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248A - Writing Instruments - Google Patents

Writing Instru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248A
KR20180090248A KR1020187010694A KR20187010694A KR20180090248A KR 20180090248 A KR20180090248 A KR 20180090248A KR 1020187010694 A KR1020187010694 A KR 1020187010694A KR 20187010694 A KR20187010694 A KR 20187010694A KR 20180090248 A KR20180090248 A KR 20180090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surface
barrel
outer circumferential
region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0201B1 (en
Inventor
마사코 야나이
마사후미 요시카와
긴야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2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2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 B43K3/04Nib holders with retractable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손가락에 쓸데없이 힘을 들이지 않고도 축통의 방향이나 자세가 안정되게 필기를 행하기 쉬운 필기구를 실현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유지되는 축통이, 축심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후부와, 상기 후부의 전방에 이어져 축심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고, 그 외주면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부위에, 평탄면 또는 대략 평탄면 모양의 볼록 곡면으로서 축심 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확장된 유일한 평탄면 영역이 형성되고, 그 외의 부위가 상기 평탄면 영역보다도 곡률이 큰 곡면 영역으로 되어 있는 전부(前部)와, 상기 전부의 전방에 이어져 선단이 가는 테이퍼 모양을 이루며, 필기용 펜끝을 돌출시키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필기구를 구성했다. A rear portion in which the barrel held by the user's fingers extends along the axial direction so as to realize a writing instrument in which the writing or reading of the barrel can be stably performed in the direction or posture of the barrel without unnecessarily applying force to the user's fingers, And a single flat surface area extending in parallel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as a flat surface or a convex surface having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shape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ther portion is a curved surface region having a curvature larger than that of the flat surface region and a front end portion leading to the front of the front portion and having a tapered front end, And made up a writing instrument.

Description

필기구Writing Instruments

본 발명은, 필기를 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하는 필기심(筆記芯)을 축통(軸筒)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ing implement having a writing cylinder accommodating a writing cylinder that implements a function for performing writing in a barrel.

이런 종류의 필기구의 대표예로서, 볼펜이나 샤프 펜슬이 주지(周知)이다. 볼펜은, 잉크를 충전한 용기의 선단 부위에 잉크를 종이 등에 전사(轉寫)하기 위한 볼을 포함하는 필기 기구부를 장착한 리필을 필기심으로서 축통에 수용한 것이며, 그 필기 기구부가 축통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샤프 펜슬에서는, 필기심인 연필심을 계속 보내기 위한 기구를 축통 내에 내장하고 있다.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type of writing instrument, a ballpoint pen or a pencil is well known. A ballpoint pen is a ballpoint pen which is provided with a writing mechanism portion including a ball for transferring ink to a paper or the like at the front end portion of a container filled with ink, Respectively. In the mechanical pencil, a mechanism for continuously sending the pencil lead, which is a writing instrument, is built in the barrel.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서 유지되는 축통의 외주면의 형상은, 원통 모양인 것이 많지만, 옛날의 연필과 같이 단면에서 보아 육각형 모양을 이루는 것이나, 단면에서 보아 삼각형 모양을 이루는 것도 존재한다(예를 들면, 하기 비특허 문헌 1을 참조). 또, 원통 모양의 외형을 이룬 축통의 소정 부위에, 상기 축통의 축심을 향해 패인 패임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도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을 참조).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rrel held by the user's fingers is cylindrical in many cases. However, some of them may have a hexagonal shape as seen from a cross section such as an old pencil or a triangular shape as viewed from a cross section (see, for example, Non-Patent Document 1). In addition, a recessed portion depressed toward the axial center of the barrel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arrel having a cylindrical outer shap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5-13842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138420

비특허문헌 1 :“볼펜/샤프 펜슬/연필 샤프”, 고쿠요 종합 카탈로그 2015년판 문구편, 고쿠요 주식회사, 평성(平成) 26년 12월, p.539-545Non-Patent Document 1: "Ball Pen / Pencil / Pencil Sharp", Kokuyo Catalog 2015 edition, Stationery, Kokuyo Corporation, Heisei December 26, p.539-545

본 발명은, 사용자가 쓸데없이 손가락에 힘을 들이지 않고도 축통의 방향이나 자세가 안정되게 필기를 행하기 쉬운 필기구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iting instrument which allows the user to write in a stable manner in the direction or posture of the barrel without unnecessarily applying force to the finger.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유지되는 축통(軸筒)이, 축심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후부(後部)와, 상기 후부의 전방에 이어져 축심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고, 그 외주면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부위에, 평탄면 또는 대략 평탄면 모양의 볼록 곡면으로서 축심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확장된 유일한 평탄면 영역이 형성되고, 그 외의 부위가 상기 평탄면 영역보다도 곡률이 큰 곡면 영역으로 되어 있는 전부(前部)와, 상기 전부의 전방에 이어져 선단이 가는 테이퍼 모양을 이루고, 필기용 펜끝을 돌출시키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필기구를 구성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rrel held by a user's finger is provided with a rear portion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a rear portion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extending forwardly of the rear portion, A convex curved surface having a flat surface or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shape is formed on a portion where the curved surface region is in contact with a curved surface region having a curvature larger than that of the flat surface region, And a distal e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of the front portion and having a tapered distal end and projecting a writing pen tip.

상기 전부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과 상기 선단부의 외주면은, 볼록 곡면 모양으로 연속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 surface reg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are continuous in a convex curved surface shape.

