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980B1 - No writing instruments and grips - Google Patents

No writing instruments and grip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980B1
KR102184980B1 KR1020187025954A KR20187025954A KR102184980B1 KR 102184980 B1 KR102184980 B1 KR 102184980B1 KR 1020187025954 A KR1020187025954 A KR 1020187025954A KR 20187025954 A KR20187025954 A KR 20187025954A KR 102184980 B1 KR102184980 B1 KR 102184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member
region
thickness
thick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4860A (en
Inventor
마사노부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20180124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8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9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필기구는, 축통과, 축통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그립 부재를 구비하고, 그립 부재의 두께는, 둘레방향을 따라 변동되고, 축통의 두께는, 둘레방향를 따라 변동되고, 그립 부재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은, 축통의 두께가 얇은 영역을 둘러싸고, 그립 부재의 두께가 얇은 영역은, 축통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둘러싼다.The writing imp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ft passage and a grip member surrounding the shaf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vari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thickness of the shaft fluctuat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The thicker region surrounds a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cylinder is thin, and the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thin surrounds the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cylinder is thick.

Figure R1020187025954
Figure R1020187025954

Description

필기구 및 그립 부재No writing instruments and grips

본 발명은 필기구 및 그립 부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ing implement and a grip member.

종래부터, 고무 등의 탄력을 가지는 그립 부재에 의해서 축통의 외면이 둘러싸인 필기구(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4043305호(특허문헌 1))가 알려져 있다. 그립 부재는, 필기구의 사용자가 상기 필기구를 파지했을 때에, 그 탄력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가하는 힘을 흡수하여 피로를 줄이고, 또한, 축통과 손가락 사이에 큰 마찰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축통에 대해 원치않는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필기구의 쥐는 감촉 및 쓰는 감촉이 향상되고 있다. Conventionally, a writing implement (for example,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043305 (Patent Document 1)) has been known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a shaft cylinder is enclosed by a grip member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The grip member reduces fatigue by absorbing the force exerted on the user's finger by its elasticity when the user of the writing instrument grips the writing instrument, and provides a larg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haft cylinder and the finger so that the user's finger Against unwanted slippage. As a result, the touch and writing touch of the writing implement are improved.

그런데 그립 부재의 탄력이 어느 정도일 때, 상기 그립 부재를 갖는 필기구의 쥐는 감촉이 좋다고 느끼는 것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르다. 즉, 그립 부재가 부드러운 것을 쥐는 감촉이 좋다고 느끼는 사용자도 있고, 그립 부재가 딱딱한 것이 쥐는 감촉이 좋다고 느끼는 사용자도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사용자에 있어서 쥐는 감촉이 좋다고 느끼는, 그립 부재를 가지는 필기구의 개발이 요망되고는 있었지만, 그 실현은 곤란했다. However, when the elasticity of the grip member is to a certain degree, the feeling that the gripping feel of the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grip member is good depends on the user's preference. That is, some users feel that the gripping feel of a soft grip member is good, and some users feel that the gripping feel of a hard grip member is good. For this reason, although it has been desired to develop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grip member that feels that the gripping feel is good for many users, its realization has been difficult.

일본 특허공보 제4043305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043305

본건 발명자는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그립 부재에 비교적 부드러운 쥐는 감촉을 제공하는 영역과, 비교적 딱딱한 쥐는 감촉을 제공하는 영역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As a result of repeated intensive examination,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the above-described problem can be solved by providing a region providing a relatively soft gripping feel to the grip member and an area providing a relatively hard gripping feel.

본 발명은, 이상의 발견에 기초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많은 사용자에 있어서 쥐는 감촉이 좋다고 느끼는 그립 부재를 가지는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 discovery. In other word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grip member that feels good for many user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많은 사용자에 있어서 쥐는 감촉이 좋다고 느끼는 그립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ip member that feels good for many users to grip.

본 발명의 필기구는, 축통과,The writing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passage,

상기 축통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그립 부재를 구비하고,And a grip member surrounding the shaf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는, 상기 둘레방향를 따라서 변동되고,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vari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축통의 두께는, 상기 둘레방향를 따라서 변동되고,The thickness of the shaft is vari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은, 상기 축통의 두께가 얇은 영역을 둘러싸고,The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thick surrounds the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shaft cylinder is thin,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가 얇은 영역은, 상기 축통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둘러싼다. The regio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thin surrounds the regio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shaft is thick.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립 부재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에서 사용자에 부드러운 쥐는 감촉이 제공되고, 그립 부재의 두께가 얇은 영역에서 사용자에 딱딱한 쥐는 감촉이 제공되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에 있어서 쥐는 감촉이 좋다고 느끼는 그립 부재를 가지는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ft gripping feel is provided to the user in a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thick, and a hard gripping feel is provided to the user in a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thin, so many users feel that the gripping feel is go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riting implement having a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통의 내면은, 가로 단면이 대략 원형이다. 이 경우, 축통이 상기 축통 내에 수용되어 있는 필기몸체와 간섭되는 일이 없고, 필기구의 조립도 용이하다. Preferably, the inner surface of the shaft cylinder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In this case, the shaft cylind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writing body accommodated in the shaft cylinder, and assembly of the writing implement is eas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립 부재의 외면은, 가로 단면이 대략 원형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위화감 없이 필기구를 파지할 수 있다. Further, 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member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In this case, the user can hold the writing instrument without feeling uncomfortable.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립 부재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는 상기 축통의 외면은, 면깎기부를 가지고 있다. 이 면깎기부는, 축통의 두께가 얇은 영역에 대응하고 있다. 이 경우, 그립 부재를 통하여 면깎기부에 대응하는 영역이 파지되면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이 압축 변형되기 때문에, 면깎기부가 마련되지 않은 영역, 즉 그립 부재의 두께가 얇은 영역이 파지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부드러운 쥐는 감촉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면깎기부와 그립 부재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이 걸어맞춤하여 축통에 대한 그립 부재의 소망하지 않는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cylinder surrounded by the grip member has a chamfered portion. This chamfering part corresponds to a regio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shaft cylinder is thin. In this case, whe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hamfered portion is gripped through the grip member, the area with the thicker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compressed and deformed. Compared to the case, a softer rat feel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chamfered portion and the region of the thicker grip member engage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undesired relative rotation of the grip member with respect to the shaft.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깎기부는, 상기 축통의 둘레방향의 3개소에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필기구를 파지하는 3개의 손가락(엄지, 검지 및 중지)이 그립 부재에 접촉하는 위치에 축통의 면깎기부 및 그립 부재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그립 부재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 즉 부드러운 쥐는 감촉을 제공하는 영역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chamfered portions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t three locations of the shaf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shaving portion of the shaft cylinder and a region with a thick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at a position where the three fingers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contact the grip member. That is, a regio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thick, that is, a region providing a soft grip feeling, can be effectively disposed.

