용 + 접속판과 - 접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저가이고 구조가 간단한 도난방지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연료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단순한 경보 시스템에 끝나지 않고 블루링크 가입자에게는 운전자의 핸드폰과 경비업체에 같이 연락을 줌으로써, 연료 도난 예방에 더욱 효과적이다.
셋째,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대용량의 자동차 연료탱크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의 도난방지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의 도난방지 센서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은 승용차와 달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자동차 연료탱크와 같이 현재 아무런 도난 방지 시스템이 없는 상황에서 값싼 도난방지 센서를 이용하여 연료도난을 효과적으로 경보 및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은 연료의 양에 따라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와, 상기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의 위치에 따라 전압을 달리하는 센서 어셈블리(20) 등으로 구성되는 차량 연료 센서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는 연료탱크 안에 설치되어 연료의 양이 증가하거나 줄어들면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동작을 하게 되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20)는 센더 로드바 위치에 따라 전압이 달라지는 가변저항 코일(미도시)을 이용하여 연료량 표시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와 센서 어셈블리(20)를 포함하는 차량 연료 센서 시스템의 구조와 작동 방식은 종래의 차량 연료 센서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은 연료의 증감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와 함께 동작하는 도난방지 센서(11)와, 상기 도난방지 센서(11)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역할의 가이드 플레이트(18)를 포함한다.
상기 도난방지 센서(11)는 도난방지 센서(11)는 전원 ON 시 자력에 의해 붙어서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와 함께 동작함과 더불어 전원 OFF 시 자력이 떨어짐과 동시에 동작을 멈출 수 있는 구조로서, 결국 이렇게 도난방지 센서(11)가 움직임을 멈춘 상태에서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 만의 움직임에 의해 경보장치(미도시)의 부저음이 울릴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8)는 연료탱크 내에서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의 한쪽 옆에 수직자세로 나란하게 위치되고, 연료탱크 벽면에 브라켓(미도시) 등에 의해 적절히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8)의 전면, 즉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를 마주 대하는 쪽의 면에 도난방지 센서(11)가 지지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18)를 지지체로 하여 위아래로 호(弧) 궤적을 그리며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의 도난방지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의 도난방지 센서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난방지 센서(11)의 센서 바디(12)는 상부가 뚫려 있고 양편의 수직벽체 사이에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의 상하 이동을 위한 로드바 이동경로(15)가 조성되어 있는 "ㄷ"자 형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센서 바디(12)의 하단부 한쪽 측면에는 수평의 돌출부분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때의 돌출부분에 후술하는 전원공급 단자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센서 바디(12)의 상단부에는 뚫린 부분을 가로막는 형태로 전자석(13)이 설치되고, 이때의 전자석(13)은 전원공급 단자부(1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화되면서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와 붙을 수 있게 된다.
즉, 전자석(13)은 전원 ON 시 자화되면서 금속 재질의 센더 로드바와 붙을 수 있게 되고, 전원 OFF 시에는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와 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바디(12)의 하단부, 즉 로드바 이동경로(15)의 하단쪽에는 부저(14)가 설치되고, 이때의 부저(14)는 전원공급 단자부(16)로부터 상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저(14)에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가 접촉되어 부저(14)가 눌려지게 되면 부저음 발생을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저(14)가 눌려지면서 경보장치(미도시)의 부저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방법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바디(12)의 일측, 즉 바디 하단부의 돌출부분 끝에는 전자석(13)과 부저(14)에 공급되는 이그니션 ON 전원과 상시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부(16)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 바디(12)의 돌출부분 끝에는 양쪽 2개의 홈부(21)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때의 