그리고, 상기 전부의 외주면에서의 곡면 영역을, 상기 평탄면 영역에 접속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후부의 외주면과 대략 면일(面一)로 하는 것도 허용된다. 이 경우, 축통에서의 후부로부터 전부까지가 일관하여 연속하고 있는 외관을 만들어낼 수 있어, 필기구로서의 격조, 미관을 높일 수 있다. It is also permissible to make the curved surface area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part substantially flush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art except for the part connected to the flat surface area. In this case, the appearance from the rear portion to the front portion of the barrel can be formed continuously, and the tone and beauty of the writing instrument can be enhanced.

또한, 상기 전부의 외주면에서의 곡면 영역이 상기 후부의 외주면보다도 외부로 팽출하고 있는 것으로 하면, 축통의 후부의 외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전부의 외경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따르는 최적인 크기로 설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환언하면, 전부를 후부보다도 굵게 할 수 있다. If the curved surface reg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is outwardly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irrespectiv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rear portion of the barrel, the entire outer diameter is designed to have an optimum size along the user's fingers . In other words, the whole portion can be thicker than the rear portion.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전부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의 윤곽과 상기 후부의 외주면의 윤곽이 동일한 직선 모양 또는 대략 동일한 직선 모양을 이루고 있으면, 전부의 평탄면 영역이 후부의 외주면에 대해서 크게 패이지 않는 것, 반대로 말하면 후부의 외주면이 전부의 평탄면 영역보다도 크게 돌출되지 않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축통을 자연스럽게 쥐기 쉬워지기 때문에, 축통의 후부에 의한, 사용자의 집게 손가락의 밑부분에 대한 압박이 작아진다. When the outline of the flat surface reg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outli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have the same straight line shape or substantially the same straight line shape as viewed from the side, the entire flat surface region does not largely cover the re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versely, sin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does not protrude more than the entire flat surface region, the user can naturally grip the barrel naturally, so that the pressure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user's forefingers due to the rear portion of the barrel is reduced.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에 쓸데없이 힘을 들이지 않고도 축통의 방향이나 자세가 안정되게 필기를 행하기 쉬운 필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writing instrument in which the user can stably write the direction and posture of the barrel without wasting unnecessary force on the fing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필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writing imple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B lin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a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a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of a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the writing imple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the writing imple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 형태>≪ First Embodiment >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는, 후단(後端) 노크식 볼펜이다. 본 필기구는, 필기를 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하는 필기심과, 사용자가 필기를 행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서 유지되는 축통(軸筒)(1)과, 축통(1)의 후단측에 배치한 노크봉(3)이 노크 조작됨으로써 펜끝(2) 즉 필기심의 선단 부위를 축통(1)의 전단(前端)(선단)측으로부터 돌몰(突沒)시키는 노크 기구를 구비한다. 축통(1)은, 그들 필기심 및 노크 기구를 내부에 수용한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writing implement of this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6 is a rear end knock type ballpoint pen. The writing implement includes a handwriting card that implements a function for performing handwriting, a barrel 1 held by a user's finger when a user performs a handwriting, and a barrel 1 disposed on a rear end side of the barrel 1 And a knock mechanism for knocking the knock rod 3 to project the tip end of the pen tip 2, that is, the writing shaft, from the front end (tip end) side of the barrel 1. The barrel (1) houses therein a writing instrument and a knock mechanism.

필기심은, 잉크를 충전한 용기의 선단 부위에, 잉크를 종이 등에 전사(轉寫)하기 위한 볼을 포함하는 필기 기구부(2)를 장착한 리필이다. 노크 기구는, 노크봉(3)의 압하(押下)를 받아 펜끝인 필기 기구부(2)를 축통(1)으로부터 돌출시킴과 아울러, 노크봉(3)의 재차의 압하를 받아 축통(1)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던 필기 기구부(2)를 축통(1) 내에 몰입시키는, 종래부터 주지의 더블 노크식 기구이다. A writing instrument is a refill equipped with a writing instrument portion 2 including a ball for transferring ink to a paper on a tip portion of a container filled with ink. The knock mechanism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riting instrument portion 2 which is the tip of the pen is projected from the barrel 1 by being pressed down by the knocking rod 3 and the knocking rod 3 is pressed again from the barrel 1 And is a known double-knock type mechanism in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portion 2 protruding into the barrel 1 is immersed.

축통(1)은, 각각이 내부에 필기심을 삽입 통과할 수 있도록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연신(延伸)된 중공 통 모양의 후축(後軸)(11) 및 전축(前軸)(12)을 요소로 한다. 후축(11)의 전단부와 전축(12)의 후단부 중 일방에는 수나사를 마련하고, 타방에는 암나사 구멍을 마련하고 있으며, 그 수나사를 암나사 구멍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후축(11)과 전축(12)을 결합하여, 일체의 축통(1)을 구성한다. 전축(12)은, 통 모양의 기체(基體)(121)의 외주에, 사용자의 손가락과 직접 접촉하는 외장체(122)를 씌운 것이다. 또, 기체(121)와 외장체(122)를, 2색 성형에 의해 일시에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barrel 1 has a hollow barrel-like rear barrel 11 and a front barrel 12 stretch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axis L so that each barrel 1 can be inserted therethrough. . One end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ear barrel 11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ront barrel 12 are provided with a male screw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female screw hole. By screwing the male screw into the female screw hole, To constitute a single barrel (1). The front shaft 12 is covered with an external body 122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a user's finger on the outer periphery of a tubular body 121. It is also possible to temporarily mold the base body 121 and the outer body 122 by two-color molding.