본 발명의 그립 부재는, 필기구의 축통을 둘러싸는 통 형상이며,The grip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shaft of the writing instrument,

두께가 두꺼운 영역과 두께가 얇은 영역을 가지고, 외면에 사방을 홈으로 둘러싼 복수의 블록이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blocks having a thick region and a thin region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with grooves on all sides.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두꺼운 영역이 크게 변형되고, 두께가 얇은 영역이 조금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두께가 두꺼운 영역에서는, 그 두께와 사방의 홈의 존재에 의해서 블록 전체가 크게 압축 변형되고, 한편, 두께가 얇은 영역에서는, 블록이 작게 압축 변형된다. 이것에 의해서, 두께가 두꺼운 영역에서 사용자에 부드러운 쥐는 감촉이 제공되고, 두께가 얇은 영역에서 사용자에 딱딱한 쥐는 감촉이 제공되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에 있어서 쥐는 감촉이 좋다고 느끼는 그립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gion with a thick thickness is greatly deformed, and a region with a thin thickness is slightly deformed. Specifically, in a region with a thick thickness, the entire block is compressed and deformed largely due to the thickness and the presence of the grooves in all directions, while in a region with a thin thickness, the block is compressed and deformed small. As a result, a soft gripping feel is provided to the user in a thick area, and a hard gripping feel is provided to the user in a thin area, so that many users can provide a grip member that feels good gripping feel.

또한, 블록은 사방을 홈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홈에 걸리는 것으로, 그립 부재의 둘레방향으로 소망하지 않는 미끄러짐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홈에 걸리는 것으로, 그립 부재의 축 방향으로 소망하지 않는 미끄러짐이 억제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block is surrounded by grooves on all sides, the user's finger is caught in the groove, so that unwanted slippag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rip member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user's finger is caught in the groove, undesired slippag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grip member can be suppres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은, 상기 두께가 두꺼운 영역서 두께를 크게, 상기 두께가 얇은 영역에서 두께를 작게 한다. 이 경우, 특히 두께가 두꺼운 영역에서 그립 부재의 블록의 압축 변형이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영역에서 더욱 부드러운 쥐는 감촉이 제공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block has a larger thickness in the thick region and a smaller thickness in the thin region. In this case, since the compressive deformation of the block of the grip member becomes easy, especially in a region having a thick thickness, a softer gripping feeling can be provided in the reg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립 부재는,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안쪽 영역에서, 두께가 두꺼운 안쪽 영역과 두께가 얇은 안쪽 영역을 가지고,In addition, preferably, the grip member, in the inner region where the groove is not formed, has a thick inner region and a thin inner region,

상기 두께가 두꺼운 영역은, 상기 두께가 두꺼운 안쪽 영역에 대응하고,The thick region corresponds to the thick inner region,

상기 두께가 얇은 영역은, 상기 두께가 얇은 안쪽 영역에 대응한다. The thin region corresponds to the thin inner region.

이 경우, 특히 두께가 두꺼운 영역에서, 압축 변형과 휨 변형과의 밸런스가 양호해지고, 많은 사용자에 있어서 한층 쥐는 감촉이 좋다고 느끼는 그립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particularly in a region having a thick thickness, a good balance between compression deformation and bending deformation is improved, and a grip member that feels a better gripping feel for many users can be provided.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필기구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로서, 필기몸체(筆記體)의 필기부가 축통의 선단으로부터 조출(繰出)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필기구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a의 필기구의 전축(前軸)과 그립 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a의 필기구의 전축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전축 및 그립 부재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전축 및 그립 부재의 개략 가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a의 VII-VII선 단면도이며, 축통 내의 필기몸체는 생략되어 있다.
도 8은 도 1a의 VIII-VIII선 단면도이며, 축통 내의 필기몸체는 생략되어 있다.
도 9는 도 1a의 IX-IX선 단면도이며, 축통 내의 필기몸체는 생략되어 있다.
1A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writing implement of Fig. 1A, and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riting portion of the writing body is protruded from the tip of the shaft cylinder.
Fig. 2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writing instrument of Fig. 1A.
Fig. 3 is a partial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shaft of the writing instrument of Fig. 1A and a grip member are assembled.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axis of the writing instrument of FIG. 1A.
5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ront axis and the grip member of FIG. 3.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axis and the grip member of FIG. 3.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1A, and the writing body in the shaft is omitt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of FIG. 1A, and the writing body in the shaft is omitted.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in FIG. 1A, and the writing body in the shaft is omitted.

이하에,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필기구(100)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필기구(100)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로서, 필기몸체(50)의 필기부(51)가 축통(10)의 선단으로부터 조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필기구(100)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1A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wri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writing implement 100 of FIG. 1A, wherein the writing unit 51 of the writing body 50 It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being fed out from the tip of the shaft cylinder 10. 2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writing implement 100 of FIG. 1A.

