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673B1 -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673B1
KR102185673B1 KR1020200110511A KR20200110511A KR102185673B1 KR 102185673 B1 KR102185673 B1 KR 102185673B1 KR 1020200110511 A KR1020200110511 A KR 1020200110511A KR 20200110511 A KR20200110511 A KR 20200110511A KR 102185673 B1 KR102185673 B1 KR 102185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spot
vehicle
image display
display unit
front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8263A (ko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to KR1020200110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67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설치되어 차량의 좌우측 프론트 필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프론트 필라에 설치되고,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사각지대의 영상을 프론트 필라에 표시하는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와,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운전자의 시점에 맞도록 변환하는 제어부와, 사이드 미러에 의해 관찰되는 영역을 벗어나는 후방 좌우측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제2 보조 카메라부와, 프론트 필라에 설치되고, 제2 보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후방 좌우측 사각지대의 영상을 프론트 필라에 표시하는 후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고, 후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는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어부는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운전자의 시점에 맞도록 변환함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차량의 외부 풍경이 전체적인 하나의 풍경으로 펼쳐지도록, 차량의 전면창의 경계부와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경계부가 일치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BLIND SPO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좌우측 프론트 필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지대를 촬영하고 프론트 필라에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각을 확장할 수 있는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자는 차량의 전방 윈도우를 통해 차량 전방의 시야각을 확보하지만, 이러한 시야각은 차량의 좌우측 프론트 필라에 의해 상당 부분 축소되고, 프론트 필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지대로 인해 차량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7026호(2018.12.03 등록, 발명의 명칭: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의 시야확보시스템)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좌우측 프론트 필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지대를 촬영하고 프론트 필라에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각을 확장할 수 있는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설치되어 차량의 좌우측 프론트 필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프론트 필라에 설치되고,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사각지대의 영상을 프론트 필라에 표시하는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운전자의 시점에 맞도록 변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를 덮는 투명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투명 커버부는 연질의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의 루프에 의해 가려지는 좌우측 상방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제1 보조 카메라부와, 프론트 필라에 설치되고, 제1 보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좌우측 상방 사각지대의 영상을 프론트 필라에 표시하는 상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의해 관찰되는 영역을 벗어나는 후방 좌우측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제2 보조 카메라부와, 프론트 필라에 설치되고, 제2 보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후방 좌우측 사각지대의 영상을 프론트 필라에 표시하는 후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는, 차량의 좌우측 프론트 필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지대를 촬영하고 프론트 필라에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시야각을 넓힘으로써 사각지대로 인한 차량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를 덮는 투명 커버부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에 적용된 카메라부와 제1 보조 카메라부와 제2 보조 카메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의 적용을 통해 운전자의 시야각이 넓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를 덮는 투명 커버부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에 적용된 카메라부와 제1 보조 카메라부와 제2 보조 카메라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의 적용을 통해 운전자의 시야각이 넓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는 차량(1)의 사이드 미러(10)에 설치되어 차량(1)의 좌우측 프론트 필라(20)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지대(B)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00)와, 프론트 필라(20)에 설치되고, 카메라부(100)에서 촬영된 사각지대(B)의 영상을 프론트 필라(20)에 표시하는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200)를 포함하며,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2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운전자(D)의 시점에 맞도록 변환하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에 의해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200)에 표시되는 사각지대(B)의 영상이 운전자(D)의 시점에 맞도록 변환됨으로써, 운전자(D)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에 펼쳐지는 전체적인 차량 외부의 풍경에 있어서, 이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에 적용된 카메라부(100)와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200)를 통해 운전자(D)의 시야각은 프론트 필라(20)에 의해 가려진 종래의 시야 범위(S1)에서 확장된 시야 범위(S2)로 넓어질 수 있다.
운전자(D)의 시야가 넓어짐으로써 사각지대(B)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프론트 필라(20)에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200)가 설치되는 경우, 프론트 필라(20)의 충격 흡수 기능이 저하되어 차량 충돌시 운전자에 대한 상해 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200)를 덮는 투명 커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투명 커버부(400)는 운전자(D)의 충돌시 충격 흡수가 가능하도록 연질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도로 주변의 설치물들과 건물 내부에 마련된 주차장의 설치물들이 늘어남에 따라, 차량의 루프에 의해 가려지는 좌우측 상방 사각지대에 대한 시야 확보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사이드 미러나 후방 카메라 등에 의해 감지되는 영역을 벗어나는 차량 후방의 좌우측 하방 사각지대에 대한 시야 확보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는 차량의 루프(미도시)에 의해 가려지는 좌우측 상방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제1 보조 카메라부(500)와, 프론트 필라(20)에 설치되고, 제1 보조 카메라부(500)에서 촬영된 좌우측 상방 사각지대의 영상을 프론트 필라(20)에 표시하는 상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600)는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2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200)에서 표시되지 못하는 상방 사각지대를 확장하여 연속되도록 표시할 수도 있고,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200)와 연속되지 않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사이드 미러(10)에 의해 관찰되는 영역을 벗어나는 후방 좌우측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제2 보조 카메라부(700)와, 프론트 필라(20)에 설치되고, 제2 보조 카메라부(700)에서 촬영된 후방 좌우측 사각지대의 영상을 프론트 필라(20)에 표시하는 후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800)는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 운전자(D)는 차량(1)의 사이드 미러(10)와 동시에 후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800)에 나타나는 영상을 주시할 수 있다.
후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800)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통해 크기가 작은 운송 수단이나 사이드 미러에 의해 감지되지 못하는 위치에 있는 물체 또는 차량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차량(1) 사고 발생 가능성이 보다 낮아질 수 있고, 차량(1)의 운행 안정성도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좌우측 프론트 필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지대를 촬영하고 프론트 필라에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시야각을 넓힘으로써 사각지대로 인한 차량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 10: 사이드 미러
20: 프론트 필라 100: 카메라부
300: 제어부 400: 투명 커버부
500: 제1 보조 카메라부 600: 상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
700: 제2 보조 카메라부 800: 후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