본 실시 형태에서의 필기구의 축통(1)은,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후부(13)와, 후부(13)의 전방에 이어져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전부(14)와, 전부(14)의 전방에 이어져 전방을 향함에 따라 지름이 작아지는 선단이 가는 테이퍼 모양의 선단부(15)를 가지고 있다. 후부(13)의 대부분은 후축(11)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후부(13)의 전단 부분, 전부(14) 및 선단부(15)는 전축(12)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필기심의 필기 기구부(2)는, 그 선단부(15)로부터 돌출된다. The barrel 1 of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ar portion 13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axis L and a front portion 14 extending forwardly of the rear portion 13 and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L And a front end portion 15 having a tapered front end leading to the front of the front portion 14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front. The front end portion, the front end portion 14 and the front end portion 15 of the rear portion 13 are made by the front axle 12, although most of the rear end portion 13 is made by the rear axle 11. The handwriting mechanism portion 2 of the handwriting is protruded from the distal end portion 15 thereof.

후부(13)의 외주면은, 전체적으로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대해, 전부(14)의 외주면에는, 단일의 평탄면 영역(141)과, 평탄면 영역(141) 이외의 영역인 곡면 영역(142)이 존재하고 있다. 평탄면 영역(141)은,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부위에 있어서, 축심(L)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확장된 대략 평탄면 모양을 이룬다. 특히, 도 5의 A-A선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탄면 영역(141)이 완전한 평탄면이 아니고, 외부(축통(1)(또는, 필기구)의 축심(L)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를 향해 약간 팽출(膨出)한 볼록 곡면으로 되어 있다. 볼록 곡면은, 상기 곡면 상의 임의의 2점을 상기 곡면을 따라서 최단 경로로 잇는 선분이, 그들 2점을 잇는 직선보다도 외부에 있거나 그러한 직선과 동일한 곡면을 말한다. 요컨데, 볼록 곡면은, 축통(1)의 축심(L)을 향해 패인 패임부가 존재하지 않는 곡면이다. 무엇보다도, 평탄면 영역(141)을, 완전한 평탄면으로 성형해도 상관없다.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has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4, there exists a single flat surface region 141 and a curved surface region 142 which is a region other than the flat surface region 141. The flat surface region 141 has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shape extending parallel to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axis L at the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4 where the user's finger touches. Particularly, as shown in the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at surface area 141 is not a complete flat surface, but is formed from the outside (the axial center L of the barrel 1 And the convex surface is slightly bulged toward the direction of separation. The convex surface refers to a curved surface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wo points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arbitrary two points on the curved surface along the curved surface in the shortest path or the straight line. In other words, the convex curved surface is a curved surface on which there is no depressed portion punched toward the axis L of the barrel 1. [ Above all, the flat surface region 141 may be formed into a completely flat surface.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은, 절두(切頭) 원추 모양을 이루는 선단부(15)의 외주면과 함께 볼록 곡면을 이루도록 연속하고 있으며, 평탄면 영역(141)과 선단부(15)의 외주면과의 경계 부분에는 축통(1)의 축심(L)을 향해 패이는 패임부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부언하면, 도 3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아(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탄면 영역(141)이 가장 크게 보이는 평면시(平面視)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측부로부터 본 상태)에서,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선단부(15)의 외주면의 윤곽(15a)이 볼록 곡선을 이루도록 연속하고 있다. 볼록 곡선은, 상기 곡선 상의 임의의 2점을 잇는 상기 곡선의 부분이, 그들 2점을 잇는 직선보다도 외부에 있거나 그러한 직선과 동일한 곡선을 말한다. The flat surface area 141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art 14 is continuous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art 15 forming the truncated cone shape so as to form a convex curved surface and the flat surface area 141 and the tip end part 15 At the boundary portion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1, there is no depressed portion which is pulled toward the axial center L of the barrel 1. In other words, in a side view shown in Fig. 3 (as viewed from the side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the plan view (plan view) where the flat surface area 141 is the largest as shown in Fig. 2), the flat surface area 141 and the contour 15a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15 are continuous to form a convex curve. The convex curve refers to a curved line where the part of the curve connecting any two points on the curve is outside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points or is the same as the straight line.

게다가, 도 3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아,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이, 축심(L) 방향에 대해서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직선 또는 대략 직선 모양의 볼록 곡선을 이루고 있다. 즉, 이 윤곽선(141a) 상의 임의의 2점을 상기 윤곽선(141a)을 따라서 최단 경로로 잇는 선분은, 그들 2점을 잇는 직선보다도 외부에 있거나 그러한 직선과 동일하다. 즉, 평탄면 영역(141)은, 그 내부에 축통(1)의 축심(L)을 향해 패인 오목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이 대략 일직선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전자와 후자와의 단차가 근소하게 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이,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보다도 매우 약간 내부(축통(1)의 축심(L)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것은 도 2에 나타내는 평면에서 보아 평탄면 영역(141)의 타원 모양의 둘레 가장자리를 예쁜 형태로 하기 위함이다. 무엇보다도, 측면에서 보아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이 완전히 일직선 모양을 이루도록, 평탄면 영역(141) 및 후부(13)의 외주면을 성형해도 상관없다. 3, the contour 141a of the flat surface region 141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4 is parallel to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axis L. In addition, . That is, a line segment connecting two arbitrary points on the contour line 141a along the shortest path along the contour line 141a is located outside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points, or is the same as the straight line. In other words, the flat surface area 141 does not include a concave portion which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flat surface area 141 toward the axis L of the barrel 1. The contour 141a of the flat surface region 141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4 and the contour 13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have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and the step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becomes small have. The outline 141a of the flat surface area 141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art 14 is slightly more inside than the outline 13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art 13 (the axial center L of the barrel 1) This is to make the peripheral edge of the elliptical shape of the flat surface region 141 a pretty shape as viewed from the plane shown in Fig. The flat surface area 141 and the flat surface area 141 are formed such that the contour 141a of the flat surface area 141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art 14 and the contour 13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art 13 form a completely straight lin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may be formed.