도 1a, 도 1b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필기구(100)는, 전축(20) 및 전축(20)에 예를 들면 덧끼움에 의해서 연결된 후축(30)을 가지는 축통(10)과, 전축(20)의 외면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그립 부재(40)와, 축통(10) 내에 출몰 가능하게 수용된 필기몸체(50)를 구비하고 있다. 일례로서 전축(20) 및 후축(30)은 수지제이며, 그립 부재(40)는 고무제이다. 도시된 예에서, 필기구(100)는 볼펜이다. 1A, 1B, and 2, the writing implement 100 of this embodiment is a shaft cylinder 10 having a front shaft 20 and a rear shaft 30 connected to the front shaft 20 by, for example, fitting. ), a grip member 4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haft 20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writing body 50 accommodated in the shaft 10 so as to appear and retract. As an example, the front shaft 20 and the rear shaft 30 are made of resin, and the grip member 40 is made of rubber.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writing implement 100 is a ballpoint pen.

축통(10)(전축(20))은, 전단에 필기몸체(50)의 필기부(51)가 돌출 가능한 제1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통(10)(전축(20))은, 전방 영역의 내면에 제1 걸어맞춤부(22)를 가지고 있다. 필기몸체(50)는, 전축(20)의 제1 걸어맞춤부(22)보다 후방(도 2에서의 우측)의 외면에 제2 걸어맞춤부(5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것들 제1 및 제2 걸어맞춤부(22, 52)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60)이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60)은, 필기몸체(50)를 축통(10)의 축 방향 후방(도 1a 내지 도 2에서의 우측)에 바이어스하기 위한 것이다. 필기몸체(50)의 후단(50e)은, 후축(30) 내의 후방 영역에 마련된 회전 캠(23)에 접촉하여 축통(10)의 축 방향 후방에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60)의 압축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있다. The shaft cylinder 10 (front shaft 20) is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 21 through which the writing portion 51 of the writing body 50 can protrude at the front end. Further, the shaft cylinder 10 (front shaft 20) has a first engaging portion 22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region. The writing body 50 has a second engaging portion 52 on an outer surface rearward (right side in Fig. 2) than the first engaging portion 22 of the front shaft 20. And the coil spring 60 is arrange|positioned in the compressed state between these 1st and 2nd engaging parts 22, 52. This coil spring 60 is for biasing the writing body 50 to the rear of the shaft 10 in the axial direction (right side in FIGS. 1A to 2 ). The rear end 50e of the writing body 50 contacts the rotation cam 23 provided in the rear area in the rear shaft 30, and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shaft 10 to the rear in the axial direction is regulated, whereby, The compressed state of the coil spring 60 is maintained.

노크 부재(70)는, 필기몸체(50)를 코일 스프링(60)의 바이어스력에 대항하여 필기몸체(50)를 전축(20)의 제1 개구부(21)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이 노크 부재(70)는, 필기몸체(50)를 축통(10)의 축 방향 전방(도 1a 내지 도 2에서의 좌방)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필기몸체(50)의 필기부(51)가 제1 개구부(2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에 대응하는 돌출 위치(도 1b 참조)와, 필기몸체(50)의 필기부(51)가 전축(20) 내에 몰입된 상태에 대응하는 몰입 위치(도 1a 참조)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크 부재(70)의 후단(70e)은, 돌출 위치 및 몰입 위치의 쌍방에 있어서 후축(30)의 후단의 제2 개구부(3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The knock member 70 is a member for projecting the writing body 50 from the first opening 21 of the front shaft 20 against the bia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60. The knock member 70 moves the writing body 50 forwar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10 (left in FIGS. 1A to 2) so that the writing part 51 of the writing body 50 is first A protrud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tat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pening 21 (see FIG. 1B) and an immers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tate in which the writing part 51 of the writing body 50 is immersed in the front shaft 20 (FIG. 1A) Reference) is made possible to move between. 1A and 1B, the rear end 70e of the knock member 70 protrudes outward from the second opening 31 of the rear end of the rear shaft 30 in both the protruding position and the immersion position. .

또한, 본 실시형태의 필기구(100)는, 축통(10) 내에 필기몸체(50)의 필기심(51)의 출몰 전환을 위한 회전 캠(23)과 상기 회전 캠(23)에 걸어맞춤하는 캠 홈(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는 캠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후에 상세히 기술하지만, 필기몸체(50)의 필기부(51)가 전축(20) 내에 몰입된 상태(도 1a 참조)에서 노크 부재(70)가 가압 조작(노크 조작)되면, 회전 캠(23)이 캠 홈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고, 필기몸체(50)의 필기부(51)가 전축(20)의 제1 개구부(2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또한, 캠 기구의 작용에 따라서 회전 캠(23)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서, 축통(10)의 축 방향 후방에의 필기몸체(50)의 상대 이동이 금지되고, 가압 조작의 종료 후에도 이 돌출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돌출 상태에서 다시 노크 부재(70)가 가압 조작(노크 조작)되면, 캠 기구의 작용에 따라서 축통(10)의 축 방향 후방에의 필기몸체(50)의 상대 이동이 허용되고, 코일 스프링(60)의 바이어스력에 의해서 필기몸체(50) 및 노크 부재(70)가 축 방향 후방으로 밀려 돌아가서 초기 상태로 복귀되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writing implemen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otating cam 23 for switching the protrusion of the writing core 51 of the writing body 50 in the shaft 10, and a cam engaged with the rotating cam 23. A cam mechanism having a groove (not shown) is provided. Although described in detail later, when the knock member 70 is pressurized (knocked) in a state in which the writing part 51 of the writing body 50 is immersed in the front shaft 20 (see FIG. 1A), the rotating cam 23 ) Slides along the cam groove, and the writing part 51 of the writing body 50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opening 21 of the front shaft 20, and also, the rotation cam 23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cam mechanism. ) Is rotated,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writing body 50 to the rear of the shaft 10 in the axial direction is prohibited, and this protruding state is maintained even after the pressing operation is finished. In addition, when the knock member 70 is pressed again (knock operation) in this protruding state, relative movement of the writing body 50 to the rear of the shaft 10 in the axial direction is allowed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cam mechanism, and the coil By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60, the writing body 50 and the knock member 70 are pushed backward in the axial direction to return to their initial state.