홈부(21)의 내측에는 이그니션 ON 전원용 + 단자편(16a)과 - 단자편(16c)이 장착되고, 상기 이그니션 ON 전원용 + 단자편(16a)과 - 단자편(16c) 사이의 돌출부분 끝에는 상시 전원용 + 단자편(16b)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 단자부(16)의 이그니션 ON 전원용 + 단자편(16a)과 상시 전원용 + 단자편(16b), 그리고 - 단자편(16c)이 후술하는 전원공급 접속판(19)의 이그니션 ON 전원용 + 접속판(19a)과 상시 전원용 + 접속판(19b), 그리고 - 접속판(19c)과 접점을 이루게 되므로서,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이그니션 ON 전원용 + 단자편(16a)과 전자석(13), 상기 상시 전원용 + 단자편(16b)과 부저, 그리고 - 단자편(16c) 상호 간은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센서 바디 내부나 외면 등을 통해 전기적인 회로구성을 갖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은 도난방지 센서(11)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8)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8)는 대략 사각판 형태로서, 그 전면에는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의 회전궤적을 따라 위아래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호(弧) 형상의 가이드부(17)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 바디(12)는 호(弧) 형상의 가이드부(17)에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17)의 안내를 받으면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17)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면서 호(弧) 형상의 궤적을 가지는 복수 열의 돌출형 레일(17a,17b), 예를 들면 한 쌍의 돌출형 레일(17a,17b)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러한 돌출형 레일(17a,17b)에 센서 바디(12)의 돌출부분에 있는 홈부(21)가 요철 결합되어 지지되면서 슬라이드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돌출형 레일은 "T"자형 단면을 가지는 돌출형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곳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홈부 또한 T"자형 단면을 가지는 홈부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서, 레일이나 홈부 위아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가 만들어지면서 앞뒤쪽으로는 서로 걸려져 빠지지 않는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7)에는 도난방지 센서(11)의 센서 바디(12)에 있는 전원공급 단자부(16)와 접속가능한 전원공급 접속판(19)이 구비되며, 이때의 전원공급 접속판(19)은 차량측 전원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그니션 ON 전원용 + 접속판(19a)과 상시 전원용 + 접속판(19b) 및 - 접속판(19c)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원 공급 접속판(19)측에 제공되는 전원은 기존 센서 어셈블리(20)에 공급되고 있는 전원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센서 어셈블리측 가변저항 코일에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회로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7)의 돌출형 레일(17a,17b)의 표면에는 이그니션 ON 전원용 + 접속판(19a)과 - 접속판(19c)이 형성되고, 이그니션 ON 전원용 + 접속판(19a)과 - 접속판(19c) 사이의 가이드부 바닥면에는 상시 전원용 + 접속판(19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센서 바디(12)의 돌출부분 끝에 있는 홈부(21)를 가이드부(17)의 한 쌍의 돌출형 레일(17a,17b)에 결합시키면, 홈부(21)에 있는 이그니션 ON 전원용 + 단자편(16a)과 이그니션 ON 전원용 + 접속판(19a)이 접촉되는 동시에 - 단자편(16c)이 - 접속판(19c)이 접촉하게 되고, 또 돌출부분 끝에 있는 상시 전원용 + 단자편(16b)과 상시 전원용 + 접속판(19b)이 접촉되면서 상호 간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그니션 ON 상태는 주행, ACC, 키 ON 상태로서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의미하고, 상시 전원 상태는 시동 OFF 등 차량 전원 OFF일 때도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전자석의 힘은 부개의 힘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게 설정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석(13)은 이그니션 OFF일 때를 제외하고 항상 작동하며, 부저(14)는 상시 전원으로 항상 작동하며(전원 OFF일 때도 작동),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가 부저(14)를 누르면 경보가 시작된다.
그리고, 3가지 힘의 크기의 경우 부개 > 전자석 > 도난방지 센서 슬라이드 결합부의 마찰력의 순서이다.
따라서, 전원 ON 상태에서, 연료의 양이 증가하면 부개의 힘에 의해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가 올라가면서 도난방지 센서(11)도 상승하게 되고, 연료의 양이 줄어들면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가 내려가면서 전자석(13)에 의해 붙어 있는 도난방지 센서(11)도 하강하게 된다.
한편, 전원 OFF 상태(이그니션 OFF 상태)에서, 연료가 빠지면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가 내려가게 된다.
이때, 도난방지 센서 슬라이드 결합부와 가이드부 간의 마찰력 때문에 도난방지 센서(11)는 그 자리를 유지하게 되고, 결국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만 아래로 내려가면서 부저(14)를 누르게 된다.