전부(14)의 외주면의 곡면 영역(142)은, 평탄면 영역(141)보다도 곡률이 큰 곡면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도 6의 B-B선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곡면 영역(142)이, 평탄면 영역(141)에 접속하는 부분(142a)을 제외하고, 후부(13)의 외주면과 대략 면일(面一, 단차가 없음)로 되어 있다. 즉, 곡면 영역(142)은, 접속 부분(142a)을 제외하고, 그 외경이 후부(13)의 외주면의 외경과 동일한, 후부(13)의 외주면과 연속한 부분 원통면이다. 반대로, 곡면 영역(142)에서의, 평면시(平面視) 영역에 접속하는 부분(142a)은, 후부(13)의 외주면보다도 외부로 팽출하고 있다. 이것은, 축통(1)의 전부(14)의 굵기를 후부(13)의 굵기로 일치시키면서, 평탄면 영역(141)의 폭치수를 확대하기 위한 형상이다. 또, 도 5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축통(1)의 축심(L)에 대해서 직교하는 절단면과 곡면 영역(142)과의 교선(交線)(단면에서 보아 곡면 영역(142)의 외주면에 상당하는 윤곽)은, 상기의 접속 부분(142a)을 제외하고 진원호(眞圓弧) 모양을 이룬다. The curved surface area 142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art 14 is 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larger than that of the flat surface area 141. [ 6, the curved surface region 142 is substantially flush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except for the portion 142a that is connected to the flat surface region 141 (see FIG. 6) No plane, no step). That is, the curved surface region 142 is a partially cylindrical surface continuous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except for the connecting portion 142a, the outer diameter of which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Conversely, the portion 142a connected to the area at the time of planar view (plan view) in the curved surface area 142 bulges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 This is a shape for enlarging the width dimension of the flat surface region 141 while matching the thickness of the front portion 14 of the barrel 1 with the thickness of the rear portion 13. 5, an intersecting line (intersecting line) between the cut surface orthogonal to the axis L of the barrel 1 and the curved surface area 142 (which correspond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area 142 as viewed in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except for the connecting portion 142a.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유지되는 축통(1)이,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후부(13)와, 상기 후부(13)의 전방에 이어져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고, 그 외주면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부위에, 평탄면 또는 대략 평탄면 모양의 볼록 곡면으로서 축심(L) 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확장된 유일한 평탄면 영역(141)이 형성되며, 그 외의 부위가 상기 평탄면 영역(141)보다도 곡률이 큰 곡면 영역(142)으로 되어 있는 전부(14)와, 상기 전부(14)의 전방에 이어져 선단이 가는 테이퍼 모양을 이루며, 필기용 펜끝(2)을 돌출시키는 선단부(15)를 구비하고 있는 필기구를 구성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rrel 1 held by the user's finger is provided with a rear portion 13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axis L and a rear portion 13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rear portion 13, And a flat surface area 141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ser's fingertip that is flat or substantially flat as a convex surface extending parallel to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L, (14) having a curved surface area (142) having a curvature larger than that of the flat surface area (141) at the other end and a front end 2)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portion (15).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13의 (a) 내지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기구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엄지, 검지 또는 중지 중 어느 하나가 축통(1)의 전부(14)의 평탄면 영역(141)에 면접촉하여 꼭 맞고, 나머지의 2개의 손가락이 곡면 영역(142)에 접하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손가락에 힘을 들이지 않고도, 축통(1)의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인 방향이나 자세가 안정되어, 가벼운 힘으로 이것을 유지하여 필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면에서 보아 육각형 모양을 이루는 옛날의 연필과 같이, 복수의 평탄면이 교차하는 능선(엣지)의 부분이 손가락으로 들어가는 날카로운 감촉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여하기 어려워, 쾌적한 필기를 실현할 수 있다. 13 (a) to 13 (c), one of the thumb, the detection or the stop of the user who holds the writing instrument is positioned on the flat surface area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4 of the barrel 1 141, and the remaining two fing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area 142. In this state, As a result, the direction or posture relative to the user's finger of the barrel 1 can be stabilized and the handwriting can be performed with a light force without the user applying force to the finger.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impart a sharp touch to the user's fingertip, in which a portion of a ridge (edge) where a plurality of flat surfaces intersect, such as an old pencil having a hexagonal shape in cross section, enters the finger, have.

축통(1)을 가벼운 힘으로 안정되게 유지 가능한 것은, 필기할 때의 필압(筆壓)을 작게 하는 것에 이어져,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의 피로의 경감에 기여할 수 있다. 게다가, 필기구의 리필에 충전되어 있는 잉크가 비교적 저점도의 것(예를 들면, 수성 겔 잉크나 저점도 유성 잉크)인 경우, 그러한 잉크 본래의 필기감과 함께, 매우 스무스하게(smooth) 필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저점도의 잉크를 충전하고 있는 필기구에서, 사용자가 쓸데없이 손가락에 힘을 들여 축통(1)을 끼워 지지하여 필압이 증대하면, 오히려 필기의 매끄러움이 손상될 염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축통(1)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불필요한 필압의 증대가 억제되어, 필기의 매끄러움이 유지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The ability to stably maintain the barrel 1 with a light force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the pen pressure at the time of handwriting and to the fatigue of the user's finger or arm. In addition, when the ink filled in the refill of the writing implement is of a relatively low viscosity (for example, a water-soluble gel ink or a low viscosity oily ink), smooth writing is performed along with the original writing feel of such ink Lt; / RTI >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presses the fingers unnecessarily on the writing instrument filling the ink of low viscosity to hold the barrel 1 and increase the pressure, the smoothness of writing may be rather impaired. However, By employing the barrel 1, unnecessary increase of the pressure can be suppressed, and smoothness of handwriting can be expected to be maintained.