다음에, 도 3은, 도 1a의 필기구(100)의 전축(20)과 그립 부재(4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a의 필기구(100)의 전축(20)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전축(20) 및 그립 부재(40)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전축(20) 및 그립 부재(40)를 나타내는 개략 가로 단면도이다. Next, FIG. 3 is a partial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shaft 20 and the grip member 40 of the writing implement 100 of FIG. 1A are assembled.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axis 20 of the writing implement 100 of FIG. 1A, FIG. 5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front axis 20 and the grip member 40 of FIG. 3, and FIG. 6 is It is a schematic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ront axis 20 and the grip member 40 of FIG.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필기구(100)의 전축(20)의 외면은, 그립 부재(40)로 둘러싸여 있다. 그립 부재(40)는, 예를 들면 2색 성형에 의해서 전축(20)과 함께 제조될 수 있다. 그립 부재(40)의 외면에는 축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장되는 16개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방의 홈(41)과 일방의 홈으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장되는 18개의 타방의 홈(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그립 부재(40)의 외면에는, 사방이 일방의 홈(41) 및 타방의 홈(42)으로 둘러싸인 복수의 사각형 영역(블록(40b))으로 구획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haft 20 of the writing implemen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urrounded by a grip member 40. The grip member 40 may be manufactured together with the front shaft 20 by, for example, two-color mold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member 40, one groove 41 extending in 16 axial directions extending at equal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and 18 other grooves 42 extending at equal intervals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from one groove Each of these is formed.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member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ctangular regions (blocks 40b) surrounded by one groove 41 and the other groove 42 on all sides.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축(20)은, 그립 부재(40)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은 영역인 전단 영역(24)과, 그립 부재(40)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피복 영역(25)을 가지고 있다. 전단 영역(24)은, 가로 단면이 링 형상이며, 전방(도 4에서의 좌하방)을 향하여 앞이 좁아지고 있다. 전단 영역(24)의 후단의 외경은, 피복 영역(25)의 전단의 외경보다 그립 부재(40)의 두께 분만큼 대경으로 되어 있고, 피복 영역(25)이 그립 부재(40)로 둘러싸인 상태에서 전단 영역(24)의 후단과 그립 부재(40)의 전단과의 사이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ront shaft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hear region 24 that is an area not surrounded by the grip member 40, and a covering region surrounded by the grip member 40. It has 25. The front end region 24 has a ring-shaped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its front is narrowed toward the front (lower left in Fig. 4). The outer diameter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end region 24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ront end of the covering region 25 by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and the covering region 25 is surrounded by the grip member 40. There is no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front end region 24 and the front end of the grip member 40.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 영역(25)의 외면은, 면깎기부(26)를 가지고 있다. 면깎기부(26)는, 원통 형상의 피복 영역(25)의 외면을 도려내서 형성된 타원 형상의 영역이다. 도 4에는 2개의 면깎기부(26)만이 나타나 있지만, 실제로는, 면깎기부(26)는, 전축(20)의 둘레방향의 3개소에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전축(20)의 피복 영역(25)의 단면이 시인되지만, 상방 부분의 단면(25a)에는 면깎기부(26)가 나타나지 않고, 상기 피복 영역(25)의 두께가 축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다. 한편, 하방 부분의 단면(25b)에는 면깎기부(26)가 나타나 있고, 상기 전축(20)의 두께가 축 방향에 있어서 변동(면깎기부(26)에서 감소)되고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region 25 has a chamfered portion 26. The chamfering portion 26 is an elliptical region formed by cutting out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covering region 25. Although only two chamfering portions 26 are shown in FIG. 4, in reality, the chamfering portions 26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t three locations of the front shaft 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Fig. 5, the cross section of the covering region 25 of the front shaft 20 is visually recognized, but the chamfered portion 26 does not appear in the cross section 25a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covering region 25 is in the axial direction. So it is constant. On the other hand, a chamfered portion 26 is shown on the end face 25b of the lower por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front shaft 20 fluctuates in the axial direction (reduced in the chamfered portion 26).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축(20)의 내면은, 가로 단면이 대략 원형이다. 또한, 그립 부재(40)의 외면은, 가로 단면이 대략 원형이다. 여기서, 대략 원형이라는 것은, 전축(20)의 내면에 존재하는 요철을 무시했을 경우에 상기 내면의 윤곽선이 원형인 것, 혹은, 그립 부재(40)의 외면에 형성된 일방의 홈(41) 및 타방의 홈(42)에 의한 오목부를 무시한 각 블록(40b)의 윤곽선(능선)이 원형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 부재(40)의 내면 및 전축(20)의 피복 영역(25)의 외면, 특히, 그립 부재(40)의 내면 및 피복 영역(25)에 마련된 면깎기부(26)가, 간극없이 접촉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haft 20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member 40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Here, substantially circular means that the outline of the inner surface is circular when the irregularities exist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haft 20 are ignored, or one groove 41 and the oth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member 40 It means that the outline (ridge line) of each block 40b ignoring the concave part by the groove 42 of is circula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 member 4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region 25 of the front shaft 20, in particular, a chamfering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 member 40 and the covering region 25 (26) is in contact without a gap.