이렇게 부저(14)가 눌리면 경보장치가 작동되면서 부저음이 울리게 되고, 경보장치와 블루링크(BLUE LINK) 간의 연계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블루링크 고객들과 경찰들은 핸드폰 등을 통해 자동으로 연료 도난 연락을 전송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간단하고 저렴한 도난방지 센서를 이용하여 연료도난을 경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대용량의 자동차 연료탱크나 또는 승용차 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0 : 부개 및 센더 로드바
11 : 도난방지 센서
12 : 센서 바디
13 : 전자석
14 : 부저
15 : 로드바 이동경로
16 : 전원공급 단자부
16a : 이그니션 ON 전원용 + 단자편
16b : 상시 전원용 + 단자편
16c : - 단자편
17 : 가이드부
17a,17b : 돌출형 레일
18 : 가이드 플레이트
19 : 전원공급 접속판
19a : 이그니션 ON 전원용 + 접속판
19b : 상시 전원용 + 접속판
19c : - 접속판
20 : 센서 어셈블리
21 : 홈부

Claims (8)

  1. 차량 연료 센서 시스템의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를 포함하며,
    상기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에는 연료의 증감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와 함께 동작하는 도난방지 센서(11)가 설치되고, 상기 도난방지 센서(11)는 전원 ON 시 자력에 의해 붙어서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와 함께 동작하게 되며, 전원 OFF 시 자력이 떨어짐과 동시에 동작을 멈추면서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 만의 움직임에 의한 서로 간의 접촉으로 부저음을 울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 센서(11)는 센서 바디(12)와, 상기 센서 바디(12)의 상단에 설치되어 전원 ON 시 자화되는 전자석(13)과, 상기 센서 바디(12)의 하단에 설치되어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와의 접촉에 의해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부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 센서(11)의 센서 바디(12)에는 부개 및 센더 로드바(10)의 상하 이동을 위한 로드바 이동경로(15)가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 센서(11)의 일측에는 전자석(13)과 부저(14)에 이그니션 ON 전원과 상시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부(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 센서(11)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도난방지 센서(11)의 센서 바디(12)의 일측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호(弧) 형상의 가이드부(17)를 전면에 가지는 가이드 플레이트(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8)의 가이드부(17)는 센서 바디(12)의 하단 일측과 요철 결합됨과 더불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한 복수 열의 돌출형 레일(17a,17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8)의 가이드부(17)에는 도난방지 센서(11)의 센서 바디(12)에 있는 전원공급 단자부(16)와 접속가능한 전원공급 접속판(19)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접속판(19)은 이그니션 ON 전원용 + 접속판(19a)과 상시 전원용 + 접속판(19b)과 - 접속판(19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KR1020150169664A 2015-12-01 2015-12-01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KR102187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664A KR102187567B1 (ko) 2015-12-01 2015-12-01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664A KR102187567B1 (ko) 2015-12-01 2015-12-01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206A KR20170064206A (ko) 2017-06-09
KR102187567B1 true KR102187567B1 (ko) 2020-12-07

Family

ID=59220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664A KR102187567B1 (ko) 2015-12-01 2015-12-01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3940B (zh) * 2020-07-16 2022-02-15 东风华神汽车有限公司 一种货车油箱防盗监测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38B1 (ko) 2008-08-28 2010-10-14 현담산업 주식회사 마그네트를 이용한 외장기어형 연료센더
KR101503053B1 (ko) 2013-10-21 2015-03-19 신흥콘트롤(주)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전용량식 연료 센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8938A (en) * 1987-08-05 1989-02-09 Nippon Automation Kk Float level swit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38B1 (ko) 2008-08-28 2010-10-14 현담산업 주식회사 마그네트를 이용한 외장기어형 연료센더
KR101503053B1 (ko) 2013-10-21 2015-03-19 신흥콘트롤(주)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량 모니터링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전용량식 연료 센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206A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75634A (zh) 具有磁传感器的用于车辆能量存储装置的入口系统
US3550717A (en) Automotive safety devices
KR102187567B1 (ko) 자동차 연료 도난 방지 경보 시스템
CN110714645A (zh) 车辆到位检测方法
CN203864632U (zh) 一种防盗油箱
CN102358365A (zh) 用时基电路制作的摩托车、电瓶车防盗报警器
CN205601597U (zh) 油箱防盗报警器
CN204037733U (zh) 电动车电池自动检测报警系统
CN111319497A (zh) 一种具有防盗电功能的汽车充电桩设备
CN207902377U (zh) 蓄电池防盗控制系统
CN203766704U (zh) 一种大型货车轮胎防盗报警器
CN101954898A (zh) 机动车备胎无线防盗报警器
CN202481032U (zh) 一种汽车门窗防盗板
CN110979171A (zh) 一种车辆起步防碾压预警方法及系统
CN205311743U (zh) 一种电动车电池模块的紧固装置
CN201998944U (zh) 机动车备胎无线防盗报警器
CN213862154U (zh) 一种物流车用防盗抢警报装置
CN204659870U (zh) 摩托车防盗器
CN204626280U (zh) 设置在车库前的警示柱
CN2734567Y (zh) 汽车防盗电子报警器
CN201800674U (zh) 一种车用防盗器及设置有该车用防盗器的汽车
CN202208330U (zh) 用时基电路制作的摩托车、电瓶车防盗报警器
CN209803947U (zh) 一种货车油箱防盗报警器
CN210027030U (zh) 一种防盗油箱盖
CN202827304U (zh) 支架搬运车及其行车辅助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