상기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141)과 상기 선단부(15)의 외주면은 볼록 곡면 모양으로 연속하고 있으며, 평탄면 영역(141)과 선단부(15)의 외주면과의 경계 부분에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축통(1)의 선단부(15)에 가까운 부위를 가지는 사용자에 있어서, 손가락으로 축통(1)을 파지하는 위치를 위화감없이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개인차에 대응할 수 있는 편리성이 높은 필기구가 된다.The flat surface area 14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art 14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art 15 are continuous in a convex curved surface and the flat surface area 141 is formed on the boundary part between the flat surface area 14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p part 15 It is possible to flexibly change the position at which the user grips the barrel 1 with his or her fingers without discomfort in a user having a portion close to the distal end portion 15 of the barrel 1 because there is no concave portion. Therefore, the writing instrument is highly convenient for coping with individual differences.

상기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곡면 영역(142)을, 상기 평탄면 영역(141)에 접속하는 부분(142a)을 제외하고, 상기 후부(13)의 외주면과 대략 면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축통(1)에서의 후부(13)로부터 전부(14)까지가 일관하여 직선적으로 연속하고 있는 외관을 만들 수 있어, 필기구로서의 격조, 미관을 높일 수 있다. Since the curved surface region 14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4 is substantially flush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except for the portion 142a that connects to the flat surface region 141, It is possible to make the appearance from the rear portion 13 to the front portion 14 linearly continuous with each other in the main body 1 and to enhance the tone and beauty as a writing instrument.

게다가,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상기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이 동일한 직선 모양 또는 대략 동일한 직선 모양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전부(14)의 평탄면 영역(141)이 후부(13)의 외주면에 대해서 크게 패이지 않는 것, 반대로 말하면 후부(13)의 외주면이 전부(14)의 평탄면 영역(141)보다도 크게 돌출되지 않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축통(1)을 자연스럽게 쥐기 쉬워지기 때문에, 축통(1)의 후부(13)에 의한, 사용자의 집게 손가락의 밑부분에 대한 압박이 작게 된다. The contour 141a of the flat surface region 14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4 and the contour 13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have the same straight line or substantially the same straight line shape In other wor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protrudes more than the flat surface region 141 of the front portion 14. In other wor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is larger than the flat surface region 141 of the front portion 14. [ The pressure on the bottom of the user's index finger due to the rear portion 13 of the barrel 1 is reduced because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barrel 1 naturally.

<제2 실시 형태>≪ Second Embodiment >

다음으로 설명하는 제2 실시 형태는, 축통(1)의 전부(14)의 외형을 제1 실시 형태로부터 변경한 것이다. 이후, 본 실시 형태 특유의 구성에 관해서 서술한다. 필기심이나 노크 기구 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또는, 기존의 필기구)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할애한다. The second embodiment to be described next is a modification of the outer shape of the front portion 14 of the barrel 1 from the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a configuration peculiar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writing simulator, the knock mechanism, and the like can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or a conventional writing instrument), so that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herein.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노크식 볼펜이다. 본 필기구의 축통(1)도 또,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후부(13)와, 후부(13)의 전방에 이어져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전부(14)와, 전부(14)의 전방에 이어져 전방을 향함에 따라 지름이 작아지는 선단이 가는 테이퍼 모양의 선단부(15)를 가지고 있다. 후부(13)의 대부분은 후축(11)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후부(13)의 전단 부분, 전부(14) 및 선단부(15)는 전축(12)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필기심의 펜끝인 필기 기구부(2)는, 그 선단부(15)로부터 돌출된다. The writing imple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knock type ballpoint pen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barrel 1 of the present writing implement also has a rear portion 13 extending along the axis L and a front portion 14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axis L leading to the front of the rear portion 13, 14, and has a tapered distal end 15 whose tip has a small diameter as it is directed forward. The front end portion, the front end portion 14 and the front end portion 15 of the rear portion 13 are made by the front axle 12, although most of the rear end portion 13 is made by the rear axle 11. The writing instrument portion 2, which is the pen tip of the writing instrument, protrudes from the front end portion 15 thereof.

후부(13)의 외주면은, 전체적으로 원통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대해, 전부(14)의 외주면에는, 단일의 평탄면 영역(141)과, 평탄면 영역(141) 이외의 영역인 곡면 영역(142)이 존재하고 있다. 평탄면 영역(141)은,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부위로서, 축심(L)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확장된 대략 평탄면 모양을 이룬다. 특히, 도 11의 C-C선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탄면 영역(141)은 완전한 평탄면이 아니고, 외부를 향해 약간 팽출한 볼록 곡면으로 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평탄면 영역(141)을, 완전한 평탄면으로 성형해도 상관없다.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has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4, there exists a single flat surface region 141 and a curved surface region 142 which is a region other than the flat surface region 141. The flat surface area 141 is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extending parallel to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axis L, Particularly,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11, the flat surface area 141 is not a complete flat surface but a convex surface slightly expanded toward the outside. Above all, the flat surface region 141 may be formed into a completely flat surface.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은, 절두(切頭) 원추 모양을 이루는 선단부(15)의 외주면과 함께 볼록 곡면을 이루도록 연속하고 있고, 평탄면 영역(141)과 선단부(15)의 외주면과의 경계 부분에는 축통(1)의 축심(L)을 향해 패이는 패임부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부언하면, 도 9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아,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선단부(15)의 외주면의 윤곽(15a)이 볼록 곡선을 이루도록 연속하고 있다. The flat surface area 141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art 14 is continuous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art 15 forming the truncated cone shape to form a convex curved surface, and the flat surface area 141 and the distal end part 15 At the boundary portion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1, there is no depressed portion which is pulled toward the axial center L of the barrel 1. In other words, the contour 141a of the flat surface region 141 and the contour 15a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15 are continuous to form a convex curve as viewed from the side shown in Fig.