즉, 면깎기부(26)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그립 부재(40)의 두께는 변동되고 있다. 또한, 전축(20)의 피복 영역(25)의 두께는, 면깎기부(26)의 존재에 의해서 둘레방향를 따라서 변동되고 있다. 그리고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은, 전축(20)의 두께가 얇은 영역, 즉 면깎기부(26)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고,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얇은 영역(44)은, 전축(2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27)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다.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is fluctuating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hamfering portion 26.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covering region 25 of the front shaft 20 is vari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ue to the presence of the chamfering portion 26. In addition, the region 43 of the thick grip member 40 surrounds the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front shaft 20 is thin,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chamfer 26, and the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is thin ( 44)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region 27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front shaft 20 is thick.

여기서, 전축(20) 및 그립 부재(40)의 구성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1a의 VII-VII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1a의 VIII-VIII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a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있어서, 전축(20) 내의 필기몸체(50)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shaft 20 and the grip member 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in FIG. 1A,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in FIG. 1A,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in FIG. 1A. 7 to 9, the illustration of the writing body 50 in the front shaft 20 is omitted.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a의 VII-VII선의 위치 및 VIII-VIII선의 위치에서는, 전축(20)의 피복 영역(25)에 면깎기부(26)가 존재하고 있고, 전축(20)의 두께가 얇은 영역인 면깎기부(26)와 전축(2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27)이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교대로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은 면깎기부(26)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고,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얇은 영역(44)은 전축(2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27)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at the positions of lines VII-VII and lines VIII-VIII in Fig. 1A, a chamfer 26 is present in the covering region 25 of the front shaft 20, and the front shaft ( The chamfering portion 26, which is an area with a thin thickness of 20), and areas 27 with a thicker thickness of the front shaft 20, alternately exist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s described above, the thick region 43 of the grip member 40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chamfering unit 26, and the region 44 of the grip member 40 with a thin thickness is the front axis 20 The thickness of the area 27 surrounds the outer surface.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 부재(40)의 외면에 형성된 블록(40b)(사각형 영역)은, 그 두께가 변동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블록(40b)은,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에 있어서 블록(40b)의 두께가 두껍고(두께(d1)),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얇은 영역(44)에 있어서 블록(40b)의 두께가 얇다(두께(d2)). 이러한 블록(40b)의 두께의 변동은, 도 8에서 특히 현저하다. 도 8에 대응하는 도 1a의 VIII-VIII선은, 면깎기부(26)의 두께가 가장 크고 둘레방향의 폭이 가장 큰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8의 면깎기부(26)는 전축(20)의 두께가 가장 작고, 상기 면깎기부(26)의 외면을 둘러싸는 그립 부재(40)는 두께가 가장 크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에 있어서, 블록(40b)의 최대 두께는 d1'(>d1)이다. 한편, 도 8의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얇은 영역(44)에 있어서, 블록(40b)의 최대 두께는 d2이며, 도 7의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thickness of the block 40b (square area)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member 40 is fluctuating. Specifically, the block 40b is a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block 40b is thick (thickness d1) and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is thin in the region 43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is thick. In (44), the thickness of the block 40b is thin (thickness (d2)). This variation in the thickness of the block 40b is particularly remarkable in FIG. 8. Lines VIII-VIII of FIG. 1A corresponding to FIG. 8 correspond to positions where the thickness of the chamfering portion 26 is the largest and the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largest. For this reason, the thickness of the front shaft 20 is the smallest in the chamfering part 26 of FIG. 8, and the grip member 4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hamfering part 26 has the largest thickness. As shown in FIG. 8, in the region 43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is thick,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block 40b is d1' (>d1). On the other hand, in the region 44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of FIG. 8 is thin,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block 40b is d2,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FIG. 7.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립 부재(40)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방의 홈(41) 및 일방의 홈(41)으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방의 홈(42)이 형성되어 있는 바깥쪽 영역(45)과, 일방의 홈(41) 및 타방의 홈(4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안쪽 영역(46)(바깥쪽 영역(45)보다 지름 방향 내측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 안쪽 영역(46)은, 두께가 두꺼운 안쪽 영역(46a)과 두께가 얇은 안쪽 영역(46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은, 두께가 두꺼운 안쪽 영역(46a)에 대응하고 있고,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얇은 영역(44)은, 두께가 얇은 안쪽 영역(46a)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대응하고 있다」는, 그립 부재(40)의 둘레방향에서 대략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grip member 40 includes one groove 41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groove 42 extending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from the one groove 41. It has an outer region 45 formed and an inner region 46 (a region radially inner than the outer region 45) in which one groove 41 and the other groove 42 are not formed. have. The inner region 46 has a thick inner region 46a and a thin inner region 46b. And the thick region 43 of the grip member 40 corresponds to the thick inner region 46a, and the thin region 44 of the grip member 40 corresponds to the thin inner region ( 46a). Here, "corresponds" means that it exists at approximately the same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rip member 40.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축(20)의 피복 영역(25) 중 면깎기부(26)보다 후방의 영역에서는, 전축(20)의 두께는 일정하고, 그립 부재(40)의 두께도 일정하다. 또한, 블록(40b)의 두께도 일정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9, in the region behind the chamfering portion 26 of the covering region 25 of the front shaft 20, the thickness of the front shaft 20 is constant, and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is also It is constant.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block 40b is also constant.