Claims (3)

  1.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좌우측 프론트 필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프론트 필라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상기 사각지대의 영상을 상기 프론트 필라에 표시하는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
    상기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운전자의 시점에 맞도록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사이드 미러에 의해 관찰되는 영역을 벗어나는 후방 좌우측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제2 보조 카메라부; 및
    상기 프론트 필라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보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상기 후방 좌우측 사각지대의 영상을 상기 프론트 필라에 표시하는 후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는 상기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운전자의 시점에 맞도록 변환함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상기 차량의 외부 풍경이 전체적인 하나의 풍경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차량의 전면창의 경계부와 상기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경계부가 일치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를 덮는 투명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명 커버부는 연질의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루프에 의해 가려지는 좌우측 상방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제1 보조 카메라부; 및
    상기 프론트 필라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보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상기 좌우측 상방 사각지대의 영상을 상기 프론트 필라에 표시하는 상방 사각지대 영상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
KR1020200110511A 2020-08-31 2020-08-31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 KR102185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511A KR102185673B1 (ko) 2020-08-31 2020-08-31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511A KR102185673B1 (ko) 2020-08-31 2020-08-31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156A Division KR102159920B1 (ko) 2018-12-27 2018-12-27 사각지대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263A KR20200108263A (ko) 2020-09-17
KR102185673B1 true KR102185673B1 (ko) 2020-12-02

Family

ID=7270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511A KR102185673B1 (ko) 2020-08-31 2020-08-31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6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212A (ja) 2005-02-28 2006-09-07 Honda Motor Co Ltd 車外視認装置
JP2006295089A (ja) 2005-04-05 2006-10-26 Motohiro Maeda 携帯電子機器用の保護カバー
JP2008155701A (ja) 2006-12-21 2008-07-10 Denso Corp 車両用視界補助装置
KR101373616B1 (ko) 2012-11-14 2014-03-12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사이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212A (ja) 2005-02-28 2006-09-07 Honda Motor Co Ltd 車外視認装置
JP2006295089A (ja) 2005-04-05 2006-10-26 Motohiro Maeda 携帯電子機器用の保護カバー
JP2008155701A (ja) 2006-12-21 2008-07-10 Denso Corp 車両用視界補助装置
KR101373616B1 (ko) 2012-11-14 2014-03-12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사이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263A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2465B (zh) 车辆用图像显示系统及搭载了该图像显示系统的车辆
JP3511892B2 (ja) 車両用周囲モニタ装置
JP5210994B2 (ja) 車両用画像表示装置
US5959555A (en) Apparatus for checking blind spots of vehicle
JP2008033901A (ja) 車両用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50044346A (ko) 차량의 전방필러에 의한 사각지대의 사고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185674B1 (ko) 차량의 사각지대 감지 기기
JP2008155701A (ja) 車両用視界補助装置
KR100593594B1 (ko) 파노라마 카메라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보조 장치
KR102159920B1 (ko) 사각지대 모니터링 장치
KR102185673B1 (ko) 차량용 사각지대 관찰 장치
JP3468658B2 (ja) 車両用周辺視認装置
KR102185672B1 (ko) 사각지대 감지 장치
KR101866042B1 (ko) 후진주행 보조시스템
JP2018006936A (ja) 車両用表示装置
CN112406703A (zh) 车辆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JP2005284485A (ja) 車両用死角視認装置
KR20190117831A (ko) 차량용 접이식 사이드 미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전방 및 측방 화면 표시 시스템
CN206926580U (zh) 机动车后视装置
WO2015105252A1 (ko) 자동차 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JP2006137209A (ja) 車両用防眩装置
KR20190001893U (ko) 자동차의 전방 사각지대 시야 확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05039926A2 (en) Rear view device for vehicles
JP6971087B2 (ja) 視認補助装置
JP7037896B2 (ja) 視認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