게다가, 도 9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아,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이, 축심(L) 방향에 대해서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직선 또는 대략 직선 모양의 볼록 곡선을 이루고 있다. 즉, 이 윤곽선(141a) 상의 임의의 2점을 상기 윤곽선(141a)을 따라서 최단 경로로 잇는 선분은, 그들 2점을 잇는 직선보다도 외부에 있거나 그러한 직선과 동일하다. 즉, 평탄면 영역(141)은, 그 내부에 축통(1)의 축심(L)을 향해 패인 오목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은 대략 일직선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전자와 후자와의 단차가 근소(僅少)하게 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이,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보다도 매우 약간 내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것은 도 8에 나타내는 평면에서 보아 평탄면 영역(141)의 타원 모양의 둘레 가장자리를 예쁜 형태로 하기 위함이다. 무엇보다도, 측면에서 보아 전부(14)의 외주면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이 완전하게 일직선 모양을 이루도록, 평탄면 영역(141) 및 후부(13)의 외주면을 성형해도 상관없다. 9, the contour 141a of the flat surface region 141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4 is parallel to or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axial center L, . That is, a line segment connecting two arbitrary points on the contour line 141a along the shortest path along the contour line 141a is located outside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points, or is the same as the straight line. In other words, the flat surface area 141 does not include a concave portion which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flat surface area 141 toward the axis L of the barrel 1. The contour 141a of the flat surface region 141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4 and the contour 13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have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shape and the step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is slightly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ntour 141a of the flat surface area 141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art 14 is located slightly more inside than the contour 13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art 13, So that the elliptical peripheral edge of the flat surface region 141 is formed into a beautiful shape. The flat surface area 141 is formed so that the contour 141a of the flat surface area 141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art 14 and the contour 13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art 13 form a straight lin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may be formed.

전부(14)의 외주면의 곡면 영역(142)은, 평탄면 영역(141)보다도 곡률이 큰 곡면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도 12의 D-D선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곡면 영역(142)은 후부(13)의 외주면보다도 외부로 팽출하고 있고, 선단부(15)에 이어지는 전단 부분을 제외하고, 곡면 영역(142)의 외경이 후부(13)의 외주면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부(13)의 외주면에 이어지는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 곡면 영역(142)의 지름이 서서히 굵어져, 그 중도(中途)에서 최대 지름이 된다. 그러한 후, 선단부(15)에 가까워질수록 곡면 영역(142)의 지름이 가늘어져 가고, 곡면 영역(142)의 전단에서 그 지름이 선단부(15)의 후단의 지름과 동일하게 된다. 또, 도 11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축통(1)(또는, 필기구)의 축심(L)에 대해서 직교하는 절단면과 곡면 영역(142)과의 교선(단면에서 보아 곡면 영역(142)의 외주면에 상당하는 윤곽)은, 진원호 모양을 이룬다.The curved surface area 142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art 14 is 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larger than that of the flat surface area 141. [ 12, the curved surface region 142 bulges outward beyo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and except for the front end portion leading to the front end portion 15, the curved surface region 142 142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More specifically, the diameter of the curved region 142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rear end lea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toward the front, and becomes the maximum diameter in the midway. The diameter of the curved region 142 becomes narrower as it approaches the distal end portion 15 and the diameter of the front end of the curved region 142 become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rear end of the distal end portion 15. As shown in Fig. 11, the intersection of the intersecting plane orthogonal to the axis L of the barrel 1 (or the writing implement) and the curved area 142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rved area 142 in cross section) The corresponding contour) forms the shape of a circl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유지되는 축통(1)이,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후부(13)와, 상기 후부(13)의 전방에 이어져 축심(L)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고, 그 외주면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부위에, 평탄면 또는 대략 평탄면 모양의 볼록 곡면으로서 축심(L)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확장된 유일한 평탄면 영역(141)이 형성되며, 그 외의 부위가 상기 평탄면 영역(141)보다도 곡률이 큰 곡면 영역(142)으로 되어 있는 전부(14)와, 상기 전부(14)의 전방에 이어져 선단이 가는 테이퍼 모양을 이루고, 필기용 펜끝(2)을 돌출시키는 선단부(15)를 구비하고 있는 필기구를 구성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rrel 1 held by the user's finger is provided with a rear portion 13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axis L and a rear portion 13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rear portion 13, And a unique flat surface area 141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 the user's finger touches, as a flat surface or a convex surface with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shape, which extends parallel to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axis L (14) having a curved surface area (142) having a curvature larger than that of the flat surface area (141), and a front part (14) And a tip end portion (15) for projecting the tip end (2).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13의 (a) 내지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기구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엄지, 검지 또는 중지 중 어느 하나가 축통(1)의 전부(14)의 평탄면 영역(141)에 면접촉하여 꼭 맞고, 나머지의 2개의 손가락이 곡면 영역(142)에 접하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손가락에 힘을 들이지 않고도, 축통(1)의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상대적인 방향이나 자세가 안정되어, 가벼운 힘으로 이것을 유지하여 필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면에서 보아 육각형 모양을 이루는 옛날의 연필과 같이, 복수의 평탄면이 교차하는 능선(엣지)의 부분이 손가락에 들어가는 날카로운 감촉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여하기 어려워, 쾌적한 필기를 실현할 수 있다. 13 (a) to 13 (c), one of the thumb, the detection or the stop of the user who holds the writing instrument is positioned on the flat surface area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4 of the barrel 1 141, and the remaining two fing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area 142. In this state, As a result, the direction or posture relative to the user's finger of the barrel 1 can be stabilized and the handwriting can be performed with a light force without the user applying force to the finger.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give a sharp touch to the user's fingertip where a portion of a ridge (edge) where a plurality of flat surfaces intersect, such as an old pencil having a hexagonal shape in cross section, enters the finger, have.