다음에, 본 발명의 필기구(10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writing implem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사용자에 의해서 노크 부재(70)가 축통(10)에 대해서 가압 조작(노크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필기몸체(50)는, 코일 스프링(60)을 압축하면서 축통(10)의 축 방향 전방으로 상대 이동하고, 필기몸체(50)의 필기부(51)가 전축(20)의 전단의 개구부(21)로부터 바깥쪽으로 노출된다. 이 상대 이동시에, 필기몸체(50)는, 캠 기구(23)에 의해서 축통(10)의 축 방향 후방에의 상대 이동이 불가능해지고, 가압 조작(노크 조작)을 종료해도 필기부(51)의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서 그립 부재(40)가 파지되고, 종이면 등의 필기 대상면에 필기를 한다. First, the knock member 70 is pressed against the shaft 10 by the user (knock operation). Thereby, the writing body 50 relatively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forward of the shaft 10 while compressing the coil spring 60, and the writing part 51 of the writing body 50 is the front end of the front shaft 20 It is exposed outward from the opening 21 of the. During this relative movement, the writing body 50 is unable to move relative to the rear of the shaft 10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cam mechanism 23, and the writing unit 51 is not moved even after the pressing operation (knock operation) is finished. The protruding state is maintained. Then, the grip member 40 is gripped by the user, and writing is performed on a writing object surface such as a paper surface.

본 실시형태의 그립 부재(40)는, 사용자에 의해서 파지되었을 때에,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대고 누를 수 있는 영역에 대응하여 다른 쥐는 감촉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대고 누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에 부드러운 쥐는 감촉을 제공한다. 그 한편,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얇은 영역(44)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대고 누르면, 상기 사용자에게 딱딱한 쥐는 감촉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과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얇은 영역(44)은,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등간격으로 3개소씩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어느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이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을 대고 누르면, 통상, 다른 손가락(예를 들면 집게손가락 및 중지)도 나머지 2개소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을 대고 누르게 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어느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이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얇은 영역(44)을 대고 누르면, 통상은 다른 손가락(예를 들면 집게손가락 및 중지)도 나머지 2개소의 두께가 얇은 영역(44)을 대고 누르게 된다. When gripped by the user, the grip member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different gripping touch corresponding to a region that can be pressed against the user's finger. Specifically, when the user's finger is pressed against the thick region 43 of the grip member 40, a soft grip feeling is provided to the us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finger is pressed against the thin region 44 of the grip member 40, a hard gripping feel is provided to the user. As described above, the regions 43 of the thick grip member 40 and the regions 44 of the thin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ree places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a user's finger (for example, thumb) is pressed against the thick region 43 of the grip member 40, the other fingers (for example, forefinger and middle finger) are usually also in the thick region of the other two places. (43) is pressed. Similarly, when a user's finger (for example, thumb) is pressed against the thin area 44 of the grip member 40, the other fingers (for example, forefinger and middle finger) are usually The area 44 is pressed against it.

이 파지시에, 그립 부재(4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지름 방향으로 압축 변형된다. 특히,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대고 누르면, 두께가 얇은 영역(44)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동일한 힘으로 대고 누른 경우보다 크게 압축 변형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에서는,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얇은 영역(44)보다 블록(40b)의 두께를 두껍게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대고 눌렀을 때에 사방을 홈으로 둘러싼 그립 부재(40)의 개개의 블록(40b)이 사방으로 휨 변형되기 쉽다. 이러한 것들에 의해서,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에서는, 사용자에 대해서 부드러운 쥐는 감촉이 제공된다. During this gripping, the grip member 40 is compressed and de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s finger. In particular, when the user's finger is pressed against the thick region 43 of the grip member 40, it is compressed and deformed larger than when the user's finger is pressed against the thin region 44 with the same force.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region 43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is thick, the thickness of the block 40b is provided larger than that of the region 44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is thin, the user When pressed against the finger of, the individual blocks 40b of the grip member 40 surrounded by grooves on all sides are liable to bend and deform in all directions. By these, in the area 43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is thick, a soft grip feeling is provided for the user.

한편,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얇은 영역(44)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대고 누르면, 그립(40)은,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대고 누른 경우보다 작게 압축 변형된다. 또한,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얇은 영역(44)에서는 블록(40b)의 두께도 최소인 것으로부터, 블록(40b)은, 약간의 양 밖에 휨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얇은 영역(44)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대해서 딱딱한 쥐는 감촉이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축(20)의 면깎기부(26)의 외면과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의 내면이 간극 없이 접촉하고 있어서, 이 접촉면의 가로 단면이 비원형(非圓形)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써, 전축(20)에 대한 그립 부재(4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도 7 및 도 8 참조).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finger is pressed against the thin region 44 of the grip member 40, the grip 40 is compressed and deformed smaller than when the user's finger is pressed against the thick region 43. Further, in the region 44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is thin, since the thickness of the block 40b is also the minimum, the block 40b is bent and deformed only a little. Accordingly, in the region 44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is thin, a hard grip feeling is provided to the user.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chamfering portion 26 of the front shaft 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ick region 43 of the grip member 4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a gap, so that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contact surface is By being in a circular shape, relative rotation of the grip member 40 with respect to the front shaft 20 is prevented (see Figs. 7 and 8).

필기구(100)에 의한 필기가 종료되면, 사용자에 의해서 다시 노크 부재(70)가 축통(10)의 축 방향 전방으로 가압 조작(노크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필기몸체(50)가 코일 스프링(60)의 바이어스력에 대항하여 축통(10)의 전방으로 상대 이동된다. 이 상대 이동시에, 필기몸체(50)는, 캠 기구(23)에 의해서 축통(10)의 축 방향 후방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가압 조작(노크 조작)이 종료되면, 코일 스프링(60)의 바이어스력에 의해서 축통(10)의 축 방향 후방으로 상대 이동되고, 초기 상태, 즉 필기몸체(50)의 필기부(51)가 축통(10) 내에 몰입된 상태가 복귀된다. When the writing by the writing implement 100 is finished, the knock member 70 is again pressed (knocked) forward of the shaft 10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user. Thereby, the writing body 50 is moved relative to the front of the cylinder 10 against the bia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60. During this relative movement, the writing body 50 is brought into a state in which the cam mechanism 23 can move relative to the rear of the shaft 10 in the axial direction. And when the pressing operation (knock operation) is finished, it is relatively moved to the rear of the shaft 10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biasing force of the coil spring 60, and the initial state, that is, the writing part 51 of the writing body 50, is The state immersed in the shaft 10 is restored.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에 있어서 사용자에 부드러운 쥐는 감촉이 제공되고,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얇은 영역(44)에 있어서 사용자에 딱딱한 쥐는 감촉이 제공되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에 있어서 쥐는 감촉이 좋다고 느끼는 그립 부재(40)를 가지는 필기구(100)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 soft gripping feeling is provided to the user in the thick region 43 of the grip member 40, and the user in the thin region 44 of the grip member 40 Since a hard grip is provided with a touch,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riting implement 100 having a grip member 40 that many users feel that the grip is good.

본 실시형태의 축통(10)(전축(20))의 내면은, 가로 단면이 원형이기 때문에, 축통(10)이 상기 축통(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필기몸체(50)와 간섭됨이 없고, 필기구(100)의 조립도 용이하다.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shaft cylinder 10 (front shaft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shaft cylinder 1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writing body 50 accommodated in the shaft cylinder 10, It is also easy to assemble the writing implement 100.

또한, 그립 부재(40)의 외면은, 가로 단면이 대략 원형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위화감 없이 필기구(100)를 파지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member 40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horizontal cross section, the user can hold the writing implement 100 without feeling incongruity.

그립 부재(40)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는 전축(20)의 피복 영역(25)의 외면은, 전축(20)의 두께가 얇은 영역으로서 면깎기부(26)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그립 부재(40)를 통하여 면깎기부(26)에 대응하는 영역이 파지되면 상기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이 비교적 크게 압축 변형되기 때문에, 면깎기부(26)가 마련되지 않은 영역, 즉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얇은 영역(44)이 파지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부드러운 쥐는 감촉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면깎기부(26)와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이 걸어맞춤하여 전축(20)에 대한 그립 부재(40)의 소망하지 않는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region 25 of the front shaft 20 surrounded by the grip member 40 has a chamfering portion 26 as a regio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front shaft 20 is thin. For this reason, whe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hamfer 26 is gripped through the grip member 40, the area 43 having a thick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is relatively largely compressed and deformed, so that the chamfering unit 26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region where) is not provided, that is, the region 44 of which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is thin, may be provided with a softer gripping touch. In addition, the chamfering portion 26 and the thick region 43 of the grip member 40 engage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undesired relative rotation of the grip member 40 with respect to the front shaft 20.

면깎기부(26)는, 전축(20)의 피복 영역(25)의 둘레방향의 3개소에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필기구(100)를 파지하는 3개의 손가락(엄지, 집게손가락 및 중지)이 그립 부재(40)에 접촉하는 위치에 전축(20)의 면깎기부(26) 및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그립 부재(40)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43), 즉 부드러운 쥐는 감촉을 제공하는 영역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Since the chamfering portion 26 is provided at equal intervals in three plac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vering region 25 of the front shaft 20, three fingers (thumb, forefinger, and middle finger) holding the writing implement 100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chamfering portion 26 of the front shaft 20 and the region 43 having a thicker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grip member 40. That is, the area 43 of the grip member 40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40 is thick, that is, an area that provides a soft grip feeling, can be effectively dispos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방의 홈(41)과 일방의 홈으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방의 홈에 의해서, 블록(40b)(사각형 영역)이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링 형상에 형성한 홈에 의해서 사방이 홈으로 둘러싸인 블록(40b)(링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In this embodiment, a block 40b (rectangular region) is formed by one groove 41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groove extending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from the one groove. In this case, a block 40b (ring region) surrounded by grooves on all sides may be formed by grooves formed in a ring shap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블록(40b)의 두께는,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는, 그 최대 두께를 블록의 두께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hickness of the block 40b is not constant, the maximum thickness is the thickness of the block.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기구(100)로서 볼펜을 예로서 설명을 행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기몸체(50)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으로써, 샤프펜, 사인펜, 수정펜 등, 각종 필기구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ballpoint pen was demonstrated as an example as the writing implement 100, it is not limited to this.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writing body 5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writing instruments such as a mechanical pencil, a sign pen, and a correction pen.

Claims (8)