축통(1)을 가벼운 힘으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은, 필기할 때의 필압을 작게 하는 것으로 이어져,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의 피로의 경감에 기여할 수 있다. 게다가, 필기구의 리필에 충전되어 있는 잉크가 비교적 저점도의 것인 경우, 그러한 잉크 본래의 필기감과 함께, 매우 스무스하게 필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저점도의 잉크가 충전되어 있는 필기구에서, 사용자가 쓸데없이 손가락에 힘을 들여 축통(1)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여 필압이 증대되면, 오히려 필기의 매끄러움이 손상될 염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축통(1)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불필요한 필압의 증대가 억제되어, 필기의 매끄러움이 유지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The ability to stably maintain the barrel 1 with a light force leads to a reduction in the writing pressure at the time of writing, which can contribute to the fatigue of the user's fingers and arms. In addition, when the ink filled in the refill of the writing implement has a relatively low viscosity,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writing very smoothly with the original writing feel of such ink. On the contrary, if the user presses the fingers unnecessarily to hold the barrel 1 while holding the barrel 1 in a writing instrument filled with ink of low viscosity, the pressure of the writing increases, and the smoothness of the writing may be impaired. The increase in the unnecessary pressure can be suppressed and the smoothness of writing can be expected to be maintained.

상기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141)과 상기 선단부(15)의 외주면은 볼록 곡면 모양으로 연속하고 있으며, 평탄면 영역(141)과 선단부(15)의 외주면과의 경계 부분에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축통(1)의 선단부(15)에 가까운 부위를 가지는 사용자에 있어서, 손가락으로 축통(1)을 파지하는 위치를 위화감없이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개인차에 대응할 수 있는 편리성이 높은 필기구가 된다. The flat surface area 14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art 14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art 15 are continuous in a convex curved surface and the flat surface area 141 is formed on the boundary part between the flat surface area 14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p part 15 It is possible to flexibly change the position at which the user grips the barrel 1 with his or her fingers without discomfort in a user having a portion close to the distal end portion 15 of the barrel 1 because there is no concave portion. Therefore, the writing instrument is highly convenient for coping with individual differences.

상기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곡면 영역(142)이 상기 후부(13)의 외주면보다도 외부로 팽출하고 있기 때문에, 축통(1)의 후부(13)의 외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전부(14)의 외경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따르는 최적인 크기로 설계하는 것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필기구의 외관 디자인을 참신한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The curved surface region 14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4 bulges outward beyo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so that the entire portion 14 It is easy to design the outer diameter of the writing instrument to be the optimum size along the user's fingers, and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appearance design of the writing instrument novel.

게다가,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전부(14)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141)의 윤곽(141a)과 상기 후부(13)의 외주면의 윤곽(13a)이 동일한 직선 모양 또는 대략 동일한 직선 모양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전부(14)의 평탄면 영역(141)이 후부(13)의 외주면에 대해서 크게 패이지 않는 것, 반대로 말하면 후부(13)의 외주면이 전부(14)의 평탄면 영역(141)보다도 크게 돌출되지 않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축통(1)을 자연스럽게 쥐기 쉬워지기 때문에, 축통(1)의 후부(13)에 의한, 사용자의 집게 손가락의 밑부분에 대한 압박이 작게 된다. The contour 141a of the flat surface region 14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4 and the contour 13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have the same straight line or substantially the same straight line shape In other wor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protrudes more than the flat surface region 141 of the front portion 14. In other wor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3 is larger than the flat surface region 141 of the front portion 14. [ The pressure on the bottom of the user's index finger due to the rear portion 13 of the barrel 1 is reduced because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barrel 1 naturally.

또, 본 발명은 이상에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필기구의 형태는 볼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환언하면, 필기심은 볼펜의 리필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필기구가 볼펜 이외의 종류의 펜(예를 들면, 사인펜 등)인 경우도, 필기심은, 잉크를 충전한 용기의 선단 부위에, 잉크를 종이 등에 전사하기 위한 기구가 마련된 것이 되고, 그 기구가 펜끝이 된다. 또는, 필기구가 샤프 펜슬인 경우에는, 필기심이 연필심이며, 필기심을 계속 보내어 축통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한 기구를 필기심과 함께 축통에 수용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example, the form of the writing instrument is not limited to a ballpoint pen. In other words, the handwriting is not limited to the refill of a ballpoint pen. In the case where the writing instrument is a pen other than a ballpoint pen (for example, a sine pen or the like), a writing instrument is provided with a mechanism for transferring the ink to paper or the like on the tip end portion of the container filled with the ink, . Alternatively, when the writing instrument is a pencil, the writing head is a pencil lead, and a mechanism for continuously sending the writing stylus and projecting the writing stylus from the leading end of the barrel is accommodated in the barrel together with the writing stylus.

또, 축통의 전부의 외표면에서의 평탄면 영역 및/또는 곡면 영역에, 사용자의 손가락의 굵기나 손가락마디의 크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미세한, 폭이나 지름이 1mm 이하인 요철, 홈, 구멍 등을 마련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In addition, irregularities, grooves, holes or the like having a width or a diameter of 1 mm or less are formed on the flat surface area and / or the curved surface are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hole of the barrel in comparison with the thickness of the user's fingers or the size of the finger joint Do not interfere.

그 외 각 부의 구체적 구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The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other parts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필기를 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하는 필기심을 축통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필기구에 적용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riting instrument in which a writing instrument embodying a function for writing is accommodated in a barrel.