축통과,
상기 축통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그립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는,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변동되고,
상기 축통의 두께는,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변동되고,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은, 상기 축통의 두께가 얇은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가 얇은 영역은, 상기 축통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그립 부재는, 상기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가지고,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가 얇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홈의 깊이보다도 크고,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커지도록 변화한 후에 작아지도록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Axis Pass,
And a grip member surrounding the shaf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vari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thickness of the shaft is vari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thick surrounds the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shaft cylinder is thin,
The regio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thin surrounds the regio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shaft is thick,
The grip member has a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depth of the groove in the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thick is great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in the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thin,
In a regio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thick,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changed so as to increase from a front to a rear and then to decre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의 내면은, 가로 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The method of claim 1,
A writing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shaft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의 외면은, 가로 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writing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member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는 상기 축통의 외면은, 면깎기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writing instrument,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cylinder surrounded by the grip member has a chamfered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면깎기부는, 상기 축통의 둘레방향의 3개소에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The method of claim 4,
The writing impl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mfering portion is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t three plac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aft.
필기구의 축통을 둘러싸는 통 형상의 그립 부재로서,
상기 그립 부재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방의 홈 및 상기 일방의 홈으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방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바깥쪽 영역과, 상기 일방의 홈 및 상기 타방의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안쪽 영역을 가지고,
상기 그립 부재는, 두께가 두꺼운 영역과 두께가 얇은 영역을 가지고,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가 얇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홈의 깊이보다도 크고,
상기 그립 부재의 외면에 사방을 상기 홈으로 둘러싼 복수의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의 두께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커지도록 변화한 후에 작아지도록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부재.
As a cylindrical grip member surrounding the shaft of the writing instrument,
The grip member includes an outer region in which one groove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groove extending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from the one groove are formed, and the one groove and the other groove are not formed. Have an inner area,
The grip member has a thick region and a thin region,
The depth of the groove in the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thick is greater than the depth of the groove in the reg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thin,
A plurality of blocks surrounding the groove in all direct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member,
A grip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n a regio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thick, the thickness of the grip member is changed to decrease after changing to increase from the front to the rea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은, 상기 두께가 두꺼운 영역에서 두께가 두껍고, 상기 두께가 얇은 영역에서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부재.
The method of claim 6,
The plurality of blocks, the grip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thick in the thick region, the thickness is thin in the thin region.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는,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안쪽 영역에서, 두께가 두꺼운 안쪽 영역과 두께가 얇은 안쪽 영역을 가지고,
상기 두께가 두꺼운 영역은, 상기 두께가 두꺼운 안쪽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두께가 얇은 영역은, 상기 두께가 얇은 안쪽 영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grip member has a thick inner area and a thin inner area, in an inner area where no groove is formed,
The thick region corresponds to the thick inner region,
The region of the thin thickness, characterized in that corresponding to the inner region of the thin grip member.
KR1020187025954A 2016-03-22 2017-03-17 No writing instruments and grips KR10218498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57536A JP6707375B2 (en) 2016-03-22 2016-03-22 Writing instrument
JPJP-P-2016-057536 2016-03-22
PCT/JP2017/010977 WO2017164131A1 (en) 2016-03-22 2017-03-17 Writing implement and grip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860A KR20180124860A (en) 2018-11-21
KR102184980B1 true KR102184980B1 (en) 2020-12-01

Family

ID=5990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954A KR102184980B1 (en) 2016-03-22 2017-03-17 No writing instruments and grip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07375B2 (en)
KR (1) KR102184980B1 (en)
CN (1) CN108883655B (en)
TW (1) TWI636900B (en)
WO (1) WO2017164131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6560A (en) * 2002-08-02 2004-03-04 Kotobuki & Co Ltd Grip structure of writing utensi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H350H (en) * 1987-04-27 1987-10-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Energetic polynitro formal plasticizers
JPH0447574U (en) * 1990-08-24 1992-04-22
USH1050H (en) * 1990-11-02 1992-05-05 The Gillette Company Writing instrument
JP2607456Y2 (en) * 1993-05-31 2001-09-04 ぺんてる株式会社 Grasping structure of writing instrument
US6164855A (en) * 1998-03-26 2000-12-26 Bic Corporation Writing instrument with finger gripping device
CN2493421Y (en) * 2001-05-14 2002-05-29 陈国寿 Writing tool holder
US6485211B1 (en) * 2001-09-25 2002-11-26 Bic Corporation Easily assembled grip element
JP4043305B2 (en) 2002-07-10 2008-02-06 三菱鉛筆株式会社 Grip and writing instrument provided with the grip
JP4183452B2 (en) * 2002-07-31 2008-11-19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Multi-core writing instrument
JP2004142191A (en) * 2002-10-23 2004-05-20 Pentel Corp Variable grip structure
JP4001130B2 (en) * 2004-06-25 2007-10-31 ぺんてる株式会社 Writing instrument grip
DE202005009196U1 (en) * 2005-06-11 2005-09-08 Kuo, Chin-Yi, Panchiao Writing implement has hollow tubular grip with refill and outer ornamental rings arranged on grip in various sequences and arrangements
CN200992054Y (en) * 2007-01-22 2007-12-19 杨东豫 Multifunction pen
JP5022260B2 (en) * 2008-02-05 2012-09-12 ゼブラ株式会社 Writing instrument
US8282297B2 (en) * 2008-12-11 2012-10-09 Surefire, Llc Adjustable cartridge pen hou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6560A (en) * 2002-08-02 2004-03-04 Kotobuki & Co Ltd Grip structure of writing utens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70701A (en) 2017-09-28
KR20180124860A (en) 2018-11-21
TW201736154A (en) 2017-10-16
CN108883655A (en) 2018-11-23
TWI636900B (en) 2018-10-01
JP6707375B2 (en) 2020-06-10
CN108883655B (en) 2020-10-02
WO2017164131A1 (en)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79589A (en) Writing utensil
JP5025979B2 (en) Writing instrument
KR102184980B1 (en) No writing instruments and grips
JP6665005B2 (en) Grip member
JP2000326682A (en) Writing barrel of writing instrument
JP5313637B2 (en) Conical nib and writing instrument using the same
WO2015087852A1 (en) Ballpoint pen
JP3814906B2 (en) Writing instrument grip
JP2017013290A (en) Writing instrument
JP2008296462A (en) Writing tool
JP4676905B2 (en) Writing instrument
JP6866186B2 (en) Grip mounting structure
JP2004299406A (en) Grip of writing utensil
JP2011051268A (en) Shaft tube for writing utensil
JP6157906B2 (en) Writing instrument
JP2009286019A (en) Side-knock type writing utensil
JP5024941B2 (en) Writing instrument
JP2018103423A (en) Long object feeding device
JP4837786B2 (en) Writing instrument
JP2007268905A (en) Conical pen poi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22096979A (en) Writing instrument and gripping member of writing instrument
JP2011051269A (en) Shaft tube for writing utensil
KR20180090248A (en) Writing Instruments
JP5593965B2 (en) Pressure contact structure of cylindrical member
JP2009202452A (en) Shaft tube of writing utens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