1 - 축통
13 - 후부
13 - 측면에서 볼 때의 후부의 윤곽
14 - 전부
141 - 평탄면 영역
141a - 측면에서 볼 때의 평탄면 영역의 윤곽
142 - 곡선 영역
142a - 평탄면 영역에 접속하는 부분
15 - 선단부
2 - 펜끝
L - 축심
1 - barrel
13 - rear
13 - rear contour as viewed from the side
14 - All
141 - Flat surface area
141a - contour of the flat surface area as viewed from the side
142 - Curved area
142a - a portion connected to the flat surface region
15 - tip
2 - nib
L - axial center

Claims (4)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유지되는 축통(軸筒)이,
축심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후부(後部)와,
상기 후부의 전방에 이어져 축심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고, 그 외주면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부위에, 평탄면 또는 대략 평탄면 모양의 볼록 곡면으로서 축심 방향에 대해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확장된 유일한 평탄면 영역이 형성되고, 그 외의 부위가 상기 평탄면 영역보다도 곡률이 큰 곡면 영역으로 되어 있는 전부(前部)와,
상기 전부의 전방에 이어져 선단이 가는 테이퍼 모양을 이루고, 필기용 펜끝을 돌출시키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부의 외주면의 곡면 영역에서의 상기 평탄면 영역의 양측단에 접속하는 부분이, 상기 후부의 외주면보다도 외부로 팽출(膨出)하고 있는 필기구.
A barrel held by a finger of a user,
A rear portion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A flat surface or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convex surface extending parallel to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the shaft and extending in the front of the rear portion and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A front portion in which a region is formed and the other portion is a curved region having a curvature larger than that of the flat surface region,
And a front end portion extending in front of the front portion and having a tapered front end and projecting a pen tip for writing,
Wherein a portion connected to both side ends of the flat surface region in the curved surface reg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bulges outward beyo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부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과 상기 선단부의 외주면이 볼록 곡면 모양으로 연속하고 있는 필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lat surface reg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are continuous in a convex curved surface shap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부의 외주면에서의 곡면 영역이, 상기 평탄면 영역에 접속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후부의 외주면과 대략 면일(面一)인 필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urved surface reg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is substantially flush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excluding a portion connected to the flat surface reg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전부의 외주면에서의 평탄면 영역의 윤곽과 상기 후부의 외주면의 윤곽이 동일한 직선 모양 또는 대략 동일한 직선 모양을 이루는 필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outline of the flat surface reg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outli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form the same straight line or substantially the same straight line from the side view.
KR1020187010694A 2015-12-07 2016-10-17 writing instrument KR10251020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38897 2015-12-07
JP2015238897A JP6657886B2 (en) 2015-12-07 2015-12-07 Writing implement
PCT/JP2016/080695 WO2017098808A1 (en) 2015-12-07 2016-10-17 Writing imp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248A true KR20180090248A (en) 2018-08-10
KR102510201B1 KR102510201B1 (en) 2023-03-16

Family

ID=5901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694A KR102510201B1 (en) 2015-12-07 2016-10-17 writing instrumen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57886B2 (en)
KR (1) KR102510201B1 (en)
CN (1) CN108349295B (en)
WO (1) WO2017098808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594A (en) * 2000-09-26 2002-04-02 Kotobuki:Kk Grip cover for barrel
JP2005138420A (en) 2003-11-06 2005-06-02 Kokuyo Co Ltd Writing im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4114U (en) * 1973-12-01 1975-07-18
JPS60178173U (en) * 1984-05-08 1985-11-26 竹内 政野 writing implements
JPH11277971A (en) * 1998-03-31 1999-10-12 Pilot Corp Manufacture of barrel and barrel manufacture thereby
JP2000071674A (en) * 1998-08-28 2000-03-07 Kotobuki:Kk Writing instru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594A (en) * 2000-09-26 2002-04-02 Kotobuki:Kk Grip cover for barrel
JP2005138420A (en) 2003-11-06 2005-06-02 Kokuyo Co Ltd Writing implemen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볼펜/샤프 펜슬/연필 샤프", 고쿠요 종합 카탈로그 2015년판 문구편, 고쿠요 주식회사, 평성(平成) 26년 12월, p.539-54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201B1 (en) 2023-03-16
CN108349295A (en) 2018-07-31
JP6657886B2 (en) 2020-03-04
WO2017098808A1 (en) 2017-06-15
CN108349295B (en) 2020-07-17
JP2017105004A (en)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92952U (en) Holding auxiliary device and pen with same
JP2000071674A (en) Writing instrument
US20060147246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JP3987711B2 (en) Writing utensils
US9333796B2 (en) Fingertip mountable writing instrument
JP6828305B2 (en) Writing implements
JP2006263462A5 (en)
US20160129722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an indented grasping area
JP5065773B2 (en) Composite writing instrument
KR20180090248A (en) Writing Instruments
JP2008273030A (en) Brush
JP2008265126A (en) Brush pen capable of being operated by fingertip
JP2009184198A (en) Writing utensil
KR200294752Y1 (en) Finger inserting type writing device
JP4848066B2 (en) Writing instrument
JP2009202453A (en) Shaft tube of writing utensil
KR101539396B1 (en) Ball pen
JP6833794B2 (en) Haunting multi-core writing tool
JP2007144701A (en) Shaft tube of writing implement
JP6866186B2 (en) Grip mounting structure
JP5073813B2 (en) Writing instrument grip
JP4282355B2 (en) Writing instrument
JP2014004772A (en) Barrel of writing instrument
JP2007144700A (en) Shaft tube of writing implement
JP2008114574A (en) Writing utensil with balance we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